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named: 0
int64
0
0
제목
stringlengths
6
35
등록일
stringclasses
2 values
질문
stringlengths
34
269
답변
stringlengths
63
545
0
'입체책', '입체 책'의 띄어쓰기
2020. 1. 16.
입체로 만들어진 책은 '입체책'인가요, '입체 책'인가요?
'입체책'입니다. 여기서 '책'은 일부 명사 뒤에 붙어서 '서적'임을 나타내는 명사로 '국어책', '해설책'과 같이 쓰입니다. 따라서 입체로 만들어진 책은 '입체책'과 같이 붙여 씁니다.
0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의 띄어쓰기
2020. 1. 16.
'일제 강점기'처럼 띄어 써야 하나요? 아니면 '일제강점기'처럼 붙여 써야 하나요?
'일제 강점기'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일제강점기'로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50항에 따르면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으므로, 단어별로 '일제 강점기'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일제강점'로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0
'일일 찻집', '1일 찻집'의 표기
2020. 1. 16.
우리가 흔히 쓰는 '일일 찻집'을 '1일 찻집'으로 써도 되나요?
'1일 찻집'으로도 쓸 수 있습니다. '하루'를 의미하는 '일일'과 '찻집'이 이어진 말로 '일일 찻집'으로 씁니다만, '일일'의 앞쪽 '일'은 본디 수관형사 '일'이므로 이를 아라비아숫자로 써 '1일 찻집'으로 쓸 수 있습니다.
0
'일양', '일량'의 표기
2020. 1. 16.
'공무원의 {일량/일양}' 중 뭐가 맞나요?
'공무원의 일양'이 맞습니다. '양(量)'은 고유어와 외래어 명사 뒤에 붙어 '분량이나 수량'을 나타내는 말로서 '구름양', '알칼리양'과 같이 쓰이므로, 고유어 '일' 뒤에는 '양'을 붙여 '일양'으로 씁니다. 참고로, '량(量)'은 한자어 명사 뒤에 붙어 '분량이나 수량'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가사량', '작업량'과 같이 쓰입니다.
0
'서민일수록', '부자일수록'의 표현
2020. 1. 16.
'서민일수록' 또는 '부자일수록'이라는 표현이 신문 제목에서 보이는데 이게 맞는 표현인지요?
'부자일수록', '서민일수록'은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ㄹ수록'은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이나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등에 붙어 '앞 절 일의 어떤 정도가 그렇게 더하여 가는 것이, 뒤 절 일의 어떤 정도가 더하거나 덜하게 되는 조건이 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이고, '부자'는 '재물이 많아 살림이 넉넉한 사람', '서민'은 '경제적으로 중류 이하의 넉넉지 못한 생활을 하는 사람'을 뜻해 살림의 넉넉한 정도와 관련이 있으므로 '서민일수록', 부자일수록'으로 쓸 수 있습니다.
0
'일만 이천'의 띄어쓰기
2020. 1. 16.
'일만 이천'을 하나의 수사로 보는 것이겠지요? 이 경우에는 휴지는 있지만, 분리성이 없는 건가요? 아니면 사실은 붙여 써야 하는 것이지만, 보기 편하라고 띄어 쓴 것이라 휴지 자체도 없는 것인가요?
'일만 이천'을 하나의 수사로 보지는 않습니다. 본디 '일', '만', '이', '천'이 각각의 단어입니다만, 한글맞춤법 제44항에 따르면 수를 적을 적에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쓰므로 '일만 이천'으로 띄어 쓰는 것입니다. 발음상으로는 띄어쓰기에 따라 [일만#이천]과 같이 휴지를 두어 발음할 수도 있습니다만, 휴지 없이 연달아 [일마니천]으로 발음할 수도 있습니다.
0
소수 '1.5'의 표기
2020. 1. 16.
'1.5'를 한글로 어떻게 써야 하나요?
'일 점 오'와 같이 띄어 씁니다. 여기서 '점'은 '소수의 소수점'을 이르는 명사로 '영 점 일'과 같이 쓰입니다.
0
'인사말', '인삿말'의 표기
2020. 1. 16.
'인사말', '인사말' 중 어느 것이 맞나요?
'인사말'이 맞습니다. 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사이시옷은 합성어(고유어+고유어, 고유어+한자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 붙일 수 있는데, '인사말'은 [인산말]이 아니라 [인사말]로 발음하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습니다.
0
이름 속 '連'의 표기
2020. 1. 16.
'連' 자가 사람 이름에 쓰일 때 한글로 어떻게 표기하나요? 이름 첫 글자일 때와 끝 글자일 때 달라지나요?
'連'은 이름의 첫 글자일 때와 끝 글자일 때 표기가 달라집니다. '連'이 이름의 첫 글자일 때는 두음법칙을 적용하여 '안-연(安連)'과 같이 '연'으로 적고, 이름의 첫 글자가 아닐 때는 두음벅칙을 적용하지 않고 '김-정련(金正連)'과 같이 '련'으로 적습니다.
0
성과 이름의 로마자 표기 순서
2020. 1. 16.
이름을 영문으로 표기할 때 성과 이름을 헛갈리지 않도록 성을 쓰고 그 뒤에 쉼표를 찍어서 구분해 주는 것이 좋다고 배운 기억이 있는데, 현재는 그냥 성과 이름을 쓰도록 바뀐 것인가요?
우리 성명의 로마자 표기는 쉼표 없이 성과 이름 순서로 띄어 씁니다. 로마자표기법 제3장 제4항에 따르면, 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쓰므로, '송나리'는 'Song Nari'와 같이 띄어 쓰는 것입니다. 예전에 서양에서 성을 앞에 쓰고 쉼표를 찍은 뒤 이름을 쓰는 관례(서양은 본디 이름과 성 순서라 성을 앞세우는 것은 일종의 도치이므로 쉼표를 찍은 듯함)에 따라 ‘Song, Nari’로 쓰는 것은 본디 성과 이름 순으로 쓰는 우리의 관행과 맞지 않으므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0
'익히', '특히'에 '-히'가 붙는 이유
2020. 1. 16.
'특히'와 '익히'를 보기로 들면서 '하다'가 붙는 어근이라고 하셨는데, '익하다, 특하다' 이런 말은 없는데 어떻게 된 건가요?
알고 계신 대로 '익', '특'은 '-하다'가 붙는 어근이 아닙니다. 한글맞춤법 제51항 2번의 해설에서 '-하다'가 붙는 어근에 '-히'가 결합하여 된 부사에서 온 말로 '익히(익숙히), 특히(특별히)'를 들고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익히', '특히'의 표기는 '익'이나 '특'이 '-하다'가 붙는 어근이기 때문이 아니고, '-하다'가 붙는 어근 '익숙', '특별'에 '-히'가 결합하여 된 부사 '익숙히', '특별히'가 줄어 된 말이기 때문입니다.
0
'이해가 가다'의 표현
2020. 1. 16.
'이해가 가다'라는 표현은 맞나요?
'이해가 가다'는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여기서 '가다'는 '어떤 일에 대하여 납득이나 이해, 짐작 따위가 되다'를 뜻하는 말이므로 '이해가 가다'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0
'이판사판'의 단어 유형
2020. 1. 16.
'이판사판', '갈팡질팡', '허둥지둥'처럼 같은 음이 부분적으로 반복되는 말을 뭐라고 하나요?
이에 대한 공식적인 용어는 없습니다. 다만 '누구누구', '꼭꼭'처럼 동일한 단어를 반복한 말을 '첩어'라고 하는 데 준하여 '이판사판', '갈팡질팡', '허둥지둥'같이 부분적으로 반복되는 말을 흔히 '준첩어'라고 이릅니다.
0
이중모음 'ㅖ'의 발음
2020. 1. 16.
이중모음 'ㅖ'가 쓰인 말 중 '예'와 '례'만 글자 그대로만 발음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실제 발음이 그러하기 때문입니다. 표준발음법 제5항에 따르면 'ㅖ'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합니다만 '예, 례' 이외의 'ㅖ'는 단모음 [ㅔ]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합니다. '예'나 '례'처럼 앞에 자음이 없거나 약한 자음이 있는 경우에는 이중 모음 발음이 잘되므로 원칙대로 발음하는 것이고, 'ㄹ'을 제외한 자음 뒤의 'ㅖ'는 단모음 [ㅔ]로 발음되는 경우가 허다해 현실 발음을 감안하여 단모음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 것입니다.
0
'이죽이죽'과 '이기죽이기죽'의 표준 발음
2020. 1. 16.
'이죽이죽'과 '이기죽이기죽'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이죽이죽'과 '이기죽이기죽'의 표준 발음은 [이중니죽/이주기죽]과 [이기주기기죽]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9항의 예외로 'ㄴ'음을 첨가하여 발음하되 표기대로도 발음할 수 있는 경우의 예로 '이죽-이죽[이중니죽/이주기죽]'이 제시되어 있고, '이죽이죽'의 본말인 '이기죽이기죽'은 아예 'ㄴ' 첨가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0
'이장'과 '리장'의 표기
2020. 1. 16.
'이장', '리장' 중 어느 것이 맞나요?
'이장(里長)'이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11항에 따르면 한자음 '리(里)'는 의존 명사로 '십 리'와 같이 쓰일 때를 제외하고는 단어의 첫머리에서 두음법칙이 적용되므로, '里長'은 '이장'으로 적습니다.
0
'이용해 먹으려고', '이용해먹으려고'의 띄어쓰기
2020. 1. 16.
'이용해 먹으려고'가 맞나요, '이용해먹으려고'가 맞나요?
'이용해 먹으려고'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아/-어' 뒤의 보조 용언은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하지만, 앞말이 합성 용언(파생 용언 포함)인 경우에는 띄어 씁니다. 이에 따라, 일부 동사 뒤에서 ‘-어 먹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강조하는 말 '먹다'는 보조 동사로서 '이용해 먹으려고'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고, 앞의 '이용해'가 파생어라 '이용해먹으려고'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0
'이야기책'의 단어 형성법
2020. 1. 16.
'이야기책'의 형태소 분석이 왜 '이야기+책'인가요? 합성어나 파생어는 하나의 형태소가 아닌가요?
합성어나 파생어는 복합어로 하나의 형태소가 아닙니다. 복합어는 하나의 실질 형태소에 접사가 붙거나(파생어) 두 개 이상의 실질 형태소가 결합된(합성어) 말이고, 형태소는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나 '문법적 또는 관계적인 뜻만을 나타내는 단어나 단어 성분'을 이릅니다. 따라서 합성어인 '이야기책'은 다른 뜻을 가진 작은 말의 단위(형태소)인 '이야기'와 '책'으로 분석됩니다.
0
'이발하다'의 품사
2020. 1. 16.
"철수는 시내에서 이발하였다."에서 '이발하다'가 자동사인가요, 타동사인가요? 그리고 이 문장은 '능동문'인가요, '피동문'인가요?
"철수는 시내에서 이발하였다."에서 '이발하다'는 '머리털을 깎아 다듬다'를 뜻하는 말로 목적어 없이 쓰이는 자동사입니다. "철수는 시내에서 이발하였다."는 피동 표현이 쓰이지 않았으므로 능동문입니다. 철수가 직접 머리털을 깎아 다듬는 것은 아니고 이발사의 손을 빌리기는 하지만, '이발'에 '피동'의 '-되다'가 아닌 '-하다'가 결합된 말이므로 능동문입니다.
0
'혼인 신고 하다', '혼인 신고하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혼인 신고 하다', '혼인 신고하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혼인 신고'가 전문어이므로 '혼인 신고 하다'가 원칙이고 '혼인신고 하다'와 같이 띄어 쓸 수도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50항에 따르면,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도 있는데, '혼인 신고'는 법률 전문어이므로 '혼인 신고'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혼인신고'로 붙여 쓸 수 있습니다. 뒤에 오는 '하다'는 앞말이 원칙적으로 구이므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혼인(을) 신고하다'와 같이 쓸 수도 있겠으나 이 경우에는 더 이상 전문어의 뜻은 아닙니다.
0
합성어 사동형의 띄어쓰기
2020. 1. 16.
합성어 '이름나다'의 사동형은 사전에 없는데 '이름 내다'로 띄어 쓰나요, '이름내다'로 붙여 쓰나요?
'이름 내다'로 띄어 씁니다. 현대어에서 피동, 사동 접사는 그렇게 생산적이지 않으므로, 사전에 단어로 등재되지 않은 파생 피동사나 사동사는 단어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름나다'가 한 단어로 있어도 그 사동 표현은 '이름 내다'로 띄어 씁니다.
0
'이르다', '일르다'의 표현
2020. 1. 16.
'이르다'를 '일르다'와 같이 써도 되나요?
'이르다'로 써야 합니다. 동사로서 '무엇이라고 말하다'를 뜻하거나 형용사로서 '대중이나 기준을 잡은 때보다 앞서거나 빠르다'를 뜻하는 표준어는 '이르다'입니다. 이러한 뜻의 '이르다'는 '르' 불규칙 용언이므로 모음 어미 앞에서 '일러', '일렀다'와 같이 활용을 해 기본형을 '일르다'로 잘못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0
'왔다 갔다', '왔다갔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이랬다저랬다'는 붙이는데 '왔다 갔다'는 띄어 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왔다 갔다'는 한 단어로 굳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랬다저랬다'는 ‘이리하였다가 저리하였다가’가 줄어든 말로 굳어져 한 단어처럼 붙여 쓰나, '왔다 갔다'는 그러지 않아 띄어 쓰는 것입니다.
0
'가족이래 봤자', '가족이라 봤자'의 바른 표기
2020. 1. 16.
'가족이래 봤자', '가족이라 봤자' 중 어느 게 맞는 건가요?
'가족이래 봤자'가 맞습니다. '가족이라고 해 봤자'에서 '-라고 해'가 '-래'로 줄어든 것이므로 '가족이래 봤자'와 같이 적습니다. 여기서 '보다'는 동사 뒤에서 ‘-어 보다’ 구성으로 쓰여 '어떤 행동을 시험 삼아 함'을 나타내는 보조 동사이므로 동사가 아닌 '가족이다' 뒤에는 올 수가 없으므로 '가족이라 봤자'로는 쓸 수가 없습니다.
0
'이것은 개다', '이것은 개이다'의 표현
2020. 1. 16.
한글 문서 작성 중 '이것은 개이다'가 자동으로 '이것은 개다'로 오류 수정이 이루어지던데, 받침이 없는 체언에 서술격 조사가 붙을 때에는 무조건 '이-'가 생략되어야 하나요?
아닙니다. 모음으로 끝난 말 뒤에 서술격 조사 '이다'가 붙을 때 '이-'가 쉽게 생략되기는 하지만, 반드시 생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것은 개다."는 물론 "이것은 개이다."도 쓸 수 있습니다.
0
'아무 놈', '아무놈'의 띄어쓰기
2020. 1. 16.
'아무것'은 붙여 쓰는데 '아무 놈'은 띄어 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아무 놈'은 아직 한 단어로 굳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아무것'은 '특별히 정해지지 않은 어떤 것 일체'(아무것도 모르다), 주로 ‘아니다’와 함께 쓰여 '대단하거나 특별한 어떤 것'(아무것도 아니다)을 뜻하는 한 단어로 굳어졌기 때문에 붙여 쓰지만, '아무 놈'은 그러지 않아 띄어 쓰는 것입니다.
0
기본형과 활용형
2020. 1. 16.
'이끌다'와 '이끈다', '이끎'은 다른 게 뭔가요?
'이끌다'는 기본형이고, '이끈다'와 '이끎'은 '이끌다'의 활용형입니다. '이끈다'는 '이끌다'의 어간 '이끌-' 뒤에, 현재 사건이나 사실을 서술하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ㄴ다'가 결합한 평서형이고, '이끎'은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등에 붙어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 '-ㅁ'이 결합한 명사형입니다.
0
'있을지어다'와 '있을지이다'의 표현
2020. 1. 16.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지이다.”라고 하는데 '있을지이다'가 맞는 표현인가요?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지어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여기서 '-을지어다'는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의 어간 뒤에 붙어, 해라체로 ‘마땅히 그렇게 하라’는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서 "그대의 가정에 축복이 있을지어다."와 같이 쓰입니다. 따라서 제시하신 문장도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지어다."와 같이 쓰는 것이 맞습니다.
0
'지을 줄'과 '지을지', '속일 줄'과 '속일지'의 차이
2020. 1. 16.
의존 명사 '줄'은 '어떤 방법, 셈속' 따위를 나타내는 말로 "새댁은 밥을 지을 줄 모른다.", "그가 나를 속일 줄은 몰랐다."와 같이 쓰이는데, 여기서 '-(으)ㄹ 줄' 대신 '-(으)ㄹ지'를 사용하면, 잘못된 표현이 되는 건가요?
맥락에 따라 대체할 수도 있지만 대체하면 뜻이 달라집니다. '줄'은 '어떤 방법, 셈속 따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이므로, "새댁은 밥을 지을 줄 모른다.", "그가 나를 속일 줄은 몰랐다."와 같이 앞말과 띄어 쓰고, '-을지'는 해할 자리나 간접 인용절에 쓰여, 추측에 대한 막연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이므로 "과연 그들이 뜻을 이루었을지?", "저이에게 그만한 돈이 있을지 모르겠다."와 같이 씁니다. 특히 '줄'이 '셈속'의 뜻으로 쓰인 경우 의미적으로 '-을지'와 비슷해 보이지만, '줄'은 돌아가는 사실의 내용이나 속셈의 실상을 나타내므로, 막연한 의문을 나타내는 '-을지'와 차이가 있습니다. '줄'은 "그가 나를 속일 줄은 몰랐다."처럼 그가 나를 속인 것이 확실한 상황에서 쓰는 것이고 '-ㄹ지'는 "그가 나를 속일지 모른다."처럼 그가 나를 아직 속이지 않았거나 속인 것이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서 쓰는 것입니다.
0
'예쁘다'의 활용
2020. 1. 16.
관형사형으로 나타내는 미래 시제에서, 동사는 '떠날 아이'과 같이 관형사형 어미 '-(으)ㄹ'이 실현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형용사의 경우도 "크면 예쁠 아이다."와 같이 쓸 수 있나요?
"크면 예쁠 아이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으)ㄹ'은 용언의 어간 뒤에 쓰여 '추측, 예정, 의지, 가능성 등 확정된 현실이 아님'을 나타내는 관형사형 어미이므로, 동사뿐 아니라 형용사 어간 뒤에도 쓸 수 있습니다.
0
'은촛대', '은 촛대'의 띄어쓰기
2020. 1. 16.
'은촛대', '은 촛대'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은촛대'로 붙여 씁니다. '은촛대‘는 현재 "우리말샘"에 한 단어로 올라 있습니다. 설령 한 단어로 없는 말이라 해도, '은'이 다른 명사 앞에서 '은색’, ‘은제’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은귀고리'와 같이 그 명사와 붙여 적습니다.
0
'아는 척하다', '아는척하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알은척하다'는 붙여 쓰던데, '아는 척하다'는 띄어쓰기를 어떻게 하나요?
'아는 척하다'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고 '아는척하다'로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관형사형 뒤의 보조 용언은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참고로, '알은척하다'는 '어떤 일에 관심을 가지는 듯한 태도를 보이다'나 '사람을 보고 인사하는 표정을 짓다'와 같은 뜻을 가진 합성어이므로 항상 붙여 씁니다.
0
'-ㄴ', '-ㄹ'의 차이
2020. 1. 16.
'만난'의 '-ㄴ'과 '이사할'의 '-ㄹ'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만난'의 '-ㄴ'은 받침 없는 동사 어간, ‘ㄹ’ 받침인 동사 어간 뒤에 붙어 '사건이나 행위가 과거에 일어남'을 나타내는 관형사형 어미로 '어제 만난 사람'과 같이 쓰이고, '이사할'의 '-ㄹ'은 '추측, 예정, 의지, 가능성 등 확정된 현실이 아님'을 나타내는 관형사형 어미로 '내일 이사할 집'과 같이 쓰입니다.
0
조사 '는'과 '은'의 차이
2020. 1. 16.
"2는 짝수이고, 3은 홀수이다."라는 문장에서, 같은 숫자인데 왜 '2' 다음에는 '는'을 쓰고 '3' 다음에는 '은'을 쓰나요?
'2'는 '이'로 읽고, '3'은 '삼'으로 읽기 때문입니다. '삼'처럼 받침으로 끝난 체언 뒤에서는 조사 '은'이 쓰이고, '이'처럼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서는 조사 '는'이 쓰이므로, '2'(이) 뒤에는 '는', '3'(삼) 뒤에는 '은'이 붙는 것입니다.
0
외래어 뒤 '는', '은'의 쓰임
2020. 1. 16.
컴퓨터 용어 중 'caps lock'의 'lock'은 '록'으로도 읽을 수 있겠지만, 알파벳 그대로 '엘오씨케이'로 읽을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뒤에 붙은 조사 '은/는' 어느 것을 따라야 하나요?
앞말을 실제로 읽는 발음에 따라 조사를 선택합니다. 받침으로 끝난 말 뒤에서는 조사 '은'이, 모음으로 끝난 말 뒤에서는 조사 '는'이 붙으므로, 'lock'을 '로크'로 읽는다면 '는', '록'으로 읽는다면 '은', '엘오시케이'로 읽는다면 '는'을 붙일 수 있겠습니다. 다만, 'lock'의 외래어 표기는 '로크'이므로 외래어 표기대로 읽는다면 '는'을 붙이는 것이 적절합니다.
0
'으름장'의 표준 발음
2020. 1. 16.
'으름장'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으름장'의 표준 발음은 [으름짱]입니다. '말과 행동으로 위협하는 짓'을 이르는 ‘으름장’은 ‘상대편이 겁을 먹도록 무서운 말이나 행동으로 위협하다'를 뜻하는 ‘으르다’의 명사형 ‘으름’과 ‘장’(어원 불명)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8항에 따르면, 표기상으로 사이시옷이 없더라도 관형격 기능을 지니는 사이시옷이 있어야 할 합성어의 경우에는 뒤 단어의 첫소리 'ㅈ'을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으름'과 '장'이 결합한 '으름장'도 [으름짱]과 같이 발음하는 것입니다.
0
'잠으로서', '잠으로써'의 표현
2020. 1. 16.
'낮잠을 잠으로서'가 맞는 표현인가요? '낮잠을 잠으로써'로 써야 하는 거 아닌가요?
'낮잠을 잠으로써'로 써야 맞습니다. '으로써'는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체언 뒤에 붙어 '어떤 일의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내는 격조사이고, '으로서'는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체언에 붙어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는 격조사입니다. 제시된 말은 맥락이 충분하지는 않지만 '낮잠을 잠'이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이 되기는 어렵고, 필요를 푸는 '수단'은 될 수 있으므로 '낮잠을 잠으로써'가 적절합니다.
0
'친구를 만나려 오다'의 표현
2020. 1. 16.
"친구를 만나려 왔어요."라는 문장은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인가요?
 의도를 나타낸다면 문법적으로 틀린 것은 아니나, 이런 맥락에서 의도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주로 '-려고'를 써 "친구를 만나려고 왔어요."로 씁니다. '-려'는 '어떤 행동을 할 의도나 욕망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로서, '일찍 떠나려 하다', '남을 해치려 들다'와 같이 주로 보조용언 앞에 쓰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본용언 앞에는 같은 기능을 하지만 분포상 별 제약이 없는 '-려고'를 써 "친구를 만나려고 왔어요."로 표현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0
'가시화하다'와 '가시화되다'의 표현
2020. 1. 16.
'~의 윤곽이 {가시화되다/가시화하다}'에서 '가시화되다'가 맞나요, '가시화하다'가 맞나요?
'~의 윤곽이 가시화하다', '~의 윤곽이 가시화되다' 모두 쓸 수 있습니다. '가시화하다'는 '어떤 현상이 실제로 드러나다. 또는 어떤 현상을 실제로 드러나게 하다.'를 뜻하는 자동사 타동사 통용어이고, '가시화되다'는 '어떤 현상이 실제로 드러나다'를 뜻하는 자동사이므로 '~의 윤곽이 가시화하다', '~의 윤곽이 가시화되다'를 모두 쓸 수 있습니다.
0
'유전하다'와 '유전되다'의 표현
2020. 1. 16.
'자식에게 {유전되다/유전하다}', '어머니가 {유전하다/유전되다}'에서 바른 표현은 무엇인가요?
'(~병이) 자식에게 {유전되다/유전하다}', '(~병을) 어머니가 유전하다'가 바른 표현입니다. '유전하다'는 '어버이의 성격, 체질, 형상 따위의 형질이 자손에게 전해지다. 또는 그렇게 되게 하다.'를 뜻하는 자동사 타동사 통용어이고, '유전되다'는 '어버이의 성격, 체질, 형상 따위의 형질이 자손에게 전해지다'를 뜻하는 자동사이므로, '(~병이) 자식에게 {유전되다/유전하다}', '(~병을) 어머니가 유전하다'는 쓸 수 있지만 '(~병을) 어머니가 유전되다'로는 쓸 수 없습니다.
0
'유산을 물려주다', '유산을 남기다'의 표현
2020. 1. 16.
'유산'은 '죽은 사람이 남겨 놓은 재산'이므로 '유산을 물려주다'는 틀리고 '유산을 남기다'가 맞는다는데, 사실인가요?
'유산을 물려주다'도 맞습니다. 알고 계신 대로 '유산'은 '죽은 사람이 남겨 놓은 재산'을 이릅니다만, '물려주다'가 '재물이나 지위 또는 기예나 학술 따위를 전하여 주다'를 뜻하고, 여기서 '전하다'는 '남기어 물려주다'의 뜻이 있으므로 '유산을 남기다'처럼 '유산을 물려주다'도 쓸 수 있는 것입니다.
0
'문제를 유발하다', '문제를 유발시키다'의 표현
2020. 1. 16.
'문제를 유발시키다'라고 쓸 수 있나요?
'문제를 유발하다'로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유발하다'가 '어떤 것이 다른 일을 일어나게 하다'를 뜻하는 타동사이므로 문제를 일어나게 한다는 뜻을 나타낼 때에는 사동의 '-시키다'를 붙일 필요 없이 '문제를 유발하다'라고 씁니다.
0
'윗분', '웃분'의 표현
2020. 1. 16.
'윗분'과 '웃분'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윗분'이 표준어입니다. 표준어규정 제12항에 따르면, '웃-/윗-'이 혼용되는 말은 명사 '위'에 맞추어 '윗-'으로 통일하되, 아래, 위의 대립이 없는 단어는 '웃-으로 발음되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습니다. 이에 따르면, '아랫분'이 없으므로 '웃분'이 표준어가 되어야 합니다만, 예외적으로 '아랫사람'과 대비되는 '윗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분'은 '사람'의 높임말)로 굳어진 '윗분'이 표준어가 되었습니다.
0
'위 영공', '위 령공'의 표기
2020. 1. 16.
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 위(衛)나라에 있었다는 '영공(靈公)'이라는 사람을 '위 영공'이라고 적어야 하나요, '위 령공'이라고 적어야 하나요?
'위 영공'이라고 적습니다. 위나라의 영공(靈公)을 뜻하므로 '위'와 '영공'은 별개의 단어로 띄어 써야 합니다. 그리고 한글맞춤법 제11항에 따르면 한자음 '려'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로 적으므로, '靈公'은 '영공'으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위 영공'으로 적는 것입니다.
0
'윗글', '위 글'의 표기
2020. 1. 16.
'위 글', 윗글' 중 어느 것이 맞는 것인가요?
'윗글'이 맞습니다. '윗글'은 '바로 위의 글'을 뜻하는 합성어로 "표준국어대사전"에 추가로 등재되었습니다.
0
'웃통', '위통'의 표현
2020. 1. 16.
'웃통'과 '위통'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몸의 허리 위 부분을 이르는 말은 '웃통', 물건의 윗부분을 이르는 말은 '위통'이 표준어입니다. 표준어규정 제12항에 따르면, '웃-/윗-'이 혼용되는 말은 명사 '위'에 맞추어 '윗-'으로 통일하되,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서는 '위-', 아래, 위의 대립이 없는 단어는 '웃-으로 발음되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습니다. 이에 따라 '아래통'과 대비되지 않는 몸의 허리 위 부분을 이르는 말은 '웃통'이 표준어이고, '아래통'에 대비해 '물건의 위의 부분'을 이르는 말은 말은 '위통'이 표준어인 것입니다.
0
'마이'의 순화어
2020. 1. 16.
'정장 상의' 또는 '조끼 위에 걸치듯 입는 옷' 정도의 의미라고 본다면 과연 '마이'라고 부르는 것이 맞는지요?
'마이'라고 부르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일본어에서 온 '마이'는 미등재어로서 '재킷'으로 다듬어졌으므로 순화된 말로 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참고로, '재킷(jacket)'은 앞이 터지고 소매가 달린 짧은 상의를 이릅니다.
0
'운항하다', '운항되다'의 표현
2020. 1. 16.
"매일 약 XX편의 항공편이 {운항하고/운항되고} 있습니다."에서 바른 표현은 무엇인가요?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운항하다'는 자동사, 타동사 병용어로서 '배나 비행기가 정해진 항로나 목적지를 오고 가다'를 뜻하거나, 타동사로서 '배나 비행기 따위를 운용하다'를 뜻하므로, 첫 번째 뜻의 자동사 쓰임에 따라 "매일 약 XX편의 항공편이 운항하고 있습니다."와 같이 쓸 수 있고, 두 번째 뜻의 타동사 쓰임으로 보아 같은 어근에 피동의 '-되다'를 붙여 "매일 약 XX편의 항공편이 운항되고 있습니다."도 쓸 수 있습니다.
0
'운을 떼다', '운을 띄우다'의 표현
2020. 1. 16.
우리가 보통 말을 시작하거나 말문을 열 때 '운을 띄우다'라고 많이 쓰지만 올바른 표현은 '운을 떼다'라고 알고 있는데, 우리가 삼행시를 지을 때 "운 좀 띄워 주세요."라고 말하는 것도 "운 좀 떼 주세요."라고 해야 하나요?
삼행시를 지을 때에도 "운 좀 떼 주세요."라고 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운을 떼다'는 본디 다른 사람이 내놓은 운에 맞추어 시를 지을 때 운을 내놓는 것을 이르던 말이, 이야기의 첫머리를 시작하는 것을 뜻하게 된 관용구입니다. 따라서 삼행시를 지을 때에도 이에 준해 '운을 떼다'라고 하는 것이 알맞습니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띄우다'를 비유적으로 확장해 '운을 띄우다'를 쓰기도 합니다.
0
'우측통행'과 '우측 보행'의 표현
2020. 1. 16.
'우측통행'이 맞나요, '우측 보행'이 맞나요?
의미를 구분해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우측 보행'은 '길의 오른쪽으로 걸음'을 뜻하고, '우측통행'은 '길을 갈 때 오른쪽으로 감'을 뜻하므로, 보행자를 기준으로 하려면 '우측 보행', 보행자는 물론 차량까지 포괄하려면 '우측통행'이 적절합니다.
0
'우유갑', '우유 팩'의 표현
2020. 1. 16.
'우유갑'과 '우유 팩' 중 어느 것이 바른 표현인가요?
단어와 구로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우유를 담아 두는 갑을 이르는 말로 '우유갑(牛乳匣)'이 올라 있고, '우유 팩'은 한 단어는 아니지만, '팩'이 '비닐 또는 종이로 만든 작은 용기'를 뜻하는 말로 '우유 팩', '비닐 팩'과 같이 쓰이므로 '우유갑', '우유 팩' 모두 쓸 수 있습니다.
0
'우리보다', '우리 보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어른이라면 {우리보다/우리 보다} 나아야 하지 않을까?"에서 무엇이 맞나요?
'우리보다'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여기서 '보다'는 서로 차이가 있는 것을 비교하는 경우, 비교의 대상이 되는 말에 붙어 '~에 비해서'의 뜻을 나타내는 격 조사입니다. 한글맞춤법 제41항에 따르면,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쓰므로 격 조사 '보다'는 앞말에 붙여 '우리보다'와 같이 씁니다.
0
'우리들'의 표현
2020. 1. 16.
'우리'와 '우리들'에서 바른 표현은 무엇인가요?
'우리'와 '우리들' 둘 다 바른 표현입니다. 국어에서는 '복수(複數)'의 뜻을 나타내는 인칭 대명사에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 '-들'을 붙여 '우리들', '너희들', '저희들'과 같이 쓰기도 하고, 접미사 없이 '우리', '너희', '저희'와 같이 쓰기도 하므로 '우리'와 '우리들'은 개념적인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0
'우리 청', '우리청'의 띄어쓰기
2020. 1. 16.
'우리 청', '우리청'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우리 청'으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순화어 자료에 '본청'이 '우리청'으로 다듬어져 있어 '우리청'으로 붙여 쓰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띄어쓰기 자료가 아니므로 띄어쓰기를 참고하기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우리 청'은 합성어가 아니고 대명사 '우리'와 명사 '청(廳)'이 이어진 구이므로 한글맞춤법 제2항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는 규정에 따라 '우리 청'으로 띄어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0
'용서받지', '용서 받지'의 띄어쓰기
2020. 1. 16.
영화 제목 '{용서받지/용서 받지} 못한 자'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용서받지 못한 자'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용서'는 '지은 죄나 잘못한 일에 대하여 꾸짖거나 벌하지 아니하고 덮어 줌'을 뜻하는 명사이고, '-받다'는 몇몇 명사 뒤에 붙어 ‘피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로서 '강요받다', '미움받다'와 같이 쓰이므로 '용서받지 못한 자'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0
'Jod'와 'iodine'의 외래어 표기
2020. 1. 16.
할로겐 원소 중 하나인 'Jod'는 오랫동안 '요오드'로 알고 사용했는데, 이제는 '아이오딘'으로 써야 한다는데, 어떤 것이 정확한 표현인가요?
독일어 '요오드(Jod)'와 영어 '아이오딘(iodine)' 모두 쓸 수 있습니다. 알고 계신 대로 오랫동안 독일어 '요오드'를 써 왔습니다만,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서 그동안 일본어식, 독일어식으로 써 온 화학 용어 434개를 국제 기준에 맞게 바꾸기로 하면서 영어 '아이오딘'도 쓰게 되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둘 다 동의어로 올라 있습니다만, 국제 기준에 맞추어 쓰고자 한다면 영어 '아이오딘'으로 쓸 것을 권해 드립니다.
0
인명 '申砬'의 표기
2020. 1. 16.
맞춤법에서 외자로 된 이름을 성에 붙여 쓸 경우에는 '신립'처럼 본음대로 쓸 수 있다고 하는데, 이 말은 원칙은 이름의 첫음절에도 두음 법칙을 적용해 '신입'처럼 적어야 한다는 것인가요?
그렇습니다. 성과 이름이 결합한 성명은 합성어인데, 한글맞춤법 제11항 [붙임 4]에 따르면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또는 'ㄹ'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법칙에 따라 적으므로 '申砬'은 이름의 첫머리에 두음법칙을 적용해 '신입'으로 적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리고 [붙임 2]에 따르면 외자로 된 이름을 성에 붙여 쓸 경우 본음대로 적을 수 있으므로 '申砬'은 '신립'으로 적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참고로, 외자로 된 이름의 첫머리를 본음대로 적을 수 있는 것은 역사적인 인물의 성명이 오랫동안 그렇게 익어져 있는 경우로 제한적입니다.
0
'외었다'와 '외웠다'의 표현
2020. 1. 16.
'외우다'의 과거형은 '외웠다'인데 '외다'의 과거형은 무엇인가요?
'외다'의 과거형은 '외었다'입니다. 표준어규정 제16항에 따르면 '머물다'(머무르다), '갖다'(가지다) 등의 일부 준말의 경우 모음 어미 활용이 제한되어 '머물었다', '갖았다'가 아니라 '머물렀다', '가지었다(가졌다)'로 쓰입니다만, 이는 모든 준말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외다'(외우다), '걷다'(거두다)'와 같은 준말은 모음 어미와 결합해 '외었다', '걷었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0
외래어의 된소리 표기
2020. 1. 16.
외래어 표기에서 된소리 표기를 하지 않는 것은, 파열음에만 해당되는 것인지, 파찰음(ㅉ), 마찰음(ㅆ)에도 해당되는 것인지요?
언어에 따라 다르지만 서구어 표기에서는 파열음뿐만 아니라 파찰음, 마찰음도 된소리 표기를 하지 않습니다. 외래어표기법 제1장 제4항에서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고만 규정하고 있는 것은, 규정을 마련할 당시에 마련된 일본어 표기법에서 마찰음 'ㅆ', 중국어 표기법에서 마찰음 'ㅆ'과 파열음 'ㅉ'을 쓰고 있었기 때문이고, 서구어 표기법에서는 파열음뿐만 아니라 마찰음과 파찰음에도 된소리를 쓰지 않습니다.
0
'버스', '가스'의 발음
2020. 1. 16.
'버스', '가스' 등의 외래어는 어떻게 발음하나요? 따로 정해진 규정이 없다면, 원음을 살려서 읽는 게 옳은가요, 표기대로 읽는 게 옳은가요?
외래어 표기법은 마련되어 있지만, 외래어 발음법은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bus', 'gas'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버스', '가스'와 같이 적어야 하지만, 그 발음에 대해서는 따로 정해진 것이 없습니다.
0
'외국어'와 '외래어'의 구분
2020. 1. 16.
'하우스'와 '다이어리'를 외래어라고 봐야 하나요, 외국어라고 봐야 하나요?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하우스'(집)는 외국어, '다이어리'는 외래어로 볼 수 있습니다. 외국어는 '다른 나라의 말'이나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아직 국어로 정착되지 않은 단어'를 뜻하고, 외래어는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국어처럼 쓰이는 단어'를 뜻하는데, 실제로 이들을 구분하는 객관적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학교에서는 대응하는 고유어나 한자어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외국어와 외래어를 구분하기도 합니다만, 적어도 국어사전에 올라 있는 말이라면 외국어로 보기는 어려울 듯합니다. 이에 따르면,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는 '다이어리(diary)'는 외래어, 올라 있지 않는 '하우스'는 외국어입니다.
0
'와닿다'와 '와 닿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와닿다', '와 닿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두 가지 모두 가능합니다. 흔히 '와닿다'는 '어떤 글이나 말, 음악 따위가 마음에 공감을 일으키게 되다'(마음에 와닿다), '어떤 사실이나 경험 따위가 실감이 되다'(피부에 와닿다)라는 뜻으로 쓰이는데, 이때에는 합성어이므로 붙여 씁니다. 그러나 '친구가 너무 가까이 와 닿을 지경이다.'와 같은 문장에서는 '와서 닿다'라는 뜻이므로 띄어서 쓰는 것이 맞습니다.
0
'와', '과'의 쓰임
2020. 1. 16.
공문서 작성 중 중 '와'가 맞나요, '과'가 맞나요?
와 같이 '과'가 맞습니다. 격조사 '과/와'는 받침으로 끝난 말 뒤에서는 '과', 모음으로 끝난 말 뒤에서는 '와'가 쓰이므로, '2010년도 교육훈련계획' 뒤에는 '과'로 붙여 씁니다. 참고로, '~과 관련입니다.'는 다소 어색한 표현이므로 '~과 관련된 문서입니다.'로 고쳐 쓰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0
'오므로'와 '옴으로'의 표현
2020. 1. 16.
"철수가 내게 {옴으로/오므로} 기분이 좋았다."에서 무엇이 맞나요?
"철수가 내게 오므로 기분이 좋았다."가 맞습니다. 여기서 '-므로'는 '까닭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이므로, 철수가 내게 오는 까닭에 기분이 좋았다는 뜻으로 "철수가 내게 오므로 기분이 좋았다."라고 씁니다. '으로써'는 주로 ‘-ㅁ/-음’ 뒤에 붙어 어떤 일의 이유를 나타내는 격 조사로서 "그가 우스갯소리를 툭툭 던짐으로써 분위기가 풀렸다."와 같이 용언의 명사형 뒤에서 쓰이지만, '으로'는 '어떤 일의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격 조사로 '병으로 죽다'와 같이 쓰이므로 제시된 맥락에는 맞지 않습니다.
0
'올는지', '올른지', '올런지'의 표기
2020. 1. 16.
'그런 세상은 언제나 {올는지/올른지/올런지}'에서 알맞은 표기는 무엇인가요?
'그런 세상은 언제나 올는지'가 맞습니다. 하게할 자리나 해할 자리에 두루 쓰여, 앎이나 판단ㆍ추측 등의 대상이 되는 명사절에서 어떤 불확실한 사실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는 '-ㄹ는지'입니다. '-ㄹ른지'는 형태를 밝히지 않고 소리대로 적은 표기이고 '올런지'는 모음 발음을 착각하고 소리대로 적은 표기라 적절하지 않습니다.
0
'올 듯하다'의 구조
2020. 1. 16.
'비가 올 듯하다'에서 '올'의 '-ㄹ'이 관형사형 전성 어미잖아요. 근데 '올'이 '듯하다'라는 보조 형용사를 수식할 수 있나요?
'비가 올 듯하다'의 '올'은 관형어가 아닙니다. 이 문장에서 '올 듯하다'는 본용언과 보조 용언 구성으로 서술어로 쓰인 것입니다.
0
용언의 명사형 뒤의 마침표
2020. 1. 16.
마침표는 종결 어미 다음에 찍는데, 명사형 어미로 끝날 때도 찍나요?
용언의 명사형으로 끝나는 문장에도 마침표를 찍을 수 있습니다. 개정된 '문장부호'(2015)의 마침표의 [붙임 2]에 따르면, 서술성이 있는 용언의 명사형이나 명사로 끝나는 문장 뒤에는 마침표를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도 허용하므로, 용언의 명사형 뒤에 마침표를 찍을 수도 있고 찍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0
'온라인상', '온라인 상'의 띄어쓰기
2020. 1. 16.
'온라인상에서', '온라인 상에서'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온라인상에서'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여기서 '-상'은 ‘추상적인 공간에서의 한 위치’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서 '인터넷상', '전설상'과 같이 앞말과 붙여 쓰므로, '온라인상에서'도 붙여 씁니다.
0
'온댔어' 표기
2020. 1. 16.
"오늘 장에 사람이 온댔어."의 '온댔어'가 맞는 표기인가요?
"오늘 장에 사람이 온댔어."는 맞는 표기입니다. '-ㄴ대'가 '-ㄴ다고 해'가 줄어든 말로 올라 있는 것에 준한다면, '온댔어'는 '오다'의 어간 '오-'에 '-ㄴ다고 했어'가 결합하여 된 '온다고 했어'가 줄어든 말로 쓸 수 있습니다.
0
'그린 듯한', '그린 듯 한'의 띄어쓰기
2020. 1. 16.
'그린 {듯한/듯 한}' 중 어느 것이 맞나요 ?
'그린 듯한'과 같이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습니다. 여기서 '듯하다'는 용언의 관형사형 뒤에 쓰여 '앞말이 뜻하는 사건이나 상태 따위를 짐작하거나 추측함을 나타내는 보조 용언입니다. 참고로,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보조 용언 '듯하다'는 본용언과 띄어 적는 것이 원칙이지만 '그린듯한'과 같이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0
'온 힘', '온힘'의 띄어쓰기
2020. 1. 16.
'온 힘', '온힘'의 바른 띄어쓰기는?
'온 힘'으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여기서 '온'은 '전부의. 또는 모두의'를 뜻하는 관형사로서 뒤에 오는 '힘'을 꾸미는 구조이므로 '온 힘'으로 띄어 씁니다. 참고로 '꽉 찬 한 달'을 뜻하는 '온달', '동물을 가르거나 쪼개지 아니한 통짜'를 뜻하는 '온마리'에 쓰인 접사 '온-'은 '꽉 찬', '완전한'의 뜻을 나타내는 접두사로 뒤에 오는 말과 붙여 씁니다.
0
'오월'과 '5월'의 표기
2020. 1. 16.
'5월'이 맞나요, '오월'이 맞나요?
'5월', '오월'을 모두 쓸 수 있습니다. '오월'은 '한 해 열두 달 가운데 다섯째 달'을 이르는 명사로 올라 있고, 가독성을 위해 한글 '오'를 숫자 '5'로 적을 수도 있습니다.
0
'-렵니까', '-겠습니까'의 표현
2020. 1. 16.
예전에 어떤 개그맨이 "하시렵니까?"와 같은 말을 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 말이 문법상으로 정확하게 맞는 말인지요? "하시겠습니까?"로 써야 하는 거 아닌가요?
"하시렵니까?", "하시겠습니까?"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렵니까'는 하십시오할 자리에 쓰여, '상대편이 장차 어떤 행위를 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를 묻는' 종결 어미이므로 "하시렵니까?"로 쓸 수 있고, '-겠-'은 주체의 의지를 나타내고 '-ㅂ니까'는 하십시오할 자리에 쓰여,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이므로 상대의 의지를 묻는 말로 "하시겠습니까?"도 쓸 수 있습니다.
0
'omelet'의 외래어 표기
2020. 1. 16.
'omelet'은 외래어 표기 용례에서 '오믈렛'으로 적던데, 발음에 따른다면 '아믈릿', '오믈릿'이라고 표기하는 것이 맞지 않나요?
'omelet'은 이미 굳어진 표기 관행을 존중하여 '오믈렛'으로 적습니다. '오믈렛'은 본디 프랑스 음식으로 프랑스어 'omelette'[ɔmlεt]에서 비롯된 말이므로 그 발음이 굳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0
'오르다'의 반의어
2020. 1. 16.
'오르다'의 반의어는 항상 '내리다'인가요? 예를 들어 '저녁상에 갈비가 올랐다'에서 '올랐다'의 반의어도 '내렸다'가 되나요?
'오르다'의 반의어는 항상 '내리다'는 아닙니다. '오르다'의 뜻 가운데 '탈것에 타다'와 '몸 따위에 살이 많아지다'만 '내리다'의 '쪘거나 부었던 살이 빠지다'와 '탈것에서 밖이나 땅으로 옮아가다'와 반의 관계에 있고, "저녁상에 갈비가 올랐다."의 '오르다'는 '식탁, 도마 따위에 놓이다'의 뜻으로 반의어가 없습니다.
0
'오래 뒤'와 '오랜 뒤'의 표현
2020. 1. 16.
"그 친구와는 오래전부터 알고 지내던 사이다."에서 '오래전'은 자연스럽게 들리는데, "그 일이 있은 지 오래 뒤에 그가 나타났다."의 '오래 뒤'는 왜 어색할까요?
'오래전'은 '상당한 시간이 지나간 과거'를 뜻하는 명사로서 '부터'가 붙어 '알고 지내던'을 수식하는 것이 자연스럽지만, '오래 뒤'는 '시간이 지나가는 동안이 길게'를 뜻하는 부사 '오래'가 '뒤'를 수식하는 구로서, 의미적으로 '어떤 일이 있었던 때로부터 지금까지의 동안'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 '지'와 어울리지 않으므로 어색합니다. 의존 명사 '지' 뒤에는 '때의 지나간 동안이 길다'를 뜻하는 '오래다'가 어울리므로 '오랜 뒤'로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0
'오뎅'의 순화어
2020. 1. 16.
'오뎅'의 순화된 말로 '어묵'도 가능한가요?
일본어 '오뎅(おでん)'은 '꼬치(안주)'로 순화되었습니다. 다만, '어묵'의 뜻으로 '오뎅'을 쓰는 경우라면, "표준국어대사전"에 우리나라에 들여와 쓰이던 '오뎅'을 '어묵'의 비표준어로 처리하고 있으므로, '어묵'으로 쓰는 것이 바른 표현입니다.
0
'오지게'의 표현
2020. 1. 16.
대화를 할 때, 가끔 '오지게'라는 표현을 쓰는데요. 이 말은 '오달지다', '올지다'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표준어 '오지다'가 맞나요?
'오지게'는 '오지다'의 활용형으로 표준어가 맞습니다. '오지다'는 '오달지다', '올지다'의 동의어로서 '허술한 데가 없이 알차다'의 뜻으로 "고추가 오지게 맵다.", "오늘도 오지게 더울 모양이다."와 같이 쓰입니다.
0
'오늘 만나요', '오늘에 만나요'의 표현
2020. 1. 16.
'월요일에 만나요'는 되는데, 왜 '오늘에 만나요'는 안 되나요?
'오늘'이 명사와 부사를 겸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이 명사이기도 하므로 "오늘에 만나요."가 문법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부사도 겸하는 단어라 현실적으로 부사어로 쓰일 경우에는 '오늘에'로는 잘 쓰이지 않고 부사 '오늘'이 주로 쓰입니다.
0
'오는가 보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오는가 보다', '오는가보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오는가 보다'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본용언과 보조 용언은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되지만, 붙여 쓰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는 ‘-어/-아’ 뒤나 용언의 관형사형 뒤에 연결되는 보조 용언으로 제한되므로 종결어미 '-ㄴ가' 뒤에 오는 보조 용언 '보다'는 붙여 쓸 수가 없습니다.
0
'오누이'의 의미
2020. 1. 16.
오누이는 '오빠와 여동생'만을 가리키나요?
아닙니다. '오누이'는 '오라비'와 '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인에, 여기서 '오라비'는 여자의 남자 형제를 두루 이르고 '누이'는 남자의 여자 형제를 이르므로, '오누이'는 '오빠와 여동생'은 물론 '누나와 남동생'까지 두루 이릅니다.
0
'오시오'와 '먹어요'의 차이
2020. 1. 16.
'어서 오시오', '먹어요'처럼 '-오'와 '요'가 서술로 쓰이는 경우 그 차이는 무엇인가요?
'어서 오시오'의 '-오'는 하오체 종결어미이고 '먹어요'의 '-어요'는 해요체 종결어미입니다. 하오체 종결어미 '-오'는 격식체 높임법의 예사높임으로 현대어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반면, 해요체 종결어미 '-어요'는 비격식체인 해체 종결어미 '-어'에 두루높임의 보조사 '요'가 결합한 말로, 비격식체 높임법의 두루높임으로 현대어에서 많이 쓰입니다.
0
'예의 바르다', '예의바르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예의 바르다', '예의바르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예의 바르다'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예의 바르다'는 합성어가 아니므로 한글맞춤법 제2항에 따라 각 단어별로 띄어 '예의 바르다'와 같이 씁니다.
0
'예뻤으려고'와 '예뻤을라고'의 표현
2020. 1. 16.
"영희가 예전에는 정말 예뻤었지."라는 말에 대해 "설마 걔가 {예뻤을라고/예뻤으려고}."라고 했다면 둘 중 어느 표현이 맞는 것인가요?
"설마 걔가 예뻤을라고.", "설마 걔가 예뻤으려고." 둘 다 맞습니다. '-을라고'는 ‘그럴 가능성은 별로 없다’는 부정적인 의심(가벼운 물음)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 "그 사람이 설마 혼자 갔을라고."와 같이 쓰이고, '-으려고'는 '어떤 주어진 사태에 대하여 의심이나 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 "설마 그 많은 것을 다 먹으려고?"와 같이 쓰이는데, 비슷한 뜻이라 질문하신 대화의 상황에서 둘 다 쓸 수 있겠습니다.
0
'예뻐 죽겠어', '예뻐죽겠어'의 띄어쓰기
2020. 1. 16.
'예뻐 죽겠어', '예뻐죽겠어'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예뻐 죽겠어', '예뻐죽겠어' 모두 바릅니다. '-어 죽다'의 '죽다'는 앞말이 의미하는 정도가 매우 심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보조 용언인데,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어/-아' 뒤 보조 용언은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되므로 '예뻐 죽겠어'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예뻐죽겠어'로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0
'영자 신문', '영어 신문'의 표현
2020. 1. 16.
'영자 신문', '영어 신문'이란 말을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 둘 중 어느 말이 맞나요.
개념적으로 '영자 신문', '영어 신문' 둘 다 맞습니다. 신문이 영자로 인쇄되어 있으니 '영자 신문', 기사가 영어로 쓰여 있으니 '영어 신문'이라고 하는 것인데, 현실 언어를 반영한 "우리말샘"에 '영자 신문'만 올라 있을 정도로 현실적으로는 '영자 신문'을 주로 씁니다.
0
이름 뒤 접미사 '-이'의 형태소 종류
2020. 1. 16.
'영숙이가 학교에 가다'에서 사람 이름 뒤에 붙은 '-이'가 접사인 건 알겠는데, 의존 형태소, 형식 형태소인가요?
이름 뒤 접미사 '-이'는 의존 형태소이고 형식 형태소입니다. '영숙이가'의 '-이'는 접미사로서 다른 말에 붙여 쓰므로 의존 형태소이고, 소리를 고르는 접미사라 실질적인 뜻이 없으므로 형식 형태소인 것입니다.
0
'영계'의 어원
2020. 1. 16.
'영계백숙'이란 단어에서 '영'은 영어 'young'에서 유래된 것인가요?
'영계(-鷄)'는 한자어 '연계(軟鷄)'에서 온 말입니다. '연계(軟鷄)'에서 '연'이 '영'으로 변해 굳어진 말입니다.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 '연계(軟鷄)'도 '영계'의 원말로 올라 있습니다.
0
'열의가 높다'의 표현
2020. 1. 16.
'열의가 높다'라고 많이 하던데 '열의가 있다'라고 해야 맞지 않나요?
'열의가 높다'도 쓸 수 있습니다. '열의'는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하여 온갖 정성을 다하는 마음'을 뜻하고, '높다'는 '기세 따위가 힘차고 대단한 상태에 있다'를 뜻하므로 그러한 마음의 기세 따위가 힘차고 대단한 상태에 있다는 뜻으로 '열의가 높다'라고 쓸 수 있습니다.
0
'열심히'의 표준 발음
2020. 1. 16.
'열심히'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열심히'의 표준 발음은 [열씸히]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6항에 따르면,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연결되는 'ㅅ'은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열심히'의 '열심'은 [열씸]으로 발음하고, 제12항에 따르면 'ㅎ' 탈락 환경이 아니므로 [열씸히]로 발음합니다.
0
날짜 뒤 마침표의 표기
2020. 1. 16.
'2010. 4. 5(월)', '2010. 4. 5.(월)' 중 어느 것이 맞나요?
'2010. 4. 5.(월)'이 맞습니다. 연월일의 마침표는 각각 '년', '월', '일'의 표기를 대신하는 것이므로 '년', '월', '일'을 쓸 자리에 각각 마침표를 써서 '2010. 4. 5. (월)'과 같이 적습니다.
0
'연수', '년수'의 바른 표기
2020. 1. 16.
'개수'와 같이 '年數'를 표기해야 하는데, '연수'로 표기하나요, '년수'로 표기하나요?
'年數'는 '연수'로 표기합니다. '연수(年數)'는 '해의 수'를 뜻하는 명사로 '근무 연수', '재직 연수'와 같이 쓰입니다. 수 뒤의 '年'은 의존 명사로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아 '삼 년', '2019년'과 같이 쓰이지만, '해의 수'를 뜻하는 '年數'는 '年'이 더 이상 의존 명사가 아니므로 두음법칙이 적용되어 '연수'로 적는 것입니다.
0
'역량껏'의 표현
2020. 1. 16.
"할 수 있는 역량껏 최선을 다해 노력해야 한다."에서의 '역량껏'의 쓰임이 맞는지요?
'역량껏'은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는 힘'을 뜻하는 '역량(力量)' 뒤에, '그것이 닿는 데까지'의 뜻을 더하고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 '-껏'을 붙여 '역량껏'으로 쓸 수 있습니다. 다만, 제시된 문장에서 '역량껏'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와 의미적으로 겹치는 측면이 있으므로 "역량껏 노력해야 한다."나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 노력해야 한다."와 같이 표현하는 것이 간결합니다.
0
'여직원', '남직원'의 표현
2020. 1. 16.
"표준국어대사전"에 오르지 않은 '여직원', '남직원'이라는 표현을 쓸 수 있나요?
'여직원', '남직원'은 쓸 수 있는 말입니다. '여-(女)'는 일부 명사 앞에 붙어 ‘여자’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서 '여동생', '여배우'와 같이 쓰이고, '남-(男)'은 일부 명사 앞에 붙어 ‘남자’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서 '남학생', '남동생'과 같이 쓰이므로 '여직원', '남직원'도 쓸 수 있습니다. 참고로, 현실 언어를 반영한 "우리말샘"에는 '여직원', '남직원' 모두 한 단어로 올라 있습니다.
0
'있는지(의) 여부'의 표현
2020. 1. 16.
"그가 글을 쓸 수 {있는지의/있는지} 여부를 알려 주십시오."라는 표현에서 어느 것이 옳은 표현인가요?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제시하신 문장에서 '그가 글을 쓸 수 있는지'는 의문 명사절로 뒤에 오는 '여부'를 꾸며 주므로 체언이 체언을 수식하는 경우에 준해 관형격 조사를 넣을 수도,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그가 글을 쓸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려 주십시오.", "그가 글을 쓸 수 있는지 여부를 알려 주십시오." 모두 쓸 수 있습니다.
0
'여러 가지', '여러가지'의 띄어쓰기
2020. 1. 16.
'여러 가지', '여러가지'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여러 가지'로 띄어 씁니다. '여러 가지'는 합성어가 아니므로 한글맞춤법 제2항에 따라 각 단어를 띄어서 '여러 가지'와 같이 적습니다.
0
'여기'의 품사
2020. 1. 16.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여기에 물건을 놓아라."의 '여기'는 지시대명사, "물건을 여기 놓아라."의 '여기'는 지시부사라는데, "여기 그 사람을 두고 왔다.", "그 사람을 여기 두고 왔다."의 '여기'는 품사가 무엇인가요?
품사는 견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만,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여기'를 대명사로만 봅니다. 이에 따르면 "여기에 물건을 놓아라.", "물건을 여기 놓아라.", "여기 그 사람을 두고 왔다.", "그 사람을 여기 두고 왔다."에서 '여기'의 품사는 모두 대명사입니다. 다만, "물건을 여기 놓아라.", "여기 그 사람을 두고 왔다.", "그 사람을 여기 두고 왔다."의 '여기'는 부사어이므로 뒤에 '처소'의 부사격 조사가 붙어야 하지만 앞 체언의 의미만으로 뒤에 붙는 '처소'의 부사격 조사 '에'가 쉽게 예측되어 생략되기도 하는데, 이를 아예 지시부사로 보는 견해도 있는 듯합니다.
0
'여봐란듯이', '여 보란 듯이'의 표현
2020. 1. 16.
'여보란듯이'라는 말을 자주 쓰는데 사전을 검색해도 나오지가 않아 '여 보란 듯이'로 써야 할 것 같아요. 그런데 여기서 '여'는 무슨 뜻인가요?
‘여 보란 듯이’의 ‘여’는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 '여기'의 비표준어이므로, '우쭐대고 자랑하듯이'를 뜻하는 부사 ‘여봐란듯이’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0
'-더니'의 쓰임
2020. 1. 16.
'갔더니'는 자연스러운데 '예뻤더니'라는 말은 왜 어색할까요?
동사로 표현되는 행동은 완료가 될 수 있으나 형용사로 표현되는 상태는 완료가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더니'는 과거의 사태나 행동에 뒤이어 일어난 상황을 이어 주는 연결어미이므로 '-더니' 앞에 오는 절은 과거의 사태나 행동을 나타냅니다. 그런데 동사는 행동을 나타내므로 '-았-/-었-'이 붙어 과거 시점을 기준으로 이미 행동이 끝났거나 그런 상태가 지속되는 사실을 나타내지만, 형용사는 상태를 나타내므로 완료가 될 수 없어 '-았-/-었-'이 붙는 것이 어색한 것입니다.
0
 '만들었다고 하나 봐'의 준말
2020. 1. 16.
'만들었다나 봐', '만들었대나 봐' 어떤 게 맞나요?
'만들었다나 봐'가 맞습니다. '만들었다나'는 '만들었다고 하나'에서 '-고 하-'가 줄어든 말이고, 여기서 '-나'는 주로 ‘-나 하다’, ‘-나 싶다’, ‘-나 보다’ 구성으로 쓰여 해할 자리나 혼잣말에 쓰여, '물음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이므로 '만들었다나 봐'로 적습니다. 참고로, '봐'는 동사나 형용사, ‘이다’ 뒤에서 ‘-은가/-는가/-나 보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상태를 추측하거나 어렴풋이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보조 형용사 '보다'의 활용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