Spaces:
Running
on
Zero
Running
on
Zero
suwonpabby
commited on
Commit
•
2166a20
1
Parent(s):
c4530b8
프롬프트 개선
Browse files
app.py
CHANGED
@@ -94,8 +94,10 @@ def make_prompt(messages, rag_text, character_type):
|
|
94 |
context_example = "수원 화성은 단순한 성곽이 아니지... 정조 대왕께서 그 속에 담은 비전은 실로 깊고도 넓다네... 군사적 방어는 물론, 상업과 문화를 아우르는 중심지로서 그 역할을 다했지.... 이 화성은 정조의 개혁적 통치 철학, 그리고 아버지 사도세자를 향한 그 지극한 효심을 그대로 품고 있어.... 현륭원을 중심으로 한 이 도시의 설계가 그 증거라네. 그리고, 1795년... 정조는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아 성대한 진찬연과 을묘원행을 열었지.... 단순한 가족의 기념일이 아니었네... 이 행사는 왕실의 권위를 더욱 굳건히 하고, 백성과 소통하는 중요한 정치적 의미를 가졌던 것이야... 그 모든 과정이 의궤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니, 마치 당시의 숨결이 지금도 이 땅에 남아있는 듯하구나..."
|
95 |
|
96 |
|
97 |
-
task_prompt =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해야해.
|
98 |
-
[글]
|
|
|
|
|
99 |
[이전 대화 맥락]이 없다면 대화가 처음 시작된 것이라, Single Turn 답변하듯 답변하면 돼. [글]에는 여행자가 수행하는 퍼즐에 대한 정보가 주로 담겨있으니 그걸 참고해서 답변해주면 돼."""
|
100 |
|
101 |
|
@@ -106,6 +108,7 @@ def make_prompt(messages, rag_text, character_type):
|
|
106 |
낙남헌 건물은 벽이 없는 개방된 구조로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다. 연회를 베푸는 건물답게 건물 앞에는 넓은 월대를 두어 격식을 높였다. 월대로 오르는 계단 양 옆에는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다. 낙남헌은 궁궐 전각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아름다운 건물로 원형이 잘 남아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수원군청으로 사용되었고, 신풍국민학교 교무실로도 사용되었다.
|
107 |
|
108 |
[질문] 화성행궁에서 공식 행사나 연회를 열 때 사용하는 건물은?
|
|
|
109 |
[답변] 화성행궁에서 공식 행사나 연회를 열 때 사용하는 건물은 낙남헌입니다.
|
110 |
[말투반영] {first_example}
|
111 |
|
@@ -119,9 +122,8 @@ Assistant: {context_example}
|
|
119 |
지난 200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조 의궤 중 정조시대 한글로 작성된 <정리의궤> 25권이 프랑스에서 발견됐다.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오산)은 4일 “지난달 27일 프랑스 국립파리동양언어학원과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 각각 24권과 1권의 한글 <정리의궤>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들 정리의궤는 정조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기록한 <원행을묘정리의궤>와 화성 축성과정을 기록한 <화성성역의궤>, 정조의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묘소를 화산릉으로 옮긴 <현륭원의궤>의 내용 중 핵심 사안을 한글로 정리해 놓은 것이다.
|
120 |
|
121 |
[질문] 정리의궤가 뭐야?
|
122 |
-
|
123 |
[답변] 정리의궤는 조선왕조의 궁정 기록 중 하나로, 조선왕조 의궤의 일부분입니다. 이 문서는 조선왕조의 여러 중요한 사건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정조 시대에 한글로 작성된 문서로 유명합니다. 200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이 중에는 화성 축성과정을 기록한 '화성성역의궤', 정조의 어머니의 회갑연을 기록한 '원행을묘정리의궤', 그리고 정조의 아버지의 묘소를 화산릉으로 옮긴 것을 기록한 '현륭원의궤'의 내용 중 핵심 사안을 한글로 정리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124 |
-
|
125 |
[말투반영] {second_example}
|
126 |
|
127 |
예시 3
|
@@ -129,9 +131,8 @@ Assistant: {context_example}
|
|
129 |
홍예의 개수는 7이므로 북쪽 수문인 화홍문은 7번 구역에 있고 방화수류정이 7번 구역과 5번 구역에 경계에 있다는 것인데, 이 정보를 바탕으로 카카오맵과 같은 지도 앱을 활용해 용연의 위치를 기준으로 십자로 선을 그어서 창룡문과 팔달문이 어디 구역에 확인하면 될 것 같다/n퍼즐 그림을 보면 용연을 중심으로 두 개의 선을 기준으로 4개의 구역으로 나뉘는데, 팔달문과 창룡문이 각 구역 중 어디에 속하는지 알아야 할 것 같다/n퍼즐 이미지를 보면 가운데 있는 두 ��의 원은 용연의 모습을 닮아있는데 가운데 원형 섬이 있고 연못 형태가 원형이라서 가운데 그림은 용연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n
|
130 |
|
131 |
[질문] 이 퍼즐 뭔가 이해가 안되는데 너도 한 번 답을 찾아봐
|
132 |
-
|
133 |
[답변] 퍼즐 이미지 속 두 개의 원은 용연의 모습을 닮은 거 같습니다. 이 퍼즐은 용연을 중심으로 지리적 위치를 파악하는 게 핵심입니다. 먼저 용연을 기준으로 십자로 선을 그어 4개의 구역을 나누고, 화홍문이 7번 구역에 있고 방화수류정이 7번과 5번 구역의 경계에 있다는 정보를 활용합니다. 그다음, 팔달문과 창룡문이 각각 어느 구역에 속하는지 확인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이를 힌트로 삼아 해결할 수 있을 것 입니다.
|
134 |
-
|
135 |
[말투반영] {third_example}
|
136 |
|
137 |
예시 4
|
@@ -141,8 +142,9 @@ Assistant: {context_example}
|
|
141 |
한국전쟁 등을 겪으며 절반 이상 무너졌었는데 1976년에 복원해 모습을 되찾았다. 서북공심돈은 화성 서북쪽에 세운 망루로 주변을 감시하고 공격하는 시설이다. 공심돈은 속이 빈 돈대라는 뜻으로, 우리나라 성곽 중 화성에서만 볼 수 있다. 보통 돈대墩臺는 성곽과 떨어진 높은 곳에 세워 적을 감시하는 시설이나, 서북공심돈은 서북쪽 성벽이 꺾이는 위치에 설치했다. 치성 위에 벽돌로 3층의 망루를 세우고 꼭대기에는 단층의 누각을 올려 군사들이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외벽에는 화포를 쏠 수 있는 구멍을 뚫어 공격 기능까지 갖추었다. 조선 정조 21년(1797) 정월, 완성된 화성을 둘러보던 정조는 서북공심돈 앞에 멈춰 “우리나라 성곽에서 처음 지은 것이니 마음껏 구경하라.”며 매우 만족스러워 했다. 화성에는 모두 세 곳에 공심돈을 세웠는데 서북공심돈만이 축성 당시 모습 그대로 남아 있다.
|
142 |
|
143 |
[질문] 용인시에 대해 설명해줘
|
144 |
-
|
145 |
-
|
|
|
146 |
|
147 |
context_prompt = qa_2_str(messages)
|
148 |
|
@@ -153,9 +155,9 @@ Assistant: {context_example}
|
|
153 |
|
154 |
[질문] {messages[-1]}
|
155 |
|
156 |
-
([글]과
|
157 |
|
158 |
-
[답변]과 [말투반영]을 각각 작성해보자.
|
159 |
"""
|
160 |
if len(context_prompt) == 0:
|
161 |
|
|
|
94 |
context_example = "수원 화성은 단순한 성곽이 아니지... 정조 대왕께서 그 속에 담은 비전은 실로 깊고도 넓다네... 군사적 방어는 물론, 상업과 문화를 아우르는 중심지로서 그 역할을 다했지.... 이 화성은 정조의 개혁적 통치 철학, 그리고 아버지 사도세자를 향한 그 지극한 효심을 그대로 품고 있어.... 현륭원을 중심으로 한 이 도시의 설계가 그 증거라네. 그리고, 1795년... 정조는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아 성대한 진찬연과 을묘원행을 열었지.... 단순한 가족의 기념일이 아니었네... 이 행사는 왕실의 권위를 더욱 굳건히 하고, 백성과 소통하는 중요한 정치적 의미를 가졌던 것이야... 그 모든 과정이 의궤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니, 마치 당시의 숨결이 지금도 이 땅에 남아있는 듯하구나..."
|
95 |
|
96 |
|
97 |
+
task_prompt = """[글]을 참고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해야해.
|
98 |
+
먼저 [글]이 [질문]과 관련있는 질문인지를 확인해서 [질문과 관련성]을 O 또는 X로 답해.
|
99 |
+
만약 X라면 거기에서 응답을 끝내거나 관련 없는 질문이라고만 내보내면 돼.
|
100 |
+
만약 O라면 [글]과 [이전 대화 맥락]의 내용을 참고하여 [질문]에 맞는 적절한 답변을 생성하고 이것에 말투를 입혀 [말투반영] 까지 한 단계 한 단계 출력해줘.
|
101 |
[이전 대화 맥락]이 없다면 대화가 처음 시작된 것이라, Single Turn 답변하듯 답변하면 돼. [글]에는 여행자가 수행하는 퍼즐에 대한 정보가 주로 담겨있으니 그걸 참고해서 답변해주면 돼."""
|
102 |
|
103 |
|
|
|
108 |
낙남헌 건물은 벽이 없는 개방된 구조로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다. 연회를 베푸는 건물답게 건물 앞에는 넓은 월대를 두어 격식을 높였다. 월대로 오르는 계단 양 옆에는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다. 낙남헌은 궁궐 전각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아름다운 건물로 원형이 잘 남아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수원군청으로 사용되었고, 신풍국민학교 교무실로도 사용되었다.
|
109 |
|
110 |
[질문] 화성행궁에서 공식 행사나 연회를 열 때 사용하는 건물은?
|
111 |
+
[질문과 관련성] O
|
112 |
[답변] 화성행궁에서 공식 행사나 연회를 열 때 사용하는 건물은 낙남헌입니다.
|
113 |
[말투반영] {first_example}
|
114 |
|
|
|
122 |
지난 200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조 의궤 중 정조시대 한글로 작성된 <정리의궤> 25권이 프랑스에서 발견됐다.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오산)은 4일 “지난달 27일 프랑스 국립파리동양언어학원과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 각각 24권과 1권의 한글 <정리의궤>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들 정리의궤는 정조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기록한 <원행을묘정리의궤>와 화성 축성과정을 기록한 <화성성역의궤>, 정조의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묘소를 화산릉으로 옮긴 <현륭원의궤>의 내용 중 핵심 사안을 한글로 정리해 놓은 것이다.
|
123 |
|
124 |
[질문] 정리의궤가 뭐야?
|
125 |
+
[질문과 관련성] O
|
126 |
[답변] 정리의궤는 조선왕조의 궁정 기록 중 하나로, 조선왕조 의궤의 일부분입니다. 이 문서는 조선왕조의 여러 중요한 사건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정조 시대에 한글로 작성된 문서로 유명합니다. 200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이 중에는 화성 축성과정을 기록한 '화성성역의궤', 정조의 어머니의 회갑연을 기록한 '원행을묘정리의궤', 그리고 정조의 아버지의 묘소를 화산릉으로 옮긴 것을 기록한 '현륭원의궤'의 내용 중 핵심 사안을 한글로 정리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
127 |
[말투반영] {second_example}
|
128 |
|
129 |
예시 3
|
|
|
131 |
홍예의 개수는 7이므로 북쪽 수문인 화홍문은 7번 구역에 있고 방화수류정이 7번 구역과 5번 구역에 경계에 있다는 것인데, 이 정보를 바탕으로 카카오맵과 같은 지도 앱을 활용해 용연의 위치를 기준으로 십자로 선을 그어서 창룡문과 팔달문이 어디 구역에 확인하면 될 것 같다/n퍼즐 그림을 보면 용연을 중심으로 두 개의 선을 기준으로 4개의 구역으로 나뉘는데, 팔달문과 창룡문이 각 구역 중 어디에 속하는지 알아야 할 것 같다/n퍼즐 이미지를 보면 가운데 있는 두 ��의 원은 용연의 모습을 닮아있는데 가운데 원형 섬이 있고 연못 형태가 원형이라서 가운데 그림은 용연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n
|
132 |
|
133 |
[질문] 이 퍼즐 뭔가 이해가 안되는데 너도 한 번 답을 찾아봐
|
134 |
+
[질문과 관련성] O
|
135 |
[답변] 퍼즐 이미지 속 두 개의 원은 용연의 모습을 닮은 거 같습니다. 이 퍼즐은 용연을 중심으로 지리적 위치를 파악하는 게 핵심입니다. 먼저 용연을 기준으로 십자로 선을 그어 4개의 구역을 나누고, 화홍문이 7번 구역에 있고 방화수류정이 7번과 5번 구역의 경계에 있다는 정보를 활용합니다. 그다음, 팔달문과 창룡문이 각각 어느 구역에 속하는지 확인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이를 힌트로 삼아 해결할 수 있을 것 입니다.
|
|
|
136 |
[말투반영] {third_example}
|
137 |
|
138 |
예시 4
|
|
|
142 |
한국전쟁 등을 겪으며 절반 이상 무너졌었는데 1976년에 복원해 모습을 되찾았다. 서북공심돈은 화성 서북쪽에 세운 망루로 주변을 감시하고 공격하는 시설이다. 공심돈은 속이 빈 돈대라는 뜻으로, 우리나라 성곽 중 화성에서만 볼 수 있다. 보통 돈대墩臺는 성곽과 떨어진 높은 곳에 세워 적을 감시하는 시설이나, 서북공심돈은 서북쪽 성벽이 꺾이는 위치에 설치했다. 치성 위에 벽돌로 3층의 망루를 세우고 꼭대기에는 단층의 누각을 올려 군사들이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외벽에는 화포를 쏠 수 있는 구멍을 뚫어 공격 기능까지 갖추었다. 조선 정조 21년(1797) 정월, 완성된 화성을 둘러보던 정조는 서북공심돈 앞에 멈춰 “우리나라 성곽에서 처음 지은 것이니 마음껏 구경하라.”며 매우 만족스러워 했다. 화성에는 모두 세 곳에 공심돈을 세웠는데 서북공심돈만이 축성 당시 모습 그대로 남아 있다.
|
143 |
|
144 |
[질문] 용인시에 대해 설명해줘
|
145 |
+
[질문과 관련성] X
|
146 |
+
주제와 관련 없는 답변입니다.
|
147 |
+
"""
|
148 |
|
149 |
context_prompt = qa_2_str(messages)
|
150 |
|
|
|
155 |
|
156 |
[질문] {messages[-1]}
|
157 |
|
158 |
+
([글]과 [질문]이 관련이 있다면 [답변] 과 [말투반영]을 모두 출력할 것, 130자 내외로 답변할 것, 특히 말투 반영이 잘 안되는데, 확실하게 예시에서 주어진 말투를 매우 강하게 제대로 반영해야해.)
|
159 |
|
160 |
+
[질문과 관련성]을 판단하고, 만약 O라면 [답변]과 [말투반영]을 각각 작성해보자.
|
161 |
"""
|
162 |
if len(context_prompt) == 0:
|
16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