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l
stringlengths
57
59
category
stringclasses
6 values
title
stringlengths
17
53
content
stringlengths
435
3.66k
impact_duration
stringclasses
3 values
prompt_type
stringclasses
10 values
prompt
stringlengths
1.6k
21.8k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541
기업·거버넌스
[우리 회사 ESG] ④미래에셋증권 , ESG 리딩 증권사로 '우뚝'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medium
5-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하나은행은 일반적인 은행들과 다른 역사를 가진 금융사다. 하나은행은 1971년 한국투자금융으로부터 시작됐다. 순수 민간자본으로 만들어진 금융기관인 한국투자금융은 1991년 은행업 인가를 받은 후 하나은행으로 다시 태어났다.  하나은행은 실질적으로 한국투자금융에서 시작됐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 충청은행과 보람은행, 서울은행까지 잇따라 M&A에 성공하면서 규모를 키웠다. 이렇게 주력인 은행 규모가 커지자 증권과 생명보험, 캐피탈, 카드사업 등의 비은행부문 계열사들을 확대해 나가며 하나금융그룹으로 발돋움했다. 지속적으로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진행해 온 하나금융그룹은 2000년대부터 해외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종합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이후 2015년 외환은행과 통합 출범하면서 하나은행은 국내 4대 은행 대열에 올라섰다. 현재는 더케이손보를 인수하면서 손보업까지도 아우르는 대형 그룹이 됐다. 하나금융그룹, 미래 성장 전략은 ESG 경영 강화 “주주의 이익과 손님, 사회, 구성원의 성장이 생존 전략”이라는 하나금융그룹 김정태 회장의 철학에 따라, 그룹의 향후 전략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강화'로 모아졌다. 하나금융그룹의 미래를 ESG경영으로 완성시켜 나가겠다는 포부다. 이를 위해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플랫폼과 글로벌, ESG를 3대 성장 전략으로 내세웠다. 그간 그룹이 성장 전략으로 고집해 왔던 글로벌과 디지털이 ESG로 한 순간에 변화된 것은 다소 획기적인 변화로 평가된다. 최근에는 '그룹 ESG 경영 TFT(팀 태스크포스)' 설치해 중장기 ESG 전략을 수립했다. 최고경영진이 비재무적 ESG 관련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조직과 프로그램을 개편하고, 그룹사 별로 전담 조직을 지정해 핵심성과지표인 KPI에 ESG 항목을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했다. 현재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ESG 과제는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를 위한 환경경영 시스템 도입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도입 ▲지속가능 친환경 금융상품 분류체계 정비 ▲TCFD(기후변화, 재무정보 공개 태스크포스) 가이드라인 도입 등이다. 앞서 하나은행은 지난해 연말 ‘NEXT 2030, Big Step’ 전략 추진을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ESG 전담 부서를 신설했다. 고객 우선 경영 지원을 위해 기존에 기획‧예산을 담당하던 경영기획그룹과 인사‧업무지원을 담당하는 경영지원그룹을 통합해 ‘경영기획&지원그룹’을 신설했고, 그룹 내에 전담부서인 'ESG기획 섹션‘을 신설했다. 사회적 금융 역할 수행에 더욱 집중한다는 것이 목표다. 환경경영 최우선 과제로 우선은 글로벌 과제로 떠오른 환경경영을 앞세웠다. ‘2050 탄소중립’ 정책을 반영하고, 탄소 배출량을 최소화 시킨다는 것이 중장기적인 목표다. 하나금융지주와 하나은행은 2018년부터 환경 경영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최근 간접적 온실가스배출인 스코프(scope)3 배출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TCFD(기후재무정보공개) 가이드라인을 반영해 비재무 정보 공개 영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을 세웠다. 또 지속가능한 친환경 금융상품도 여러 가지로 선보였다. ‘에너지이용합리화자금 대출’ ‘환경개선지원자금 대출’과 태양광사업 지원 상품인 ‘하나솔라론’이 그것이다. 또 바이오매스·수력·연료전지·태양광·풍력 등에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기업에 대한 여신 기준에도 친환경적인 지표에 중점을 뒀다. 하나은행은 ▲인간의 건강, 안전 또는 환경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것으로 확인된 상품을 제조, 유통하거나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와 ▲탄소나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기업에는 여신을 제한하는 내부 기준을 세웠다.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온실가스 저감, 탄소중립 등의 친환경 경영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지속가능한 가치 실현 위한 사회·지배구조 전략 기업활동 전 영역에 ESG 철학을 도입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하나은행은 업무 체계의 중심을 부서에서 팀(Unit) 중심으로 전환해 의사결정 구조를 ‘팀 리더-임원-CEO’로 간소화하는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수직적인 조직이 아닌 수평 조직으로서, 더욱 빠른 의사 결정과 다양한 아이디어 활용, 높은 효율성 등을 위해서다. 기존에는 부서장이 가지고 있던 전결권도 팀 리더에게로 넘어갔다. 사회·지배구조 전략에 있어서도 글로벌 스탠다드화를 추구하고 있다. UN SDGs(지속가능발전목표)를 연계, UNEP FI의 책임은행 원칙을 실천함으로 글로벌 원칙 및 가치를 반영하고 있으며, 일자리 창출, 미래인재양성, 웰빙문화 조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핵심 경영원칙 중 하나로 윤리·준법 경영을 내세웠다. 지난 2016년 새로운 윤리강령인 코드원(Code One)을 선포한 이후 2017년 12월 '인권선언문'을 제정·시행한 바 있다. 2019년에는 금융권 최초로 준법 및 부패방지 경영시스템(ISO19600 & ISO37001) 국제 표준 인증을 동시에 획득했다. 라임·옵티머스 펀드 관련 제재심 주목 ESG 측면에서 넘어야할 과제도 많다. 대표적으로 하나은행은 현재 라임·옵티머스 사태의 영향으로 금감원의 제재심을 받고 있다. 또 헤리티지(독일)·디스커버리·헬스케어(이탈리아) 펀드의 환매 중단 사태에 대해서도 분쟁조정위와 제재심을 거쳐야 하는 등 최근 판매한 펀드들에서 잇달아 말썽을 일으키고 있다.  라임 펀드 사태는 지난 2019년 국내 최대 헤지펀드인 라임자산운용이 모펀드 4개, 자펀드 173개(총 1조 6679억원)에 대해 환매중단을 선언하면서 폰지사기, 수익률 조작, 불완전판매 등의 불법행위에 연루됐다는 의혹으로 당시 큰 파장을 불러왔다. 하나은행도 871억원의 라임 펀드를 판매해 금감원의 제재를 앞두고 있다. 옵티머스 펀드 사태는 지난해 옵티머스자산운용이 NH투자증권 등 증권사 등의 판매사를 통해 투자자 2900여명으로부터 안정적인 정부채권에 투자한다며 1조 2000억원을 유치한 뒤, 실제로는 부실기업 채권에 투자했다가 5500억원을 날려 환매중단 사태를 일으킨 사건이다. 여기에도 하나은행이 수탁사로 참여했다가 금감원의 제재심에 올라있다.   금융권은 하나은행이 분쟁조정위원회의 결정을 받아들여 제재감경 절차를 밟을 것인지 주목하고 있다. 아울러 이번 사태의 처리 향방이 하나은행의 ESG 드라이브 전략에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ESG(환경·사회·지배구조) 인증평가를 받은 펀드가 국내에 처음으로 나왔다. 이에 따라 무늬만 ESG일뿐 알맹이는 기존 펀드와 다름없는 ‘그린 워싱(green washing.위장환경주의)’이 수그러들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기업평가는 ‘베스타스 유럽물류전문투자형 사모 부동산투자신탁 제73호(베스타스 부동산 73호)’에 대해 인증평가를 실시하면서 녹색수익증권 최고 등급인 ‘G1’을 부여했다고 12일 밝혔다. 베스타스 부동산 73호는 자금 모집 후 투자가 실시되는 3000억원 규모의 블라인드펀드로 유럽 14개국 소재 친환경 물류센터에 투자할 예정이다. 한기평은 이 펀드의 투자 방향이 국제자본시장협회(ICMA)와 환경부의 녹색채권 기준에 부합한 것으로 진단했다. 수익증권이 신용평가회사의 ESG 인증을 따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ESG인증 펀드의 등장은 전 세계적으로 ‘그린 워싱’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진 가운데 이루져 주목되고 있다.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를 앞세운 ESG가 기업을 평가하는 새로운 잣대로 떠오르면서 무늬만 ESG를 표방한 사례가 급증한 탓이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ESG를 표방한다고 해 사보니 삼성전자ㆍ하이닉스 등 전통 대형우량주로 채워져 기존 펀드들과 차별성이 없고, 수익도 제대로 못 내고 있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ESG 펀드가 일반 주식형 펀드와 별 차이가 없는 건 벤치마크 때문이다. 기존의 ESG펀드는 코스피 지수를 비교지수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공인된 ESG 지수가 없기 때문이다. ESG를 포함한 국내 SRI(사회책임투자) 펀드는 최근 1년 새 38개에서 51개로 급증했지만 진짜 ESG펀드를 구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이렇게 코스피를 비교지수로 삼을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보니 시장 수익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려고 ESG와 별 상관이 없는 대형 우량주를 담고 있다. 운용업계 관계자들은 “ESG 평가에 대한 정립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투자상품을 만들어내다 보니 수익률을 낼 수 있는 대표주들에 치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ESG 인증평가가 자리잡으면 ‘그린워싱’의 흐름에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 ESG 인증평가가 투자 지표로 활용되기 시작하면 펀드 운용사도 코스피 위주의 벤치마크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코스피를 추종하는 운용 전략은 펀드 조달 자금의 사용처인 투자 종목이 ESG 가이드라인과 무관할 경우 후한 점수를 따기 어려울 수 밖에 없다. 다만 ESG 인증평가기관들이 ESG워싱을 가려낼 만큼 충분한 전문적 역량을 갖추는 게 관건이다. 국내 인증평가기관들은 ESG 전문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ESG인증평가도 마케팅을 위한 수단에 불과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KT(대표 구현모)는 1981년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출범해 2009년 이동통신 자회사인 KTF 합병 후 이동통신, 인터넷, 유선전화 등의 통신사업과 미디어/콘텐츠, 금융, 부동산, 기업 솔루션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는 국내 최대 종합 통신사업자로 성장했다. 2019년 KT는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 했고, 전국 85개 시로 커버리지를 확대하면서 5G 가입자 수를 일반 무선전화 가입자의 약 10% 수준인 141만 명까지 늘리는 저력을 과시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지능형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AI, VR/AR, 블록체인, 커넥티드 카 등 미래 융합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사업화하기 위해 현재도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중이다. KT가 밝힌 비전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임직원 수만 2만3천명에 이르며, 영업수익은 24조가 넘는다. 통신업계 최초 지속가능경영위원회 설립 KT의 핵심 비전은 꾸준히 ‘고객 중심’, ‘주인정신’, ‘소통과 협업’, ‘본질과 과정’이었다. 이는 현재 기업들의 숙제로 떠오른 ESG 경영과 거의 일치한다. 실제 ESG 경영의 선두기업이라고 해도 과장이 없다. KT는 2016년 4월, 국내 통신업계 최초로 이사회 내에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립했으며, 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전담실행 조직인 지속가능경영단을 운영하고 있다. 또 국제 지속가능성 보고 가이드라인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 100-400 기준을 중심으로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의 IR 프레임워크 방법론을 참조하여 매년 지속가능경영 주요 이슈를 선정하고 경영에 반영하고 있다. 또 중대성 평가를 통해 선정된 30개 지속가능성 이슈 전체를 통합보고서를 통해 보고하고 있으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경영 활동에 반영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KT 사업에 미치는 영향력 및 이해관계자 영향력 관점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상위 이슈들에 대해 대내외 경영 환경과 KT의 대응 전략, 장기 목표에 대해서는 별도로 공개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KT는 올해 “고객의 삶의 변화와 다른 산업의 혁신을 리딩하여 대한민국 발전에 기여한다”라는 새로운 비전을 수립하였으며, 새로운 비전 아래 더욱 신뢰받는 기업이 되기 위해 다양한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AI 기술을 활용해 목소리를 복원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정부의 디지털 포용 정책에 발맞추어 국내 최초의 프로보노 활동인 IT서포터즈를 AI서포터즈로 탈바꿈한 것등도 이에 속한다. 특히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구호물품 및 통신장비를 지원하고, 119 대원들에게 ‘사랑의 밥차’를 제공하는 한편,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사랑의 도시락’ 지원 활동을 펼치며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활동도 꾸준히 진행 중이다. 또한, 케냐·가나·라오스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중 보건 개선에 기여해온 KT의 ‘감염병 확산방지 플랫폼(GEPP)’은 이제 ‘스마트 검역시스템’으로 질병관리본부가 도입하여, 코로나19 확산에 맞서 대한민국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지속가능경제 분야 선한 영향력 KT는 매년 전사 협업을 통한 에너지 절감을 실시하여 친환경 분야에서도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에서 3년 연속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또한 KT는 주요 경영 현황과 중장기 전략, 경제적 수익성, 사회적 책임성, 환경적 건전성을 통합적으로 보고하기 위해, 2006년부터 매년 연차보고서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합한 ‘통합보고서(Integrated Report)’를 발간하고 있다. KT 통합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영보고 지침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G4 가이드라인의 포괄적 부합 기준을 준수하며,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의 통합보고 프레임워크를 반영하여 발간된다. 올해는 1200억원 규모의 3년·5년 만기 ESG 채권을 발행할 계획도 밝혔다. ESG 채권 중 친환경 사업을 위한 녹색채권과 사회가치 창출 사업을 위한 사회적채권의 혼합형 채권인 ‘지속가능채권’으로, 인터넷 데이터센터(IDC) 에너지 효율 관련 투자와 녹색 건축 등급을 인증 받은 부동산 개발 사업, 중소∙벤처기업 지원이 목적이다. 또 국제무대에서 지속가능한 5G 네트워크 전력 절감 기술도 제안했다. KT는 국제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 3GPP가 주최하는 5G-어드밴스드 워크숍에서 차기 5G 기술의 명칭을 ‘5G-Advanced’(5G-어드밴스드)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AI 소비전력 제어 효율화 기술 △클라우드 활용 자원관리 기술 업링크 성능 및 실내 커버리지 개선 등 '5G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진화방향' △ B2B 특화 non-eMBB 등을 소개했다. 이러한 기술은 LTE보다 소비전력이 매우 많은 5G 네트워크 시설의 전력 소비량을 대폭 줄여 탄소배출량을 절감하고 통신산업의 ESG 경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배구조 분야 평가도 호평 일색이다. 지난해 기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주관 ESG 평가에서 지배구조 부문 및 ESG 종합 등급 A+를 획득했다. 환경부문에서는 A, 사회부문 A 등급을 획득했다. 10기가 인터넷 속도 논란, 수면 위로 최근에는 한 유명 IT 유튜버의 발언으로 인해, KT 지속가능경영 전략에 손실이 생겼다. 유튜버의 발언에서 촉발된 KT의 10Gbps(초당 기가비트) 인터넷 속도 저하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고, 그 여파가 통신업계 전체로 퍼졌다. 국회는 지난 22일 소관 상임위 전체회의를 열고 소관 부처에 면밀한 실태조사와 실질적인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 3사 전수조사를 약속했다. 이로 인해 KT는 우선적인 조사 대상이 됐고, 이어 SK브로드밴드와 LG유플러스도 전수조사가 시행될 전망이다. 김현 방통위 부위원장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현장 상황을 검토하고, 법적 문제가 발견될 경우 제대로 대처해 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하나금융그룹(회장 김정태)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하는 ‘2021년 ESG평가’에서 4년 연속 종합 A등급을 획득했다. 근로자, 소비자 보호 활동, 지역사회 환원 등을 평가하는 S(사회)분야에서 A+ 등급을 받았고, 지배구조(G)와 환경(E) 분야에서는 모두 A등급을 받았다. ESG 경영 차원 석탄금융 퇴출 하나금융그룹은 ‘Big Step for Tomorrow’라는 ESG 비전을 목표로 ESG경영 실천에 나섰다. 비전에 따라 중장기 추진 목표 '2030&60'과 'ZERO&ZERO'를 수립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첫 번째 ESG 중장기 목표 '2030&60'은 오는 2030년까지 향후 10년간 환경·지속가능 부문에 대한 총 60조원 ESG 금융 조달과 공급을 목표로 한다. ESG 채권 발행 25조원, ESG 여신 25조원, ESG 투자 10조원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회 문제 해결과 친환경 사업에 광범위한 ESG 금융지원을 추진한다. 또 2050년까지 그룹 사업장 탄소배출량 'ZERO'와 석탄 프로젝트금융 'ZERO'를 이행하기 위한 'ZERO&ZERO'를 전략적 목표로 추진한다. 향후 30년 동안 그룹 모든 관계사가 참여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석탄 프로젝트금융(석탄PF) 잔액을 'ZERO'로 감소시킬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3월 탄소중립 및 탈석탄 선언을 통해 저탄소경제로의 전환을 선포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올해 적도원칙 가입을 목표로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체계(Environmental and Social Risk Management)를 구축하고 하나금융그룹 자체 지속가능금융 프레임워크를 제정하고 7월 발표를 완료했다. 3월 탈석탄을 선언한 이래 국내외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채권 인수 등의 사업은 전면 중단했다. ESG본부 신설, 친환경 산업 도우미 자처 하나금융투자는 그룹차원의 ESG 경영전략에 따라, 구체적인 실천과제와 이행방안을 수립하고 실천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대표이사 직속으로 ESG 정책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본부를 신설하고 예하 조직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과 지속 가능 경영 계획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기획팀을 꾸렸다. ESG 관련 투자와 상품·서비스 확대 등을 통해 지속 가능 경영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자산군에 대한 운용역량을 갖춘 조직을 기반으로 배출권 운용 전담 부서를 구성, 국내 ESG 시장에서 저변을 확대하고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주도적으로 시작한다. 또 국내 친환경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풍력, 수소연료전지,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시장 확대를 위한 투자 및 자본 유치 기회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여 여수, 동두천, 창녕, 곡성 등 4개 사업장을 가진 국내 최대 폐기물 처리장 개발사업에 투자한데 이어 폐수처리업체 지분인수, 바이오매스 열병합발전 및 폐기물처리사업자 투자 등 친환경 산업에 대한 투자도 확대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전남 태양광 발전 개발 사업 대출, 연료전지업체 및 풍력발전설비업체 투자 등 친환경에너지 산업 투자를 수행 중이며, 스페인과 호주, 일본의 태양광 발전시설 지분인수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신재생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수주 실적을 쌓으며 ESG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적잖은 구설수, 투자자 신뢰는 ’빨간불' 한편, 하나금융투자가 해결해야 할 치부도 아직은 곳곳에서 노출되고 있다.  검찰은 최근 이진국 전 하나금융투자 대표의 주식 선행매매 의혹과 관련해 압수수색에 나섰다. 올해 1월 금융감독원이 이 전 대표의 선행매매 혐의를 포착하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바 있다. 당시 금감원은 2017~2019년까지 3년 간 하나금투 운용 담당 직원이 관리한 이 전 대표 명의 증권계좌에서 미공개 내부 정보를 이용한 것으로 의심되는 거래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스닥 상장사 관련 하나금투의 기업분석 보고서가 시중에 배포되기 전 해당 주식을 사들인 정황 등이 포착된 것이다. 자본시장법 제54조(직무관련 정보의 이용 금지)에 따르면 금융투자회사 임직원은 직무상 알게 된 정보나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정보를 정당한 사유 없이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해 이용해서는 안 된다. 이를 위반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다. 금감원 특별사법경찰(특사경)이 주도하는 이번 수사는 2019년 1000억원의 투자자 피해가 예상되는 파생결합상품(DLS)의 '발행사'로 지목된 데 이어, 불공정·선행매매 혐의로 촉발됐다. 리서치센터 소속 한 연구원이 보고서가 외부에 발표되기 전 미리 주식을 매수하는 방식으로 불공정한 차익을 올렸다는 혐의로 압수수색을 받았다. 하나금융투자는 2019년에도 영국-미국CMS(Constant Maturity Swap;일명 파운드 파생)금리를 활용한 DLS와 관련, 리스크관리본부의 검토를 받지 않은 장외파생상품 사모 거래의 경우, 신규 상품이 아니면 리스크관리본부의 사후 합의로 거래가 가능하다는 '내부 규정'을 활용한 것으로 드러나 구설수에 오른 바 있다. 또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계열사 임·직원의 잇단 성희롱 관련 논란으로 몸살을 앓기도 했다. 장경훈 하나카드 사장이 공식 회의 자리에서 여성혐오적 표현 및 폭언으로 물의를 빚은 데 이어, 하나은행 한 지점장은 여성 대출 고객에게 술자리를 강요해 논란이 불거졌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홈쇼핑 업계의 중소 거래기업에 대한 '갑질병'이 또 불거졌다. 약자에 대해 우월적인 지위를 휘두르는 전형적인 '납품 갑질'  행태는 홈쇼핑업계의 고질적인 병폐다.  6일 공정위에 따르면 GS숍, 롯데홈쇼핑, NS홈쇼핑 등 TV홈쇼핑업체 전부를 망라한 7개 업체는 대규모 유통업법을 위반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1억 4600만원을 부과받았다. 해당 업체는 GS SHOP과 롯데홈쇼핑·NS홈쇼핑·CJ온스타일·현대홈쇼핑·홈앤쇼핑·공영쇼핑이다. 과징금은 GS샵이 10억20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롯데홈쇼핑(6억4000만원), NS홈쇼핑(6억원), CJ온스타일(5억9000만원), 현대홈쇼핑(5억8000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 대상으로만 운영하는 홈앤쇼핑과 공영쇼핑도 2억원 이상 과징금이 부과됐다. 이들 업체는 납품업자로부터 30%에 달하는 수수료를 받으면서도 판촉행사나 방송에 필요한 사은품 비용 등을 추가로 전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위 조사결과 홈쇼핑 업체들은 방송에 필요한 방송게스트나 시연모델, 방청객을 동원하는데 드는 비용까지 납품업체에 떠넘겼다. 또 납품업자에게 서면 계약서를 일부러 늦게 주거나 상품판매대금을 제 때 맞춰 결제하지 않는 등의 ‘갑질’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GS샵은 정당한 사유 없이 직매입 재고 상품을 납품업자에 반품한 사실도 드러났다. CJ온스타일 등 4개 홈쇼핑사는 납품업체에 거래 품목, 수수료 등 거래조건이 명시된 계약서를 주지 않거나 늦게 교부했다. 현대홈쇼핑은 직매입 상품에 대한 양품화(반품을 재수선후 판매) 작업을 납품업자에게 위탁하고 작업비용을 지급하지 않았다. ‘납품 갑질’로 2015년에도 역대급 과징금 홈쇼핑 업체들은 납품업체들에 대한 '갑질'로 빈번하게 제재를 받고 있으나 그 폐해를 근절하지 못하고 있다. 중소 납품업체에 대한 불공정 거래 강요나 비용 떠넘기기, 과도한 PPL, 대기업 상품 위주의 방송 편성 등의 문제는 국정감사 단골메뉴다. 홈쇼핑업계는 2014년에는 공정거래 관련법을 가장 많이 위반한 유통업체 상위 10개에 전체 홈쇼핑 업체 6개가 모두 이름을 올렸다. 당시에 문제가 된 홈쇼핑 채널은 GS홈쇼핑(GS샵), CJ오쇼핑, 현대홈쇼핑, 롯데홈쇼핑, NS홈쇼핑, 홈앤쇼핑 등이다. 이번에 적발된 홈쇼핑 업체 가운데 6곳은 2015년에도 역시 갑질로 제재를 받았다. 지난 2015년 공정위는 TV홈쇼핑들의 이른바 '갑질'행위를 광범위하게 적발해 GS SHOP 등 6개 홈쇼핑 업체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모두 143억원이 넘는 역대급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이 역시 현대홈쇼핑, GS홈쇼핑, 롯데홈쇼핑, CJ오쇼핑, 홈앤쇼핑, NS홈쇼핑 등이다. 또 지난해 초에는 온라인쇼핑 사업자인 ㈜신세계와 ㈜우리홈쇼핑(채널명 롯데홈쇼핑)이 소비자가 제품 포장을 개봉하면 반품이 불가하다고 고지하는 등 소비자의 청약철회를 방해한 행위에 대해서 시정조치를 받았다. 홈쇼핑업계의 납품업자 등의 갑질 피해에 대해서는 올해 초 서면 조사도 진행된 바 있다. 공정위는 3월 '2020년 유통분야 서면실태조사' 결과를 발표, TV홈쇼핑에서의 갑질 피해가 상대적으로 많다고 지적했다. 당시 조사에서도 상품판매대금 미·지연 지급, 상품 반품, 판촉비 전가, 배타적거래 요구, 판매장려금(경제적 이익) 제공 요구, 불이익 제공 등 항목에서 거래 행태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방통위 홈쇼핑채널 재심사 실효성 의문 한편, 홈쇼핑 업체들은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5년마다 재승인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런 '납품 갑질'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업체들이 무사통과하고 있어 심사의 실효성에 의문이 일고 있다. 올해 방통위 재심사를 받은 롯데홈쇼핑과 홈앤쇼핑은 당초 법적 제재 등 감점 요인이 많아 탈락 예상도 있었으나 무난히 5년간 사업 승인을 받아냈다.  방통위의 주요 심사항목을 살펴보면 ▲방송평가위원회 방송평가 결과(100점) ▲공정거래 관행 정착 및 중소기업 활성화 기여 실적 및 계획의 우수성(260점) ▲방송의 공적책임 및 사회문화적 필요성과 타당성(120점) ▲시청자 ·소비자 권익보호 실적 및 계획 (100점) 등이다. 총 1000점 만점으로 65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특히 공정거래 관행 정착 및 중소기업 활성화 배점이 260점으로 매우 높은데도 불구하고 '납품 갑질'을 방치하고 있는 것은 관계 당국의 직무유기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홈쇼핑업계 'ESG 경영' 평가는 ‘우수’ 이런 반복된 갑질은  최근 홈쇼핑업계에서 강조하고 있는 ESG 경영과 상반돼 눈총을 받고 있다. 7월 GS홈쇼핑과 합병한 GS 리테일은 지난 6월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표했으며,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1년도 ESG 평가에서 전년도에 비해 한 단계 상향된 'A'를 받았다. GS홈쇼핑은 KCGS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 및 등급 공표’ 결과에서 우수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 또 현대홈쇼핑은 KCGS ESG 평가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통합 A등급을 받았으며, 글로벌 ESG 경영평가 지표로 알려진 ‘SDGBI(UN지속가능개발목표경영지수)’ 2021 리스트에도 2년 연속 선정됐다. NS쇼핑 역시 KCGS ESG 평가에서는 통합 A등급을 받았다. 롯데쇼핑은 KCGS 평가 통합 A등급에 사회부문 A+ 등급을 받았다. 롯데쇼핑의 경우에는 최근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한 ‘2021년 대한민국 지속가능성 대회’에서 2년 연속 홈쇼핑 부문 우수기업 1위를 수상했다. CJ오쇼핑도 '착한 손잡이' 배송 박스를 도입했고, 홈앤쇼핑은 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한 프로젝트 ‘지구를 지켜줘’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 ESG 경영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홈쇼핑업계가 ESG경영의 진정성을 인정받으려면 납품 갑질부터 스스로 근절해야 할 것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541
기업·거버넌스
[우리 회사 ESG] ④미래에셋증권 , ESG 리딩 증권사로 '우뚝'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medium
5-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홈쇼핑 업계의 중소 거래기업에 대한 '갑질병'이 또 불거졌다. 약자에 대해 우월적인 지위를 휘두르는 전형적인 '납품 갑질'  행태는 홈쇼핑업계의 고질적인 병폐다.  6일 공정위에 따르면 GS숍, 롯데홈쇼핑, NS홈쇼핑 등 TV홈쇼핑업체 전부를 망라한 7개 업체는 대규모 유통업법을 위반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1억 4600만원을 부과받았다. 해당 업체는 GS SHOP과 롯데홈쇼핑·NS홈쇼핑·CJ온스타일·현대홈쇼핑·홈앤쇼핑·공영쇼핑이다. 과징금은 GS샵이 10억20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롯데홈쇼핑(6억4000만원), NS홈쇼핑(6억원), CJ온스타일(5억9000만원), 현대홈쇼핑(5억8000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 대상으로만 운영하는 홈앤쇼핑과 공영쇼핑도 2억원 이상 과징금이 부과됐다. 이들 업체는 납품업자로부터 30%에 달하는 수수료를 받으면서도 판촉행사나 방송에 필요한 사은품 비용 등을 추가로 전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위 조사결과 홈쇼핑 업체들은 방송에 필요한 방송게스트나 시연모델, 방청객을 동원하는데 드는 비용까지 납품업체에 떠넘겼다. 또 납품업자에게 서면 계약서를 일부러 늦게 주거나 상품판매대금을 제 때 맞춰 결제하지 않는 등의 ‘갑질’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GS샵은 정당한 사유 없이 직매입 재고 상품을 납품업자에 반품한 사실도 드러났다. CJ온스타일 등 4개 홈쇼핑사는 납품업체에 거래 품목, 수수료 등 거래조건이 명시된 계약서를 주지 않거나 늦게 교부했다. 현대홈쇼핑은 직매입 상품에 대한 양품화(반품을 재수선후 판매) 작업을 납품업자에게 위탁하고 작업비용을 지급하지 않았다. ‘납품 갑질’로 2015년에도 역대급 과징금 홈쇼핑 업체들은 납품업체들에 대한 '갑질'로 빈번하게 제재를 받고 있으나 그 폐해를 근절하지 못하고 있다. 중소 납품업체에 대한 불공정 거래 강요나 비용 떠넘기기, 과도한 PPL, 대기업 상품 위주의 방송 편성 등의 문제는 국정감사 단골메뉴다. 홈쇼핑업계는 2014년에는 공정거래 관련법을 가장 많이 위반한 유통업체 상위 10개에 전체 홈쇼핑 업체 6개가 모두 이름을 올렸다. 당시에 문제가 된 홈쇼핑 채널은 GS홈쇼핑(GS샵), CJ오쇼핑, 현대홈쇼핑, 롯데홈쇼핑, NS홈쇼핑, 홈앤쇼핑 등이다. 이번에 적발된 홈쇼핑 업체 가운데 6곳은 2015년에도 역시 갑질로 제재를 받았다. 지난 2015년 공정위는 TV홈쇼핑들의 이른바 '갑질'행위를 광범위하게 적발해 GS SHOP 등 6개 홈쇼핑 업체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모두 143억원이 넘는 역대급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이 역시 현대홈쇼핑, GS홈쇼핑, 롯데홈쇼핑, CJ오쇼핑, 홈앤쇼핑, NS홈쇼핑 등이다. 또 지난해 초에는 온라인쇼핑 사업자인 ㈜신세계와 ㈜우리홈쇼핑(채널명 롯데홈쇼핑)이 소비자가 제품 포장을 개봉하면 반품이 불가하다고 고지하는 등 소비자의 청약철회를 방해한 행위에 대해서 시정조치를 받았다. 홈쇼핑업계의 납품업자 등의 갑질 피해에 대해서는 올해 초 서면 조사도 진행된 바 있다. 공정위는 3월 '2020년 유통분야 서면실태조사' 결과를 발표, TV홈쇼핑에서의 갑질 피해가 상대적으로 많다고 지적했다. 당시 조사에서도 상품판매대금 미·지연 지급, 상품 반품, 판촉비 전가, 배타적거래 요구, 판매장려금(경제적 이익) 제공 요구, 불이익 제공 등 항목에서 거래 행태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방통위 홈쇼핑채널 재심사 실효성 의문 한편, 홈쇼핑 업체들은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5년마다 재승인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런 '납품 갑질'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업체들이 무사통과하고 있어 심사의 실효성에 의문이 일고 있다. 올해 방통위 재심사를 받은 롯데홈쇼핑과 홈앤쇼핑은 당초 법적 제재 등 감점 요인이 많아 탈락 예상도 있었으나 무난히 5년간 사업 승인을 받아냈다.  방통위의 주요 심사항목을 살펴보면 ▲방송평가위원회 방송평가 결과(100점) ▲공정거래 관행 정착 및 중소기업 활성화 기여 실적 및 계획의 우수성(260점) ▲방송의 공적책임 및 사회문화적 필요성과 타당성(120점) ▲시청자 ·소비자 권익보호 실적 및 계획 (100점) 등이다. 총 1000점 만점으로 65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특히 공정거래 관행 정착 및 중소기업 활성화 배점이 260점으로 매우 높은데도 불구하고 '납품 갑질'을 방치하고 있는 것은 관계 당국의 직무유기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홈쇼핑업계 'ESG 경영' 평가는 ‘우수’ 이런 반복된 갑질은  최근 홈쇼핑업계에서 강조하고 있는 ESG 경영과 상반돼 눈총을 받고 있다. 7월 GS홈쇼핑과 합병한 GS 리테일은 지난 6월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표했으며,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1년도 ESG 평가에서 전년도에 비해 한 단계 상향된 'A'를 받았다. GS홈쇼핑은 KCGS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 및 등급 공표’ 결과에서 우수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 또 현대홈쇼핑은 KCGS ESG 평가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통합 A등급을 받았으며, 글로벌 ESG 경영평가 지표로 알려진 ‘SDGBI(UN지속가능개발목표경영지수)’ 2021 리스트에도 2년 연속 선정됐다. NS쇼핑 역시 KCGS ESG 평가에서는 통합 A등급을 받았다. 롯데쇼핑은 KCGS 평가 통합 A등급에 사회부문 A+ 등급을 받았다. 롯데쇼핑의 경우에는 최근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한 ‘2021년 대한민국 지속가능성 대회’에서 2년 연속 홈쇼핑 부문 우수기업 1위를 수상했다. CJ오쇼핑도 '착한 손잡이' 배송 박스를 도입했고, 홈앤쇼핑은 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한 프로젝트 ‘지구를 지켜줘’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 ESG 경영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홈쇼핑업계가 ESG경영의 진정성을 인정받으려면 납품 갑질부터 스스로 근절해야 할 것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하나금융그룹(회장 김정태)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하는 ‘2021년 ESG평가’에서 4년 연속 종합 A등급을 획득했다. 근로자, 소비자 보호 활동, 지역사회 환원 등을 평가하는 S(사회)분야에서 A+ 등급을 받았고, 지배구조(G)와 환경(E) 분야에서는 모두 A등급을 받았다. ESG 경영 차원 석탄금융 퇴출 하나금융그룹은 ‘Big Step for Tomorrow’라는 ESG 비전을 목표로 ESG경영 실천에 나섰다. 비전에 따라 중장기 추진 목표 '2030&60'과 'ZERO&ZERO'를 수립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첫 번째 ESG 중장기 목표 '2030&60'은 오는 2030년까지 향후 10년간 환경·지속가능 부문에 대한 총 60조원 ESG 금융 조달과 공급을 목표로 한다. ESG 채권 발행 25조원, ESG 여신 25조원, ESG 투자 10조원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회 문제 해결과 친환경 사업에 광범위한 ESG 금융지원을 추진한다. 또 2050년까지 그룹 사업장 탄소배출량 'ZERO'와 석탄 프로젝트금융 'ZERO'를 이행하기 위한 'ZERO&ZERO'를 전략적 목표로 추진한다. 향후 30년 동안 그룹 모든 관계사가 참여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석탄 프로젝트금융(석탄PF) 잔액을 'ZERO'로 감소시킬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3월 탄소중립 및 탈석탄 선언을 통해 저탄소경제로의 전환을 선포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올해 적도원칙 가입을 목표로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체계(Environmental and Social Risk Management)를 구축하고 하나금융그룹 자체 지속가능금융 프레임워크를 제정하고 7월 발표를 완료했다. 3월 탈석탄을 선언한 이래 국내외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채권 인수 등의 사업은 전면 중단했다. ESG본부 신설, 친환경 산업 도우미 자처 하나금융투자는 그룹차원의 ESG 경영전략에 따라, 구체적인 실천과제와 이행방안을 수립하고 실천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대표이사 직속으로 ESG 정책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본부를 신설하고 예하 조직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과 지속 가능 경영 계획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기획팀을 꾸렸다. ESG 관련 투자와 상품·서비스 확대 등을 통해 지속 가능 경영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자산군에 대한 운용역량을 갖춘 조직을 기반으로 배출권 운용 전담 부서를 구성, 국내 ESG 시장에서 저변을 확대하고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주도적으로 시작한다. 또 국내 친환경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풍력, 수소연료전지,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시장 확대를 위한 투자 및 자본 유치 기회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여 여수, 동두천, 창녕, 곡성 등 4개 사업장을 가진 국내 최대 폐기물 처리장 개발사업에 투자한데 이어 폐수처리업체 지분인수, 바이오매스 열병합발전 및 폐기물처리사업자 투자 등 친환경 산업에 대한 투자도 확대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전남 태양광 발전 개발 사업 대출, 연료전지업체 및 풍력발전설비업체 투자 등 친환경에너지 산업 투자를 수행 중이며, 스페인과 호주, 일본의 태양광 발전시설 지분인수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신재생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수주 실적을 쌓으며 ESG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적잖은 구설수, 투자자 신뢰는 ’빨간불' 한편, 하나금융투자가 해결해야 할 치부도 아직은 곳곳에서 노출되고 있다.  검찰은 최근 이진국 전 하나금융투자 대표의 주식 선행매매 의혹과 관련해 압수수색에 나섰다. 올해 1월 금융감독원이 이 전 대표의 선행매매 혐의를 포착하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바 있다. 당시 금감원은 2017~2019년까지 3년 간 하나금투 운용 담당 직원이 관리한 이 전 대표 명의 증권계좌에서 미공개 내부 정보를 이용한 것으로 의심되는 거래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스닥 상장사 관련 하나금투의 기업분석 보고서가 시중에 배포되기 전 해당 주식을 사들인 정황 등이 포착된 것이다. 자본시장법 제54조(직무관련 정보의 이용 금지)에 따르면 금융투자회사 임직원은 직무상 알게 된 정보나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정보를 정당한 사유 없이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해 이용해서는 안 된다. 이를 위반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다. 금감원 특별사법경찰(특사경)이 주도하는 이번 수사는 2019년 1000억원의 투자자 피해가 예상되는 파생결합상품(DLS)의 '발행사'로 지목된 데 이어, 불공정·선행매매 혐의로 촉발됐다. 리서치센터 소속 한 연구원이 보고서가 외부에 발표되기 전 미리 주식을 매수하는 방식으로 불공정한 차익을 올렸다는 혐의로 압수수색을 받았다. 하나금융투자는 2019년에도 영국-미국CMS(Constant Maturity Swap;일명 파운드 파생)금리를 활용한 DLS와 관련, 리스크관리본부의 검토를 받지 않은 장외파생상품 사모 거래의 경우, 신규 상품이 아니면 리스크관리본부의 사후 합의로 거래가 가능하다는 '내부 규정'을 활용한 것으로 드러나 구설수에 오른 바 있다. 또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계열사 임·직원의 잇단 성희롱 관련 논란으로 몸살을 앓기도 했다. 장경훈 하나카드 사장이 공식 회의 자리에서 여성혐오적 표현 및 폭언으로 물의를 빚은 데 이어, 하나은행 한 지점장은 여성 대출 고객에게 술자리를 강요해 논란이 불거졌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KT(대표 구현모)는 1981년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출범해 2009년 이동통신 자회사인 KTF 합병 후 이동통신, 인터넷, 유선전화 등의 통신사업과 미디어/콘텐츠, 금융, 부동산, 기업 솔루션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는 국내 최대 종합 통신사업자로 성장했다. 2019년 KT는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 했고, 전국 85개 시로 커버리지를 확대하면서 5G 가입자 수를 일반 무선전화 가입자의 약 10% 수준인 141만 명까지 늘리는 저력을 과시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지능형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AI, VR/AR, 블록체인, 커넥티드 카 등 미래 융합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사업화하기 위해 현재도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중이다. KT가 밝힌 비전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임직원 수만 2만3천명에 이르며, 영업수익은 24조가 넘는다. 통신업계 최초 지속가능경영위원회 설립 KT의 핵심 비전은 꾸준히 ‘고객 중심’, ‘주인정신’, ‘소통과 협업’, ‘본질과 과정’이었다. 이는 현재 기업들의 숙제로 떠오른 ESG 경영과 거의 일치한다. 실제 ESG 경영의 선두기업이라고 해도 과장이 없다. KT는 2016년 4월, 국내 통신업계 최초로 이사회 내에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립했으며, 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전담실행 조직인 지속가능경영단을 운영하고 있다. 또 국제 지속가능성 보고 가이드라인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 100-400 기준을 중심으로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의 IR 프레임워크 방법론을 참조하여 매년 지속가능경영 주요 이슈를 선정하고 경영에 반영하고 있다. 또 중대성 평가를 통해 선정된 30개 지속가능성 이슈 전체를 통합보고서를 통해 보고하고 있으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경영 활동에 반영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KT 사업에 미치는 영향력 및 이해관계자 영향력 관점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상위 이슈들에 대해 대내외 경영 환경과 KT의 대응 전략, 장기 목표에 대해서는 별도로 공개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KT는 올해 “고객의 삶의 변화와 다른 산업의 혁신을 리딩하여 대한민국 발전에 기여한다”라는 새로운 비전을 수립하였으며, 새로운 비전 아래 더욱 신뢰받는 기업이 되기 위해 다양한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AI 기술을 활용해 목소리를 복원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정부의 디지털 포용 정책에 발맞추어 국내 최초의 프로보노 활동인 IT서포터즈를 AI서포터즈로 탈바꿈한 것등도 이에 속한다. 특히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구호물품 및 통신장비를 지원하고, 119 대원들에게 ‘사랑의 밥차’를 제공하는 한편,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사랑의 도시락’ 지원 활동을 펼치며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활동도 꾸준히 진행 중이다. 또한, 케냐·가나·라오스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중 보건 개선에 기여해온 KT의 ‘감염병 확산방지 플랫폼(GEPP)’은 이제 ‘스마트 검역시스템’으로 질병관리본부가 도입하여, 코로나19 확산에 맞서 대한민국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지속가능경제 분야 선한 영향력 KT는 매년 전사 협업을 통한 에너지 절감을 실시하여 친환경 분야에서도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에서 3년 연속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또한 KT는 주요 경영 현황과 중장기 전략, 경제적 수익성, 사회적 책임성, 환경적 건전성을 통합적으로 보고하기 위해, 2006년부터 매년 연차보고서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합한 ‘통합보고서(Integrated Report)’를 발간하고 있다. KT 통합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영보고 지침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G4 가이드라인의 포괄적 부합 기준을 준수하며,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의 통합보고 프레임워크를 반영하여 발간된다. 올해는 1200억원 규모의 3년·5년 만기 ESG 채권을 발행할 계획도 밝혔다. ESG 채권 중 친환경 사업을 위한 녹색채권과 사회가치 창출 사업을 위한 사회적채권의 혼합형 채권인 ‘지속가능채권’으로, 인터넷 데이터센터(IDC) 에너지 효율 관련 투자와 녹색 건축 등급을 인증 받은 부동산 개발 사업, 중소∙벤처기업 지원이 목적이다. 또 국제무대에서 지속가능한 5G 네트워크 전력 절감 기술도 제안했다. KT는 국제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 3GPP가 주최하는 5G-어드밴스드 워크숍에서 차기 5G 기술의 명칭을 ‘5G-Advanced’(5G-어드밴스드)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AI 소비전력 제어 효율화 기술 △클라우드 활용 자원관리 기술 업링크 성능 및 실내 커버리지 개선 등 '5G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진화방향' △ B2B 특화 non-eMBB 등을 소개했다. 이러한 기술은 LTE보다 소비전력이 매우 많은 5G 네트워크 시설의 전력 소비량을 대폭 줄여 탄소배출량을 절감하고 통신산업의 ESG 경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배구조 분야 평가도 호평 일색이다. 지난해 기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주관 ESG 평가에서 지배구조 부문 및 ESG 종합 등급 A+를 획득했다. 환경부문에서는 A, 사회부문 A 등급을 획득했다. 10기가 인터넷 속도 논란, 수면 위로 최근에는 한 유명 IT 유튜버의 발언으로 인해, KT 지속가능경영 전략에 손실이 생겼다. 유튜버의 발언에서 촉발된 KT의 10Gbps(초당 기가비트) 인터넷 속도 저하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고, 그 여파가 통신업계 전체로 퍼졌다. 국회는 지난 22일 소관 상임위 전체회의를 열고 소관 부처에 면밀한 실태조사와 실질적인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 3사 전수조사를 약속했다. 이로 인해 KT는 우선적인 조사 대상이 됐고, 이어 SK브로드밴드와 LG유플러스도 전수조사가 시행될 전망이다. 김현 방통위 부위원장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현장 상황을 검토하고, 법적 문제가 발견될 경우 제대로 대처해 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ESG(환경·사회·지배구조) 인증평가를 받은 펀드가 국내에 처음으로 나왔다. 이에 따라 무늬만 ESG일뿐 알맹이는 기존 펀드와 다름없는 ‘그린 워싱(green washing.위장환경주의)’이 수그러들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기업평가는 ‘베스타스 유럽물류전문투자형 사모 부동산투자신탁 제73호(베스타스 부동산 73호)’에 대해 인증평가를 실시하면서 녹색수익증권 최고 등급인 ‘G1’을 부여했다고 12일 밝혔다. 베스타스 부동산 73호는 자금 모집 후 투자가 실시되는 3000억원 규모의 블라인드펀드로 유럽 14개국 소재 친환경 물류센터에 투자할 예정이다. 한기평은 이 펀드의 투자 방향이 국제자본시장협회(ICMA)와 환경부의 녹색채권 기준에 부합한 것으로 진단했다. 수익증권이 신용평가회사의 ESG 인증을 따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ESG인증 펀드의 등장은 전 세계적으로 ‘그린 워싱’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진 가운데 이루져 주목되고 있다.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를 앞세운 ESG가 기업을 평가하는 새로운 잣대로 떠오르면서 무늬만 ESG를 표방한 사례가 급증한 탓이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ESG를 표방한다고 해 사보니 삼성전자ㆍ하이닉스 등 전통 대형우량주로 채워져 기존 펀드들과 차별성이 없고, 수익도 제대로 못 내고 있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ESG 펀드가 일반 주식형 펀드와 별 차이가 없는 건 벤치마크 때문이다. 기존의 ESG펀드는 코스피 지수를 비교지수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공인된 ESG 지수가 없기 때문이다. ESG를 포함한 국내 SRI(사회책임투자) 펀드는 최근 1년 새 38개에서 51개로 급증했지만 진짜 ESG펀드를 구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이렇게 코스피를 비교지수로 삼을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보니 시장 수익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려고 ESG와 별 상관이 없는 대형 우량주를 담고 있다. 운용업계 관계자들은 “ESG 평가에 대한 정립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투자상품을 만들어내다 보니 수익률을 낼 수 있는 대표주들에 치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ESG 인증평가가 자리잡으면 ‘그린워싱’의 흐름에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 ESG 인증평가가 투자 지표로 활용되기 시작하면 펀드 운용사도 코스피 위주의 벤치마크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코스피를 추종하는 운용 전략은 펀드 조달 자금의 사용처인 투자 종목이 ESG 가이드라인과 무관할 경우 후한 점수를 따기 어려울 수 밖에 없다. 다만 ESG 인증평가기관들이 ESG워싱을 가려낼 만큼 충분한 전문적 역량을 갖추는 게 관건이다. 국내 인증평가기관들은 ESG 전문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ESG인증평가도 마케팅을 위한 수단에 불과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하나은행은 일반적인 은행들과 다른 역사를 가진 금융사다. 하나은행은 1971년 한국투자금융으로부터 시작됐다. 순수 민간자본으로 만들어진 금융기관인 한국투자금융은 1991년 은행업 인가를 받은 후 하나은행으로 다시 태어났다.  하나은행은 실질적으로 한국투자금융에서 시작됐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 충청은행과 보람은행, 서울은행까지 잇따라 M&A에 성공하면서 규모를 키웠다. 이렇게 주력인 은행 규모가 커지자 증권과 생명보험, 캐피탈, 카드사업 등의 비은행부문 계열사들을 확대해 나가며 하나금융그룹으로 발돋움했다. 지속적으로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진행해 온 하나금융그룹은 2000년대부터 해외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종합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이후 2015년 외환은행과 통합 출범하면서 하나은행은 국내 4대 은행 대열에 올라섰다. 현재는 더케이손보를 인수하면서 손보업까지도 아우르는 대형 그룹이 됐다. 하나금융그룹, 미래 성장 전략은 ESG 경영 강화 “주주의 이익과 손님, 사회, 구성원의 성장이 생존 전략”이라는 하나금융그룹 김정태 회장의 철학에 따라, 그룹의 향후 전략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강화'로 모아졌다. 하나금융그룹의 미래를 ESG경영으로 완성시켜 나가겠다는 포부다. 이를 위해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플랫폼과 글로벌, ESG를 3대 성장 전략으로 내세웠다. 그간 그룹이 성장 전략으로 고집해 왔던 글로벌과 디지털이 ESG로 한 순간에 변화된 것은 다소 획기적인 변화로 평가된다. 최근에는 '그룹 ESG 경영 TFT(팀 태스크포스)' 설치해 중장기 ESG 전략을 수립했다. 최고경영진이 비재무적 ESG 관련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조직과 프로그램을 개편하고, 그룹사 별로 전담 조직을 지정해 핵심성과지표인 KPI에 ESG 항목을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했다. 현재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ESG 과제는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를 위한 환경경영 시스템 도입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도입 ▲지속가능 친환경 금융상품 분류체계 정비 ▲TCFD(기후변화, 재무정보 공개 태스크포스) 가이드라인 도입 등이다. 앞서 하나은행은 지난해 연말 ‘NEXT 2030, Big Step’ 전략 추진을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ESG 전담 부서를 신설했다. 고객 우선 경영 지원을 위해 기존에 기획‧예산을 담당하던 경영기획그룹과 인사‧업무지원을 담당하는 경영지원그룹을 통합해 ‘경영기획&지원그룹’을 신설했고, 그룹 내에 전담부서인 'ESG기획 섹션‘을 신설했다. 사회적 금융 역할 수행에 더욱 집중한다는 것이 목표다. 환경경영 최우선 과제로 우선은 글로벌 과제로 떠오른 환경경영을 앞세웠다. ‘2050 탄소중립’ 정책을 반영하고, 탄소 배출량을 최소화 시킨다는 것이 중장기적인 목표다. 하나금융지주와 하나은행은 2018년부터 환경 경영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최근 간접적 온실가스배출인 스코프(scope)3 배출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TCFD(기후재무정보공개) 가이드라인을 반영해 비재무 정보 공개 영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을 세웠다. 또 지속가능한 친환경 금융상품도 여러 가지로 선보였다. ‘에너지이용합리화자금 대출’ ‘환경개선지원자금 대출’과 태양광사업 지원 상품인 ‘하나솔라론’이 그것이다. 또 바이오매스·수력·연료전지·태양광·풍력 등에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기업에 대한 여신 기준에도 친환경적인 지표에 중점을 뒀다. 하나은행은 ▲인간의 건강, 안전 또는 환경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것으로 확인된 상품을 제조, 유통하거나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와 ▲탄소나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기업에는 여신을 제한하는 내부 기준을 세웠다.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온실가스 저감, 탄소중립 등의 친환경 경영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지속가능한 가치 실현 위한 사회·지배구조 전략 기업활동 전 영역에 ESG 철학을 도입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하나은행은 업무 체계의 중심을 부서에서 팀(Unit) 중심으로 전환해 의사결정 구조를 ‘팀 리더-임원-CEO’로 간소화하는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수직적인 조직이 아닌 수평 조직으로서, 더욱 빠른 의사 결정과 다양한 아이디어 활용, 높은 효율성 등을 위해서다. 기존에는 부서장이 가지고 있던 전결권도 팀 리더에게로 넘어갔다. 사회·지배구조 전략에 있어서도 글로벌 스탠다드화를 추구하고 있다. UN SDGs(지속가능발전목표)를 연계, UNEP FI의 책임은행 원칙을 실천함으로 글로벌 원칙 및 가치를 반영하고 있으며, 일자리 창출, 미래인재양성, 웰빙문화 조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핵심 경영원칙 중 하나로 윤리·준법 경영을 내세웠다. 지난 2016년 새로운 윤리강령인 코드원(Code One)을 선포한 이후 2017년 12월 '인권선언문'을 제정·시행한 바 있다. 2019년에는 금융권 최초로 준법 및 부패방지 경영시스템(ISO19600 & ISO37001) 국제 표준 인증을 동시에 획득했다. 라임·옵티머스 펀드 관련 제재심 주목 ESG 측면에서 넘어야할 과제도 많다. 대표적으로 하나은행은 현재 라임·옵티머스 사태의 영향으로 금감원의 제재심을 받고 있다. 또 헤리티지(독일)·디스커버리·헬스케어(이탈리아) 펀드의 환매 중단 사태에 대해서도 분쟁조정위와 제재심을 거쳐야 하는 등 최근 판매한 펀드들에서 잇달아 말썽을 일으키고 있다.  라임 펀드 사태는 지난 2019년 국내 최대 헤지펀드인 라임자산운용이 모펀드 4개, 자펀드 173개(총 1조 6679억원)에 대해 환매중단을 선언하면서 폰지사기, 수익률 조작, 불완전판매 등의 불법행위에 연루됐다는 의혹으로 당시 큰 파장을 불러왔다. 하나은행도 871억원의 라임 펀드를 판매해 금감원의 제재를 앞두고 있다. 옵티머스 펀드 사태는 지난해 옵티머스자산운용이 NH투자증권 등 증권사 등의 판매사를 통해 투자자 2900여명으로부터 안정적인 정부채권에 투자한다며 1조 2000억원을 유치한 뒤, 실제로는 부실기업 채권에 투자했다가 5500억원을 날려 환매중단 사태를 일으킨 사건이다. 여기에도 하나은행이 수탁사로 참여했다가 금감원의 제재심에 올라있다.   금융권은 하나은행이 분쟁조정위원회의 결정을 받아들여 제재감경 절차를 밟을 것인지 주목하고 있다. 아울러 이번 사태의 처리 향방이 하나은행의 ESG 드라이브 전략에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541
기업·거버넌스
[우리 회사 ESG] ④미래에셋증권 , ESG 리딩 증권사로 '우뚝'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medium
5-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하나은행은 일반적인 은행들과 다른 역사를 가진 금융사다. 하나은행은 1971년 한국투자금융으로부터 시작됐다. 순수 민간자본으로 만들어진 금융기관인 한국투자금융은 1991년 은행업 인가를 받은 후 하나은행으로 다시 태어났다.  하나은행은 실질적으로 한국투자금융에서 시작됐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 충청은행과 보람은행, 서울은행까지 잇따라 M&A에 성공하면서 규모를 키웠다. 이렇게 주력인 은행 규모가 커지자 증권과 생명보험, 캐피탈, 카드사업 등의 비은행부문 계열사들을 확대해 나가며 하나금융그룹으로 발돋움했다. 지속적으로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진행해 온 하나금융그룹은 2000년대부터 해외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종합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이후 2015년 외환은행과 통합 출범하면서 하나은행은 국내 4대 은행 대열에 올라섰다. 현재는 더케이손보를 인수하면서 손보업까지도 아우르는 대형 그룹이 됐다. 하나금융그룹, 미래 성장 전략은 ESG 경영 강화 “주주의 이익과 손님, 사회, 구성원의 성장이 생존 전략”이라는 하나금융그룹 김정태 회장의 철학에 따라, 그룹의 향후 전략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강화'로 모아졌다. 하나금융그룹의 미래를 ESG경영으로 완성시켜 나가겠다는 포부다. 이를 위해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플랫폼과 글로벌, ESG를 3대 성장 전략으로 내세웠다. 그간 그룹이 성장 전략으로 고집해 왔던 글로벌과 디지털이 ESG로 한 순간에 변화된 것은 다소 획기적인 변화로 평가된다. 최근에는 '그룹 ESG 경영 TFT(팀 태스크포스)' 설치해 중장기 ESG 전략을 수립했다. 최고경영진이 비재무적 ESG 관련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조직과 프로그램을 개편하고, 그룹사 별로 전담 조직을 지정해 핵심성과지표인 KPI에 ESG 항목을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했다. 현재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ESG 과제는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를 위한 환경경영 시스템 도입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도입 ▲지속가능 친환경 금융상품 분류체계 정비 ▲TCFD(기후변화, 재무정보 공개 태스크포스) 가이드라인 도입 등이다. 앞서 하나은행은 지난해 연말 ‘NEXT 2030, Big Step’ 전략 추진을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ESG 전담 부서를 신설했다. 고객 우선 경영 지원을 위해 기존에 기획‧예산을 담당하던 경영기획그룹과 인사‧업무지원을 담당하는 경영지원그룹을 통합해 ‘경영기획&지원그룹’을 신설했고, 그룹 내에 전담부서인 'ESG기획 섹션‘을 신설했다. 사회적 금융 역할 수행에 더욱 집중한다는 것이 목표다. 환경경영 최우선 과제로 우선은 글로벌 과제로 떠오른 환경경영을 앞세웠다. ‘2050 탄소중립’ 정책을 반영하고, 탄소 배출량을 최소화 시킨다는 것이 중장기적인 목표다. 하나금융지주와 하나은행은 2018년부터 환경 경영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최근 간접적 온실가스배출인 스코프(scope)3 배출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TCFD(기후재무정보공개) 가이드라인을 반영해 비재무 정보 공개 영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을 세웠다. 또 지속가능한 친환경 금융상품도 여러 가지로 선보였다. ‘에너지이용합리화자금 대출’ ‘환경개선지원자금 대출’과 태양광사업 지원 상품인 ‘하나솔라론’이 그것이다. 또 바이오매스·수력·연료전지·태양광·풍력 등에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기업에 대한 여신 기준에도 친환경적인 지표에 중점을 뒀다. 하나은행은 ▲인간의 건강, 안전 또는 환경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것으로 확인된 상품을 제조, 유통하거나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와 ▲탄소나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기업에는 여신을 제한하는 내부 기준을 세웠다.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온실가스 저감, 탄소중립 등의 친환경 경영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지속가능한 가치 실현 위한 사회·지배구조 전략 기업활동 전 영역에 ESG 철학을 도입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하나은행은 업무 체계의 중심을 부서에서 팀(Unit) 중심으로 전환해 의사결정 구조를 ‘팀 리더-임원-CEO’로 간소화하는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수직적인 조직이 아닌 수평 조직으로서, 더욱 빠른 의사 결정과 다양한 아이디어 활용, 높은 효율성 등을 위해서다. 기존에는 부서장이 가지고 있던 전결권도 팀 리더에게로 넘어갔다. 사회·지배구조 전략에 있어서도 글로벌 스탠다드화를 추구하고 있다. UN SDGs(지속가능발전목표)를 연계, UNEP FI의 책임은행 원칙을 실천함으로 글로벌 원칙 및 가치를 반영하고 있으며, 일자리 창출, 미래인재양성, 웰빙문화 조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핵심 경영원칙 중 하나로 윤리·준법 경영을 내세웠다. 지난 2016년 새로운 윤리강령인 코드원(Code One)을 선포한 이후 2017년 12월 '인권선언문'을 제정·시행한 바 있다. 2019년에는 금융권 최초로 준법 및 부패방지 경영시스템(ISO19600 & ISO37001) 국제 표준 인증을 동시에 획득했다. 라임·옵티머스 펀드 관련 제재심 주목 ESG 측면에서 넘어야할 과제도 많다. 대표적으로 하나은행은 현재 라임·옵티머스 사태의 영향으로 금감원의 제재심을 받고 있다. 또 헤리티지(독일)·디스커버리·헬스케어(이탈리아) 펀드의 환매 중단 사태에 대해서도 분쟁조정위와 제재심을 거쳐야 하는 등 최근 판매한 펀드들에서 잇달아 말썽을 일으키고 있다.  라임 펀드 사태는 지난 2019년 국내 최대 헤지펀드인 라임자산운용이 모펀드 4개, 자펀드 173개(총 1조 6679억원)에 대해 환매중단을 선언하면서 폰지사기, 수익률 조작, 불완전판매 등의 불법행위에 연루됐다는 의혹으로 당시 큰 파장을 불러왔다. 하나은행도 871억원의 라임 펀드를 판매해 금감원의 제재를 앞두고 있다. 옵티머스 펀드 사태는 지난해 옵티머스자산운용이 NH투자증권 등 증권사 등의 판매사를 통해 투자자 2900여명으로부터 안정적인 정부채권에 투자한다며 1조 2000억원을 유치한 뒤, 실제로는 부실기업 채권에 투자했다가 5500억원을 날려 환매중단 사태를 일으킨 사건이다. 여기에도 하나은행이 수탁사로 참여했다가 금감원의 제재심에 올라있다.   금융권은 하나은행이 분쟁조정위원회의 결정을 받아들여 제재감경 절차를 밟을 것인지 주목하고 있다. 아울러 이번 사태의 처리 향방이 하나은행의 ESG 드라이브 전략에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ESG(환경·사회·지배구조) 인증평가를 받은 펀드가 국내에 처음으로 나왔다. 이에 따라 무늬만 ESG일뿐 알맹이는 기존 펀드와 다름없는 ‘그린 워싱(green washing.위장환경주의)’이 수그러들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기업평가는 ‘베스타스 유럽물류전문투자형 사모 부동산투자신탁 제73호(베스타스 부동산 73호)’에 대해 인증평가를 실시하면서 녹색수익증권 최고 등급인 ‘G1’을 부여했다고 12일 밝혔다. 베스타스 부동산 73호는 자금 모집 후 투자가 실시되는 3000억원 규모의 블라인드펀드로 유럽 14개국 소재 친환경 물류센터에 투자할 예정이다. 한기평은 이 펀드의 투자 방향이 국제자본시장협회(ICMA)와 환경부의 녹색채권 기준에 부합한 것으로 진단했다. 수익증권이 신용평가회사의 ESG 인증을 따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ESG인증 펀드의 등장은 전 세계적으로 ‘그린 워싱’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진 가운데 이루져 주목되고 있다.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를 앞세운 ESG가 기업을 평가하는 새로운 잣대로 떠오르면서 무늬만 ESG를 표방한 사례가 급증한 탓이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ESG를 표방한다고 해 사보니 삼성전자ㆍ하이닉스 등 전통 대형우량주로 채워져 기존 펀드들과 차별성이 없고, 수익도 제대로 못 내고 있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ESG 펀드가 일반 주식형 펀드와 별 차이가 없는 건 벤치마크 때문이다. 기존의 ESG펀드는 코스피 지수를 비교지수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공인된 ESG 지수가 없기 때문이다. ESG를 포함한 국내 SRI(사회책임투자) 펀드는 최근 1년 새 38개에서 51개로 급증했지만 진짜 ESG펀드를 구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이렇게 코스피를 비교지수로 삼을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보니 시장 수익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려고 ESG와 별 상관이 없는 대형 우량주를 담고 있다. 운용업계 관계자들은 “ESG 평가에 대한 정립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투자상품을 만들어내다 보니 수익률을 낼 수 있는 대표주들에 치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ESG 인증평가가 자리잡으면 ‘그린워싱’의 흐름에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 ESG 인증평가가 투자 지표로 활용되기 시작하면 펀드 운용사도 코스피 위주의 벤치마크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코스피를 추종하는 운용 전략은 펀드 조달 자금의 사용처인 투자 종목이 ESG 가이드라인과 무관할 경우 후한 점수를 따기 어려울 수 밖에 없다. 다만 ESG 인증평가기관들이 ESG워싱을 가려낼 만큼 충분한 전문적 역량을 갖추는 게 관건이다. 국내 인증평가기관들은 ESG 전문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ESG인증평가도 마케팅을 위한 수단에 불과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KT(대표 구현모)는 1981년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출범해 2009년 이동통신 자회사인 KTF 합병 후 이동통신, 인터넷, 유선전화 등의 통신사업과 미디어/콘텐츠, 금융, 부동산, 기업 솔루션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는 국내 최대 종합 통신사업자로 성장했다. 2019년 KT는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 했고, 전국 85개 시로 커버리지를 확대하면서 5G 가입자 수를 일반 무선전화 가입자의 약 10% 수준인 141만 명까지 늘리는 저력을 과시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지능형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AI, VR/AR, 블록체인, 커넥티드 카 등 미래 융합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사업화하기 위해 현재도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중이다. KT가 밝힌 비전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임직원 수만 2만3천명에 이르며, 영업수익은 24조가 넘는다. 통신업계 최초 지속가능경영위원회 설립 KT의 핵심 비전은 꾸준히 ‘고객 중심’, ‘주인정신’, ‘소통과 협업’, ‘본질과 과정’이었다. 이는 현재 기업들의 숙제로 떠오른 ESG 경영과 거의 일치한다. 실제 ESG 경영의 선두기업이라고 해도 과장이 없다. KT는 2016년 4월, 국내 통신업계 최초로 이사회 내에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립했으며, 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전담실행 조직인 지속가능경영단을 운영하고 있다. 또 국제 지속가능성 보고 가이드라인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 100-400 기준을 중심으로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의 IR 프레임워크 방법론을 참조하여 매년 지속가능경영 주요 이슈를 선정하고 경영에 반영하고 있다. 또 중대성 평가를 통해 선정된 30개 지속가능성 이슈 전체를 통합보고서를 통해 보고하고 있으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경영 활동에 반영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KT 사업에 미치는 영향력 및 이해관계자 영향력 관점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상위 이슈들에 대해 대내외 경영 환경과 KT의 대응 전략, 장기 목표에 대해서는 별도로 공개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KT는 올해 “고객의 삶의 변화와 다른 산업의 혁신을 리딩하여 대한민국 발전에 기여한다”라는 새로운 비전을 수립하였으며, 새로운 비전 아래 더욱 신뢰받는 기업이 되기 위해 다양한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AI 기술을 활용해 목소리를 복원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정부의 디지털 포용 정책에 발맞추어 국내 최초의 프로보노 활동인 IT서포터즈를 AI서포터즈로 탈바꿈한 것등도 이에 속한다. 특히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구호물품 및 통신장비를 지원하고, 119 대원들에게 ‘사랑의 밥차’를 제공하는 한편,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사랑의 도시락’ 지원 활동을 펼치며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활동도 꾸준히 진행 중이다. 또한, 케냐·가나·라오스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중 보건 개선에 기여해온 KT의 ‘감염병 확산방지 플랫폼(GEPP)’은 이제 ‘스마트 검역시스템’으로 질병관리본부가 도입하여, 코로나19 확산에 맞서 대한민국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지속가능경제 분야 선한 영향력 KT는 매년 전사 협업을 통한 에너지 절감을 실시하여 친환경 분야에서도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에서 3년 연속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또한 KT는 주요 경영 현황과 중장기 전략, 경제적 수익성, 사회적 책임성, 환경적 건전성을 통합적으로 보고하기 위해, 2006년부터 매년 연차보고서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합한 ‘통합보고서(Integrated Report)’를 발간하고 있다. KT 통합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영보고 지침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G4 가이드라인의 포괄적 부합 기준을 준수하며,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의 통합보고 프레임워크를 반영하여 발간된다. 올해는 1200억원 규모의 3년·5년 만기 ESG 채권을 발행할 계획도 밝혔다. ESG 채권 중 친환경 사업을 위한 녹색채권과 사회가치 창출 사업을 위한 사회적채권의 혼합형 채권인 ‘지속가능채권’으로, 인터넷 데이터센터(IDC) 에너지 효율 관련 투자와 녹색 건축 등급을 인증 받은 부동산 개발 사업, 중소∙벤처기업 지원이 목적이다. 또 국제무대에서 지속가능한 5G 네트워크 전력 절감 기술도 제안했다. KT는 국제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 3GPP가 주최하는 5G-어드밴스드 워크숍에서 차기 5G 기술의 명칭을 ‘5G-Advanced’(5G-어드밴스드)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AI 소비전력 제어 효율화 기술 △클라우드 활용 자원관리 기술 업링크 성능 및 실내 커버리지 개선 등 '5G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진화방향' △ B2B 특화 non-eMBB 등을 소개했다. 이러한 기술은 LTE보다 소비전력이 매우 많은 5G 네트워크 시설의 전력 소비량을 대폭 줄여 탄소배출량을 절감하고 통신산업의 ESG 경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배구조 분야 평가도 호평 일색이다. 지난해 기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주관 ESG 평가에서 지배구조 부문 및 ESG 종합 등급 A+를 획득했다. 환경부문에서는 A, 사회부문 A 등급을 획득했다. 10기가 인터넷 속도 논란, 수면 위로 최근에는 한 유명 IT 유튜버의 발언으로 인해, KT 지속가능경영 전략에 손실이 생겼다. 유튜버의 발언에서 촉발된 KT의 10Gbps(초당 기가비트) 인터넷 속도 저하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고, 그 여파가 통신업계 전체로 퍼졌다. 국회는 지난 22일 소관 상임위 전체회의를 열고 소관 부처에 면밀한 실태조사와 실질적인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 3사 전수조사를 약속했다. 이로 인해 KT는 우선적인 조사 대상이 됐고, 이어 SK브로드밴드와 LG유플러스도 전수조사가 시행될 전망이다. 김현 방통위 부위원장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현장 상황을 검토하고, 법적 문제가 발견될 경우 제대로 대처해 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하나금융그룹(회장 김정태)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하는 ‘2021년 ESG평가’에서 4년 연속 종합 A등급을 획득했다. 근로자, 소비자 보호 활동, 지역사회 환원 등을 평가하는 S(사회)분야에서 A+ 등급을 받았고, 지배구조(G)와 환경(E) 분야에서는 모두 A등급을 받았다. ESG 경영 차원 석탄금융 퇴출 하나금융그룹은 ‘Big Step for Tomorrow’라는 ESG 비전을 목표로 ESG경영 실천에 나섰다. 비전에 따라 중장기 추진 목표 '2030&60'과 'ZERO&ZERO'를 수립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첫 번째 ESG 중장기 목표 '2030&60'은 오는 2030년까지 향후 10년간 환경·지속가능 부문에 대한 총 60조원 ESG 금융 조달과 공급을 목표로 한다. ESG 채권 발행 25조원, ESG 여신 25조원, ESG 투자 10조원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회 문제 해결과 친환경 사업에 광범위한 ESG 금융지원을 추진한다. 또 2050년까지 그룹 사업장 탄소배출량 'ZERO'와 석탄 프로젝트금융 'ZERO'를 이행하기 위한 'ZERO&ZERO'를 전략적 목표로 추진한다. 향후 30년 동안 그룹 모든 관계사가 참여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석탄 프로젝트금융(석탄PF) 잔액을 'ZERO'로 감소시킬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3월 탄소중립 및 탈석탄 선언을 통해 저탄소경제로의 전환을 선포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올해 적도원칙 가입을 목표로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체계(Environmental and Social Risk Management)를 구축하고 하나금융그룹 자체 지속가능금융 프레임워크를 제정하고 7월 발표를 완료했다. 3월 탈석탄을 선언한 이래 국내외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채권 인수 등의 사업은 전면 중단했다. ESG본부 신설, 친환경 산업 도우미 자처 하나금융투자는 그룹차원의 ESG 경영전략에 따라, 구체적인 실천과제와 이행방안을 수립하고 실천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대표이사 직속으로 ESG 정책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본부를 신설하고 예하 조직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과 지속 가능 경영 계획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기획팀을 꾸렸다. ESG 관련 투자와 상품·서비스 확대 등을 통해 지속 가능 경영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자산군에 대한 운용역량을 갖춘 조직을 기반으로 배출권 운용 전담 부서를 구성, 국내 ESG 시장에서 저변을 확대하고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주도적으로 시작한다. 또 국내 친환경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풍력, 수소연료전지,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시장 확대를 위한 투자 및 자본 유치 기회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여 여수, 동두천, 창녕, 곡성 등 4개 사업장을 가진 국내 최대 폐기물 처리장 개발사업에 투자한데 이어 폐수처리업체 지분인수, 바이오매스 열병합발전 및 폐기물처리사업자 투자 등 친환경 산업에 대한 투자도 확대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전남 태양광 발전 개발 사업 대출, 연료전지업체 및 풍력발전설비업체 투자 등 친환경에너지 산업 투자를 수행 중이며, 스페인과 호주, 일본의 태양광 발전시설 지분인수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신재생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수주 실적을 쌓으며 ESG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적잖은 구설수, 투자자 신뢰는 ’빨간불' 한편, 하나금융투자가 해결해야 할 치부도 아직은 곳곳에서 노출되고 있다.  검찰은 최근 이진국 전 하나금융투자 대표의 주식 선행매매 의혹과 관련해 압수수색에 나섰다. 올해 1월 금융감독원이 이 전 대표의 선행매매 혐의를 포착하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바 있다. 당시 금감원은 2017~2019년까지 3년 간 하나금투 운용 담당 직원이 관리한 이 전 대표 명의 증권계좌에서 미공개 내부 정보를 이용한 것으로 의심되는 거래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스닥 상장사 관련 하나금투의 기업분석 보고서가 시중에 배포되기 전 해당 주식을 사들인 정황 등이 포착된 것이다. 자본시장법 제54조(직무관련 정보의 이용 금지)에 따르면 금융투자회사 임직원은 직무상 알게 된 정보나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정보를 정당한 사유 없이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해 이용해서는 안 된다. 이를 위반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다. 금감원 특별사법경찰(특사경)이 주도하는 이번 수사는 2019년 1000억원의 투자자 피해가 예상되는 파생결합상품(DLS)의 '발행사'로 지목된 데 이어, 불공정·선행매매 혐의로 촉발됐다. 리서치센터 소속 한 연구원이 보고서가 외부에 발표되기 전 미리 주식을 매수하는 방식으로 불공정한 차익을 올렸다는 혐의로 압수수색을 받았다. 하나금융투자는 2019년에도 영국-미국CMS(Constant Maturity Swap;일명 파운드 파생)금리를 활용한 DLS와 관련, 리스크관리본부의 검토를 받지 않은 장외파생상품 사모 거래의 경우, 신규 상품이 아니면 리스크관리본부의 사후 합의로 거래가 가능하다는 '내부 규정'을 활용한 것으로 드러나 구설수에 오른 바 있다. 또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계열사 임·직원의 잇단 성희롱 관련 논란으로 몸살을 앓기도 했다. 장경훈 하나카드 사장이 공식 회의 자리에서 여성혐오적 표현 및 폭언으로 물의를 빚은 데 이어, 하나은행 한 지점장은 여성 대출 고객에게 술자리를 강요해 논란이 불거졌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홈쇼핑 업계의 중소 거래기업에 대한 '갑질병'이 또 불거졌다. 약자에 대해 우월적인 지위를 휘두르는 전형적인 '납품 갑질'  행태는 홈쇼핑업계의 고질적인 병폐다.  6일 공정위에 따르면 GS숍, 롯데홈쇼핑, NS홈쇼핑 등 TV홈쇼핑업체 전부를 망라한 7개 업체는 대규모 유통업법을 위반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1억 4600만원을 부과받았다. 해당 업체는 GS SHOP과 롯데홈쇼핑·NS홈쇼핑·CJ온스타일·현대홈쇼핑·홈앤쇼핑·공영쇼핑이다. 과징금은 GS샵이 10억20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롯데홈쇼핑(6억4000만원), NS홈쇼핑(6억원), CJ온스타일(5억9000만원), 현대홈쇼핑(5억8000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 대상으로만 운영하는 홈앤쇼핑과 공영쇼핑도 2억원 이상 과징금이 부과됐다. 이들 업체는 납품업자로부터 30%에 달하는 수수료를 받으면서도 판촉행사나 방송에 필요한 사은품 비용 등을 추가로 전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위 조사결과 홈쇼핑 업체들은 방송에 필요한 방송게스트나 시연모델, 방청객을 동원하는데 드는 비용까지 납품업체에 떠넘겼다. 또 납품업자에게 서면 계약서를 일부러 늦게 주거나 상품판매대금을 제 때 맞춰 결제하지 않는 등의 ‘갑질’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GS샵은 정당한 사유 없이 직매입 재고 상품을 납품업자에 반품한 사실도 드러났다. CJ온스타일 등 4개 홈쇼핑사는 납품업체에 거래 품목, 수수료 등 거래조건이 명시된 계약서를 주지 않거나 늦게 교부했다. 현대홈쇼핑은 직매입 상품에 대한 양품화(반품을 재수선후 판매) 작업을 납품업자에게 위탁하고 작업비용을 지급하지 않았다. ‘납품 갑질’로 2015년에도 역대급 과징금 홈쇼핑 업체들은 납품업체들에 대한 '갑질'로 빈번하게 제재를 받고 있으나 그 폐해를 근절하지 못하고 있다. 중소 납품업체에 대한 불공정 거래 강요나 비용 떠넘기기, 과도한 PPL, 대기업 상품 위주의 방송 편성 등의 문제는 국정감사 단골메뉴다. 홈쇼핑업계는 2014년에는 공정거래 관련법을 가장 많이 위반한 유통업체 상위 10개에 전체 홈쇼핑 업체 6개가 모두 이름을 올렸다. 당시에 문제가 된 홈쇼핑 채널은 GS홈쇼핑(GS샵), CJ오쇼핑, 현대홈쇼핑, 롯데홈쇼핑, NS홈쇼핑, 홈앤쇼핑 등이다. 이번에 적발된 홈쇼핑 업체 가운데 6곳은 2015년에도 역시 갑질로 제재를 받았다. 지난 2015년 공정위는 TV홈쇼핑들의 이른바 '갑질'행위를 광범위하게 적발해 GS SHOP 등 6개 홈쇼핑 업체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모두 143억원이 넘는 역대급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이 역시 현대홈쇼핑, GS홈쇼핑, 롯데홈쇼핑, CJ오쇼핑, 홈앤쇼핑, NS홈쇼핑 등이다. 또 지난해 초에는 온라인쇼핑 사업자인 ㈜신세계와 ㈜우리홈쇼핑(채널명 롯데홈쇼핑)이 소비자가 제품 포장을 개봉하면 반품이 불가하다고 고지하는 등 소비자의 청약철회를 방해한 행위에 대해서 시정조치를 받았다. 홈쇼핑업계의 납품업자 등의 갑질 피해에 대해서는 올해 초 서면 조사도 진행된 바 있다. 공정위는 3월 '2020년 유통분야 서면실태조사' 결과를 발표, TV홈쇼핑에서의 갑질 피해가 상대적으로 많다고 지적했다. 당시 조사에서도 상품판매대금 미·지연 지급, 상품 반품, 판촉비 전가, 배타적거래 요구, 판매장려금(경제적 이익) 제공 요구, 불이익 제공 등 항목에서 거래 행태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방통위 홈쇼핑채널 재심사 실효성 의문 한편, 홈쇼핑 업체들은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5년마다 재승인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런 '납품 갑질'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업체들이 무사통과하고 있어 심사의 실효성에 의문이 일고 있다. 올해 방통위 재심사를 받은 롯데홈쇼핑과 홈앤쇼핑은 당초 법적 제재 등 감점 요인이 많아 탈락 예상도 있었으나 무난히 5년간 사업 승인을 받아냈다.  방통위의 주요 심사항목을 살펴보면 ▲방송평가위원회 방송평가 결과(100점) ▲공정거래 관행 정착 및 중소기업 활성화 기여 실적 및 계획의 우수성(260점) ▲방송의 공적책임 및 사회문화적 필요성과 타당성(120점) ▲시청자 ·소비자 권익보호 실적 및 계획 (100점) 등이다. 총 1000점 만점으로 65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특히 공정거래 관행 정착 및 중소기업 활성화 배점이 260점으로 매우 높은데도 불구하고 '납품 갑질'을 방치하고 있는 것은 관계 당국의 직무유기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홈쇼핑업계 'ESG 경영' 평가는 ‘우수’ 이런 반복된 갑질은  최근 홈쇼핑업계에서 강조하고 있는 ESG 경영과 상반돼 눈총을 받고 있다. 7월 GS홈쇼핑과 합병한 GS 리테일은 지난 6월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표했으며,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1년도 ESG 평가에서 전년도에 비해 한 단계 상향된 'A'를 받았다. GS홈쇼핑은 KCGS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 및 등급 공표’ 결과에서 우수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 또 현대홈쇼핑은 KCGS ESG 평가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통합 A등급을 받았으며, 글로벌 ESG 경영평가 지표로 알려진 ‘SDGBI(UN지속가능개발목표경영지수)’ 2021 리스트에도 2년 연속 선정됐다. NS쇼핑 역시 KCGS ESG 평가에서는 통합 A등급을 받았다. 롯데쇼핑은 KCGS 평가 통합 A등급에 사회부문 A+ 등급을 받았다. 롯데쇼핑의 경우에는 최근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한 ‘2021년 대한민국 지속가능성 대회’에서 2년 연속 홈쇼핑 부문 우수기업 1위를 수상했다. CJ오쇼핑도 '착한 손잡이' 배송 박스를 도입했고, 홈앤쇼핑은 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한 프로젝트 ‘지구를 지켜줘’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 ESG 경영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홈쇼핑업계가 ESG경영의 진정성을 인정받으려면 납품 갑질부터 스스로 근절해야 할 것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541
기업·거버넌스
[우리 회사 ESG] ④미래에셋증권 , ESG 리딩 증권사로 '우뚝'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medium
5-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홈쇼핑 업계의 중소 거래기업에 대한 '갑질병'이 또 불거졌다. 약자에 대해 우월적인 지위를 휘두르는 전형적인 '납품 갑질'  행태는 홈쇼핑업계의 고질적인 병폐다.  6일 공정위에 따르면 GS숍, 롯데홈쇼핑, NS홈쇼핑 등 TV홈쇼핑업체 전부를 망라한 7개 업체는 대규모 유통업법을 위반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1억 4600만원을 부과받았다. 해당 업체는 GS SHOP과 롯데홈쇼핑·NS홈쇼핑·CJ온스타일·현대홈쇼핑·홈앤쇼핑·공영쇼핑이다. 과징금은 GS샵이 10억20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롯데홈쇼핑(6억4000만원), NS홈쇼핑(6억원), CJ온스타일(5억9000만원), 현대홈쇼핑(5억8000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 대상으로만 운영하는 홈앤쇼핑과 공영쇼핑도 2억원 이상 과징금이 부과됐다. 이들 업체는 납품업자로부터 30%에 달하는 수수료를 받으면서도 판촉행사나 방송에 필요한 사은품 비용 등을 추가로 전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위 조사결과 홈쇼핑 업체들은 방송에 필요한 방송게스트나 시연모델, 방청객을 동원하는데 드는 비용까지 납품업체에 떠넘겼다. 또 납품업자에게 서면 계약서를 일부러 늦게 주거나 상품판매대금을 제 때 맞춰 결제하지 않는 등의 ‘갑질’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GS샵은 정당한 사유 없이 직매입 재고 상품을 납품업자에 반품한 사실도 드러났다. CJ온스타일 등 4개 홈쇼핑사는 납품업체에 거래 품목, 수수료 등 거래조건이 명시된 계약서를 주지 않거나 늦게 교부했다. 현대홈쇼핑은 직매입 상품에 대한 양품화(반품을 재수선후 판매) 작업을 납품업자에게 위탁하고 작업비용을 지급하지 않았다. ‘납품 갑질’로 2015년에도 역대급 과징금 홈쇼핑 업체들은 납품업체들에 대한 '갑질'로 빈번하게 제재를 받고 있으나 그 폐해를 근절하지 못하고 있다. 중소 납품업체에 대한 불공정 거래 강요나 비용 떠넘기기, 과도한 PPL, 대기업 상품 위주의 방송 편성 등의 문제는 국정감사 단골메뉴다. 홈쇼핑업계는 2014년에는 공정거래 관련법을 가장 많이 위반한 유통업체 상위 10개에 전체 홈쇼핑 업체 6개가 모두 이름을 올렸다. 당시에 문제가 된 홈쇼핑 채널은 GS홈쇼핑(GS샵), CJ오쇼핑, 현대홈쇼핑, 롯데홈쇼핑, NS홈쇼핑, 홈앤쇼핑 등이다. 이번에 적발된 홈쇼핑 업체 가운데 6곳은 2015년에도 역시 갑질로 제재를 받았다. 지난 2015년 공정위는 TV홈쇼핑들의 이른바 '갑질'행위를 광범위하게 적발해 GS SHOP 등 6개 홈쇼핑 업체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모두 143억원이 넘는 역대급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이 역시 현대홈쇼핑, GS홈쇼핑, 롯데홈쇼핑, CJ오쇼핑, 홈앤쇼핑, NS홈쇼핑 등이다. 또 지난해 초에는 온라인쇼핑 사업자인 ㈜신세계와 ㈜우리홈쇼핑(채널명 롯데홈쇼핑)이 소비자가 제품 포장을 개봉하면 반품이 불가하다고 고지하는 등 소비자의 청약철회를 방해한 행위에 대해서 시정조치를 받았다. 홈쇼핑업계의 납품업자 등의 갑질 피해에 대해서는 올해 초 서면 조사도 진행된 바 있다. 공정위는 3월 '2020년 유통분야 서면실태조사' 결과를 발표, TV홈쇼핑에서의 갑질 피해가 상대적으로 많다고 지적했다. 당시 조사에서도 상품판매대금 미·지연 지급, 상품 반품, 판촉비 전가, 배타적거래 요구, 판매장려금(경제적 이익) 제공 요구, 불이익 제공 등 항목에서 거래 행태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방통위 홈쇼핑채널 재심사 실효성 의문 한편, 홈쇼핑 업체들은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5년마다 재승인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런 '납품 갑질'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업체들이 무사통과하고 있어 심사의 실효성에 의문이 일고 있다. 올해 방통위 재심사를 받은 롯데홈쇼핑과 홈앤쇼핑은 당초 법적 제재 등 감점 요인이 많아 탈락 예상도 있었으나 무난히 5년간 사업 승인을 받아냈다.  방통위의 주요 심사항목을 살펴보면 ▲방송평가위원회 방송평가 결과(100점) ▲공정거래 관행 정착 및 중소기업 활성화 기여 실적 및 계획의 우수성(260점) ▲방송의 공적책임 및 사회문화적 필요성과 타당성(120점) ▲시청자 ·소비자 권익보호 실적 및 계획 (100점) 등이다. 총 1000점 만점으로 65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특히 공정거래 관행 정착 및 중소기업 활성화 배점이 260점으로 매우 높은데도 불구하고 '납품 갑질'을 방치하고 있는 것은 관계 당국의 직무유기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홈쇼핑업계 'ESG 경영' 평가는 ‘우수’ 이런 반복된 갑질은  최근 홈쇼핑업계에서 강조하고 있는 ESG 경영과 상반돼 눈총을 받고 있다. 7월 GS홈쇼핑과 합병한 GS 리테일은 지난 6월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표했으며,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1년도 ESG 평가에서 전년도에 비해 한 단계 상향된 'A'를 받았다. GS홈쇼핑은 KCGS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 및 등급 공표’ 결과에서 우수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 또 현대홈쇼핑은 KCGS ESG 평가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통합 A등급을 받았으며, 글로벌 ESG 경영평가 지표로 알려진 ‘SDGBI(UN지속가능개발목표경영지수)’ 2021 리스트에도 2년 연속 선정됐다. NS쇼핑 역시 KCGS ESG 평가에서는 통합 A등급을 받았다. 롯데쇼핑은 KCGS 평가 통합 A등급에 사회부문 A+ 등급을 받았다. 롯데쇼핑의 경우에는 최근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한 ‘2021년 대한민국 지속가능성 대회’에서 2년 연속 홈쇼핑 부문 우수기업 1위를 수상했다. CJ오쇼핑도 '착한 손잡이' 배송 박스를 도입했고, 홈앤쇼핑은 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한 프로젝트 ‘지구를 지켜줘’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 ESG 경영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홈쇼핑업계가 ESG경영의 진정성을 인정받으려면 납품 갑질부터 스스로 근절해야 할 것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하나금융그룹(회장 김정태)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하는 ‘2021년 ESG평가’에서 4년 연속 종합 A등급을 획득했다. 근로자, 소비자 보호 활동, 지역사회 환원 등을 평가하는 S(사회)분야에서 A+ 등급을 받았고, 지배구조(G)와 환경(E) 분야에서는 모두 A등급을 받았다. ESG 경영 차원 석탄금융 퇴출 하나금융그룹은 ‘Big Step for Tomorrow’라는 ESG 비전을 목표로 ESG경영 실천에 나섰다. 비전에 따라 중장기 추진 목표 '2030&60'과 'ZERO&ZERO'를 수립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첫 번째 ESG 중장기 목표 '2030&60'은 오는 2030년까지 향후 10년간 환경·지속가능 부문에 대한 총 60조원 ESG 금융 조달과 공급을 목표로 한다. ESG 채권 발행 25조원, ESG 여신 25조원, ESG 투자 10조원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회 문제 해결과 친환경 사업에 광범위한 ESG 금융지원을 추진한다. 또 2050년까지 그룹 사업장 탄소배출량 'ZERO'와 석탄 프로젝트금융 'ZERO'를 이행하기 위한 'ZERO&ZERO'를 전략적 목표로 추진한다. 향후 30년 동안 그룹 모든 관계사가 참여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석탄 프로젝트금융(석탄PF) 잔액을 'ZERO'로 감소시킬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3월 탄소중립 및 탈석탄 선언을 통해 저탄소경제로의 전환을 선포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올해 적도원칙 가입을 목표로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체계(Environmental and Social Risk Management)를 구축하고 하나금융그룹 자체 지속가능금융 프레임워크를 제정하고 7월 발표를 완료했다. 3월 탈석탄을 선언한 이래 국내외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채권 인수 등의 사업은 전면 중단했다. ESG본부 신설, 친환경 산업 도우미 자처 하나금융투자는 그룹차원의 ESG 경영전략에 따라, 구체적인 실천과제와 이행방안을 수립하고 실천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대표이사 직속으로 ESG 정책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본부를 신설하고 예하 조직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과 지속 가능 경영 계획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기획팀을 꾸렸다. ESG 관련 투자와 상품·서비스 확대 등을 통해 지속 가능 경영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자산군에 대한 운용역량을 갖춘 조직을 기반으로 배출권 운용 전담 부서를 구성, 국내 ESG 시장에서 저변을 확대하고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주도적으로 시작한다. 또 국내 친환경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풍력, 수소연료전지,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시장 확대를 위한 투자 및 자본 유치 기회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여 여수, 동두천, 창녕, 곡성 등 4개 사업장을 가진 국내 최대 폐기물 처리장 개발사업에 투자한데 이어 폐수처리업체 지분인수, 바이오매스 열병합발전 및 폐기물처리사업자 투자 등 친환경 산업에 대한 투자도 확대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전남 태양광 발전 개발 사업 대출, 연료전지업체 및 풍력발전설비업체 투자 등 친환경에너지 산업 투자를 수행 중이며, 스페인과 호주, 일본의 태양광 발전시설 지분인수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신재생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수주 실적을 쌓으며 ESG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적잖은 구설수, 투자자 신뢰는 ’빨간불' 한편, 하나금융투자가 해결해야 할 치부도 아직은 곳곳에서 노출되고 있다.  검찰은 최근 이진국 전 하나금융투자 대표의 주식 선행매매 의혹과 관련해 압수수색에 나섰다. 올해 1월 금융감독원이 이 전 대표의 선행매매 혐의를 포착하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바 있다. 당시 금감원은 2017~2019년까지 3년 간 하나금투 운용 담당 직원이 관리한 이 전 대표 명의 증권계좌에서 미공개 내부 정보를 이용한 것으로 의심되는 거래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스닥 상장사 관련 하나금투의 기업분석 보고서가 시중에 배포되기 전 해당 주식을 사들인 정황 등이 포착된 것이다. 자본시장법 제54조(직무관련 정보의 이용 금지)에 따르면 금융투자회사 임직원은 직무상 알게 된 정보나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정보를 정당한 사유 없이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해 이용해서는 안 된다. 이를 위반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다. 금감원 특별사법경찰(특사경)이 주도하는 이번 수사는 2019년 1000억원의 투자자 피해가 예상되는 파생결합상품(DLS)의 '발행사'로 지목된 데 이어, 불공정·선행매매 혐의로 촉발됐다. 리서치센터 소속 한 연구원이 보고서가 외부에 발표되기 전 미리 주식을 매수하는 방식으로 불공정한 차익을 올렸다는 혐의로 압수수색을 받았다. 하나금융투자는 2019년에도 영국-미국CMS(Constant Maturity Swap;일명 파운드 파생)금리를 활용한 DLS와 관련, 리스크관리본부의 검토를 받지 않은 장외파생상품 사모 거래의 경우, 신규 상품이 아니면 리스크관리본부의 사후 합의로 거래가 가능하다는 '내부 규정'을 활용한 것으로 드러나 구설수에 오른 바 있다. 또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계열사 임·직원의 잇단 성희롱 관련 논란으로 몸살을 앓기도 했다. 장경훈 하나카드 사장이 공식 회의 자리에서 여성혐오적 표현 및 폭언으로 물의를 빚은 데 이어, 하나은행 한 지점장은 여성 대출 고객에게 술자리를 강요해 논란이 불거졌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KT(대표 구현모)는 1981년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출범해 2009년 이동통신 자회사인 KTF 합병 후 이동통신, 인터넷, 유선전화 등의 통신사업과 미디어/콘텐츠, 금융, 부동산, 기업 솔루션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는 국내 최대 종합 통신사업자로 성장했다. 2019년 KT는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 했고, 전국 85개 시로 커버리지를 확대하면서 5G 가입자 수를 일반 무선전화 가입자의 약 10% 수준인 141만 명까지 늘리는 저력을 과시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지능형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AI, VR/AR, 블록체인, 커넥티드 카 등 미래 융합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사업화하기 위해 현재도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중이다. KT가 밝힌 비전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임직원 수만 2만3천명에 이르며, 영업수익은 24조가 넘는다. 통신업계 최초 지속가능경영위원회 설립 KT의 핵심 비전은 꾸준히 ‘고객 중심’, ‘주인정신’, ‘소통과 협업’, ‘본질과 과정’이었다. 이는 현재 기업들의 숙제로 떠오른 ESG 경영과 거의 일치한다. 실제 ESG 경영의 선두기업이라고 해도 과장이 없다. KT는 2016년 4월, 국내 통신업계 최초로 이사회 내에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립했으며, 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전담실행 조직인 지속가능경영단을 운영하고 있다. 또 국제 지속가능성 보고 가이드라인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 100-400 기준을 중심으로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의 IR 프레임워크 방법론을 참조하여 매년 지속가능경영 주요 이슈를 선정하고 경영에 반영하고 있다. 또 중대성 평가를 통해 선정된 30개 지속가능성 이슈 전체를 통합보고서를 통해 보고하고 있으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경영 활동에 반영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KT 사업에 미치는 영향력 및 이해관계자 영향력 관점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상위 이슈들에 대해 대내외 경영 환경과 KT의 대응 전략, 장기 목표에 대해서는 별도로 공개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KT는 올해 “고객의 삶의 변화와 다른 산업의 혁신을 리딩하여 대한민국 발전에 기여한다”라는 새로운 비전을 수립하였으며, 새로운 비전 아래 더욱 신뢰받는 기업이 되기 위해 다양한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AI 기술을 활용해 목소리를 복원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정부의 디지털 포용 정책에 발맞추어 국내 최초의 프로보노 활동인 IT서포터즈를 AI서포터즈로 탈바꿈한 것등도 이에 속한다. 특히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구호물품 및 통신장비를 지원하고, 119 대원들에게 ‘사랑의 밥차’를 제공하는 한편,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사랑의 도시락’ 지원 활동을 펼치며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활동도 꾸준히 진행 중이다. 또한, 케냐·가나·라오스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중 보건 개선에 기여해온 KT의 ‘감염병 확산방지 플랫폼(GEPP)’은 이제 ‘스마트 검역시스템’으로 질병관리본부가 도입하여, 코로나19 확산에 맞서 대한민국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지속가능경제 분야 선한 영향력 KT는 매년 전사 협업을 통한 에너지 절감을 실시하여 친환경 분야에서도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에서 3년 연속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또한 KT는 주요 경영 현황과 중장기 전략, 경제적 수익성, 사회적 책임성, 환경적 건전성을 통합적으로 보고하기 위해, 2006년부터 매년 연차보고서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합한 ‘통합보고서(Integrated Report)’를 발간하고 있다. KT 통합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영보고 지침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G4 가이드라인의 포괄적 부합 기준을 준수하며,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의 통합보고 프레임워크를 반영하여 발간된다. 올해는 1200억원 규모의 3년·5년 만기 ESG 채권을 발행할 계획도 밝혔다. ESG 채권 중 친환경 사업을 위한 녹색채권과 사회가치 창출 사업을 위한 사회적채권의 혼합형 채권인 ‘지속가능채권’으로, 인터넷 데이터센터(IDC) 에너지 효율 관련 투자와 녹색 건축 등급을 인증 받은 부동산 개발 사업, 중소∙벤처기업 지원이 목적이다. 또 국제무대에서 지속가능한 5G 네트워크 전력 절감 기술도 제안했다. KT는 국제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 3GPP가 주최하는 5G-어드밴스드 워크숍에서 차기 5G 기술의 명칭을 ‘5G-Advanced’(5G-어드밴스드)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AI 소비전력 제어 효율화 기술 △클라우드 활용 자원관리 기술 업링크 성능 및 실내 커버리지 개선 등 '5G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진화방향' △ B2B 특화 non-eMBB 등을 소개했다. 이러한 기술은 LTE보다 소비전력이 매우 많은 5G 네트워크 시설의 전력 소비량을 대폭 줄여 탄소배출량을 절감하고 통신산업의 ESG 경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배구조 분야 평가도 호평 일색이다. 지난해 기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주관 ESG 평가에서 지배구조 부문 및 ESG 종합 등급 A+를 획득했다. 환경부문에서는 A, 사회부문 A 등급을 획득했다. 10기가 인터넷 속도 논란, 수면 위로 최근에는 한 유명 IT 유튜버의 발언으로 인해, KT 지속가능경영 전략에 손실이 생겼다. 유튜버의 발언에서 촉발된 KT의 10Gbps(초당 기가비트) 인터넷 속도 저하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고, 그 여파가 통신업계 전체로 퍼졌다. 국회는 지난 22일 소관 상임위 전체회의를 열고 소관 부처에 면밀한 실태조사와 실질적인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 3사 전수조사를 약속했다. 이로 인해 KT는 우선적인 조사 대상이 됐고, 이어 SK브로드밴드와 LG유플러스도 전수조사가 시행될 전망이다. 김현 방통위 부위원장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현장 상황을 검토하고, 법적 문제가 발견될 경우 제대로 대처해 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ESG(환경·사회·지배구조) 인증평가를 받은 펀드가 국내에 처음으로 나왔다. 이에 따라 무늬만 ESG일뿐 알맹이는 기존 펀드와 다름없는 ‘그린 워싱(green washing.위장환경주의)’이 수그러들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기업평가는 ‘베스타스 유럽물류전문투자형 사모 부동산투자신탁 제73호(베스타스 부동산 73호)’에 대해 인증평가를 실시하면서 녹색수익증권 최고 등급인 ‘G1’을 부여했다고 12일 밝혔다. 베스타스 부동산 73호는 자금 모집 후 투자가 실시되는 3000억원 규모의 블라인드펀드로 유럽 14개국 소재 친환경 물류센터에 투자할 예정이다. 한기평은 이 펀드의 투자 방향이 국제자본시장협회(ICMA)와 환경부의 녹색채권 기준에 부합한 것으로 진단했다. 수익증권이 신용평가회사의 ESG 인증을 따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ESG인증 펀드의 등장은 전 세계적으로 ‘그린 워싱’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진 가운데 이루져 주목되고 있다.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를 앞세운 ESG가 기업을 평가하는 새로운 잣대로 떠오르면서 무늬만 ESG를 표방한 사례가 급증한 탓이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ESG를 표방한다고 해 사보니 삼성전자ㆍ하이닉스 등 전통 대형우량주로 채워져 기존 펀드들과 차별성이 없고, 수익도 제대로 못 내고 있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ESG 펀드가 일반 주식형 펀드와 별 차이가 없는 건 벤치마크 때문이다. 기존의 ESG펀드는 코스피 지수를 비교지수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공인된 ESG 지수가 없기 때문이다. ESG를 포함한 국내 SRI(사회책임투자) 펀드는 최근 1년 새 38개에서 51개로 급증했지만 진짜 ESG펀드를 구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이렇게 코스피를 비교지수로 삼을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보니 시장 수익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려고 ESG와 별 상관이 없는 대형 우량주를 담고 있다. 운용업계 관계자들은 “ESG 평가에 대한 정립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투자상품을 만들어내다 보니 수익률을 낼 수 있는 대표주들에 치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ESG 인증평가가 자리잡으면 ‘그린워싱’의 흐름에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 ESG 인증평가가 투자 지표로 활용되기 시작하면 펀드 운용사도 코스피 위주의 벤치마크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코스피를 추종하는 운용 전략은 펀드 조달 자금의 사용처인 투자 종목이 ESG 가이드라인과 무관할 경우 후한 점수를 따기 어려울 수 밖에 없다. 다만 ESG 인증평가기관들이 ESG워싱을 가려낼 만큼 충분한 전문적 역량을 갖추는 게 관건이다. 국내 인증평가기관들은 ESG 전문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ESG인증평가도 마케팅을 위한 수단에 불과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하나은행은 일반적인 은행들과 다른 역사를 가진 금융사다. 하나은행은 1971년 한국투자금융으로부터 시작됐다. 순수 민간자본으로 만들어진 금융기관인 한국투자금융은 1991년 은행업 인가를 받은 후 하나은행으로 다시 태어났다.  하나은행은 실질적으로 한국투자금융에서 시작됐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 충청은행과 보람은행, 서울은행까지 잇따라 M&A에 성공하면서 규모를 키웠다. 이렇게 주력인 은행 규모가 커지자 증권과 생명보험, 캐피탈, 카드사업 등의 비은행부문 계열사들을 확대해 나가며 하나금융그룹으로 발돋움했다. 지속적으로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진행해 온 하나금융그룹은 2000년대부터 해외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종합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이후 2015년 외환은행과 통합 출범하면서 하나은행은 국내 4대 은행 대열에 올라섰다. 현재는 더케이손보를 인수하면서 손보업까지도 아우르는 대형 그룹이 됐다. 하나금융그룹, 미래 성장 전략은 ESG 경영 강화 “주주의 이익과 손님, 사회, 구성원의 성장이 생존 전략”이라는 하나금융그룹 김정태 회장의 철학에 따라, 그룹의 향후 전략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강화'로 모아졌다. 하나금융그룹의 미래를 ESG경영으로 완성시켜 나가겠다는 포부다. 이를 위해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플랫폼과 글로벌, ESG를 3대 성장 전략으로 내세웠다. 그간 그룹이 성장 전략으로 고집해 왔던 글로벌과 디지털이 ESG로 한 순간에 변화된 것은 다소 획기적인 변화로 평가된다. 최근에는 '그룹 ESG 경영 TFT(팀 태스크포스)' 설치해 중장기 ESG 전략을 수립했다. 최고경영진이 비재무적 ESG 관련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조직과 프로그램을 개편하고, 그룹사 별로 전담 조직을 지정해 핵심성과지표인 KPI에 ESG 항목을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했다. 현재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ESG 과제는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를 위한 환경경영 시스템 도입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도입 ▲지속가능 친환경 금융상품 분류체계 정비 ▲TCFD(기후변화, 재무정보 공개 태스크포스) 가이드라인 도입 등이다. 앞서 하나은행은 지난해 연말 ‘NEXT 2030, Big Step’ 전략 추진을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ESG 전담 부서를 신설했다. 고객 우선 경영 지원을 위해 기존에 기획‧예산을 담당하던 경영기획그룹과 인사‧업무지원을 담당하는 경영지원그룹을 통합해 ‘경영기획&지원그룹’을 신설했고, 그룹 내에 전담부서인 'ESG기획 섹션‘을 신설했다. 사회적 금융 역할 수행에 더욱 집중한다는 것이 목표다. 환경경영 최우선 과제로 우선은 글로벌 과제로 떠오른 환경경영을 앞세웠다. ‘2050 탄소중립’ 정책을 반영하고, 탄소 배출량을 최소화 시킨다는 것이 중장기적인 목표다. 하나금융지주와 하나은행은 2018년부터 환경 경영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최근 간접적 온실가스배출인 스코프(scope)3 배출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TCFD(기후재무정보공개) 가이드라인을 반영해 비재무 정보 공개 영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을 세웠다. 또 지속가능한 친환경 금융상품도 여러 가지로 선보였다. ‘에너지이용합리화자금 대출’ ‘환경개선지원자금 대출’과 태양광사업 지원 상품인 ‘하나솔라론’이 그것이다. 또 바이오매스·수력·연료전지·태양광·풍력 등에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기업에 대한 여신 기준에도 친환경적인 지표에 중점을 뒀다. 하나은행은 ▲인간의 건강, 안전 또는 환경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것으로 확인된 상품을 제조, 유통하거나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와 ▲탄소나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기업에는 여신을 제한하는 내부 기준을 세웠다.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온실가스 저감, 탄소중립 등의 친환경 경영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지속가능한 가치 실현 위한 사회·지배구조 전략 기업활동 전 영역에 ESG 철학을 도입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하나은행은 업무 체계의 중심을 부서에서 팀(Unit) 중심으로 전환해 의사결정 구조를 ‘팀 리더-임원-CEO’로 간소화하는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수직적인 조직이 아닌 수평 조직으로서, 더욱 빠른 의사 결정과 다양한 아이디어 활용, 높은 효율성 등을 위해서다. 기존에는 부서장이 가지고 있던 전결권도 팀 리더에게로 넘어갔다. 사회·지배구조 전략에 있어서도 글로벌 스탠다드화를 추구하고 있다. UN SDGs(지속가능발전목표)를 연계, UNEP FI의 책임은행 원칙을 실천함으로 글로벌 원칙 및 가치를 반영하고 있으며, 일자리 창출, 미래인재양성, 웰빙문화 조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핵심 경영원칙 중 하나로 윤리·준법 경영을 내세웠다. 지난 2016년 새로운 윤리강령인 코드원(Code One)을 선포한 이후 2017년 12월 '인권선언문'을 제정·시행한 바 있다. 2019년에는 금융권 최초로 준법 및 부패방지 경영시스템(ISO19600 & ISO37001) 국제 표준 인증을 동시에 획득했다. 라임·옵티머스 펀드 관련 제재심 주목 ESG 측면에서 넘어야할 과제도 많다. 대표적으로 하나은행은 현재 라임·옵티머스 사태의 영향으로 금감원의 제재심을 받고 있다. 또 헤리티지(독일)·디스커버리·헬스케어(이탈리아) 펀드의 환매 중단 사태에 대해서도 분쟁조정위와 제재심을 거쳐야 하는 등 최근 판매한 펀드들에서 잇달아 말썽을 일으키고 있다.  라임 펀드 사태는 지난 2019년 국내 최대 헤지펀드인 라임자산운용이 모펀드 4개, 자펀드 173개(총 1조 6679억원)에 대해 환매중단을 선언하면서 폰지사기, 수익률 조작, 불완전판매 등의 불법행위에 연루됐다는 의혹으로 당시 큰 파장을 불러왔다. 하나은행도 871억원의 라임 펀드를 판매해 금감원의 제재를 앞두고 있다. 옵티머스 펀드 사태는 지난해 옵티머스자산운용이 NH투자증권 등 증권사 등의 판매사를 통해 투자자 2900여명으로부터 안정적인 정부채권에 투자한다며 1조 2000억원을 유치한 뒤, 실제로는 부실기업 채권에 투자했다가 5500억원을 날려 환매중단 사태를 일으킨 사건이다. 여기에도 하나은행이 수탁사로 참여했다가 금감원의 제재심에 올라있다.   금융권은 하나은행이 분쟁조정위원회의 결정을 받아들여 제재감경 절차를 밟을 것인지 주목하고 있다. 아울러 이번 사태의 처리 향방이 하나은행의 ESG 드라이브 전략에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541
기업·거버넌스
[우리 회사 ESG] ④미래에셋증권 , ESG 리딩 증권사로 '우뚝'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medium
3-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KT(대표 구현모)는 1981년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출범해 2009년 이동통신 자회사인 KTF 합병 후 이동통신, 인터넷, 유선전화 등의 통신사업과 미디어/콘텐츠, 금융, 부동산, 기업 솔루션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는 국내 최대 종합 통신사업자로 성장했다. 2019년 KT는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 했고, 전국 85개 시로 커버리지를 확대하면서 5G 가입자 수를 일반 무선전화 가입자의 약 10% 수준인 141만 명까지 늘리는 저력을 과시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지능형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AI, VR/AR, 블록체인, 커넥티드 카 등 미래 융합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사업화하기 위해 현재도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중이다. KT가 밝힌 비전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임직원 수만 2만3천명에 이르며, 영업수익은 24조가 넘는다. 통신업계 최초 지속가능경영위원회 설립 KT의 핵심 비전은 꾸준히 ‘고객 중심’, ‘주인정신’, ‘소통과 협업’, ‘본질과 과정’이었다. 이는 현재 기업들의 숙제로 떠오른 ESG 경영과 거의 일치한다. 실제 ESG 경영의 선두기업이라고 해도 과장이 없다. KT는 2016년 4월, 국내 통신업계 최초로 이사회 내에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립했으며, 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전담실행 조직인 지속가능경영단을 운영하고 있다. 또 국제 지속가능성 보고 가이드라인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 100-400 기준을 중심으로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의 IR 프레임워크 방법론을 참조하여 매년 지속가능경영 주요 이슈를 선정하고 경영에 반영하고 있다. 또 중대성 평가를 통해 선정된 30개 지속가능성 이슈 전체를 통합보고서를 통해 보고하고 있으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경영 활동에 반영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KT 사업에 미치는 영향력 및 이해관계자 영향력 관점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상위 이슈들에 대해 대내외 경영 환경과 KT의 대응 전략, 장기 목표에 대해서는 별도로 공개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KT는 올해 “고객의 삶의 변화와 다른 산업의 혁신을 리딩하여 대한민국 발전에 기여한다”라는 새로운 비전을 수립하였으며, 새로운 비전 아래 더욱 신뢰받는 기업이 되기 위해 다양한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AI 기술을 활용해 목소리를 복원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정부의 디지털 포용 정책에 발맞추어 국내 최초의 프로보노 활동인 IT서포터즈를 AI서포터즈로 탈바꿈한 것등도 이에 속한다. 특히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구호물품 및 통신장비를 지원하고, 119 대원들에게 ‘사랑의 밥차’를 제공하는 한편,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사랑의 도시락’ 지원 활동을 펼치며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활동도 꾸준히 진행 중이다. 또한, 케냐·가나·라오스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중 보건 개선에 기여해온 KT의 ‘감염병 확산방지 플랫폼(GEPP)’은 이제 ‘스마트 검역시스템’으로 질병관리본부가 도입하여, 코로나19 확산에 맞서 대한민국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지속가능경제 분야 선한 영향력 KT는 매년 전사 협업을 통한 에너지 절감을 실시하여 친환경 분야에서도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에서 3년 연속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또한 KT는 주요 경영 현황과 중장기 전략, 경제적 수익성, 사회적 책임성, 환경적 건전성을 통합적으로 보고하기 위해, 2006년부터 매년 연차보고서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합한 ‘통합보고서(Integrated Report)’를 발간하고 있다. KT 통합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영보고 지침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G4 가이드라인의 포괄적 부합 기준을 준수하며,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의 통합보고 프레임워크를 반영하여 발간된다. 올해는 1200억원 규모의 3년·5년 만기 ESG 채권을 발행할 계획도 밝혔다. ESG 채권 중 친환경 사업을 위한 녹색채권과 사회가치 창출 사업을 위한 사회적채권의 혼합형 채권인 ‘지속가능채권’으로, 인터넷 데이터센터(IDC) 에너지 효율 관련 투자와 녹색 건축 등급을 인증 받은 부동산 개발 사업, 중소∙벤처기업 지원이 목적이다. 또 국제무대에서 지속가능한 5G 네트워크 전력 절감 기술도 제안했다. KT는 국제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 3GPP가 주최하는 5G-어드밴스드 워크숍에서 차기 5G 기술의 명칭을 ‘5G-Advanced’(5G-어드밴스드)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AI 소비전력 제어 효율화 기술 △클라우드 활용 자원관리 기술 업링크 성능 및 실내 커버리지 개선 등 '5G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진화방향' △ B2B 특화 non-eMBB 등을 소개했다. 이러한 기술은 LTE보다 소비전력이 매우 많은 5G 네트워크 시설의 전력 소비량을 대폭 줄여 탄소배출량을 절감하고 통신산업의 ESG 경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배구조 분야 평가도 호평 일색이다. 지난해 기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주관 ESG 평가에서 지배구조 부문 및 ESG 종합 등급 A+를 획득했다. 환경부문에서는 A, 사회부문 A 등급을 획득했다. 10기가 인터넷 속도 논란, 수면 위로 최근에는 한 유명 IT 유튜버의 발언으로 인해, KT 지속가능경영 전략에 손실이 생겼다. 유튜버의 발언에서 촉발된 KT의 10Gbps(초당 기가비트) 인터넷 속도 저하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고, 그 여파가 통신업계 전체로 퍼졌다. 국회는 지난 22일 소관 상임위 전체회의를 열고 소관 부처에 면밀한 실태조사와 실질적인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 3사 전수조사를 약속했다. 이로 인해 KT는 우선적인 조사 대상이 됐고, 이어 SK브로드밴드와 LG유플러스도 전수조사가 시행될 전망이다. 김현 방통위 부위원장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현장 상황을 검토하고, 법적 문제가 발견될 경우 제대로 대처해 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하나금융그룹(회장 김정태)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하는 ‘2021년 ESG평가’에서 4년 연속 종합 A등급을 획득했다. 근로자, 소비자 보호 활동, 지역사회 환원 등을 평가하는 S(사회)분야에서 A+ 등급을 받았고, 지배구조(G)와 환경(E) 분야에서는 모두 A등급을 받았다. ESG 경영 차원 석탄금융 퇴출 하나금융그룹은 ‘Big Step for Tomorrow’라는 ESG 비전을 목표로 ESG경영 실천에 나섰다. 비전에 따라 중장기 추진 목표 '2030&60'과 'ZERO&ZERO'를 수립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첫 번째 ESG 중장기 목표 '2030&60'은 오는 2030년까지 향후 10년간 환경·지속가능 부문에 대한 총 60조원 ESG 금융 조달과 공급을 목표로 한다. ESG 채권 발행 25조원, ESG 여신 25조원, ESG 투자 10조원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회 문제 해결과 친환경 사업에 광범위한 ESG 금융지원을 추진한다. 또 2050년까지 그룹 사업장 탄소배출량 'ZERO'와 석탄 프로젝트금융 'ZERO'를 이행하기 위한 'ZERO&ZERO'를 전략적 목표로 추진한다. 향후 30년 동안 그룹 모든 관계사가 참여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석탄 프로젝트금융(석탄PF) 잔액을 'ZERO'로 감소시킬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3월 탄소중립 및 탈석탄 선언을 통해 저탄소경제로의 전환을 선포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올해 적도원칙 가입을 목표로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체계(Environmental and Social Risk Management)를 구축하고 하나금융그룹 자체 지속가능금융 프레임워크를 제정하고 7월 발표를 완료했다. 3월 탈석탄을 선언한 이래 국내외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채권 인수 등의 사업은 전면 중단했다. ESG본부 신설, 친환경 산업 도우미 자처 하나금융투자는 그룹차원의 ESG 경영전략에 따라, 구체적인 실천과제와 이행방안을 수립하고 실천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대표이사 직속으로 ESG 정책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본부를 신설하고 예하 조직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과 지속 가능 경영 계획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기획팀을 꾸렸다. ESG 관련 투자와 상품·서비스 확대 등을 통해 지속 가능 경영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자산군에 대한 운용역량을 갖춘 조직을 기반으로 배출권 운용 전담 부서를 구성, 국내 ESG 시장에서 저변을 확대하고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주도적으로 시작한다. 또 국내 친환경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풍력, 수소연료전지,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시장 확대를 위한 투자 및 자본 유치 기회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여 여수, 동두천, 창녕, 곡성 등 4개 사업장을 가진 국내 최대 폐기물 처리장 개발사업에 투자한데 이어 폐수처리업체 지분인수, 바이오매스 열병합발전 및 폐기물처리사업자 투자 등 친환경 산업에 대한 투자도 확대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전남 태양광 발전 개발 사업 대출, 연료전지업체 및 풍력발전설비업체 투자 등 친환경에너지 산업 투자를 수행 중이며, 스페인과 호주, 일본의 태양광 발전시설 지분인수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신재생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수주 실적을 쌓으며 ESG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적잖은 구설수, 투자자 신뢰는 ’빨간불' 한편, 하나금융투자가 해결해야 할 치부도 아직은 곳곳에서 노출되고 있다.  검찰은 최근 이진국 전 하나금융투자 대표의 주식 선행매매 의혹과 관련해 압수수색에 나섰다. 올해 1월 금융감독원이 이 전 대표의 선행매매 혐의를 포착하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바 있다. 당시 금감원은 2017~2019년까지 3년 간 하나금투 운용 담당 직원이 관리한 이 전 대표 명의 증권계좌에서 미공개 내부 정보를 이용한 것으로 의심되는 거래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스닥 상장사 관련 하나금투의 기업분석 보고서가 시중에 배포되기 전 해당 주식을 사들인 정황 등이 포착된 것이다. 자본시장법 제54조(직무관련 정보의 이용 금지)에 따르면 금융투자회사 임직원은 직무상 알게 된 정보나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정보를 정당한 사유 없이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해 이용해서는 안 된다. 이를 위반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다. 금감원 특별사법경찰(특사경)이 주도하는 이번 수사는 2019년 1000억원의 투자자 피해가 예상되는 파생결합상품(DLS)의 '발행사'로 지목된 데 이어, 불공정·선행매매 혐의로 촉발됐다. 리서치센터 소속 한 연구원이 보고서가 외부에 발표되기 전 미리 주식을 매수하는 방식으로 불공정한 차익을 올렸다는 혐의로 압수수색을 받았다. 하나금융투자는 2019년에도 영국-미국CMS(Constant Maturity Swap;일명 파운드 파생)금리를 활용한 DLS와 관련, 리스크관리본부의 검토를 받지 않은 장외파생상품 사모 거래의 경우, 신규 상품이 아니면 리스크관리본부의 사후 합의로 거래가 가능하다는 '내부 규정'을 활용한 것으로 드러나 구설수에 오른 바 있다. 또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계열사 임·직원의 잇단 성희롱 관련 논란으로 몸살을 앓기도 했다. 장경훈 하나카드 사장이 공식 회의 자리에서 여성혐오적 표현 및 폭언으로 물의를 빚은 데 이어, 하나은행 한 지점장은 여성 대출 고객에게 술자리를 강요해 논란이 불거졌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홈쇼핑 업계의 중소 거래기업에 대한 '갑질병'이 또 불거졌다. 약자에 대해 우월적인 지위를 휘두르는 전형적인 '납품 갑질'  행태는 홈쇼핑업계의 고질적인 병폐다.  6일 공정위에 따르면 GS숍, 롯데홈쇼핑, NS홈쇼핑 등 TV홈쇼핑업체 전부를 망라한 7개 업체는 대규모 유통업법을 위반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1억 4600만원을 부과받았다. 해당 업체는 GS SHOP과 롯데홈쇼핑·NS홈쇼핑·CJ온스타일·현대홈쇼핑·홈앤쇼핑·공영쇼핑이다. 과징금은 GS샵이 10억20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롯데홈쇼핑(6억4000만원), NS홈쇼핑(6억원), CJ온스타일(5억9000만원), 현대홈쇼핑(5억8000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 대상으로만 운영하는 홈앤쇼핑과 공영쇼핑도 2억원 이상 과징금이 부과됐다. 이들 업체는 납품업자로부터 30%에 달하는 수수료를 받으면서도 판촉행사나 방송에 필요한 사은품 비용 등을 추가로 전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위 조사결과 홈쇼핑 업체들은 방송에 필요한 방송게스트나 시연모델, 방청객을 동원하는데 드는 비용까지 납품업체에 떠넘겼다. 또 납품업자에게 서면 계약서를 일부러 늦게 주거나 상품판매대금을 제 때 맞춰 결제하지 않는 등의 ‘갑질’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GS샵은 정당한 사유 없이 직매입 재고 상품을 납품업자에 반품한 사실도 드러났다. CJ온스타일 등 4개 홈쇼핑사는 납품업체에 거래 품목, 수수료 등 거래조건이 명시된 계약서를 주지 않거나 늦게 교부했다. 현대홈쇼핑은 직매입 상품에 대한 양품화(반품을 재수선후 판매) 작업을 납품업자에게 위탁하고 작업비용을 지급하지 않았다. ‘납품 갑질’로 2015년에도 역대급 과징금 홈쇼핑 업체들은 납품업체들에 대한 '갑질'로 빈번하게 제재를 받고 있으나 그 폐해를 근절하지 못하고 있다. 중소 납품업체에 대한 불공정 거래 강요나 비용 떠넘기기, 과도한 PPL, 대기업 상품 위주의 방송 편성 등의 문제는 국정감사 단골메뉴다. 홈쇼핑업계는 2014년에는 공정거래 관련법을 가장 많이 위반한 유통업체 상위 10개에 전체 홈쇼핑 업체 6개가 모두 이름을 올렸다. 당시에 문제가 된 홈쇼핑 채널은 GS홈쇼핑(GS샵), CJ오쇼핑, 현대홈쇼핑, 롯데홈쇼핑, NS홈쇼핑, 홈앤쇼핑 등이다. 이번에 적발된 홈쇼핑 업체 가운데 6곳은 2015년에도 역시 갑질로 제재를 받았다. 지난 2015년 공정위는 TV홈쇼핑들의 이른바 '갑질'행위를 광범위하게 적발해 GS SHOP 등 6개 홈쇼핑 업체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모두 143억원이 넘는 역대급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이 역시 현대홈쇼핑, GS홈쇼핑, 롯데홈쇼핑, CJ오쇼핑, 홈앤쇼핑, NS홈쇼핑 등이다. 또 지난해 초에는 온라인쇼핑 사업자인 ㈜신세계와 ㈜우리홈쇼핑(채널명 롯데홈쇼핑)이 소비자가 제품 포장을 개봉하면 반품이 불가하다고 고지하는 등 소비자의 청약철회를 방해한 행위에 대해서 시정조치를 받았다. 홈쇼핑업계의 납품업자 등의 갑질 피해에 대해서는 올해 초 서면 조사도 진행된 바 있다. 공정위는 3월 '2020년 유통분야 서면실태조사' 결과를 발표, TV홈쇼핑에서의 갑질 피해가 상대적으로 많다고 지적했다. 당시 조사에서도 상품판매대금 미·지연 지급, 상품 반품, 판촉비 전가, 배타적거래 요구, 판매장려금(경제적 이익) 제공 요구, 불이익 제공 등 항목에서 거래 행태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방통위 홈쇼핑채널 재심사 실효성 의문 한편, 홈쇼핑 업체들은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5년마다 재승인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런 '납품 갑질'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업체들이 무사통과하고 있어 심사의 실효성에 의문이 일고 있다. 올해 방통위 재심사를 받은 롯데홈쇼핑과 홈앤쇼핑은 당초 법적 제재 등 감점 요인이 많아 탈락 예상도 있었으나 무난히 5년간 사업 승인을 받아냈다.  방통위의 주요 심사항목을 살펴보면 ▲방송평가위원회 방송평가 결과(100점) ▲공정거래 관행 정착 및 중소기업 활성화 기여 실적 및 계획의 우수성(260점) ▲방송의 공적책임 및 사회문화적 필요성과 타당성(120점) ▲시청자 ·소비자 권익보호 실적 및 계획 (100점) 등이다. 총 1000점 만점으로 65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특히 공정거래 관행 정착 및 중소기업 활성화 배점이 260점으로 매우 높은데도 불구하고 '납품 갑질'을 방치하고 있는 것은 관계 당국의 직무유기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홈쇼핑업계 'ESG 경영' 평가는 ‘우수’ 이런 반복된 갑질은  최근 홈쇼핑업계에서 강조하고 있는 ESG 경영과 상반돼 눈총을 받고 있다. 7월 GS홈쇼핑과 합병한 GS 리테일은 지난 6월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표했으며,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1년도 ESG 평가에서 전년도에 비해 한 단계 상향된 'A'를 받았다. GS홈쇼핑은 KCGS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 및 등급 공표’ 결과에서 우수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 또 현대홈쇼핑은 KCGS ESG 평가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통합 A등급을 받았으며, 글로벌 ESG 경영평가 지표로 알려진 ‘SDGBI(UN지속가능개발목표경영지수)’ 2021 리스트에도 2년 연속 선정됐다. NS쇼핑 역시 KCGS ESG 평가에서는 통합 A등급을 받았다. 롯데쇼핑은 KCGS 평가 통합 A등급에 사회부문 A+ 등급을 받았다. 롯데쇼핑의 경우에는 최근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한 ‘2021년 대한민국 지속가능성 대회’에서 2년 연속 홈쇼핑 부문 우수기업 1위를 수상했다. CJ오쇼핑도 '착한 손잡이' 배송 박스를 도입했고, 홈앤쇼핑은 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한 프로젝트 ‘지구를 지켜줘’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 ESG 경영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홈쇼핑업계가 ESG경영의 진정성을 인정받으려면 납품 갑질부터 스스로 근절해야 할 것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541
기업·거버넌스
[우리 회사 ESG] ④미래에셋증권 , ESG 리딩 증권사로 '우뚝'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medium
3-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홈쇼핑 업계의 중소 거래기업에 대한 '갑질병'이 또 불거졌다. 약자에 대해 우월적인 지위를 휘두르는 전형적인 '납품 갑질'  행태는 홈쇼핑업계의 고질적인 병폐다.  6일 공정위에 따르면 GS숍, 롯데홈쇼핑, NS홈쇼핑 등 TV홈쇼핑업체 전부를 망라한 7개 업체는 대규모 유통업법을 위반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1억 4600만원을 부과받았다. 해당 업체는 GS SHOP과 롯데홈쇼핑·NS홈쇼핑·CJ온스타일·현대홈쇼핑·홈앤쇼핑·공영쇼핑이다. 과징금은 GS샵이 10억20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롯데홈쇼핑(6억4000만원), NS홈쇼핑(6억원), CJ온스타일(5억9000만원), 현대홈쇼핑(5억8000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 대상으로만 운영하는 홈앤쇼핑과 공영쇼핑도 2억원 이상 과징금이 부과됐다. 이들 업체는 납품업자로부터 30%에 달하는 수수료를 받으면서도 판촉행사나 방송에 필요한 사은품 비용 등을 추가로 전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위 조사결과 홈쇼핑 업체들은 방송에 필요한 방송게스트나 시연모델, 방청객을 동원하는데 드는 비용까지 납품업체에 떠넘겼다. 또 납품업자에게 서면 계약서를 일부러 늦게 주거나 상품판매대금을 제 때 맞춰 결제하지 않는 등의 ‘갑질’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GS샵은 정당한 사유 없이 직매입 재고 상품을 납품업자에 반품한 사실도 드러났다. CJ온스타일 등 4개 홈쇼핑사는 납품업체에 거래 품목, 수수료 등 거래조건이 명시된 계약서를 주지 않거나 늦게 교부했다. 현대홈쇼핑은 직매입 상품에 대한 양품화(반품을 재수선후 판매) 작업을 납품업자에게 위탁하고 작업비용을 지급하지 않았다. ‘납품 갑질’로 2015년에도 역대급 과징금 홈쇼핑 업체들은 납품업체들에 대한 '갑질'로 빈번하게 제재를 받고 있으나 그 폐해를 근절하지 못하고 있다. 중소 납품업체에 대한 불공정 거래 강요나 비용 떠넘기기, 과도한 PPL, 대기업 상품 위주의 방송 편성 등의 문제는 국정감사 단골메뉴다. 홈쇼핑업계는 2014년에는 공정거래 관련법을 가장 많이 위반한 유통업체 상위 10개에 전체 홈쇼핑 업체 6개가 모두 이름을 올렸다. 당시에 문제가 된 홈쇼핑 채널은 GS홈쇼핑(GS샵), CJ오쇼핑, 현대홈쇼핑, 롯데홈쇼핑, NS홈쇼핑, 홈앤쇼핑 등이다. 이번에 적발된 홈쇼핑 업체 가운데 6곳은 2015년에도 역시 갑질로 제재를 받았다. 지난 2015년 공정위는 TV홈쇼핑들의 이른바 '갑질'행위를 광범위하게 적발해 GS SHOP 등 6개 홈쇼핑 업체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모두 143억원이 넘는 역대급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이 역시 현대홈쇼핑, GS홈쇼핑, 롯데홈쇼핑, CJ오쇼핑, 홈앤쇼핑, NS홈쇼핑 등이다. 또 지난해 초에는 온라인쇼핑 사업자인 ㈜신세계와 ㈜우리홈쇼핑(채널명 롯데홈쇼핑)이 소비자가 제품 포장을 개봉하면 반품이 불가하다고 고지하는 등 소비자의 청약철회를 방해한 행위에 대해서 시정조치를 받았다. 홈쇼핑업계의 납품업자 등의 갑질 피해에 대해서는 올해 초 서면 조사도 진행된 바 있다. 공정위는 3월 '2020년 유통분야 서면실태조사' 결과를 발표, TV홈쇼핑에서의 갑질 피해가 상대적으로 많다고 지적했다. 당시 조사에서도 상품판매대금 미·지연 지급, 상품 반품, 판촉비 전가, 배타적거래 요구, 판매장려금(경제적 이익) 제공 요구, 불이익 제공 등 항목에서 거래 행태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방통위 홈쇼핑채널 재심사 실효성 의문 한편, 홈쇼핑 업체들은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5년마다 재승인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런 '납품 갑질'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업체들이 무사통과하고 있어 심사의 실효성에 의문이 일고 있다. 올해 방통위 재심사를 받은 롯데홈쇼핑과 홈앤쇼핑은 당초 법적 제재 등 감점 요인이 많아 탈락 예상도 있었으나 무난히 5년간 사업 승인을 받아냈다.  방통위의 주요 심사항목을 살펴보면 ▲방송평가위원회 방송평가 결과(100점) ▲공정거래 관행 정착 및 중소기업 활성화 기여 실적 및 계획의 우수성(260점) ▲방송의 공적책임 및 사회문화적 필요성과 타당성(120점) ▲시청자 ·소비자 권익보호 실적 및 계획 (100점) 등이다. 총 1000점 만점으로 65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특히 공정거래 관행 정착 및 중소기업 활성화 배점이 260점으로 매우 높은데도 불구하고 '납품 갑질'을 방치하고 있는 것은 관계 당국의 직무유기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홈쇼핑업계 'ESG 경영' 평가는 ‘우수’ 이런 반복된 갑질은  최근 홈쇼핑업계에서 강조하고 있는 ESG 경영과 상반돼 눈총을 받고 있다. 7월 GS홈쇼핑과 합병한 GS 리테일은 지난 6월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표했으며,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1년도 ESG 평가에서 전년도에 비해 한 단계 상향된 'A'를 받았다. GS홈쇼핑은 KCGS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 및 등급 공표’ 결과에서 우수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 또 현대홈쇼핑은 KCGS ESG 평가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통합 A등급을 받았으며, 글로벌 ESG 경영평가 지표로 알려진 ‘SDGBI(UN지속가능개발목표경영지수)’ 2021 리스트에도 2년 연속 선정됐다. NS쇼핑 역시 KCGS ESG 평가에서는 통합 A등급을 받았다. 롯데쇼핑은 KCGS 평가 통합 A등급에 사회부문 A+ 등급을 받았다. 롯데쇼핑의 경우에는 최근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한 ‘2021년 대한민국 지속가능성 대회’에서 2년 연속 홈쇼핑 부문 우수기업 1위를 수상했다. CJ오쇼핑도 '착한 손잡이' 배송 박스를 도입했고, 홈앤쇼핑은 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한 프로젝트 ‘지구를 지켜줘’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 ESG 경영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홈쇼핑업계가 ESG경영의 진정성을 인정받으려면 납품 갑질부터 스스로 근절해야 할 것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하나금융그룹(회장 김정태)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하는 ‘2021년 ESG평가’에서 4년 연속 종합 A등급을 획득했다. 근로자, 소비자 보호 활동, 지역사회 환원 등을 평가하는 S(사회)분야에서 A+ 등급을 받았고, 지배구조(G)와 환경(E) 분야에서는 모두 A등급을 받았다. ESG 경영 차원 석탄금융 퇴출 하나금융그룹은 ‘Big Step for Tomorrow’라는 ESG 비전을 목표로 ESG경영 실천에 나섰다. 비전에 따라 중장기 추진 목표 '2030&60'과 'ZERO&ZERO'를 수립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첫 번째 ESG 중장기 목표 '2030&60'은 오는 2030년까지 향후 10년간 환경·지속가능 부문에 대한 총 60조원 ESG 금융 조달과 공급을 목표로 한다. ESG 채권 발행 25조원, ESG 여신 25조원, ESG 투자 10조원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회 문제 해결과 친환경 사업에 광범위한 ESG 금융지원을 추진한다. 또 2050년까지 그룹 사업장 탄소배출량 'ZERO'와 석탄 프로젝트금융 'ZERO'를 이행하기 위한 'ZERO&ZERO'를 전략적 목표로 추진한다. 향후 30년 동안 그룹 모든 관계사가 참여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석탄 프로젝트금융(석탄PF) 잔액을 'ZERO'로 감소시킬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3월 탄소중립 및 탈석탄 선언을 통해 저탄소경제로의 전환을 선포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올해 적도원칙 가입을 목표로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체계(Environmental and Social Risk Management)를 구축하고 하나금융그룹 자체 지속가능금융 프레임워크를 제정하고 7월 발표를 완료했다. 3월 탈석탄을 선언한 이래 국내외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채권 인수 등의 사업은 전면 중단했다. ESG본부 신설, 친환경 산업 도우미 자처 하나금융투자는 그룹차원의 ESG 경영전략에 따라, 구체적인 실천과제와 이행방안을 수립하고 실천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대표이사 직속으로 ESG 정책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본부를 신설하고 예하 조직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과 지속 가능 경영 계획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기획팀을 꾸렸다. ESG 관련 투자와 상품·서비스 확대 등을 통해 지속 가능 경영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자산군에 대한 운용역량을 갖춘 조직을 기반으로 배출권 운용 전담 부서를 구성, 국내 ESG 시장에서 저변을 확대하고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주도적으로 시작한다. 또 국내 친환경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풍력, 수소연료전지,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시장 확대를 위한 투자 및 자본 유치 기회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여 여수, 동두천, 창녕, 곡성 등 4개 사업장을 가진 국내 최대 폐기물 처리장 개발사업에 투자한데 이어 폐수처리업체 지분인수, 바이오매스 열병합발전 및 폐기물처리사업자 투자 등 친환경 산업에 대한 투자도 확대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전남 태양광 발전 개발 사업 대출, 연료전지업체 및 풍력발전설비업체 투자 등 친환경에너지 산업 투자를 수행 중이며, 스페인과 호주, 일본의 태양광 발전시설 지분인수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신재생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수주 실적을 쌓으며 ESG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적잖은 구설수, 투자자 신뢰는 ’빨간불' 한편, 하나금융투자가 해결해야 할 치부도 아직은 곳곳에서 노출되고 있다.  검찰은 최근 이진국 전 하나금융투자 대표의 주식 선행매매 의혹과 관련해 압수수색에 나섰다. 올해 1월 금융감독원이 이 전 대표의 선행매매 혐의를 포착하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바 있다. 당시 금감원은 2017~2019년까지 3년 간 하나금투 운용 담당 직원이 관리한 이 전 대표 명의 증권계좌에서 미공개 내부 정보를 이용한 것으로 의심되는 거래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스닥 상장사 관련 하나금투의 기업분석 보고서가 시중에 배포되기 전 해당 주식을 사들인 정황 등이 포착된 것이다. 자본시장법 제54조(직무관련 정보의 이용 금지)에 따르면 금융투자회사 임직원은 직무상 알게 된 정보나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정보를 정당한 사유 없이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해 이용해서는 안 된다. 이를 위반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다. 금감원 특별사법경찰(특사경)이 주도하는 이번 수사는 2019년 1000억원의 투자자 피해가 예상되는 파생결합상품(DLS)의 '발행사'로 지목된 데 이어, 불공정·선행매매 혐의로 촉발됐다. 리서치센터 소속 한 연구원이 보고서가 외부에 발표되기 전 미리 주식을 매수하는 방식으로 불공정한 차익을 올렸다는 혐의로 압수수색을 받았다. 하나금융투자는 2019년에도 영국-미국CMS(Constant Maturity Swap;일명 파운드 파생)금리를 활용한 DLS와 관련, 리스크관리본부의 검토를 받지 않은 장외파생상품 사모 거래의 경우, 신규 상품이 아니면 리스크관리본부의 사후 합의로 거래가 가능하다는 '내부 규정'을 활용한 것으로 드러나 구설수에 오른 바 있다. 또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계열사 임·직원의 잇단 성희롱 관련 논란으로 몸살을 앓기도 했다. 장경훈 하나카드 사장이 공식 회의 자리에서 여성혐오적 표현 및 폭언으로 물의를 빚은 데 이어, 하나은행 한 지점장은 여성 대출 고객에게 술자리를 강요해 논란이 불거졌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KT(대표 구현모)는 1981년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출범해 2009년 이동통신 자회사인 KTF 합병 후 이동통신, 인터넷, 유선전화 등의 통신사업과 미디어/콘텐츠, 금융, 부동산, 기업 솔루션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는 국내 최대 종합 통신사업자로 성장했다. 2019년 KT는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 했고, 전국 85개 시로 커버리지를 확대하면서 5G 가입자 수를 일반 무선전화 가입자의 약 10% 수준인 141만 명까지 늘리는 저력을 과시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지능형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AI, VR/AR, 블록체인, 커넥티드 카 등 미래 융합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사업화하기 위해 현재도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중이다. KT가 밝힌 비전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임직원 수만 2만3천명에 이르며, 영업수익은 24조가 넘는다. 통신업계 최초 지속가능경영위원회 설립 KT의 핵심 비전은 꾸준히 ‘고객 중심’, ‘주인정신’, ‘소통과 협업’, ‘본질과 과정’이었다. 이는 현재 기업들의 숙제로 떠오른 ESG 경영과 거의 일치한다. 실제 ESG 경영의 선두기업이라고 해도 과장이 없다. KT는 2016년 4월, 국내 통신업계 최초로 이사회 내에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립했으며, 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전담실행 조직인 지속가능경영단을 운영하고 있다. 또 국제 지속가능성 보고 가이드라인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 100-400 기준을 중심으로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의 IR 프레임워크 방법론을 참조하여 매년 지속가능경영 주요 이슈를 선정하고 경영에 반영하고 있다. 또 중대성 평가를 통해 선정된 30개 지속가능성 이슈 전체를 통합보고서를 통해 보고하고 있으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경영 활동에 반영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KT 사업에 미치는 영향력 및 이해관계자 영향력 관점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상위 이슈들에 대해 대내외 경영 환경과 KT의 대응 전략, 장기 목표에 대해서는 별도로 공개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KT는 올해 “고객의 삶의 변화와 다른 산업의 혁신을 리딩하여 대한민국 발전에 기여한다”라는 새로운 비전을 수립하였으며, 새로운 비전 아래 더욱 신뢰받는 기업이 되기 위해 다양한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AI 기술을 활용해 목소리를 복원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정부의 디지털 포용 정책에 발맞추어 국내 최초의 프로보노 활동인 IT서포터즈를 AI서포터즈로 탈바꿈한 것등도 이에 속한다. 특히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구호물품 및 통신장비를 지원하고, 119 대원들에게 ‘사랑의 밥차’를 제공하는 한편,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사랑의 도시락’ 지원 활동을 펼치며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활동도 꾸준히 진행 중이다. 또한, 케냐·가나·라오스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중 보건 개선에 기여해온 KT의 ‘감염병 확산방지 플랫폼(GEPP)’은 이제 ‘스마트 검역시스템’으로 질병관리본부가 도입하여, 코로나19 확산에 맞서 대한민국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지속가능경제 분야 선한 영향력 KT는 매년 전사 협업을 통한 에너지 절감을 실시하여 친환경 분야에서도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에서 3년 연속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또한 KT는 주요 경영 현황과 중장기 전략, 경제적 수익성, 사회적 책임성, 환경적 건전성을 통합적으로 보고하기 위해, 2006년부터 매년 연차보고서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합한 ‘통합보고서(Integrated Report)’를 발간하고 있다. KT 통합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영보고 지침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G4 가이드라인의 포괄적 부합 기준을 준수하며,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의 통합보고 프레임워크를 반영하여 발간된다. 올해는 1200억원 규모의 3년·5년 만기 ESG 채권을 발행할 계획도 밝혔다. ESG 채권 중 친환경 사업을 위한 녹색채권과 사회가치 창출 사업을 위한 사회적채권의 혼합형 채권인 ‘지속가능채권’으로, 인터넷 데이터센터(IDC) 에너지 효율 관련 투자와 녹색 건축 등급을 인증 받은 부동산 개발 사업, 중소∙벤처기업 지원이 목적이다. 또 국제무대에서 지속가능한 5G 네트워크 전력 절감 기술도 제안했다. KT는 국제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 3GPP가 주최하는 5G-어드밴스드 워크숍에서 차기 5G 기술의 명칭을 ‘5G-Advanced’(5G-어드밴스드)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AI 소비전력 제어 효율화 기술 △클라우드 활용 자원관리 기술 업링크 성능 및 실내 커버리지 개선 등 '5G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진화방향' △ B2B 특화 non-eMBB 등을 소개했다. 이러한 기술은 LTE보다 소비전력이 매우 많은 5G 네트워크 시설의 전력 소비량을 대폭 줄여 탄소배출량을 절감하고 통신산업의 ESG 경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배구조 분야 평가도 호평 일색이다. 지난해 기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주관 ESG 평가에서 지배구조 부문 및 ESG 종합 등급 A+를 획득했다. 환경부문에서는 A, 사회부문 A 등급을 획득했다. 10기가 인터넷 속도 논란, 수면 위로 최근에는 한 유명 IT 유튜버의 발언으로 인해, KT 지속가능경영 전략에 손실이 생겼다. 유튜버의 발언에서 촉발된 KT의 10Gbps(초당 기가비트) 인터넷 속도 저하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고, 그 여파가 통신업계 전체로 퍼졌다. 국회는 지난 22일 소관 상임위 전체회의를 열고 소관 부처에 면밀한 실태조사와 실질적인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 3사 전수조사를 약속했다. 이로 인해 KT는 우선적인 조사 대상이 됐고, 이어 SK브로드밴드와 LG유플러스도 전수조사가 시행될 전망이다. 김현 방통위 부위원장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현장 상황을 검토하고, 법적 문제가 발견될 경우 제대로 대처해 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541
기업·거버넌스
[우리 회사 ESG] ④미래에셋증권 , ESG 리딩 증권사로 '우뚝'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medium
3-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홈쇼핑 업계의 중소 거래기업에 대한 '갑질병'이 또 불거졌다. 약자에 대해 우월적인 지위를 휘두르는 전형적인 '납품 갑질'  행태는 홈쇼핑업계의 고질적인 병폐다.  6일 공정위에 따르면 GS숍, 롯데홈쇼핑, NS홈쇼핑 등 TV홈쇼핑업체 전부를 망라한 7개 업체는 대규모 유통업법을 위반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1억 4600만원을 부과받았다. 해당 업체는 GS SHOP과 롯데홈쇼핑·NS홈쇼핑·CJ온스타일·현대홈쇼핑·홈앤쇼핑·공영쇼핑이다. 과징금은 GS샵이 10억20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롯데홈쇼핑(6억4000만원), NS홈쇼핑(6억원), CJ온스타일(5억9000만원), 현대홈쇼핑(5억8000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 대상으로만 운영하는 홈앤쇼핑과 공영쇼핑도 2억원 이상 과징금이 부과됐다. 이들 업체는 납품업자로부터 30%에 달하는 수수료를 받으면서도 판촉행사나 방송에 필요한 사은품 비용 등을 추가로 전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위 조사결과 홈쇼핑 업체들은 방송에 필요한 방송게스트나 시연모델, 방청객을 동원하는데 드는 비용까지 납품업체에 떠넘겼다. 또 납품업자에게 서면 계약서를 일부러 늦게 주거나 상품판매대금을 제 때 맞춰 결제하지 않는 등의 ‘갑질’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GS샵은 정당한 사유 없이 직매입 재고 상품을 납품업자에 반품한 사실도 드러났다. CJ온스타일 등 4개 홈쇼핑사는 납품업체에 거래 품목, 수수료 등 거래조건이 명시된 계약서를 주지 않거나 늦게 교부했다. 현대홈쇼핑은 직매입 상품에 대한 양품화(반품을 재수선후 판매) 작업을 납품업자에게 위탁하고 작업비용을 지급하지 않았다. ‘납품 갑질’로 2015년에도 역대급 과징금 홈쇼핑 업체들은 납품업체들에 대한 '갑질'로 빈번하게 제재를 받고 있으나 그 폐해를 근절하지 못하고 있다. 중소 납품업체에 대한 불공정 거래 강요나 비용 떠넘기기, 과도한 PPL, 대기업 상품 위주의 방송 편성 등의 문제는 국정감사 단골메뉴다. 홈쇼핑업계는 2014년에는 공정거래 관련법을 가장 많이 위반한 유통업체 상위 10개에 전체 홈쇼핑 업체 6개가 모두 이름을 올렸다. 당시에 문제가 된 홈쇼핑 채널은 GS홈쇼핑(GS샵), CJ오쇼핑, 현대홈쇼핑, 롯데홈쇼핑, NS홈쇼핑, 홈앤쇼핑 등이다. 이번에 적발된 홈쇼핑 업체 가운데 6곳은 2015년에도 역시 갑질로 제재를 받았다. 지난 2015년 공정위는 TV홈쇼핑들의 이른바 '갑질'행위를 광범위하게 적발해 GS SHOP 등 6개 홈쇼핑 업체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모두 143억원이 넘는 역대급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이 역시 현대홈쇼핑, GS홈쇼핑, 롯데홈쇼핑, CJ오쇼핑, 홈앤쇼핑, NS홈쇼핑 등이다. 또 지난해 초에는 온라인쇼핑 사업자인 ㈜신세계와 ㈜우리홈쇼핑(채널명 롯데홈쇼핑)이 소비자가 제품 포장을 개봉하면 반품이 불가하다고 고지하는 등 소비자의 청약철회를 방해한 행위에 대해서 시정조치를 받았다. 홈쇼핑업계의 납품업자 등의 갑질 피해에 대해서는 올해 초 서면 조사도 진행된 바 있다. 공정위는 3월 '2020년 유통분야 서면실태조사' 결과를 발표, TV홈쇼핑에서의 갑질 피해가 상대적으로 많다고 지적했다. 당시 조사에서도 상품판매대금 미·지연 지급, 상품 반품, 판촉비 전가, 배타적거래 요구, 판매장려금(경제적 이익) 제공 요구, 불이익 제공 등 항목에서 거래 행태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방통위 홈쇼핑채널 재심사 실효성 의문 한편, 홈쇼핑 업체들은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5년마다 재승인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런 '납품 갑질'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업체들이 무사통과하고 있어 심사의 실효성에 의문이 일고 있다. 올해 방통위 재심사를 받은 롯데홈쇼핑과 홈앤쇼핑은 당초 법적 제재 등 감점 요인이 많아 탈락 예상도 있었으나 무난히 5년간 사업 승인을 받아냈다.  방통위의 주요 심사항목을 살펴보면 ▲방송평가위원회 방송평가 결과(100점) ▲공정거래 관행 정착 및 중소기업 활성화 기여 실적 및 계획의 우수성(260점) ▲방송의 공적책임 및 사회문화적 필요성과 타당성(120점) ▲시청자 ·소비자 권익보호 실적 및 계획 (100점) 등이다. 총 1000점 만점으로 65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특히 공정거래 관행 정착 및 중소기업 활성화 배점이 260점으로 매우 높은데도 불구하고 '납품 갑질'을 방치하고 있는 것은 관계 당국의 직무유기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홈쇼핑업계 'ESG 경영' 평가는 ‘우수’ 이런 반복된 갑질은  최근 홈쇼핑업계에서 강조하고 있는 ESG 경영과 상반돼 눈총을 받고 있다. 7월 GS홈쇼핑과 합병한 GS 리테일은 지난 6월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표했으며,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1년도 ESG 평가에서 전년도에 비해 한 단계 상향된 'A'를 받았다. GS홈쇼핑은 KCGS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 및 등급 공표’ 결과에서 우수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 또 현대홈쇼핑은 KCGS ESG 평가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통합 A등급을 받았으며, 글로벌 ESG 경영평가 지표로 알려진 ‘SDGBI(UN지속가능개발목표경영지수)’ 2021 리스트에도 2년 연속 선정됐다. NS쇼핑 역시 KCGS ESG 평가에서는 통합 A등급을 받았다. 롯데쇼핑은 KCGS 평가 통합 A등급에 사회부문 A+ 등급을 받았다. 롯데쇼핑의 경우에는 최근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한 ‘2021년 대한민국 지속가능성 대회’에서 2년 연속 홈쇼핑 부문 우수기업 1위를 수상했다. CJ오쇼핑도 '착한 손잡이' 배송 박스를 도입했고, 홈앤쇼핑은 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한 프로젝트 ‘지구를 지켜줘’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 ESG 경영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홈쇼핑업계가 ESG경영의 진정성을 인정받으려면 납품 갑질부터 스스로 근절해야 할 것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하나금융그룹(회장 김정태)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하는 ‘2021년 ESG평가’에서 4년 연속 종합 A등급을 획득했다. 근로자, 소비자 보호 활동, 지역사회 환원 등을 평가하는 S(사회)분야에서 A+ 등급을 받았고, 지배구조(G)와 환경(E) 분야에서는 모두 A등급을 받았다. ESG 경영 차원 석탄금융 퇴출 하나금융그룹은 ‘Big Step for Tomorrow’라는 ESG 비전을 목표로 ESG경영 실천에 나섰다. 비전에 따라 중장기 추진 목표 '2030&60'과 'ZERO&ZERO'를 수립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첫 번째 ESG 중장기 목표 '2030&60'은 오는 2030년까지 향후 10년간 환경·지속가능 부문에 대한 총 60조원 ESG 금융 조달과 공급을 목표로 한다. ESG 채권 발행 25조원, ESG 여신 25조원, ESG 투자 10조원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회 문제 해결과 친환경 사업에 광범위한 ESG 금융지원을 추진한다. 또 2050년까지 그룹 사업장 탄소배출량 'ZERO'와 석탄 프로젝트금융 'ZERO'를 이행하기 위한 'ZERO&ZERO'를 전략적 목표로 추진한다. 향후 30년 동안 그룹 모든 관계사가 참여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석탄 프로젝트금융(석탄PF) 잔액을 'ZERO'로 감소시킬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3월 탄소중립 및 탈석탄 선언을 통해 저탄소경제로의 전환을 선포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올해 적도원칙 가입을 목표로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체계(Environmental and Social Risk Management)를 구축하고 하나금융그룹 자체 지속가능금융 프레임워크를 제정하고 7월 발표를 완료했다. 3월 탈석탄을 선언한 이래 국내외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채권 인수 등의 사업은 전면 중단했다. ESG본부 신설, 친환경 산업 도우미 자처 하나금융투자는 그룹차원의 ESG 경영전략에 따라, 구체적인 실천과제와 이행방안을 수립하고 실천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대표이사 직속으로 ESG 정책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본부를 신설하고 예하 조직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과 지속 가능 경영 계획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기획팀을 꾸렸다. ESG 관련 투자와 상품·서비스 확대 등을 통해 지속 가능 경영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자산군에 대한 운용역량을 갖춘 조직을 기반으로 배출권 운용 전담 부서를 구성, 국내 ESG 시장에서 저변을 확대하고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주도적으로 시작한다. 또 국내 친환경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풍력, 수소연료전지,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시장 확대를 위한 투자 및 자본 유치 기회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여 여수, 동두천, 창녕, 곡성 등 4개 사업장을 가진 국내 최대 폐기물 처리장 개발사업에 투자한데 이어 폐수처리업체 지분인수, 바이오매스 열병합발전 및 폐기물처리사업자 투자 등 친환경 산업에 대한 투자도 확대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전남 태양광 발전 개발 사업 대출, 연료전지업체 및 풍력발전설비업체 투자 등 친환경에너지 산업 투자를 수행 중이며, 스페인과 호주, 일본의 태양광 발전시설 지분인수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신재생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수주 실적을 쌓으며 ESG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적잖은 구설수, 투자자 신뢰는 ’빨간불' 한편, 하나금융투자가 해결해야 할 치부도 아직은 곳곳에서 노출되고 있다.  검찰은 최근 이진국 전 하나금융투자 대표의 주식 선행매매 의혹과 관련해 압수수색에 나섰다. 올해 1월 금융감독원이 이 전 대표의 선행매매 혐의를 포착하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바 있다. 당시 금감원은 2017~2019년까지 3년 간 하나금투 운용 담당 직원이 관리한 이 전 대표 명의 증권계좌에서 미공개 내부 정보를 이용한 것으로 의심되는 거래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스닥 상장사 관련 하나금투의 기업분석 보고서가 시중에 배포되기 전 해당 주식을 사들인 정황 등이 포착된 것이다. 자본시장법 제54조(직무관련 정보의 이용 금지)에 따르면 금융투자회사 임직원은 직무상 알게 된 정보나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정보를 정당한 사유 없이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해 이용해서는 안 된다. 이를 위반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다. 금감원 특별사법경찰(특사경)이 주도하는 이번 수사는 2019년 1000억원의 투자자 피해가 예상되는 파생결합상품(DLS)의 '발행사'로 지목된 데 이어, 불공정·선행매매 혐의로 촉발됐다. 리서치센터 소속 한 연구원이 보고서가 외부에 발표되기 전 미리 주식을 매수하는 방식으로 불공정한 차익을 올렸다는 혐의로 압수수색을 받았다. 하나금융투자는 2019년에도 영국-미국CMS(Constant Maturity Swap;일명 파운드 파생)금리를 활용한 DLS와 관련, 리스크관리본부의 검토를 받지 않은 장외파생상품 사모 거래의 경우, 신규 상품이 아니면 리스크관리본부의 사후 합의로 거래가 가능하다는 '내부 규정'을 활용한 것으로 드러나 구설수에 오른 바 있다. 또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계열사 임·직원의 잇단 성희롱 관련 논란으로 몸살을 앓기도 했다. 장경훈 하나카드 사장이 공식 회의 자리에서 여성혐오적 표현 및 폭언으로 물의를 빚은 데 이어, 하나은행 한 지점장은 여성 대출 고객에게 술자리를 강요해 논란이 불거졌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KT(대표 구현모)는 1981년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출범해 2009년 이동통신 자회사인 KTF 합병 후 이동통신, 인터넷, 유선전화 등의 통신사업과 미디어/콘텐츠, 금융, 부동산, 기업 솔루션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는 국내 최대 종합 통신사업자로 성장했다. 2019년 KT는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 했고, 전국 85개 시로 커버리지를 확대하면서 5G 가입자 수를 일반 무선전화 가입자의 약 10% 수준인 141만 명까지 늘리는 저력을 과시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지능형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AI, VR/AR, 블록체인, 커넥티드 카 등 미래 융합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사업화하기 위해 현재도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중이다. KT가 밝힌 비전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임직원 수만 2만3천명에 이르며, 영업수익은 24조가 넘는다. 통신업계 최초 지속가능경영위원회 설립 KT의 핵심 비전은 꾸준히 ‘고객 중심’, ‘주인정신’, ‘소통과 협업’, ‘본질과 과정’이었다. 이는 현재 기업들의 숙제로 떠오른 ESG 경영과 거의 일치한다. 실제 ESG 경영의 선두기업이라고 해도 과장이 없다. KT는 2016년 4월, 국내 통신업계 최초로 이사회 내에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립했으며, 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전담실행 조직인 지속가능경영단을 운영하고 있다. 또 국제 지속가능성 보고 가이드라인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 100-400 기준을 중심으로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의 IR 프레임워크 방법론을 참조하여 매년 지속가능경영 주요 이슈를 선정하고 경영에 반영하고 있다. 또 중대성 평가를 통해 선정된 30개 지속가능성 이슈 전체를 통합보고서를 통해 보고하고 있으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경영 활동에 반영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KT 사업에 미치는 영향력 및 이해관계자 영향력 관점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상위 이슈들에 대해 대내외 경영 환경과 KT의 대응 전략, 장기 목표에 대해서는 별도로 공개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KT는 올해 “고객의 삶의 변화와 다른 산업의 혁신을 리딩하여 대한민국 발전에 기여한다”라는 새로운 비전을 수립하였으며, 새로운 비전 아래 더욱 신뢰받는 기업이 되기 위해 다양한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AI 기술을 활용해 목소리를 복원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정부의 디지털 포용 정책에 발맞추어 국내 최초의 프로보노 활동인 IT서포터즈를 AI서포터즈로 탈바꿈한 것등도 이에 속한다. 특히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구호물품 및 통신장비를 지원하고, 119 대원들에게 ‘사랑의 밥차’를 제공하는 한편,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사랑의 도시락’ 지원 활동을 펼치며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활동도 꾸준히 진행 중이다. 또한, 케냐·가나·라오스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중 보건 개선에 기여해온 KT의 ‘감염병 확산방지 플랫폼(GEPP)’은 이제 ‘스마트 검역시스템’으로 질병관리본부가 도입하여, 코로나19 확산에 맞서 대한민국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지속가능경제 분야 선한 영향력 KT는 매년 전사 협업을 통한 에너지 절감을 실시하여 친환경 분야에서도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에서 3년 연속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또한 KT는 주요 경영 현황과 중장기 전략, 경제적 수익성, 사회적 책임성, 환경적 건전성을 통합적으로 보고하기 위해, 2006년부터 매년 연차보고서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합한 ‘통합보고서(Integrated Report)’를 발간하고 있다. KT 통합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영보고 지침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G4 가이드라인의 포괄적 부합 기준을 준수하며,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의 통합보고 프레임워크를 반영하여 발간된다. 올해는 1200억원 규모의 3년·5년 만기 ESG 채권을 발행할 계획도 밝혔다. ESG 채권 중 친환경 사업을 위한 녹색채권과 사회가치 창출 사업을 위한 사회적채권의 혼합형 채권인 ‘지속가능채권’으로, 인터넷 데이터센터(IDC) 에너지 효율 관련 투자와 녹색 건축 등급을 인증 받은 부동산 개발 사업, 중소∙벤처기업 지원이 목적이다. 또 국제무대에서 지속가능한 5G 네트워크 전력 절감 기술도 제안했다. KT는 국제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 3GPP가 주최하는 5G-어드밴스드 워크숍에서 차기 5G 기술의 명칭을 ‘5G-Advanced’(5G-어드밴스드)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AI 소비전력 제어 효율화 기술 △클라우드 활용 자원관리 기술 업링크 성능 및 실내 커버리지 개선 등 '5G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진화방향' △ B2B 특화 non-eMBB 등을 소개했다. 이러한 기술은 LTE보다 소비전력이 매우 많은 5G 네트워크 시설의 전력 소비량을 대폭 줄여 탄소배출량을 절감하고 통신산업의 ESG 경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배구조 분야 평가도 호평 일색이다. 지난해 기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주관 ESG 평가에서 지배구조 부문 및 ESG 종합 등급 A+를 획득했다. 환경부문에서는 A, 사회부문 A 등급을 획득했다. 10기가 인터넷 속도 논란, 수면 위로 최근에는 한 유명 IT 유튜버의 발언으로 인해, KT 지속가능경영 전략에 손실이 생겼다. 유튜버의 발언에서 촉발된 KT의 10Gbps(초당 기가비트) 인터넷 속도 저하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고, 그 여파가 통신업계 전체로 퍼졌다. 국회는 지난 22일 소관 상임위 전체회의를 열고 소관 부처에 면밀한 실태조사와 실질적인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 3사 전수조사를 약속했다. 이로 인해 KT는 우선적인 조사 대상이 됐고, 이어 SK브로드밴드와 LG유플러스도 전수조사가 시행될 전망이다. 김현 방통위 부위원장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현장 상황을 검토하고, 법적 문제가 발견될 경우 제대로 대처해 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541
기업·거버넌스
[우리 회사 ESG] ④미래에셋증권 , ESG 리딩 증권사로 '우뚝'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medium
3-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KT(대표 구현모)는 1981년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출범해 2009년 이동통신 자회사인 KTF 합병 후 이동통신, 인터넷, 유선전화 등의 통신사업과 미디어/콘텐츠, 금융, 부동산, 기업 솔루션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는 국내 최대 종합 통신사업자로 성장했다. 2019년 KT는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 했고, 전국 85개 시로 커버리지를 확대하면서 5G 가입자 수를 일반 무선전화 가입자의 약 10% 수준인 141만 명까지 늘리는 저력을 과시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지능형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AI, VR/AR, 블록체인, 커넥티드 카 등 미래 융합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사업화하기 위해 현재도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중이다. KT가 밝힌 비전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임직원 수만 2만3천명에 이르며, 영업수익은 24조가 넘는다. 통신업계 최초 지속가능경영위원회 설립 KT의 핵심 비전은 꾸준히 ‘고객 중심’, ‘주인정신’, ‘소통과 협업’, ‘본질과 과정’이었다. 이는 현재 기업들의 숙제로 떠오른 ESG 경영과 거의 일치한다. 실제 ESG 경영의 선두기업이라고 해도 과장이 없다. KT는 2016년 4월, 국내 통신업계 최초로 이사회 내에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립했으며, 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전담실행 조직인 지속가능경영단을 운영하고 있다. 또 국제 지속가능성 보고 가이드라인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 100-400 기준을 중심으로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의 IR 프레임워크 방법론을 참조하여 매년 지속가능경영 주요 이슈를 선정하고 경영에 반영하고 있다. 또 중대성 평가를 통해 선정된 30개 지속가능성 이슈 전체를 통합보고서를 통해 보고하고 있으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경영 활동에 반영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KT 사업에 미치는 영향력 및 이해관계자 영향력 관점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상위 이슈들에 대해 대내외 경영 환경과 KT의 대응 전략, 장기 목표에 대해서는 별도로 공개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KT는 올해 “고객의 삶의 변화와 다른 산업의 혁신을 리딩하여 대한민국 발전에 기여한다”라는 새로운 비전을 수립하였으며, 새로운 비전 아래 더욱 신뢰받는 기업이 되기 위해 다양한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AI 기술을 활용해 목소리를 복원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정부의 디지털 포용 정책에 발맞추어 국내 최초의 프로보노 활동인 IT서포터즈를 AI서포터즈로 탈바꿈한 것등도 이에 속한다. 특히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구호물품 및 통신장비를 지원하고, 119 대원들에게 ‘사랑의 밥차’를 제공하는 한편,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사랑의 도시락’ 지원 활동을 펼치며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활동도 꾸준히 진행 중이다. 또한, 케냐·가나·라오스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중 보건 개선에 기여해온 KT의 ‘감염병 확산방지 플랫폼(GEPP)’은 이제 ‘스마트 검역시스템’으로 질병관리본부가 도입하여, 코로나19 확산에 맞서 대한민국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지속가능경제 분야 선한 영향력 KT는 매년 전사 협업을 통한 에너지 절감을 실시하여 친환경 분야에서도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에서 3년 연속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또한 KT는 주요 경영 현황과 중장기 전략, 경제적 수익성, 사회적 책임성, 환경적 건전성을 통합적으로 보고하기 위해, 2006년부터 매년 연차보고서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합한 ‘통합보고서(Integrated Report)’를 발간하고 있다. KT 통합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영보고 지침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G4 가이드라인의 포괄적 부합 기준을 준수하며,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의 통합보고 프레임워크를 반영하여 발간된다. 올해는 1200억원 규모의 3년·5년 만기 ESG 채권을 발행할 계획도 밝혔다. ESG 채권 중 친환경 사업을 위한 녹색채권과 사회가치 창출 사업을 위한 사회적채권의 혼합형 채권인 ‘지속가능채권’으로, 인터넷 데이터센터(IDC) 에너지 효율 관련 투자와 녹색 건축 등급을 인증 받은 부동산 개발 사업, 중소∙벤처기업 지원이 목적이다. 또 국제무대에서 지속가능한 5G 네트워크 전력 절감 기술도 제안했다. KT는 국제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 3GPP가 주최하는 5G-어드밴스드 워크숍에서 차기 5G 기술의 명칭을 ‘5G-Advanced’(5G-어드밴스드)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AI 소비전력 제어 효율화 기술 △클라우드 활용 자원관리 기술 업링크 성능 및 실내 커버리지 개선 등 '5G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진화방향' △ B2B 특화 non-eMBB 등을 소개했다. 이러한 기술은 LTE보다 소비전력이 매우 많은 5G 네트워크 시설의 전력 소비량을 대폭 줄여 탄소배출량을 절감하고 통신산업의 ESG 경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배구조 분야 평가도 호평 일색이다. 지난해 기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주관 ESG 평가에서 지배구조 부문 및 ESG 종합 등급 A+를 획득했다. 환경부문에서는 A, 사회부문 A 등급을 획득했다. 10기가 인터넷 속도 논란, 수면 위로 최근에는 한 유명 IT 유튜버의 발언으로 인해, KT 지속가능경영 전략에 손실이 생겼다. 유튜버의 발언에서 촉발된 KT의 10Gbps(초당 기가비트) 인터넷 속도 저하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고, 그 여파가 통신업계 전체로 퍼졌다. 국회는 지난 22일 소관 상임위 전체회의를 열고 소관 부처에 면밀한 실태조사와 실질적인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 3사 전수조사를 약속했다. 이로 인해 KT는 우선적인 조사 대상이 됐고, 이어 SK브로드밴드와 LG유플러스도 전수조사가 시행될 전망이다. 김현 방통위 부위원장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현장 상황을 검토하고, 법적 문제가 발견될 경우 제대로 대처해 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하나금융그룹(회장 김정태)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하는 ‘2021년 ESG평가’에서 4년 연속 종합 A등급을 획득했다. 근로자, 소비자 보호 활동, 지역사회 환원 등을 평가하는 S(사회)분야에서 A+ 등급을 받았고, 지배구조(G)와 환경(E) 분야에서는 모두 A등급을 받았다. ESG 경영 차원 석탄금융 퇴출 하나금융그룹은 ‘Big Step for Tomorrow’라는 ESG 비전을 목표로 ESG경영 실천에 나섰다. 비전에 따라 중장기 추진 목표 '2030&60'과 'ZERO&ZERO'를 수립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첫 번째 ESG 중장기 목표 '2030&60'은 오는 2030년까지 향후 10년간 환경·지속가능 부문에 대한 총 60조원 ESG 금융 조달과 공급을 목표로 한다. ESG 채권 발행 25조원, ESG 여신 25조원, ESG 투자 10조원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회 문제 해결과 친환경 사업에 광범위한 ESG 금융지원을 추진한다. 또 2050년까지 그룹 사업장 탄소배출량 'ZERO'와 석탄 프로젝트금융 'ZERO'를 이행하기 위한 'ZERO&ZERO'를 전략적 목표로 추진한다. 향후 30년 동안 그룹 모든 관계사가 참여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석탄 프로젝트금융(석탄PF) 잔액을 'ZERO'로 감소시킬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3월 탄소중립 및 탈석탄 선언을 통해 저탄소경제로의 전환을 선포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올해 적도원칙 가입을 목표로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체계(Environmental and Social Risk Management)를 구축하고 하나금융그룹 자체 지속가능금융 프레임워크를 제정하고 7월 발표를 완료했다. 3월 탈석탄을 선언한 이래 국내외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채권 인수 등의 사업은 전면 중단했다. ESG본부 신설, 친환경 산업 도우미 자처 하나금융투자는 그룹차원의 ESG 경영전략에 따라, 구체적인 실천과제와 이행방안을 수립하고 실천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대표이사 직속으로 ESG 정책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본부를 신설하고 예하 조직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과 지속 가능 경영 계획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기획팀을 꾸렸다. ESG 관련 투자와 상품·서비스 확대 등을 통해 지속 가능 경영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자산군에 대한 운용역량을 갖춘 조직을 기반으로 배출권 운용 전담 부서를 구성, 국내 ESG 시장에서 저변을 확대하고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주도적으로 시작한다. 또 국내 친환경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풍력, 수소연료전지,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시장 확대를 위한 투자 및 자본 유치 기회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여 여수, 동두천, 창녕, 곡성 등 4개 사업장을 가진 국내 최대 폐기물 처리장 개발사업에 투자한데 이어 폐수처리업체 지분인수, 바이오매스 열병합발전 및 폐기물처리사업자 투자 등 친환경 산업에 대한 투자도 확대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전남 태양광 발전 개발 사업 대출, 연료전지업체 및 풍력발전설비업체 투자 등 친환경에너지 산업 투자를 수행 중이며, 스페인과 호주, 일본의 태양광 발전시설 지분인수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신재생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수주 실적을 쌓으며 ESG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적잖은 구설수, 투자자 신뢰는 ’빨간불' 한편, 하나금융투자가 해결해야 할 치부도 아직은 곳곳에서 노출되고 있다.  검찰은 최근 이진국 전 하나금융투자 대표의 주식 선행매매 의혹과 관련해 압수수색에 나섰다. 올해 1월 금융감독원이 이 전 대표의 선행매매 혐의를 포착하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바 있다. 당시 금감원은 2017~2019년까지 3년 간 하나금투 운용 담당 직원이 관리한 이 전 대표 명의 증권계좌에서 미공개 내부 정보를 이용한 것으로 의심되는 거래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스닥 상장사 관련 하나금투의 기업분석 보고서가 시중에 배포되기 전 해당 주식을 사들인 정황 등이 포착된 것이다. 자본시장법 제54조(직무관련 정보의 이용 금지)에 따르면 금융투자회사 임직원은 직무상 알게 된 정보나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정보를 정당한 사유 없이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해 이용해서는 안 된다. 이를 위반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다. 금감원 특별사법경찰(특사경)이 주도하는 이번 수사는 2019년 1000억원의 투자자 피해가 예상되는 파생결합상품(DLS)의 '발행사'로 지목된 데 이어, 불공정·선행매매 혐의로 촉발됐다. 리서치센터 소속 한 연구원이 보고서가 외부에 발표되기 전 미리 주식을 매수하는 방식으로 불공정한 차익을 올렸다는 혐의로 압수수색을 받았다. 하나금융투자는 2019년에도 영국-미국CMS(Constant Maturity Swap;일명 파운드 파생)금리를 활용한 DLS와 관련, 리스크관리본부의 검토를 받지 않은 장외파생상품 사모 거래의 경우, 신규 상품이 아니면 리스크관리본부의 사후 합의로 거래가 가능하다는 '내부 규정'을 활용한 것으로 드러나 구설수에 오른 바 있다. 또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계열사 임·직원의 잇단 성희롱 관련 논란으로 몸살을 앓기도 했다. 장경훈 하나카드 사장이 공식 회의 자리에서 여성혐오적 표현 및 폭언으로 물의를 빚은 데 이어, 하나은행 한 지점장은 여성 대출 고객에게 술자리를 강요해 논란이 불거졌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홈쇼핑 업계의 중소 거래기업에 대한 '갑질병'이 또 불거졌다. 약자에 대해 우월적인 지위를 휘두르는 전형적인 '납품 갑질'  행태는 홈쇼핑업계의 고질적인 병폐다.  6일 공정위에 따르면 GS숍, 롯데홈쇼핑, NS홈쇼핑 등 TV홈쇼핑업체 전부를 망라한 7개 업체는 대규모 유통업법을 위반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1억 4600만원을 부과받았다. 해당 업체는 GS SHOP과 롯데홈쇼핑·NS홈쇼핑·CJ온스타일·현대홈쇼핑·홈앤쇼핑·공영쇼핑이다. 과징금은 GS샵이 10억20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롯데홈쇼핑(6억4000만원), NS홈쇼핑(6억원), CJ온스타일(5억9000만원), 현대홈쇼핑(5억8000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 대상으로만 운영하는 홈앤쇼핑과 공영쇼핑도 2억원 이상 과징금이 부과됐다. 이들 업체는 납품업자로부터 30%에 달하는 수수료를 받으면서도 판촉행사나 방송에 필요한 사은품 비용 등을 추가로 전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위 조사결과 홈쇼핑 업체들은 방송에 필요한 방송게스트나 시연모델, 방청객을 동원하는데 드는 비용까지 납품업체에 떠넘겼다. 또 납품업자에게 서면 계약서를 일부러 늦게 주거나 상품판매대금을 제 때 맞춰 결제하지 않는 등의 ‘갑질’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GS샵은 정당한 사유 없이 직매입 재고 상품을 납품업자에 반품한 사실도 드러났다. CJ온스타일 등 4개 홈쇼핑사는 납품업체에 거래 품목, 수수료 등 거래조건이 명시된 계약서를 주지 않거나 늦게 교부했다. 현대홈쇼핑은 직매입 상품에 대한 양품화(반품을 재수선후 판매) 작업을 납품업자에게 위탁하고 작업비용을 지급하지 않았다. ‘납품 갑질’로 2015년에도 역대급 과징금 홈쇼핑 업체들은 납품업체들에 대한 '갑질'로 빈번하게 제재를 받고 있으나 그 폐해를 근절하지 못하고 있다. 중소 납품업체에 대한 불공정 거래 강요나 비용 떠넘기기, 과도한 PPL, 대기업 상품 위주의 방송 편성 등의 문제는 국정감사 단골메뉴다. 홈쇼핑업계는 2014년에는 공정거래 관련법을 가장 많이 위반한 유통업체 상위 10개에 전체 홈쇼핑 업체 6개가 모두 이름을 올렸다. 당시에 문제가 된 홈쇼핑 채널은 GS홈쇼핑(GS샵), CJ오쇼핑, 현대홈쇼핑, 롯데홈쇼핑, NS홈쇼핑, 홈앤쇼핑 등이다. 이번에 적발된 홈쇼핑 업체 가운데 6곳은 2015년에도 역시 갑질로 제재를 받았다. 지난 2015년 공정위는 TV홈쇼핑들의 이른바 '갑질'행위를 광범위하게 적발해 GS SHOP 등 6개 홈쇼핑 업체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모두 143억원이 넘는 역대급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이 역시 현대홈쇼핑, GS홈쇼핑, 롯데홈쇼핑, CJ오쇼핑, 홈앤쇼핑, NS홈쇼핑 등이다. 또 지난해 초에는 온라인쇼핑 사업자인 ㈜신세계와 ㈜우리홈쇼핑(채널명 롯데홈쇼핑)이 소비자가 제품 포장을 개봉하면 반품이 불가하다고 고지하는 등 소비자의 청약철회를 방해한 행위에 대해서 시정조치를 받았다. 홈쇼핑업계의 납품업자 등의 갑질 피해에 대해서는 올해 초 서면 조사도 진행된 바 있다. 공정위는 3월 '2020년 유통분야 서면실태조사' 결과를 발표, TV홈쇼핑에서의 갑질 피해가 상대적으로 많다고 지적했다. 당시 조사에서도 상품판매대금 미·지연 지급, 상품 반품, 판촉비 전가, 배타적거래 요구, 판매장려금(경제적 이익) 제공 요구, 불이익 제공 등 항목에서 거래 행태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방통위 홈쇼핑채널 재심사 실효성 의문 한편, 홈쇼핑 업체들은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5년마다 재승인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런 '납품 갑질'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업체들이 무사통과하고 있어 심사의 실효성에 의문이 일고 있다. 올해 방통위 재심사를 받은 롯데홈쇼핑과 홈앤쇼핑은 당초 법적 제재 등 감점 요인이 많아 탈락 예상도 있었으나 무난히 5년간 사업 승인을 받아냈다.  방통위의 주요 심사항목을 살펴보면 ▲방송평가위원회 방송평가 결과(100점) ▲공정거래 관행 정착 및 중소기업 활성화 기여 실적 및 계획의 우수성(260점) ▲방송의 공적책임 및 사회문화적 필요성과 타당성(120점) ▲시청자 ·소비자 권익보호 실적 및 계획 (100점) 등이다. 총 1000점 만점으로 65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특히 공정거래 관행 정착 및 중소기업 활성화 배점이 260점으로 매우 높은데도 불구하고 '납품 갑질'을 방치하고 있는 것은 관계 당국의 직무유기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홈쇼핑업계 'ESG 경영' 평가는 ‘우수’ 이런 반복된 갑질은  최근 홈쇼핑업계에서 강조하고 있는 ESG 경영과 상반돼 눈총을 받고 있다. 7월 GS홈쇼핑과 합병한 GS 리테일은 지난 6월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표했으며,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1년도 ESG 평가에서 전년도에 비해 한 단계 상향된 'A'를 받았다. GS홈쇼핑은 KCGS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 및 등급 공표’ 결과에서 우수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 또 현대홈쇼핑은 KCGS ESG 평가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통합 A등급을 받았으며, 글로벌 ESG 경영평가 지표로 알려진 ‘SDGBI(UN지속가능개발목표경영지수)’ 2021 리스트에도 2년 연속 선정됐다. NS쇼핑 역시 KCGS ESG 평가에서는 통합 A등급을 받았다. 롯데쇼핑은 KCGS 평가 통합 A등급에 사회부문 A+ 등급을 받았다. 롯데쇼핑의 경우에는 최근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한 ‘2021년 대한민국 지속가능성 대회’에서 2년 연속 홈쇼핑 부문 우수기업 1위를 수상했다. CJ오쇼핑도 '착한 손잡이' 배송 박스를 도입했고, 홈앤쇼핑은 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한 프로젝트 ‘지구를 지켜줘’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 ESG 경영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홈쇼핑업계가 ESG경영의 진정성을 인정받으려면 납품 갑질부터 스스로 근절해야 할 것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541
기업·거버넌스
[우리 회사 ESG] ④미래에셋증권 , ESG 리딩 증권사로 '우뚝'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medium
1-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하나금융그룹(회장 김정태)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하는 ‘2021년 ESG평가’에서 4년 연속 종합 A등급을 획득했다. 근로자, 소비자 보호 활동, 지역사회 환원 등을 평가하는 S(사회)분야에서 A+ 등급을 받았고, 지배구조(G)와 환경(E) 분야에서는 모두 A등급을 받았다. ESG 경영 차원 석탄금융 퇴출 하나금융그룹은 ‘Big Step for Tomorrow’라는 ESG 비전을 목표로 ESG경영 실천에 나섰다. 비전에 따라 중장기 추진 목표 '2030&60'과 'ZERO&ZERO'를 수립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첫 번째 ESG 중장기 목표 '2030&60'은 오는 2030년까지 향후 10년간 환경·지속가능 부문에 대한 총 60조원 ESG 금융 조달과 공급을 목표로 한다. ESG 채권 발행 25조원, ESG 여신 25조원, ESG 투자 10조원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회 문제 해결과 친환경 사업에 광범위한 ESG 금융지원을 추진한다. 또 2050년까지 그룹 사업장 탄소배출량 'ZERO'와 석탄 프로젝트금융 'ZERO'를 이행하기 위한 'ZERO&ZERO'를 전략적 목표로 추진한다. 향후 30년 동안 그룹 모든 관계사가 참여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석탄 프로젝트금융(석탄PF) 잔액을 'ZERO'로 감소시킬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3월 탄소중립 및 탈석탄 선언을 통해 저탄소경제로의 전환을 선포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올해 적도원칙 가입을 목표로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체계(Environmental and Social Risk Management)를 구축하고 하나금융그룹 자체 지속가능금융 프레임워크를 제정하고 7월 발표를 완료했다. 3월 탈석탄을 선언한 이래 국내외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채권 인수 등의 사업은 전면 중단했다. ESG본부 신설, 친환경 산업 도우미 자처 하나금융투자는 그룹차원의 ESG 경영전략에 따라, 구체적인 실천과제와 이행방안을 수립하고 실천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대표이사 직속으로 ESG 정책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본부를 신설하고 예하 조직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과 지속 가능 경영 계획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기획팀을 꾸렸다. ESG 관련 투자와 상품·서비스 확대 등을 통해 지속 가능 경영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자산군에 대한 운용역량을 갖춘 조직을 기반으로 배출권 운용 전담 부서를 구성, 국내 ESG 시장에서 저변을 확대하고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주도적으로 시작한다. 또 국내 친환경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풍력, 수소연료전지,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시장 확대를 위한 투자 및 자본 유치 기회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여 여수, 동두천, 창녕, 곡성 등 4개 사업장을 가진 국내 최대 폐기물 처리장 개발사업에 투자한데 이어 폐수처리업체 지분인수, 바이오매스 열병합발전 및 폐기물처리사업자 투자 등 친환경 산업에 대한 투자도 확대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전남 태양광 발전 개발 사업 대출, 연료전지업체 및 풍력발전설비업체 투자 등 친환경에너지 산업 투자를 수행 중이며, 스페인과 호주, 일본의 태양광 발전시설 지분인수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신재생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수주 실적을 쌓으며 ESG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적잖은 구설수, 투자자 신뢰는 ’빨간불' 한편, 하나금융투자가 해결해야 할 치부도 아직은 곳곳에서 노출되고 있다.  검찰은 최근 이진국 전 하나금융투자 대표의 주식 선행매매 의혹과 관련해 압수수색에 나섰다. 올해 1월 금융감독원이 이 전 대표의 선행매매 혐의를 포착하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바 있다. 당시 금감원은 2017~2019년까지 3년 간 하나금투 운용 담당 직원이 관리한 이 전 대표 명의 증권계좌에서 미공개 내부 정보를 이용한 것으로 의심되는 거래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스닥 상장사 관련 하나금투의 기업분석 보고서가 시중에 배포되기 전 해당 주식을 사들인 정황 등이 포착된 것이다. 자본시장법 제54조(직무관련 정보의 이용 금지)에 따르면 금융투자회사 임직원은 직무상 알게 된 정보나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정보를 정당한 사유 없이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해 이용해서는 안 된다. 이를 위반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다. 금감원 특별사법경찰(특사경)이 주도하는 이번 수사는 2019년 1000억원의 투자자 피해가 예상되는 파생결합상품(DLS)의 '발행사'로 지목된 데 이어, 불공정·선행매매 혐의로 촉발됐다. 리서치센터 소속 한 연구원이 보고서가 외부에 발표되기 전 미리 주식을 매수하는 방식으로 불공정한 차익을 올렸다는 혐의로 압수수색을 받았다. 하나금융투자는 2019년에도 영국-미국CMS(Constant Maturity Swap;일명 파운드 파생)금리를 활용한 DLS와 관련, 리스크관리본부의 검토를 받지 않은 장외파생상품 사모 거래의 경우, 신규 상품이 아니면 리스크관리본부의 사후 합의로 거래가 가능하다는 '내부 규정'을 활용한 것으로 드러나 구설수에 오른 바 있다. 또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계열사 임·직원의 잇단 성희롱 관련 논란으로 몸살을 앓기도 했다. 장경훈 하나카드 사장이 공식 회의 자리에서 여성혐오적 표현 및 폭언으로 물의를 빚은 데 이어, 하나은행 한 지점장은 여성 대출 고객에게 술자리를 강요해 논란이 불거졌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541
기업·거버넌스
[우리 회사 ESG] ④미래에셋증권 , ESG 리딩 증권사로 '우뚝'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medium
1-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하나금융그룹(회장 김정태)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하는 ‘2021년 ESG평가’에서 4년 연속 종합 A등급을 획득했다. 근로자, 소비자 보호 활동, 지역사회 환원 등을 평가하는 S(사회)분야에서 A+ 등급을 받았고, 지배구조(G)와 환경(E) 분야에서는 모두 A등급을 받았다. ESG 경영 차원 석탄금융 퇴출 하나금융그룹은 ‘Big Step for Tomorrow’라는 ESG 비전을 목표로 ESG경영 실천에 나섰다. 비전에 따라 중장기 추진 목표 '2030&60'과 'ZERO&ZERO'를 수립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첫 번째 ESG 중장기 목표 '2030&60'은 오는 2030년까지 향후 10년간 환경·지속가능 부문에 대한 총 60조원 ESG 금융 조달과 공급을 목표로 한다. ESG 채권 발행 25조원, ESG 여신 25조원, ESG 투자 10조원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회 문제 해결과 친환경 사업에 광범위한 ESG 금융지원을 추진한다. 또 2050년까지 그룹 사업장 탄소배출량 'ZERO'와 석탄 프로젝트금융 'ZERO'를 이행하기 위한 'ZERO&ZERO'를 전략적 목표로 추진한다. 향후 30년 동안 그룹 모든 관계사가 참여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석탄 프로젝트금융(석탄PF) 잔액을 'ZERO'로 감소시킬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3월 탄소중립 및 탈석탄 선언을 통해 저탄소경제로의 전환을 선포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올해 적도원칙 가입을 목표로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체계(Environmental and Social Risk Management)를 구축하고 하나금융그룹 자체 지속가능금융 프레임워크를 제정하고 7월 발표를 완료했다. 3월 탈석탄을 선언한 이래 국내외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채권 인수 등의 사업은 전면 중단했다. ESG본부 신설, 친환경 산업 도우미 자처 하나금융투자는 그룹차원의 ESG 경영전략에 따라, 구체적인 실천과제와 이행방안을 수립하고 실천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대표이사 직속으로 ESG 정책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본부를 신설하고 예하 조직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과 지속 가능 경영 계획을 수립 및 추진하는 ESG기획팀을 꾸렸다. ESG 관련 투자와 상품·서비스 확대 등을 통해 지속 가능 경영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자산군에 대한 운용역량을 갖춘 조직을 기반으로 배출권 운용 전담 부서를 구성, 국내 ESG 시장에서 저변을 확대하고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주도적으로 시작한다. 또 국내 친환경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풍력, 수소연료전지,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시장 확대를 위한 투자 및 자본 유치 기회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여 여수, 동두천, 창녕, 곡성 등 4개 사업장을 가진 국내 최대 폐기물 처리장 개발사업에 투자한데 이어 폐수처리업체 지분인수, 바이오매스 열병합발전 및 폐기물처리사업자 투자 등 친환경 산업에 대한 투자도 확대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전남 태양광 발전 개발 사업 대출, 연료전지업체 및 풍력발전설비업체 투자 등 친환경에너지 산업 투자를 수행 중이며, 스페인과 호주, 일본의 태양광 발전시설 지분인수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신재생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수주 실적을 쌓으며 ESG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적잖은 구설수, 투자자 신뢰는 ’빨간불' 한편, 하나금융투자가 해결해야 할 치부도 아직은 곳곳에서 노출되고 있다.  검찰은 최근 이진국 전 하나금융투자 대표의 주식 선행매매 의혹과 관련해 압수수색에 나섰다. 올해 1월 금융감독원이 이 전 대표의 선행매매 혐의를 포착하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바 있다. 당시 금감원은 2017~2019년까지 3년 간 하나금투 운용 담당 직원이 관리한 이 전 대표 명의 증권계좌에서 미공개 내부 정보를 이용한 것으로 의심되는 거래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스닥 상장사 관련 하나금투의 기업분석 보고서가 시중에 배포되기 전 해당 주식을 사들인 정황 등이 포착된 것이다. 자본시장법 제54조(직무관련 정보의 이용 금지)에 따르면 금융투자회사 임직원은 직무상 알게 된 정보나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정보를 정당한 사유 없이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해 이용해서는 안 된다. 이를 위반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다. 금감원 특별사법경찰(특사경)이 주도하는 이번 수사는 2019년 1000억원의 투자자 피해가 예상되는 파생결합상품(DLS)의 '발행사'로 지목된 데 이어, 불공정·선행매매 혐의로 촉발됐다. 리서치센터 소속 한 연구원이 보고서가 외부에 발표되기 전 미리 주식을 매수하는 방식으로 불공정한 차익을 올렸다는 혐의로 압수수색을 받았다. 하나금융투자는 2019년에도 영국-미국CMS(Constant Maturity Swap;일명 파운드 파생)금리를 활용한 DLS와 관련, 리스크관리본부의 검토를 받지 않은 장외파생상품 사모 거래의 경우, 신규 상품이 아니면 리스크관리본부의 사후 합의로 거래가 가능하다는 '내부 규정'을 활용한 것으로 드러나 구설수에 오른 바 있다. 또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계열사 임·직원의 잇단 성희롱 관련 논란으로 몸살을 앓기도 했다. 장경훈 하나카드 사장이 공식 회의 자리에서 여성혐오적 표현 및 폭언으로 물의를 빚은 데 이어, 하나은행 한 지점장은 여성 대출 고객에게 술자리를 강요해 논란이 불거졌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미래에셋그룹은 자본금 겨우 100억 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자산운용·증권·보험사를 중심으로 2019년 순이익이 2564억 원에 달하는 금융그룹이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증권사 중 해외 주식 자산이 20조원을 넘어선 것은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떠오르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인디펜던스’ 주식형 펀드와 ‘미래에셋디스커버리’ 주식형 펀드 등을 히트 치면서 국내 펀드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운용사로 떠올랐다. 2005년에는 미래에셋생명을 설립하고, 사모펀드(PEF)를 통해 미국의 골프용품 제조사 타이틀리스트를 인수하는 등 금융그룹 전체의 규모도 계속 확장 시켜 왔다. 올해는 ‘2021 대한민국 펀드대상 ’종합대상을 차지했을 정도다. 규모가 확실하게 커진 것은 2016년 이후다. 대우증권이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한 후 박현주 회장이 선임되면서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다. 이때 미래에셋대우의 자기자본은 2조원의 자기주식을 포함해 총 7조8000억원에 달했다. 당시 자기자본 규모로 국내 2위였던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5000억 원이었다. 같은 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며 3위에 올랐던 KB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4조원 수준에 그쳤다. 설립 이후 자기 자본 규모가 국내 5위에도 미치지 못했던 미래에셋이 단숨에 국내 최대 규모의 증권사로 뛰어 오른 것이다. 대우증권을 합병하게 되면서 투자은행(IB)과 주식중개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와 연금 등에서의 수익에 이어 IB와 주식중개, 해외투자 등에 이르기까지 증권업의 주요 사업들에서 모두 업계 선두가 됐다. ESG경영 실천에 속도전 현재 미래에셋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이다. 올해는 원화의 사회적책임투자(SRI)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고, 소비자 보호 및 임직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15년 전부터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증권사 최초로 발간할 정도로 ESG를 중시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ESG관련한 총 15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 3월 말 순자산 규모는 1조 89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하는 ESG위원회를 설립했다. 제1차 ESG위원회에서는 회사 전체의 ESG정책과 전략 등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SG정책 프레임워크 및 환경·사회 정책 선언문을 의결했다. 같은 달 미래에셋은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제로(ZERO) 선언식을 열었다. 이날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은 선언식에서 “ESG 경영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길이다.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선도기업으로서 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신뢰경영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에는 세계 증권사 중 최초로 외화 SRI 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올해부터 원화 SRI 채권을 발행하며 한국신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B1 등급을 받았다. 사회공헌 부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임직원 70명을 ‘희망체인리더’로 위촉한 후 전국에서 사회공헌 조직을 구축했고, 최근 코로나19 이후에는 기부와 착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2010년부터 미래에셋에서 받는 배당금을 기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금 16억원 전액을 기부했다. 이러한 활동들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주요 ESG 평가기관에서 업계 최고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RI 전문 리서치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의 ‘2020년 ESG등급평가’에서 증권사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DSJI) 월드지수에도 9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또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발표한 2020년 상장기업의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지배구조 개선은 고심해야 이사회에 ESG 경영 강화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은 대표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 대한 대책이 소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에셋그룹 역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공정위는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들이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미래에셋컨설팅과 상당한 규모로 거래해 부당한 이익을 몰아준 것과 관련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3억9천만 원을 부과했다. 다만 박현주 회장에 대해서는 일감 몰아주기 지시의 증거 부족으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당시 미래에셋의 지배구조가 박회장을 정점으로 주력 3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 그룹 지주사역할을 하는 ▶미래에셋캐피탈, 금산분리 회피를 위해 부동산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총수 일가가 20%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모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기업이다. 또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8년 전 판매한 브라질 부동산 펀드가 수익률 -85%를 기록한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50% 정도를 선제 보상하는 안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본시장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투자자가 입은 손실을 증권사가 사후 보전해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오너의 책임을 가리려 보상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지만 주주 이익을 침해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594
지속가능경제
김주현 금융위원장, "ESG 평가시장 자율준수 기준 마련하겠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medium
5-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기 위해 내년 1월 공식 출범하는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를 이끌 7명의 위원이 선임됐다. 2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초대 KSSB 위원장은 김의형 한국회계기준원 원장이, 상임위원은 박세환 한국회계기준원 상임위원이 맡게 됐다. 김의형(64) KSSB 위원장은 "국제기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활발히 소통해 ISSB 기준에 근거한 합리적인 KSSB 기준안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특히 "중소ㆍ중견기업들이 ESG 공시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돈 안들고 쉽게 적용 가능한 한국형 공시안을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와 삼일회계법인 대표와 PwC컨설팅 대표, 한국거래소 공시위원회 위원, 회계기준위원회 위원, 공정거래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업계에서는 회계와 시장공시에 정통한 전문가로서, 각계의 의견을 합리적으로 수렴해 KSSB 기준안을 만들 적임자라고 평가한다.  5명의 비상임위원 중 3명은 당연직, 2명은 추천 위원이다. 당연직 위원에는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과 임재준 한국거래소 부이사장, 이병래 한국공인회계사회 부회장이 선임됐다. 추천위원으로는 금융위원회의 추천을 받은 백복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와 금융감독원의 추천을 받은 조윤남 한국ESG연구소 대표이사가 선임됐다. 정부는 ESG 국제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 KSSB를 한국회계기준원 안에 설립하기로 했다. KSSB는 내년 1분기에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KSSB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내년 1분기 중 제정할 ESG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국제적 정합성을 갖추면서 국내 기업에 적합한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 계획이다. KSSB가 ESG 공시기준을 만들 때 자문을 맡게 될 자문기구도 내년 1월 출범한다. 올해 설립된 지속가능성기준자문위원회가 KSSB의 자문기구로 확대 개편되면서 자문위원도 현재의 14명에서 20명으로 늘어난다. KSSB가 만들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은 대기업보다 중소ㆍ중견 기업을 위한 기준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본부장은 "글로벌 기업으로 큰 대기업의 경우 ISSB 기준과 같은 글로벌 투자자 공시 기준을 당연히 따를 수 밖에 없다”며 “이런 수준에 이르지 못한 기업도 공시에 쉽게 접근하도록 공시 항목을 줄이고 공시 난이도도 낮춘 기준안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KSSB가 기준안을 제시하면 정부가 이해관계자와의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하게 된다. 금융위는 내년 중 관계부처와 회계기준원,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한국ESG기준원 등 유관기관과 함께 다양한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거쳐 국내 ESG 공시제도 전반에 대한 세부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국내 상장기업의 ESG 공시 의무화는 2025년 자산 2조원 이상 대기업부터 시행될 예정이지만, 국내외 시장의 요구가 많아 자율적 공시 형식을 빌어 앞당겨 실시될 가능성도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6월 말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S1)과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S2) 방안을 확정 발표한 가운데, 국내 ESG 공시 의무화 시행을 놓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정부는 3분기 중 국내 ESG공시 의무화를 위한 로드맵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재계의 반발 등을 고려해 연내 발표로 미룰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공시 의무화 시기뿐 아니라 법정공시 도입 여부도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법정공시는 물론 ESG 공시 의무화 시기를 늦춰야 한다고 재계가 요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1~2년 늦추는 것보다는 느슨하게라도 시행에 들어가며 점차 개선해 나가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런 가운데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기후공시의 법정공시 도입을 요구하는 헌법소원을 제기했다.  정부는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부터 ESG 공시를 의무화하고 ▶2027년 자산 1조원 ▶2029년 자산 5000억원 ▶2030년 전체 코스피 상장사로 공시 대상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지난 2021년 발표한 바 있다. 정부는 자산 규모가 큰 코스닥 상장사도 ESG 공시 의무화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하지만 2025년부터 도입되는 ESG 공시는 자본시장법에 따른 법정공시가 아니라 한국거래소 규정에 따른 거래소 시장공시로 한정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법정공시는 공시 내용에 대해 기업이 손해배상 등 법적인 책임을 져야 하는 제도다. 법정 공시화 하려면 ESG 공시를 사업보고서와 통합해야 하고 이를 위해 자본시장법 개정이 필요하다.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의원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이 이를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자본시장법에 근거한 ESG공시가 시행되면, 기업들은 자칫 허위, 부실 공시 논란에 휩싸이면 손해배상 소송을 당할 수 있게 된다. ISSB 국제표준 ESG 공시는 사업보고서 법정공시에 해당 ISSB기준은 물론 유럽연합의 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ESRS)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연내 확정 발표할 예정인 기후공시는 모두 사업보고서를 통한 공시를 의무화하는 법정공시에 해당한다. 이런 가운데, 자본시장연구원의 이상호 연구위원은 지난 5월 정부의 법정공시 도입 방안의 초안 성격을 갖는 ESG 공시제도 개선 방안을 공개했다. ESG 공시 의무화를 일단 거래소 공시 방식으로 시작하고,  2년 후인 2027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의 ESG 공시를 법정공시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2029년에는 1조원 이상, 2031년 5000억원 이상, 2032년 부터는 5000억원 미만 기업의 ESG 공시를 법정공시로 전환하는 방안이다. 코스닥 상장사의 경우 2029년부터 자산규모 5000억원 이상인 기업의 거래소 공시를 의무화하고 2031년부터 법정공시로 전환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 그린피스 법정공시 촉구 헌법 소원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167명의 청구인단과 함께 기후공시의 법정공시를 요구하는 헌법소원을 20일 제기했다. 양연호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패이너는 “현행 자본시장법은 기업의 투명한 기후 대응 정보를 공개하도록 강제하지 않아 국민의 재산권과 환경권을 침해한다”며 “투자자는 투자 대상 기업의 기후위기 관련 위험과 대응, 전략을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기업의 기후 위기 대응 정보 공개를 의무화하지 않으면 기업의 그린워싱을 막을 수 없고, 결국 국민의 환경권도 침해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헌법소원 심판청구 대리인인 법무법인 원 이영주 변호사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와 관련해 기본권의 침해를 인정하는 판결이 나오는 것은 헌법이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국가의 역할을 주문한다는 의미”라며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능력은 주가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핵심 정보”라고 말했다. 그는 따라서 “국가는 국민의 재산권과 환경권을 보호하기 위해 기후 공시 의무를 자본시장법에 규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재계 ESG 공시 의무화 연기 요청 하지만 재계는 기후변화 대응 정보를 포함한 ESG 공시 의무화 도입 시기를 늦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재계의 거래소 공시 도입 연기 요구는 법정공시로의 전환도 늦춰져야 한다는 요구인 셈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의 이동근 상근부회장은 “지난 정부에서 2025년으로 예정한 ESG 공시 의무화 시기를 최소한 3~4년 늦추고, 이 기간 개도국을 포함한 주요국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가운데, 정부의 기업이 세부공시 기준 마련과 시스템 구축 등 충실한 준비에 만전을 기하는 게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경총 관계자는 “실제로 정부가 ESG 공시 도입을 이 정도로 연기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거래소 공시는 2027년, 법정 공시는 2029년 정도 시작된다면 기업의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경총은 국내의 열악한 재생에너지 인프라와 ESG 공시 인증 시장, 장기간이 소요되는 해외 사업장을 포함한 전사적인 공시 데이터 수집 시스템 구축 등을 고려할 때 공시 의무화 연기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달 한국회계기준원 등이 주최한 ‘국제 지속가능성 보고 세미나’에서 “국내 ESG 공시제도를 만드는 과정에서 국제사회 논의와 국내 산업의 특성, 국내 기업의 준비 상황을 균형있게 고려할 것”이라며 “글로벌 정합성을 갖추되 기업의 현실적 어려움과 투자자의 정보 니즈(needs)를 균형있게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싱가포르는 2025년 ISSB 공시기준에 따른 ESG공시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 호주도 내용상 ISSB 기준과 유사한 기후공시를 내년부터 의무화하기로 했다. 영국은 ISSB 기준을 수용한 자국의 지속가능성공시기준(UK SDS)을 내년 6월까지 제정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ESG공시가 법정공시로 전환되는 시점에 ISSB 기준을 기반으로 하되 국내 여건을 고려해 세부사항을 추가하거나 완화한 KSSB 기준이 도입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글로벌 차원에서 이뤄지는 ESG(환경·사회적 책임·기업지배구조) 공시 의무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11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개최된 '글로벌 ESG공시 의무화와 한국 기업의 대응전략 토론회'에서는 지난달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가 공개한 지속가능성 공시 최종안(이하 ISSB 최종안)에 대한 정부와 기업의 대응방향이 논의됐다. 토론회에서는 글로벌 ESG 투자 흐름 속에 ESG공시 지원과 개별 기업들의 관련 준비가 시급하며, 탄소 감축에 대해 과학적 방법에 따른 측정과 계획실행을 요구하는 과학기반목표이니셔티브(SBTi)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다. ESG경제는 글로벌 뉴노멀…이젠 실천 방법을 모색하는 ‘How’의 단계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ESG는 이제 세계 경제의 뉴노멀이 되고 있으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ESG 공시 의무화를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 협회장은 "우리나라 기업들의 ESG 준비는 기업 윤리 차원의 선택이 아닌 생존과 직결된 필수"라며 "금융투자업권에서도 ESG공시는 기업 평가를 통해 투자로 이어지는 ESG 투자의 첫 단추"라고 말했다. 그는 "ESG에 대해 고민하는 '왜(Why)’의 단계가 아니라 실천 방법을 모색하는 '어떻게(How)’의 단계로 접어 들었다"며 "ESG 경영 전략의 어려움 겪는 기업에 가이드라인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회계기준 국제회계기준(IFRS)는 최근 산하의 국제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를 통해 ESG 공시 기준을 마련했다. 이곳에서 SBTi가 중시되며 온실가스 감축이 스코프3(SCOPE3·연관배출)까지 범위가 확대됐다. 스코프3는 일반 기업의 경우 ‘조달~생산~판매’라는 전통적 생산방식을 확장해 공급망·협력업체·금융기관의 경우 대출,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 대상 기업을 모두 탄소배출에 포함하는 방식을 말한다.  ESG의 미래 “기업과 산업의 혁신이 핵심 이슈 될 것” 주제 발표를 한 김의형 전 한국회계기준원장은 "ESG 공시가 시작되지만, 결국 탈탄소 등 ESG 목표 달성을 위해 기업과 산업의 혁신이 얼마나 성취될 것이냐가 가장 핵심"이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이어 "ESG 공시는 산업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이는 정부의 지원이 충분할때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ESG 공시가 혁신으로 이어지기 위한 국가적 미션으로 △산업별 지원 △혁신에 대한 인센티브 △ 조기·장기투자 △금융권의 협조 △ 산업별 벤치마킹을 언급했다. 김광기 ESG경제 대표는 "유럽은 돈이 드는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고 있어 기업이 받는 ESG 리스크뿐 아니라 기업 활동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까지 책임지고 있다"며 "(반면) 우리나라가 채택한 미국모델은 돈이 되는 ESG를 추구하며 기관투자자, 연기금의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투자수익을 위한 포트폴리오 구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대표는 ESG 공시 대응법으로 일상적인 '데이터 관리'를 강조했다. 이를 위해 기업들은 전사적인 자체 ESG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하며, 특히 대기업들은 공급망 내 협력사와 소통, 현장 방문을 통해 데이터를 통합 관리 지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기업들이 부처별 ESG 데이터 요구에 수월하게 대응하도록 'ESG 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에 나서고 기업들도 그 데이터를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ESG , 특정 기업이 해결하기 힘들어”...대통령 혹은 총리 산하 총괄 부처 필요 김진수 한양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교수도 "반도체·자동차 등 수출 중심인 국내 기업이 글로벌 ESG 공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수출 중단 뿐 아니라 국가 경쟁력에도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특정 기업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에 대통령 아니면 최소 총리 산하 ESG 정책을 총괄하는 부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보화 삼일회계법인 이사는 "현재 미국이나 유럽과 달리 한국이 추구하는 ESG 공시는 방향성이 없는 상황"이라며 "게다가 시급한 스코프3 뿐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조차 방법을 모르는 기업들이 대다수인 만큼 산업별 정부 차원의 ESG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에서는 한국지속가능성위원회(KSSB)를 통해 올해 3~4분기에 ISSB에 기반한 ESG 공시 확정안이 나올 예정이다. 박희원 넷제로홀딩스 대표는 "2~3년 후 ESG 쓰나미가 몰려올 수 있다"며 "ESG에 있어 각 기업들은 배출하는 탄소를 상쇄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양기대 국회의원, 최형두 국회의원이 환영사를 하고, 이어 김진표 국회의장, 서 협회장, 김인규 한국국제문화교류원 명예이사장이 축사를 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외국인들이 기업 정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부는 2024년부터 영문 공시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의무 실시되는 ESG 정보공시 또한 영문화 정책이 자동 적용될 전망이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2 한국ESG기준원 우수기업 시상식'에 참석해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그는 "기업의 준비상황을 고려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겠다"며 "외국인들이 적시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정보 접근 환경을 대폭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영문 공시 의무화는 자산 규모가 큰 상장사부터 적용된다. 자산 10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2021년 기준 93개사)는 2024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234개사)는 2026년부터 하기로 했다. 대다수 상장 대기업들은 이미 외국인 투자자들을 위한 IR(기업설명)의 일환으로 기업 정보 상당 부분을 영문화하고 있어, 정부의 이번 계획을 실행하는데 큰 부담은 없을 것으로 증권업계는 본다. "ESG투자 통한 기관투자자 역할 강화 지원" 김 부위원장은 "우리 자본시장의 경우 외국인 주주 비중이 상당히 높은 데도 불구하고 이들에게 충분한 정보가 제때 제공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유가증권시장 외국인 투자자 주식 보유 비중은 시가총액 기준으로 31%에 달한다. 아울러 "외국인등록제, 국내 상장사의 배당절차 등을 개선함으로써 관성적인 낡은 제도들을 국제 기준에 맞게 개선하겠다"고 덧붙였다. 금융위는 또한 한국ESG기준원과 함께 기관투자자들이 수탁자로서 책임을 다하면서  ESG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한국 스튜어드십 코드(의결권 행사지침)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한편, 의결권자문사를 통해 기관투자가의 주주권 행사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2025년부터 시행되는 ESG 공시의 단계적 의무화에 대비해 제도를 구체화하고 ESG 평가기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이어갈 계획이다. 김 부위원장은 "한국 기업지배구조의 불투명한 면이 여전히 한국 증시 저평가의 요인의 하나로 지적된다"며 "ESG는 우리 경제가 선진 경제로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말했다. 지배구조 최우수, 현대글로비스와 신한라이프생명 한편 한국ESG기준원(KCGS)은 이날 시상식에서 ESG 명예기업에 SC제일은행을 선정했다. 이는 최근 4년 안에 2회 이상 대상을 받은 기업에 주는 상이다.  SC제일은행은 2020년과 2021년 지배구조 우수기업 대상을 받았다. ESG기준원은 SC제일은행에 대해 "역동적인 이사회 문화를 바탕으로 이사회가 회사의 주요 의사결정을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ESG기준원은 ESG 부문 대상에 KB금융지주를, 최우수기업에는 한국지역난방공사를 선정했다. 우수상은 LG이노텍, 현대바이오랜드, LX세미콘, JB금융지주, 삼성카드가 공동 수상했다. ESG기준원은 “KB금융지주가 전사적 차원의 ESG 경영전략 및 대응체계를 수립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금융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점을 높게 평가했다”고 대상 선정 이유를 밝혔다.  아울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하고 탄소배출량 등 ESG금융 관련 정보를 적극 공개한 점 ▲이사회 중심의 ESG 경영전략을 수립하여 전사적 차원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노력한 점 등에서 KB금융지주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KB금융 관계자는 “앞으로도 모범적인 ESG 경영 실천을 통해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배구조 부문 최우수기업에는 현대글로비스와 신한라이프생명 2개사가, 우수기업엔 SK가스, 롯데하이마트, 클래시스, 농협생명보험 등 5개사가 선정됐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594
지속가능경제
김주현 금융위원장, "ESG 평가시장 자율준수 기준 마련하겠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medium
5-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외국인들이 기업 정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부는 2024년부터 영문 공시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의무 실시되는 ESG 정보공시 또한 영문화 정책이 자동 적용될 전망이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2 한국ESG기준원 우수기업 시상식'에 참석해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그는 "기업의 준비상황을 고려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겠다"며 "외국인들이 적시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정보 접근 환경을 대폭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영문 공시 의무화는 자산 규모가 큰 상장사부터 적용된다. 자산 10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2021년 기준 93개사)는 2024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234개사)는 2026년부터 하기로 했다. 대다수 상장 대기업들은 이미 외국인 투자자들을 위한 IR(기업설명)의 일환으로 기업 정보 상당 부분을 영문화하고 있어, 정부의 이번 계획을 실행하는데 큰 부담은 없을 것으로 증권업계는 본다. "ESG투자 통한 기관투자자 역할 강화 지원" 김 부위원장은 "우리 자본시장의 경우 외국인 주주 비중이 상당히 높은 데도 불구하고 이들에게 충분한 정보가 제때 제공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유가증권시장 외국인 투자자 주식 보유 비중은 시가총액 기준으로 31%에 달한다. 아울러 "외국인등록제, 국내 상장사의 배당절차 등을 개선함으로써 관성적인 낡은 제도들을 국제 기준에 맞게 개선하겠다"고 덧붙였다. 금융위는 또한 한국ESG기준원과 함께 기관투자자들이 수탁자로서 책임을 다하면서  ESG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한국 스튜어드십 코드(의결권 행사지침)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한편, 의결권자문사를 통해 기관투자가의 주주권 행사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2025년부터 시행되는 ESG 공시의 단계적 의무화에 대비해 제도를 구체화하고 ESG 평가기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이어갈 계획이다. 김 부위원장은 "한국 기업지배구조의 불투명한 면이 여전히 한국 증시 저평가의 요인의 하나로 지적된다"며 "ESG는 우리 경제가 선진 경제로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말했다. 지배구조 최우수, 현대글로비스와 신한라이프생명 한편 한국ESG기준원(KCGS)은 이날 시상식에서 ESG 명예기업에 SC제일은행을 선정했다. 이는 최근 4년 안에 2회 이상 대상을 받은 기업에 주는 상이다.  SC제일은행은 2020년과 2021년 지배구조 우수기업 대상을 받았다. ESG기준원은 SC제일은행에 대해 "역동적인 이사회 문화를 바탕으로 이사회가 회사의 주요 의사결정을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ESG기준원은 ESG 부문 대상에 KB금융지주를, 최우수기업에는 한국지역난방공사를 선정했다. 우수상은 LG이노텍, 현대바이오랜드, LX세미콘, JB금융지주, 삼성카드가 공동 수상했다. ESG기준원은 “KB금융지주가 전사적 차원의 ESG 경영전략 및 대응체계를 수립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금융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점을 높게 평가했다”고 대상 선정 이유를 밝혔다.  아울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하고 탄소배출량 등 ESG금융 관련 정보를 적극 공개한 점 ▲이사회 중심의 ESG 경영전략을 수립하여 전사적 차원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노력한 점 등에서 KB금융지주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KB금융 관계자는 “앞으로도 모범적인 ESG 경영 실천을 통해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배구조 부문 최우수기업에는 현대글로비스와 신한라이프생명 2개사가, 우수기업엔 SK가스, 롯데하이마트, 클래시스, 농협생명보험 등 5개사가 선정됐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글로벌 차원에서 이뤄지는 ESG(환경·사회적 책임·기업지배구조) 공시 의무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11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개최된 '글로벌 ESG공시 의무화와 한국 기업의 대응전략 토론회'에서는 지난달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가 공개한 지속가능성 공시 최종안(이하 ISSB 최종안)에 대한 정부와 기업의 대응방향이 논의됐다. 토론회에서는 글로벌 ESG 투자 흐름 속에 ESG공시 지원과 개별 기업들의 관련 준비가 시급하며, 탄소 감축에 대해 과학적 방법에 따른 측정과 계획실행을 요구하는 과학기반목표이니셔티브(SBTi)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다. ESG경제는 글로벌 뉴노멀…이젠 실천 방법을 모색하는 ‘How’의 단계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ESG는 이제 세계 경제의 뉴노멀이 되고 있으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ESG 공시 의무화를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 협회장은 "우리나라 기업들의 ESG 준비는 기업 윤리 차원의 선택이 아닌 생존과 직결된 필수"라며 "금융투자업권에서도 ESG공시는 기업 평가를 통해 투자로 이어지는 ESG 투자의 첫 단추"라고 말했다. 그는 "ESG에 대해 고민하는 '왜(Why)’의 단계가 아니라 실천 방법을 모색하는 '어떻게(How)’의 단계로 접어 들었다"며 "ESG 경영 전략의 어려움 겪는 기업에 가이드라인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회계기준 국제회계기준(IFRS)는 최근 산하의 국제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를 통해 ESG 공시 기준을 마련했다. 이곳에서 SBTi가 중시되며 온실가스 감축이 스코프3(SCOPE3·연관배출)까지 범위가 확대됐다. 스코프3는 일반 기업의 경우 ‘조달~생산~판매’라는 전통적 생산방식을 확장해 공급망·협력업체·금융기관의 경우 대출,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 대상 기업을 모두 탄소배출에 포함하는 방식을 말한다.  ESG의 미래 “기업과 산업의 혁신이 핵심 이슈 될 것” 주제 발표를 한 김의형 전 한국회계기준원장은 "ESG 공시가 시작되지만, 결국 탈탄소 등 ESG 목표 달성을 위해 기업과 산업의 혁신이 얼마나 성취될 것이냐가 가장 핵심"이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이어 "ESG 공시는 산업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이는 정부의 지원이 충분할때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ESG 공시가 혁신으로 이어지기 위한 국가적 미션으로 △산업별 지원 △혁신에 대한 인센티브 △ 조기·장기투자 △금융권의 협조 △ 산업별 벤치마킹을 언급했다. 김광기 ESG경제 대표는 "유럽은 돈이 드는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고 있어 기업이 받는 ESG 리스크뿐 아니라 기업 활동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까지 책임지고 있다"며 "(반면) 우리나라가 채택한 미국모델은 돈이 되는 ESG를 추구하며 기관투자자, 연기금의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투자수익을 위한 포트폴리오 구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대표는 ESG 공시 대응법으로 일상적인 '데이터 관리'를 강조했다. 이를 위해 기업들은 전사적인 자체 ESG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하며, 특히 대기업들은 공급망 내 협력사와 소통, 현장 방문을 통해 데이터를 통합 관리 지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기업들이 부처별 ESG 데이터 요구에 수월하게 대응하도록 'ESG 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에 나서고 기업들도 그 데이터를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ESG , 특정 기업이 해결하기 힘들어”...대통령 혹은 총리 산하 총괄 부처 필요 김진수 한양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교수도 "반도체·자동차 등 수출 중심인 국내 기업이 글로벌 ESG 공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수출 중단 뿐 아니라 국가 경쟁력에도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특정 기업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에 대통령 아니면 최소 총리 산하 ESG 정책을 총괄하는 부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보화 삼일회계법인 이사는 "현재 미국이나 유럽과 달리 한국이 추구하는 ESG 공시는 방향성이 없는 상황"이라며 "게다가 시급한 스코프3 뿐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조차 방법을 모르는 기업들이 대다수인 만큼 산업별 정부 차원의 ESG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에서는 한국지속가능성위원회(KSSB)를 통해 올해 3~4분기에 ISSB에 기반한 ESG 공시 확정안이 나올 예정이다. 박희원 넷제로홀딩스 대표는 "2~3년 후 ESG 쓰나미가 몰려올 수 있다"며 "ESG에 있어 각 기업들은 배출하는 탄소를 상쇄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양기대 국회의원, 최형두 국회의원이 환영사를 하고, 이어 김진표 국회의장, 서 협회장, 김인규 한국국제문화교류원 명예이사장이 축사를 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6월 말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S1)과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S2) 방안을 확정 발표한 가운데, 국내 ESG 공시 의무화 시행을 놓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정부는 3분기 중 국내 ESG공시 의무화를 위한 로드맵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재계의 반발 등을 고려해 연내 발표로 미룰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공시 의무화 시기뿐 아니라 법정공시 도입 여부도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법정공시는 물론 ESG 공시 의무화 시기를 늦춰야 한다고 재계가 요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1~2년 늦추는 것보다는 느슨하게라도 시행에 들어가며 점차 개선해 나가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런 가운데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기후공시의 법정공시 도입을 요구하는 헌법소원을 제기했다.  정부는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부터 ESG 공시를 의무화하고 ▶2027년 자산 1조원 ▶2029년 자산 5000억원 ▶2030년 전체 코스피 상장사로 공시 대상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지난 2021년 발표한 바 있다. 정부는 자산 규모가 큰 코스닥 상장사도 ESG 공시 의무화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하지만 2025년부터 도입되는 ESG 공시는 자본시장법에 따른 법정공시가 아니라 한국거래소 규정에 따른 거래소 시장공시로 한정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법정공시는 공시 내용에 대해 기업이 손해배상 등 법적인 책임을 져야 하는 제도다. 법정 공시화 하려면 ESG 공시를 사업보고서와 통합해야 하고 이를 위해 자본시장법 개정이 필요하다.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의원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이 이를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자본시장법에 근거한 ESG공시가 시행되면, 기업들은 자칫 허위, 부실 공시 논란에 휩싸이면 손해배상 소송을 당할 수 있게 된다. ISSB 국제표준 ESG 공시는 사업보고서 법정공시에 해당 ISSB기준은 물론 유럽연합의 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ESRS)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연내 확정 발표할 예정인 기후공시는 모두 사업보고서를 통한 공시를 의무화하는 법정공시에 해당한다. 이런 가운데, 자본시장연구원의 이상호 연구위원은 지난 5월 정부의 법정공시 도입 방안의 초안 성격을 갖는 ESG 공시제도 개선 방안을 공개했다. ESG 공시 의무화를 일단 거래소 공시 방식으로 시작하고,  2년 후인 2027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의 ESG 공시를 법정공시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2029년에는 1조원 이상, 2031년 5000억원 이상, 2032년 부터는 5000억원 미만 기업의 ESG 공시를 법정공시로 전환하는 방안이다. 코스닥 상장사의 경우 2029년부터 자산규모 5000억원 이상인 기업의 거래소 공시를 의무화하고 2031년부터 법정공시로 전환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 그린피스 법정공시 촉구 헌법 소원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167명의 청구인단과 함께 기후공시의 법정공시를 요구하는 헌법소원을 20일 제기했다. 양연호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패이너는 “현행 자본시장법은 기업의 투명한 기후 대응 정보를 공개하도록 강제하지 않아 국민의 재산권과 환경권을 침해한다”며 “투자자는 투자 대상 기업의 기후위기 관련 위험과 대응, 전략을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기업의 기후 위기 대응 정보 공개를 의무화하지 않으면 기업의 그린워싱을 막을 수 없고, 결국 국민의 환경권도 침해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헌법소원 심판청구 대리인인 법무법인 원 이영주 변호사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와 관련해 기본권의 침해를 인정하는 판결이 나오는 것은 헌법이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국가의 역할을 주문한다는 의미”라며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능력은 주가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핵심 정보”라고 말했다. 그는 따라서 “국가는 국민의 재산권과 환경권을 보호하기 위해 기후 공시 의무를 자본시장법에 규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재계 ESG 공시 의무화 연기 요청 하지만 재계는 기후변화 대응 정보를 포함한 ESG 공시 의무화 도입 시기를 늦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재계의 거래소 공시 도입 연기 요구는 법정공시로의 전환도 늦춰져야 한다는 요구인 셈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의 이동근 상근부회장은 “지난 정부에서 2025년으로 예정한 ESG 공시 의무화 시기를 최소한 3~4년 늦추고, 이 기간 개도국을 포함한 주요국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가운데, 정부의 기업이 세부공시 기준 마련과 시스템 구축 등 충실한 준비에 만전을 기하는 게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경총 관계자는 “실제로 정부가 ESG 공시 도입을 이 정도로 연기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거래소 공시는 2027년, 법정 공시는 2029년 정도 시작된다면 기업의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경총은 국내의 열악한 재생에너지 인프라와 ESG 공시 인증 시장, 장기간이 소요되는 해외 사업장을 포함한 전사적인 공시 데이터 수집 시스템 구축 등을 고려할 때 공시 의무화 연기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달 한국회계기준원 등이 주최한 ‘국제 지속가능성 보고 세미나’에서 “국내 ESG 공시제도를 만드는 과정에서 국제사회 논의와 국내 산업의 특성, 국내 기업의 준비 상황을 균형있게 고려할 것”이라며 “글로벌 정합성을 갖추되 기업의 현실적 어려움과 투자자의 정보 니즈(needs)를 균형있게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싱가포르는 2025년 ISSB 공시기준에 따른 ESG공시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 호주도 내용상 ISSB 기준과 유사한 기후공시를 내년부터 의무화하기로 했다. 영국은 ISSB 기준을 수용한 자국의 지속가능성공시기준(UK SDS)을 내년 6월까지 제정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ESG공시가 법정공시로 전환되는 시점에 ISSB 기준을 기반으로 하되 국내 여건을 고려해 세부사항을 추가하거나 완화한 KSSB 기준이 도입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기 위해 내년 1월 공식 출범하는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를 이끌 7명의 위원이 선임됐다. 2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초대 KSSB 위원장은 김의형 한국회계기준원 원장이, 상임위원은 박세환 한국회계기준원 상임위원이 맡게 됐다. 김의형(64) KSSB 위원장은 "국제기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활발히 소통해 ISSB 기준에 근거한 합리적인 KSSB 기준안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특히 "중소ㆍ중견기업들이 ESG 공시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돈 안들고 쉽게 적용 가능한 한국형 공시안을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와 삼일회계법인 대표와 PwC컨설팅 대표, 한국거래소 공시위원회 위원, 회계기준위원회 위원, 공정거래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업계에서는 회계와 시장공시에 정통한 전문가로서, 각계의 의견을 합리적으로 수렴해 KSSB 기준안을 만들 적임자라고 평가한다.  5명의 비상임위원 중 3명은 당연직, 2명은 추천 위원이다. 당연직 위원에는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과 임재준 한국거래소 부이사장, 이병래 한국공인회계사회 부회장이 선임됐다. 추천위원으로는 금융위원회의 추천을 받은 백복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와 금융감독원의 추천을 받은 조윤남 한국ESG연구소 대표이사가 선임됐다. 정부는 ESG 국제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 KSSB를 한국회계기준원 안에 설립하기로 했다. KSSB는 내년 1분기에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KSSB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내년 1분기 중 제정할 ESG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국제적 정합성을 갖추면서 국내 기업에 적합한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 계획이다. KSSB가 ESG 공시기준을 만들 때 자문을 맡게 될 자문기구도 내년 1월 출범한다. 올해 설립된 지속가능성기준자문위원회가 KSSB의 자문기구로 확대 개편되면서 자문위원도 현재의 14명에서 20명으로 늘어난다. KSSB가 만들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은 대기업보다 중소ㆍ중견 기업을 위한 기준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본부장은 "글로벌 기업으로 큰 대기업의 경우 ISSB 기준과 같은 글로벌 투자자 공시 기준을 당연히 따를 수 밖에 없다”며 “이런 수준에 이르지 못한 기업도 공시에 쉽게 접근하도록 공시 항목을 줄이고 공시 난이도도 낮춘 기준안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KSSB가 기준안을 제시하면 정부가 이해관계자와의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하게 된다. 금융위는 내년 중 관계부처와 회계기준원,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한국ESG기준원 등 유관기관과 함께 다양한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거쳐 국내 ESG 공시제도 전반에 대한 세부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국내 상장기업의 ESG 공시 의무화는 2025년 자산 2조원 이상 대기업부터 시행될 예정이지만, 국내외 시장의 요구가 많아 자율적 공시 형식을 빌어 앞당겨 실시될 가능성도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594
지속가능경제
김주현 금융위원장, "ESG 평가시장 자율준수 기준 마련하겠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medium
5-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기 위해 내년 1월 공식 출범하는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를 이끌 7명의 위원이 선임됐다. 2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초대 KSSB 위원장은 김의형 한국회계기준원 원장이, 상임위원은 박세환 한국회계기준원 상임위원이 맡게 됐다. 김의형(64) KSSB 위원장은 "국제기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활발히 소통해 ISSB 기준에 근거한 합리적인 KSSB 기준안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특히 "중소ㆍ중견기업들이 ESG 공시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돈 안들고 쉽게 적용 가능한 한국형 공시안을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와 삼일회계법인 대표와 PwC컨설팅 대표, 한국거래소 공시위원회 위원, 회계기준위원회 위원, 공정거래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업계에서는 회계와 시장공시에 정통한 전문가로서, 각계의 의견을 합리적으로 수렴해 KSSB 기준안을 만들 적임자라고 평가한다.  5명의 비상임위원 중 3명은 당연직, 2명은 추천 위원이다. 당연직 위원에는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과 임재준 한국거래소 부이사장, 이병래 한국공인회계사회 부회장이 선임됐다. 추천위원으로는 금융위원회의 추천을 받은 백복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와 금융감독원의 추천을 받은 조윤남 한국ESG연구소 대표이사가 선임됐다. 정부는 ESG 국제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 KSSB를 한국회계기준원 안에 설립하기로 했다. KSSB는 내년 1분기에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KSSB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내년 1분기 중 제정할 ESG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국제적 정합성을 갖추면서 국내 기업에 적합한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 계획이다. KSSB가 ESG 공시기준을 만들 때 자문을 맡게 될 자문기구도 내년 1월 출범한다. 올해 설립된 지속가능성기준자문위원회가 KSSB의 자문기구로 확대 개편되면서 자문위원도 현재의 14명에서 20명으로 늘어난다. KSSB가 만들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은 대기업보다 중소ㆍ중견 기업을 위한 기준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본부장은 "글로벌 기업으로 큰 대기업의 경우 ISSB 기준과 같은 글로벌 투자자 공시 기준을 당연히 따를 수 밖에 없다”며 “이런 수준에 이르지 못한 기업도 공시에 쉽게 접근하도록 공시 항목을 줄이고 공시 난이도도 낮춘 기준안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KSSB가 기준안을 제시하면 정부가 이해관계자와의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하게 된다. 금융위는 내년 중 관계부처와 회계기준원,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한국ESG기준원 등 유관기관과 함께 다양한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거쳐 국내 ESG 공시제도 전반에 대한 세부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국내 상장기업의 ESG 공시 의무화는 2025년 자산 2조원 이상 대기업부터 시행될 예정이지만, 국내외 시장의 요구가 많아 자율적 공시 형식을 빌어 앞당겨 실시될 가능성도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6월 말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S1)과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S2) 방안을 확정 발표한 가운데, 국내 ESG 공시 의무화 시행을 놓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정부는 3분기 중 국내 ESG공시 의무화를 위한 로드맵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재계의 반발 등을 고려해 연내 발표로 미룰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공시 의무화 시기뿐 아니라 법정공시 도입 여부도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법정공시는 물론 ESG 공시 의무화 시기를 늦춰야 한다고 재계가 요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1~2년 늦추는 것보다는 느슨하게라도 시행에 들어가며 점차 개선해 나가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런 가운데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기후공시의 법정공시 도입을 요구하는 헌법소원을 제기했다.  정부는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부터 ESG 공시를 의무화하고 ▶2027년 자산 1조원 ▶2029년 자산 5000억원 ▶2030년 전체 코스피 상장사로 공시 대상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지난 2021년 발표한 바 있다. 정부는 자산 규모가 큰 코스닥 상장사도 ESG 공시 의무화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하지만 2025년부터 도입되는 ESG 공시는 자본시장법에 따른 법정공시가 아니라 한국거래소 규정에 따른 거래소 시장공시로 한정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법정공시는 공시 내용에 대해 기업이 손해배상 등 법적인 책임을 져야 하는 제도다. 법정 공시화 하려면 ESG 공시를 사업보고서와 통합해야 하고 이를 위해 자본시장법 개정이 필요하다.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의원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이 이를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자본시장법에 근거한 ESG공시가 시행되면, 기업들은 자칫 허위, 부실 공시 논란에 휩싸이면 손해배상 소송을 당할 수 있게 된다. ISSB 국제표준 ESG 공시는 사업보고서 법정공시에 해당 ISSB기준은 물론 유럽연합의 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ESRS)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연내 확정 발표할 예정인 기후공시는 모두 사업보고서를 통한 공시를 의무화하는 법정공시에 해당한다. 이런 가운데, 자본시장연구원의 이상호 연구위원은 지난 5월 정부의 법정공시 도입 방안의 초안 성격을 갖는 ESG 공시제도 개선 방안을 공개했다. ESG 공시 의무화를 일단 거래소 공시 방식으로 시작하고,  2년 후인 2027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의 ESG 공시를 법정공시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2029년에는 1조원 이상, 2031년 5000억원 이상, 2032년 부터는 5000억원 미만 기업의 ESG 공시를 법정공시로 전환하는 방안이다. 코스닥 상장사의 경우 2029년부터 자산규모 5000억원 이상인 기업의 거래소 공시를 의무화하고 2031년부터 법정공시로 전환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 그린피스 법정공시 촉구 헌법 소원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167명의 청구인단과 함께 기후공시의 법정공시를 요구하는 헌법소원을 20일 제기했다. 양연호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패이너는 “현행 자본시장법은 기업의 투명한 기후 대응 정보를 공개하도록 강제하지 않아 국민의 재산권과 환경권을 침해한다”며 “투자자는 투자 대상 기업의 기후위기 관련 위험과 대응, 전략을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기업의 기후 위기 대응 정보 공개를 의무화하지 않으면 기업의 그린워싱을 막을 수 없고, 결국 국민의 환경권도 침해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헌법소원 심판청구 대리인인 법무법인 원 이영주 변호사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와 관련해 기본권의 침해를 인정하는 판결이 나오는 것은 헌법이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국가의 역할을 주문한다는 의미”라며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능력은 주가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핵심 정보”라고 말했다. 그는 따라서 “국가는 국민의 재산권과 환경권을 보호하기 위해 기후 공시 의무를 자본시장법에 규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재계 ESG 공시 의무화 연기 요청 하지만 재계는 기후변화 대응 정보를 포함한 ESG 공시 의무화 도입 시기를 늦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재계의 거래소 공시 도입 연기 요구는 법정공시로의 전환도 늦춰져야 한다는 요구인 셈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의 이동근 상근부회장은 “지난 정부에서 2025년으로 예정한 ESG 공시 의무화 시기를 최소한 3~4년 늦추고, 이 기간 개도국을 포함한 주요국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가운데, 정부의 기업이 세부공시 기준 마련과 시스템 구축 등 충실한 준비에 만전을 기하는 게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경총 관계자는 “실제로 정부가 ESG 공시 도입을 이 정도로 연기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거래소 공시는 2027년, 법정 공시는 2029년 정도 시작된다면 기업의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경총은 국내의 열악한 재생에너지 인프라와 ESG 공시 인증 시장, 장기간이 소요되는 해외 사업장을 포함한 전사적인 공시 데이터 수집 시스템 구축 등을 고려할 때 공시 의무화 연기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달 한국회계기준원 등이 주최한 ‘국제 지속가능성 보고 세미나’에서 “국내 ESG 공시제도를 만드는 과정에서 국제사회 논의와 국내 산업의 특성, 국내 기업의 준비 상황을 균형있게 고려할 것”이라며 “글로벌 정합성을 갖추되 기업의 현실적 어려움과 투자자의 정보 니즈(needs)를 균형있게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싱가포르는 2025년 ISSB 공시기준에 따른 ESG공시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 호주도 내용상 ISSB 기준과 유사한 기후공시를 내년부터 의무화하기로 했다. 영국은 ISSB 기준을 수용한 자국의 지속가능성공시기준(UK SDS)을 내년 6월까지 제정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ESG공시가 법정공시로 전환되는 시점에 ISSB 기준을 기반으로 하되 국내 여건을 고려해 세부사항을 추가하거나 완화한 KSSB 기준이 도입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글로벌 차원에서 이뤄지는 ESG(환경·사회적 책임·기업지배구조) 공시 의무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11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개최된 '글로벌 ESG공시 의무화와 한국 기업의 대응전략 토론회'에서는 지난달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가 공개한 지속가능성 공시 최종안(이하 ISSB 최종안)에 대한 정부와 기업의 대응방향이 논의됐다. 토론회에서는 글로벌 ESG 투자 흐름 속에 ESG공시 지원과 개별 기업들의 관련 준비가 시급하며, 탄소 감축에 대해 과학적 방법에 따른 측정과 계획실행을 요구하는 과학기반목표이니셔티브(SBTi)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다. ESG경제는 글로벌 뉴노멀…이젠 실천 방법을 모색하는 ‘How’의 단계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ESG는 이제 세계 경제의 뉴노멀이 되고 있으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ESG 공시 의무화를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 협회장은 "우리나라 기업들의 ESG 준비는 기업 윤리 차원의 선택이 아닌 생존과 직결된 필수"라며 "금융투자업권에서도 ESG공시는 기업 평가를 통해 투자로 이어지는 ESG 투자의 첫 단추"라고 말했다. 그는 "ESG에 대해 고민하는 '왜(Why)’의 단계가 아니라 실천 방법을 모색하는 '어떻게(How)’의 단계로 접어 들었다"며 "ESG 경영 전략의 어려움 겪는 기업에 가이드라인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회계기준 국제회계기준(IFRS)는 최근 산하의 국제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를 통해 ESG 공시 기준을 마련했다. 이곳에서 SBTi가 중시되며 온실가스 감축이 스코프3(SCOPE3·연관배출)까지 범위가 확대됐다. 스코프3는 일반 기업의 경우 ‘조달~생산~판매’라는 전통적 생산방식을 확장해 공급망·협력업체·금융기관의 경우 대출,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 대상 기업을 모두 탄소배출에 포함하는 방식을 말한다.  ESG의 미래 “기업과 산업의 혁신이 핵심 이슈 될 것” 주제 발표를 한 김의형 전 한국회계기준원장은 "ESG 공시가 시작되지만, 결국 탈탄소 등 ESG 목표 달성을 위해 기업과 산업의 혁신이 얼마나 성취될 것이냐가 가장 핵심"이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이어 "ESG 공시는 산업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이는 정부의 지원이 충분할때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ESG 공시가 혁신으로 이어지기 위한 국가적 미션으로 △산업별 지원 △혁신에 대한 인센티브 △ 조기·장기투자 △금융권의 협조 △ 산업별 벤치마킹을 언급했다. 김광기 ESG경제 대표는 "유럽은 돈이 드는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고 있어 기업이 받는 ESG 리스크뿐 아니라 기업 활동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까지 책임지고 있다"며 "(반면) 우리나라가 채택한 미국모델은 돈이 되는 ESG를 추구하며 기관투자자, 연기금의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투자수익을 위한 포트폴리오 구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대표는 ESG 공시 대응법으로 일상적인 '데이터 관리'를 강조했다. 이를 위해 기업들은 전사적인 자체 ESG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하며, 특히 대기업들은 공급망 내 협력사와 소통, 현장 방문을 통해 데이터를 통합 관리 지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기업들이 부처별 ESG 데이터 요구에 수월하게 대응하도록 'ESG 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에 나서고 기업들도 그 데이터를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ESG , 특정 기업이 해결하기 힘들어”...대통령 혹은 총리 산하 총괄 부처 필요 김진수 한양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교수도 "반도체·자동차 등 수출 중심인 국내 기업이 글로벌 ESG 공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수출 중단 뿐 아니라 국가 경쟁력에도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특정 기업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에 대통령 아니면 최소 총리 산하 ESG 정책을 총괄하는 부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보화 삼일회계법인 이사는 "현재 미국이나 유럽과 달리 한국이 추구하는 ESG 공시는 방향성이 없는 상황"이라며 "게다가 시급한 스코프3 뿐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조차 방법을 모르는 기업들이 대다수인 만큼 산업별 정부 차원의 ESG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에서는 한국지속가능성위원회(KSSB)를 통해 올해 3~4분기에 ISSB에 기반한 ESG 공시 확정안이 나올 예정이다. 박희원 넷제로홀딩스 대표는 "2~3년 후 ESG 쓰나미가 몰려올 수 있다"며 "ESG에 있어 각 기업들은 배출하는 탄소를 상쇄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양기대 국회의원, 최형두 국회의원이 환영사를 하고, 이어 김진표 국회의장, 서 협회장, 김인규 한국국제문화교류원 명예이사장이 축사를 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외국인들이 기업 정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부는 2024년부터 영문 공시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의무 실시되는 ESG 정보공시 또한 영문화 정책이 자동 적용될 전망이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2 한국ESG기준원 우수기업 시상식'에 참석해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그는 "기업의 준비상황을 고려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겠다"며 "외국인들이 적시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정보 접근 환경을 대폭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영문 공시 의무화는 자산 규모가 큰 상장사부터 적용된다. 자산 10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2021년 기준 93개사)는 2024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234개사)는 2026년부터 하기로 했다. 대다수 상장 대기업들은 이미 외국인 투자자들을 위한 IR(기업설명)의 일환으로 기업 정보 상당 부분을 영문화하고 있어, 정부의 이번 계획을 실행하는데 큰 부담은 없을 것으로 증권업계는 본다. "ESG투자 통한 기관투자자 역할 강화 지원" 김 부위원장은 "우리 자본시장의 경우 외국인 주주 비중이 상당히 높은 데도 불구하고 이들에게 충분한 정보가 제때 제공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유가증권시장 외국인 투자자 주식 보유 비중은 시가총액 기준으로 31%에 달한다. 아울러 "외국인등록제, 국내 상장사의 배당절차 등을 개선함으로써 관성적인 낡은 제도들을 국제 기준에 맞게 개선하겠다"고 덧붙였다. 금융위는 또한 한국ESG기준원과 함께 기관투자자들이 수탁자로서 책임을 다하면서  ESG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한국 스튜어드십 코드(의결권 행사지침)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한편, 의결권자문사를 통해 기관투자가의 주주권 행사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2025년부터 시행되는 ESG 공시의 단계적 의무화에 대비해 제도를 구체화하고 ESG 평가기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이어갈 계획이다. 김 부위원장은 "한국 기업지배구조의 불투명한 면이 여전히 한국 증시 저평가의 요인의 하나로 지적된다"며 "ESG는 우리 경제가 선진 경제로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말했다. 지배구조 최우수, 현대글로비스와 신한라이프생명 한편 한국ESG기준원(KCGS)은 이날 시상식에서 ESG 명예기업에 SC제일은행을 선정했다. 이는 최근 4년 안에 2회 이상 대상을 받은 기업에 주는 상이다.  SC제일은행은 2020년과 2021년 지배구조 우수기업 대상을 받았다. ESG기준원은 SC제일은행에 대해 "역동적인 이사회 문화를 바탕으로 이사회가 회사의 주요 의사결정을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ESG기준원은 ESG 부문 대상에 KB금융지주를, 최우수기업에는 한국지역난방공사를 선정했다. 우수상은 LG이노텍, 현대바이오랜드, LX세미콘, JB금융지주, 삼성카드가 공동 수상했다. ESG기준원은 “KB금융지주가 전사적 차원의 ESG 경영전략 및 대응체계를 수립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금융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점을 높게 평가했다”고 대상 선정 이유를 밝혔다.  아울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하고 탄소배출량 등 ESG금융 관련 정보를 적극 공개한 점 ▲이사회 중심의 ESG 경영전략을 수립하여 전사적 차원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노력한 점 등에서 KB금융지주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KB금융 관계자는 “앞으로도 모범적인 ESG 경영 실천을 통해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배구조 부문 최우수기업에는 현대글로비스와 신한라이프생명 2개사가, 우수기업엔 SK가스, 롯데하이마트, 클래시스, 농협생명보험 등 5개사가 선정됐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594
지속가능경제
김주현 금융위원장, "ESG 평가시장 자율준수 기준 마련하겠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medium
5-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외국인들이 기업 정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부는 2024년부터 영문 공시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의무 실시되는 ESG 정보공시 또한 영문화 정책이 자동 적용될 전망이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2 한국ESG기준원 우수기업 시상식'에 참석해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그는 "기업의 준비상황을 고려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겠다"며 "외국인들이 적시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정보 접근 환경을 대폭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영문 공시 의무화는 자산 규모가 큰 상장사부터 적용된다. 자산 10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2021년 기준 93개사)는 2024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234개사)는 2026년부터 하기로 했다. 대다수 상장 대기업들은 이미 외국인 투자자들을 위한 IR(기업설명)의 일환으로 기업 정보 상당 부분을 영문화하고 있어, 정부의 이번 계획을 실행하는데 큰 부담은 없을 것으로 증권업계는 본다. "ESG투자 통한 기관투자자 역할 강화 지원" 김 부위원장은 "우리 자본시장의 경우 외국인 주주 비중이 상당히 높은 데도 불구하고 이들에게 충분한 정보가 제때 제공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유가증권시장 외국인 투자자 주식 보유 비중은 시가총액 기준으로 31%에 달한다. 아울러 "외국인등록제, 국내 상장사의 배당절차 등을 개선함으로써 관성적인 낡은 제도들을 국제 기준에 맞게 개선하겠다"고 덧붙였다. 금융위는 또한 한국ESG기준원과 함께 기관투자자들이 수탁자로서 책임을 다하면서  ESG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한국 스튜어드십 코드(의결권 행사지침)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한편, 의결권자문사를 통해 기관투자가의 주주권 행사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2025년부터 시행되는 ESG 공시의 단계적 의무화에 대비해 제도를 구체화하고 ESG 평가기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이어갈 계획이다. 김 부위원장은 "한국 기업지배구조의 불투명한 면이 여전히 한국 증시 저평가의 요인의 하나로 지적된다"며 "ESG는 우리 경제가 선진 경제로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말했다. 지배구조 최우수, 현대글로비스와 신한라이프생명 한편 한국ESG기준원(KCGS)은 이날 시상식에서 ESG 명예기업에 SC제일은행을 선정했다. 이는 최근 4년 안에 2회 이상 대상을 받은 기업에 주는 상이다.  SC제일은행은 2020년과 2021년 지배구조 우수기업 대상을 받았다. ESG기준원은 SC제일은행에 대해 "역동적인 이사회 문화를 바탕으로 이사회가 회사의 주요 의사결정을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ESG기준원은 ESG 부문 대상에 KB금융지주를, 최우수기업에는 한국지역난방공사를 선정했다. 우수상은 LG이노텍, 현대바이오랜드, LX세미콘, JB금융지주, 삼성카드가 공동 수상했다. ESG기준원은 “KB금융지주가 전사적 차원의 ESG 경영전략 및 대응체계를 수립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금융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점을 높게 평가했다”고 대상 선정 이유를 밝혔다.  아울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하고 탄소배출량 등 ESG금융 관련 정보를 적극 공개한 점 ▲이사회 중심의 ESG 경영전략을 수립하여 전사적 차원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노력한 점 등에서 KB금융지주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KB금융 관계자는 “앞으로도 모범적인 ESG 경영 실천을 통해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배구조 부문 최우수기업에는 현대글로비스와 신한라이프생명 2개사가, 우수기업엔 SK가스, 롯데하이마트, 클래시스, 농협생명보험 등 5개사가 선정됐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글로벌 차원에서 이뤄지는 ESG(환경·사회적 책임·기업지배구조) 공시 의무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11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개최된 '글로벌 ESG공시 의무화와 한국 기업의 대응전략 토론회'에서는 지난달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가 공개한 지속가능성 공시 최종안(이하 ISSB 최종안)에 대한 정부와 기업의 대응방향이 논의됐다. 토론회에서는 글로벌 ESG 투자 흐름 속에 ESG공시 지원과 개별 기업들의 관련 준비가 시급하며, 탄소 감축에 대해 과학적 방법에 따른 측정과 계획실행을 요구하는 과학기반목표이니셔티브(SBTi)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다. ESG경제는 글로벌 뉴노멀…이젠 실천 방법을 모색하는 ‘How’의 단계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ESG는 이제 세계 경제의 뉴노멀이 되고 있으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ESG 공시 의무화를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 협회장은 "우리나라 기업들의 ESG 준비는 기업 윤리 차원의 선택이 아닌 생존과 직결된 필수"라며 "금융투자업권에서도 ESG공시는 기업 평가를 통해 투자로 이어지는 ESG 투자의 첫 단추"라고 말했다. 그는 "ESG에 대해 고민하는 '왜(Why)’의 단계가 아니라 실천 방법을 모색하는 '어떻게(How)’의 단계로 접어 들었다"며 "ESG 경영 전략의 어려움 겪는 기업에 가이드라인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회계기준 국제회계기준(IFRS)는 최근 산하의 국제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를 통해 ESG 공시 기준을 마련했다. 이곳에서 SBTi가 중시되며 온실가스 감축이 스코프3(SCOPE3·연관배출)까지 범위가 확대됐다. 스코프3는 일반 기업의 경우 ‘조달~생산~판매’라는 전통적 생산방식을 확장해 공급망·협력업체·금융기관의 경우 대출,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 대상 기업을 모두 탄소배출에 포함하는 방식을 말한다.  ESG의 미래 “기업과 산업의 혁신이 핵심 이슈 될 것” 주제 발표를 한 김의형 전 한국회계기준원장은 "ESG 공시가 시작되지만, 결국 탈탄소 등 ESG 목표 달성을 위해 기업과 산업의 혁신이 얼마나 성취될 것이냐가 가장 핵심"이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이어 "ESG 공시는 산업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이는 정부의 지원이 충분할때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ESG 공시가 혁신으로 이어지기 위한 국가적 미션으로 △산업별 지원 △혁신에 대한 인센티브 △ 조기·장기투자 △금융권의 협조 △ 산업별 벤치마킹을 언급했다. 김광기 ESG경제 대표는 "유럽은 돈이 드는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고 있어 기업이 받는 ESG 리스크뿐 아니라 기업 활동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까지 책임지고 있다"며 "(반면) 우리나라가 채택한 미국모델은 돈이 되는 ESG를 추구하며 기관투자자, 연기금의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투자수익을 위한 포트폴리오 구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대표는 ESG 공시 대응법으로 일상적인 '데이터 관리'를 강조했다. 이를 위해 기업들은 전사적인 자체 ESG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하며, 특히 대기업들은 공급망 내 협력사와 소통, 현장 방문을 통해 데이터를 통합 관리 지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기업들이 부처별 ESG 데이터 요구에 수월하게 대응하도록 'ESG 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에 나서고 기업들도 그 데이터를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ESG , 특정 기업이 해결하기 힘들어”...대통령 혹은 총리 산하 총괄 부처 필요 김진수 한양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교수도 "반도체·자동차 등 수출 중심인 국내 기업이 글로벌 ESG 공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수출 중단 뿐 아니라 국가 경쟁력에도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특정 기업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에 대통령 아니면 최소 총리 산하 ESG 정책을 총괄하는 부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보화 삼일회계법인 이사는 "현재 미국이나 유럽과 달리 한국이 추구하는 ESG 공시는 방향성이 없는 상황"이라며 "게다가 시급한 스코프3 뿐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조차 방법을 모르는 기업들이 대다수인 만큼 산업별 정부 차원의 ESG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에서는 한국지속가능성위원회(KSSB)를 통해 올해 3~4분기에 ISSB에 기반한 ESG 공시 확정안이 나올 예정이다. 박희원 넷제로홀딩스 대표는 "2~3년 후 ESG 쓰나미가 몰려올 수 있다"며 "ESG에 있어 각 기업들은 배출하는 탄소를 상쇄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양기대 국회의원, 최형두 국회의원이 환영사를 하고, 이어 김진표 국회의장, 서 협회장, 김인규 한국국제문화교류원 명예이사장이 축사를 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6월 말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S1)과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S2) 방안을 확정 발표한 가운데, 국내 ESG 공시 의무화 시행을 놓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정부는 3분기 중 국내 ESG공시 의무화를 위한 로드맵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재계의 반발 등을 고려해 연내 발표로 미룰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공시 의무화 시기뿐 아니라 법정공시 도입 여부도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법정공시는 물론 ESG 공시 의무화 시기를 늦춰야 한다고 재계가 요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1~2년 늦추는 것보다는 느슨하게라도 시행에 들어가며 점차 개선해 나가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런 가운데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기후공시의 법정공시 도입을 요구하는 헌법소원을 제기했다.  정부는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부터 ESG 공시를 의무화하고 ▶2027년 자산 1조원 ▶2029년 자산 5000억원 ▶2030년 전체 코스피 상장사로 공시 대상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지난 2021년 발표한 바 있다. 정부는 자산 규모가 큰 코스닥 상장사도 ESG 공시 의무화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하지만 2025년부터 도입되는 ESG 공시는 자본시장법에 따른 법정공시가 아니라 한국거래소 규정에 따른 거래소 시장공시로 한정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법정공시는 공시 내용에 대해 기업이 손해배상 등 법적인 책임을 져야 하는 제도다. 법정 공시화 하려면 ESG 공시를 사업보고서와 통합해야 하고 이를 위해 자본시장법 개정이 필요하다.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의원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이 이를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자본시장법에 근거한 ESG공시가 시행되면, 기업들은 자칫 허위, 부실 공시 논란에 휩싸이면 손해배상 소송을 당할 수 있게 된다. ISSB 국제표준 ESG 공시는 사업보고서 법정공시에 해당 ISSB기준은 물론 유럽연합의 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ESRS)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연내 확정 발표할 예정인 기후공시는 모두 사업보고서를 통한 공시를 의무화하는 법정공시에 해당한다. 이런 가운데, 자본시장연구원의 이상호 연구위원은 지난 5월 정부의 법정공시 도입 방안의 초안 성격을 갖는 ESG 공시제도 개선 방안을 공개했다. ESG 공시 의무화를 일단 거래소 공시 방식으로 시작하고,  2년 후인 2027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의 ESG 공시를 법정공시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2029년에는 1조원 이상, 2031년 5000억원 이상, 2032년 부터는 5000억원 미만 기업의 ESG 공시를 법정공시로 전환하는 방안이다. 코스닥 상장사의 경우 2029년부터 자산규모 5000억원 이상인 기업의 거래소 공시를 의무화하고 2031년부터 법정공시로 전환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 그린피스 법정공시 촉구 헌법 소원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167명의 청구인단과 함께 기후공시의 법정공시를 요구하는 헌법소원을 20일 제기했다. 양연호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패이너는 “현행 자본시장법은 기업의 투명한 기후 대응 정보를 공개하도록 강제하지 않아 국민의 재산권과 환경권을 침해한다”며 “투자자는 투자 대상 기업의 기후위기 관련 위험과 대응, 전략을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기업의 기후 위기 대응 정보 공개를 의무화하지 않으면 기업의 그린워싱을 막을 수 없고, 결국 국민의 환경권도 침해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헌법소원 심판청구 대리인인 법무법인 원 이영주 변호사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와 관련해 기본권의 침해를 인정하는 판결이 나오는 것은 헌법이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국가의 역할을 주문한다는 의미”라며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능력은 주가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핵심 정보”라고 말했다. 그는 따라서 “국가는 국민의 재산권과 환경권을 보호하기 위해 기후 공시 의무를 자본시장법에 규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재계 ESG 공시 의무화 연기 요청 하지만 재계는 기후변화 대응 정보를 포함한 ESG 공시 의무화 도입 시기를 늦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재계의 거래소 공시 도입 연기 요구는 법정공시로의 전환도 늦춰져야 한다는 요구인 셈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의 이동근 상근부회장은 “지난 정부에서 2025년으로 예정한 ESG 공시 의무화 시기를 최소한 3~4년 늦추고, 이 기간 개도국을 포함한 주요국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가운데, 정부의 기업이 세부공시 기준 마련과 시스템 구축 등 충실한 준비에 만전을 기하는 게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경총 관계자는 “실제로 정부가 ESG 공시 도입을 이 정도로 연기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거래소 공시는 2027년, 법정 공시는 2029년 정도 시작된다면 기업의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경총은 국내의 열악한 재생에너지 인프라와 ESG 공시 인증 시장, 장기간이 소요되는 해외 사업장을 포함한 전사적인 공시 데이터 수집 시스템 구축 등을 고려할 때 공시 의무화 연기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달 한국회계기준원 등이 주최한 ‘국제 지속가능성 보고 세미나’에서 “국내 ESG 공시제도를 만드는 과정에서 국제사회 논의와 국내 산업의 특성, 국내 기업의 준비 상황을 균형있게 고려할 것”이라며 “글로벌 정합성을 갖추되 기업의 현실적 어려움과 투자자의 정보 니즈(needs)를 균형있게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싱가포르는 2025년 ISSB 공시기준에 따른 ESG공시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 호주도 내용상 ISSB 기준과 유사한 기후공시를 내년부터 의무화하기로 했다. 영국은 ISSB 기준을 수용한 자국의 지속가능성공시기준(UK SDS)을 내년 6월까지 제정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ESG공시가 법정공시로 전환되는 시점에 ISSB 기준을 기반으로 하되 국내 여건을 고려해 세부사항을 추가하거나 완화한 KSSB 기준이 도입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기 위해 내년 1월 공식 출범하는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를 이끌 7명의 위원이 선임됐다. 2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초대 KSSB 위원장은 김의형 한국회계기준원 원장이, 상임위원은 박세환 한국회계기준원 상임위원이 맡게 됐다. 김의형(64) KSSB 위원장은 "국제기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활발히 소통해 ISSB 기준에 근거한 합리적인 KSSB 기준안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특히 "중소ㆍ중견기업들이 ESG 공시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돈 안들고 쉽게 적용 가능한 한국형 공시안을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와 삼일회계법인 대표와 PwC컨설팅 대표, 한국거래소 공시위원회 위원, 회계기준위원회 위원, 공정거래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업계에서는 회계와 시장공시에 정통한 전문가로서, 각계의 의견을 합리적으로 수렴해 KSSB 기준안을 만들 적임자라고 평가한다.  5명의 비상임위원 중 3명은 당연직, 2명은 추천 위원이다. 당연직 위원에는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과 임재준 한국거래소 부이사장, 이병래 한국공인회계사회 부회장이 선임됐다. 추천위원으로는 금융위원회의 추천을 받은 백복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와 금융감독원의 추천을 받은 조윤남 한국ESG연구소 대표이사가 선임됐다. 정부는 ESG 국제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 KSSB를 한국회계기준원 안에 설립하기로 했다. KSSB는 내년 1분기에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KSSB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내년 1분기 중 제정할 ESG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국제적 정합성을 갖추면서 국내 기업에 적합한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 계획이다. KSSB가 ESG 공시기준을 만들 때 자문을 맡게 될 자문기구도 내년 1월 출범한다. 올해 설립된 지속가능성기준자문위원회가 KSSB의 자문기구로 확대 개편되면서 자문위원도 현재의 14명에서 20명으로 늘어난다. KSSB가 만들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은 대기업보다 중소ㆍ중견 기업을 위한 기준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본부장은 "글로벌 기업으로 큰 대기업의 경우 ISSB 기준과 같은 글로벌 투자자 공시 기준을 당연히 따를 수 밖에 없다”며 “이런 수준에 이르지 못한 기업도 공시에 쉽게 접근하도록 공시 항목을 줄이고 공시 난이도도 낮춘 기준안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KSSB가 기준안을 제시하면 정부가 이해관계자와의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하게 된다. 금융위는 내년 중 관계부처와 회계기준원,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한국ESG기준원 등 유관기관과 함께 다양한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거쳐 국내 ESG 공시제도 전반에 대한 세부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국내 상장기업의 ESG 공시 의무화는 2025년 자산 2조원 이상 대기업부터 시행될 예정이지만, 국내외 시장의 요구가 많아 자율적 공시 형식을 빌어 앞당겨 실시될 가능성도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594
지속가능경제
김주현 금융위원장, "ESG 평가시장 자율준수 기준 마련하겠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medium
3-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기 위해 내년 1월 공식 출범하는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를 이끌 7명의 위원이 선임됐다. 2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초대 KSSB 위원장은 김의형 한국회계기준원 원장이, 상임위원은 박세환 한국회계기준원 상임위원이 맡게 됐다. 김의형(64) KSSB 위원장은 "국제기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활발히 소통해 ISSB 기준에 근거한 합리적인 KSSB 기준안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특히 "중소ㆍ중견기업들이 ESG 공시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돈 안들고 쉽게 적용 가능한 한국형 공시안을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와 삼일회계법인 대표와 PwC컨설팅 대표, 한국거래소 공시위원회 위원, 회계기준위원회 위원, 공정거래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업계에서는 회계와 시장공시에 정통한 전문가로서, 각계의 의견을 합리적으로 수렴해 KSSB 기준안을 만들 적임자라고 평가한다.  5명의 비상임위원 중 3명은 당연직, 2명은 추천 위원이다. 당연직 위원에는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과 임재준 한국거래소 부이사장, 이병래 한국공인회계사회 부회장이 선임됐다. 추천위원으로는 금융위원회의 추천을 받은 백복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와 금융감독원의 추천을 받은 조윤남 한국ESG연구소 대표이사가 선임됐다. 정부는 ESG 국제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 KSSB를 한국회계기준원 안에 설립하기로 했다. KSSB는 내년 1분기에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KSSB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내년 1분기 중 제정할 ESG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국제적 정합성을 갖추면서 국내 기업에 적합한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 계획이다. KSSB가 ESG 공시기준을 만들 때 자문을 맡게 될 자문기구도 내년 1월 출범한다. 올해 설립된 지속가능성기준자문위원회가 KSSB의 자문기구로 확대 개편되면서 자문위원도 현재의 14명에서 20명으로 늘어난다. KSSB가 만들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은 대기업보다 중소ㆍ중견 기업을 위한 기준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본부장은 "글로벌 기업으로 큰 대기업의 경우 ISSB 기준과 같은 글로벌 투자자 공시 기준을 당연히 따를 수 밖에 없다”며 “이런 수준에 이르지 못한 기업도 공시에 쉽게 접근하도록 공시 항목을 줄이고 공시 난이도도 낮춘 기준안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KSSB가 기준안을 제시하면 정부가 이해관계자와의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하게 된다. 금융위는 내년 중 관계부처와 회계기준원,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한국ESG기준원 등 유관기관과 함께 다양한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거쳐 국내 ESG 공시제도 전반에 대한 세부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국내 상장기업의 ESG 공시 의무화는 2025년 자산 2조원 이상 대기업부터 시행될 예정이지만, 국내외 시장의 요구가 많아 자율적 공시 형식을 빌어 앞당겨 실시될 가능성도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외국인들이 기업 정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부는 2024년부터 영문 공시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의무 실시되는 ESG 정보공시 또한 영문화 정책이 자동 적용될 전망이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2 한국ESG기준원 우수기업 시상식'에 참석해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그는 "기업의 준비상황을 고려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겠다"며 "외국인들이 적시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정보 접근 환경을 대폭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영문 공시 의무화는 자산 규모가 큰 상장사부터 적용된다. 자산 10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2021년 기준 93개사)는 2024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234개사)는 2026년부터 하기로 했다. 대다수 상장 대기업들은 이미 외국인 투자자들을 위한 IR(기업설명)의 일환으로 기업 정보 상당 부분을 영문화하고 있어, 정부의 이번 계획을 실행하는데 큰 부담은 없을 것으로 증권업계는 본다. "ESG투자 통한 기관투자자 역할 강화 지원" 김 부위원장은 "우리 자본시장의 경우 외국인 주주 비중이 상당히 높은 데도 불구하고 이들에게 충분한 정보가 제때 제공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유가증권시장 외국인 투자자 주식 보유 비중은 시가총액 기준으로 31%에 달한다. 아울러 "외국인등록제, 국내 상장사의 배당절차 등을 개선함으로써 관성적인 낡은 제도들을 국제 기준에 맞게 개선하겠다"고 덧붙였다. 금융위는 또한 한국ESG기준원과 함께 기관투자자들이 수탁자로서 책임을 다하면서  ESG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한국 스튜어드십 코드(의결권 행사지침)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한편, 의결권자문사를 통해 기관투자가의 주주권 행사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2025년부터 시행되는 ESG 공시의 단계적 의무화에 대비해 제도를 구체화하고 ESG 평가기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이어갈 계획이다. 김 부위원장은 "한국 기업지배구조의 불투명한 면이 여전히 한국 증시 저평가의 요인의 하나로 지적된다"며 "ESG는 우리 경제가 선진 경제로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말했다. 지배구조 최우수, 현대글로비스와 신한라이프생명 한편 한국ESG기준원(KCGS)은 이날 시상식에서 ESG 명예기업에 SC제일은행을 선정했다. 이는 최근 4년 안에 2회 이상 대상을 받은 기업에 주는 상이다.  SC제일은행은 2020년과 2021년 지배구조 우수기업 대상을 받았다. ESG기준원은 SC제일은행에 대해 "역동적인 이사회 문화를 바탕으로 이사회가 회사의 주요 의사결정을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ESG기준원은 ESG 부문 대상에 KB금융지주를, 최우수기업에는 한국지역난방공사를 선정했다. 우수상은 LG이노텍, 현대바이오랜드, LX세미콘, JB금융지주, 삼성카드가 공동 수상했다. ESG기준원은 “KB금융지주가 전사적 차원의 ESG 경영전략 및 대응체계를 수립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금융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점을 높게 평가했다”고 대상 선정 이유를 밝혔다.  아울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하고 탄소배출량 등 ESG금융 관련 정보를 적극 공개한 점 ▲이사회 중심의 ESG 경영전략을 수립하여 전사적 차원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노력한 점 등에서 KB금융지주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KB금융 관계자는 “앞으로도 모범적인 ESG 경영 실천을 통해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배구조 부문 최우수기업에는 현대글로비스와 신한라이프생명 2개사가, 우수기업엔 SK가스, 롯데하이마트, 클래시스, 농협생명보험 등 5개사가 선정됐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594
지속가능경제
김주현 금융위원장, "ESG 평가시장 자율준수 기준 마련하겠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medium
3-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외국인들이 기업 정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부는 2024년부터 영문 공시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의무 실시되는 ESG 정보공시 또한 영문화 정책이 자동 적용될 전망이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2 한국ESG기준원 우수기업 시상식'에 참석해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그는 "기업의 준비상황을 고려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겠다"며 "외국인들이 적시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정보 접근 환경을 대폭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영문 공시 의무화는 자산 규모가 큰 상장사부터 적용된다. 자산 10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2021년 기준 93개사)는 2024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234개사)는 2026년부터 하기로 했다. 대다수 상장 대기업들은 이미 외국인 투자자들을 위한 IR(기업설명)의 일환으로 기업 정보 상당 부분을 영문화하고 있어, 정부의 이번 계획을 실행하는데 큰 부담은 없을 것으로 증권업계는 본다. "ESG투자 통한 기관투자자 역할 강화 지원" 김 부위원장은 "우리 자본시장의 경우 외국인 주주 비중이 상당히 높은 데도 불구하고 이들에게 충분한 정보가 제때 제공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유가증권시장 외국인 투자자 주식 보유 비중은 시가총액 기준으로 31%에 달한다. 아울러 "외국인등록제, 국내 상장사의 배당절차 등을 개선함으로써 관성적인 낡은 제도들을 국제 기준에 맞게 개선하겠다"고 덧붙였다. 금융위는 또한 한국ESG기준원과 함께 기관투자자들이 수탁자로서 책임을 다하면서  ESG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한국 스튜어드십 코드(의결권 행사지침)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한편, 의결권자문사를 통해 기관투자가의 주주권 행사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2025년부터 시행되는 ESG 공시의 단계적 의무화에 대비해 제도를 구체화하고 ESG 평가기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이어갈 계획이다. 김 부위원장은 "한국 기업지배구조의 불투명한 면이 여전히 한국 증시 저평가의 요인의 하나로 지적된다"며 "ESG는 우리 경제가 선진 경제로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말했다. 지배구조 최우수, 현대글로비스와 신한라이프생명 한편 한국ESG기준원(KCGS)은 이날 시상식에서 ESG 명예기업에 SC제일은행을 선정했다. 이는 최근 4년 안에 2회 이상 대상을 받은 기업에 주는 상이다.  SC제일은행은 2020년과 2021년 지배구조 우수기업 대상을 받았다. ESG기준원은 SC제일은행에 대해 "역동적인 이사회 문화를 바탕으로 이사회가 회사의 주요 의사결정을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ESG기준원은 ESG 부문 대상에 KB금융지주를, 최우수기업에는 한국지역난방공사를 선정했다. 우수상은 LG이노텍, 현대바이오랜드, LX세미콘, JB금융지주, 삼성카드가 공동 수상했다. ESG기준원은 “KB금융지주가 전사적 차원의 ESG 경영전략 및 대응체계를 수립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금융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점을 높게 평가했다”고 대상 선정 이유를 밝혔다.  아울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하고 탄소배출량 등 ESG금융 관련 정보를 적극 공개한 점 ▲이사회 중심의 ESG 경영전략을 수립하여 전사적 차원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노력한 점 등에서 KB금융지주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KB금융 관계자는 “앞으로도 모범적인 ESG 경영 실천을 통해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배구조 부문 최우수기업에는 현대글로비스와 신한라이프생명 2개사가, 우수기업엔 SK가스, 롯데하이마트, 클래시스, 농협생명보험 등 5개사가 선정됐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기 위해 내년 1월 공식 출범하는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를 이끌 7명의 위원이 선임됐다. 2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초대 KSSB 위원장은 김의형 한국회계기준원 원장이, 상임위원은 박세환 한국회계기준원 상임위원이 맡게 됐다. 김의형(64) KSSB 위원장은 "국제기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활발히 소통해 ISSB 기준에 근거한 합리적인 KSSB 기준안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특히 "중소ㆍ중견기업들이 ESG 공시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돈 안들고 쉽게 적용 가능한 한국형 공시안을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와 삼일회계법인 대표와 PwC컨설팅 대표, 한국거래소 공시위원회 위원, 회계기준위원회 위원, 공정거래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업계에서는 회계와 시장공시에 정통한 전문가로서, 각계의 의견을 합리적으로 수렴해 KSSB 기준안을 만들 적임자라고 평가한다.  5명의 비상임위원 중 3명은 당연직, 2명은 추천 위원이다. 당연직 위원에는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과 임재준 한국거래소 부이사장, 이병래 한국공인회계사회 부회장이 선임됐다. 추천위원으로는 금융위원회의 추천을 받은 백복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와 금융감독원의 추천을 받은 조윤남 한국ESG연구소 대표이사가 선임됐다. 정부는 ESG 국제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 KSSB를 한국회계기준원 안에 설립하기로 했다. KSSB는 내년 1분기에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KSSB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내년 1분기 중 제정할 ESG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국제적 정합성을 갖추면서 국내 기업에 적합한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 계획이다. KSSB가 ESG 공시기준을 만들 때 자문을 맡게 될 자문기구도 내년 1월 출범한다. 올해 설립된 지속가능성기준자문위원회가 KSSB의 자문기구로 확대 개편되면서 자문위원도 현재의 14명에서 20명으로 늘어난다. KSSB가 만들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은 대기업보다 중소ㆍ중견 기업을 위한 기준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본부장은 "글로벌 기업으로 큰 대기업의 경우 ISSB 기준과 같은 글로벌 투자자 공시 기준을 당연히 따를 수 밖에 없다”며 “이런 수준에 이르지 못한 기업도 공시에 쉽게 접근하도록 공시 항목을 줄이고 공시 난이도도 낮춘 기준안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KSSB가 기준안을 제시하면 정부가 이해관계자와의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하게 된다. 금융위는 내년 중 관계부처와 회계기준원,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한국ESG기준원 등 유관기관과 함께 다양한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거쳐 국내 ESG 공시제도 전반에 대한 세부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국내 상장기업의 ESG 공시 의무화는 2025년 자산 2조원 이상 대기업부터 시행될 예정이지만, 국내외 시장의 요구가 많아 자율적 공시 형식을 빌어 앞당겨 실시될 가능성도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594
지속가능경제
김주현 금융위원장, "ESG 평가시장 자율준수 기준 마련하겠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medium
3-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외국인들이 기업 정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부는 2024년부터 영문 공시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의무 실시되는 ESG 정보공시 또한 영문화 정책이 자동 적용될 전망이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2 한국ESG기준원 우수기업 시상식'에 참석해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그는 "기업의 준비상황을 고려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겠다"며 "외국인들이 적시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정보 접근 환경을 대폭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영문 공시 의무화는 자산 규모가 큰 상장사부터 적용된다. 자산 10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2021년 기준 93개사)는 2024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234개사)는 2026년부터 하기로 했다. 대다수 상장 대기업들은 이미 외국인 투자자들을 위한 IR(기업설명)의 일환으로 기업 정보 상당 부분을 영문화하고 있어, 정부의 이번 계획을 실행하는데 큰 부담은 없을 것으로 증권업계는 본다. "ESG투자 통한 기관투자자 역할 강화 지원" 김 부위원장은 "우리 자본시장의 경우 외국인 주주 비중이 상당히 높은 데도 불구하고 이들에게 충분한 정보가 제때 제공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유가증권시장 외국인 투자자 주식 보유 비중은 시가총액 기준으로 31%에 달한다. 아울러 "외국인등록제, 국내 상장사의 배당절차 등을 개선함으로써 관성적인 낡은 제도들을 국제 기준에 맞게 개선하겠다"고 덧붙였다. 금융위는 또한 한국ESG기준원과 함께 기관투자자들이 수탁자로서 책임을 다하면서  ESG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한국 스튜어드십 코드(의결권 행사지침)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한편, 의결권자문사를 통해 기관투자가의 주주권 행사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2025년부터 시행되는 ESG 공시의 단계적 의무화에 대비해 제도를 구체화하고 ESG 평가기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이어갈 계획이다. 김 부위원장은 "한국 기업지배구조의 불투명한 면이 여전히 한국 증시 저평가의 요인의 하나로 지적된다"며 "ESG는 우리 경제가 선진 경제로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말했다. 지배구조 최우수, 현대글로비스와 신한라이프생명 한편 한국ESG기준원(KCGS)은 이날 시상식에서 ESG 명예기업에 SC제일은행을 선정했다. 이는 최근 4년 안에 2회 이상 대상을 받은 기업에 주는 상이다.  SC제일은행은 2020년과 2021년 지배구조 우수기업 대상을 받았다. ESG기준원은 SC제일은행에 대해 "역동적인 이사회 문화를 바탕으로 이사회가 회사의 주요 의사결정을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ESG기준원은 ESG 부문 대상에 KB금융지주를, 최우수기업에는 한국지역난방공사를 선정했다. 우수상은 LG이노텍, 현대바이오랜드, LX세미콘, JB금융지주, 삼성카드가 공동 수상했다. ESG기준원은 “KB금융지주가 전사적 차원의 ESG 경영전략 및 대응체계를 수립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금융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점을 높게 평가했다”고 대상 선정 이유를 밝혔다.  아울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하고 탄소배출량 등 ESG금융 관련 정보를 적극 공개한 점 ▲이사회 중심의 ESG 경영전략을 수립하여 전사적 차원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노력한 점 등에서 KB금융지주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KB금융 관계자는 “앞으로도 모범적인 ESG 경영 실천을 통해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배구조 부문 최우수기업에는 현대글로비스와 신한라이프생명 2개사가, 우수기업엔 SK가스, 롯데하이마트, 클래시스, 농협생명보험 등 5개사가 선정됐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기 위해 내년 1월 공식 출범하는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를 이끌 7명의 위원이 선임됐다. 2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초대 KSSB 위원장은 김의형 한국회계기준원 원장이, 상임위원은 박세환 한국회계기준원 상임위원이 맡게 됐다. 김의형(64) KSSB 위원장은 "국제기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활발히 소통해 ISSB 기준에 근거한 합리적인 KSSB 기준안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특히 "중소ㆍ중견기업들이 ESG 공시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돈 안들고 쉽게 적용 가능한 한국형 공시안을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와 삼일회계법인 대표와 PwC컨설팅 대표, 한국거래소 공시위원회 위원, 회계기준위원회 위원, 공정거래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업계에서는 회계와 시장공시에 정통한 전문가로서, 각계의 의견을 합리적으로 수렴해 KSSB 기준안을 만들 적임자라고 평가한다.  5명의 비상임위원 중 3명은 당연직, 2명은 추천 위원이다. 당연직 위원에는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과 임재준 한국거래소 부이사장, 이병래 한국공인회계사회 부회장이 선임됐다. 추천위원으로는 금융위원회의 추천을 받은 백복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와 금융감독원의 추천을 받은 조윤남 한국ESG연구소 대표이사가 선임됐다. 정부는 ESG 국제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 KSSB를 한국회계기준원 안에 설립하기로 했다. KSSB는 내년 1분기에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KSSB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내년 1분기 중 제정할 ESG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국제적 정합성을 갖추면서 국내 기업에 적합한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 계획이다. KSSB가 ESG 공시기준을 만들 때 자문을 맡게 될 자문기구도 내년 1월 출범한다. 올해 설립된 지속가능성기준자문위원회가 KSSB의 자문기구로 확대 개편되면서 자문위원도 현재의 14명에서 20명으로 늘어난다. KSSB가 만들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은 대기업보다 중소ㆍ중견 기업을 위한 기준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본부장은 "글로벌 기업으로 큰 대기업의 경우 ISSB 기준과 같은 글로벌 투자자 공시 기준을 당연히 따를 수 밖에 없다”며 “이런 수준에 이르지 못한 기업도 공시에 쉽게 접근하도록 공시 항목을 줄이고 공시 난이도도 낮춘 기준안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KSSB가 기준안을 제시하면 정부가 이해관계자와의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하게 된다. 금융위는 내년 중 관계부처와 회계기준원,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한국ESG기준원 등 유관기관과 함께 다양한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거쳐 국내 ESG 공시제도 전반에 대한 세부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국내 상장기업의 ESG 공시 의무화는 2025년 자산 2조원 이상 대기업부터 시행될 예정이지만, 국내외 시장의 요구가 많아 자율적 공시 형식을 빌어 앞당겨 실시될 가능성도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594
지속가능경제
김주현 금융위원장, "ESG 평가시장 자율준수 기준 마련하겠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medium
3-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기 위해 내년 1월 공식 출범하는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를 이끌 7명의 위원이 선임됐다. 2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초대 KSSB 위원장은 김의형 한국회계기준원 원장이, 상임위원은 박세환 한국회계기준원 상임위원이 맡게 됐다. 김의형(64) KSSB 위원장은 "국제기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활발히 소통해 ISSB 기준에 근거한 합리적인 KSSB 기준안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특히 "중소ㆍ중견기업들이 ESG 공시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돈 안들고 쉽게 적용 가능한 한국형 공시안을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와 삼일회계법인 대표와 PwC컨설팅 대표, 한국거래소 공시위원회 위원, 회계기준위원회 위원, 공정거래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업계에서는 회계와 시장공시에 정통한 전문가로서, 각계의 의견을 합리적으로 수렴해 KSSB 기준안을 만들 적임자라고 평가한다.  5명의 비상임위원 중 3명은 당연직, 2명은 추천 위원이다. 당연직 위원에는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과 임재준 한국거래소 부이사장, 이병래 한국공인회계사회 부회장이 선임됐다. 추천위원으로는 금융위원회의 추천을 받은 백복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와 금융감독원의 추천을 받은 조윤남 한국ESG연구소 대표이사가 선임됐다. 정부는 ESG 국제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 KSSB를 한국회계기준원 안에 설립하기로 했다. KSSB는 내년 1분기에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KSSB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내년 1분기 중 제정할 ESG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국제적 정합성을 갖추면서 국내 기업에 적합한 ESG 공시기준안을 만들 계획이다. KSSB가 ESG 공시기준을 만들 때 자문을 맡게 될 자문기구도 내년 1월 출범한다. 올해 설립된 지속가능성기준자문위원회가 KSSB의 자문기구로 확대 개편되면서 자문위원도 현재의 14명에서 20명으로 늘어난다. KSSB가 만들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은 대기업보다 중소ㆍ중견 기업을 위한 기준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본부장은 "글로벌 기업으로 큰 대기업의 경우 ISSB 기준과 같은 글로벌 투자자 공시 기준을 당연히 따를 수 밖에 없다”며 “이런 수준에 이르지 못한 기업도 공시에 쉽게 접근하도록 공시 항목을 줄이고 공시 난이도도 낮춘 기준안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KSSB가 기준안을 제시하면 정부가 이해관계자와의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하게 된다. 금융위는 내년 중 관계부처와 회계기준원,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한국ESG기준원 등 유관기관과 함께 다양한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거쳐 국내 ESG 공시제도 전반에 대한 세부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국내 상장기업의 ESG 공시 의무화는 2025년 자산 2조원 이상 대기업부터 시행될 예정이지만, 국내외 시장의 요구가 많아 자율적 공시 형식을 빌어 앞당겨 실시될 가능성도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외국인들이 기업 정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부는 2024년부터 영문 공시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의무 실시되는 ESG 정보공시 또한 영문화 정책이 자동 적용될 전망이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2 한국ESG기준원 우수기업 시상식'에 참석해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그는 "기업의 준비상황을 고려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겠다"며 "외국인들이 적시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정보 접근 환경을 대폭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영문 공시 의무화는 자산 규모가 큰 상장사부터 적용된다. 자산 10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2021년 기준 93개사)는 2024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234개사)는 2026년부터 하기로 했다. 대다수 상장 대기업들은 이미 외국인 투자자들을 위한 IR(기업설명)의 일환으로 기업 정보 상당 부분을 영문화하고 있어, 정부의 이번 계획을 실행하는데 큰 부담은 없을 것으로 증권업계는 본다. "ESG투자 통한 기관투자자 역할 강화 지원" 김 부위원장은 "우리 자본시장의 경우 외국인 주주 비중이 상당히 높은 데도 불구하고 이들에게 충분한 정보가 제때 제공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유가증권시장 외국인 투자자 주식 보유 비중은 시가총액 기준으로 31%에 달한다. 아울러 "외국인등록제, 국내 상장사의 배당절차 등을 개선함으로써 관성적인 낡은 제도들을 국제 기준에 맞게 개선하겠다"고 덧붙였다. 금융위는 또한 한국ESG기준원과 함께 기관투자자들이 수탁자로서 책임을 다하면서  ESG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한국 스튜어드십 코드(의결권 행사지침)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한편, 의결권자문사를 통해 기관투자가의 주주권 행사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2025년부터 시행되는 ESG 공시의 단계적 의무화에 대비해 제도를 구체화하고 ESG 평가기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이어갈 계획이다. 김 부위원장은 "한국 기업지배구조의 불투명한 면이 여전히 한국 증시 저평가의 요인의 하나로 지적된다"며 "ESG는 우리 경제가 선진 경제로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말했다. 지배구조 최우수, 현대글로비스와 신한라이프생명 한편 한국ESG기준원(KCGS)은 이날 시상식에서 ESG 명예기업에 SC제일은행을 선정했다. 이는 최근 4년 안에 2회 이상 대상을 받은 기업에 주는 상이다.  SC제일은행은 2020년과 2021년 지배구조 우수기업 대상을 받았다. ESG기준원은 SC제일은행에 대해 "역동적인 이사회 문화를 바탕으로 이사회가 회사의 주요 의사결정을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ESG기준원은 ESG 부문 대상에 KB금융지주를, 최우수기업에는 한국지역난방공사를 선정했다. 우수상은 LG이노텍, 현대바이오랜드, LX세미콘, JB금융지주, 삼성카드가 공동 수상했다. ESG기준원은 “KB금융지주가 전사적 차원의 ESG 경영전략 및 대응체계를 수립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금융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점을 높게 평가했다”고 대상 선정 이유를 밝혔다.  아울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하고 탄소배출량 등 ESG금융 관련 정보를 적극 공개한 점 ▲이사회 중심의 ESG 경영전략을 수립하여 전사적 차원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노력한 점 등에서 KB금융지주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KB금융 관계자는 “앞으로도 모범적인 ESG 경영 실천을 통해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배구조 부문 최우수기업에는 현대글로비스와 신한라이프생명 2개사가, 우수기업엔 SK가스, 롯데하이마트, 클래시스, 농협생명보험 등 5개사가 선정됐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594
지속가능경제
김주현 금융위원장, "ESG 평가시장 자율준수 기준 마련하겠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medium
1-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594
지속가능경제
김주현 금융위원장, "ESG 평가시장 자율준수 기준 마련하겠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medium
1-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6
기업·거버넌스
제로배출 도전하는 택배차량...페덱스, 전기트럭 120대 주문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short
5-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전기차 시장 경쟁에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는 일본의 자동차 업계가 본격 경쟁에 뛰어들기 위해 가속페달을 밟고 있다. 전기차 생산 확대에 속도를 내 그동안의 부진을 서둘러 만회하겠다는 것이다.  일본 자동차 업체들까지 전기차 생산량을 늘릴 경우 가격 하락 경쟁이 더 치열해지고, 내연기관 엔진으로부터의 전환 속도가 빨라지면서 결국 소비자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자동차 판매 1위 도요타는 최근 10종의 새로운 전기차 모델을 출시하고 전기차 생산량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2026년까지 전기차 생산량을 150만 대로, 2030년까지는 350만 대로 늘린다는 포부다. 도요타에 배터리를 공급해주는 프라임플래닛에너지앤솔루션(Prime Planet Energy & Solutions)은 이 같은 일정에 맞춰 배터리 생산량을 크게 늘릴 계획이다. 이 회사는 도요타와 파나소닉이 각각 51,49% 지분을 보유한 합작회사로, 테슬라 전기차에도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도요타보다 1년 앞선 2021년에 첫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를 선보인 현대차그룹의 2030년 전기차 판매 목표는 364만 대로 도요타의 판매 목표와 비슷하다. 현대차그룹은 현재 아이오닉5와 6, EV6, 제네시스 GV60까지 4종의 전기차를 판매 중이며 이번 달 3일부터 국내에서 사전 계약을 실시한 EV9까지 포함하면 5종의 라인업을 갖추게 된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에 도요타보다 20종 이상 많은 총 31종 전기차 라인업 구축을 목표로 잡았다. 도요타, 전기차 생산 및 판매 모두 늘린다  도요타의 경우 지난 회계연도(올 3월 종료) 중에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 비중이 전체 판매량의 27%를 차지했다. 하지만 이 차량 대부분이 100% 하이브리드 차량이라 여전히 내연 엔진에 의존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배터리를 주요 동력원으로 쓰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이 판매량은 이 중 일부에 불과하다. 외신 보도를 종합해 보면 도요타는 고급 브랜드인 렉서스까지 포함해서 불과 3종의 전기차 모델만 판매 중이며, 지난해에는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2만 5,000대도 채 안 된다. 지난달에야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에서 판매할 첫 전기차 세단 주문을 받기 시작했을 정도다. 상황이 이렇기 때문에 도요타가 투자자와 환경단체들로부터 테슬라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기차 시장 진입이 늦고 있다는 비난을 받아온 것도 놀랄 일도 아니다. 지난해 11월 기업의 비즈니스와 재정이 기후위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데이터와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인플루언스맵(InfluenceMap)은 ‘기후정책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세계 10대 기업’에서 도요타를 10위에 올려놓기도 했다. 하지만 존 포데스타(John Podesta) 백악관 고문은 2일 도요타 경영진과 회담 후 “도요타가 전기차 시장의 후발주자였지만 이제는 이 분야에서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로이터에 “도요타가 당분간 다른 기업들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오랫동안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생산을 고집하겠지만 전기화에도 매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혼다, 2040년까지 전기차로 완전 전환 계획  혼다도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달 26일 혼다는 2040년까지 전체 자동차 생산라인을 전기차와 수소연료전기차(FCEV)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또 2030년까지 매년 200만 대가 넘는 전기차를 생산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혼다는 이틀 뒤인 28일에는 일본 배터리 제조사인 GS유아사(GS Yuasa)와 일본 경제산업성(METI)과 함께 일본 내에서 새로운 리튬이온 배터리 공장 건립을 위해 4,340억 엔(약 4.2조 원)을 공동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중 35%는 일본 정부로부터 보조를 받는다. 생산 목표 시기는 2027년이다. 이보다 보름 전인 11일에는 포스코그룹과 ‘전기차 사업에 대한 포괄적인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기존 철강 부문 협력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이차전지 소재 부문에서도 새로운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자동차 통계 사이트인 F&I툴스(F&I Tools)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세계 자동차 판매 1위는 도요타고, 혼다와 닛산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2위는 폭스바겐이고 현대차그룹의 순위는 3위다. 하지만 데이터 분석기관인 비주얼캐피탈리스트의 자료(아래 표)를 보면, 일본 자동차 중에서 세계 전기차 생산량 순위 15위 안에 이름을 올린 건 닛산 한 곳에 불과하다. 닛산은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를 통해 이같이 순위에 오를 수 있었는데, 그래 봤자 순위는 10위에 턱걸이했다. 판매량은 판매 순위 1위인 중국 비야디(BYD)의 5분의 1도 채 안 된다. 지난해 세계 전기차 생산량 순위 2위는 테슬라이고 현대차그룹은 6위였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LG전자가 11㎾ 출력 완속충전기와 175㎾ 급속충전기를 내년 상반기 미국에 출시하면서 미국 전기차 충전기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16일 LG전자에 따르면 11㎾ 완속충전기는 벽에 부착하거나 세우는 등의 방식으로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쇼핑몰이나 마트 등 충전기가 설치된 상업 공간의 전력 상황에 따라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부하관리솔루션이 탑재돼 전력 용량이 제한된 상황에서도 안정된 품질의 충전이 가능하다. 175㎾ 급속충전기는 미국 표준 충전 규격인 CCS1(Combined Charging System)과 테슬라의 NACS(North American Charging Standard)를 동시 지원해 고객 편의를 높인다. 충전기 외부에는 충전 현황을 확인하고 광고를 통한 추가 수익 기회를 제공하는 터치 디스플레이가 탑재된다. LG전자는 내년 하반기에는 상업용·장거리 이동에 적합한 급속충전기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지난 2018년 전기차 충전 솔루션 선행 개발을 시작해 2022년 충전기 핵심기술을 보유한 애플망고(현 하이비차저)를 인수하며 충전기 개발·생산능력을 내재화했다. 현재 7㎾ 완속충전기와 100㎾·200㎾ 급속충전기 등 4종을 생산해 이마트 등에 공급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프로그램(NEVI)‘의 일환으로 지난해부터 5년간 50억달러를 투자해 2030년까지 미국 전역에 전기차 충전소 50만곳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LG전자 EV충전사업담당 서흥규 상무는 "안정된 품질의 다양한 전기차 충전기 제품과 차별화된 충전 솔루션을 공급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미국 전기차 충전기 시장 수요에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최근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하 ‘노조’)이 파업을 결정한 배경에는 성과급 인상뿐만 아니라 전기차 개발에 따른 산업재편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우려도 깔려있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친환경 전기차 개발이 일자리에 미치는 악영향을 둘러싼 이슈가 다시 조명받고 있다.  노조가 파업 절차에 돌입한 이유로 그간 쌓인 성과급 불만을 전면에 내걸었지만 일자리 불안에 대한 선제적 대응도 파업 이유로 볼 수 있다는 게 분석의 핵심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설계와 엔지니어링이 더 단순하다. 또 들어가는 부품도 절반이 채 안 되고, 제작 시간도 30% 짧은 것으로 추정된다. 부품 조립의 자동화 수준도 높고, 유지관리가 덜 필요하다. 자동차업계가 전통적인 휘발유 엔진 차량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면서 대규모 일자리 감축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현대차 노조, 압도적 찬성으로 파업 결의  8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투표자 4만3117명 중 83.2%인 3만5854명이 '2021년 임단투 조합원 쟁의 행위 찬·반 투표'에서 '찬성'표를 던졌다고 7일 밝혔다. 투표율은 88.7%, 반대는 11.5%, 무효표는 5.3%였다. 노조는 향후 쟁의대책위원회를 소집해 파업 돌입 여부와 일정을 논의할 계획이다. 앞서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이 난항을 겪자 지난달 30일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에서 기본급 9만9000원 인상, 성과급 순이익의 30% 지급, 정년 65세 연장 등을 요구했다. 사측은 기본급 5만원 인상(호봉승급분 포함), 성과금 100%+300만원, 품질향상 격려금 200만원, 10만원 상당 복지 포인트 지급 등을 제시했으나 노조는 이를 거부했다. 전기차 비중 확대되며 자동차업계 일자리 감소 전망 현대·기아차 노조가 2019년 내놓은 '미래형 자동차 발전 동향과 노조의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신차 생산물량 중 전기차 비중이 2025년 15%, 2030년 25%로 늘어나면 현대차에서만 각각 최대 1629명(2025년), 2837명(2030년)의 인력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 역시 5월 발표한 '클린·전기·자율주행차 뒤의 저항할 수 없는 모멘텀'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자동차산업 구조 변화의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자동차 관련 일자리가 최대 25%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현재의 글로벌 전기차 점유율이 2030년 중국에서 45%, 유럽 50%, 미국 35% 등으로 뛸 것으로 보고 계산된 것이다. 종사자 수가 많은 판매·마케팅, 조립 분야는 인력이 줄어드는 반면 소프트웨어, 정보기술(IT), 데이터 분석 등의 분야에선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맥킨지는 일자리 감소 규모가 훨씬 큰 만큼 전체 일자리는 최대 25% 줄어들 수도 있다고 봤는데, 이를 국내 자동차산업에 적용하면 수십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는 계산이 나온다. 산업연구원도 내년에 국내 전기차 생산 비중이 10.5% 증가할 경우 자동차산업에서 4718명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우려로 완성차업계 노조는 정년 연장을 새로운 카드로 꺼내 들며 맞서왔다. 실제로 지난 3월 현대차와 기아, 한국GM 등 3사 노조가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의 안정적인 노후 보장을 위해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방안을 입법화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전기차 개발로 늘어나는 일자리보다 줄어드는 일자리 더 많을 수도  친환경 자동차 개발분야의 일자리가 당장 줄어들지는 않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도 그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2020년 미국의 전기차와 청정에너지 분야 상황을 분석한 <2021 클린 일자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선 전체 에너지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한 것과 달리 전기차 제조업 분야 일자리는 3% 가까운 증가세를 나타냈다. 전기 승용차, 트럭, 버스 등의 개발 인력이 늘어난 게 이유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차 분야 일자리만 놓고 보면, 지난해 전년대비 6%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어떤 청정에너지 분야보다도 많은 1만20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생겨났다. 하지만 한 해외 자동차 전문가는 "배터리와 전기모터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일자리가 늘더라도 이 분야에 필요한 일자리가 내연기관 개발과 생산 등에 필요한 일자리가 줄어드는 만큼 늘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자리 감소 우려 전 세계적 현상  전 세계 자동차업체들이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일자리 감소 우려도 세계 곳곳에서 커지고 있다.  GM은 2025년까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에 2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속했고, 2023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20종류의 새로운 전기차 출시 계획을 밝혔다. 포드 자동차 역시 2022년까지 전기차 개발에 110억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아직은 전기차가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판매가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가 전 세계 자동차 판매의 21% 이상을 차지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독일에서도 전기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2030년까지 자동차업계에서 수십 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걸로 추산하고 있다. 지난해 독일의 아우디는 전기차 전환 계획의 일환으로 전 세계에서 7500개의 일자리를 줄이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미국에서도 2019년 의회조사국(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은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일반 자동차 제조에는 2000개의 파워트레인 부품이 필요한 데 비해 전기 파워트레인은 고작 몇 개만 있으면 된다"면서, 이에 따라 내연기관 파워트레인 부품을 제조하는 약 15만 명의 미국 노동자들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폭스바겐이 최근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으로 경제적, 사회적, 생태적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면서 지속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좋은 근무 조건을 제공하며, 자원과 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탄소 배출 문제와 관련해, 여러 표준에 부합하지 못했던 이른바 '디젤 게이트'에 대한 반성문이자 도전이다. 두 배 더 노력해야 하는 CCC등급 폭스바겐의 ESG 역사를 설명하자면, 차량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지 않을 수 없다. 2000년대에 들어서며 친환경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차량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폭스바겐의 주 판매처인 유럽이나 미국은 0.080g/km의 엄격한 기준을 설정했다. 이에 대응해 폭스바겐은 자사의 디젤 차량을 '클린 디젤', '친환경 차량'이라고 광고하며 이미지를 구축했다. 덕분에 2010년대 초반까지 EU 내 신규 등록 차량 중 디젤 차량의 비율이 50%를 넘어설 정도로 디젤 차량 판매량은 급증했다 하지만 미국 비영리환경단체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가 폭스바겐 제타, 파사트, BMW X5 등 디젤 엔진 차량의 실외 주행 테스트 결과, 폭스바겐 차량은 공식 테스트 대비 40배, 미국 기준치 대비 30배가 넘는 배기가스를 배출한다고 밝혀졌다. 이후 미국 환경보호국의 조사에 따라 폭스바겐이 전자제어장치(ECU) 프로그램을 조작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배기가스 인증 시험 시 실내에서 차내 동력계 장치를 이용해 '배기가스 검사 중'으로 조작해 가스 배출량을 억제하도록 만든 것이다. 조작이 밝혀진 후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영국, 프랑스, 캐나다, 독일 등 많은 국가에서 덩달아 조사에 나섰고, 폭스바겐은 결국 2009년부터 생산된 디젤 차량 약 1,100만 대에 배기가스 조작 소프트웨어가 설치됐음을 인정했다. 이후 폭스바겐 주가는 급락했고, 연비조작 공모, 대기오염 규정 위반 등으로 고발당했다. 폭스바겐이 현재까지 지급한 피해보상금 및 벌금은 약 350억 달러(약 40조 원)에 달한다. 폭스바겐의 주가는 아직까지 2015년의 최고점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폭스바겐 그룹 CEO인 마틴 빈터콘은 이 사태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결국 폭스바겐은 ESG의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 등에서 모두 낙제점을 받게 된다. 2017년 이후 지난해까지 폭스바겐의 ESG 등급은 CCC를 기록 중이다. 올해 초에도 EU의 탄소배출량 기준을 채우지 못해 1억 유로나 되는 벌금을 부과 받았다. 대중의 신뢰를 되찾기 위한 노력 폭스바겐은 최근 ESG 경영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며, 기업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실 폭스바겐그룹의 국제지속가능성위원회는 2016년 9월 만들어졌다. 위원회는 비즈니스, 정치, 과학 및 사회의 저명한 전문가들로 구성됐고, 지속 가능한 이동성 및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및 업무, 디지털화의 미래 등을 위해 독립적인 행동을 보장 받으면서 광범위한 권리까지 부여됐다. 2020년 위원회는 그룹의 관리 이사회 및 직원, 대표들과 정기적으로 만나 활동을 모니터하고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환경적인 역할에서도 세계 선두의 모델로서 책임을 다한다는 입장이다. 폭스바겐은 늦어도 2050년까지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성명문을 발표했으며, 2015년 대비 2025년 배출량을 30%가량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럽 시장 내에서 전기차량 모델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리고, 2030년에는 전기차 판매량을 40%까지 증가시킬 계획이다. 또 폭스바겐은 차량에서 제조용 부품을 회수해 재사용하고 있다. 재생산 부품을 제공하는 최초의 자동차 제조업체인 폭스바겐은 순정 재생산 부품으로 에너지 소비를 33%,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8% 줄였다. ‘디젤 게이트’에서 벗어나기 위해 폭스바겐은 ‘Together4Integrity’를 내세워 소비자 신뢰 되찾기에 나섰다. 2018년 봄에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회사의 규정과 문화, 가치를 중점으로 정직한 기업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고안됐다. 또한 그룹 차원에서 직원들의 사회적 권리, 노사 관계에 관한 ‘비즈니스 인권 선언’을 진행하며, 국제 인권 헌장 및 국제 노동기구 (ILO)의 핵심 노동 기준을 준수해 비즈니스 운영을 구성하고, 보편적인 인권을 존중한다는 선언문도 발표했다. 여기에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기업의 책임이나 기회 균등 및 대우에 관한 행동강령 등이 담겼다. 이러한 내용은 모두 ‘2020 폭스바겐그룹 지속가능성 보고서’에서 소개됐다. 그룹의 국제적인 사회 환원 활동도 지속적이다. 2015 년부터 이 회사는 난민들을 위한 긴급 지원 관리, 언어 학습, 훈련 및 교육 지원, 독점 플랫폼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 제공을 진행하고 있다. 2018년에만 전 세계에서 지역 구조 개발, 건강, 교육, 스포츠 및 환경 보전을 포함한 문제를 다루는 5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2019년에는 아시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유럽, 남아메리카 등 다양한 국가에서 전 세계 7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일본에서는 4개, 한국에서는 총 11개 프로젝트를 시행 중이다. 국내 수행 프로젝트로는 차일드펀드와 함께 코로나 바이러스 비상 대응 및 포르쉐의 평등한 기회 프로젝트, 그린 기프트박스 아우디 지역 지원, 그린 스쿨 어웨이크 프로젝트, 포르쉐 드림서클, 청소년 교육 사업 자금 지원, 어반 비즈 서울 등이 알려져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기업들이 업무용 차량을 환경 오염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전기차로 대체하는 친환경 캠페인에 적극 나서고 있다. 기업들은 이를 통해 비용도 절감하는 '1석 2조'의 효과를 내겠다는 계산이다. 특히 업무용차량으로 경차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소형 SUV 등으로 대체 시 영업사원의 만족도와 안전성도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계에서 롯데가 가장 적극적 전기차 교체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롯데다. 최근 롯데그룹 계열사들은 국내 제과·식품·면세업계 최초로 친환경 전기차 전환을 선언하며 탄소배출 저감 활동을 적극 실천하고 있다. 롯데제과는 10일 약 300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5년까지 현재 사용중인 모든 빙과 영업 판매차량을 친환경 전기차로 교체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냉동 탑차 350대와 업무용 승용차 217대가 전기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올해에만 64억원을 투입해 탑차 20대, 승용차 114대를 들여온다는 구상이다. 롯데면세점은 탄소 배출 저감 활동의 일환으로 보세운송 차량에 친환경 전기차를 도입했다. 회사 측은 전기차의 보세운송 시범 운행을 실시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개선 작업을 거쳐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2022년까지는 운행 중인 보세운송 1톤 디젤 차량 13대 전부를 100% 전기차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 영종도에 위치한 통합물류센터 내 전기차 충전소도 별도로 설치할 예정이다. 롯데푸드도 전체 영업사원에게 업무용 친환경 전기차 약 380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 이번 도입에 멈추지 않고 빙과 배송차량의 친환경 전기차 전환도 검토하고 있다. 냉동 설비 운영 등 빙과 관리 조건에 문제가 없는지도 종합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유통·은행·제약 업계 등 전방위로 전기차 교체 ‘붐’ 편의점업계에서 BGF리테일이 앞장서고 있다. 이에 CU는 지난 4월부터 기아의 봉고 EV 모델을 점포 배송 차량으로 도입했다. CU는 올해 하반기까지 시범 운영을 거친 후 물류 효율 등을 검토해 확대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신세계그룹 통합 온라인몰인 SSG닷컴은 지난해 말부터 현대글로비스와 손잡고 콜드체인(저온유통 시스템)을 갖춘 전기 배송차를 도입해 시범 운영 중이다. 쿠팡은 앞서 2019년부터 일찌감치 대구 배송 캠프에 충전소를 설치하고 전기 쿠팡카 시범 서비스를 운영했다. 도 CJ대한통운은 지난달 친환경 경영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운영 중인 모든 차량을 전기·수소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오는 2030년까지 3만여 대의 차량을 친환경차로 교체하는 것이 목표다. 제약업계에서도 친환경 차량 교체 바람이 불고 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도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동아쏘시오그룹 업무용 차량을 친환경 차량으로 전면 교체하기로 했다. 회사 측은 친환경 차량 전면 교체를 위한 5개년 계획도 수립했다. 이번 친환경 차량 교체에는 동아쏘시오홀딩스를 비롯해 동아ST, 동아제약, 동아오츠카, 용마로지스, 수석 등 동아쏘시오그룹의 모든 그룹사가 동참하며, 업무용 차량을 연도별 교체주기에 따라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이 밖에 은행권에선 신한금융이 오는 2030년까지 업무용 차량 6만여대를 친환경 무공해 차량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친환경차 판매 세계적 호황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다소 침체된 자동차 시장 상황에서도 친환경차 판매는 세계적으로 호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등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내 완성차와 수입차 업체들이 내수 시장에 판매한 친환경차는 총 9만4198대로 전년 동기 대비 74.9% 급증했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 이어지면 올해 친환경차 규모가 40만대에 다가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연간 친환경차 판매량은 22만6668대였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6
기업·거버넌스
제로배출 도전하는 택배차량...페덱스, 전기트럭 120대 주문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short
5-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기업들이 업무용 차량을 환경 오염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전기차로 대체하는 친환경 캠페인에 적극 나서고 있다. 기업들은 이를 통해 비용도 절감하는 '1석 2조'의 효과를 내겠다는 계산이다. 특히 업무용차량으로 경차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소형 SUV 등으로 대체 시 영업사원의 만족도와 안전성도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계에서 롯데가 가장 적극적 전기차 교체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롯데다. 최근 롯데그룹 계열사들은 국내 제과·식품·면세업계 최초로 친환경 전기차 전환을 선언하며 탄소배출 저감 활동을 적극 실천하고 있다. 롯데제과는 10일 약 300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5년까지 현재 사용중인 모든 빙과 영업 판매차량을 친환경 전기차로 교체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냉동 탑차 350대와 업무용 승용차 217대가 전기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올해에만 64억원을 투입해 탑차 20대, 승용차 114대를 들여온다는 구상이다. 롯데면세점은 탄소 배출 저감 활동의 일환으로 보세운송 차량에 친환경 전기차를 도입했다. 회사 측은 전기차의 보세운송 시범 운행을 실시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개선 작업을 거쳐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2022년까지는 운행 중인 보세운송 1톤 디젤 차량 13대 전부를 100% 전기차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 영종도에 위치한 통합물류센터 내 전기차 충전소도 별도로 설치할 예정이다. 롯데푸드도 전체 영업사원에게 업무용 친환경 전기차 약 380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 이번 도입에 멈추지 않고 빙과 배송차량의 친환경 전기차 전환도 검토하고 있다. 냉동 설비 운영 등 빙과 관리 조건에 문제가 없는지도 종합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유통·은행·제약 업계 등 전방위로 전기차 교체 ‘붐’ 편의점업계에서 BGF리테일이 앞장서고 있다. 이에 CU는 지난 4월부터 기아의 봉고 EV 모델을 점포 배송 차량으로 도입했다. CU는 올해 하반기까지 시범 운영을 거친 후 물류 효율 등을 검토해 확대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신세계그룹 통합 온라인몰인 SSG닷컴은 지난해 말부터 현대글로비스와 손잡고 콜드체인(저온유통 시스템)을 갖춘 전기 배송차를 도입해 시범 운영 중이다. 쿠팡은 앞서 2019년부터 일찌감치 대구 배송 캠프에 충전소를 설치하고 전기 쿠팡카 시범 서비스를 운영했다. 도 CJ대한통운은 지난달 친환경 경영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운영 중인 모든 차량을 전기·수소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오는 2030년까지 3만여 대의 차량을 친환경차로 교체하는 것이 목표다. 제약업계에서도 친환경 차량 교체 바람이 불고 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도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동아쏘시오그룹 업무용 차량을 친환경 차량으로 전면 교체하기로 했다. 회사 측은 친환경 차량 전면 교체를 위한 5개년 계획도 수립했다. 이번 친환경 차량 교체에는 동아쏘시오홀딩스를 비롯해 동아ST, 동아제약, 동아오츠카, 용마로지스, 수석 등 동아쏘시오그룹의 모든 그룹사가 동참하며, 업무용 차량을 연도별 교체주기에 따라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이 밖에 은행권에선 신한금융이 오는 2030년까지 업무용 차량 6만여대를 친환경 무공해 차량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친환경차 판매 세계적 호황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다소 침체된 자동차 시장 상황에서도 친환경차 판매는 세계적으로 호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등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내 완성차와 수입차 업체들이 내수 시장에 판매한 친환경차는 총 9만4198대로 전년 동기 대비 74.9% 급증했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 이어지면 올해 친환경차 규모가 40만대에 다가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연간 친환경차 판매량은 22만6668대였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폭스바겐이 최근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으로 경제적, 사회적, 생태적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면서 지속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좋은 근무 조건을 제공하며, 자원과 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탄소 배출 문제와 관련해, 여러 표준에 부합하지 못했던 이른바 '디젤 게이트'에 대한 반성문이자 도전이다. 두 배 더 노력해야 하는 CCC등급 폭스바겐의 ESG 역사를 설명하자면, 차량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지 않을 수 없다. 2000년대에 들어서며 친환경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차량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폭스바겐의 주 판매처인 유럽이나 미국은 0.080g/km의 엄격한 기준을 설정했다. 이에 대응해 폭스바겐은 자사의 디젤 차량을 '클린 디젤', '친환경 차량'이라고 광고하며 이미지를 구축했다. 덕분에 2010년대 초반까지 EU 내 신규 등록 차량 중 디젤 차량의 비율이 50%를 넘어설 정도로 디젤 차량 판매량은 급증했다 하지만 미국 비영리환경단체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가 폭스바겐 제타, 파사트, BMW X5 등 디젤 엔진 차량의 실외 주행 테스트 결과, 폭스바겐 차량은 공식 테스트 대비 40배, 미국 기준치 대비 30배가 넘는 배기가스를 배출한다고 밝혀졌다. 이후 미국 환경보호국의 조사에 따라 폭스바겐이 전자제어장치(ECU) 프로그램을 조작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배기가스 인증 시험 시 실내에서 차내 동력계 장치를 이용해 '배기가스 검사 중'으로 조작해 가스 배출량을 억제하도록 만든 것이다. 조작이 밝혀진 후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영국, 프랑스, 캐나다, 독일 등 많은 국가에서 덩달아 조사에 나섰고, 폭스바겐은 결국 2009년부터 생산된 디젤 차량 약 1,100만 대에 배기가스 조작 소프트웨어가 설치됐음을 인정했다. 이후 폭스바겐 주가는 급락했고, 연비조작 공모, 대기오염 규정 위반 등으로 고발당했다. 폭스바겐이 현재까지 지급한 피해보상금 및 벌금은 약 350억 달러(약 40조 원)에 달한다. 폭스바겐의 주가는 아직까지 2015년의 최고점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폭스바겐 그룹 CEO인 마틴 빈터콘은 이 사태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결국 폭스바겐은 ESG의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 등에서 모두 낙제점을 받게 된다. 2017년 이후 지난해까지 폭스바겐의 ESG 등급은 CCC를 기록 중이다. 올해 초에도 EU의 탄소배출량 기준을 채우지 못해 1억 유로나 되는 벌금을 부과 받았다. 대중의 신뢰를 되찾기 위한 노력 폭스바겐은 최근 ESG 경영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며, 기업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실 폭스바겐그룹의 국제지속가능성위원회는 2016년 9월 만들어졌다. 위원회는 비즈니스, 정치, 과학 및 사회의 저명한 전문가들로 구성됐고, 지속 가능한 이동성 및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및 업무, 디지털화의 미래 등을 위해 독립적인 행동을 보장 받으면서 광범위한 권리까지 부여됐다. 2020년 위원회는 그룹의 관리 이사회 및 직원, 대표들과 정기적으로 만나 활동을 모니터하고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환경적인 역할에서도 세계 선두의 모델로서 책임을 다한다는 입장이다. 폭스바겐은 늦어도 2050년까지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성명문을 발표했으며, 2015년 대비 2025년 배출량을 30%가량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럽 시장 내에서 전기차량 모델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리고, 2030년에는 전기차 판매량을 40%까지 증가시킬 계획이다. 또 폭스바겐은 차량에서 제조용 부품을 회수해 재사용하고 있다. 재생산 부품을 제공하는 최초의 자동차 제조업체인 폭스바겐은 순정 재생산 부품으로 에너지 소비를 33%,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8% 줄였다. ‘디젤 게이트’에서 벗어나기 위해 폭스바겐은 ‘Together4Integrity’를 내세워 소비자 신뢰 되찾기에 나섰다. 2018년 봄에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회사의 규정과 문화, 가치를 중점으로 정직한 기업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고안됐다. 또한 그룹 차원에서 직원들의 사회적 권리, 노사 관계에 관한 ‘비즈니스 인권 선언’을 진행하며, 국제 인권 헌장 및 국제 노동기구 (ILO)의 핵심 노동 기준을 준수해 비즈니스 운영을 구성하고, 보편적인 인권을 존중한다는 선언문도 발표했다. 여기에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기업의 책임이나 기회 균등 및 대우에 관한 행동강령 등이 담겼다. 이러한 내용은 모두 ‘2020 폭스바겐그룹 지속가능성 보고서’에서 소개됐다. 그룹의 국제적인 사회 환원 활동도 지속적이다. 2015 년부터 이 회사는 난민들을 위한 긴급 지원 관리, 언어 학습, 훈련 및 교육 지원, 독점 플랫폼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 제공을 진행하고 있다. 2018년에만 전 세계에서 지역 구조 개발, 건강, 교육, 스포츠 및 환경 보전을 포함한 문제를 다루는 5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2019년에는 아시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유럽, 남아메리카 등 다양한 국가에서 전 세계 7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일본에서는 4개, 한국에서는 총 11개 프로젝트를 시행 중이다. 국내 수행 프로젝트로는 차일드펀드와 함께 코로나 바이러스 비상 대응 및 포르쉐의 평등한 기회 프로젝트, 그린 기프트박스 아우디 지역 지원, 그린 스쿨 어웨이크 프로젝트, 포르쉐 드림서클, 청소년 교육 사업 자금 지원, 어반 비즈 서울 등이 알려져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최근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하 ‘노조’)이 파업을 결정한 배경에는 성과급 인상뿐만 아니라 전기차 개발에 따른 산업재편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우려도 깔려있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친환경 전기차 개발이 일자리에 미치는 악영향을 둘러싼 이슈가 다시 조명받고 있다.  노조가 파업 절차에 돌입한 이유로 그간 쌓인 성과급 불만을 전면에 내걸었지만 일자리 불안에 대한 선제적 대응도 파업 이유로 볼 수 있다는 게 분석의 핵심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설계와 엔지니어링이 더 단순하다. 또 들어가는 부품도 절반이 채 안 되고, 제작 시간도 30% 짧은 것으로 추정된다. 부품 조립의 자동화 수준도 높고, 유지관리가 덜 필요하다. 자동차업계가 전통적인 휘발유 엔진 차량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면서 대규모 일자리 감축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현대차 노조, 압도적 찬성으로 파업 결의  8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투표자 4만3117명 중 83.2%인 3만5854명이 '2021년 임단투 조합원 쟁의 행위 찬·반 투표'에서 '찬성'표를 던졌다고 7일 밝혔다. 투표율은 88.7%, 반대는 11.5%, 무효표는 5.3%였다. 노조는 향후 쟁의대책위원회를 소집해 파업 돌입 여부와 일정을 논의할 계획이다. 앞서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이 난항을 겪자 지난달 30일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에서 기본급 9만9000원 인상, 성과급 순이익의 30% 지급, 정년 65세 연장 등을 요구했다. 사측은 기본급 5만원 인상(호봉승급분 포함), 성과금 100%+300만원, 품질향상 격려금 200만원, 10만원 상당 복지 포인트 지급 등을 제시했으나 노조는 이를 거부했다. 전기차 비중 확대되며 자동차업계 일자리 감소 전망 현대·기아차 노조가 2019년 내놓은 '미래형 자동차 발전 동향과 노조의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신차 생산물량 중 전기차 비중이 2025년 15%, 2030년 25%로 늘어나면 현대차에서만 각각 최대 1629명(2025년), 2837명(2030년)의 인력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 역시 5월 발표한 '클린·전기·자율주행차 뒤의 저항할 수 없는 모멘텀'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자동차산업 구조 변화의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자동차 관련 일자리가 최대 25%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현재의 글로벌 전기차 점유율이 2030년 중국에서 45%, 유럽 50%, 미국 35% 등으로 뛸 것으로 보고 계산된 것이다. 종사자 수가 많은 판매·마케팅, 조립 분야는 인력이 줄어드는 반면 소프트웨어, 정보기술(IT), 데이터 분석 등의 분야에선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맥킨지는 일자리 감소 규모가 훨씬 큰 만큼 전체 일자리는 최대 25% 줄어들 수도 있다고 봤는데, 이를 국내 자동차산업에 적용하면 수십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는 계산이 나온다. 산업연구원도 내년에 국내 전기차 생산 비중이 10.5% 증가할 경우 자동차산업에서 4718명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우려로 완성차업계 노조는 정년 연장을 새로운 카드로 꺼내 들며 맞서왔다. 실제로 지난 3월 현대차와 기아, 한국GM 등 3사 노조가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의 안정적인 노후 보장을 위해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방안을 입법화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전기차 개발로 늘어나는 일자리보다 줄어드는 일자리 더 많을 수도  친환경 자동차 개발분야의 일자리가 당장 줄어들지는 않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도 그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2020년 미국의 전기차와 청정에너지 분야 상황을 분석한 <2021 클린 일자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선 전체 에너지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한 것과 달리 전기차 제조업 분야 일자리는 3% 가까운 증가세를 나타냈다. 전기 승용차, 트럭, 버스 등의 개발 인력이 늘어난 게 이유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차 분야 일자리만 놓고 보면, 지난해 전년대비 6%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어떤 청정에너지 분야보다도 많은 1만20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생겨났다. 하지만 한 해외 자동차 전문가는 "배터리와 전기모터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일자리가 늘더라도 이 분야에 필요한 일자리가 내연기관 개발과 생산 등에 필요한 일자리가 줄어드는 만큼 늘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자리 감소 우려 전 세계적 현상  전 세계 자동차업체들이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일자리 감소 우려도 세계 곳곳에서 커지고 있다.  GM은 2025년까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에 2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속했고, 2023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20종류의 새로운 전기차 출시 계획을 밝혔다. 포드 자동차 역시 2022년까지 전기차 개발에 110억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아직은 전기차가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판매가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가 전 세계 자동차 판매의 21% 이상을 차지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독일에서도 전기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2030년까지 자동차업계에서 수십 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걸로 추산하고 있다. 지난해 독일의 아우디는 전기차 전환 계획의 일환으로 전 세계에서 7500개의 일자리를 줄이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미국에서도 2019년 의회조사국(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은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일반 자동차 제조에는 2000개의 파워트레인 부품이 필요한 데 비해 전기 파워트레인은 고작 몇 개만 있으면 된다"면서, 이에 따라 내연기관 파워트레인 부품을 제조하는 약 15만 명의 미국 노동자들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LG전자가 11㎾ 출력 완속충전기와 175㎾ 급속충전기를 내년 상반기 미국에 출시하면서 미국 전기차 충전기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16일 LG전자에 따르면 11㎾ 완속충전기는 벽에 부착하거나 세우는 등의 방식으로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쇼핑몰이나 마트 등 충전기가 설치된 상업 공간의 전력 상황에 따라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부하관리솔루션이 탑재돼 전력 용량이 제한된 상황에서도 안정된 품질의 충전이 가능하다. 175㎾ 급속충전기는 미국 표준 충전 규격인 CCS1(Combined Charging System)과 테슬라의 NACS(North American Charging Standard)를 동시 지원해 고객 편의를 높인다. 충전기 외부에는 충전 현황을 확인하고 광고를 통한 추가 수익 기회를 제공하는 터치 디스플레이가 탑재된다. LG전자는 내년 하반기에는 상업용·장거리 이동에 적합한 급속충전기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지난 2018년 전기차 충전 솔루션 선행 개발을 시작해 2022년 충전기 핵심기술을 보유한 애플망고(현 하이비차저)를 인수하며 충전기 개발·생산능력을 내재화했다. 현재 7㎾ 완속충전기와 100㎾·200㎾ 급속충전기 등 4종을 생산해 이마트 등에 공급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프로그램(NEVI)‘의 일환으로 지난해부터 5년간 50억달러를 투자해 2030년까지 미국 전역에 전기차 충전소 50만곳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LG전자 EV충전사업담당 서흥규 상무는 "안정된 품질의 다양한 전기차 충전기 제품과 차별화된 충전 솔루션을 공급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미국 전기차 충전기 시장 수요에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전기차 시장 경쟁에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는 일본의 자동차 업계가 본격 경쟁에 뛰어들기 위해 가속페달을 밟고 있다. 전기차 생산 확대에 속도를 내 그동안의 부진을 서둘러 만회하겠다는 것이다.  일본 자동차 업체들까지 전기차 생산량을 늘릴 경우 가격 하락 경쟁이 더 치열해지고, 내연기관 엔진으로부터의 전환 속도가 빨라지면서 결국 소비자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자동차 판매 1위 도요타는 최근 10종의 새로운 전기차 모델을 출시하고 전기차 생산량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2026년까지 전기차 생산량을 150만 대로, 2030년까지는 350만 대로 늘린다는 포부다. 도요타에 배터리를 공급해주는 프라임플래닛에너지앤솔루션(Prime Planet Energy & Solutions)은 이 같은 일정에 맞춰 배터리 생산량을 크게 늘릴 계획이다. 이 회사는 도요타와 파나소닉이 각각 51,49% 지분을 보유한 합작회사로, 테슬라 전기차에도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도요타보다 1년 앞선 2021년에 첫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를 선보인 현대차그룹의 2030년 전기차 판매 목표는 364만 대로 도요타의 판매 목표와 비슷하다. 현대차그룹은 현재 아이오닉5와 6, EV6, 제네시스 GV60까지 4종의 전기차를 판매 중이며 이번 달 3일부터 국내에서 사전 계약을 실시한 EV9까지 포함하면 5종의 라인업을 갖추게 된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에 도요타보다 20종 이상 많은 총 31종 전기차 라인업 구축을 목표로 잡았다. 도요타, 전기차 생산 및 판매 모두 늘린다  도요타의 경우 지난 회계연도(올 3월 종료) 중에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 비중이 전체 판매량의 27%를 차지했다. 하지만 이 차량 대부분이 100% 하이브리드 차량이라 여전히 내연 엔진에 의존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배터리를 주요 동력원으로 쓰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이 판매량은 이 중 일부에 불과하다. 외신 보도를 종합해 보면 도요타는 고급 브랜드인 렉서스까지 포함해서 불과 3종의 전기차 모델만 판매 중이며, 지난해에는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2만 5,000대도 채 안 된다. 지난달에야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에서 판매할 첫 전기차 세단 주문을 받기 시작했을 정도다. 상황이 이렇기 때문에 도요타가 투자자와 환경단체들로부터 테슬라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기차 시장 진입이 늦고 있다는 비난을 받아온 것도 놀랄 일도 아니다. 지난해 11월 기업의 비즈니스와 재정이 기후위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데이터와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인플루언스맵(InfluenceMap)은 ‘기후정책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세계 10대 기업’에서 도요타를 10위에 올려놓기도 했다. 하지만 존 포데스타(John Podesta) 백악관 고문은 2일 도요타 경영진과 회담 후 “도요타가 전기차 시장의 후발주자였지만 이제는 이 분야에서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로이터에 “도요타가 당분간 다른 기업들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오랫동안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생산을 고집하겠지만 전기화에도 매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혼다, 2040년까지 전기차로 완전 전환 계획  혼다도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달 26일 혼다는 2040년까지 전체 자동차 생산라인을 전기차와 수소연료전기차(FCEV)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또 2030년까지 매년 200만 대가 넘는 전기차를 생산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혼다는 이틀 뒤인 28일에는 일본 배터리 제조사인 GS유아사(GS Yuasa)와 일본 경제산업성(METI)과 함께 일본 내에서 새로운 리튬이온 배터리 공장 건립을 위해 4,340억 엔(약 4.2조 원)을 공동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중 35%는 일본 정부로부터 보조를 받는다. 생산 목표 시기는 2027년이다. 이보다 보름 전인 11일에는 포스코그룹과 ‘전기차 사업에 대한 포괄적인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기존 철강 부문 협력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이차전지 소재 부문에서도 새로운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자동차 통계 사이트인 F&I툴스(F&I Tools)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세계 자동차 판매 1위는 도요타고, 혼다와 닛산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2위는 폭스바겐이고 현대차그룹의 순위는 3위다. 하지만 데이터 분석기관인 비주얼캐피탈리스트의 자료(아래 표)를 보면, 일본 자동차 중에서 세계 전기차 생산량 순위 15위 안에 이름을 올린 건 닛산 한 곳에 불과하다. 닛산은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를 통해 이같이 순위에 오를 수 있었는데, 그래 봤자 순위는 10위에 턱걸이했다. 판매량은 판매 순위 1위인 중국 비야디(BYD)의 5분의 1도 채 안 된다. 지난해 세계 전기차 생산량 순위 2위는 테슬라이고 현대차그룹은 6위였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6
기업·거버넌스
제로배출 도전하는 택배차량...페덱스, 전기트럭 120대 주문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short
5-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전기차 시장 경쟁에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는 일본의 자동차 업계가 본격 경쟁에 뛰어들기 위해 가속페달을 밟고 있다. 전기차 생산 확대에 속도를 내 그동안의 부진을 서둘러 만회하겠다는 것이다.  일본 자동차 업체들까지 전기차 생산량을 늘릴 경우 가격 하락 경쟁이 더 치열해지고, 내연기관 엔진으로부터의 전환 속도가 빨라지면서 결국 소비자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자동차 판매 1위 도요타는 최근 10종의 새로운 전기차 모델을 출시하고 전기차 생산량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2026년까지 전기차 생산량을 150만 대로, 2030년까지는 350만 대로 늘린다는 포부다. 도요타에 배터리를 공급해주는 프라임플래닛에너지앤솔루션(Prime Planet Energy & Solutions)은 이 같은 일정에 맞춰 배터리 생산량을 크게 늘릴 계획이다. 이 회사는 도요타와 파나소닉이 각각 51,49% 지분을 보유한 합작회사로, 테슬라 전기차에도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도요타보다 1년 앞선 2021년에 첫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를 선보인 현대차그룹의 2030년 전기차 판매 목표는 364만 대로 도요타의 판매 목표와 비슷하다. 현대차그룹은 현재 아이오닉5와 6, EV6, 제네시스 GV60까지 4종의 전기차를 판매 중이며 이번 달 3일부터 국내에서 사전 계약을 실시한 EV9까지 포함하면 5종의 라인업을 갖추게 된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에 도요타보다 20종 이상 많은 총 31종 전기차 라인업 구축을 목표로 잡았다. 도요타, 전기차 생산 및 판매 모두 늘린다  도요타의 경우 지난 회계연도(올 3월 종료) 중에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 비중이 전체 판매량의 27%를 차지했다. 하지만 이 차량 대부분이 100% 하이브리드 차량이라 여전히 내연 엔진에 의존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배터리를 주요 동력원으로 쓰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이 판매량은 이 중 일부에 불과하다. 외신 보도를 종합해 보면 도요타는 고급 브랜드인 렉서스까지 포함해서 불과 3종의 전기차 모델만 판매 중이며, 지난해에는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2만 5,000대도 채 안 된다. 지난달에야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에서 판매할 첫 전기차 세단 주문을 받기 시작했을 정도다. 상황이 이렇기 때문에 도요타가 투자자와 환경단체들로부터 테슬라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기차 시장 진입이 늦고 있다는 비난을 받아온 것도 놀랄 일도 아니다. 지난해 11월 기업의 비즈니스와 재정이 기후위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데이터와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인플루언스맵(InfluenceMap)은 ‘기후정책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세계 10대 기업’에서 도요타를 10위에 올려놓기도 했다. 하지만 존 포데스타(John Podesta) 백악관 고문은 2일 도요타 경영진과 회담 후 “도요타가 전기차 시장의 후발주자였지만 이제는 이 분야에서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로이터에 “도요타가 당분간 다른 기업들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오랫동안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생산을 고집하겠지만 전기화에도 매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혼다, 2040년까지 전기차로 완전 전환 계획  혼다도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달 26일 혼다는 2040년까지 전체 자동차 생산라인을 전기차와 수소연료전기차(FCEV)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또 2030년까지 매년 200만 대가 넘는 전기차를 생산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혼다는 이틀 뒤인 28일에는 일본 배터리 제조사인 GS유아사(GS Yuasa)와 일본 경제산업성(METI)과 함께 일본 내에서 새로운 리튬이온 배터리 공장 건립을 위해 4,340억 엔(약 4.2조 원)을 공동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중 35%는 일본 정부로부터 보조를 받는다. 생산 목표 시기는 2027년이다. 이보다 보름 전인 11일에는 포스코그룹과 ‘전기차 사업에 대한 포괄적인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기존 철강 부문 협력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이차전지 소재 부문에서도 새로운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자동차 통계 사이트인 F&I툴스(F&I Tools)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세계 자동차 판매 1위는 도요타고, 혼다와 닛산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2위는 폭스바겐이고 현대차그룹의 순위는 3위다. 하지만 데이터 분석기관인 비주얼캐피탈리스트의 자료(아래 표)를 보면, 일본 자동차 중에서 세계 전기차 생산량 순위 15위 안에 이름을 올린 건 닛산 한 곳에 불과하다. 닛산은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를 통해 이같이 순위에 오를 수 있었는데, 그래 봤자 순위는 10위에 턱걸이했다. 판매량은 판매 순위 1위인 중국 비야디(BYD)의 5분의 1도 채 안 된다. 지난해 세계 전기차 생산량 순위 2위는 테슬라이고 현대차그룹은 6위였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LG전자가 11㎾ 출력 완속충전기와 175㎾ 급속충전기를 내년 상반기 미국에 출시하면서 미국 전기차 충전기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16일 LG전자에 따르면 11㎾ 완속충전기는 벽에 부착하거나 세우는 등의 방식으로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쇼핑몰이나 마트 등 충전기가 설치된 상업 공간의 전력 상황에 따라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부하관리솔루션이 탑재돼 전력 용량이 제한된 상황에서도 안정된 품질의 충전이 가능하다. 175㎾ 급속충전기는 미국 표준 충전 규격인 CCS1(Combined Charging System)과 테슬라의 NACS(North American Charging Standard)를 동시 지원해 고객 편의를 높인다. 충전기 외부에는 충전 현황을 확인하고 광고를 통한 추가 수익 기회를 제공하는 터치 디스플레이가 탑재된다. LG전자는 내년 하반기에는 상업용·장거리 이동에 적합한 급속충전기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지난 2018년 전기차 충전 솔루션 선행 개발을 시작해 2022년 충전기 핵심기술을 보유한 애플망고(현 하이비차저)를 인수하며 충전기 개발·생산능력을 내재화했다. 현재 7㎾ 완속충전기와 100㎾·200㎾ 급속충전기 등 4종을 생산해 이마트 등에 공급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프로그램(NEVI)‘의 일환으로 지난해부터 5년간 50억달러를 투자해 2030년까지 미국 전역에 전기차 충전소 50만곳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LG전자 EV충전사업담당 서흥규 상무는 "안정된 품질의 다양한 전기차 충전기 제품과 차별화된 충전 솔루션을 공급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미국 전기차 충전기 시장 수요에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최근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하 ‘노조’)이 파업을 결정한 배경에는 성과급 인상뿐만 아니라 전기차 개발에 따른 산업재편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우려도 깔려있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친환경 전기차 개발이 일자리에 미치는 악영향을 둘러싼 이슈가 다시 조명받고 있다.  노조가 파업 절차에 돌입한 이유로 그간 쌓인 성과급 불만을 전면에 내걸었지만 일자리 불안에 대한 선제적 대응도 파업 이유로 볼 수 있다는 게 분석의 핵심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설계와 엔지니어링이 더 단순하다. 또 들어가는 부품도 절반이 채 안 되고, 제작 시간도 30% 짧은 것으로 추정된다. 부품 조립의 자동화 수준도 높고, 유지관리가 덜 필요하다. 자동차업계가 전통적인 휘발유 엔진 차량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면서 대규모 일자리 감축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현대차 노조, 압도적 찬성으로 파업 결의  8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투표자 4만3117명 중 83.2%인 3만5854명이 '2021년 임단투 조합원 쟁의 행위 찬·반 투표'에서 '찬성'표를 던졌다고 7일 밝혔다. 투표율은 88.7%, 반대는 11.5%, 무효표는 5.3%였다. 노조는 향후 쟁의대책위원회를 소집해 파업 돌입 여부와 일정을 논의할 계획이다. 앞서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이 난항을 겪자 지난달 30일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에서 기본급 9만9000원 인상, 성과급 순이익의 30% 지급, 정년 65세 연장 등을 요구했다. 사측은 기본급 5만원 인상(호봉승급분 포함), 성과금 100%+300만원, 품질향상 격려금 200만원, 10만원 상당 복지 포인트 지급 등을 제시했으나 노조는 이를 거부했다. 전기차 비중 확대되며 자동차업계 일자리 감소 전망 현대·기아차 노조가 2019년 내놓은 '미래형 자동차 발전 동향과 노조의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신차 생산물량 중 전기차 비중이 2025년 15%, 2030년 25%로 늘어나면 현대차에서만 각각 최대 1629명(2025년), 2837명(2030년)의 인력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 역시 5월 발표한 '클린·전기·자율주행차 뒤의 저항할 수 없는 모멘텀'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자동차산업 구조 변화의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자동차 관련 일자리가 최대 25%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현재의 글로벌 전기차 점유율이 2030년 중국에서 45%, 유럽 50%, 미국 35% 등으로 뛸 것으로 보고 계산된 것이다. 종사자 수가 많은 판매·마케팅, 조립 분야는 인력이 줄어드는 반면 소프트웨어, 정보기술(IT), 데이터 분석 등의 분야에선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맥킨지는 일자리 감소 규모가 훨씬 큰 만큼 전체 일자리는 최대 25% 줄어들 수도 있다고 봤는데, 이를 국내 자동차산업에 적용하면 수십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는 계산이 나온다. 산업연구원도 내년에 국내 전기차 생산 비중이 10.5% 증가할 경우 자동차산업에서 4718명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우려로 완성차업계 노조는 정년 연장을 새로운 카드로 꺼내 들며 맞서왔다. 실제로 지난 3월 현대차와 기아, 한국GM 등 3사 노조가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의 안정적인 노후 보장을 위해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방안을 입법화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전기차 개발로 늘어나는 일자리보다 줄어드는 일자리 더 많을 수도  친환경 자동차 개발분야의 일자리가 당장 줄어들지는 않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도 그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2020년 미국의 전기차와 청정에너지 분야 상황을 분석한 <2021 클린 일자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선 전체 에너지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한 것과 달리 전기차 제조업 분야 일자리는 3% 가까운 증가세를 나타냈다. 전기 승용차, 트럭, 버스 등의 개발 인력이 늘어난 게 이유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차 분야 일자리만 놓고 보면, 지난해 전년대비 6%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어떤 청정에너지 분야보다도 많은 1만20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생겨났다. 하지만 한 해외 자동차 전문가는 "배터리와 전기모터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일자리가 늘더라도 이 분야에 필요한 일자리가 내연기관 개발과 생산 등에 필요한 일자리가 줄어드는 만큼 늘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자리 감소 우려 전 세계적 현상  전 세계 자동차업체들이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일자리 감소 우려도 세계 곳곳에서 커지고 있다.  GM은 2025년까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에 2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속했고, 2023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20종류의 새로운 전기차 출시 계획을 밝혔다. 포드 자동차 역시 2022년까지 전기차 개발에 110억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아직은 전기차가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판매가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가 전 세계 자동차 판매의 21% 이상을 차지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독일에서도 전기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2030년까지 자동차업계에서 수십 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걸로 추산하고 있다. 지난해 독일의 아우디는 전기차 전환 계획의 일환으로 전 세계에서 7500개의 일자리를 줄이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미국에서도 2019년 의회조사국(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은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일반 자동차 제조에는 2000개의 파워트레인 부품이 필요한 데 비해 전기 파워트레인은 고작 몇 개만 있으면 된다"면서, 이에 따라 내연기관 파워트레인 부품을 제조하는 약 15만 명의 미국 노동자들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폭스바겐이 최근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으로 경제적, 사회적, 생태적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면서 지속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좋은 근무 조건을 제공하며, 자원과 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탄소 배출 문제와 관련해, 여러 표준에 부합하지 못했던 이른바 '디젤 게이트'에 대한 반성문이자 도전이다. 두 배 더 노력해야 하는 CCC등급 폭스바겐의 ESG 역사를 설명하자면, 차량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지 않을 수 없다. 2000년대에 들어서며 친환경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차량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폭스바겐의 주 판매처인 유럽이나 미국은 0.080g/km의 엄격한 기준을 설정했다. 이에 대응해 폭스바겐은 자사의 디젤 차량을 '클린 디젤', '친환경 차량'이라고 광고하며 이미지를 구축했다. 덕분에 2010년대 초반까지 EU 내 신규 등록 차량 중 디젤 차량의 비율이 50%를 넘어설 정도로 디젤 차량 판매량은 급증했다 하지만 미국 비영리환경단체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가 폭스바겐 제타, 파사트, BMW X5 등 디젤 엔진 차량의 실외 주행 테스트 결과, 폭스바겐 차량은 공식 테스트 대비 40배, 미국 기준치 대비 30배가 넘는 배기가스를 배출한다고 밝혀졌다. 이후 미국 환경보호국의 조사에 따라 폭스바겐이 전자제어장치(ECU) 프로그램을 조작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배기가스 인증 시험 시 실내에서 차내 동력계 장치를 이용해 '배기가스 검사 중'으로 조작해 가스 배출량을 억제하도록 만든 것이다. 조작이 밝혀진 후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영국, 프랑스, 캐나다, 독일 등 많은 국가에서 덩달아 조사에 나섰고, 폭스바겐은 결국 2009년부터 생산된 디젤 차량 약 1,100만 대에 배기가스 조작 소프트웨어가 설치됐음을 인정했다. 이후 폭스바겐 주가는 급락했고, 연비조작 공모, 대기오염 규정 위반 등으로 고발당했다. 폭스바겐이 현재까지 지급한 피해보상금 및 벌금은 약 350억 달러(약 40조 원)에 달한다. 폭스바겐의 주가는 아직까지 2015년의 최고점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폭스바겐 그룹 CEO인 마틴 빈터콘은 이 사태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결국 폭스바겐은 ESG의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 등에서 모두 낙제점을 받게 된다. 2017년 이후 지난해까지 폭스바겐의 ESG 등급은 CCC를 기록 중이다. 올해 초에도 EU의 탄소배출량 기준을 채우지 못해 1억 유로나 되는 벌금을 부과 받았다. 대중의 신뢰를 되찾기 위한 노력 폭스바겐은 최근 ESG 경영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며, 기업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실 폭스바겐그룹의 국제지속가능성위원회는 2016년 9월 만들어졌다. 위원회는 비즈니스, 정치, 과학 및 사회의 저명한 전문가들로 구성됐고, 지속 가능한 이동성 및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및 업무, 디지털화의 미래 등을 위해 독립적인 행동을 보장 받으면서 광범위한 권리까지 부여됐다. 2020년 위원회는 그룹의 관리 이사회 및 직원, 대표들과 정기적으로 만나 활동을 모니터하고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환경적인 역할에서도 세계 선두의 모델로서 책임을 다한다는 입장이다. 폭스바겐은 늦어도 2050년까지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성명문을 발표했으며, 2015년 대비 2025년 배출량을 30%가량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럽 시장 내에서 전기차량 모델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리고, 2030년에는 전기차 판매량을 40%까지 증가시킬 계획이다. 또 폭스바겐은 차량에서 제조용 부품을 회수해 재사용하고 있다. 재생산 부품을 제공하는 최초의 자동차 제조업체인 폭스바겐은 순정 재생산 부품으로 에너지 소비를 33%,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8% 줄였다. ‘디젤 게이트’에서 벗어나기 위해 폭스바겐은 ‘Together4Integrity’를 내세워 소비자 신뢰 되찾기에 나섰다. 2018년 봄에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회사의 규정과 문화, 가치를 중점으로 정직한 기업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고안됐다. 또한 그룹 차원에서 직원들의 사회적 권리, 노사 관계에 관한 ‘비즈니스 인권 선언’을 진행하며, 국제 인권 헌장 및 국제 노동기구 (ILO)의 핵심 노동 기준을 준수해 비즈니스 운영을 구성하고, 보편적인 인권을 존중한다는 선언문도 발표했다. 여기에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기업의 책임이나 기회 균등 및 대우에 관한 행동강령 등이 담겼다. 이러한 내용은 모두 ‘2020 폭스바겐그룹 지속가능성 보고서’에서 소개됐다. 그룹의 국제적인 사회 환원 활동도 지속적이다. 2015 년부터 이 회사는 난민들을 위한 긴급 지원 관리, 언어 학습, 훈련 및 교육 지원, 독점 플랫폼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 제공을 진행하고 있다. 2018년에만 전 세계에서 지역 구조 개발, 건강, 교육, 스포츠 및 환경 보전을 포함한 문제를 다루는 5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2019년에는 아시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유럽, 남아메리카 등 다양한 국가에서 전 세계 7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일본에서는 4개, 한국에서는 총 11개 프로젝트를 시행 중이다. 국내 수행 프로젝트로는 차일드펀드와 함께 코로나 바이러스 비상 대응 및 포르쉐의 평등한 기회 프로젝트, 그린 기프트박스 아우디 지역 지원, 그린 스쿨 어웨이크 프로젝트, 포르쉐 드림서클, 청소년 교육 사업 자금 지원, 어반 비즈 서울 등이 알려져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기업들이 업무용 차량을 환경 오염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전기차로 대체하는 친환경 캠페인에 적극 나서고 있다. 기업들은 이를 통해 비용도 절감하는 '1석 2조'의 효과를 내겠다는 계산이다. 특히 업무용차량으로 경차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소형 SUV 등으로 대체 시 영업사원의 만족도와 안전성도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계에서 롯데가 가장 적극적 전기차 교체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롯데다. 최근 롯데그룹 계열사들은 국내 제과·식품·면세업계 최초로 친환경 전기차 전환을 선언하며 탄소배출 저감 활동을 적극 실천하고 있다. 롯데제과는 10일 약 300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5년까지 현재 사용중인 모든 빙과 영업 판매차량을 친환경 전기차로 교체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냉동 탑차 350대와 업무용 승용차 217대가 전기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올해에만 64억원을 투입해 탑차 20대, 승용차 114대를 들여온다는 구상이다. 롯데면세점은 탄소 배출 저감 활동의 일환으로 보세운송 차량에 친환경 전기차를 도입했다. 회사 측은 전기차의 보세운송 시범 운행을 실시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개선 작업을 거쳐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2022년까지는 운행 중인 보세운송 1톤 디젤 차량 13대 전부를 100% 전기차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 영종도에 위치한 통합물류센터 내 전기차 충전소도 별도로 설치할 예정이다. 롯데푸드도 전체 영업사원에게 업무용 친환경 전기차 약 380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 이번 도입에 멈추지 않고 빙과 배송차량의 친환경 전기차 전환도 검토하고 있다. 냉동 설비 운영 등 빙과 관리 조건에 문제가 없는지도 종합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유통·은행·제약 업계 등 전방위로 전기차 교체 ‘붐’ 편의점업계에서 BGF리테일이 앞장서고 있다. 이에 CU는 지난 4월부터 기아의 봉고 EV 모델을 점포 배송 차량으로 도입했다. CU는 올해 하반기까지 시범 운영을 거친 후 물류 효율 등을 검토해 확대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신세계그룹 통합 온라인몰인 SSG닷컴은 지난해 말부터 현대글로비스와 손잡고 콜드체인(저온유통 시스템)을 갖춘 전기 배송차를 도입해 시범 운영 중이다. 쿠팡은 앞서 2019년부터 일찌감치 대구 배송 캠프에 충전소를 설치하고 전기 쿠팡카 시범 서비스를 운영했다. 도 CJ대한통운은 지난달 친환경 경영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운영 중인 모든 차량을 전기·수소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오는 2030년까지 3만여 대의 차량을 친환경차로 교체하는 것이 목표다. 제약업계에서도 친환경 차량 교체 바람이 불고 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도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동아쏘시오그룹 업무용 차량을 친환경 차량으로 전면 교체하기로 했다. 회사 측은 친환경 차량 전면 교체를 위한 5개년 계획도 수립했다. 이번 친환경 차량 교체에는 동아쏘시오홀딩스를 비롯해 동아ST, 동아제약, 동아오츠카, 용마로지스, 수석 등 동아쏘시오그룹의 모든 그룹사가 동참하며, 업무용 차량을 연도별 교체주기에 따라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이 밖에 은행권에선 신한금융이 오는 2030년까지 업무용 차량 6만여대를 친환경 무공해 차량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친환경차 판매 세계적 호황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다소 침체된 자동차 시장 상황에서도 친환경차 판매는 세계적으로 호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등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내 완성차와 수입차 업체들이 내수 시장에 판매한 친환경차는 총 9만4198대로 전년 동기 대비 74.9% 급증했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 이어지면 올해 친환경차 규모가 40만대에 다가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연간 친환경차 판매량은 22만6668대였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6
기업·거버넌스
제로배출 도전하는 택배차량...페덱스, 전기트럭 120대 주문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short
5-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기업들이 업무용 차량을 환경 오염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전기차로 대체하는 친환경 캠페인에 적극 나서고 있다. 기업들은 이를 통해 비용도 절감하는 '1석 2조'의 효과를 내겠다는 계산이다. 특히 업무용차량으로 경차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소형 SUV 등으로 대체 시 영업사원의 만족도와 안전성도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계에서 롯데가 가장 적극적 전기차 교체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롯데다. 최근 롯데그룹 계열사들은 국내 제과·식품·면세업계 최초로 친환경 전기차 전환을 선언하며 탄소배출 저감 활동을 적극 실천하고 있다. 롯데제과는 10일 약 300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5년까지 현재 사용중인 모든 빙과 영업 판매차량을 친환경 전기차로 교체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냉동 탑차 350대와 업무용 승용차 217대가 전기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올해에만 64억원을 투입해 탑차 20대, 승용차 114대를 들여온다는 구상이다. 롯데면세점은 탄소 배출 저감 활동의 일환으로 보세운송 차량에 친환경 전기차를 도입했다. 회사 측은 전기차의 보세운송 시범 운행을 실시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개선 작업을 거쳐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2022년까지는 운행 중인 보세운송 1톤 디젤 차량 13대 전부를 100% 전기차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 영종도에 위치한 통합물류센터 내 전기차 충전소도 별도로 설치할 예정이다. 롯데푸드도 전체 영업사원에게 업무용 친환경 전기차 약 380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 이번 도입에 멈추지 않고 빙과 배송차량의 친환경 전기차 전환도 검토하고 있다. 냉동 설비 운영 등 빙과 관리 조건에 문제가 없는지도 종합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유통·은행·제약 업계 등 전방위로 전기차 교체 ‘붐’ 편의점업계에서 BGF리테일이 앞장서고 있다. 이에 CU는 지난 4월부터 기아의 봉고 EV 모델을 점포 배송 차량으로 도입했다. CU는 올해 하반기까지 시범 운영을 거친 후 물류 효율 등을 검토해 확대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신세계그룹 통합 온라인몰인 SSG닷컴은 지난해 말부터 현대글로비스와 손잡고 콜드체인(저온유통 시스템)을 갖춘 전기 배송차를 도입해 시범 운영 중이다. 쿠팡은 앞서 2019년부터 일찌감치 대구 배송 캠프에 충전소를 설치하고 전기 쿠팡카 시범 서비스를 운영했다. 도 CJ대한통운은 지난달 친환경 경영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운영 중인 모든 차량을 전기·수소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오는 2030년까지 3만여 대의 차량을 친환경차로 교체하는 것이 목표다. 제약업계에서도 친환경 차량 교체 바람이 불고 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도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동아쏘시오그룹 업무용 차량을 친환경 차량으로 전면 교체하기로 했다. 회사 측은 친환경 차량 전면 교체를 위한 5개년 계획도 수립했다. 이번 친환경 차량 교체에는 동아쏘시오홀딩스를 비롯해 동아ST, 동아제약, 동아오츠카, 용마로지스, 수석 등 동아쏘시오그룹의 모든 그룹사가 동참하며, 업무용 차량을 연도별 교체주기에 따라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이 밖에 은행권에선 신한금융이 오는 2030년까지 업무용 차량 6만여대를 친환경 무공해 차량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친환경차 판매 세계적 호황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다소 침체된 자동차 시장 상황에서도 친환경차 판매는 세계적으로 호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등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내 완성차와 수입차 업체들이 내수 시장에 판매한 친환경차는 총 9만4198대로 전년 동기 대비 74.9% 급증했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 이어지면 올해 친환경차 규모가 40만대에 다가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연간 친환경차 판매량은 22만6668대였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폭스바겐이 최근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으로 경제적, 사회적, 생태적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면서 지속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좋은 근무 조건을 제공하며, 자원과 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탄소 배출 문제와 관련해, 여러 표준에 부합하지 못했던 이른바 '디젤 게이트'에 대한 반성문이자 도전이다. 두 배 더 노력해야 하는 CCC등급 폭스바겐의 ESG 역사를 설명하자면, 차량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지 않을 수 없다. 2000년대에 들어서며 친환경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차량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폭스바겐의 주 판매처인 유럽이나 미국은 0.080g/km의 엄격한 기준을 설정했다. 이에 대응해 폭스바겐은 자사의 디젤 차량을 '클린 디젤', '친환경 차량'이라고 광고하며 이미지를 구축했다. 덕분에 2010년대 초반까지 EU 내 신규 등록 차량 중 디젤 차량의 비율이 50%를 넘어설 정도로 디젤 차량 판매량은 급증했다 하지만 미국 비영리환경단체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가 폭스바겐 제타, 파사트, BMW X5 등 디젤 엔진 차량의 실외 주행 테스트 결과, 폭스바겐 차량은 공식 테스트 대비 40배, 미국 기준치 대비 30배가 넘는 배기가스를 배출한다고 밝혀졌다. 이후 미국 환경보호국의 조사에 따라 폭스바겐이 전자제어장치(ECU) 프로그램을 조작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배기가스 인증 시험 시 실내에서 차내 동력계 장치를 이용해 '배기가스 검사 중'으로 조작해 가스 배출량을 억제하도록 만든 것이다. 조작이 밝혀진 후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영국, 프랑스, 캐나다, 독일 등 많은 국가에서 덩달아 조사에 나섰고, 폭스바겐은 결국 2009년부터 생산된 디젤 차량 약 1,100만 대에 배기가스 조작 소프트웨어가 설치됐음을 인정했다. 이후 폭스바겐 주가는 급락했고, 연비조작 공모, 대기오염 규정 위반 등으로 고발당했다. 폭스바겐이 현재까지 지급한 피해보상금 및 벌금은 약 350억 달러(약 40조 원)에 달한다. 폭스바겐의 주가는 아직까지 2015년의 최고점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폭스바겐 그룹 CEO인 마틴 빈터콘은 이 사태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결국 폭스바겐은 ESG의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 등에서 모두 낙제점을 받게 된다. 2017년 이후 지난해까지 폭스바겐의 ESG 등급은 CCC를 기록 중이다. 올해 초에도 EU의 탄소배출량 기준을 채우지 못해 1억 유로나 되는 벌금을 부과 받았다. 대중의 신뢰를 되찾기 위한 노력 폭스바겐은 최근 ESG 경영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며, 기업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실 폭스바겐그룹의 국제지속가능성위원회는 2016년 9월 만들어졌다. 위원회는 비즈니스, 정치, 과학 및 사회의 저명한 전문가들로 구성됐고, 지속 가능한 이동성 및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및 업무, 디지털화의 미래 등을 위해 독립적인 행동을 보장 받으면서 광범위한 권리까지 부여됐다. 2020년 위원회는 그룹의 관리 이사회 및 직원, 대표들과 정기적으로 만나 활동을 모니터하고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환경적인 역할에서도 세계 선두의 모델로서 책임을 다한다는 입장이다. 폭스바겐은 늦어도 2050년까지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성명문을 발표했으며, 2015년 대비 2025년 배출량을 30%가량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럽 시장 내에서 전기차량 모델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리고, 2030년에는 전기차 판매량을 40%까지 증가시킬 계획이다. 또 폭스바겐은 차량에서 제조용 부품을 회수해 재사용하고 있다. 재생산 부품을 제공하는 최초의 자동차 제조업체인 폭스바겐은 순정 재생산 부품으로 에너지 소비를 33%,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8% 줄였다. ‘디젤 게이트’에서 벗어나기 위해 폭스바겐은 ‘Together4Integrity’를 내세워 소비자 신뢰 되찾기에 나섰다. 2018년 봄에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회사의 규정과 문화, 가치를 중점으로 정직한 기업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고안됐다. 또한 그룹 차원에서 직원들의 사회적 권리, 노사 관계에 관한 ‘비즈니스 인권 선언’을 진행하며, 국제 인권 헌장 및 국제 노동기구 (ILO)의 핵심 노동 기준을 준수해 비즈니스 운영을 구성하고, 보편적인 인권을 존중한다는 선언문도 발표했다. 여기에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기업의 책임이나 기회 균등 및 대우에 관한 행동강령 등이 담겼다. 이러한 내용은 모두 ‘2020 폭스바겐그룹 지속가능성 보고서’에서 소개됐다. 그룹의 국제적인 사회 환원 활동도 지속적이다. 2015 년부터 이 회사는 난민들을 위한 긴급 지원 관리, 언어 학습, 훈련 및 교육 지원, 독점 플랫폼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 제공을 진행하고 있다. 2018년에만 전 세계에서 지역 구조 개발, 건강, 교육, 스포츠 및 환경 보전을 포함한 문제를 다루는 5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2019년에는 아시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유럽, 남아메리카 등 다양한 국가에서 전 세계 7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일본에서는 4개, 한국에서는 총 11개 프로젝트를 시행 중이다. 국내 수행 프로젝트로는 차일드펀드와 함께 코로나 바이러스 비상 대응 및 포르쉐의 평등한 기회 프로젝트, 그린 기프트박스 아우디 지역 지원, 그린 스쿨 어웨이크 프로젝트, 포르쉐 드림서클, 청소년 교육 사업 자금 지원, 어반 비즈 서울 등이 알려져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최근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하 ‘노조’)이 파업을 결정한 배경에는 성과급 인상뿐만 아니라 전기차 개발에 따른 산업재편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우려도 깔려있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친환경 전기차 개발이 일자리에 미치는 악영향을 둘러싼 이슈가 다시 조명받고 있다.  노조가 파업 절차에 돌입한 이유로 그간 쌓인 성과급 불만을 전면에 내걸었지만 일자리 불안에 대한 선제적 대응도 파업 이유로 볼 수 있다는 게 분석의 핵심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설계와 엔지니어링이 더 단순하다. 또 들어가는 부품도 절반이 채 안 되고, 제작 시간도 30% 짧은 것으로 추정된다. 부품 조립의 자동화 수준도 높고, 유지관리가 덜 필요하다. 자동차업계가 전통적인 휘발유 엔진 차량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면서 대규모 일자리 감축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현대차 노조, 압도적 찬성으로 파업 결의  8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투표자 4만3117명 중 83.2%인 3만5854명이 '2021년 임단투 조합원 쟁의 행위 찬·반 투표'에서 '찬성'표를 던졌다고 7일 밝혔다. 투표율은 88.7%, 반대는 11.5%, 무효표는 5.3%였다. 노조는 향후 쟁의대책위원회를 소집해 파업 돌입 여부와 일정을 논의할 계획이다. 앞서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이 난항을 겪자 지난달 30일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에서 기본급 9만9000원 인상, 성과급 순이익의 30% 지급, 정년 65세 연장 등을 요구했다. 사측은 기본급 5만원 인상(호봉승급분 포함), 성과금 100%+300만원, 품질향상 격려금 200만원, 10만원 상당 복지 포인트 지급 등을 제시했으나 노조는 이를 거부했다. 전기차 비중 확대되며 자동차업계 일자리 감소 전망 현대·기아차 노조가 2019년 내놓은 '미래형 자동차 발전 동향과 노조의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신차 생산물량 중 전기차 비중이 2025년 15%, 2030년 25%로 늘어나면 현대차에서만 각각 최대 1629명(2025년), 2837명(2030년)의 인력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 역시 5월 발표한 '클린·전기·자율주행차 뒤의 저항할 수 없는 모멘텀'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자동차산업 구조 변화의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자동차 관련 일자리가 최대 25%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현재의 글로벌 전기차 점유율이 2030년 중국에서 45%, 유럽 50%, 미국 35% 등으로 뛸 것으로 보고 계산된 것이다. 종사자 수가 많은 판매·마케팅, 조립 분야는 인력이 줄어드는 반면 소프트웨어, 정보기술(IT), 데이터 분석 등의 분야에선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맥킨지는 일자리 감소 규모가 훨씬 큰 만큼 전체 일자리는 최대 25% 줄어들 수도 있다고 봤는데, 이를 국내 자동차산업에 적용하면 수십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는 계산이 나온다. 산업연구원도 내년에 국내 전기차 생산 비중이 10.5% 증가할 경우 자동차산업에서 4718명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우려로 완성차업계 노조는 정년 연장을 새로운 카드로 꺼내 들며 맞서왔다. 실제로 지난 3월 현대차와 기아, 한국GM 등 3사 노조가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의 안정적인 노후 보장을 위해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방안을 입법화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전기차 개발로 늘어나는 일자리보다 줄어드는 일자리 더 많을 수도  친환경 자동차 개발분야의 일자리가 당장 줄어들지는 않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도 그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2020년 미국의 전기차와 청정에너지 분야 상황을 분석한 <2021 클린 일자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선 전체 에너지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한 것과 달리 전기차 제조업 분야 일자리는 3% 가까운 증가세를 나타냈다. 전기 승용차, 트럭, 버스 등의 개발 인력이 늘어난 게 이유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차 분야 일자리만 놓고 보면, 지난해 전년대비 6%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어떤 청정에너지 분야보다도 많은 1만20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생겨났다. 하지만 한 해외 자동차 전문가는 "배터리와 전기모터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일자리가 늘더라도 이 분야에 필요한 일자리가 내연기관 개발과 생산 등에 필요한 일자리가 줄어드는 만큼 늘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자리 감소 우려 전 세계적 현상  전 세계 자동차업체들이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일자리 감소 우려도 세계 곳곳에서 커지고 있다.  GM은 2025년까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에 2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속했고, 2023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20종류의 새로운 전기차 출시 계획을 밝혔다. 포드 자동차 역시 2022년까지 전기차 개발에 110억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아직은 전기차가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판매가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가 전 세계 자동차 판매의 21% 이상을 차지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독일에서도 전기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2030년까지 자동차업계에서 수십 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걸로 추산하고 있다. 지난해 독일의 아우디는 전기차 전환 계획의 일환으로 전 세계에서 7500개의 일자리를 줄이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미국에서도 2019년 의회조사국(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은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일반 자동차 제조에는 2000개의 파워트레인 부품이 필요한 데 비해 전기 파워트레인은 고작 몇 개만 있으면 된다"면서, 이에 따라 내연기관 파워트레인 부품을 제조하는 약 15만 명의 미국 노동자들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LG전자가 11㎾ 출력 완속충전기와 175㎾ 급속충전기를 내년 상반기 미국에 출시하면서 미국 전기차 충전기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16일 LG전자에 따르면 11㎾ 완속충전기는 벽에 부착하거나 세우는 등의 방식으로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쇼핑몰이나 마트 등 충전기가 설치된 상업 공간의 전력 상황에 따라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부하관리솔루션이 탑재돼 전력 용량이 제한된 상황에서도 안정된 품질의 충전이 가능하다. 175㎾ 급속충전기는 미국 표준 충전 규격인 CCS1(Combined Charging System)과 테슬라의 NACS(North American Charging Standard)를 동시 지원해 고객 편의를 높인다. 충전기 외부에는 충전 현황을 확인하고 광고를 통한 추가 수익 기회를 제공하는 터치 디스플레이가 탑재된다. LG전자는 내년 하반기에는 상업용·장거리 이동에 적합한 급속충전기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지난 2018년 전기차 충전 솔루션 선행 개발을 시작해 2022년 충전기 핵심기술을 보유한 애플망고(현 하이비차저)를 인수하며 충전기 개발·생산능력을 내재화했다. 현재 7㎾ 완속충전기와 100㎾·200㎾ 급속충전기 등 4종을 생산해 이마트 등에 공급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프로그램(NEVI)‘의 일환으로 지난해부터 5년간 50억달러를 투자해 2030년까지 미국 전역에 전기차 충전소 50만곳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LG전자 EV충전사업담당 서흥규 상무는 "안정된 품질의 다양한 전기차 충전기 제품과 차별화된 충전 솔루션을 공급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미국 전기차 충전기 시장 수요에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전기차 시장 경쟁에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는 일본의 자동차 업계가 본격 경쟁에 뛰어들기 위해 가속페달을 밟고 있다. 전기차 생산 확대에 속도를 내 그동안의 부진을 서둘러 만회하겠다는 것이다.  일본 자동차 업체들까지 전기차 생산량을 늘릴 경우 가격 하락 경쟁이 더 치열해지고, 내연기관 엔진으로부터의 전환 속도가 빨라지면서 결국 소비자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자동차 판매 1위 도요타는 최근 10종의 새로운 전기차 모델을 출시하고 전기차 생산량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2026년까지 전기차 생산량을 150만 대로, 2030년까지는 350만 대로 늘린다는 포부다. 도요타에 배터리를 공급해주는 프라임플래닛에너지앤솔루션(Prime Planet Energy & Solutions)은 이 같은 일정에 맞춰 배터리 생산량을 크게 늘릴 계획이다. 이 회사는 도요타와 파나소닉이 각각 51,49% 지분을 보유한 합작회사로, 테슬라 전기차에도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도요타보다 1년 앞선 2021년에 첫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를 선보인 현대차그룹의 2030년 전기차 판매 목표는 364만 대로 도요타의 판매 목표와 비슷하다. 현대차그룹은 현재 아이오닉5와 6, EV6, 제네시스 GV60까지 4종의 전기차를 판매 중이며 이번 달 3일부터 국내에서 사전 계약을 실시한 EV9까지 포함하면 5종의 라인업을 갖추게 된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에 도요타보다 20종 이상 많은 총 31종 전기차 라인업 구축을 목표로 잡았다. 도요타, 전기차 생산 및 판매 모두 늘린다  도요타의 경우 지난 회계연도(올 3월 종료) 중에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 비중이 전체 판매량의 27%를 차지했다. 하지만 이 차량 대부분이 100% 하이브리드 차량이라 여전히 내연 엔진에 의존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배터리를 주요 동력원으로 쓰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이 판매량은 이 중 일부에 불과하다. 외신 보도를 종합해 보면 도요타는 고급 브랜드인 렉서스까지 포함해서 불과 3종의 전기차 모델만 판매 중이며, 지난해에는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2만 5,000대도 채 안 된다. 지난달에야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에서 판매할 첫 전기차 세단 주문을 받기 시작했을 정도다. 상황이 이렇기 때문에 도요타가 투자자와 환경단체들로부터 테슬라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기차 시장 진입이 늦고 있다는 비난을 받아온 것도 놀랄 일도 아니다. 지난해 11월 기업의 비즈니스와 재정이 기후위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데이터와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인플루언스맵(InfluenceMap)은 ‘기후정책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세계 10대 기업’에서 도요타를 10위에 올려놓기도 했다. 하지만 존 포데스타(John Podesta) 백악관 고문은 2일 도요타 경영진과 회담 후 “도요타가 전기차 시장의 후발주자였지만 이제는 이 분야에서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로이터에 “도요타가 당분간 다른 기업들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오랫동안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생산을 고집하겠지만 전기화에도 매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혼다, 2040년까지 전기차로 완전 전환 계획  혼다도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달 26일 혼다는 2040년까지 전체 자동차 생산라인을 전기차와 수소연료전기차(FCEV)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또 2030년까지 매년 200만 대가 넘는 전기차를 생산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혼다는 이틀 뒤인 28일에는 일본 배터리 제조사인 GS유아사(GS Yuasa)와 일본 경제산업성(METI)과 함께 일본 내에서 새로운 리튬이온 배터리 공장 건립을 위해 4,340억 엔(약 4.2조 원)을 공동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중 35%는 일본 정부로부터 보조를 받는다. 생산 목표 시기는 2027년이다. 이보다 보름 전인 11일에는 포스코그룹과 ‘전기차 사업에 대한 포괄적인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기존 철강 부문 협력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이차전지 소재 부문에서도 새로운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자동차 통계 사이트인 F&I툴스(F&I Tools)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세계 자동차 판매 1위는 도요타고, 혼다와 닛산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2위는 폭스바겐이고 현대차그룹의 순위는 3위다. 하지만 데이터 분석기관인 비주얼캐피탈리스트의 자료(아래 표)를 보면, 일본 자동차 중에서 세계 전기차 생산량 순위 15위 안에 이름을 올린 건 닛산 한 곳에 불과하다. 닛산은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를 통해 이같이 순위에 오를 수 있었는데, 그래 봤자 순위는 10위에 턱걸이했다. 판매량은 판매 순위 1위인 중국 비야디(BYD)의 5분의 1도 채 안 된다. 지난해 세계 전기차 생산량 순위 2위는 테슬라이고 현대차그룹은 6위였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6
기업·거버넌스
제로배출 도전하는 택배차량...페덱스, 전기트럭 120대 주문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short
3-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최근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하 ‘노조’)이 파업을 결정한 배경에는 성과급 인상뿐만 아니라 전기차 개발에 따른 산업재편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우려도 깔려있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친환경 전기차 개발이 일자리에 미치는 악영향을 둘러싼 이슈가 다시 조명받고 있다.  노조가 파업 절차에 돌입한 이유로 그간 쌓인 성과급 불만을 전면에 내걸었지만 일자리 불안에 대한 선제적 대응도 파업 이유로 볼 수 있다는 게 분석의 핵심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설계와 엔지니어링이 더 단순하다. 또 들어가는 부품도 절반이 채 안 되고, 제작 시간도 30% 짧은 것으로 추정된다. 부품 조립의 자동화 수준도 높고, 유지관리가 덜 필요하다. 자동차업계가 전통적인 휘발유 엔진 차량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면서 대규모 일자리 감축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현대차 노조, 압도적 찬성으로 파업 결의  8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투표자 4만3117명 중 83.2%인 3만5854명이 '2021년 임단투 조합원 쟁의 행위 찬·반 투표'에서 '찬성'표를 던졌다고 7일 밝혔다. 투표율은 88.7%, 반대는 11.5%, 무효표는 5.3%였다. 노조는 향후 쟁의대책위원회를 소집해 파업 돌입 여부와 일정을 논의할 계획이다. 앞서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이 난항을 겪자 지난달 30일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에서 기본급 9만9000원 인상, 성과급 순이익의 30% 지급, 정년 65세 연장 등을 요구했다. 사측은 기본급 5만원 인상(호봉승급분 포함), 성과금 100%+300만원, 품질향상 격려금 200만원, 10만원 상당 복지 포인트 지급 등을 제시했으나 노조는 이를 거부했다. 전기차 비중 확대되며 자동차업계 일자리 감소 전망 현대·기아차 노조가 2019년 내놓은 '미래형 자동차 발전 동향과 노조의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신차 생산물량 중 전기차 비중이 2025년 15%, 2030년 25%로 늘어나면 현대차에서만 각각 최대 1629명(2025년), 2837명(2030년)의 인력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 역시 5월 발표한 '클린·전기·자율주행차 뒤의 저항할 수 없는 모멘텀'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자동차산업 구조 변화의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자동차 관련 일자리가 최대 25%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현재의 글로벌 전기차 점유율이 2030년 중국에서 45%, 유럽 50%, 미국 35% 등으로 뛸 것으로 보고 계산된 것이다. 종사자 수가 많은 판매·마케팅, 조립 분야는 인력이 줄어드는 반면 소프트웨어, 정보기술(IT), 데이터 분석 등의 분야에선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맥킨지는 일자리 감소 규모가 훨씬 큰 만큼 전체 일자리는 최대 25% 줄어들 수도 있다고 봤는데, 이를 국내 자동차산업에 적용하면 수십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는 계산이 나온다. 산업연구원도 내년에 국내 전기차 생산 비중이 10.5% 증가할 경우 자동차산업에서 4718명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우려로 완성차업계 노조는 정년 연장을 새로운 카드로 꺼내 들며 맞서왔다. 실제로 지난 3월 현대차와 기아, 한국GM 등 3사 노조가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의 안정적인 노후 보장을 위해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방안을 입법화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전기차 개발로 늘어나는 일자리보다 줄어드는 일자리 더 많을 수도  친환경 자동차 개발분야의 일자리가 당장 줄어들지는 않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도 그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2020년 미국의 전기차와 청정에너지 분야 상황을 분석한 <2021 클린 일자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선 전체 에너지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한 것과 달리 전기차 제조업 분야 일자리는 3% 가까운 증가세를 나타냈다. 전기 승용차, 트럭, 버스 등의 개발 인력이 늘어난 게 이유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차 분야 일자리만 놓고 보면, 지난해 전년대비 6%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어떤 청정에너지 분야보다도 많은 1만20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생겨났다. 하지만 한 해외 자동차 전문가는 "배터리와 전기모터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일자리가 늘더라도 이 분야에 필요한 일자리가 내연기관 개발과 생산 등에 필요한 일자리가 줄어드는 만큼 늘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자리 감소 우려 전 세계적 현상  전 세계 자동차업체들이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일자리 감소 우려도 세계 곳곳에서 커지고 있다.  GM은 2025년까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에 2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속했고, 2023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20종류의 새로운 전기차 출시 계획을 밝혔다. 포드 자동차 역시 2022년까지 전기차 개발에 110억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아직은 전기차가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판매가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가 전 세계 자동차 판매의 21% 이상을 차지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독일에서도 전기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2030년까지 자동차업계에서 수십 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걸로 추산하고 있다. 지난해 독일의 아우디는 전기차 전환 계획의 일환으로 전 세계에서 7500개의 일자리를 줄이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미국에서도 2019년 의회조사국(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은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일반 자동차 제조에는 2000개의 파워트레인 부품이 필요한 데 비해 전기 파워트레인은 고작 몇 개만 있으면 된다"면서, 이에 따라 내연기관 파워트레인 부품을 제조하는 약 15만 명의 미국 노동자들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폭스바겐이 최근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으로 경제적, 사회적, 생태적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면서 지속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좋은 근무 조건을 제공하며, 자원과 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탄소 배출 문제와 관련해, 여러 표준에 부합하지 못했던 이른바 '디젤 게이트'에 대한 반성문이자 도전이다. 두 배 더 노력해야 하는 CCC등급 폭스바겐의 ESG 역사를 설명하자면, 차량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지 않을 수 없다. 2000년대에 들어서며 친환경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차량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폭스바겐의 주 판매처인 유럽이나 미국은 0.080g/km의 엄격한 기준을 설정했다. 이에 대응해 폭스바겐은 자사의 디젤 차량을 '클린 디젤', '친환경 차량'이라고 광고하며 이미지를 구축했다. 덕분에 2010년대 초반까지 EU 내 신규 등록 차량 중 디젤 차량의 비율이 50%를 넘어설 정도로 디젤 차량 판매량은 급증했다 하지만 미국 비영리환경단체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가 폭스바겐 제타, 파사트, BMW X5 등 디젤 엔진 차량의 실외 주행 테스트 결과, 폭스바겐 차량은 공식 테스트 대비 40배, 미국 기준치 대비 30배가 넘는 배기가스를 배출한다고 밝혀졌다. 이후 미국 환경보호국의 조사에 따라 폭스바겐이 전자제어장치(ECU) 프로그램을 조작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배기가스 인증 시험 시 실내에서 차내 동력계 장치를 이용해 '배기가스 검사 중'으로 조작해 가스 배출량을 억제하도록 만든 것이다. 조작이 밝혀진 후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영국, 프랑스, 캐나다, 독일 등 많은 국가에서 덩달아 조사에 나섰고, 폭스바겐은 결국 2009년부터 생산된 디젤 차량 약 1,100만 대에 배기가스 조작 소프트웨어가 설치됐음을 인정했다. 이후 폭스바겐 주가는 급락했고, 연비조작 공모, 대기오염 규정 위반 등으로 고발당했다. 폭스바겐이 현재까지 지급한 피해보상금 및 벌금은 약 350억 달러(약 40조 원)에 달한다. 폭스바겐의 주가는 아직까지 2015년의 최고점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폭스바겐 그룹 CEO인 마틴 빈터콘은 이 사태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결국 폭스바겐은 ESG의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 등에서 모두 낙제점을 받게 된다. 2017년 이후 지난해까지 폭스바겐의 ESG 등급은 CCC를 기록 중이다. 올해 초에도 EU의 탄소배출량 기준을 채우지 못해 1억 유로나 되는 벌금을 부과 받았다. 대중의 신뢰를 되찾기 위한 노력 폭스바겐은 최근 ESG 경영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며, 기업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실 폭스바겐그룹의 국제지속가능성위원회는 2016년 9월 만들어졌다. 위원회는 비즈니스, 정치, 과학 및 사회의 저명한 전문가들로 구성됐고, 지속 가능한 이동성 및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및 업무, 디지털화의 미래 등을 위해 독립적인 행동을 보장 받으면서 광범위한 권리까지 부여됐다. 2020년 위원회는 그룹의 관리 이사회 및 직원, 대표들과 정기적으로 만나 활동을 모니터하고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환경적인 역할에서도 세계 선두의 모델로서 책임을 다한다는 입장이다. 폭스바겐은 늦어도 2050년까지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성명문을 발표했으며, 2015년 대비 2025년 배출량을 30%가량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럽 시장 내에서 전기차량 모델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리고, 2030년에는 전기차 판매량을 40%까지 증가시킬 계획이다. 또 폭스바겐은 차량에서 제조용 부품을 회수해 재사용하고 있다. 재생산 부품을 제공하는 최초의 자동차 제조업체인 폭스바겐은 순정 재생산 부품으로 에너지 소비를 33%,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8% 줄였다. ‘디젤 게이트’에서 벗어나기 위해 폭스바겐은 ‘Together4Integrity’를 내세워 소비자 신뢰 되찾기에 나섰다. 2018년 봄에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회사의 규정과 문화, 가치를 중점으로 정직한 기업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고안됐다. 또한 그룹 차원에서 직원들의 사회적 권리, 노사 관계에 관한 ‘비즈니스 인권 선언’을 진행하며, 국제 인권 헌장 및 국제 노동기구 (ILO)의 핵심 노동 기준을 준수해 비즈니스 운영을 구성하고, 보편적인 인권을 존중한다는 선언문도 발표했다. 여기에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기업의 책임이나 기회 균등 및 대우에 관한 행동강령 등이 담겼다. 이러한 내용은 모두 ‘2020 폭스바겐그룹 지속가능성 보고서’에서 소개됐다. 그룹의 국제적인 사회 환원 활동도 지속적이다. 2015 년부터 이 회사는 난민들을 위한 긴급 지원 관리, 언어 학습, 훈련 및 교육 지원, 독점 플랫폼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 제공을 진행하고 있다. 2018년에만 전 세계에서 지역 구조 개발, 건강, 교육, 스포츠 및 환경 보전을 포함한 문제를 다루는 5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2019년에는 아시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유럽, 남아메리카 등 다양한 국가에서 전 세계 7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일본에서는 4개, 한국에서는 총 11개 프로젝트를 시행 중이다. 국내 수행 프로젝트로는 차일드펀드와 함께 코로나 바이러스 비상 대응 및 포르쉐의 평등한 기회 프로젝트, 그린 기프트박스 아우디 지역 지원, 그린 스쿨 어웨이크 프로젝트, 포르쉐 드림서클, 청소년 교육 사업 자금 지원, 어반 비즈 서울 등이 알려져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기업들이 업무용 차량을 환경 오염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전기차로 대체하는 친환경 캠페인에 적극 나서고 있다. 기업들은 이를 통해 비용도 절감하는 '1석 2조'의 효과를 내겠다는 계산이다. 특히 업무용차량으로 경차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소형 SUV 등으로 대체 시 영업사원의 만족도와 안전성도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계에서 롯데가 가장 적극적 전기차 교체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롯데다. 최근 롯데그룹 계열사들은 국내 제과·식품·면세업계 최초로 친환경 전기차 전환을 선언하며 탄소배출 저감 활동을 적극 실천하고 있다. 롯데제과는 10일 약 300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5년까지 현재 사용중인 모든 빙과 영업 판매차량을 친환경 전기차로 교체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냉동 탑차 350대와 업무용 승용차 217대가 전기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올해에만 64억원을 투입해 탑차 20대, 승용차 114대를 들여온다는 구상이다. 롯데면세점은 탄소 배출 저감 활동의 일환으로 보세운송 차량에 친환경 전기차를 도입했다. 회사 측은 전기차의 보세운송 시범 운행을 실시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개선 작업을 거쳐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2022년까지는 운행 중인 보세운송 1톤 디젤 차량 13대 전부를 100% 전기차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 영종도에 위치한 통합물류센터 내 전기차 충전소도 별도로 설치할 예정이다. 롯데푸드도 전체 영업사원에게 업무용 친환경 전기차 약 380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 이번 도입에 멈추지 않고 빙과 배송차량의 친환경 전기차 전환도 검토하고 있다. 냉동 설비 운영 등 빙과 관리 조건에 문제가 없는지도 종합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유통·은행·제약 업계 등 전방위로 전기차 교체 ‘붐’ 편의점업계에서 BGF리테일이 앞장서고 있다. 이에 CU는 지난 4월부터 기아의 봉고 EV 모델을 점포 배송 차량으로 도입했다. CU는 올해 하반기까지 시범 운영을 거친 후 물류 효율 등을 검토해 확대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신세계그룹 통합 온라인몰인 SSG닷컴은 지난해 말부터 현대글로비스와 손잡고 콜드체인(저온유통 시스템)을 갖춘 전기 배송차를 도입해 시범 운영 중이다. 쿠팡은 앞서 2019년부터 일찌감치 대구 배송 캠프에 충전소를 설치하고 전기 쿠팡카 시범 서비스를 운영했다. 도 CJ대한통운은 지난달 친환경 경영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운영 중인 모든 차량을 전기·수소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오는 2030년까지 3만여 대의 차량을 친환경차로 교체하는 것이 목표다. 제약업계에서도 친환경 차량 교체 바람이 불고 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도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동아쏘시오그룹 업무용 차량을 친환경 차량으로 전면 교체하기로 했다. 회사 측은 친환경 차량 전면 교체를 위한 5개년 계획도 수립했다. 이번 친환경 차량 교체에는 동아쏘시오홀딩스를 비롯해 동아ST, 동아제약, 동아오츠카, 용마로지스, 수석 등 동아쏘시오그룹의 모든 그룹사가 동참하며, 업무용 차량을 연도별 교체주기에 따라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이 밖에 은행권에선 신한금융이 오는 2030년까지 업무용 차량 6만여대를 친환경 무공해 차량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친환경차 판매 세계적 호황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다소 침체된 자동차 시장 상황에서도 친환경차 판매는 세계적으로 호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등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내 완성차와 수입차 업체들이 내수 시장에 판매한 친환경차는 총 9만4198대로 전년 동기 대비 74.9% 급증했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 이어지면 올해 친환경차 규모가 40만대에 다가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연간 친환경차 판매량은 22만6668대였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6
기업·거버넌스
제로배출 도전하는 택배차량...페덱스, 전기트럭 120대 주문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short
3-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기업들이 업무용 차량을 환경 오염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전기차로 대체하는 친환경 캠페인에 적극 나서고 있다. 기업들은 이를 통해 비용도 절감하는 '1석 2조'의 효과를 내겠다는 계산이다. 특히 업무용차량으로 경차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소형 SUV 등으로 대체 시 영업사원의 만족도와 안전성도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계에서 롯데가 가장 적극적 전기차 교체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롯데다. 최근 롯데그룹 계열사들은 국내 제과·식품·면세업계 최초로 친환경 전기차 전환을 선언하며 탄소배출 저감 활동을 적극 실천하고 있다. 롯데제과는 10일 약 300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5년까지 현재 사용중인 모든 빙과 영업 판매차량을 친환경 전기차로 교체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냉동 탑차 350대와 업무용 승용차 217대가 전기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올해에만 64억원을 투입해 탑차 20대, 승용차 114대를 들여온다는 구상이다. 롯데면세점은 탄소 배출 저감 활동의 일환으로 보세운송 차량에 친환경 전기차를 도입했다. 회사 측은 전기차의 보세운송 시범 운행을 실시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개선 작업을 거쳐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2022년까지는 운행 중인 보세운송 1톤 디젤 차량 13대 전부를 100% 전기차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 영종도에 위치한 통합물류센터 내 전기차 충전소도 별도로 설치할 예정이다. 롯데푸드도 전체 영업사원에게 업무용 친환경 전기차 약 380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 이번 도입에 멈추지 않고 빙과 배송차량의 친환경 전기차 전환도 검토하고 있다. 냉동 설비 운영 등 빙과 관리 조건에 문제가 없는지도 종합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유통·은행·제약 업계 등 전방위로 전기차 교체 ‘붐’ 편의점업계에서 BGF리테일이 앞장서고 있다. 이에 CU는 지난 4월부터 기아의 봉고 EV 모델을 점포 배송 차량으로 도입했다. CU는 올해 하반기까지 시범 운영을 거친 후 물류 효율 등을 검토해 확대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신세계그룹 통합 온라인몰인 SSG닷컴은 지난해 말부터 현대글로비스와 손잡고 콜드체인(저온유통 시스템)을 갖춘 전기 배송차를 도입해 시범 운영 중이다. 쿠팡은 앞서 2019년부터 일찌감치 대구 배송 캠프에 충전소를 설치하고 전기 쿠팡카 시범 서비스를 운영했다. 도 CJ대한통운은 지난달 친환경 경영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운영 중인 모든 차량을 전기·수소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오는 2030년까지 3만여 대의 차량을 친환경차로 교체하는 것이 목표다. 제약업계에서도 친환경 차량 교체 바람이 불고 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도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동아쏘시오그룹 업무용 차량을 친환경 차량으로 전면 교체하기로 했다. 회사 측은 친환경 차량 전면 교체를 위한 5개년 계획도 수립했다. 이번 친환경 차량 교체에는 동아쏘시오홀딩스를 비롯해 동아ST, 동아제약, 동아오츠카, 용마로지스, 수석 등 동아쏘시오그룹의 모든 그룹사가 동참하며, 업무용 차량을 연도별 교체주기에 따라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이 밖에 은행권에선 신한금융이 오는 2030년까지 업무용 차량 6만여대를 친환경 무공해 차량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친환경차 판매 세계적 호황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다소 침체된 자동차 시장 상황에서도 친환경차 판매는 세계적으로 호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등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내 완성차와 수입차 업체들이 내수 시장에 판매한 친환경차는 총 9만4198대로 전년 동기 대비 74.9% 급증했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 이어지면 올해 친환경차 규모가 40만대에 다가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연간 친환경차 판매량은 22만6668대였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폭스바겐이 최근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으로 경제적, 사회적, 생태적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면서 지속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좋은 근무 조건을 제공하며, 자원과 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탄소 배출 문제와 관련해, 여러 표준에 부합하지 못했던 이른바 '디젤 게이트'에 대한 반성문이자 도전이다. 두 배 더 노력해야 하는 CCC등급 폭스바겐의 ESG 역사를 설명하자면, 차량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지 않을 수 없다. 2000년대에 들어서며 친환경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차량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폭스바겐의 주 판매처인 유럽이나 미국은 0.080g/km의 엄격한 기준을 설정했다. 이에 대응해 폭스바겐은 자사의 디젤 차량을 '클린 디젤', '친환경 차량'이라고 광고하며 이미지를 구축했다. 덕분에 2010년대 초반까지 EU 내 신규 등록 차량 중 디젤 차량의 비율이 50%를 넘어설 정도로 디젤 차량 판매량은 급증했다 하지만 미국 비영리환경단체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가 폭스바겐 제타, 파사트, BMW X5 등 디젤 엔진 차량의 실외 주행 테스트 결과, 폭스바겐 차량은 공식 테스트 대비 40배, 미국 기준치 대비 30배가 넘는 배기가스를 배출한다고 밝혀졌다. 이후 미국 환경보호국의 조사에 따라 폭스바겐이 전자제어장치(ECU) 프로그램을 조작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배기가스 인증 시험 시 실내에서 차내 동력계 장치를 이용해 '배기가스 검사 중'으로 조작해 가스 배출량을 억제하도록 만든 것이다. 조작이 밝혀진 후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영국, 프랑스, 캐나다, 독일 등 많은 국가에서 덩달아 조사에 나섰고, 폭스바겐은 결국 2009년부터 생산된 디젤 차량 약 1,100만 대에 배기가스 조작 소프트웨어가 설치됐음을 인정했다. 이후 폭스바겐 주가는 급락했고, 연비조작 공모, 대기오염 규정 위반 등으로 고발당했다. 폭스바겐이 현재까지 지급한 피해보상금 및 벌금은 약 350억 달러(약 40조 원)에 달한다. 폭스바겐의 주가는 아직까지 2015년의 최고점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폭스바겐 그룹 CEO인 마틴 빈터콘은 이 사태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결국 폭스바겐은 ESG의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 등에서 모두 낙제점을 받게 된다. 2017년 이후 지난해까지 폭스바겐의 ESG 등급은 CCC를 기록 중이다. 올해 초에도 EU의 탄소배출량 기준을 채우지 못해 1억 유로나 되는 벌금을 부과 받았다. 대중의 신뢰를 되찾기 위한 노력 폭스바겐은 최근 ESG 경영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며, 기업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실 폭스바겐그룹의 국제지속가능성위원회는 2016년 9월 만들어졌다. 위원회는 비즈니스, 정치, 과학 및 사회의 저명한 전문가들로 구성됐고, 지속 가능한 이동성 및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및 업무, 디지털화의 미래 등을 위해 독립적인 행동을 보장 받으면서 광범위한 권리까지 부여됐다. 2020년 위원회는 그룹의 관리 이사회 및 직원, 대표들과 정기적으로 만나 활동을 모니터하고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환경적인 역할에서도 세계 선두의 모델로서 책임을 다한다는 입장이다. 폭스바겐은 늦어도 2050년까지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성명문을 발표했으며, 2015년 대비 2025년 배출량을 30%가량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럽 시장 내에서 전기차량 모델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리고, 2030년에는 전기차 판매량을 40%까지 증가시킬 계획이다. 또 폭스바겐은 차량에서 제조용 부품을 회수해 재사용하고 있다. 재생산 부품을 제공하는 최초의 자동차 제조업체인 폭스바겐은 순정 재생산 부품으로 에너지 소비를 33%,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8% 줄였다. ‘디젤 게이트’에서 벗어나기 위해 폭스바겐은 ‘Together4Integrity’를 내세워 소비자 신뢰 되찾기에 나섰다. 2018년 봄에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회사의 규정과 문화, 가치를 중점으로 정직한 기업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고안됐다. 또한 그룹 차원에서 직원들의 사회적 권리, 노사 관계에 관한 ‘비즈니스 인권 선언’을 진행하며, 국제 인권 헌장 및 국제 노동기구 (ILO)의 핵심 노동 기준을 준수해 비즈니스 운영을 구성하고, 보편적인 인권을 존중한다는 선언문도 발표했다. 여기에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기업의 책임이나 기회 균등 및 대우에 관한 행동강령 등이 담겼다. 이러한 내용은 모두 ‘2020 폭스바겐그룹 지속가능성 보고서’에서 소개됐다. 그룹의 국제적인 사회 환원 활동도 지속적이다. 2015 년부터 이 회사는 난민들을 위한 긴급 지원 관리, 언어 학습, 훈련 및 교육 지원, 독점 플랫폼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 제공을 진행하고 있다. 2018년에만 전 세계에서 지역 구조 개발, 건강, 교육, 스포츠 및 환경 보전을 포함한 문제를 다루는 5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2019년에는 아시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유럽, 남아메리카 등 다양한 국가에서 전 세계 7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일본에서는 4개, 한국에서는 총 11개 프로젝트를 시행 중이다. 국내 수행 프로젝트로는 차일드펀드와 함께 코로나 바이러스 비상 대응 및 포르쉐의 평등한 기회 프로젝트, 그린 기프트박스 아우디 지역 지원, 그린 스쿨 어웨이크 프로젝트, 포르쉐 드림서클, 청소년 교육 사업 자금 지원, 어반 비즈 서울 등이 알려져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최근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하 ‘노조’)이 파업을 결정한 배경에는 성과급 인상뿐만 아니라 전기차 개발에 따른 산업재편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우려도 깔려있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친환경 전기차 개발이 일자리에 미치는 악영향을 둘러싼 이슈가 다시 조명받고 있다.  노조가 파업 절차에 돌입한 이유로 그간 쌓인 성과급 불만을 전면에 내걸었지만 일자리 불안에 대한 선제적 대응도 파업 이유로 볼 수 있다는 게 분석의 핵심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설계와 엔지니어링이 더 단순하다. 또 들어가는 부품도 절반이 채 안 되고, 제작 시간도 30% 짧은 것으로 추정된다. 부품 조립의 자동화 수준도 높고, 유지관리가 덜 필요하다. 자동차업계가 전통적인 휘발유 엔진 차량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면서 대규모 일자리 감축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현대차 노조, 압도적 찬성으로 파업 결의  8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투표자 4만3117명 중 83.2%인 3만5854명이 '2021년 임단투 조합원 쟁의 행위 찬·반 투표'에서 '찬성'표를 던졌다고 7일 밝혔다. 투표율은 88.7%, 반대는 11.5%, 무효표는 5.3%였다. 노조는 향후 쟁의대책위원회를 소집해 파업 돌입 여부와 일정을 논의할 계획이다. 앞서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이 난항을 겪자 지난달 30일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에서 기본급 9만9000원 인상, 성과급 순이익의 30% 지급, 정년 65세 연장 등을 요구했다. 사측은 기본급 5만원 인상(호봉승급분 포함), 성과금 100%+300만원, 품질향상 격려금 200만원, 10만원 상당 복지 포인트 지급 등을 제시했으나 노조는 이를 거부했다. 전기차 비중 확대되며 자동차업계 일자리 감소 전망 현대·기아차 노조가 2019년 내놓은 '미래형 자동차 발전 동향과 노조의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신차 생산물량 중 전기차 비중이 2025년 15%, 2030년 25%로 늘어나면 현대차에서만 각각 최대 1629명(2025년), 2837명(2030년)의 인력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 역시 5월 발표한 '클린·전기·자율주행차 뒤의 저항할 수 없는 모멘텀'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자동차산업 구조 변화의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자동차 관련 일자리가 최대 25%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현재의 글로벌 전기차 점유율이 2030년 중국에서 45%, 유럽 50%, 미국 35% 등으로 뛸 것으로 보고 계산된 것이다. 종사자 수가 많은 판매·마케팅, 조립 분야는 인력이 줄어드는 반면 소프트웨어, 정보기술(IT), 데이터 분석 등의 분야에선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맥킨지는 일자리 감소 규모가 훨씬 큰 만큼 전체 일자리는 최대 25% 줄어들 수도 있다고 봤는데, 이를 국내 자동차산업에 적용하면 수십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는 계산이 나온다. 산업연구원도 내년에 국내 전기차 생산 비중이 10.5% 증가할 경우 자동차산업에서 4718명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우려로 완성차업계 노조는 정년 연장을 새로운 카드로 꺼내 들며 맞서왔다. 실제로 지난 3월 현대차와 기아, 한국GM 등 3사 노조가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의 안정적인 노후 보장을 위해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방안을 입법화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전기차 개발로 늘어나는 일자리보다 줄어드는 일자리 더 많을 수도  친환경 자동차 개발분야의 일자리가 당장 줄어들지는 않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도 그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2020년 미국의 전기차와 청정에너지 분야 상황을 분석한 <2021 클린 일자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선 전체 에너지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한 것과 달리 전기차 제조업 분야 일자리는 3% 가까운 증가세를 나타냈다. 전기 승용차, 트럭, 버스 등의 개발 인력이 늘어난 게 이유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차 분야 일자리만 놓고 보면, 지난해 전년대비 6%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어떤 청정에너지 분야보다도 많은 1만20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생겨났다. 하지만 한 해외 자동차 전문가는 "배터리와 전기모터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일자리가 늘더라도 이 분야에 필요한 일자리가 내연기관 개발과 생산 등에 필요한 일자리가 줄어드는 만큼 늘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자리 감소 우려 전 세계적 현상  전 세계 자동차업체들이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일자리 감소 우려도 세계 곳곳에서 커지고 있다.  GM은 2025년까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에 2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속했고, 2023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20종류의 새로운 전기차 출시 계획을 밝혔다. 포드 자동차 역시 2022년까지 전기차 개발에 110억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아직은 전기차가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판매가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가 전 세계 자동차 판매의 21% 이상을 차지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독일에서도 전기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2030년까지 자동차업계에서 수십 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걸로 추산하고 있다. 지난해 독일의 아우디는 전기차 전환 계획의 일환으로 전 세계에서 7500개의 일자리를 줄이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미국에서도 2019년 의회조사국(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은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일반 자동차 제조에는 2000개의 파워트레인 부품이 필요한 데 비해 전기 파워트레인은 고작 몇 개만 있으면 된다"면서, 이에 따라 내연기관 파워트레인 부품을 제조하는 약 15만 명의 미국 노동자들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6
기업·거버넌스
제로배출 도전하는 택배차량...페덱스, 전기트럭 120대 주문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short
3-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기업들이 업무용 차량을 환경 오염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전기차로 대체하는 친환경 캠페인에 적극 나서고 있다. 기업들은 이를 통해 비용도 절감하는 '1석 2조'의 효과를 내겠다는 계산이다. 특히 업무용차량으로 경차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소형 SUV 등으로 대체 시 영업사원의 만족도와 안전성도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계에서 롯데가 가장 적극적 전기차 교체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롯데다. 최근 롯데그룹 계열사들은 국내 제과·식품·면세업계 최초로 친환경 전기차 전환을 선언하며 탄소배출 저감 활동을 적극 실천하고 있다. 롯데제과는 10일 약 300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5년까지 현재 사용중인 모든 빙과 영업 판매차량을 친환경 전기차로 교체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냉동 탑차 350대와 업무용 승용차 217대가 전기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올해에만 64억원을 투입해 탑차 20대, 승용차 114대를 들여온다는 구상이다. 롯데면세점은 탄소 배출 저감 활동의 일환으로 보세운송 차량에 친환경 전기차를 도입했다. 회사 측은 전기차의 보세운송 시범 운행을 실시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개선 작업을 거쳐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2022년까지는 운행 중인 보세운송 1톤 디젤 차량 13대 전부를 100% 전기차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 영종도에 위치한 통합물류센터 내 전기차 충전소도 별도로 설치할 예정이다. 롯데푸드도 전체 영업사원에게 업무용 친환경 전기차 약 380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 이번 도입에 멈추지 않고 빙과 배송차량의 친환경 전기차 전환도 검토하고 있다. 냉동 설비 운영 등 빙과 관리 조건에 문제가 없는지도 종합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유통·은행·제약 업계 등 전방위로 전기차 교체 ‘붐’ 편의점업계에서 BGF리테일이 앞장서고 있다. 이에 CU는 지난 4월부터 기아의 봉고 EV 모델을 점포 배송 차량으로 도입했다. CU는 올해 하반기까지 시범 운영을 거친 후 물류 효율 등을 검토해 확대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신세계그룹 통합 온라인몰인 SSG닷컴은 지난해 말부터 현대글로비스와 손잡고 콜드체인(저온유통 시스템)을 갖춘 전기 배송차를 도입해 시범 운영 중이다. 쿠팡은 앞서 2019년부터 일찌감치 대구 배송 캠프에 충전소를 설치하고 전기 쿠팡카 시범 서비스를 운영했다. 도 CJ대한통운은 지난달 친환경 경영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운영 중인 모든 차량을 전기·수소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오는 2030년까지 3만여 대의 차량을 친환경차로 교체하는 것이 목표다. 제약업계에서도 친환경 차량 교체 바람이 불고 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도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동아쏘시오그룹 업무용 차량을 친환경 차량으로 전면 교체하기로 했다. 회사 측은 친환경 차량 전면 교체를 위한 5개년 계획도 수립했다. 이번 친환경 차량 교체에는 동아쏘시오홀딩스를 비롯해 동아ST, 동아제약, 동아오츠카, 용마로지스, 수석 등 동아쏘시오그룹의 모든 그룹사가 동참하며, 업무용 차량을 연도별 교체주기에 따라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이 밖에 은행권에선 신한금융이 오는 2030년까지 업무용 차량 6만여대를 친환경 무공해 차량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친환경차 판매 세계적 호황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다소 침체된 자동차 시장 상황에서도 친환경차 판매는 세계적으로 호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등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내 완성차와 수입차 업체들이 내수 시장에 판매한 친환경차는 총 9만4198대로 전년 동기 대비 74.9% 급증했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 이어지면 올해 친환경차 규모가 40만대에 다가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연간 친환경차 판매량은 22만6668대였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폭스바겐이 최근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으로 경제적, 사회적, 생태적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면서 지속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좋은 근무 조건을 제공하며, 자원과 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탄소 배출 문제와 관련해, 여러 표준에 부합하지 못했던 이른바 '디젤 게이트'에 대한 반성문이자 도전이다. 두 배 더 노력해야 하는 CCC등급 폭스바겐의 ESG 역사를 설명하자면, 차량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지 않을 수 없다. 2000년대에 들어서며 친환경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차량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폭스바겐의 주 판매처인 유럽이나 미국은 0.080g/km의 엄격한 기준을 설정했다. 이에 대응해 폭스바겐은 자사의 디젤 차량을 '클린 디젤', '친환경 차량'이라고 광고하며 이미지를 구축했다. 덕분에 2010년대 초반까지 EU 내 신규 등록 차량 중 디젤 차량의 비율이 50%를 넘어설 정도로 디젤 차량 판매량은 급증했다 하지만 미국 비영리환경단체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가 폭스바겐 제타, 파사트, BMW X5 등 디젤 엔진 차량의 실외 주행 테스트 결과, 폭스바겐 차량은 공식 테스트 대비 40배, 미국 기준치 대비 30배가 넘는 배기가스를 배출한다고 밝혀졌다. 이후 미국 환경보호국의 조사에 따라 폭스바겐이 전자제어장치(ECU) 프로그램을 조작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배기가스 인증 시험 시 실내에서 차내 동력계 장치를 이용해 '배기가스 검사 중'으로 조작해 가스 배출량을 억제하도록 만든 것이다. 조작이 밝혀진 후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영국, 프랑스, 캐나다, 독일 등 많은 국가에서 덩달아 조사에 나섰고, 폭스바겐은 결국 2009년부터 생산된 디젤 차량 약 1,100만 대에 배기가스 조작 소프트웨어가 설치됐음을 인정했다. 이후 폭스바겐 주가는 급락했고, 연비조작 공모, 대기오염 규정 위반 등으로 고발당했다. 폭스바겐이 현재까지 지급한 피해보상금 및 벌금은 약 350억 달러(약 40조 원)에 달한다. 폭스바겐의 주가는 아직까지 2015년의 최고점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폭스바겐 그룹 CEO인 마틴 빈터콘은 이 사태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결국 폭스바겐은 ESG의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 등에서 모두 낙제점을 받게 된다. 2017년 이후 지난해까지 폭스바겐의 ESG 등급은 CCC를 기록 중이다. 올해 초에도 EU의 탄소배출량 기준을 채우지 못해 1억 유로나 되는 벌금을 부과 받았다. 대중의 신뢰를 되찾기 위한 노력 폭스바겐은 최근 ESG 경영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며, 기업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실 폭스바겐그룹의 국제지속가능성위원회는 2016년 9월 만들어졌다. 위원회는 비즈니스, 정치, 과학 및 사회의 저명한 전문가들로 구성됐고, 지속 가능한 이동성 및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및 업무, 디지털화의 미래 등을 위해 독립적인 행동을 보장 받으면서 광범위한 권리까지 부여됐다. 2020년 위원회는 그룹의 관리 이사회 및 직원, 대표들과 정기적으로 만나 활동을 모니터하고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환경적인 역할에서도 세계 선두의 모델로서 책임을 다한다는 입장이다. 폭스바겐은 늦어도 2050년까지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성명문을 발표했으며, 2015년 대비 2025년 배출량을 30%가량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럽 시장 내에서 전기차량 모델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리고, 2030년에는 전기차 판매량을 40%까지 증가시킬 계획이다. 또 폭스바겐은 차량에서 제조용 부품을 회수해 재사용하고 있다. 재생산 부품을 제공하는 최초의 자동차 제조업체인 폭스바겐은 순정 재생산 부품으로 에너지 소비를 33%,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8% 줄였다. ‘디젤 게이트’에서 벗어나기 위해 폭스바겐은 ‘Together4Integrity’를 내세워 소비자 신뢰 되찾기에 나섰다. 2018년 봄에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회사의 규정과 문화, 가치를 중점으로 정직한 기업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고안됐다. 또한 그룹 차원에서 직원들의 사회적 권리, 노사 관계에 관한 ‘비즈니스 인권 선언’을 진행하며, 국제 인권 헌장 및 국제 노동기구 (ILO)의 핵심 노동 기준을 준수해 비즈니스 운영을 구성하고, 보편적인 인권을 존중한다는 선언문도 발표했다. 여기에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기업의 책임이나 기회 균등 및 대우에 관한 행동강령 등이 담겼다. 이러한 내용은 모두 ‘2020 폭스바겐그룹 지속가능성 보고서’에서 소개됐다. 그룹의 국제적인 사회 환원 활동도 지속적이다. 2015 년부터 이 회사는 난민들을 위한 긴급 지원 관리, 언어 학습, 훈련 및 교육 지원, 독점 플랫폼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 제공을 진행하고 있다. 2018년에만 전 세계에서 지역 구조 개발, 건강, 교육, 스포츠 및 환경 보전을 포함한 문제를 다루는 5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2019년에는 아시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유럽, 남아메리카 등 다양한 국가에서 전 세계 7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일본에서는 4개, 한국에서는 총 11개 프로젝트를 시행 중이다. 국내 수행 프로젝트로는 차일드펀드와 함께 코로나 바이러스 비상 대응 및 포르쉐의 평등한 기회 프로젝트, 그린 기프트박스 아우디 지역 지원, 그린 스쿨 어웨이크 프로젝트, 포르쉐 드림서클, 청소년 교육 사업 자금 지원, 어반 비즈 서울 등이 알려져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최근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하 ‘노조’)이 파업을 결정한 배경에는 성과급 인상뿐만 아니라 전기차 개발에 따른 산업재편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우려도 깔려있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친환경 전기차 개발이 일자리에 미치는 악영향을 둘러싼 이슈가 다시 조명받고 있다.  노조가 파업 절차에 돌입한 이유로 그간 쌓인 성과급 불만을 전면에 내걸었지만 일자리 불안에 대한 선제적 대응도 파업 이유로 볼 수 있다는 게 분석의 핵심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설계와 엔지니어링이 더 단순하다. 또 들어가는 부품도 절반이 채 안 되고, 제작 시간도 30% 짧은 것으로 추정된다. 부품 조립의 자동화 수준도 높고, 유지관리가 덜 필요하다. 자동차업계가 전통적인 휘발유 엔진 차량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면서 대규모 일자리 감축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현대차 노조, 압도적 찬성으로 파업 결의  8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투표자 4만3117명 중 83.2%인 3만5854명이 '2021년 임단투 조합원 쟁의 행위 찬·반 투표'에서 '찬성'표를 던졌다고 7일 밝혔다. 투표율은 88.7%, 반대는 11.5%, 무효표는 5.3%였다. 노조는 향후 쟁의대책위원회를 소집해 파업 돌입 여부와 일정을 논의할 계획이다. 앞서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이 난항을 겪자 지난달 30일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에서 기본급 9만9000원 인상, 성과급 순이익의 30% 지급, 정년 65세 연장 등을 요구했다. 사측은 기본급 5만원 인상(호봉승급분 포함), 성과금 100%+300만원, 품질향상 격려금 200만원, 10만원 상당 복지 포인트 지급 등을 제시했으나 노조는 이를 거부했다. 전기차 비중 확대되며 자동차업계 일자리 감소 전망 현대·기아차 노조가 2019년 내놓은 '미래형 자동차 발전 동향과 노조의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신차 생산물량 중 전기차 비중이 2025년 15%, 2030년 25%로 늘어나면 현대차에서만 각각 최대 1629명(2025년), 2837명(2030년)의 인력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 역시 5월 발표한 '클린·전기·자율주행차 뒤의 저항할 수 없는 모멘텀'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자동차산업 구조 변화의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자동차 관련 일자리가 최대 25%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현재의 글로벌 전기차 점유율이 2030년 중국에서 45%, 유럽 50%, 미국 35% 등으로 뛸 것으로 보고 계산된 것이다. 종사자 수가 많은 판매·마케팅, 조립 분야는 인력이 줄어드는 반면 소프트웨어, 정보기술(IT), 데이터 분석 등의 분야에선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맥킨지는 일자리 감소 규모가 훨씬 큰 만큼 전체 일자리는 최대 25% 줄어들 수도 있다고 봤는데, 이를 국내 자동차산업에 적용하면 수십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는 계산이 나온다. 산업연구원도 내년에 국내 전기차 생산 비중이 10.5% 증가할 경우 자동차산업에서 4718명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우려로 완성차업계 노조는 정년 연장을 새로운 카드로 꺼내 들며 맞서왔다. 실제로 지난 3월 현대차와 기아, 한국GM 등 3사 노조가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의 안정적인 노후 보장을 위해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방안을 입법화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전기차 개발로 늘어나는 일자리보다 줄어드는 일자리 더 많을 수도  친환경 자동차 개발분야의 일자리가 당장 줄어들지는 않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도 그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2020년 미국의 전기차와 청정에너지 분야 상황을 분석한 <2021 클린 일자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선 전체 에너지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한 것과 달리 전기차 제조업 분야 일자리는 3% 가까운 증가세를 나타냈다. 전기 승용차, 트럭, 버스 등의 개발 인력이 늘어난 게 이유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차 분야 일자리만 놓고 보면, 지난해 전년대비 6%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어떤 청정에너지 분야보다도 많은 1만20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생겨났다. 하지만 한 해외 자동차 전문가는 "배터리와 전기모터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일자리가 늘더라도 이 분야에 필요한 일자리가 내연기관 개발과 생산 등에 필요한 일자리가 줄어드는 만큼 늘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자리 감소 우려 전 세계적 현상  전 세계 자동차업체들이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일자리 감소 우려도 세계 곳곳에서 커지고 있다.  GM은 2025년까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에 2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속했고, 2023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20종류의 새로운 전기차 출시 계획을 밝혔다. 포드 자동차 역시 2022년까지 전기차 개발에 110억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아직은 전기차가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판매가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가 전 세계 자동차 판매의 21% 이상을 차지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독일에서도 전기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2030년까지 자동차업계에서 수십 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걸로 추산하고 있다. 지난해 독일의 아우디는 전기차 전환 계획의 일환으로 전 세계에서 7500개의 일자리를 줄이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미국에서도 2019년 의회조사국(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은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일반 자동차 제조에는 2000개의 파워트레인 부품이 필요한 데 비해 전기 파워트레인은 고작 몇 개만 있으면 된다"면서, 이에 따라 내연기관 파워트레인 부품을 제조하는 약 15만 명의 미국 노동자들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6
기업·거버넌스
제로배출 도전하는 택배차량...페덱스, 전기트럭 120대 주문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short
3-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최근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하 ‘노조’)이 파업을 결정한 배경에는 성과급 인상뿐만 아니라 전기차 개발에 따른 산업재편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우려도 깔려있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친환경 전기차 개발이 일자리에 미치는 악영향을 둘러싼 이슈가 다시 조명받고 있다.  노조가 파업 절차에 돌입한 이유로 그간 쌓인 성과급 불만을 전면에 내걸었지만 일자리 불안에 대한 선제적 대응도 파업 이유로 볼 수 있다는 게 분석의 핵심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설계와 엔지니어링이 더 단순하다. 또 들어가는 부품도 절반이 채 안 되고, 제작 시간도 30% 짧은 것으로 추정된다. 부품 조립의 자동화 수준도 높고, 유지관리가 덜 필요하다. 자동차업계가 전통적인 휘발유 엔진 차량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면서 대규모 일자리 감축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현대차 노조, 압도적 찬성으로 파업 결의  8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투표자 4만3117명 중 83.2%인 3만5854명이 '2021년 임단투 조합원 쟁의 행위 찬·반 투표'에서 '찬성'표를 던졌다고 7일 밝혔다. 투표율은 88.7%, 반대는 11.5%, 무효표는 5.3%였다. 노조는 향후 쟁의대책위원회를 소집해 파업 돌입 여부와 일정을 논의할 계획이다. 앞서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이 난항을 겪자 지난달 30일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에서 기본급 9만9000원 인상, 성과급 순이익의 30% 지급, 정년 65세 연장 등을 요구했다. 사측은 기본급 5만원 인상(호봉승급분 포함), 성과금 100%+300만원, 품질향상 격려금 200만원, 10만원 상당 복지 포인트 지급 등을 제시했으나 노조는 이를 거부했다. 전기차 비중 확대되며 자동차업계 일자리 감소 전망 현대·기아차 노조가 2019년 내놓은 '미래형 자동차 발전 동향과 노조의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신차 생산물량 중 전기차 비중이 2025년 15%, 2030년 25%로 늘어나면 현대차에서만 각각 최대 1629명(2025년), 2837명(2030년)의 인력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 역시 5월 발표한 '클린·전기·자율주행차 뒤의 저항할 수 없는 모멘텀'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자동차산업 구조 변화의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자동차 관련 일자리가 최대 25%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현재의 글로벌 전기차 점유율이 2030년 중국에서 45%, 유럽 50%, 미국 35% 등으로 뛸 것으로 보고 계산된 것이다. 종사자 수가 많은 판매·마케팅, 조립 분야는 인력이 줄어드는 반면 소프트웨어, 정보기술(IT), 데이터 분석 등의 분야에선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맥킨지는 일자리 감소 규모가 훨씬 큰 만큼 전체 일자리는 최대 25% 줄어들 수도 있다고 봤는데, 이를 국내 자동차산업에 적용하면 수십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는 계산이 나온다. 산업연구원도 내년에 국내 전기차 생산 비중이 10.5% 증가할 경우 자동차산업에서 4718명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우려로 완성차업계 노조는 정년 연장을 새로운 카드로 꺼내 들며 맞서왔다. 실제로 지난 3월 현대차와 기아, 한국GM 등 3사 노조가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의 안정적인 노후 보장을 위해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방안을 입법화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전기차 개발로 늘어나는 일자리보다 줄어드는 일자리 더 많을 수도  친환경 자동차 개발분야의 일자리가 당장 줄어들지는 않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도 그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2020년 미국의 전기차와 청정에너지 분야 상황을 분석한 <2021 클린 일자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선 전체 에너지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한 것과 달리 전기차 제조업 분야 일자리는 3% 가까운 증가세를 나타냈다. 전기 승용차, 트럭, 버스 등의 개발 인력이 늘어난 게 이유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차 분야 일자리만 놓고 보면, 지난해 전년대비 6%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어떤 청정에너지 분야보다도 많은 1만20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생겨났다. 하지만 한 해외 자동차 전문가는 "배터리와 전기모터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일자리가 늘더라도 이 분야에 필요한 일자리가 내연기관 개발과 생산 등에 필요한 일자리가 줄어드는 만큼 늘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자리 감소 우려 전 세계적 현상  전 세계 자동차업체들이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일자리 감소 우려도 세계 곳곳에서 커지고 있다.  GM은 2025년까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에 2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속했고, 2023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20종류의 새로운 전기차 출시 계획을 밝혔다. 포드 자동차 역시 2022년까지 전기차 개발에 110억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아직은 전기차가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판매가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가 전 세계 자동차 판매의 21% 이상을 차지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독일에서도 전기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2030년까지 자동차업계에서 수십 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걸로 추산하고 있다. 지난해 독일의 아우디는 전기차 전환 계획의 일환으로 전 세계에서 7500개의 일자리를 줄이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미국에서도 2019년 의회조사국(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은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일반 자동차 제조에는 2000개의 파워트레인 부품이 필요한 데 비해 전기 파워트레인은 고작 몇 개만 있으면 된다"면서, 이에 따라 내연기관 파워트레인 부품을 제조하는 약 15만 명의 미국 노동자들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폭스바겐이 최근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으로 경제적, 사회적, 생태적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면서 지속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좋은 근무 조건을 제공하며, 자원과 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탄소 배출 문제와 관련해, 여러 표준에 부합하지 못했던 이른바 '디젤 게이트'에 대한 반성문이자 도전이다. 두 배 더 노력해야 하는 CCC등급 폭스바겐의 ESG 역사를 설명하자면, 차량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지 않을 수 없다. 2000년대에 들어서며 친환경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차량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폭스바겐의 주 판매처인 유럽이나 미국은 0.080g/km의 엄격한 기준을 설정했다. 이에 대응해 폭스바겐은 자사의 디젤 차량을 '클린 디젤', '친환경 차량'이라고 광고하며 이미지를 구축했다. 덕분에 2010년대 초반까지 EU 내 신규 등록 차량 중 디젤 차량의 비율이 50%를 넘어설 정도로 디젤 차량 판매량은 급증했다 하지만 미국 비영리환경단체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가 폭스바겐 제타, 파사트, BMW X5 등 디젤 엔진 차량의 실외 주행 테스트 결과, 폭스바겐 차량은 공식 테스트 대비 40배, 미국 기준치 대비 30배가 넘는 배기가스를 배출한다고 밝혀졌다. 이후 미국 환경보호국의 조사에 따라 폭스바겐이 전자제어장치(ECU) 프로그램을 조작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배기가스 인증 시험 시 실내에서 차내 동력계 장치를 이용해 '배기가스 검사 중'으로 조작해 가스 배출량을 억제하도록 만든 것이다. 조작이 밝혀진 후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영국, 프랑스, 캐나다, 독일 등 많은 국가에서 덩달아 조사에 나섰고, 폭스바겐은 결국 2009년부터 생산된 디젤 차량 약 1,100만 대에 배기가스 조작 소프트웨어가 설치됐음을 인정했다. 이후 폭스바겐 주가는 급락했고, 연비조작 공모, 대기오염 규정 위반 등으로 고발당했다. 폭스바겐이 현재까지 지급한 피해보상금 및 벌금은 약 350억 달러(약 40조 원)에 달한다. 폭스바겐의 주가는 아직까지 2015년의 최고점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폭스바겐 그룹 CEO인 마틴 빈터콘은 이 사태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결국 폭스바겐은 ESG의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 등에서 모두 낙제점을 받게 된다. 2017년 이후 지난해까지 폭스바겐의 ESG 등급은 CCC를 기록 중이다. 올해 초에도 EU의 탄소배출량 기준을 채우지 못해 1억 유로나 되는 벌금을 부과 받았다. 대중의 신뢰를 되찾기 위한 노력 폭스바겐은 최근 ESG 경영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며, 기업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실 폭스바겐그룹의 국제지속가능성위원회는 2016년 9월 만들어졌다. 위원회는 비즈니스, 정치, 과학 및 사회의 저명한 전문가들로 구성됐고, 지속 가능한 이동성 및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및 업무, 디지털화의 미래 등을 위해 독립적인 행동을 보장 받으면서 광범위한 권리까지 부여됐다. 2020년 위원회는 그룹의 관리 이사회 및 직원, 대표들과 정기적으로 만나 활동을 모니터하고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환경적인 역할에서도 세계 선두의 모델로서 책임을 다한다는 입장이다. 폭스바겐은 늦어도 2050년까지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성명문을 발표했으며, 2015년 대비 2025년 배출량을 30%가량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럽 시장 내에서 전기차량 모델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리고, 2030년에는 전기차 판매량을 40%까지 증가시킬 계획이다. 또 폭스바겐은 차량에서 제조용 부품을 회수해 재사용하고 있다. 재생산 부품을 제공하는 최초의 자동차 제조업체인 폭스바겐은 순정 재생산 부품으로 에너지 소비를 33%,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8% 줄였다. ‘디젤 게이트’에서 벗어나기 위해 폭스바겐은 ‘Together4Integrity’를 내세워 소비자 신뢰 되찾기에 나섰다. 2018년 봄에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회사의 규정과 문화, 가치를 중점으로 정직한 기업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고안됐다. 또한 그룹 차원에서 직원들의 사회적 권리, 노사 관계에 관한 ‘비즈니스 인권 선언’을 진행하며, 국제 인권 헌장 및 국제 노동기구 (ILO)의 핵심 노동 기준을 준수해 비즈니스 운영을 구성하고, 보편적인 인권을 존중한다는 선언문도 발표했다. 여기에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기업의 책임이나 기회 균등 및 대우에 관한 행동강령 등이 담겼다. 이러한 내용은 모두 ‘2020 폭스바겐그룹 지속가능성 보고서’에서 소개됐다. 그룹의 국제적인 사회 환원 활동도 지속적이다. 2015 년부터 이 회사는 난민들을 위한 긴급 지원 관리, 언어 학습, 훈련 및 교육 지원, 독점 플랫폼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 제공을 진행하고 있다. 2018년에만 전 세계에서 지역 구조 개발, 건강, 교육, 스포츠 및 환경 보전을 포함한 문제를 다루는 5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2019년에는 아시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유럽, 남아메리카 등 다양한 국가에서 전 세계 7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일본에서는 4개, 한국에서는 총 11개 프로젝트를 시행 중이다. 국내 수행 프로젝트로는 차일드펀드와 함께 코로나 바이러스 비상 대응 및 포르쉐의 평등한 기회 프로젝트, 그린 기프트박스 아우디 지역 지원, 그린 스쿨 어웨이크 프로젝트, 포르쉐 드림서클, 청소년 교육 사업 자금 지원, 어반 비즈 서울 등이 알려져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기업들이 업무용 차량을 환경 오염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전기차로 대체하는 친환경 캠페인에 적극 나서고 있다. 기업들은 이를 통해 비용도 절감하는 '1석 2조'의 효과를 내겠다는 계산이다. 특히 업무용차량으로 경차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소형 SUV 등으로 대체 시 영업사원의 만족도와 안전성도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계에서 롯데가 가장 적극적 전기차 교체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롯데다. 최근 롯데그룹 계열사들은 국내 제과·식품·면세업계 최초로 친환경 전기차 전환을 선언하며 탄소배출 저감 활동을 적극 실천하고 있다. 롯데제과는 10일 약 300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5년까지 현재 사용중인 모든 빙과 영업 판매차량을 친환경 전기차로 교체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냉동 탑차 350대와 업무용 승용차 217대가 전기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올해에만 64억원을 투입해 탑차 20대, 승용차 114대를 들여온다는 구상이다. 롯데면세점은 탄소 배출 저감 활동의 일환으로 보세운송 차량에 친환경 전기차를 도입했다. 회사 측은 전기차의 보세운송 시범 운행을 실시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개선 작업을 거쳐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2022년까지는 운행 중인 보세운송 1톤 디젤 차량 13대 전부를 100% 전기차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 영종도에 위치한 통합물류센터 내 전기차 충전소도 별도로 설치할 예정이다. 롯데푸드도 전체 영업사원에게 업무용 친환경 전기차 약 380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 이번 도입에 멈추지 않고 빙과 배송차량의 친환경 전기차 전환도 검토하고 있다. 냉동 설비 운영 등 빙과 관리 조건에 문제가 없는지도 종합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유통·은행·제약 업계 등 전방위로 전기차 교체 ‘붐’ 편의점업계에서 BGF리테일이 앞장서고 있다. 이에 CU는 지난 4월부터 기아의 봉고 EV 모델을 점포 배송 차량으로 도입했다. CU는 올해 하반기까지 시범 운영을 거친 후 물류 효율 등을 검토해 확대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신세계그룹 통합 온라인몰인 SSG닷컴은 지난해 말부터 현대글로비스와 손잡고 콜드체인(저온유통 시스템)을 갖춘 전기 배송차를 도입해 시범 운영 중이다. 쿠팡은 앞서 2019년부터 일찌감치 대구 배송 캠프에 충전소를 설치하고 전기 쿠팡카 시범 서비스를 운영했다. 도 CJ대한통운은 지난달 친환경 경영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운영 중인 모든 차량을 전기·수소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오는 2030년까지 3만여 대의 차량을 친환경차로 교체하는 것이 목표다. 제약업계에서도 친환경 차량 교체 바람이 불고 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도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동아쏘시오그룹 업무용 차량을 친환경 차량으로 전면 교체하기로 했다. 회사 측은 친환경 차량 전면 교체를 위한 5개년 계획도 수립했다. 이번 친환경 차량 교체에는 동아쏘시오홀딩스를 비롯해 동아ST, 동아제약, 동아오츠카, 용마로지스, 수석 등 동아쏘시오그룹의 모든 그룹사가 동참하며, 업무용 차량을 연도별 교체주기에 따라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이 밖에 은행권에선 신한금융이 오는 2030년까지 업무용 차량 6만여대를 친환경 무공해 차량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친환경차 판매 세계적 호황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다소 침체된 자동차 시장 상황에서도 친환경차 판매는 세계적으로 호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등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내 완성차와 수입차 업체들이 내수 시장에 판매한 친환경차는 총 9만4198대로 전년 동기 대비 74.9% 급증했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 이어지면 올해 친환경차 규모가 40만대에 다가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연간 친환경차 판매량은 22만6668대였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6
기업·거버넌스
제로배출 도전하는 택배차량...페덱스, 전기트럭 120대 주문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short
1-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기업들이 업무용 차량을 환경 오염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전기차로 대체하는 친환경 캠페인에 적극 나서고 있다. 기업들은 이를 통해 비용도 절감하는 '1석 2조'의 효과를 내겠다는 계산이다. 특히 업무용차량으로 경차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소형 SUV 등으로 대체 시 영업사원의 만족도와 안전성도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계에서 롯데가 가장 적극적 전기차 교체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롯데다. 최근 롯데그룹 계열사들은 국내 제과·식품·면세업계 최초로 친환경 전기차 전환을 선언하며 탄소배출 저감 활동을 적극 실천하고 있다. 롯데제과는 10일 약 300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5년까지 현재 사용중인 모든 빙과 영업 판매차량을 친환경 전기차로 교체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냉동 탑차 350대와 업무용 승용차 217대가 전기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올해에만 64억원을 투입해 탑차 20대, 승용차 114대를 들여온다는 구상이다. 롯데면세점은 탄소 배출 저감 활동의 일환으로 보세운송 차량에 친환경 전기차를 도입했다. 회사 측은 전기차의 보세운송 시범 운행을 실시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개선 작업을 거쳐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2022년까지는 운행 중인 보세운송 1톤 디젤 차량 13대 전부를 100% 전기차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 영종도에 위치한 통합물류센터 내 전기차 충전소도 별도로 설치할 예정이다. 롯데푸드도 전체 영업사원에게 업무용 친환경 전기차 약 380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 이번 도입에 멈추지 않고 빙과 배송차량의 친환경 전기차 전환도 검토하고 있다. 냉동 설비 운영 등 빙과 관리 조건에 문제가 없는지도 종합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유통·은행·제약 업계 등 전방위로 전기차 교체 ‘붐’ 편의점업계에서 BGF리테일이 앞장서고 있다. 이에 CU는 지난 4월부터 기아의 봉고 EV 모델을 점포 배송 차량으로 도입했다. CU는 올해 하반기까지 시범 운영을 거친 후 물류 효율 등을 검토해 확대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신세계그룹 통합 온라인몰인 SSG닷컴은 지난해 말부터 현대글로비스와 손잡고 콜드체인(저온유통 시스템)을 갖춘 전기 배송차를 도입해 시범 운영 중이다. 쿠팡은 앞서 2019년부터 일찌감치 대구 배송 캠프에 충전소를 설치하고 전기 쿠팡카 시범 서비스를 운영했다. 도 CJ대한통운은 지난달 친환경 경영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운영 중인 모든 차량을 전기·수소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오는 2030년까지 3만여 대의 차량을 친환경차로 교체하는 것이 목표다. 제약업계에서도 친환경 차량 교체 바람이 불고 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도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동아쏘시오그룹 업무용 차량을 친환경 차량으로 전면 교체하기로 했다. 회사 측은 친환경 차량 전면 교체를 위한 5개년 계획도 수립했다. 이번 친환경 차량 교체에는 동아쏘시오홀딩스를 비롯해 동아ST, 동아제약, 동아오츠카, 용마로지스, 수석 등 동아쏘시오그룹의 모든 그룹사가 동참하며, 업무용 차량을 연도별 교체주기에 따라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이 밖에 은행권에선 신한금융이 오는 2030년까지 업무용 차량 6만여대를 친환경 무공해 차량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친환경차 판매 세계적 호황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다소 침체된 자동차 시장 상황에서도 친환경차 판매는 세계적으로 호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등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내 완성차와 수입차 업체들이 내수 시장에 판매한 친환경차는 총 9만4198대로 전년 동기 대비 74.9% 급증했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 이어지면 올해 친환경차 규모가 40만대에 다가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연간 친환경차 판매량은 22만6668대였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6
기업·거버넌스
제로배출 도전하는 택배차량...페덱스, 전기트럭 120대 주문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short
1-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기업들이 업무용 차량을 환경 오염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전기차로 대체하는 친환경 캠페인에 적극 나서고 있다. 기업들은 이를 통해 비용도 절감하는 '1석 2조'의 효과를 내겠다는 계산이다. 특히 업무용차량으로 경차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소형 SUV 등으로 대체 시 영업사원의 만족도와 안전성도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계에서 롯데가 가장 적극적 전기차 교체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롯데다. 최근 롯데그룹 계열사들은 국내 제과·식품·면세업계 최초로 친환경 전기차 전환을 선언하며 탄소배출 저감 활동을 적극 실천하고 있다. 롯데제과는 10일 약 300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5년까지 현재 사용중인 모든 빙과 영업 판매차량을 친환경 전기차로 교체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냉동 탑차 350대와 업무용 승용차 217대가 전기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올해에만 64억원을 투입해 탑차 20대, 승용차 114대를 들여온다는 구상이다. 롯데면세점은 탄소 배출 저감 활동의 일환으로 보세운송 차량에 친환경 전기차를 도입했다. 회사 측은 전기차의 보세운송 시범 운행을 실시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개선 작업을 거쳐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2022년까지는 운행 중인 보세운송 1톤 디젤 차량 13대 전부를 100% 전기차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 영종도에 위치한 통합물류센터 내 전기차 충전소도 별도로 설치할 예정이다. 롯데푸드도 전체 영업사원에게 업무용 친환경 전기차 약 380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 이번 도입에 멈추지 않고 빙과 배송차량의 친환경 전기차 전환도 검토하고 있다. 냉동 설비 운영 등 빙과 관리 조건에 문제가 없는지도 종합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유통·은행·제약 업계 등 전방위로 전기차 교체 ‘붐’ 편의점업계에서 BGF리테일이 앞장서고 있다. 이에 CU는 지난 4월부터 기아의 봉고 EV 모델을 점포 배송 차량으로 도입했다. CU는 올해 하반기까지 시범 운영을 거친 후 물류 효율 등을 검토해 확대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신세계그룹 통합 온라인몰인 SSG닷컴은 지난해 말부터 현대글로비스와 손잡고 콜드체인(저온유통 시스템)을 갖춘 전기 배송차를 도입해 시범 운영 중이다. 쿠팡은 앞서 2019년부터 일찌감치 대구 배송 캠프에 충전소를 설치하고 전기 쿠팡카 시범 서비스를 운영했다. 도 CJ대한통운은 지난달 친환경 경영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운영 중인 모든 차량을 전기·수소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오는 2030년까지 3만여 대의 차량을 친환경차로 교체하는 것이 목표다. 제약업계에서도 친환경 차량 교체 바람이 불고 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도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동아쏘시오그룹 업무용 차량을 친환경 차량으로 전면 교체하기로 했다. 회사 측은 친환경 차량 전면 교체를 위한 5개년 계획도 수립했다. 이번 친환경 차량 교체에는 동아쏘시오홀딩스를 비롯해 동아ST, 동아제약, 동아오츠카, 용마로지스, 수석 등 동아쏘시오그룹의 모든 그룹사가 동참하며, 업무용 차량을 연도별 교체주기에 따라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이 밖에 은행권에선 신한금융이 오는 2030년까지 업무용 차량 6만여대를 친환경 무공해 차량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친환경차 판매 세계적 호황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다소 침체된 자동차 시장 상황에서도 친환경차 판매는 세계적으로 호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등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내 완성차와 수입차 업체들이 내수 시장에 판매한 친환경차는 총 9만4198대로 전년 동기 대비 74.9% 급증했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 이어지면 올해 친환경차 규모가 40만대에 다가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연간 친환경차 판매량은 22만6668대였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국내외 택배·물류업계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전기 화물차 도입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가 친환경 정책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페덱스 그라운드는 9일(현지시간)미국 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Xos에 탄소배출 제로 전기트럭 120대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페덱스의 전기 트럭은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텍사스 등에 본사를 둔 35개의 페덱스 그라운드에 제공돼 운영자들이 사용하게 된다. Xos는 페덱스 그라운드에 최고 사양의 전기 트럭을 공급할 예정이다. 페덱스의 이번 전기 트럭 주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 운영을 달성하겠다는 성명 발표에 따른 것이다. 지난 3월, 페덱스는 차량의 전기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탄소 격리 핵심 영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총 20억달러 이상의 초기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페덱스의 전기차의 비중은 2025년 50%, 2030년 100%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Xos에 따르면, 회사는 2022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추가 전기 트럭을 페덱스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국내 주요 택배사는 올해 화두로 떠오른 친환경 사업의 핵심으로 전기화물차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연말까지 총 28대의 전기 택배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기택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3 EV로, 한번 충전에 200㎞ 주행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전기차 충전 사업도 함께 계획 중이다. 현재 군포 지역 터미널에는 급속충전기 1대, 울산에는 완속충전기 2대가 설치돼있다. ㈜한진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약 3개월간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택배 차량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택배 차량이 전기차로 바뀌면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유류비·통행료·주차요금 등의 차량 유지비 절감, 택배기사의 피로도 감소 등 근무환경도 개선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상승될 것으로 한진은 기대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는 전기화물차 도입을 확대하고 전기차 충전기도 늘리고 있다. 이로써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24대의 전기택배차를 운용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도 추가 설치했다. 서울 구로와 경기 남양주, 울산, 제주에 전기차 충전기 6기를 추가해 기존에 설치된 7기를 포함해 총 13기를 운영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향후 전기택배차가 도입되는 사업장 위주로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케아코리아도 올해 가구 배송 차량의 20%를 전기트럭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첫 전기트럭을 선보인 바 있다. 이케아코리아는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가구 배송에서 이산화탈소 배출을 제로화할 방침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0
지속가능경제
전 세계 '수소에너지' 확보전...국내 에너지기업들도 ‘합종연횡’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long
5-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국내 석탄화력 발전 공기업들이 석탄발전을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으로의 전환을 선언해 '2050 탄소중립'에 한발 더 다가섰다. 한전과 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발전공기업은 1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 2021'(BIXPO 2021) 개막식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오는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공동으로 선언했다. 또한 대규모 해상풍력, 차세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사업 개발을 주도하고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공동 연구개발과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내용의 탄소중립 비전인 '제로 포 그린(ZERO for Green)'을 발표했다. 대규모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개발 주도 전력공기업은 재생에너지, 수소 등 탄소배출이 없는 발전원으로 과감히 전환해 발전 분야 탄소배출을 '제로'(0)화하기로 했다. 공정하고 질서 있는 감축 방안을 마련해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고, 민간기업 참여만으로는 활성화가 어려운 대규모 해상풍력이나 차세대 태양광 등 자본·기술집약적 사업 개발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암모니아, 그린수소 등 수소 기반 발전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관련해 전력공기업은 공동의 기술개발 전략과 이행방안을 담은 '탄소중립 기술개발전략'을 수립해 발표했다. 터빈 대형화 및 대규모 단지 시공 기술 등을 개발해 2030년까지 해상풍력의 균등화발전단가(LCOE)를 현행 대비 40% 이상 절감한 ㎾h당 150원으로 낮추기로 했고, 또한 수전해 기술을 중점 개발해 그린수소의 생산 효율을 현재의 65% 수준에서 2030년까지 8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연료 전환을 위해선 2027년까지 20% 암모니아 혼소를 실증하고 2028년까지 50% 수소 혼소 기술을 개발한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도 2030년까지 석탄화력 500㎿, 가스화력 150㎿급으로 상용화해 포집 비용을 현재의 50% 수준인 t(톤)당 30달러까지 낮춘다는 목표도 세웠다. 미국‧일본 등 석탄화력 비중 단계적 축소 목표 수립 세계적으로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2020년 상반기에 발표된 KEA에너지 이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설비 18.3GW가 증설되고, 21.2GW가 폐쇄돼 역대 처음으로 석탄화력 설비용량이 2.9GW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2019년 연간 에너지 소비 통계에서 미국의 재생에너지 소비가 1885년 이래 처음으로 석탄 소비를 역전했다고 보고했다. 미국의 2019년 석탄 소비는 2억 8097만toe로 전년대비 약 15%가 감소했고, 재생에너지 소비는 2억 8475만toe로 전년대비 약 1%가 증가했다. 또한 미국에서는 2050년까지 미국의 전력 생산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석탄, 천연가스 및 원자력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에너지 소비의 38%는 재생에너지가, 나머지 36%는 천연가스, 석탄이 13%, 원자력이 12% 순으로 그 뒤를 이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본에서도 2019년 석탄의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발전용·산업용 석탄 수요가 모두 감소했다. 2018년 대비 5% 줄어든 1억 1715만toe 정도였다. 또 일본은 노후된 석탄화력 발전소 약 100기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가동 중단 및 폐지를 추진한다. 석탄발전소의 가동 중단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18년 기준 17%에서 2030년 22~24%까지 상향 목표를 잡았다. 중국은 2016년에 발표한 전력부문 계획에서 1차 에너지 중 석탄 비중 축소 목표인 55% 이하를 3년 앞당겨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2019년 국가 에너지국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석탄발전설비 20GW를 퇴출시킴으로서 감축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석탄 소비가 2022년 이후 정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67%에서 2024년 59%로 낮아질 전망이다. 석탄수요 역시 중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에 따른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으로 인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탈석탄 정책 잇따르는 EU EU에서도 탈석탄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비영리 탄소시장 정책 분석기관인 샌드백(Sandbag) 역시 풍력과 태양광 발전용량이 크게 늘어난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석탄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고 밝혔다. 독일은 탈석탄 공론화 위원회 권고를 정부가 받아들여 2020년 7월 탈석탄법을 통과시키고 2038년까지 탈석탄 및 2035년 조기달성 목표를 수립했다. 독일은 지난 20년 간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법제를 수립한 결과, 2018년 전력소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이 2010년 대비 5.9배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영국은 2050 탄소중립 목표의 법제화와 함께 2025년 탈석탄을 목표로 석탄발전소 전면 폐쇄를 계획하고 있다. 탈석탄에 따른 부족한 발전용량을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대체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30GW의 해상풍력 설비를 확충한다. 네덜란드는 2018년 6월 CO2 배출량 감축 목표를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49% 감축한다고 밝혔으며, 2050년까지 95%를 감축한다는 계획을 담은 최초의 국가기후변화법을 통과시켰다. 또 기후변화 법에 따라 노후 석탄발전소 2기를 2024년에 철거하고, 신규 발전소 3기를 2030년까지 대체연료 발전소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 지난해 정부의 9차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전체 65개(건설 중 7개 포함)의 석탄발전소 중 2034년까지 30개 석탄발전소를 폐지하고 이 중 24개를 액화천연가스(LNG)복합발전소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SK그룹이 18조5000억원의 대규모 투자를 집행해 수소 사업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SK의 투자규모는 수소기업협의체 15개 회원사 중 가장 큰 규모다. 8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수소모빌리티+쇼에 참석한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수소 산업은 기후변화 대응 뿐만 아니라 한국의 새로운 산업이 돼 미래 일자리 창출 등 사회 기여와 나아가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한 경제 기여도 가능하다”며 “수소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SK그룹도 중추적인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SK그룹은 장기적으로 태양광, 풍력 등 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수소의 대량 공급 체계를 완성한다. 이를 통해 SK그룹은 국내에서만 연간 총 28만t의 친환경 수소를 생산·공급하는 글로벌 1위 친환경 수소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수소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SK에너지의 주유소와 화물 운송 트럭 휴게소 등을 그린에너지 서비스 허브로 활용, 차량용으로 공급하는 한편 연료전지 발전소 등 대규모 발전용 수요를 적극 개발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수소 사업 핵심 기술 확보를 통한 글로벌 수소 시장 공략도 병행한다. 이를 위해 수소 관련 원천 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 투자는 물론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 등을 통해 글로벌 수소 사업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 이를 기반으로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SK그룹은 올해 초 글로벌 수소시장 선도 기업 플러그파워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으며, 최근에는 세계 최초로 청정수소 생산체제를 구축한 미국 모놀리스에도 투자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수소 생산 옵션과 핵심기술을 발빠르게 확보하고 있다. SK그룹은 국내 수소 사업 추진 및 수소 생태계 구축으로 2025년까지 그룹 차원에서 30조원의 순자산가치를 추가로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SK그룹은 SK E&S의 액화수소 3만t 생산체제 달성을 위해 약 5000억원을 투자해 액화수소 생산기지를 건설한다. SK E&S는 인천시 서구 원창동 일대 SK인천석유화학단지 내 약 1만3000평의 부지를 매입해 연 3만t 규모 수소 액화플랜트를 2023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SK E&S가 생산하는 액화수소 3만t은 수소 승용차인 넥쏘 7만5000대가 동시에 지구 한바퀴를 도는 데 필요한 양에 달한다. 또 SK E&S는 대량 확보한 천연가스를 활용, 보령LNG터미널 인근지역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25만t 규모의 청정 수소를 추가로 생산할 계획이다. 작업용 차량과 산업 현장에서 수요가 늘고 있는 드론 등을 대상으로 수소 활용처를 확장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SK그룹 관계자는 “축적된 에너지 사업 역량을 친환경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해 결집,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청정에너지원 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수전해 기술 등 그린수소의 생산과 저장, 운송, 보관 등 전 과정의 특허 출원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수소 관련 기술 개발은 유럽연합(EU)과 일본이 주도했다. 미국은 주요 수소 기술 개발국의 지위를 유지했으나, 특허 신청 건수는 줄었다. 한국과 중국은 수소 기술 발전을 주도하는 상위 5개국으로 부상했다. 이런 내용은 국제에너지기구(IEA)와 유럽특허청(EPO)이 공동 작성해 10일 내놓은 수소 특허 보고서(Hydrogen patents for a clean energy patent)에 들어 있다.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은 “저탄소 에너지원으로 생산한 수소는, 장거리 운송이나 비료 생산처럼 화석연료를 대체할 대안이 많지 않은 분야에서 청정에너지 전환 역할을 잘 할 수 있다”고 평했다.  이 보고서는 2011~2020년 주요 수소기술 개발 동향을 ITFs(international patent families)의 관점에서 보여준다. 효용이 큰 기술 개발에 관한 특허를 2곳 이상의 특허 기관에 신청한 경우를 조사한 결과다. 안토니오 캠피노스 유럽 특허청장은 “수소의 잠재력 활용은 유럽의 2050년 탄소중립 달성 전략이 핵심”이라며 “다양한 기술 혁신이 시급하지만, 일부 고무적인 전환 패턴을 이 보고서는 보여준다”고 말했다. 저탄소 기술인 수전해 관련 특허 급증 현재 거의 모든 수소가 화석연료 개질(reforming)로 생산된다. 하지만 2011~2022년 중 출원된 수소 밸류체인 전반의 저탄소 기술 특허가 재래기술 관련 특허의 2배 이상이었다. 특히 수소 생산과 관련된 특허 출원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물을 전기분해 해서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 관련 특허 출원이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2020년 한 해 수전해 기술 관련 특허 출원이 전체 수소 관련 특허의 80%를 점했다. 수전해와 수소를 사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수소연료전지 분야의 특허 출원은 유럽 화학업계가 주도했다. 자동차 업계의 특허 출원도 활발했다. 수전해 기술 등 저탄소 수소 생산 기술을 중심으로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의 특허 출원도 13.5%에 달했다. 한국과 프랑스의 연구기관이 이런 흐름을 주도했다. 수소의 최종 소비 단계에서 혁신 잠재력이 큰 분야로 수소차가 오랫동안 주목을 받아왔다. 이 분야의 특허 출원은 일본이 주도하는 가운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화석연료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생산하는 수소환원제철 분야의 특허 출원도 증가세다. 미국, 특허출원 비중 3위지만 건수는 줄어 나라 별로는 EU가 전체 특허 출원의 28%를, 일본이 24%를 차지해 수소기술 혁신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EU 회원국 중 독일은 11%, 프랑스는 6%, 네덜란드는 3%를 점했다. 미국은 20%로 3위였으나 특허 출원 건수는 줄었다. 중국은 15.2%, 한국은 12.2%로 수소기술 특허 주요 출원국으로 부상했다. 영국과 스위스, 캐나다 등도 수소기술 특허 주요국에 이름을 올렸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코오롱그룹이 소재부품 분야 핵심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소산업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코오롱그룹은 기존 그룹사가 추진 중인 수소사업을 발전시키면서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수소사업과의 접점을 찾아 사업을 확장하는 등 수소경제 가치사슬(밸류체인)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코오롱그룹은 8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수소 비즈니스 서밋’(KOREA H2 Business Summit)에 참여해 수소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수소 솔루션 프로바이더가 되는데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웅열 전 코오롱그룹 회장의 장남인 이규호 부사장은 이날 행사를 통해 “코오롱은 2000년대 초부터 대한민국 수소산업의 미래를 내다보고 핵심소재 개발과 수소경제 저변 확대를 위해 꾸준히 준비해 왔다”며 “수소경제 전반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코오롱의 원앤온리(One&Only) 소재기술력으로 수소 솔루션 공급 역량을 확보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코오롱그룹은 이날 행사에 코오롱인더스트리를 포함해 코오롱글로벌, 코오롱글로텍, 코오롱플라스틱 등이 참여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수소연료전지 분야에서 오랜 기간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2006년 수소연료전지용 분리막 기술 연구를 시작한 이래 수소연료전지분야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사업을 넓히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주요 수소사업 제품은 수소연료전지용 수분제어장치와 고분자 전해질막(PEM), 막전극접합체(MEA)다.  수분제어장치는 수소연료전지의 전기가 잘 발생하도록 습도를 조절하는 부품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가 국내 최초로 양산해 현재 전 세계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현대차의 수소전기차인 넥쏘에도 공급 중이며 현재 대규모 증설도 추진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PEM은 올해 초 국내 최초로 양산 설비를 갖추고 사업 확장에 나섰다. PEM과 전극을 결합한 부품인 MEA는 수소연료전지 스택(전기발생장치) 원가의 40%를 차지하는 핵심 부품으로 코오롱인더스트리는 2023년까지 양산체제를 갖춘다는 계획이다. 코오롱글로벌은 육상·해상풍력발전 사업에 이어 풍력발전단지에서 발생하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그린수소(재생에너지에서 나온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 수소) 생산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풍력발전단지의 심야 전력을 활용한 수전해 기술로 물을 전기 분해해 그린수소를 생산한다.  특히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생산하는 수분제어장치와 MEA를 활용한 수소연료전지로 에너지저장시스템(ESS)를 구성하는 등 그룹사 간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코오롱글로텍은 토우프레그(Towpreg)·드라이와인딩(Dry winding)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소 저장과 운송에 필요한 압력용기 사업을 추진 중이다. 코오롱플라스틱은 주로 수소전기차용 연료전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하우징 부품·수소압력용기 국산화를 위한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장희구 코오롱인더스트리 사장은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등과 함께 수소 경제는 이미 우리 앞에 현실로 다가왔다”며 “수소연료전지를 필두로 수전해 기술을 활용한 수소 생산과 저장과 운송 등 2030년까지 수소사업 전반에서 매출 1조원을 목표를 달성해 핵심 소재부품 기업으로 위상을 다져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유럽연합(EU)의 수소경제 중점 전략이 수소차에서 철강 등 중화학공업의 탈탄소화에 수소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철강이나 시멘트, 화학 업종은 고열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액체나 기체 상태의 연료가 필요해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100% 전기로 전환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유럽연합은 이를 위해 지난 11월 29일 ‘수소전지 및 수소 공동 협의체(Fuel Cell and Hydrogen Joint Undertaking)’를 ‘청정수소 파트너쉽(Clean Hydrogen Partnership)’으로 개편했다. EU 집행위원회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개편 후 처음 열린 ‘청정수소 파트너쉽 행사’에서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청정수소 생산을 늘리고 사용 분야를 확대함으로써 수요와 공급의 선순환을 구축해 가격 하락을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EU 혁신 펀드(Innovation Fund)가 지원하는 7개 프로젝트 중 4개가 수소 관련 사업이라며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철 사업을 예로 들었다. 오스트리아 린츠의 철강 공장 또한 그린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 2월 스페인 전력회사 이베르드롤라와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출 벤처기업 H2 그린스틸은 그린수소 생산 설비 합작 투자에 합의했다. H2 그린스틸은 이 설비에서 생산된 그린수소를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수소환원제철 공법으로 철강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EU 전문매체 유랙티브 방송에 따르면 독일 싱그탱크 아고라 에네르기벤데의 수소 전문가 그니포미르 필리스는 “협의체의 이름을 변경한 것은 (수소 정책의) 우선순위가 운송 수단에서 논란이 적은 ‘후회 없는 적용(no regret application)’으로 전환된 것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후회없는 적용’은 독일의 한 싱크탱크가 ‘수소에 관한 12가지 이해(12 Insights on Hydroge)’라는 보고서에서 언급한 수소의 활용 방안으로 대규모 열 생산과 일반산업의 반응 유도 등 원료용, 친환경 예비 에너지, 장거리 항공운송, 해상운송 분야에 사용할 것을 권하고 있다. 수소차도 포기 안 해 미국의 전기차 전문매체 클린테크니카의 보도에 따르면 EU는 수소 충전소 증설 등 수소차 보급 정책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아디나 발린 EU 운송위원장은 새로운 대체연료 인프라 규정(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 Regulation)에 따라 2030년까지 범유럽 교통망인 TNT-T(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를 따라 적어도 150km에 하나씩 승용차와 트럭을 위한 수소 충전소가 설치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렇게 되면 2030년까지 6만 대의 대형 수소 트럭 운행을 지원할 만큼의 수소 충전소가 설치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TNT-T는 유럽 전역에 걸쳐 도로와 철도, 수로, 해양 항로, 항구, 공항, 철도 터미널을 연결하는 EU의 운송정책이다. 클린테크니카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TNT-T 이행을 위해 총 20억 달러를 지원받는다. 이 중 10억 유로는 에어버스와 MBW, BP, 이베르드롤라 등 315개 기업이 참여하는 수소 관련 기업 단체 하이드로젠유럽(Hydrogen Europe)이 지원한다. 그린수소 생산 가격 점차 하락 전망 유럽의 수소 정책을 뒷받침하려면 그린수소의 대량 생산이 필요하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기후정책을 총괄하는 프란스 티머만 EU 집행부원장은 EU와 주변국의 녹색수소 생산을 위한 전기분해 설비 용량이 2030년까지 역내 40기가와트, 주변국 40기가와트로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에너지지구(IEA)에 따르면 현재의 전기분해 설비 용량은 0.3기가와트 수준이다. EU 주변국 중 그린수소 생산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는 모로코와 우크라이나다. 그린수소의 생산 비용이 높은 것도 문제다. 수소 정책에 반대하는 전문가들은 그린수소 생산에 막대한 재생에너지 전력이 필요한데 생산 비용을 낮추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집행위원장은 그린수소 가격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현재 천연가스 가격 상승을 고려하면 그린수소가 그레이수소보다 싸다”며 2030년까지 녹색수소 생산 비용을 킬로그램당 1.8유로(약 2400원)보다 낮춘다는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그린수소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었으나, 가스 가격이 급등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그레이수소의 대부분은 천연가스를 고온, 고압에서 수증기와 화학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는 천연가스 개질 방식으로 생산된다. 반면에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사용해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다. IEA도 그린수소 생산비 하락 전망 IEA가 4일 발간된 ‘글로벌 하이드로젠 리뷰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킬로그램 당 0.5~1.7 달러 수준이다. 그레이수소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생산하는 블루수소는 1~2 달러, 그린수소는 3~8 달러의 생산 비용이 들어간다. IEA는 기술 발전과 규모의 경제로 그린수소 생산 비용이 2030년에는 킬로그램 당 1.3 달러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IEA는 수소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2050년까지 수소 사용량이 105 메가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이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필요한 200메가톤에 미치지 못하는 규모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0
지속가능경제
전 세계 '수소에너지' 확보전...국내 에너지기업들도 ‘합종연횡’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long
5-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유럽연합(EU)의 수소경제 중점 전략이 수소차에서 철강 등 중화학공업의 탈탄소화에 수소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철강이나 시멘트, 화학 업종은 고열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액체나 기체 상태의 연료가 필요해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100% 전기로 전환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유럽연합은 이를 위해 지난 11월 29일 ‘수소전지 및 수소 공동 협의체(Fuel Cell and Hydrogen Joint Undertaking)’를 ‘청정수소 파트너쉽(Clean Hydrogen Partnership)’으로 개편했다. EU 집행위원회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개편 후 처음 열린 ‘청정수소 파트너쉽 행사’에서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청정수소 생산을 늘리고 사용 분야를 확대함으로써 수요와 공급의 선순환을 구축해 가격 하락을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EU 혁신 펀드(Innovation Fund)가 지원하는 7개 프로젝트 중 4개가 수소 관련 사업이라며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철 사업을 예로 들었다. 오스트리아 린츠의 철강 공장 또한 그린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 2월 스페인 전력회사 이베르드롤라와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출 벤처기업 H2 그린스틸은 그린수소 생산 설비 합작 투자에 합의했다. H2 그린스틸은 이 설비에서 생산된 그린수소를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수소환원제철 공법으로 철강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EU 전문매체 유랙티브 방송에 따르면 독일 싱그탱크 아고라 에네르기벤데의 수소 전문가 그니포미르 필리스는 “협의체의 이름을 변경한 것은 (수소 정책의) 우선순위가 운송 수단에서 논란이 적은 ‘후회 없는 적용(no regret application)’으로 전환된 것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후회없는 적용’은 독일의 한 싱크탱크가 ‘수소에 관한 12가지 이해(12 Insights on Hydroge)’라는 보고서에서 언급한 수소의 활용 방안으로 대규모 열 생산과 일반산업의 반응 유도 등 원료용, 친환경 예비 에너지, 장거리 항공운송, 해상운송 분야에 사용할 것을 권하고 있다. 수소차도 포기 안 해 미국의 전기차 전문매체 클린테크니카의 보도에 따르면 EU는 수소 충전소 증설 등 수소차 보급 정책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아디나 발린 EU 운송위원장은 새로운 대체연료 인프라 규정(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 Regulation)에 따라 2030년까지 범유럽 교통망인 TNT-T(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를 따라 적어도 150km에 하나씩 승용차와 트럭을 위한 수소 충전소가 설치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렇게 되면 2030년까지 6만 대의 대형 수소 트럭 운행을 지원할 만큼의 수소 충전소가 설치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TNT-T는 유럽 전역에 걸쳐 도로와 철도, 수로, 해양 항로, 항구, 공항, 철도 터미널을 연결하는 EU의 운송정책이다. 클린테크니카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TNT-T 이행을 위해 총 20억 달러를 지원받는다. 이 중 10억 유로는 에어버스와 MBW, BP, 이베르드롤라 등 315개 기업이 참여하는 수소 관련 기업 단체 하이드로젠유럽(Hydrogen Europe)이 지원한다. 그린수소 생산 가격 점차 하락 전망 유럽의 수소 정책을 뒷받침하려면 그린수소의 대량 생산이 필요하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기후정책을 총괄하는 프란스 티머만 EU 집행부원장은 EU와 주변국의 녹색수소 생산을 위한 전기분해 설비 용량이 2030년까지 역내 40기가와트, 주변국 40기가와트로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에너지지구(IEA)에 따르면 현재의 전기분해 설비 용량은 0.3기가와트 수준이다. EU 주변국 중 그린수소 생산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는 모로코와 우크라이나다. 그린수소의 생산 비용이 높은 것도 문제다. 수소 정책에 반대하는 전문가들은 그린수소 생산에 막대한 재생에너지 전력이 필요한데 생산 비용을 낮추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집행위원장은 그린수소 가격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현재 천연가스 가격 상승을 고려하면 그린수소가 그레이수소보다 싸다”며 2030년까지 녹색수소 생산 비용을 킬로그램당 1.8유로(약 2400원)보다 낮춘다는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그린수소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었으나, 가스 가격이 급등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그레이수소의 대부분은 천연가스를 고온, 고압에서 수증기와 화학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는 천연가스 개질 방식으로 생산된다. 반면에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사용해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다. IEA도 그린수소 생산비 하락 전망 IEA가 4일 발간된 ‘글로벌 하이드로젠 리뷰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킬로그램 당 0.5~1.7 달러 수준이다. 그레이수소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생산하는 블루수소는 1~2 달러, 그린수소는 3~8 달러의 생산 비용이 들어간다. IEA는 기술 발전과 규모의 경제로 그린수소 생산 비용이 2030년에는 킬로그램 당 1.3 달러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IEA는 수소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2050년까지 수소 사용량이 105 메가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이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필요한 200메가톤에 미치지 못하는 규모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코오롱그룹이 소재부품 분야 핵심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소산업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코오롱그룹은 기존 그룹사가 추진 중인 수소사업을 발전시키면서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수소사업과의 접점을 찾아 사업을 확장하는 등 수소경제 가치사슬(밸류체인)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코오롱그룹은 8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수소 비즈니스 서밋’(KOREA H2 Business Summit)에 참여해 수소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수소 솔루션 프로바이더가 되는데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웅열 전 코오롱그룹 회장의 장남인 이규호 부사장은 이날 행사를 통해 “코오롱은 2000년대 초부터 대한민국 수소산업의 미래를 내다보고 핵심소재 개발과 수소경제 저변 확대를 위해 꾸준히 준비해 왔다”며 “수소경제 전반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코오롱의 원앤온리(One&Only) 소재기술력으로 수소 솔루션 공급 역량을 확보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코오롱그룹은 이날 행사에 코오롱인더스트리를 포함해 코오롱글로벌, 코오롱글로텍, 코오롱플라스틱 등이 참여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수소연료전지 분야에서 오랜 기간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2006년 수소연료전지용 분리막 기술 연구를 시작한 이래 수소연료전지분야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사업을 넓히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주요 수소사업 제품은 수소연료전지용 수분제어장치와 고분자 전해질막(PEM), 막전극접합체(MEA)다.  수분제어장치는 수소연료전지의 전기가 잘 발생하도록 습도를 조절하는 부품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가 국내 최초로 양산해 현재 전 세계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현대차의 수소전기차인 넥쏘에도 공급 중이며 현재 대규모 증설도 추진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PEM은 올해 초 국내 최초로 양산 설비를 갖추고 사업 확장에 나섰다. PEM과 전극을 결합한 부품인 MEA는 수소연료전지 스택(전기발생장치) 원가의 40%를 차지하는 핵심 부품으로 코오롱인더스트리는 2023년까지 양산체제를 갖춘다는 계획이다. 코오롱글로벌은 육상·해상풍력발전 사업에 이어 풍력발전단지에서 발생하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그린수소(재생에너지에서 나온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 수소) 생산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풍력발전단지의 심야 전력을 활용한 수전해 기술로 물을 전기 분해해 그린수소를 생산한다.  특히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생산하는 수분제어장치와 MEA를 활용한 수소연료전지로 에너지저장시스템(ESS)를 구성하는 등 그룹사 간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코오롱글로텍은 토우프레그(Towpreg)·드라이와인딩(Dry winding)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소 저장과 운송에 필요한 압력용기 사업을 추진 중이다. 코오롱플라스틱은 주로 수소전기차용 연료전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하우징 부품·수소압력용기 국산화를 위한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장희구 코오롱인더스트리 사장은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등과 함께 수소 경제는 이미 우리 앞에 현실로 다가왔다”며 “수소연료전지를 필두로 수전해 기술을 활용한 수소 생산과 저장과 운송 등 2030년까지 수소사업 전반에서 매출 1조원을 목표를 달성해 핵심 소재부품 기업으로 위상을 다져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청정에너지원 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수전해 기술 등 그린수소의 생산과 저장, 운송, 보관 등 전 과정의 특허 출원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수소 관련 기술 개발은 유럽연합(EU)과 일본이 주도했다. 미국은 주요 수소 기술 개발국의 지위를 유지했으나, 특허 신청 건수는 줄었다. 한국과 중국은 수소 기술 발전을 주도하는 상위 5개국으로 부상했다. 이런 내용은 국제에너지기구(IEA)와 유럽특허청(EPO)이 공동 작성해 10일 내놓은 수소 특허 보고서(Hydrogen patents for a clean energy patent)에 들어 있다.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은 “저탄소 에너지원으로 생산한 수소는, 장거리 운송이나 비료 생산처럼 화석연료를 대체할 대안이 많지 않은 분야에서 청정에너지 전환 역할을 잘 할 수 있다”고 평했다.  이 보고서는 2011~2020년 주요 수소기술 개발 동향을 ITFs(international patent families)의 관점에서 보여준다. 효용이 큰 기술 개발에 관한 특허를 2곳 이상의 특허 기관에 신청한 경우를 조사한 결과다. 안토니오 캠피노스 유럽 특허청장은 “수소의 잠재력 활용은 유럽의 2050년 탄소중립 달성 전략이 핵심”이라며 “다양한 기술 혁신이 시급하지만, 일부 고무적인 전환 패턴을 이 보고서는 보여준다”고 말했다. 저탄소 기술인 수전해 관련 특허 급증 현재 거의 모든 수소가 화석연료 개질(reforming)로 생산된다. 하지만 2011~2022년 중 출원된 수소 밸류체인 전반의 저탄소 기술 특허가 재래기술 관련 특허의 2배 이상이었다. 특히 수소 생산과 관련된 특허 출원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물을 전기분해 해서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 관련 특허 출원이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2020년 한 해 수전해 기술 관련 특허 출원이 전체 수소 관련 특허의 80%를 점했다. 수전해와 수소를 사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수소연료전지 분야의 특허 출원은 유럽 화학업계가 주도했다. 자동차 업계의 특허 출원도 활발했다. 수전해 기술 등 저탄소 수소 생산 기술을 중심으로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의 특허 출원도 13.5%에 달했다. 한국과 프랑스의 연구기관이 이런 흐름을 주도했다. 수소의 최종 소비 단계에서 혁신 잠재력이 큰 분야로 수소차가 오랫동안 주목을 받아왔다. 이 분야의 특허 출원은 일본이 주도하는 가운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화석연료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생산하는 수소환원제철 분야의 특허 출원도 증가세다. 미국, 특허출원 비중 3위지만 건수는 줄어 나라 별로는 EU가 전체 특허 출원의 28%를, 일본이 24%를 차지해 수소기술 혁신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EU 회원국 중 독일은 11%, 프랑스는 6%, 네덜란드는 3%를 점했다. 미국은 20%로 3위였으나 특허 출원 건수는 줄었다. 중국은 15.2%, 한국은 12.2%로 수소기술 특허 주요 출원국으로 부상했다. 영국과 스위스, 캐나다 등도 수소기술 특허 주요국에 이름을 올렸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SK그룹이 18조5000억원의 대규모 투자를 집행해 수소 사업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SK의 투자규모는 수소기업협의체 15개 회원사 중 가장 큰 규모다. 8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수소모빌리티+쇼에 참석한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수소 산업은 기후변화 대응 뿐만 아니라 한국의 새로운 산업이 돼 미래 일자리 창출 등 사회 기여와 나아가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한 경제 기여도 가능하다”며 “수소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SK그룹도 중추적인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SK그룹은 장기적으로 태양광, 풍력 등 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수소의 대량 공급 체계를 완성한다. 이를 통해 SK그룹은 국내에서만 연간 총 28만t의 친환경 수소를 생산·공급하는 글로벌 1위 친환경 수소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수소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SK에너지의 주유소와 화물 운송 트럭 휴게소 등을 그린에너지 서비스 허브로 활용, 차량용으로 공급하는 한편 연료전지 발전소 등 대규모 발전용 수요를 적극 개발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수소 사업 핵심 기술 확보를 통한 글로벌 수소 시장 공략도 병행한다. 이를 위해 수소 관련 원천 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 투자는 물론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 등을 통해 글로벌 수소 사업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 이를 기반으로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SK그룹은 올해 초 글로벌 수소시장 선도 기업 플러그파워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으며, 최근에는 세계 최초로 청정수소 생산체제를 구축한 미국 모놀리스에도 투자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수소 생산 옵션과 핵심기술을 발빠르게 확보하고 있다. SK그룹은 국내 수소 사업 추진 및 수소 생태계 구축으로 2025년까지 그룹 차원에서 30조원의 순자산가치를 추가로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SK그룹은 SK E&S의 액화수소 3만t 생산체제 달성을 위해 약 5000억원을 투자해 액화수소 생산기지를 건설한다. SK E&S는 인천시 서구 원창동 일대 SK인천석유화학단지 내 약 1만3000평의 부지를 매입해 연 3만t 규모 수소 액화플랜트를 2023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SK E&S가 생산하는 액화수소 3만t은 수소 승용차인 넥쏘 7만5000대가 동시에 지구 한바퀴를 도는 데 필요한 양에 달한다. 또 SK E&S는 대량 확보한 천연가스를 활용, 보령LNG터미널 인근지역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25만t 규모의 청정 수소를 추가로 생산할 계획이다. 작업용 차량과 산업 현장에서 수요가 늘고 있는 드론 등을 대상으로 수소 활용처를 확장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SK그룹 관계자는 “축적된 에너지 사업 역량을 친환경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해 결집,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국내 석탄화력 발전 공기업들이 석탄발전을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으로의 전환을 선언해 '2050 탄소중립'에 한발 더 다가섰다. 한전과 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발전공기업은 1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 2021'(BIXPO 2021) 개막식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오는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공동으로 선언했다. 또한 대규모 해상풍력, 차세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사업 개발을 주도하고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공동 연구개발과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내용의 탄소중립 비전인 '제로 포 그린(ZERO for Green)'을 발표했다. 대규모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개발 주도 전력공기업은 재생에너지, 수소 등 탄소배출이 없는 발전원으로 과감히 전환해 발전 분야 탄소배출을 '제로'(0)화하기로 했다. 공정하고 질서 있는 감축 방안을 마련해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고, 민간기업 참여만으로는 활성화가 어려운 대규모 해상풍력이나 차세대 태양광 등 자본·기술집약적 사업 개발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암모니아, 그린수소 등 수소 기반 발전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관련해 전력공기업은 공동의 기술개발 전략과 이행방안을 담은 '탄소중립 기술개발전략'을 수립해 발표했다. 터빈 대형화 및 대규모 단지 시공 기술 등을 개발해 2030년까지 해상풍력의 균등화발전단가(LCOE)를 현행 대비 40% 이상 절감한 ㎾h당 150원으로 낮추기로 했고, 또한 수전해 기술을 중점 개발해 그린수소의 생산 효율을 현재의 65% 수준에서 2030년까지 8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연료 전환을 위해선 2027년까지 20% 암모니아 혼소를 실증하고 2028년까지 50% 수소 혼소 기술을 개발한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도 2030년까지 석탄화력 500㎿, 가스화력 150㎿급으로 상용화해 포집 비용을 현재의 50% 수준인 t(톤)당 30달러까지 낮춘다는 목표도 세웠다. 미국‧일본 등 석탄화력 비중 단계적 축소 목표 수립 세계적으로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2020년 상반기에 발표된 KEA에너지 이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설비 18.3GW가 증설되고, 21.2GW가 폐쇄돼 역대 처음으로 석탄화력 설비용량이 2.9GW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2019년 연간 에너지 소비 통계에서 미국의 재생에너지 소비가 1885년 이래 처음으로 석탄 소비를 역전했다고 보고했다. 미국의 2019년 석탄 소비는 2억 8097만toe로 전년대비 약 15%가 감소했고, 재생에너지 소비는 2억 8475만toe로 전년대비 약 1%가 증가했다. 또한 미국에서는 2050년까지 미국의 전력 생산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석탄, 천연가스 및 원자력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에너지 소비의 38%는 재생에너지가, 나머지 36%는 천연가스, 석탄이 13%, 원자력이 12% 순으로 그 뒤를 이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본에서도 2019년 석탄의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발전용·산업용 석탄 수요가 모두 감소했다. 2018년 대비 5% 줄어든 1억 1715만toe 정도였다. 또 일본은 노후된 석탄화력 발전소 약 100기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가동 중단 및 폐지를 추진한다. 석탄발전소의 가동 중단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18년 기준 17%에서 2030년 22~24%까지 상향 목표를 잡았다. 중국은 2016년에 발표한 전력부문 계획에서 1차 에너지 중 석탄 비중 축소 목표인 55% 이하를 3년 앞당겨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2019년 국가 에너지국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석탄발전설비 20GW를 퇴출시킴으로서 감축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석탄 소비가 2022년 이후 정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67%에서 2024년 59%로 낮아질 전망이다. 석탄수요 역시 중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에 따른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으로 인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탈석탄 정책 잇따르는 EU EU에서도 탈석탄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비영리 탄소시장 정책 분석기관인 샌드백(Sandbag) 역시 풍력과 태양광 발전용량이 크게 늘어난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석탄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고 밝혔다. 독일은 탈석탄 공론화 위원회 권고를 정부가 받아들여 2020년 7월 탈석탄법을 통과시키고 2038년까지 탈석탄 및 2035년 조기달성 목표를 수립했다. 독일은 지난 20년 간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법제를 수립한 결과, 2018년 전력소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이 2010년 대비 5.9배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영국은 2050 탄소중립 목표의 법제화와 함께 2025년 탈석탄을 목표로 석탄발전소 전면 폐쇄를 계획하고 있다. 탈석탄에 따른 부족한 발전용량을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대체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30GW의 해상풍력 설비를 확충한다. 네덜란드는 2018년 6월 CO2 배출량 감축 목표를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49% 감축한다고 밝혔으며, 2050년까지 95%를 감축한다는 계획을 담은 최초의 국가기후변화법을 통과시켰다. 또 기후변화 법에 따라 노후 석탄발전소 2기를 2024년에 철거하고, 신규 발전소 3기를 2030년까지 대체연료 발전소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 지난해 정부의 9차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전체 65개(건설 중 7개 포함)의 석탄발전소 중 2034년까지 30개 석탄발전소를 폐지하고 이 중 24개를 액화천연가스(LNG)복합발전소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0
지속가능경제
전 세계 '수소에너지' 확보전...국내 에너지기업들도 ‘합종연횡’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long
5-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국내 석탄화력 발전 공기업들이 석탄발전을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으로의 전환을 선언해 '2050 탄소중립'에 한발 더 다가섰다. 한전과 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발전공기업은 1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 2021'(BIXPO 2021) 개막식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오는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공동으로 선언했다. 또한 대규모 해상풍력, 차세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사업 개발을 주도하고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공동 연구개발과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내용의 탄소중립 비전인 '제로 포 그린(ZERO for Green)'을 발표했다. 대규모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개발 주도 전력공기업은 재생에너지, 수소 등 탄소배출이 없는 발전원으로 과감히 전환해 발전 분야 탄소배출을 '제로'(0)화하기로 했다. 공정하고 질서 있는 감축 방안을 마련해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고, 민간기업 참여만으로는 활성화가 어려운 대규모 해상풍력이나 차세대 태양광 등 자본·기술집약적 사업 개발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암모니아, 그린수소 등 수소 기반 발전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관련해 전력공기업은 공동의 기술개발 전략과 이행방안을 담은 '탄소중립 기술개발전략'을 수립해 발표했다. 터빈 대형화 및 대규모 단지 시공 기술 등을 개발해 2030년까지 해상풍력의 균등화발전단가(LCOE)를 현행 대비 40% 이상 절감한 ㎾h당 150원으로 낮추기로 했고, 또한 수전해 기술을 중점 개발해 그린수소의 생산 효율을 현재의 65% 수준에서 2030년까지 8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연료 전환을 위해선 2027년까지 20% 암모니아 혼소를 실증하고 2028년까지 50% 수소 혼소 기술을 개발한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도 2030년까지 석탄화력 500㎿, 가스화력 150㎿급으로 상용화해 포집 비용을 현재의 50% 수준인 t(톤)당 30달러까지 낮춘다는 목표도 세웠다. 미국‧일본 등 석탄화력 비중 단계적 축소 목표 수립 세계적으로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2020년 상반기에 발표된 KEA에너지 이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설비 18.3GW가 증설되고, 21.2GW가 폐쇄돼 역대 처음으로 석탄화력 설비용량이 2.9GW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2019년 연간 에너지 소비 통계에서 미국의 재생에너지 소비가 1885년 이래 처음으로 석탄 소비를 역전했다고 보고했다. 미국의 2019년 석탄 소비는 2억 8097만toe로 전년대비 약 15%가 감소했고, 재생에너지 소비는 2억 8475만toe로 전년대비 약 1%가 증가했다. 또한 미국에서는 2050년까지 미국의 전력 생산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석탄, 천연가스 및 원자력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에너지 소비의 38%는 재생에너지가, 나머지 36%는 천연가스, 석탄이 13%, 원자력이 12% 순으로 그 뒤를 이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본에서도 2019년 석탄의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발전용·산업용 석탄 수요가 모두 감소했다. 2018년 대비 5% 줄어든 1억 1715만toe 정도였다. 또 일본은 노후된 석탄화력 발전소 약 100기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가동 중단 및 폐지를 추진한다. 석탄발전소의 가동 중단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18년 기준 17%에서 2030년 22~24%까지 상향 목표를 잡았다. 중국은 2016년에 발표한 전력부문 계획에서 1차 에너지 중 석탄 비중 축소 목표인 55% 이하를 3년 앞당겨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2019년 국가 에너지국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석탄발전설비 20GW를 퇴출시킴으로서 감축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석탄 소비가 2022년 이후 정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67%에서 2024년 59%로 낮아질 전망이다. 석탄수요 역시 중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에 따른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으로 인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탈석탄 정책 잇따르는 EU EU에서도 탈석탄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비영리 탄소시장 정책 분석기관인 샌드백(Sandbag) 역시 풍력과 태양광 발전용량이 크게 늘어난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석탄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고 밝혔다. 독일은 탈석탄 공론화 위원회 권고를 정부가 받아들여 2020년 7월 탈석탄법을 통과시키고 2038년까지 탈석탄 및 2035년 조기달성 목표를 수립했다. 독일은 지난 20년 간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법제를 수립한 결과, 2018년 전력소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이 2010년 대비 5.9배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영국은 2050 탄소중립 목표의 법제화와 함께 2025년 탈석탄을 목표로 석탄발전소 전면 폐쇄를 계획하고 있다. 탈석탄에 따른 부족한 발전용량을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대체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30GW의 해상풍력 설비를 확충한다. 네덜란드는 2018년 6월 CO2 배출량 감축 목표를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49% 감축한다고 밝혔으며, 2050년까지 95%를 감축한다는 계획을 담은 최초의 국가기후변화법을 통과시켰다. 또 기후변화 법에 따라 노후 석탄발전소 2기를 2024년에 철거하고, 신규 발전소 3기를 2030년까지 대체연료 발전소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 지난해 정부의 9차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전체 65개(건설 중 7개 포함)의 석탄발전소 중 2034년까지 30개 석탄발전소를 폐지하고 이 중 24개를 액화천연가스(LNG)복합발전소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SK그룹이 18조5000억원의 대규모 투자를 집행해 수소 사업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SK의 투자규모는 수소기업협의체 15개 회원사 중 가장 큰 규모다. 8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수소모빌리티+쇼에 참석한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수소 산업은 기후변화 대응 뿐만 아니라 한국의 새로운 산업이 돼 미래 일자리 창출 등 사회 기여와 나아가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한 경제 기여도 가능하다”며 “수소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SK그룹도 중추적인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SK그룹은 장기적으로 태양광, 풍력 등 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수소의 대량 공급 체계를 완성한다. 이를 통해 SK그룹은 국내에서만 연간 총 28만t의 친환경 수소를 생산·공급하는 글로벌 1위 친환경 수소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수소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SK에너지의 주유소와 화물 운송 트럭 휴게소 등을 그린에너지 서비스 허브로 활용, 차량용으로 공급하는 한편 연료전지 발전소 등 대규모 발전용 수요를 적극 개발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수소 사업 핵심 기술 확보를 통한 글로벌 수소 시장 공략도 병행한다. 이를 위해 수소 관련 원천 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 투자는 물론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 등을 통해 글로벌 수소 사업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 이를 기반으로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SK그룹은 올해 초 글로벌 수소시장 선도 기업 플러그파워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으며, 최근에는 세계 최초로 청정수소 생산체제를 구축한 미국 모놀리스에도 투자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수소 생산 옵션과 핵심기술을 발빠르게 확보하고 있다. SK그룹은 국내 수소 사업 추진 및 수소 생태계 구축으로 2025년까지 그룹 차원에서 30조원의 순자산가치를 추가로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SK그룹은 SK E&S의 액화수소 3만t 생산체제 달성을 위해 약 5000억원을 투자해 액화수소 생산기지를 건설한다. SK E&S는 인천시 서구 원창동 일대 SK인천석유화학단지 내 약 1만3000평의 부지를 매입해 연 3만t 규모 수소 액화플랜트를 2023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SK E&S가 생산하는 액화수소 3만t은 수소 승용차인 넥쏘 7만5000대가 동시에 지구 한바퀴를 도는 데 필요한 양에 달한다. 또 SK E&S는 대량 확보한 천연가스를 활용, 보령LNG터미널 인근지역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25만t 규모의 청정 수소를 추가로 생산할 계획이다. 작업용 차량과 산업 현장에서 수요가 늘고 있는 드론 등을 대상으로 수소 활용처를 확장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SK그룹 관계자는 “축적된 에너지 사업 역량을 친환경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해 결집,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청정에너지원 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수전해 기술 등 그린수소의 생산과 저장, 운송, 보관 등 전 과정의 특허 출원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수소 관련 기술 개발은 유럽연합(EU)과 일본이 주도했다. 미국은 주요 수소 기술 개발국의 지위를 유지했으나, 특허 신청 건수는 줄었다. 한국과 중국은 수소 기술 발전을 주도하는 상위 5개국으로 부상했다. 이런 내용은 국제에너지기구(IEA)와 유럽특허청(EPO)이 공동 작성해 10일 내놓은 수소 특허 보고서(Hydrogen patents for a clean energy patent)에 들어 있다.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은 “저탄소 에너지원으로 생산한 수소는, 장거리 운송이나 비료 생산처럼 화석연료를 대체할 대안이 많지 않은 분야에서 청정에너지 전환 역할을 잘 할 수 있다”고 평했다.  이 보고서는 2011~2020년 주요 수소기술 개발 동향을 ITFs(international patent families)의 관점에서 보여준다. 효용이 큰 기술 개발에 관한 특허를 2곳 이상의 특허 기관에 신청한 경우를 조사한 결과다. 안토니오 캠피노스 유럽 특허청장은 “수소의 잠재력 활용은 유럽의 2050년 탄소중립 달성 전략이 핵심”이라며 “다양한 기술 혁신이 시급하지만, 일부 고무적인 전환 패턴을 이 보고서는 보여준다”고 말했다. 저탄소 기술인 수전해 관련 특허 급증 현재 거의 모든 수소가 화석연료 개질(reforming)로 생산된다. 하지만 2011~2022년 중 출원된 수소 밸류체인 전반의 저탄소 기술 특허가 재래기술 관련 특허의 2배 이상이었다. 특히 수소 생산과 관련된 특허 출원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물을 전기분해 해서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 관련 특허 출원이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2020년 한 해 수전해 기술 관련 특허 출원이 전체 수소 관련 특허의 80%를 점했다. 수전해와 수소를 사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수소연료전지 분야의 특허 출원은 유럽 화학업계가 주도했다. 자동차 업계의 특허 출원도 활발했다. 수전해 기술 등 저탄소 수소 생산 기술을 중심으로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의 특허 출원도 13.5%에 달했다. 한국과 프랑스의 연구기관이 이런 흐름을 주도했다. 수소의 최종 소비 단계에서 혁신 잠재력이 큰 분야로 수소차가 오랫동안 주목을 받아왔다. 이 분야의 특허 출원은 일본이 주도하는 가운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화석연료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생산하는 수소환원제철 분야의 특허 출원도 증가세다. 미국, 특허출원 비중 3위지만 건수는 줄어 나라 별로는 EU가 전체 특허 출원의 28%를, 일본이 24%를 차지해 수소기술 혁신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EU 회원국 중 독일은 11%, 프랑스는 6%, 네덜란드는 3%를 점했다. 미국은 20%로 3위였으나 특허 출원 건수는 줄었다. 중국은 15.2%, 한국은 12.2%로 수소기술 특허 주요 출원국으로 부상했다. 영국과 스위스, 캐나다 등도 수소기술 특허 주요국에 이름을 올렸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코오롱그룹이 소재부품 분야 핵심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소산업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코오롱그룹은 기존 그룹사가 추진 중인 수소사업을 발전시키면서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수소사업과의 접점을 찾아 사업을 확장하는 등 수소경제 가치사슬(밸류체인)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코오롱그룹은 8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수소 비즈니스 서밋’(KOREA H2 Business Summit)에 참여해 수소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수소 솔루션 프로바이더가 되는데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웅열 전 코오롱그룹 회장의 장남인 이규호 부사장은 이날 행사를 통해 “코오롱은 2000년대 초부터 대한민국 수소산업의 미래를 내다보고 핵심소재 개발과 수소경제 저변 확대를 위해 꾸준히 준비해 왔다”며 “수소경제 전반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코오롱의 원앤온리(One&Only) 소재기술력으로 수소 솔루션 공급 역량을 확보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코오롱그룹은 이날 행사에 코오롱인더스트리를 포함해 코오롱글로벌, 코오롱글로텍, 코오롱플라스틱 등이 참여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수소연료전지 분야에서 오랜 기간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2006년 수소연료전지용 분리막 기술 연구를 시작한 이래 수소연료전지분야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사업을 넓히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주요 수소사업 제품은 수소연료전지용 수분제어장치와 고분자 전해질막(PEM), 막전극접합체(MEA)다.  수분제어장치는 수소연료전지의 전기가 잘 발생하도록 습도를 조절하는 부품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가 국내 최초로 양산해 현재 전 세계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현대차의 수소전기차인 넥쏘에도 공급 중이며 현재 대규모 증설도 추진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PEM은 올해 초 국내 최초로 양산 설비를 갖추고 사업 확장에 나섰다. PEM과 전극을 결합한 부품인 MEA는 수소연료전지 스택(전기발생장치) 원가의 40%를 차지하는 핵심 부품으로 코오롱인더스트리는 2023년까지 양산체제를 갖춘다는 계획이다. 코오롱글로벌은 육상·해상풍력발전 사업에 이어 풍력발전단지에서 발생하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그린수소(재생에너지에서 나온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 수소) 생산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풍력발전단지의 심야 전력을 활용한 수전해 기술로 물을 전기 분해해 그린수소를 생산한다.  특히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생산하는 수분제어장치와 MEA를 활용한 수소연료전지로 에너지저장시스템(ESS)를 구성하는 등 그룹사 간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코오롱글로텍은 토우프레그(Towpreg)·드라이와인딩(Dry winding)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소 저장과 운송에 필요한 압력용기 사업을 추진 중이다. 코오롱플라스틱은 주로 수소전기차용 연료전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하우징 부품·수소압력용기 국산화를 위한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장희구 코오롱인더스트리 사장은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등과 함께 수소 경제는 이미 우리 앞에 현실로 다가왔다”며 “수소연료전지를 필두로 수전해 기술을 활용한 수소 생산과 저장과 운송 등 2030년까지 수소사업 전반에서 매출 1조원을 목표를 달성해 핵심 소재부품 기업으로 위상을 다져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유럽연합(EU)의 수소경제 중점 전략이 수소차에서 철강 등 중화학공업의 탈탄소화에 수소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철강이나 시멘트, 화학 업종은 고열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액체나 기체 상태의 연료가 필요해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100% 전기로 전환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유럽연합은 이를 위해 지난 11월 29일 ‘수소전지 및 수소 공동 협의체(Fuel Cell and Hydrogen Joint Undertaking)’를 ‘청정수소 파트너쉽(Clean Hydrogen Partnership)’으로 개편했다. EU 집행위원회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개편 후 처음 열린 ‘청정수소 파트너쉽 행사’에서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청정수소 생산을 늘리고 사용 분야를 확대함으로써 수요와 공급의 선순환을 구축해 가격 하락을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EU 혁신 펀드(Innovation Fund)가 지원하는 7개 프로젝트 중 4개가 수소 관련 사업이라며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철 사업을 예로 들었다. 오스트리아 린츠의 철강 공장 또한 그린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 2월 스페인 전력회사 이베르드롤라와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출 벤처기업 H2 그린스틸은 그린수소 생산 설비 합작 투자에 합의했다. H2 그린스틸은 이 설비에서 생산된 그린수소를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수소환원제철 공법으로 철강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EU 전문매체 유랙티브 방송에 따르면 독일 싱그탱크 아고라 에네르기벤데의 수소 전문가 그니포미르 필리스는 “협의체의 이름을 변경한 것은 (수소 정책의) 우선순위가 운송 수단에서 논란이 적은 ‘후회 없는 적용(no regret application)’으로 전환된 것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후회없는 적용’은 독일의 한 싱크탱크가 ‘수소에 관한 12가지 이해(12 Insights on Hydroge)’라는 보고서에서 언급한 수소의 활용 방안으로 대규모 열 생산과 일반산업의 반응 유도 등 원료용, 친환경 예비 에너지, 장거리 항공운송, 해상운송 분야에 사용할 것을 권하고 있다. 수소차도 포기 안 해 미국의 전기차 전문매체 클린테크니카의 보도에 따르면 EU는 수소 충전소 증설 등 수소차 보급 정책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아디나 발린 EU 운송위원장은 새로운 대체연료 인프라 규정(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 Regulation)에 따라 2030년까지 범유럽 교통망인 TNT-T(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를 따라 적어도 150km에 하나씩 승용차와 트럭을 위한 수소 충전소가 설치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렇게 되면 2030년까지 6만 대의 대형 수소 트럭 운행을 지원할 만큼의 수소 충전소가 설치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TNT-T는 유럽 전역에 걸쳐 도로와 철도, 수로, 해양 항로, 항구, 공항, 철도 터미널을 연결하는 EU의 운송정책이다. 클린테크니카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TNT-T 이행을 위해 총 20억 달러를 지원받는다. 이 중 10억 유로는 에어버스와 MBW, BP, 이베르드롤라 등 315개 기업이 참여하는 수소 관련 기업 단체 하이드로젠유럽(Hydrogen Europe)이 지원한다. 그린수소 생산 가격 점차 하락 전망 유럽의 수소 정책을 뒷받침하려면 그린수소의 대량 생산이 필요하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기후정책을 총괄하는 프란스 티머만 EU 집행부원장은 EU와 주변국의 녹색수소 생산을 위한 전기분해 설비 용량이 2030년까지 역내 40기가와트, 주변국 40기가와트로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에너지지구(IEA)에 따르면 현재의 전기분해 설비 용량은 0.3기가와트 수준이다. EU 주변국 중 그린수소 생산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는 모로코와 우크라이나다. 그린수소의 생산 비용이 높은 것도 문제다. 수소 정책에 반대하는 전문가들은 그린수소 생산에 막대한 재생에너지 전력이 필요한데 생산 비용을 낮추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집행위원장은 그린수소 가격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현재 천연가스 가격 상승을 고려하면 그린수소가 그레이수소보다 싸다”며 2030년까지 녹색수소 생산 비용을 킬로그램당 1.8유로(약 2400원)보다 낮춘다는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그린수소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었으나, 가스 가격이 급등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그레이수소의 대부분은 천연가스를 고온, 고압에서 수증기와 화학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는 천연가스 개질 방식으로 생산된다. 반면에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사용해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다. IEA도 그린수소 생산비 하락 전망 IEA가 4일 발간된 ‘글로벌 하이드로젠 리뷰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킬로그램 당 0.5~1.7 달러 수준이다. 그레이수소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생산하는 블루수소는 1~2 달러, 그린수소는 3~8 달러의 생산 비용이 들어간다. IEA는 기술 발전과 규모의 경제로 그린수소 생산 비용이 2030년에는 킬로그램 당 1.3 달러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IEA는 수소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2050년까지 수소 사용량이 105 메가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이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필요한 200메가톤에 미치지 못하는 규모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0
지속가능경제
전 세계 '수소에너지' 확보전...국내 에너지기업들도 ‘합종연횡’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long
5-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유럽연합(EU)의 수소경제 중점 전략이 수소차에서 철강 등 중화학공업의 탈탄소화에 수소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철강이나 시멘트, 화학 업종은 고열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액체나 기체 상태의 연료가 필요해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100% 전기로 전환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유럽연합은 이를 위해 지난 11월 29일 ‘수소전지 및 수소 공동 협의체(Fuel Cell and Hydrogen Joint Undertaking)’를 ‘청정수소 파트너쉽(Clean Hydrogen Partnership)’으로 개편했다. EU 집행위원회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개편 후 처음 열린 ‘청정수소 파트너쉽 행사’에서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청정수소 생산을 늘리고 사용 분야를 확대함으로써 수요와 공급의 선순환을 구축해 가격 하락을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EU 혁신 펀드(Innovation Fund)가 지원하는 7개 프로젝트 중 4개가 수소 관련 사업이라며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철 사업을 예로 들었다. 오스트리아 린츠의 철강 공장 또한 그린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 2월 스페인 전력회사 이베르드롤라와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출 벤처기업 H2 그린스틸은 그린수소 생산 설비 합작 투자에 합의했다. H2 그린스틸은 이 설비에서 생산된 그린수소를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수소환원제철 공법으로 철강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EU 전문매체 유랙티브 방송에 따르면 독일 싱그탱크 아고라 에네르기벤데의 수소 전문가 그니포미르 필리스는 “협의체의 이름을 변경한 것은 (수소 정책의) 우선순위가 운송 수단에서 논란이 적은 ‘후회 없는 적용(no regret application)’으로 전환된 것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후회없는 적용’은 독일의 한 싱크탱크가 ‘수소에 관한 12가지 이해(12 Insights on Hydroge)’라는 보고서에서 언급한 수소의 활용 방안으로 대규모 열 생산과 일반산업의 반응 유도 등 원료용, 친환경 예비 에너지, 장거리 항공운송, 해상운송 분야에 사용할 것을 권하고 있다. 수소차도 포기 안 해 미국의 전기차 전문매체 클린테크니카의 보도에 따르면 EU는 수소 충전소 증설 등 수소차 보급 정책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아디나 발린 EU 운송위원장은 새로운 대체연료 인프라 규정(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 Regulation)에 따라 2030년까지 범유럽 교통망인 TNT-T(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를 따라 적어도 150km에 하나씩 승용차와 트럭을 위한 수소 충전소가 설치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렇게 되면 2030년까지 6만 대의 대형 수소 트럭 운행을 지원할 만큼의 수소 충전소가 설치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TNT-T는 유럽 전역에 걸쳐 도로와 철도, 수로, 해양 항로, 항구, 공항, 철도 터미널을 연결하는 EU의 운송정책이다. 클린테크니카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TNT-T 이행을 위해 총 20억 달러를 지원받는다. 이 중 10억 유로는 에어버스와 MBW, BP, 이베르드롤라 등 315개 기업이 참여하는 수소 관련 기업 단체 하이드로젠유럽(Hydrogen Europe)이 지원한다. 그린수소 생산 가격 점차 하락 전망 유럽의 수소 정책을 뒷받침하려면 그린수소의 대량 생산이 필요하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기후정책을 총괄하는 프란스 티머만 EU 집행부원장은 EU와 주변국의 녹색수소 생산을 위한 전기분해 설비 용량이 2030년까지 역내 40기가와트, 주변국 40기가와트로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에너지지구(IEA)에 따르면 현재의 전기분해 설비 용량은 0.3기가와트 수준이다. EU 주변국 중 그린수소 생산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는 모로코와 우크라이나다. 그린수소의 생산 비용이 높은 것도 문제다. 수소 정책에 반대하는 전문가들은 그린수소 생산에 막대한 재생에너지 전력이 필요한데 생산 비용을 낮추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집행위원장은 그린수소 가격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현재 천연가스 가격 상승을 고려하면 그린수소가 그레이수소보다 싸다”며 2030년까지 녹색수소 생산 비용을 킬로그램당 1.8유로(약 2400원)보다 낮춘다는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그린수소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었으나, 가스 가격이 급등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그레이수소의 대부분은 천연가스를 고온, 고압에서 수증기와 화학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는 천연가스 개질 방식으로 생산된다. 반면에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사용해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다. IEA도 그린수소 생산비 하락 전망 IEA가 4일 발간된 ‘글로벌 하이드로젠 리뷰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킬로그램 당 0.5~1.7 달러 수준이다. 그레이수소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생산하는 블루수소는 1~2 달러, 그린수소는 3~8 달러의 생산 비용이 들어간다. IEA는 기술 발전과 규모의 경제로 그린수소 생산 비용이 2030년에는 킬로그램 당 1.3 달러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IEA는 수소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2050년까지 수소 사용량이 105 메가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이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필요한 200메가톤에 미치지 못하는 규모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코오롱그룹이 소재부품 분야 핵심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소산업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코오롱그룹은 기존 그룹사가 추진 중인 수소사업을 발전시키면서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수소사업과의 접점을 찾아 사업을 확장하는 등 수소경제 가치사슬(밸류체인)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코오롱그룹은 8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수소 비즈니스 서밋’(KOREA H2 Business Summit)에 참여해 수소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수소 솔루션 프로바이더가 되는데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웅열 전 코오롱그룹 회장의 장남인 이규호 부사장은 이날 행사를 통해 “코오롱은 2000년대 초부터 대한민국 수소산업의 미래를 내다보고 핵심소재 개발과 수소경제 저변 확대를 위해 꾸준히 준비해 왔다”며 “수소경제 전반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코오롱의 원앤온리(One&Only) 소재기술력으로 수소 솔루션 공급 역량을 확보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코오롱그룹은 이날 행사에 코오롱인더스트리를 포함해 코오롱글로벌, 코오롱글로텍, 코오롱플라스틱 등이 참여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수소연료전지 분야에서 오랜 기간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2006년 수소연료전지용 분리막 기술 연구를 시작한 이래 수소연료전지분야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사업을 넓히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주요 수소사업 제품은 수소연료전지용 수분제어장치와 고분자 전해질막(PEM), 막전극접합체(MEA)다.  수분제어장치는 수소연료전지의 전기가 잘 발생하도록 습도를 조절하는 부품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가 국내 최초로 양산해 현재 전 세계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현대차의 수소전기차인 넥쏘에도 공급 중이며 현재 대규모 증설도 추진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PEM은 올해 초 국내 최초로 양산 설비를 갖추고 사업 확장에 나섰다. PEM과 전극을 결합한 부품인 MEA는 수소연료전지 스택(전기발생장치) 원가의 40%를 차지하는 핵심 부품으로 코오롱인더스트리는 2023년까지 양산체제를 갖춘다는 계획이다. 코오롱글로벌은 육상·해상풍력발전 사업에 이어 풍력발전단지에서 발생하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그린수소(재생에너지에서 나온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 수소) 생산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풍력발전단지의 심야 전력을 활용한 수전해 기술로 물을 전기 분해해 그린수소를 생산한다.  특히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생산하는 수분제어장치와 MEA를 활용한 수소연료전지로 에너지저장시스템(ESS)를 구성하는 등 그룹사 간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코오롱글로텍은 토우프레그(Towpreg)·드라이와인딩(Dry winding)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소 저장과 운송에 필요한 압력용기 사업을 추진 중이다. 코오롱플라스틱은 주로 수소전기차용 연료전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하우징 부품·수소압력용기 국산화를 위한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장희구 코오롱인더스트리 사장은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등과 함께 수소 경제는 이미 우리 앞에 현실로 다가왔다”며 “수소연료전지를 필두로 수전해 기술을 활용한 수소 생산과 저장과 운송 등 2030년까지 수소사업 전반에서 매출 1조원을 목표를 달성해 핵심 소재부품 기업으로 위상을 다져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청정에너지원 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수전해 기술 등 그린수소의 생산과 저장, 운송, 보관 등 전 과정의 특허 출원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수소 관련 기술 개발은 유럽연합(EU)과 일본이 주도했다. 미국은 주요 수소 기술 개발국의 지위를 유지했으나, 특허 신청 건수는 줄었다. 한국과 중국은 수소 기술 발전을 주도하는 상위 5개국으로 부상했다. 이런 내용은 국제에너지기구(IEA)와 유럽특허청(EPO)이 공동 작성해 10일 내놓은 수소 특허 보고서(Hydrogen patents for a clean energy patent)에 들어 있다.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은 “저탄소 에너지원으로 생산한 수소는, 장거리 운송이나 비료 생산처럼 화석연료를 대체할 대안이 많지 않은 분야에서 청정에너지 전환 역할을 잘 할 수 있다”고 평했다.  이 보고서는 2011~2020년 주요 수소기술 개발 동향을 ITFs(international patent families)의 관점에서 보여준다. 효용이 큰 기술 개발에 관한 특허를 2곳 이상의 특허 기관에 신청한 경우를 조사한 결과다. 안토니오 캠피노스 유럽 특허청장은 “수소의 잠재력 활용은 유럽의 2050년 탄소중립 달성 전략이 핵심”이라며 “다양한 기술 혁신이 시급하지만, 일부 고무적인 전환 패턴을 이 보고서는 보여준다”고 말했다. 저탄소 기술인 수전해 관련 특허 급증 현재 거의 모든 수소가 화석연료 개질(reforming)로 생산된다. 하지만 2011~2022년 중 출원된 수소 밸류체인 전반의 저탄소 기술 특허가 재래기술 관련 특허의 2배 이상이었다. 특히 수소 생산과 관련된 특허 출원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물을 전기분해 해서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 관련 특허 출원이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2020년 한 해 수전해 기술 관련 특허 출원이 전체 수소 관련 특허의 80%를 점했다. 수전해와 수소를 사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수소연료전지 분야의 특허 출원은 유럽 화학업계가 주도했다. 자동차 업계의 특허 출원도 활발했다. 수전해 기술 등 저탄소 수소 생산 기술을 중심으로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의 특허 출원도 13.5%에 달했다. 한국과 프랑스의 연구기관이 이런 흐름을 주도했다. 수소의 최종 소비 단계에서 혁신 잠재력이 큰 분야로 수소차가 오랫동안 주목을 받아왔다. 이 분야의 특허 출원은 일본이 주도하는 가운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화석연료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생산하는 수소환원제철 분야의 특허 출원도 증가세다. 미국, 특허출원 비중 3위지만 건수는 줄어 나라 별로는 EU가 전체 특허 출원의 28%를, 일본이 24%를 차지해 수소기술 혁신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EU 회원국 중 독일은 11%, 프랑스는 6%, 네덜란드는 3%를 점했다. 미국은 20%로 3위였으나 특허 출원 건수는 줄었다. 중국은 15.2%, 한국은 12.2%로 수소기술 특허 주요 출원국으로 부상했다. 영국과 스위스, 캐나다 등도 수소기술 특허 주요국에 이름을 올렸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SK그룹이 18조5000억원의 대규모 투자를 집행해 수소 사업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SK의 투자규모는 수소기업협의체 15개 회원사 중 가장 큰 규모다. 8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수소모빌리티+쇼에 참석한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수소 산업은 기후변화 대응 뿐만 아니라 한국의 새로운 산업이 돼 미래 일자리 창출 등 사회 기여와 나아가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한 경제 기여도 가능하다”며 “수소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SK그룹도 중추적인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SK그룹은 장기적으로 태양광, 풍력 등 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수소의 대량 공급 체계를 완성한다. 이를 통해 SK그룹은 국내에서만 연간 총 28만t의 친환경 수소를 생산·공급하는 글로벌 1위 친환경 수소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수소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SK에너지의 주유소와 화물 운송 트럭 휴게소 등을 그린에너지 서비스 허브로 활용, 차량용으로 공급하는 한편 연료전지 발전소 등 대규모 발전용 수요를 적극 개발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수소 사업 핵심 기술 확보를 통한 글로벌 수소 시장 공략도 병행한다. 이를 위해 수소 관련 원천 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 투자는 물론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 등을 통해 글로벌 수소 사업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 이를 기반으로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SK그룹은 올해 초 글로벌 수소시장 선도 기업 플러그파워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으며, 최근에는 세계 최초로 청정수소 생산체제를 구축한 미국 모놀리스에도 투자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수소 생산 옵션과 핵심기술을 발빠르게 확보하고 있다. SK그룹은 국내 수소 사업 추진 및 수소 생태계 구축으로 2025년까지 그룹 차원에서 30조원의 순자산가치를 추가로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SK그룹은 SK E&S의 액화수소 3만t 생산체제 달성을 위해 약 5000억원을 투자해 액화수소 생산기지를 건설한다. SK E&S는 인천시 서구 원창동 일대 SK인천석유화학단지 내 약 1만3000평의 부지를 매입해 연 3만t 규모 수소 액화플랜트를 2023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SK E&S가 생산하는 액화수소 3만t은 수소 승용차인 넥쏘 7만5000대가 동시에 지구 한바퀴를 도는 데 필요한 양에 달한다. 또 SK E&S는 대량 확보한 천연가스를 활용, 보령LNG터미널 인근지역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25만t 규모의 청정 수소를 추가로 생산할 계획이다. 작업용 차량과 산업 현장에서 수요가 늘고 있는 드론 등을 대상으로 수소 활용처를 확장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SK그룹 관계자는 “축적된 에너지 사업 역량을 친환경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해 결집,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국내 석탄화력 발전 공기업들이 석탄발전을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으로의 전환을 선언해 '2050 탄소중립'에 한발 더 다가섰다. 한전과 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발전공기업은 1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 2021'(BIXPO 2021) 개막식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오는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공동으로 선언했다. 또한 대규모 해상풍력, 차세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사업 개발을 주도하고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공동 연구개발과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내용의 탄소중립 비전인 '제로 포 그린(ZERO for Green)'을 발표했다. 대규모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개발 주도 전력공기업은 재생에너지, 수소 등 탄소배출이 없는 발전원으로 과감히 전환해 발전 분야 탄소배출을 '제로'(0)화하기로 했다. 공정하고 질서 있는 감축 방안을 마련해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고, 민간기업 참여만으로는 활성화가 어려운 대규모 해상풍력이나 차세대 태양광 등 자본·기술집약적 사업 개발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암모니아, 그린수소 등 수소 기반 발전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관련해 전력공기업은 공동의 기술개발 전략과 이행방안을 담은 '탄소중립 기술개발전략'을 수립해 발표했다. 터빈 대형화 및 대규모 단지 시공 기술 등을 개발해 2030년까지 해상풍력의 균등화발전단가(LCOE)를 현행 대비 40% 이상 절감한 ㎾h당 150원으로 낮추기로 했고, 또한 수전해 기술을 중점 개발해 그린수소의 생산 효율을 현재의 65% 수준에서 2030년까지 8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연료 전환을 위해선 2027년까지 20% 암모니아 혼소를 실증하고 2028년까지 50% 수소 혼소 기술을 개발한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도 2030년까지 석탄화력 500㎿, 가스화력 150㎿급으로 상용화해 포집 비용을 현재의 50% 수준인 t(톤)당 30달러까지 낮춘다는 목표도 세웠다. 미국‧일본 등 석탄화력 비중 단계적 축소 목표 수립 세계적으로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2020년 상반기에 발표된 KEA에너지 이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설비 18.3GW가 증설되고, 21.2GW가 폐쇄돼 역대 처음으로 석탄화력 설비용량이 2.9GW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2019년 연간 에너지 소비 통계에서 미국의 재생에너지 소비가 1885년 이래 처음으로 석탄 소비를 역전했다고 보고했다. 미국의 2019년 석탄 소비는 2억 8097만toe로 전년대비 약 15%가 감소했고, 재생에너지 소비는 2억 8475만toe로 전년대비 약 1%가 증가했다. 또한 미국에서는 2050년까지 미국의 전력 생산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석탄, 천연가스 및 원자력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에너지 소비의 38%는 재생에너지가, 나머지 36%는 천연가스, 석탄이 13%, 원자력이 12% 순으로 그 뒤를 이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본에서도 2019년 석탄의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발전용·산업용 석탄 수요가 모두 감소했다. 2018년 대비 5% 줄어든 1억 1715만toe 정도였다. 또 일본은 노후된 석탄화력 발전소 약 100기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가동 중단 및 폐지를 추진한다. 석탄발전소의 가동 중단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18년 기준 17%에서 2030년 22~24%까지 상향 목표를 잡았다. 중국은 2016년에 발표한 전력부문 계획에서 1차 에너지 중 석탄 비중 축소 목표인 55% 이하를 3년 앞당겨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2019년 국가 에너지국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석탄발전설비 20GW를 퇴출시킴으로서 감축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석탄 소비가 2022년 이후 정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67%에서 2024년 59%로 낮아질 전망이다. 석탄수요 역시 중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에 따른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으로 인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탈석탄 정책 잇따르는 EU EU에서도 탈석탄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비영리 탄소시장 정책 분석기관인 샌드백(Sandbag) 역시 풍력과 태양광 발전용량이 크게 늘어난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석탄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고 밝혔다. 독일은 탈석탄 공론화 위원회 권고를 정부가 받아들여 2020년 7월 탈석탄법을 통과시키고 2038년까지 탈석탄 및 2035년 조기달성 목표를 수립했다. 독일은 지난 20년 간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법제를 수립한 결과, 2018년 전력소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이 2010년 대비 5.9배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영국은 2050 탄소중립 목표의 법제화와 함께 2025년 탈석탄을 목표로 석탄발전소 전면 폐쇄를 계획하고 있다. 탈석탄에 따른 부족한 발전용량을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대체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30GW의 해상풍력 설비를 확충한다. 네덜란드는 2018년 6월 CO2 배출량 감축 목표를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49% 감축한다고 밝혔으며, 2050년까지 95%를 감축한다는 계획을 담은 최초의 국가기후변화법을 통과시켰다. 또 기후변화 법에 따라 노후 석탄발전소 2기를 2024년에 철거하고, 신규 발전소 3기를 2030년까지 대체연료 발전소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 지난해 정부의 9차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전체 65개(건설 중 7개 포함)의 석탄발전소 중 2034년까지 30개 석탄발전소를 폐지하고 이 중 24개를 액화천연가스(LNG)복합발전소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0
지속가능경제
전 세계 '수소에너지' 확보전...국내 에너지기업들도 ‘합종연횡’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long
3-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국내 석탄화력 발전 공기업들이 석탄발전을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으로의 전환을 선언해 '2050 탄소중립'에 한발 더 다가섰다. 한전과 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발전공기업은 1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 2021'(BIXPO 2021) 개막식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오는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공동으로 선언했다. 또한 대규모 해상풍력, 차세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사업 개발을 주도하고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공동 연구개발과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내용의 탄소중립 비전인 '제로 포 그린(ZERO for Green)'을 발표했다. 대규모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개발 주도 전력공기업은 재생에너지, 수소 등 탄소배출이 없는 발전원으로 과감히 전환해 발전 분야 탄소배출을 '제로'(0)화하기로 했다. 공정하고 질서 있는 감축 방안을 마련해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고, 민간기업 참여만으로는 활성화가 어려운 대규모 해상풍력이나 차세대 태양광 등 자본·기술집약적 사업 개발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암모니아, 그린수소 등 수소 기반 발전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관련해 전력공기업은 공동의 기술개발 전략과 이행방안을 담은 '탄소중립 기술개발전략'을 수립해 발표했다. 터빈 대형화 및 대규모 단지 시공 기술 등을 개발해 2030년까지 해상풍력의 균등화발전단가(LCOE)를 현행 대비 40% 이상 절감한 ㎾h당 150원으로 낮추기로 했고, 또한 수전해 기술을 중점 개발해 그린수소의 생산 효율을 현재의 65% 수준에서 2030년까지 8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연료 전환을 위해선 2027년까지 20% 암모니아 혼소를 실증하고 2028년까지 50% 수소 혼소 기술을 개발한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도 2030년까지 석탄화력 500㎿, 가스화력 150㎿급으로 상용화해 포집 비용을 현재의 50% 수준인 t(톤)당 30달러까지 낮춘다는 목표도 세웠다. 미국‧일본 등 석탄화력 비중 단계적 축소 목표 수립 세계적으로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2020년 상반기에 발표된 KEA에너지 이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설비 18.3GW가 증설되고, 21.2GW가 폐쇄돼 역대 처음으로 석탄화력 설비용량이 2.9GW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2019년 연간 에너지 소비 통계에서 미국의 재생에너지 소비가 1885년 이래 처음으로 석탄 소비를 역전했다고 보고했다. 미국의 2019년 석탄 소비는 2억 8097만toe로 전년대비 약 15%가 감소했고, 재생에너지 소비는 2억 8475만toe로 전년대비 약 1%가 증가했다. 또한 미국에서는 2050년까지 미국의 전력 생산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석탄, 천연가스 및 원자력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에너지 소비의 38%는 재생에너지가, 나머지 36%는 천연가스, 석탄이 13%, 원자력이 12% 순으로 그 뒤를 이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본에서도 2019년 석탄의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발전용·산업용 석탄 수요가 모두 감소했다. 2018년 대비 5% 줄어든 1억 1715만toe 정도였다. 또 일본은 노후된 석탄화력 발전소 약 100기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가동 중단 및 폐지를 추진한다. 석탄발전소의 가동 중단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18년 기준 17%에서 2030년 22~24%까지 상향 목표를 잡았다. 중국은 2016년에 발표한 전력부문 계획에서 1차 에너지 중 석탄 비중 축소 목표인 55% 이하를 3년 앞당겨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2019년 국가 에너지국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석탄발전설비 20GW를 퇴출시킴으로서 감축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석탄 소비가 2022년 이후 정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67%에서 2024년 59%로 낮아질 전망이다. 석탄수요 역시 중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에 따른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으로 인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탈석탄 정책 잇따르는 EU EU에서도 탈석탄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비영리 탄소시장 정책 분석기관인 샌드백(Sandbag) 역시 풍력과 태양광 발전용량이 크게 늘어난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석탄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고 밝혔다. 독일은 탈석탄 공론화 위원회 권고를 정부가 받아들여 2020년 7월 탈석탄법을 통과시키고 2038년까지 탈석탄 및 2035년 조기달성 목표를 수립했다. 독일은 지난 20년 간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법제를 수립한 결과, 2018년 전력소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이 2010년 대비 5.9배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영국은 2050 탄소중립 목표의 법제화와 함께 2025년 탈석탄을 목표로 석탄발전소 전면 폐쇄를 계획하고 있다. 탈석탄에 따른 부족한 발전용량을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대체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30GW의 해상풍력 설비를 확충한다. 네덜란드는 2018년 6월 CO2 배출량 감축 목표를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49% 감축한다고 밝혔으며, 2050년까지 95%를 감축한다는 계획을 담은 최초의 국가기후변화법을 통과시켰다. 또 기후변화 법에 따라 노후 석탄발전소 2기를 2024년에 철거하고, 신규 발전소 3기를 2030년까지 대체연료 발전소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 지난해 정부의 9차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전체 65개(건설 중 7개 포함)의 석탄발전소 중 2034년까지 30개 석탄발전소를 폐지하고 이 중 24개를 액화천연가스(LNG)복합발전소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SK그룹이 18조5000억원의 대규모 투자를 집행해 수소 사업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SK의 투자규모는 수소기업협의체 15개 회원사 중 가장 큰 규모다. 8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수소모빌리티+쇼에 참석한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수소 산업은 기후변화 대응 뿐만 아니라 한국의 새로운 산업이 돼 미래 일자리 창출 등 사회 기여와 나아가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한 경제 기여도 가능하다”며 “수소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SK그룹도 중추적인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SK그룹은 장기적으로 태양광, 풍력 등 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수소의 대량 공급 체계를 완성한다. 이를 통해 SK그룹은 국내에서만 연간 총 28만t의 친환경 수소를 생산·공급하는 글로벌 1위 친환경 수소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수소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SK에너지의 주유소와 화물 운송 트럭 휴게소 등을 그린에너지 서비스 허브로 활용, 차량용으로 공급하는 한편 연료전지 발전소 등 대규모 발전용 수요를 적극 개발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수소 사업 핵심 기술 확보를 통한 글로벌 수소 시장 공략도 병행한다. 이를 위해 수소 관련 원천 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 투자는 물론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 등을 통해 글로벌 수소 사업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 이를 기반으로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SK그룹은 올해 초 글로벌 수소시장 선도 기업 플러그파워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으며, 최근에는 세계 최초로 청정수소 생산체제를 구축한 미국 모놀리스에도 투자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수소 생산 옵션과 핵심기술을 발빠르게 확보하고 있다. SK그룹은 국내 수소 사업 추진 및 수소 생태계 구축으로 2025년까지 그룹 차원에서 30조원의 순자산가치를 추가로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SK그룹은 SK E&S의 액화수소 3만t 생산체제 달성을 위해 약 5000억원을 투자해 액화수소 생산기지를 건설한다. SK E&S는 인천시 서구 원창동 일대 SK인천석유화학단지 내 약 1만3000평의 부지를 매입해 연 3만t 규모 수소 액화플랜트를 2023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SK E&S가 생산하는 액화수소 3만t은 수소 승용차인 넥쏘 7만5000대가 동시에 지구 한바퀴를 도는 데 필요한 양에 달한다. 또 SK E&S는 대량 확보한 천연가스를 활용, 보령LNG터미널 인근지역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25만t 규모의 청정 수소를 추가로 생산할 계획이다. 작업용 차량과 산업 현장에서 수요가 늘고 있는 드론 등을 대상으로 수소 활용처를 확장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SK그룹 관계자는 “축적된 에너지 사업 역량을 친환경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해 결집,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유럽연합(EU)의 수소경제 중점 전략이 수소차에서 철강 등 중화학공업의 탈탄소화에 수소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철강이나 시멘트, 화학 업종은 고열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액체나 기체 상태의 연료가 필요해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100% 전기로 전환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유럽연합은 이를 위해 지난 11월 29일 ‘수소전지 및 수소 공동 협의체(Fuel Cell and Hydrogen Joint Undertaking)’를 ‘청정수소 파트너쉽(Clean Hydrogen Partnership)’으로 개편했다. EU 집행위원회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개편 후 처음 열린 ‘청정수소 파트너쉽 행사’에서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청정수소 생산을 늘리고 사용 분야를 확대함으로써 수요와 공급의 선순환을 구축해 가격 하락을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EU 혁신 펀드(Innovation Fund)가 지원하는 7개 프로젝트 중 4개가 수소 관련 사업이라며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철 사업을 예로 들었다. 오스트리아 린츠의 철강 공장 또한 그린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 2월 스페인 전력회사 이베르드롤라와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출 벤처기업 H2 그린스틸은 그린수소 생산 설비 합작 투자에 합의했다. H2 그린스틸은 이 설비에서 생산된 그린수소를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수소환원제철 공법으로 철강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EU 전문매체 유랙티브 방송에 따르면 독일 싱그탱크 아고라 에네르기벤데의 수소 전문가 그니포미르 필리스는 “협의체의 이름을 변경한 것은 (수소 정책의) 우선순위가 운송 수단에서 논란이 적은 ‘후회 없는 적용(no regret application)’으로 전환된 것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후회없는 적용’은 독일의 한 싱크탱크가 ‘수소에 관한 12가지 이해(12 Insights on Hydroge)’라는 보고서에서 언급한 수소의 활용 방안으로 대규모 열 생산과 일반산업의 반응 유도 등 원료용, 친환경 예비 에너지, 장거리 항공운송, 해상운송 분야에 사용할 것을 권하고 있다. 수소차도 포기 안 해 미국의 전기차 전문매체 클린테크니카의 보도에 따르면 EU는 수소 충전소 증설 등 수소차 보급 정책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아디나 발린 EU 운송위원장은 새로운 대체연료 인프라 규정(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 Regulation)에 따라 2030년까지 범유럽 교통망인 TNT-T(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를 따라 적어도 150km에 하나씩 승용차와 트럭을 위한 수소 충전소가 설치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렇게 되면 2030년까지 6만 대의 대형 수소 트럭 운행을 지원할 만큼의 수소 충전소가 설치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TNT-T는 유럽 전역에 걸쳐 도로와 철도, 수로, 해양 항로, 항구, 공항, 철도 터미널을 연결하는 EU의 운송정책이다. 클린테크니카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TNT-T 이행을 위해 총 20억 달러를 지원받는다. 이 중 10억 유로는 에어버스와 MBW, BP, 이베르드롤라 등 315개 기업이 참여하는 수소 관련 기업 단체 하이드로젠유럽(Hydrogen Europe)이 지원한다. 그린수소 생산 가격 점차 하락 전망 유럽의 수소 정책을 뒷받침하려면 그린수소의 대량 생산이 필요하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기후정책을 총괄하는 프란스 티머만 EU 집행부원장은 EU와 주변국의 녹색수소 생산을 위한 전기분해 설비 용량이 2030년까지 역내 40기가와트, 주변국 40기가와트로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에너지지구(IEA)에 따르면 현재의 전기분해 설비 용량은 0.3기가와트 수준이다. EU 주변국 중 그린수소 생산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는 모로코와 우크라이나다. 그린수소의 생산 비용이 높은 것도 문제다. 수소 정책에 반대하는 전문가들은 그린수소 생산에 막대한 재생에너지 전력이 필요한데 생산 비용을 낮추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집행위원장은 그린수소 가격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현재 천연가스 가격 상승을 고려하면 그린수소가 그레이수소보다 싸다”며 2030년까지 녹색수소 생산 비용을 킬로그램당 1.8유로(약 2400원)보다 낮춘다는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그린수소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었으나, 가스 가격이 급등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그레이수소의 대부분은 천연가스를 고온, 고압에서 수증기와 화학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는 천연가스 개질 방식으로 생산된다. 반면에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사용해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다. IEA도 그린수소 생산비 하락 전망 IEA가 4일 발간된 ‘글로벌 하이드로젠 리뷰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킬로그램 당 0.5~1.7 달러 수준이다. 그레이수소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생산하는 블루수소는 1~2 달러, 그린수소는 3~8 달러의 생산 비용이 들어간다. IEA는 기술 발전과 규모의 경제로 그린수소 생산 비용이 2030년에는 킬로그램 당 1.3 달러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IEA는 수소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2050년까지 수소 사용량이 105 메가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이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필요한 200메가톤에 미치지 못하는 규모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0
지속가능경제
전 세계 '수소에너지' 확보전...국내 에너지기업들도 ‘합종연횡’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long
3-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유럽연합(EU)의 수소경제 중점 전략이 수소차에서 철강 등 중화학공업의 탈탄소화에 수소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철강이나 시멘트, 화학 업종은 고열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액체나 기체 상태의 연료가 필요해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100% 전기로 전환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유럽연합은 이를 위해 지난 11월 29일 ‘수소전지 및 수소 공동 협의체(Fuel Cell and Hydrogen Joint Undertaking)’를 ‘청정수소 파트너쉽(Clean Hydrogen Partnership)’으로 개편했다. EU 집행위원회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개편 후 처음 열린 ‘청정수소 파트너쉽 행사’에서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청정수소 생산을 늘리고 사용 분야를 확대함으로써 수요와 공급의 선순환을 구축해 가격 하락을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EU 혁신 펀드(Innovation Fund)가 지원하는 7개 프로젝트 중 4개가 수소 관련 사업이라며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철 사업을 예로 들었다. 오스트리아 린츠의 철강 공장 또한 그린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 2월 스페인 전력회사 이베르드롤라와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출 벤처기업 H2 그린스틸은 그린수소 생산 설비 합작 투자에 합의했다. H2 그린스틸은 이 설비에서 생산된 그린수소를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수소환원제철 공법으로 철강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EU 전문매체 유랙티브 방송에 따르면 독일 싱그탱크 아고라 에네르기벤데의 수소 전문가 그니포미르 필리스는 “협의체의 이름을 변경한 것은 (수소 정책의) 우선순위가 운송 수단에서 논란이 적은 ‘후회 없는 적용(no regret application)’으로 전환된 것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후회없는 적용’은 독일의 한 싱크탱크가 ‘수소에 관한 12가지 이해(12 Insights on Hydroge)’라는 보고서에서 언급한 수소의 활용 방안으로 대규모 열 생산과 일반산업의 반응 유도 등 원료용, 친환경 예비 에너지, 장거리 항공운송, 해상운송 분야에 사용할 것을 권하고 있다. 수소차도 포기 안 해 미국의 전기차 전문매체 클린테크니카의 보도에 따르면 EU는 수소 충전소 증설 등 수소차 보급 정책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아디나 발린 EU 운송위원장은 새로운 대체연료 인프라 규정(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 Regulation)에 따라 2030년까지 범유럽 교통망인 TNT-T(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를 따라 적어도 150km에 하나씩 승용차와 트럭을 위한 수소 충전소가 설치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렇게 되면 2030년까지 6만 대의 대형 수소 트럭 운행을 지원할 만큼의 수소 충전소가 설치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TNT-T는 유럽 전역에 걸쳐 도로와 철도, 수로, 해양 항로, 항구, 공항, 철도 터미널을 연결하는 EU의 운송정책이다. 클린테크니카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TNT-T 이행을 위해 총 20억 달러를 지원받는다. 이 중 10억 유로는 에어버스와 MBW, BP, 이베르드롤라 등 315개 기업이 참여하는 수소 관련 기업 단체 하이드로젠유럽(Hydrogen Europe)이 지원한다. 그린수소 생산 가격 점차 하락 전망 유럽의 수소 정책을 뒷받침하려면 그린수소의 대량 생산이 필요하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기후정책을 총괄하는 프란스 티머만 EU 집행부원장은 EU와 주변국의 녹색수소 생산을 위한 전기분해 설비 용량이 2030년까지 역내 40기가와트, 주변국 40기가와트로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에너지지구(IEA)에 따르면 현재의 전기분해 설비 용량은 0.3기가와트 수준이다. EU 주변국 중 그린수소 생산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는 모로코와 우크라이나다. 그린수소의 생산 비용이 높은 것도 문제다. 수소 정책에 반대하는 전문가들은 그린수소 생산에 막대한 재생에너지 전력이 필요한데 생산 비용을 낮추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집행위원장은 그린수소 가격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현재 천연가스 가격 상승을 고려하면 그린수소가 그레이수소보다 싸다”며 2030년까지 녹색수소 생산 비용을 킬로그램당 1.8유로(약 2400원)보다 낮춘다는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그린수소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었으나, 가스 가격이 급등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그레이수소의 대부분은 천연가스를 고온, 고압에서 수증기와 화학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는 천연가스 개질 방식으로 생산된다. 반면에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사용해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다. IEA도 그린수소 생산비 하락 전망 IEA가 4일 발간된 ‘글로벌 하이드로젠 리뷰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킬로그램 당 0.5~1.7 달러 수준이다. 그레이수소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생산하는 블루수소는 1~2 달러, 그린수소는 3~8 달러의 생산 비용이 들어간다. IEA는 기술 발전과 규모의 경제로 그린수소 생산 비용이 2030년에는 킬로그램 당 1.3 달러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IEA는 수소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2050년까지 수소 사용량이 105 메가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이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필요한 200메가톤에 미치지 못하는 규모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SK그룹이 18조5000억원의 대규모 투자를 집행해 수소 사업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SK의 투자규모는 수소기업협의체 15개 회원사 중 가장 큰 규모다. 8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수소모빌리티+쇼에 참석한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수소 산업은 기후변화 대응 뿐만 아니라 한국의 새로운 산업이 돼 미래 일자리 창출 등 사회 기여와 나아가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한 경제 기여도 가능하다”며 “수소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SK그룹도 중추적인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SK그룹은 장기적으로 태양광, 풍력 등 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수소의 대량 공급 체계를 완성한다. 이를 통해 SK그룹은 국내에서만 연간 총 28만t의 친환경 수소를 생산·공급하는 글로벌 1위 친환경 수소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수소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SK에너지의 주유소와 화물 운송 트럭 휴게소 등을 그린에너지 서비스 허브로 활용, 차량용으로 공급하는 한편 연료전지 발전소 등 대규모 발전용 수요를 적극 개발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수소 사업 핵심 기술 확보를 통한 글로벌 수소 시장 공략도 병행한다. 이를 위해 수소 관련 원천 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 투자는 물론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 등을 통해 글로벌 수소 사업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 이를 기반으로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SK그룹은 올해 초 글로벌 수소시장 선도 기업 플러그파워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으며, 최근에는 세계 최초로 청정수소 생산체제를 구축한 미국 모놀리스에도 투자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수소 생산 옵션과 핵심기술을 발빠르게 확보하고 있다. SK그룹은 국내 수소 사업 추진 및 수소 생태계 구축으로 2025년까지 그룹 차원에서 30조원의 순자산가치를 추가로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SK그룹은 SK E&S의 액화수소 3만t 생산체제 달성을 위해 약 5000억원을 투자해 액화수소 생산기지를 건설한다. SK E&S는 인천시 서구 원창동 일대 SK인천석유화학단지 내 약 1만3000평의 부지를 매입해 연 3만t 규모 수소 액화플랜트를 2023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SK E&S가 생산하는 액화수소 3만t은 수소 승용차인 넥쏘 7만5000대가 동시에 지구 한바퀴를 도는 데 필요한 양에 달한다. 또 SK E&S는 대량 확보한 천연가스를 활용, 보령LNG터미널 인근지역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25만t 규모의 청정 수소를 추가로 생산할 계획이다. 작업용 차량과 산업 현장에서 수요가 늘고 있는 드론 등을 대상으로 수소 활용처를 확장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SK그룹 관계자는 “축적된 에너지 사업 역량을 친환경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해 결집,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국내 석탄화력 발전 공기업들이 석탄발전을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으로의 전환을 선언해 '2050 탄소중립'에 한발 더 다가섰다. 한전과 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발전공기업은 1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 2021'(BIXPO 2021) 개막식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오는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공동으로 선언했다. 또한 대규모 해상풍력, 차세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사업 개발을 주도하고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공동 연구개발과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내용의 탄소중립 비전인 '제로 포 그린(ZERO for Green)'을 발표했다. 대규모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개발 주도 전력공기업은 재생에너지, 수소 등 탄소배출이 없는 발전원으로 과감히 전환해 발전 분야 탄소배출을 '제로'(0)화하기로 했다. 공정하고 질서 있는 감축 방안을 마련해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고, 민간기업 참여만으로는 활성화가 어려운 대규모 해상풍력이나 차세대 태양광 등 자본·기술집약적 사업 개발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암모니아, 그린수소 등 수소 기반 발전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관련해 전력공기업은 공동의 기술개발 전략과 이행방안을 담은 '탄소중립 기술개발전략'을 수립해 발표했다. 터빈 대형화 및 대규모 단지 시공 기술 등을 개발해 2030년까지 해상풍력의 균등화발전단가(LCOE)를 현행 대비 40% 이상 절감한 ㎾h당 150원으로 낮추기로 했고, 또한 수전해 기술을 중점 개발해 그린수소의 생산 효율을 현재의 65% 수준에서 2030년까지 8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연료 전환을 위해선 2027년까지 20% 암모니아 혼소를 실증하고 2028년까지 50% 수소 혼소 기술을 개발한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도 2030년까지 석탄화력 500㎿, 가스화력 150㎿급으로 상용화해 포집 비용을 현재의 50% 수준인 t(톤)당 30달러까지 낮춘다는 목표도 세웠다. 미국‧일본 등 석탄화력 비중 단계적 축소 목표 수립 세계적으로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2020년 상반기에 발표된 KEA에너지 이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설비 18.3GW가 증설되고, 21.2GW가 폐쇄돼 역대 처음으로 석탄화력 설비용량이 2.9GW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2019년 연간 에너지 소비 통계에서 미국의 재생에너지 소비가 1885년 이래 처음으로 석탄 소비를 역전했다고 보고했다. 미국의 2019년 석탄 소비는 2억 8097만toe로 전년대비 약 15%가 감소했고, 재생에너지 소비는 2억 8475만toe로 전년대비 약 1%가 증가했다. 또한 미국에서는 2050년까지 미국의 전력 생산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석탄, 천연가스 및 원자력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에너지 소비의 38%는 재생에너지가, 나머지 36%는 천연가스, 석탄이 13%, 원자력이 12% 순으로 그 뒤를 이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본에서도 2019년 석탄의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발전용·산업용 석탄 수요가 모두 감소했다. 2018년 대비 5% 줄어든 1억 1715만toe 정도였다. 또 일본은 노후된 석탄화력 발전소 약 100기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가동 중단 및 폐지를 추진한다. 석탄발전소의 가동 중단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18년 기준 17%에서 2030년 22~24%까지 상향 목표를 잡았다. 중국은 2016년에 발표한 전력부문 계획에서 1차 에너지 중 석탄 비중 축소 목표인 55% 이하를 3년 앞당겨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2019년 국가 에너지국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석탄발전설비 20GW를 퇴출시킴으로서 감축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석탄 소비가 2022년 이후 정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67%에서 2024년 59%로 낮아질 전망이다. 석탄수요 역시 중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에 따른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으로 인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탈석탄 정책 잇따르는 EU EU에서도 탈석탄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비영리 탄소시장 정책 분석기관인 샌드백(Sandbag) 역시 풍력과 태양광 발전용량이 크게 늘어난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석탄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고 밝혔다. 독일은 탈석탄 공론화 위원회 권고를 정부가 받아들여 2020년 7월 탈석탄법을 통과시키고 2038년까지 탈석탄 및 2035년 조기달성 목표를 수립했다. 독일은 지난 20년 간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법제를 수립한 결과, 2018년 전력소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이 2010년 대비 5.9배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영국은 2050 탄소중립 목표의 법제화와 함께 2025년 탈석탄을 목표로 석탄발전소 전면 폐쇄를 계획하고 있다. 탈석탄에 따른 부족한 발전용량을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대체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30GW의 해상풍력 설비를 확충한다. 네덜란드는 2018년 6월 CO2 배출량 감축 목표를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49% 감축한다고 밝혔으며, 2050년까지 95%를 감축한다는 계획을 담은 최초의 국가기후변화법을 통과시켰다. 또 기후변화 법에 따라 노후 석탄발전소 2기를 2024년에 철거하고, 신규 발전소 3기를 2030년까지 대체연료 발전소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 지난해 정부의 9차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전체 65개(건설 중 7개 포함)의 석탄발전소 중 2034년까지 30개 석탄발전소를 폐지하고 이 중 24개를 액화천연가스(LNG)복합발전소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0
지속가능경제
전 세계 '수소에너지' 확보전...국내 에너지기업들도 ‘합종연횡’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long
3-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유럽연합(EU)의 수소경제 중점 전략이 수소차에서 철강 등 중화학공업의 탈탄소화에 수소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철강이나 시멘트, 화학 업종은 고열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액체나 기체 상태의 연료가 필요해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100% 전기로 전환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유럽연합은 이를 위해 지난 11월 29일 ‘수소전지 및 수소 공동 협의체(Fuel Cell and Hydrogen Joint Undertaking)’를 ‘청정수소 파트너쉽(Clean Hydrogen Partnership)’으로 개편했다. EU 집행위원회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개편 후 처음 열린 ‘청정수소 파트너쉽 행사’에서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청정수소 생산을 늘리고 사용 분야를 확대함으로써 수요와 공급의 선순환을 구축해 가격 하락을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EU 혁신 펀드(Innovation Fund)가 지원하는 7개 프로젝트 중 4개가 수소 관련 사업이라며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철 사업을 예로 들었다. 오스트리아 린츠의 철강 공장 또한 그린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 2월 스페인 전력회사 이베르드롤라와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출 벤처기업 H2 그린스틸은 그린수소 생산 설비 합작 투자에 합의했다. H2 그린스틸은 이 설비에서 생산된 그린수소를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수소환원제철 공법으로 철강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EU 전문매체 유랙티브 방송에 따르면 독일 싱그탱크 아고라 에네르기벤데의 수소 전문가 그니포미르 필리스는 “협의체의 이름을 변경한 것은 (수소 정책의) 우선순위가 운송 수단에서 논란이 적은 ‘후회 없는 적용(no regret application)’으로 전환된 것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후회없는 적용’은 독일의 한 싱크탱크가 ‘수소에 관한 12가지 이해(12 Insights on Hydroge)’라는 보고서에서 언급한 수소의 활용 방안으로 대규모 열 생산과 일반산업의 반응 유도 등 원료용, 친환경 예비 에너지, 장거리 항공운송, 해상운송 분야에 사용할 것을 권하고 있다. 수소차도 포기 안 해 미국의 전기차 전문매체 클린테크니카의 보도에 따르면 EU는 수소 충전소 증설 등 수소차 보급 정책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아디나 발린 EU 운송위원장은 새로운 대체연료 인프라 규정(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 Regulation)에 따라 2030년까지 범유럽 교통망인 TNT-T(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를 따라 적어도 150km에 하나씩 승용차와 트럭을 위한 수소 충전소가 설치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렇게 되면 2030년까지 6만 대의 대형 수소 트럭 운행을 지원할 만큼의 수소 충전소가 설치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TNT-T는 유럽 전역에 걸쳐 도로와 철도, 수로, 해양 항로, 항구, 공항, 철도 터미널을 연결하는 EU의 운송정책이다. 클린테크니카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TNT-T 이행을 위해 총 20억 달러를 지원받는다. 이 중 10억 유로는 에어버스와 MBW, BP, 이베르드롤라 등 315개 기업이 참여하는 수소 관련 기업 단체 하이드로젠유럽(Hydrogen Europe)이 지원한다. 그린수소 생산 가격 점차 하락 전망 유럽의 수소 정책을 뒷받침하려면 그린수소의 대량 생산이 필요하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기후정책을 총괄하는 프란스 티머만 EU 집행부원장은 EU와 주변국의 녹색수소 생산을 위한 전기분해 설비 용량이 2030년까지 역내 40기가와트, 주변국 40기가와트로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에너지지구(IEA)에 따르면 현재의 전기분해 설비 용량은 0.3기가와트 수준이다. EU 주변국 중 그린수소 생산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는 모로코와 우크라이나다. 그린수소의 생산 비용이 높은 것도 문제다. 수소 정책에 반대하는 전문가들은 그린수소 생산에 막대한 재생에너지 전력이 필요한데 생산 비용을 낮추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집행위원장은 그린수소 가격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현재 천연가스 가격 상승을 고려하면 그린수소가 그레이수소보다 싸다”며 2030년까지 녹색수소 생산 비용을 킬로그램당 1.8유로(약 2400원)보다 낮춘다는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그린수소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었으나, 가스 가격이 급등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그레이수소의 대부분은 천연가스를 고온, 고압에서 수증기와 화학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는 천연가스 개질 방식으로 생산된다. 반면에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사용해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다. IEA도 그린수소 생산비 하락 전망 IEA가 4일 발간된 ‘글로벌 하이드로젠 리뷰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킬로그램 당 0.5~1.7 달러 수준이다. 그레이수소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생산하는 블루수소는 1~2 달러, 그린수소는 3~8 달러의 생산 비용이 들어간다. IEA는 기술 발전과 규모의 경제로 그린수소 생산 비용이 2030년에는 킬로그램 당 1.3 달러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IEA는 수소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2050년까지 수소 사용량이 105 메가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이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필요한 200메가톤에 미치지 못하는 규모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SK그룹이 18조5000억원의 대규모 투자를 집행해 수소 사업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SK의 투자규모는 수소기업협의체 15개 회원사 중 가장 큰 규모다. 8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수소모빌리티+쇼에 참석한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수소 산업은 기후변화 대응 뿐만 아니라 한국의 새로운 산업이 돼 미래 일자리 창출 등 사회 기여와 나아가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한 경제 기여도 가능하다”며 “수소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SK그룹도 중추적인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SK그룹은 장기적으로 태양광, 풍력 등 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수소의 대량 공급 체계를 완성한다. 이를 통해 SK그룹은 국내에서만 연간 총 28만t의 친환경 수소를 생산·공급하는 글로벌 1위 친환경 수소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수소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SK에너지의 주유소와 화물 운송 트럭 휴게소 등을 그린에너지 서비스 허브로 활용, 차량용으로 공급하는 한편 연료전지 발전소 등 대규모 발전용 수요를 적극 개발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수소 사업 핵심 기술 확보를 통한 글로벌 수소 시장 공략도 병행한다. 이를 위해 수소 관련 원천 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 투자는 물론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 등을 통해 글로벌 수소 사업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 이를 기반으로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SK그룹은 올해 초 글로벌 수소시장 선도 기업 플러그파워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으며, 최근에는 세계 최초로 청정수소 생산체제를 구축한 미국 모놀리스에도 투자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수소 생산 옵션과 핵심기술을 발빠르게 확보하고 있다. SK그룹은 국내 수소 사업 추진 및 수소 생태계 구축으로 2025년까지 그룹 차원에서 30조원의 순자산가치를 추가로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SK그룹은 SK E&S의 액화수소 3만t 생산체제 달성을 위해 약 5000억원을 투자해 액화수소 생산기지를 건설한다. SK E&S는 인천시 서구 원창동 일대 SK인천석유화학단지 내 약 1만3000평의 부지를 매입해 연 3만t 규모 수소 액화플랜트를 2023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SK E&S가 생산하는 액화수소 3만t은 수소 승용차인 넥쏘 7만5000대가 동시에 지구 한바퀴를 도는 데 필요한 양에 달한다. 또 SK E&S는 대량 확보한 천연가스를 활용, 보령LNG터미널 인근지역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25만t 규모의 청정 수소를 추가로 생산할 계획이다. 작업용 차량과 산업 현장에서 수요가 늘고 있는 드론 등을 대상으로 수소 활용처를 확장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SK그룹 관계자는 “축적된 에너지 사업 역량을 친환경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해 결집,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국내 석탄화력 발전 공기업들이 석탄발전을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으로의 전환을 선언해 '2050 탄소중립'에 한발 더 다가섰다. 한전과 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발전공기업은 1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 2021'(BIXPO 2021) 개막식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오는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공동으로 선언했다. 또한 대규모 해상풍력, 차세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사업 개발을 주도하고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공동 연구개발과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내용의 탄소중립 비전인 '제로 포 그린(ZERO for Green)'을 발표했다. 대규모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개발 주도 전력공기업은 재생에너지, 수소 등 탄소배출이 없는 발전원으로 과감히 전환해 발전 분야 탄소배출을 '제로'(0)화하기로 했다. 공정하고 질서 있는 감축 방안을 마련해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고, 민간기업 참여만으로는 활성화가 어려운 대규모 해상풍력이나 차세대 태양광 등 자본·기술집약적 사업 개발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암모니아, 그린수소 등 수소 기반 발전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관련해 전력공기업은 공동의 기술개발 전략과 이행방안을 담은 '탄소중립 기술개발전략'을 수립해 발표했다. 터빈 대형화 및 대규모 단지 시공 기술 등을 개발해 2030년까지 해상풍력의 균등화발전단가(LCOE)를 현행 대비 40% 이상 절감한 ㎾h당 150원으로 낮추기로 했고, 또한 수전해 기술을 중점 개발해 그린수소의 생산 효율을 현재의 65% 수준에서 2030년까지 8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연료 전환을 위해선 2027년까지 20% 암모니아 혼소를 실증하고 2028년까지 50% 수소 혼소 기술을 개발한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도 2030년까지 석탄화력 500㎿, 가스화력 150㎿급으로 상용화해 포집 비용을 현재의 50% 수준인 t(톤)당 30달러까지 낮춘다는 목표도 세웠다. 미국‧일본 등 석탄화력 비중 단계적 축소 목표 수립 세계적으로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2020년 상반기에 발표된 KEA에너지 이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설비 18.3GW가 증설되고, 21.2GW가 폐쇄돼 역대 처음으로 석탄화력 설비용량이 2.9GW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2019년 연간 에너지 소비 통계에서 미국의 재생에너지 소비가 1885년 이래 처음으로 석탄 소비를 역전했다고 보고했다. 미국의 2019년 석탄 소비는 2억 8097만toe로 전년대비 약 15%가 감소했고, 재생에너지 소비는 2억 8475만toe로 전년대비 약 1%가 증가했다. 또한 미국에서는 2050년까지 미국의 전력 생산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석탄, 천연가스 및 원자력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에너지 소비의 38%는 재생에너지가, 나머지 36%는 천연가스, 석탄이 13%, 원자력이 12% 순으로 그 뒤를 이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본에서도 2019년 석탄의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발전용·산업용 석탄 수요가 모두 감소했다. 2018년 대비 5% 줄어든 1억 1715만toe 정도였다. 또 일본은 노후된 석탄화력 발전소 약 100기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가동 중단 및 폐지를 추진한다. 석탄발전소의 가동 중단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18년 기준 17%에서 2030년 22~24%까지 상향 목표를 잡았다. 중국은 2016년에 발표한 전력부문 계획에서 1차 에너지 중 석탄 비중 축소 목표인 55% 이하를 3년 앞당겨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2019년 국가 에너지국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석탄발전설비 20GW를 퇴출시킴으로서 감축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석탄 소비가 2022년 이후 정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67%에서 2024년 59%로 낮아질 전망이다. 석탄수요 역시 중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에 따른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으로 인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탈석탄 정책 잇따르는 EU EU에서도 탈석탄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비영리 탄소시장 정책 분석기관인 샌드백(Sandbag) 역시 풍력과 태양광 발전용량이 크게 늘어난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석탄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고 밝혔다. 독일은 탈석탄 공론화 위원회 권고를 정부가 받아들여 2020년 7월 탈석탄법을 통과시키고 2038년까지 탈석탄 및 2035년 조기달성 목표를 수립했다. 독일은 지난 20년 간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법제를 수립한 결과, 2018년 전력소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이 2010년 대비 5.9배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영국은 2050 탄소중립 목표의 법제화와 함께 2025년 탈석탄을 목표로 석탄발전소 전면 폐쇄를 계획하고 있다. 탈석탄에 따른 부족한 발전용량을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대체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30GW의 해상풍력 설비를 확충한다. 네덜란드는 2018년 6월 CO2 배출량 감축 목표를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49% 감축한다고 밝혔으며, 2050년까지 95%를 감축한다는 계획을 담은 최초의 국가기후변화법을 통과시켰다. 또 기후변화 법에 따라 노후 석탄발전소 2기를 2024년에 철거하고, 신규 발전소 3기를 2030년까지 대체연료 발전소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 지난해 정부의 9차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전체 65개(건설 중 7개 포함)의 석탄발전소 중 2034년까지 30개 석탄발전소를 폐지하고 이 중 24개를 액화천연가스(LNG)복합발전소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0
지속가능경제
전 세계 '수소에너지' 확보전...국내 에너지기업들도 ‘합종연횡’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long
3-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국내 석탄화력 발전 공기업들이 석탄발전을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으로의 전환을 선언해 '2050 탄소중립'에 한발 더 다가섰다. 한전과 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발전공기업은 1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 2021'(BIXPO 2021) 개막식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오는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공동으로 선언했다. 또한 대규모 해상풍력, 차세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사업 개발을 주도하고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공동 연구개발과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내용의 탄소중립 비전인 '제로 포 그린(ZERO for Green)'을 발표했다. 대규모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개발 주도 전력공기업은 재생에너지, 수소 등 탄소배출이 없는 발전원으로 과감히 전환해 발전 분야 탄소배출을 '제로'(0)화하기로 했다. 공정하고 질서 있는 감축 방안을 마련해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고, 민간기업 참여만으로는 활성화가 어려운 대규모 해상풍력이나 차세대 태양광 등 자본·기술집약적 사업 개발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암모니아, 그린수소 등 수소 기반 발전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관련해 전력공기업은 공동의 기술개발 전략과 이행방안을 담은 '탄소중립 기술개발전략'을 수립해 발표했다. 터빈 대형화 및 대규모 단지 시공 기술 등을 개발해 2030년까지 해상풍력의 균등화발전단가(LCOE)를 현행 대비 40% 이상 절감한 ㎾h당 150원으로 낮추기로 했고, 또한 수전해 기술을 중점 개발해 그린수소의 생산 효율을 현재의 65% 수준에서 2030년까지 8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연료 전환을 위해선 2027년까지 20% 암모니아 혼소를 실증하고 2028년까지 50% 수소 혼소 기술을 개발한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도 2030년까지 석탄화력 500㎿, 가스화력 150㎿급으로 상용화해 포집 비용을 현재의 50% 수준인 t(톤)당 30달러까지 낮춘다는 목표도 세웠다. 미국‧일본 등 석탄화력 비중 단계적 축소 목표 수립 세계적으로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2020년 상반기에 발표된 KEA에너지 이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설비 18.3GW가 증설되고, 21.2GW가 폐쇄돼 역대 처음으로 석탄화력 설비용량이 2.9GW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2019년 연간 에너지 소비 통계에서 미국의 재생에너지 소비가 1885년 이래 처음으로 석탄 소비를 역전했다고 보고했다. 미국의 2019년 석탄 소비는 2억 8097만toe로 전년대비 약 15%가 감소했고, 재생에너지 소비는 2억 8475만toe로 전년대비 약 1%가 증가했다. 또한 미국에서는 2050년까지 미국의 전력 생산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석탄, 천연가스 및 원자력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에너지 소비의 38%는 재생에너지가, 나머지 36%는 천연가스, 석탄이 13%, 원자력이 12% 순으로 그 뒤를 이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본에서도 2019년 석탄의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발전용·산업용 석탄 수요가 모두 감소했다. 2018년 대비 5% 줄어든 1억 1715만toe 정도였다. 또 일본은 노후된 석탄화력 발전소 약 100기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가동 중단 및 폐지를 추진한다. 석탄발전소의 가동 중단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18년 기준 17%에서 2030년 22~24%까지 상향 목표를 잡았다. 중국은 2016년에 발표한 전력부문 계획에서 1차 에너지 중 석탄 비중 축소 목표인 55% 이하를 3년 앞당겨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2019년 국가 에너지국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석탄발전설비 20GW를 퇴출시킴으로서 감축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석탄 소비가 2022년 이후 정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67%에서 2024년 59%로 낮아질 전망이다. 석탄수요 역시 중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에 따른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으로 인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탈석탄 정책 잇따르는 EU EU에서도 탈석탄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비영리 탄소시장 정책 분석기관인 샌드백(Sandbag) 역시 풍력과 태양광 발전용량이 크게 늘어난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석탄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고 밝혔다. 독일은 탈석탄 공론화 위원회 권고를 정부가 받아들여 2020년 7월 탈석탄법을 통과시키고 2038년까지 탈석탄 및 2035년 조기달성 목표를 수립했다. 독일은 지난 20년 간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법제를 수립한 결과, 2018년 전력소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이 2010년 대비 5.9배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영국은 2050 탄소중립 목표의 법제화와 함께 2025년 탈석탄을 목표로 석탄발전소 전면 폐쇄를 계획하고 있다. 탈석탄에 따른 부족한 발전용량을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대체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30GW의 해상풍력 설비를 확충한다. 네덜란드는 2018년 6월 CO2 배출량 감축 목표를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49% 감축한다고 밝혔으며, 2050년까지 95%를 감축한다는 계획을 담은 최초의 국가기후변화법을 통과시켰다. 또 기후변화 법에 따라 노후 석탄발전소 2기를 2024년에 철거하고, 신규 발전소 3기를 2030년까지 대체연료 발전소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 지난해 정부의 9차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전체 65개(건설 중 7개 포함)의 석탄발전소 중 2034년까지 30개 석탄발전소를 폐지하고 이 중 24개를 액화천연가스(LNG)복합발전소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SK그룹이 18조5000억원의 대규모 투자를 집행해 수소 사업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SK의 투자규모는 수소기업협의체 15개 회원사 중 가장 큰 규모다. 8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수소모빌리티+쇼에 참석한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수소 산업은 기후변화 대응 뿐만 아니라 한국의 새로운 산업이 돼 미래 일자리 창출 등 사회 기여와 나아가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한 경제 기여도 가능하다”며 “수소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SK그룹도 중추적인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SK그룹은 장기적으로 태양광, 풍력 등 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수소의 대량 공급 체계를 완성한다. 이를 통해 SK그룹은 국내에서만 연간 총 28만t의 친환경 수소를 생산·공급하는 글로벌 1위 친환경 수소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수소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SK에너지의 주유소와 화물 운송 트럭 휴게소 등을 그린에너지 서비스 허브로 활용, 차량용으로 공급하는 한편 연료전지 발전소 등 대규모 발전용 수요를 적극 개발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수소 사업 핵심 기술 확보를 통한 글로벌 수소 시장 공략도 병행한다. 이를 위해 수소 관련 원천 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 투자는 물론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 등을 통해 글로벌 수소 사업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 이를 기반으로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SK그룹은 올해 초 글로벌 수소시장 선도 기업 플러그파워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으며, 최근에는 세계 최초로 청정수소 생산체제를 구축한 미국 모놀리스에도 투자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수소 생산 옵션과 핵심기술을 발빠르게 확보하고 있다. SK그룹은 국내 수소 사업 추진 및 수소 생태계 구축으로 2025년까지 그룹 차원에서 30조원의 순자산가치를 추가로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SK그룹은 SK E&S의 액화수소 3만t 생산체제 달성을 위해 약 5000억원을 투자해 액화수소 생산기지를 건설한다. SK E&S는 인천시 서구 원창동 일대 SK인천석유화학단지 내 약 1만3000평의 부지를 매입해 연 3만t 규모 수소 액화플랜트를 2023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SK E&S가 생산하는 액화수소 3만t은 수소 승용차인 넥쏘 7만5000대가 동시에 지구 한바퀴를 도는 데 필요한 양에 달한다. 또 SK E&S는 대량 확보한 천연가스를 활용, 보령LNG터미널 인근지역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25만t 규모의 청정 수소를 추가로 생산할 계획이다. 작업용 차량과 산업 현장에서 수요가 늘고 있는 드론 등을 대상으로 수소 활용처를 확장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SK그룹 관계자는 “축적된 에너지 사업 역량을 친환경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해 결집,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유럽연합(EU)의 수소경제 중점 전략이 수소차에서 철강 등 중화학공업의 탈탄소화에 수소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철강이나 시멘트, 화학 업종은 고열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액체나 기체 상태의 연료가 필요해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100% 전기로 전환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유럽연합은 이를 위해 지난 11월 29일 ‘수소전지 및 수소 공동 협의체(Fuel Cell and Hydrogen Joint Undertaking)’를 ‘청정수소 파트너쉽(Clean Hydrogen Partnership)’으로 개편했다. EU 집행위원회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개편 후 처음 열린 ‘청정수소 파트너쉽 행사’에서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청정수소 생산을 늘리고 사용 분야를 확대함으로써 수요와 공급의 선순환을 구축해 가격 하락을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EU 혁신 펀드(Innovation Fund)가 지원하는 7개 프로젝트 중 4개가 수소 관련 사업이라며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철 사업을 예로 들었다. 오스트리아 린츠의 철강 공장 또한 그린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 2월 스페인 전력회사 이베르드롤라와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출 벤처기업 H2 그린스틸은 그린수소 생산 설비 합작 투자에 합의했다. H2 그린스틸은 이 설비에서 생산된 그린수소를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수소환원제철 공법으로 철강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EU 전문매체 유랙티브 방송에 따르면 독일 싱그탱크 아고라 에네르기벤데의 수소 전문가 그니포미르 필리스는 “협의체의 이름을 변경한 것은 (수소 정책의) 우선순위가 운송 수단에서 논란이 적은 ‘후회 없는 적용(no regret application)’으로 전환된 것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후회없는 적용’은 독일의 한 싱크탱크가 ‘수소에 관한 12가지 이해(12 Insights on Hydroge)’라는 보고서에서 언급한 수소의 활용 방안으로 대규모 열 생산과 일반산업의 반응 유도 등 원료용, 친환경 예비 에너지, 장거리 항공운송, 해상운송 분야에 사용할 것을 권하고 있다. 수소차도 포기 안 해 미국의 전기차 전문매체 클린테크니카의 보도에 따르면 EU는 수소 충전소 증설 등 수소차 보급 정책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아디나 발린 EU 운송위원장은 새로운 대체연료 인프라 규정(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 Regulation)에 따라 2030년까지 범유럽 교통망인 TNT-T(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를 따라 적어도 150km에 하나씩 승용차와 트럭을 위한 수소 충전소가 설치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렇게 되면 2030년까지 6만 대의 대형 수소 트럭 운행을 지원할 만큼의 수소 충전소가 설치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TNT-T는 유럽 전역에 걸쳐 도로와 철도, 수로, 해양 항로, 항구, 공항, 철도 터미널을 연결하는 EU의 운송정책이다. 클린테크니카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TNT-T 이행을 위해 총 20억 달러를 지원받는다. 이 중 10억 유로는 에어버스와 MBW, BP, 이베르드롤라 등 315개 기업이 참여하는 수소 관련 기업 단체 하이드로젠유럽(Hydrogen Europe)이 지원한다. 그린수소 생산 가격 점차 하락 전망 유럽의 수소 정책을 뒷받침하려면 그린수소의 대량 생산이 필요하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기후정책을 총괄하는 프란스 티머만 EU 집행부원장은 EU와 주변국의 녹색수소 생산을 위한 전기분해 설비 용량이 2030년까지 역내 40기가와트, 주변국 40기가와트로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에너지지구(IEA)에 따르면 현재의 전기분해 설비 용량은 0.3기가와트 수준이다. EU 주변국 중 그린수소 생산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는 모로코와 우크라이나다. 그린수소의 생산 비용이 높은 것도 문제다. 수소 정책에 반대하는 전문가들은 그린수소 생산에 막대한 재생에너지 전력이 필요한데 생산 비용을 낮추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집행위원장은 그린수소 가격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현재 천연가스 가격 상승을 고려하면 그린수소가 그레이수소보다 싸다”며 2030년까지 녹색수소 생산 비용을 킬로그램당 1.8유로(약 2400원)보다 낮춘다는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그린수소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었으나, 가스 가격이 급등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그레이수소의 대부분은 천연가스를 고온, 고압에서 수증기와 화학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는 천연가스 개질 방식으로 생산된다. 반면에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사용해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다. IEA도 그린수소 생산비 하락 전망 IEA가 4일 발간된 ‘글로벌 하이드로젠 리뷰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킬로그램 당 0.5~1.7 달러 수준이다. 그레이수소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생산하는 블루수소는 1~2 달러, 그린수소는 3~8 달러의 생산 비용이 들어간다. IEA는 기술 발전과 규모의 경제로 그린수소 생산 비용이 2030년에는 킬로그램 당 1.3 달러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IEA는 수소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2050년까지 수소 사용량이 105 메가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이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필요한 200메가톤에 미치지 못하는 규모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0
지속가능경제
전 세계 '수소에너지' 확보전...국내 에너지기업들도 ‘합종연횡’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long
1-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유럽연합(EU)의 수소경제 중점 전략이 수소차에서 철강 등 중화학공업의 탈탄소화에 수소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철강이나 시멘트, 화학 업종은 고열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액체나 기체 상태의 연료가 필요해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100% 전기로 전환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유럽연합은 이를 위해 지난 11월 29일 ‘수소전지 및 수소 공동 협의체(Fuel Cell and Hydrogen Joint Undertaking)’를 ‘청정수소 파트너쉽(Clean Hydrogen Partnership)’으로 개편했다. EU 집행위원회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개편 후 처음 열린 ‘청정수소 파트너쉽 행사’에서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청정수소 생산을 늘리고 사용 분야를 확대함으로써 수요와 공급의 선순환을 구축해 가격 하락을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EU 혁신 펀드(Innovation Fund)가 지원하는 7개 프로젝트 중 4개가 수소 관련 사업이라며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철 사업을 예로 들었다. 오스트리아 린츠의 철강 공장 또한 그린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 2월 스페인 전력회사 이베르드롤라와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출 벤처기업 H2 그린스틸은 그린수소 생산 설비 합작 투자에 합의했다. H2 그린스틸은 이 설비에서 생산된 그린수소를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수소환원제철 공법으로 철강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EU 전문매체 유랙티브 방송에 따르면 독일 싱그탱크 아고라 에네르기벤데의 수소 전문가 그니포미르 필리스는 “협의체의 이름을 변경한 것은 (수소 정책의) 우선순위가 운송 수단에서 논란이 적은 ‘후회 없는 적용(no regret application)’으로 전환된 것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후회없는 적용’은 독일의 한 싱크탱크가 ‘수소에 관한 12가지 이해(12 Insights on Hydroge)’라는 보고서에서 언급한 수소의 활용 방안으로 대규모 열 생산과 일반산업의 반응 유도 등 원료용, 친환경 예비 에너지, 장거리 항공운송, 해상운송 분야에 사용할 것을 권하고 있다. 수소차도 포기 안 해 미국의 전기차 전문매체 클린테크니카의 보도에 따르면 EU는 수소 충전소 증설 등 수소차 보급 정책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아디나 발린 EU 운송위원장은 새로운 대체연료 인프라 규정(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 Regulation)에 따라 2030년까지 범유럽 교통망인 TNT-T(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를 따라 적어도 150km에 하나씩 승용차와 트럭을 위한 수소 충전소가 설치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렇게 되면 2030년까지 6만 대의 대형 수소 트럭 운행을 지원할 만큼의 수소 충전소가 설치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TNT-T는 유럽 전역에 걸쳐 도로와 철도, 수로, 해양 항로, 항구, 공항, 철도 터미널을 연결하는 EU의 운송정책이다. 클린테크니카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TNT-T 이행을 위해 총 20억 달러를 지원받는다. 이 중 10억 유로는 에어버스와 MBW, BP, 이베르드롤라 등 315개 기업이 참여하는 수소 관련 기업 단체 하이드로젠유럽(Hydrogen Europe)이 지원한다. 그린수소 생산 가격 점차 하락 전망 유럽의 수소 정책을 뒷받침하려면 그린수소의 대량 생산이 필요하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기후정책을 총괄하는 프란스 티머만 EU 집행부원장은 EU와 주변국의 녹색수소 생산을 위한 전기분해 설비 용량이 2030년까지 역내 40기가와트, 주변국 40기가와트로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에너지지구(IEA)에 따르면 현재의 전기분해 설비 용량은 0.3기가와트 수준이다. EU 주변국 중 그린수소 생산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는 모로코와 우크라이나다. 그린수소의 생산 비용이 높은 것도 문제다. 수소 정책에 반대하는 전문가들은 그린수소 생산에 막대한 재생에너지 전력이 필요한데 생산 비용을 낮추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집행위원장은 그린수소 가격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현재 천연가스 가격 상승을 고려하면 그린수소가 그레이수소보다 싸다”며 2030년까지 녹색수소 생산 비용을 킬로그램당 1.8유로(약 2400원)보다 낮춘다는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그린수소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었으나, 가스 가격이 급등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그레이수소의 대부분은 천연가스를 고온, 고압에서 수증기와 화학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는 천연가스 개질 방식으로 생산된다. 반면에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사용해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다. IEA도 그린수소 생산비 하락 전망 IEA가 4일 발간된 ‘글로벌 하이드로젠 리뷰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킬로그램 당 0.5~1.7 달러 수준이다. 그레이수소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생산하는 블루수소는 1~2 달러, 그린수소는 3~8 달러의 생산 비용이 들어간다. IEA는 기술 발전과 규모의 경제로 그린수소 생산 비용이 2030년에는 킬로그램 당 1.3 달러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IEA는 수소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2050년까지 수소 사용량이 105 메가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이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필요한 200메가톤에 미치지 못하는 규모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0
지속가능경제
전 세계 '수소에너지' 확보전...국내 에너지기업들도 ‘합종연횡’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long
1-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유럽연합(EU)의 수소경제 중점 전략이 수소차에서 철강 등 중화학공업의 탈탄소화에 수소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철강이나 시멘트, 화학 업종은 고열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액체나 기체 상태의 연료가 필요해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100% 전기로 전환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유럽연합은 이를 위해 지난 11월 29일 ‘수소전지 및 수소 공동 협의체(Fuel Cell and Hydrogen Joint Undertaking)’를 ‘청정수소 파트너쉽(Clean Hydrogen Partnership)’으로 개편했다. EU 집행위원회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개편 후 처음 열린 ‘청정수소 파트너쉽 행사’에서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청정수소 생산을 늘리고 사용 분야를 확대함으로써 수요와 공급의 선순환을 구축해 가격 하락을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EU 혁신 펀드(Innovation Fund)가 지원하는 7개 프로젝트 중 4개가 수소 관련 사업이라며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철 사업을 예로 들었다. 오스트리아 린츠의 철강 공장 또한 그린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 2월 스페인 전력회사 이베르드롤라와 스웨덴의 수소환원제출 벤처기업 H2 그린스틸은 그린수소 생산 설비 합작 투자에 합의했다. H2 그린스틸은 이 설비에서 생산된 그린수소를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수소환원제철 공법으로 철강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EU 전문매체 유랙티브 방송에 따르면 독일 싱그탱크 아고라 에네르기벤데의 수소 전문가 그니포미르 필리스는 “협의체의 이름을 변경한 것은 (수소 정책의) 우선순위가 운송 수단에서 논란이 적은 ‘후회 없는 적용(no regret application)’으로 전환된 것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후회없는 적용’은 독일의 한 싱크탱크가 ‘수소에 관한 12가지 이해(12 Insights on Hydroge)’라는 보고서에서 언급한 수소의 활용 방안으로 대규모 열 생산과 일반산업의 반응 유도 등 원료용, 친환경 예비 에너지, 장거리 항공운송, 해상운송 분야에 사용할 것을 권하고 있다. 수소차도 포기 안 해 미국의 전기차 전문매체 클린테크니카의 보도에 따르면 EU는 수소 충전소 증설 등 수소차 보급 정책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아디나 발린 EU 운송위원장은 새로운 대체연료 인프라 규정(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 Regulation)에 따라 2030년까지 범유럽 교통망인 TNT-T(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를 따라 적어도 150km에 하나씩 승용차와 트럭을 위한 수소 충전소가 설치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렇게 되면 2030년까지 6만 대의 대형 수소 트럭 운행을 지원할 만큼의 수소 충전소가 설치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TNT-T는 유럽 전역에 걸쳐 도로와 철도, 수로, 해양 항로, 항구, 공항, 철도 터미널을 연결하는 EU의 운송정책이다. 클린테크니카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TNT-T 이행을 위해 총 20억 달러를 지원받는다. 이 중 10억 유로는 에어버스와 MBW, BP, 이베르드롤라 등 315개 기업이 참여하는 수소 관련 기업 단체 하이드로젠유럽(Hydrogen Europe)이 지원한다. 그린수소 생산 가격 점차 하락 전망 유럽의 수소 정책을 뒷받침하려면 그린수소의 대량 생산이 필요하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기후정책을 총괄하는 프란스 티머만 EU 집행부원장은 EU와 주변국의 녹색수소 생산을 위한 전기분해 설비 용량이 2030년까지 역내 40기가와트, 주변국 40기가와트로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에너지지구(IEA)에 따르면 현재의 전기분해 설비 용량은 0.3기가와트 수준이다. EU 주변국 중 그린수소 생산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는 모로코와 우크라이나다. 그린수소의 생산 비용이 높은 것도 문제다. 수소 정책에 반대하는 전문가들은 그린수소 생산에 막대한 재생에너지 전력이 필요한데 생산 비용을 낮추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우르슐라 폰 데어 라이엔 집행위원장은 그린수소 가격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현재 천연가스 가격 상승을 고려하면 그린수소가 그레이수소보다 싸다”며 2030년까지 녹색수소 생산 비용을 킬로그램당 1.8유로(약 2400원)보다 낮춘다는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그린수소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었으나, 가스 가격이 급등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그레이수소의 대부분은 천연가스를 고온, 고압에서 수증기와 화학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는 천연가스 개질 방식으로 생산된다. 반면에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사용해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다. IEA도 그린수소 생산비 하락 전망 IEA가 4일 발간된 ‘글로벌 하이드로젠 리뷰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그레이수소 생산 비용은 킬로그램 당 0.5~1.7 달러 수준이다. 그레이수소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생산하는 블루수소는 1~2 달러, 그린수소는 3~8 달러의 생산 비용이 들어간다. IEA는 기술 발전과 규모의 경제로 그린수소 생산 비용이 2030년에는 킬로그램 당 1.3 달러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IEA는 수소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2050년까지 수소 사용량이 105 메가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이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필요한 200메가톤에 미치지 못하는 규모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정부가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탄소중립 관련 대형 사업 계획을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산업ㆍ민생 등 다른 주요 부분에서도 근본적인 탈탄소화가 필요하다. 이에 모든 분야에서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수소사회’가 탈탄소 사회의 한 가지 콘셉트로 떠오르자,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은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함께 힘을 뭉치기로 했다. 이들 3사는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호텔에서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이달에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동참하며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위해 꾸준히 협력해왔다. 또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의 개발을 위해 주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3사는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Net Zero)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자산뿐만 아니라 그간 진행해 오던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지난해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공표하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2050년까지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ESG경영전략 및 친환경목표인 'Green Promise 2030'에 맞춰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비욘드 EPC(설계·조달·시공), 그린 솔루션 프로바이더(Beyond EPC, Green Solution Provider)'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에서의 기술확보와 프로젝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수소는 물이나 유기물로부터 다양한 에너지원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연소시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화석연료와 달리 CO2 등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또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비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 내에서 수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한데,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대규모 수소생산ㆍ액화 플랜트, 수소이송 파이프 등의 수소 그리드, 수소 메가스테이션, 수소공급 및 거래가 가능한 운영 플랫폼이 구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서둘러 수소 관련 대형 투자 계획을 일제히 발표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그린수소 관련 투자가 눈에 띈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낸 전력으로 수전해 생산한 수소다. 스페인 최대 전력기업 중 하나인 엔데사(Endesa)는 2023년부터 29억 유로를 투입해 23개에 달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40M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마련하며, 수전해(water electrlysis)를 위한 1,92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태양광 1,075MW, 풍력 846MW)를 스페인 내 11개 지역에 구축하고자 한다. 세계 주요 신재생 에너지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베르드롤라사는 지난 2월 11일 총 25억 유로를 투자해 53개의 그린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1GW 규모의 전기분해 시설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기업의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비료 제조기업인 Fertiberia와 함께 2027년까지 그린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약 800MW 규모의 그린수소 생산 용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에서는 녹색수소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경제연구소인 Prognos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의 수소 생산량에서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은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2020년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 수소 생산 목표를 5GW로 설정하고 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독일 북동부 멕클렌부르크-포어폼머른  라게 지역에 '아펙스(Apex)' 기업의 녹색 수소 발전소가 시범 가동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유럽 최대 규모로, 2023년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진행해 연 300t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7
ESG 라이프
기후 변화, 고기 대신 식물성 단백질 섭취로 상당부분 해결 가능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long
5-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분석에 따르면 육류와 유제품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4.5%를 차지한다. 이는 현재 운행 중인 자동차와 대형 트럭, 항공기, 선박에서 나오는 모든 온실가스를 합친 것과 같다. 온실가스에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화불화탄소류, 과불화탄소류, 육불화황, 오존, 수증기 등이 있는데, 국제기구협의회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이산화탄소 (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화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을 6대 온실가스로 지정했다. 이산화탄소는 주로 석유와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해 배출되며, 메탄은 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가축의 배설물, 초식 동물의 트림 등에 의해서 발생하고, 과불화탄소, 수소화불화탄소, 육불화황은 냉매, 반도체 공정, 변압기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최근 미국 비영리 환경 조사 그룹(EWG)이 수행한 수명 주기 분석에 따르면 양고기와 쇠고기가 가장 많은 온실 가스 배출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유제품인 치즈가 3위를 차지했다. 치즈는 섭취 킬로당 13.5킬로의 CO2e(이산화탄소 환산, 탄소 발자국 측정의 표준 단위)를 생성한다. 이는 돼지고기, 연어, 칠면조, 닭고기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양보다 많은 것으로, 환경에 더 나쁘다는 평가다. 치즈가 탄소 집약적인 이유는 다양하지만, 가장 큰 것은 치즈 1kg은 숙성 과정으로 인해 최대 10리터의 우유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 우유의 출처가 소와 기타 낙농 동물이기 때문이다. 이들 동물은 엄청난 양의 메탄을 방출하는데, 이는 이산화탄소보다 기후에 약 25배 더 큰 피해를 준다. 게다가 이들 동물을 키우기 위한 사료 생산 역시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고, 동물 배설물도 수질과 대기 질에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육류에 비해 유제품 소비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는 사실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영국 설문조사기관 CAST에서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0%는 육류 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것에 동의했지만, 치즈 등의 유제품에 대해서는 54%만이 소비를 줄여야 한다고 응답했다. 영국 뉴스매체인 인디펜던트는 영국 배스대학교의 환경 심리학자이자 영국 기후변화 및 사회변화센터(CAST) 소장인 로레인 휘트마쉬(Lorraine Whitmarsh) 교수의 말을 인용해 “치즈와 유제품 섭취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휘트마쉬 박사는 또한 “유제품 소비를 직접 줄이는 것이 어렵다면, 먼 곳에서 배송되는 제품보다는 현지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배송으로 인해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배양육으로 만든 미트볼이 상업적 용도로 대규모 생산이 가능하며, 기존 미트볼보다 영양가도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속가능성 미디어 그린퀸의 21일자 보도자료에 따르면 중국 칭화대학과 난징농업대학 공동연구팀은 학술지 생체재료(Biomaterials) 저널 최근호에 이에 관한 논문을 게재했다. 연구원들은 실험실에서 배양한 육류를 시장에서 대규모 판매가 가능할 만큼 생산할 수 있는 ‘세포 공장’이 만들어졌다고 밝혔다. 이들은 세포의 스캐폴딩 역할을 할 수 있는 3D 젤라틴 기반 ‘마이크로캐리어’를 개발했다. 마이크로캐리어는 부착의존성 세포의 밀도를 높여 배양하는 방법으로 공정 개발이 쉬워 상업공정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돼지 근육 세포와 지방을 따로 배양해 성장시킨 다음, 3D 프린팅된 몰딩으로 결합해 돼지고기 기반 미트볼을 생산했다.  또 연구원들에 따르면 재배된 미트볼은 건강에도 더 좋다. 전통적인 지역 요리인 시지터우의 중국 돼지고기 미트볼과 비교했을 때, 실험실에서 자란 재배육의 단백질이 더 높고 지방이 더 적었다. 연구원들은 “이러한 육류 공학 방법은 미트볼이나 소시지와 같이 다진 고기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확장 가능한 바이오 제조를 가능케 함으로써 미래 육류 메뉴를 혁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소태아혈청 없이 육류 생산, 비용절감 효과 이번 연구는 비용 절감을 위해 소태아혈청(FBS)을 사용하지 않아도 양질의 미트볼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 받고 있다. 기존 배양육 업계에서는 세포를 성장시키는 배양액에 소태아 혈청(FBS)을 주로 첨가해 사용했으나, 환경과 윤리, 가격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경작 육류 생산업체들은 저마다 FBS 대체 물질 개발에 나서고 있다. 네덜란드 기업 미터블(Meatable)은 이달 초 FBS 없이 실험실 배양 소시지 생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에는 또 다른 네덜란드 기업 모사 미트(Mosa Meat)가 FBS 없이 대체육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 네이처 푸드 저널에 공개한 바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가 있는 기업 업사이드 푸드(Upside Foods)는 연간 18만 킬로그램의 재배육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건설했다. 이 규모의 생산이 이뤄지면 비용도 훨씬 절감된다. 업사이드 푸드의 수석 기술자인 콘래드 뮬러 박사는 “맛있는 진짜 고기를 전 세계 사람들이 맛볼 수 있도록 생산 규모를 점점 더 크게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재배육 상용화, 소비자 인식 개선 필요 배양육이 상용화 되면, 가축을 사육하는 방식에 비해 온실가스를 대폭 줄일 수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배양육은 가축 사육 방식보다 에너지 사용량은 7~45%, 온실가스 배출량은 78~96%, 토지 사용면적은 82~96% 줄일 수 있다. UN 식량농업기구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축산물을 통해 배출되고 있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14.5%에 달한다. 현재 세계 인구 증가 추세로 감안하면 매년 2억톤의 이상의 육류가 추가로 필요하며, 가축에게 먹일 사료를 재배할 경작지 면적도 그만큼 더 필요하다. 하지만 배양육은 그런 고민을 해결해준다. 그밖에도 배양육은 식품 안전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을 지닌다. 항생제나 합성 호르몬 등과 같은 육류에 포함된 나쁜 성분들이 배제되고, 유통 구조를 단순화시켜 살모넬라 및 대장균과 같은 세균으로부터도 안전하다. 다만 재배육류의 상용화는 값비싼 생산 비용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인식 개선이라는 문제를 더불어 떠안고 있다. 재배육류 기업들은 친환경적인 기술사용에 대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싱가포르에서만 규제 승인을 받은 상태다. 미국의 경우 내년 승인이 예상되고 있으나 대중의 인식에 대한 문제가 숙제로 남아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식품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중 식품 운송 과정에서 나오는 배출량이 20%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전에 밝혀진 추정치보다 무려 7배나 높은 수치다. 최근 네이처 푸드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30% 정도인 것으로 추정됐다. 그 중 식품운송 분야가 전체 배출량의 약 6%를 차지했다. 항공 부문 배출량이 약 2%인 것에 비교하면 매우 높은 비율이다. 식품 운송 배출, 도로 차량 직접 배출 절반 차지 연구진은 74개국의 농산물, 축산, 제조업, 에너지 등 37개 경제 부문을 조사해 운송거리와 식품 질량을 계산했다. 분석 결과 식품 운송에서 세계적으로 연간 약 30억톤에 달하는 탄소가 배출됐다. 이는 전체 식품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의 19%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중국, 미국, 러시아, 인도의 식품 운송 배출량이 가장 많았다. 땅이 넓은 나라들이다. 또한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의 선진국이 배출 상위 순위에 올랐다. 이들 국가의 인구는 세계의 12.5%에 불과하지만 식품 산업 배출량은 전 세계 총 배출량의 46%를 차지했다. 배출량은 식품의 유형에 따라서도 달라졌다. 냉장 보관이 필요한 과일과 채소 등이 전체 식품 운송 배출량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연구 공동 저자이자 영양 생태학자인 데이비드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연구에 따르면 식물성 식단으로 전환하는 것 외에도, 선진국들이 곡물이나 육류 등의 식품을 현지에서 소비하는 것이 식품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기후 위기도 해결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커보어 운동' 다시 시작해야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과학자들은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소를 위해서는 15년 전 옥스포드에서 올해의 단어로 선정 되었던 '로커보어‘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커보어는 글로벌푸드나 패스트푸드를 섭취하지 않는 대신 로컬푸드를 섭취하자는 운동이다. 로컬푸드는 소비자의 인근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라서 푸드마일리지가 짧고, 식품 생산과 수송에 사용하는 에너지 및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텍사스 주립대학 제임스 맥윌리암스 교수는 “마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수입농산물은 장거리 이동을 위해 농약을 많이 사용했고, 운송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며, “로컬 푸드는 더 건강한 농산물로써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도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독려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한 사람이 지역에서 난 제철 식품을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1톤짜리 식품 운송차량이 태양을 6000번 왕복하면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로컬푸드를 소비하면서 지속가능한 식단을 유지하려는 소비자의 노력이 더해지면, 환경적 이익이 가장 커진다”며, “선진국 도시들이 먼저 지역에서 나는 제철 식품 소비에 앞장서면 미래 세대를 위해 건강한 지구를 만들어 나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국내외에서 식품업계 친환경 바람이 거세다. 최근 몇 년간 지속되던 식품업계 ESG 경영 체제는 코로나19 이후 더 가속화되고 있다. 환경문제에 대한 경각심으로 소비자들이 친환경·유기농 제품을 선호하면서다. 뉴질랜드에서는 음료 시장에 유기농 제품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1년 뉴질랜드 유기농음료 시장 규모는 소매 판매를 기준으로 28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11% 증가한 수치로, 전체 뉴질랜드 음료시장규모인 1억3000만 달러의 21%에 해당한다. 2021년 뉴질랜드에서 수입한 음료는 총 5100만 달러 규모다. 주요 수입국은 호주이며, 2021년 전체 수입시장의 55%를 차지했다. 한국은 뉴질랜드에 총 40만 달러 어치를 수출했다. 이는 뉴질랜드 수입시장 점유율의 1% 정도다. 큰 증가율을 보인 것은 과일쥬스류다. 과일쥬스류는 판매량은 3600만 달러로 전년대비 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주요 수입국은 호주였고, 그 다음으로 브라질, 태국 등이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총 20만 달러로 교역국 순위로는 26위를 기록했다. 유기농 음료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뉴질랜드인들은 가치 소비를 중시해 먹거리 선택에 있어 건강과 환경을 우선시하는 소비 패턴을 보인다. 비료나 농약 등을 사용하지 않았는지, 자연을 생각하는 친환경 제품인지를 중요하게 선택하는 것이다. 이제 소비자들은 자연과 인간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것에 대해 고민하고 기업들에도 보다 큰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고 있다. 설탕과 인공감미료의 사용을 줄이는 대신 천연원료를 통해 자연 그대로의 맛을 내고 농약과 인공 비료 등을 사용하지 않은 유기농 음료는 프리미엄 브랜드로 인식되며 건강과 웰니스 트렌드를 선도하는 핫한 아이템으로 자리 잡고 있다. 친환경 국가답게 유기농 산업 성장 꾸준 유기농 트랜드는 현지 FMCG(Fast-Moving Consumer Goods) 소비재 시장 전반에 걸쳐 다양한 틈새시장을 만들고 있다. 식품이나 음료가 아닌 화장품 시장에서도 소비자들은 안전과 건강함을 고려한 유기농 브랜드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제품 자체에 유기농 원료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패키징에도 친환경 포장재를 사용하는 등 프리미엄 브랜드와 가치소비자들을 공략하려는 현지 기업들 또한 크게 늘고 있다. 유로모니터의 뉴질랜드 유기농 음료시장 보고서에서는 대표적인 현지 유기농 음료브랜드로 아레파(Arepa)를 언급했다. 아레파는 현지 조달한 유기농 원료로 급성장하고 있는 브랜드다. 뉴질랜드는 이미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유기농 제품의 상업생산을 시작했다. 이후 유기농식품에 관한 기준 제정을 위해 뉴질랜드 바이오 생산자 협의회가 만들어졌으며 BIO-GRO NZ과 같은 유기농품 재배 인증 기준을 만들었다. 국내에서는 최근 GC녹십자(대표 허은철)가 유기농 식물성 단백질 브랜드 올게인의 신제품 식물성 프로틴 쉐이크를 선보이며, 환경 문제를 우선 순위로 두고 사업을 펼치고 있다. 올게인은 2020년부터 녹십자가 국내 독점 공급하고 있는 미국 식물성 단백질 시장 1위 브랜드다. 녹십자는 이 쉐이크가 완두단백 기반의 단백질 20g과 10가지 유기농 과일, 채소를 함유했으며, 유당과 동물성 지방, 콜레스테롤, 글루텐 등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소개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친환경 문제는 국내 식품업계뿐 아니라 전 세계 글로벌 식품기업들이 ESG경영에서도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이라며 “소비자들도 친환경을 요구하는 만큼 식품업계에 유기농 바람은 앞으로도 꾸준히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도시공원, 가로 조경, 옥상 정원 등 도시 녹지의 탄소 저감 효과가 기존 예측보다 훨씬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부 유럽 도시는 이를 통해 10년 내 탄소중립(net zero)까지 달성할 수 있다는 것. 스웨덴 왕립공대(KTH)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팀은 4일 '네이처 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서 도시녹지 같은 '자연 기반 솔루션(NBS)‘을 통해 도시 탄소 배출을 최대 25%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도시숲 같은 녹색 인프라, 가로수 같은 거리 조경, 공원 같은 녹색 공간 및 도시농업, 그린벨트 같은 보존지역, 옥상정원 등 5가지 NBS 방안을 유럽 내 54개 도시에 적용할 경우 탄소 배출량 저감에 기여하는 잠재력을 평가했다. 공동 교신저자인 KTH 자라 칼란타리 교수는 "NBS가 탄소 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간접적인 방법에 초점을 맞췄다"며 "NBS는 도시 탄소 배출량 일부를 상쇄할 뿐 아니라 배출량과 자원 소비를 줄이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5가지 NBS 방안을 이론적으로 최대한 구현할 경우 주거, 교통, 산업 부문의 도시 탄소 배출량을 최대 25%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NBS 방안에는 도시 농업, 빗물을 흡수하는 포장, 녹지 및 가로숫길 조성, 야생동물 서식지 보존, 걷기·자전거 타기에 쾌적한 환경 조성 등이 포함됐다. 유럽연합(EU) 내 54개 주요 도시에서 다양한 유형의 NBS를 공간적 우선순위를 둬 시행하면 탄소 배출량을 평균 17.4%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이산화탄소 배출 시나리오인 대표 농도 경로(RCP 1.9~8.5)에서 NBS와 다른 탄소 저감 대책의 효과를 추정한 결과 유럽 54개 도시에서 2030년까지 총 탄소배출량의 57%를 줄일 수 있고, 특히 키프로스 니코시아와 스페인 사라고사, 불가리아 플로브디프 등 3개 도시는 일부 시나리오에서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팀은 도시공원, 녹지, 가로숫길 조성 등은 자동차 운전을 대체하는 걷기, 자전거 타기 등 친환경 행동을 유도한다며 이런 조치는 다른 NBS와 결합해 열과 냉기를 흡수해 도시 기후를 개선하고 결과적으로 건물의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7
ESG 라이프
기후 변화, 고기 대신 식물성 단백질 섭취로 상당부분 해결 가능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long
5-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도시공원, 가로 조경, 옥상 정원 등 도시 녹지의 탄소 저감 효과가 기존 예측보다 훨씬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부 유럽 도시는 이를 통해 10년 내 탄소중립(net zero)까지 달성할 수 있다는 것. 스웨덴 왕립공대(KTH)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팀은 4일 '네이처 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서 도시녹지 같은 '자연 기반 솔루션(NBS)‘을 통해 도시 탄소 배출을 최대 25%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도시숲 같은 녹색 인프라, 가로수 같은 거리 조경, 공원 같은 녹색 공간 및 도시농업, 그린벨트 같은 보존지역, 옥상정원 등 5가지 NBS 방안을 유럽 내 54개 도시에 적용할 경우 탄소 배출량 저감에 기여하는 잠재력을 평가했다. 공동 교신저자인 KTH 자라 칼란타리 교수는 "NBS가 탄소 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간접적인 방법에 초점을 맞췄다"며 "NBS는 도시 탄소 배출량 일부를 상쇄할 뿐 아니라 배출량과 자원 소비를 줄이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5가지 NBS 방안을 이론적으로 최대한 구현할 경우 주거, 교통, 산업 부문의 도시 탄소 배출량을 최대 25%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NBS 방안에는 도시 농업, 빗물을 흡수하는 포장, 녹지 및 가로숫길 조성, 야생동물 서식지 보존, 걷기·자전거 타기에 쾌적한 환경 조성 등이 포함됐다. 유럽연합(EU) 내 54개 주요 도시에서 다양한 유형의 NBS를 공간적 우선순위를 둬 시행하면 탄소 배출량을 평균 17.4%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이산화탄소 배출 시나리오인 대표 농도 경로(RCP 1.9~8.5)에서 NBS와 다른 탄소 저감 대책의 효과를 추정한 결과 유럽 54개 도시에서 2030년까지 총 탄소배출량의 57%를 줄일 수 있고, 특히 키프로스 니코시아와 스페인 사라고사, 불가리아 플로브디프 등 3개 도시는 일부 시나리오에서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팀은 도시공원, 녹지, 가로숫길 조성 등은 자동차 운전을 대체하는 걷기, 자전거 타기 등 친환경 행동을 유도한다며 이런 조치는 다른 NBS와 결합해 열과 냉기를 흡수해 도시 기후를 개선하고 결과적으로 건물의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국내외에서 식품업계 친환경 바람이 거세다. 최근 몇 년간 지속되던 식품업계 ESG 경영 체제는 코로나19 이후 더 가속화되고 있다. 환경문제에 대한 경각심으로 소비자들이 친환경·유기농 제품을 선호하면서다. 뉴질랜드에서는 음료 시장에 유기농 제품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1년 뉴질랜드 유기농음료 시장 규모는 소매 판매를 기준으로 28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11% 증가한 수치로, 전체 뉴질랜드 음료시장규모인 1억3000만 달러의 21%에 해당한다. 2021년 뉴질랜드에서 수입한 음료는 총 5100만 달러 규모다. 주요 수입국은 호주이며, 2021년 전체 수입시장의 55%를 차지했다. 한국은 뉴질랜드에 총 40만 달러 어치를 수출했다. 이는 뉴질랜드 수입시장 점유율의 1% 정도다. 큰 증가율을 보인 것은 과일쥬스류다. 과일쥬스류는 판매량은 3600만 달러로 전년대비 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주요 수입국은 호주였고, 그 다음으로 브라질, 태국 등이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총 20만 달러로 교역국 순위로는 26위를 기록했다. 유기농 음료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뉴질랜드인들은 가치 소비를 중시해 먹거리 선택에 있어 건강과 환경을 우선시하는 소비 패턴을 보인다. 비료나 농약 등을 사용하지 않았는지, 자연을 생각하는 친환경 제품인지를 중요하게 선택하는 것이다. 이제 소비자들은 자연과 인간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것에 대해 고민하고 기업들에도 보다 큰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고 있다. 설탕과 인공감미료의 사용을 줄이는 대신 천연원료를 통해 자연 그대로의 맛을 내고 농약과 인공 비료 등을 사용하지 않은 유기농 음료는 프리미엄 브랜드로 인식되며 건강과 웰니스 트렌드를 선도하는 핫한 아이템으로 자리 잡고 있다. 친환경 국가답게 유기농 산업 성장 꾸준 유기농 트랜드는 현지 FMCG(Fast-Moving Consumer Goods) 소비재 시장 전반에 걸쳐 다양한 틈새시장을 만들고 있다. 식품이나 음료가 아닌 화장품 시장에서도 소비자들은 안전과 건강함을 고려한 유기농 브랜드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제품 자체에 유기농 원료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패키징에도 친환경 포장재를 사용하는 등 프리미엄 브랜드와 가치소비자들을 공략하려는 현지 기업들 또한 크게 늘고 있다. 유로모니터의 뉴질랜드 유기농 음료시장 보고서에서는 대표적인 현지 유기농 음료브랜드로 아레파(Arepa)를 언급했다. 아레파는 현지 조달한 유기농 원료로 급성장하고 있는 브랜드다. 뉴질랜드는 이미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유기농 제품의 상업생산을 시작했다. 이후 유기농식품에 관한 기준 제정을 위해 뉴질랜드 바이오 생산자 협의회가 만들어졌으며 BIO-GRO NZ과 같은 유기농품 재배 인증 기준을 만들었다. 국내에서는 최근 GC녹십자(대표 허은철)가 유기농 식물성 단백질 브랜드 올게인의 신제품 식물성 프로틴 쉐이크를 선보이며, 환경 문제를 우선 순위로 두고 사업을 펼치고 있다. 올게인은 2020년부터 녹십자가 국내 독점 공급하고 있는 미국 식물성 단백질 시장 1위 브랜드다. 녹십자는 이 쉐이크가 완두단백 기반의 단백질 20g과 10가지 유기농 과일, 채소를 함유했으며, 유당과 동물성 지방, 콜레스테롤, 글루텐 등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소개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친환경 문제는 국내 식품업계뿐 아니라 전 세계 글로벌 식품기업들이 ESG경영에서도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이라며 “소비자들도 친환경을 요구하는 만큼 식품업계에 유기농 바람은 앞으로도 꾸준히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식품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중 식품 운송 과정에서 나오는 배출량이 20%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전에 밝혀진 추정치보다 무려 7배나 높은 수치다. 최근 네이처 푸드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30% 정도인 것으로 추정됐다. 그 중 식품운송 분야가 전체 배출량의 약 6%를 차지했다. 항공 부문 배출량이 약 2%인 것에 비교하면 매우 높은 비율이다. 식품 운송 배출, 도로 차량 직접 배출 절반 차지 연구진은 74개국의 농산물, 축산, 제조업, 에너지 등 37개 경제 부문을 조사해 운송거리와 식품 질량을 계산했다. 분석 결과 식품 운송에서 세계적으로 연간 약 30억톤에 달하는 탄소가 배출됐다. 이는 전체 식품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의 19%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중국, 미국, 러시아, 인도의 식품 운송 배출량이 가장 많았다. 땅이 넓은 나라들이다. 또한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의 선진국이 배출 상위 순위에 올랐다. 이들 국가의 인구는 세계의 12.5%에 불과하지만 식품 산업 배출량은 전 세계 총 배출량의 46%를 차지했다. 배출량은 식품의 유형에 따라서도 달라졌다. 냉장 보관이 필요한 과일과 채소 등이 전체 식품 운송 배출량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연구 공동 저자이자 영양 생태학자인 데이비드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연구에 따르면 식물성 식단으로 전환하는 것 외에도, 선진국들이 곡물이나 육류 등의 식품을 현지에서 소비하는 것이 식품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기후 위기도 해결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커보어 운동' 다시 시작해야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과학자들은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소를 위해서는 15년 전 옥스포드에서 올해의 단어로 선정 되었던 '로커보어‘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커보어는 글로벌푸드나 패스트푸드를 섭취하지 않는 대신 로컬푸드를 섭취하자는 운동이다. 로컬푸드는 소비자의 인근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라서 푸드마일리지가 짧고, 식품 생산과 수송에 사용하는 에너지 및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텍사스 주립대학 제임스 맥윌리암스 교수는 “마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수입농산물은 장거리 이동을 위해 농약을 많이 사용했고, 운송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며, “로컬 푸드는 더 건강한 농산물로써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도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독려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한 사람이 지역에서 난 제철 식품을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1톤짜리 식품 운송차량이 태양을 6000번 왕복하면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로컬푸드를 소비하면서 지속가능한 식단을 유지하려는 소비자의 노력이 더해지면, 환경적 이익이 가장 커진다”며, “선진국 도시들이 먼저 지역에서 나는 제철 식품 소비에 앞장서면 미래 세대를 위해 건강한 지구를 만들어 나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배양육으로 만든 미트볼이 상업적 용도로 대규모 생산이 가능하며, 기존 미트볼보다 영양가도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속가능성 미디어 그린퀸의 21일자 보도자료에 따르면 중국 칭화대학과 난징농업대학 공동연구팀은 학술지 생체재료(Biomaterials) 저널 최근호에 이에 관한 논문을 게재했다. 연구원들은 실험실에서 배양한 육류를 시장에서 대규모 판매가 가능할 만큼 생산할 수 있는 ‘세포 공장’이 만들어졌다고 밝혔다. 이들은 세포의 스캐폴딩 역할을 할 수 있는 3D 젤라틴 기반 ‘마이크로캐리어’를 개발했다. 마이크로캐리어는 부착의존성 세포의 밀도를 높여 배양하는 방법으로 공정 개발이 쉬워 상업공정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돼지 근육 세포와 지방을 따로 배양해 성장시킨 다음, 3D 프린팅된 몰딩으로 결합해 돼지고기 기반 미트볼을 생산했다.  또 연구원들에 따르면 재배된 미트볼은 건강에도 더 좋다. 전통적인 지역 요리인 시지터우의 중국 돼지고기 미트볼과 비교했을 때, 실험실에서 자란 재배육의 단백질이 더 높고 지방이 더 적었다. 연구원들은 “이러한 육류 공학 방법은 미트볼이나 소시지와 같이 다진 고기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확장 가능한 바이오 제조를 가능케 함으로써 미래 육류 메뉴를 혁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소태아혈청 없이 육류 생산, 비용절감 효과 이번 연구는 비용 절감을 위해 소태아혈청(FBS)을 사용하지 않아도 양질의 미트볼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 받고 있다. 기존 배양육 업계에서는 세포를 성장시키는 배양액에 소태아 혈청(FBS)을 주로 첨가해 사용했으나, 환경과 윤리, 가격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경작 육류 생산업체들은 저마다 FBS 대체 물질 개발에 나서고 있다. 네덜란드 기업 미터블(Meatable)은 이달 초 FBS 없이 실험실 배양 소시지 생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에는 또 다른 네덜란드 기업 모사 미트(Mosa Meat)가 FBS 없이 대체육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 네이처 푸드 저널에 공개한 바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가 있는 기업 업사이드 푸드(Upside Foods)는 연간 18만 킬로그램의 재배육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건설했다. 이 규모의 생산이 이뤄지면 비용도 훨씬 절감된다. 업사이드 푸드의 수석 기술자인 콘래드 뮬러 박사는 “맛있는 진짜 고기를 전 세계 사람들이 맛볼 수 있도록 생산 규모를 점점 더 크게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재배육 상용화, 소비자 인식 개선 필요 배양육이 상용화 되면, 가축을 사육하는 방식에 비해 온실가스를 대폭 줄일 수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배양육은 가축 사육 방식보다 에너지 사용량은 7~45%, 온실가스 배출량은 78~96%, 토지 사용면적은 82~96% 줄일 수 있다. UN 식량농업기구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축산물을 통해 배출되고 있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14.5%에 달한다. 현재 세계 인구 증가 추세로 감안하면 매년 2억톤의 이상의 육류가 추가로 필요하며, 가축에게 먹일 사료를 재배할 경작지 면적도 그만큼 더 필요하다. 하지만 배양육은 그런 고민을 해결해준다. 그밖에도 배양육은 식품 안전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을 지닌다. 항생제나 합성 호르몬 등과 같은 육류에 포함된 나쁜 성분들이 배제되고, 유통 구조를 단순화시켜 살모넬라 및 대장균과 같은 세균으로부터도 안전하다. 다만 재배육류의 상용화는 값비싼 생산 비용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인식 개선이라는 문제를 더불어 떠안고 있다. 재배육류 기업들은 친환경적인 기술사용에 대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싱가포르에서만 규제 승인을 받은 상태다. 미국의 경우 내년 승인이 예상되고 있으나 대중의 인식에 대한 문제가 숙제로 남아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분석에 따르면 육류와 유제품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4.5%를 차지한다. 이는 현재 운행 중인 자동차와 대형 트럭, 항공기, 선박에서 나오는 모든 온실가스를 합친 것과 같다. 온실가스에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화불화탄소류, 과불화탄소류, 육불화황, 오존, 수증기 등이 있는데, 국제기구협의회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이산화탄소 (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화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을 6대 온실가스로 지정했다. 이산화탄소는 주로 석유와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해 배출되며, 메탄은 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가축의 배설물, 초식 동물의 트림 등에 의해서 발생하고, 과불화탄소, 수소화불화탄소, 육불화황은 냉매, 반도체 공정, 변압기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최근 미국 비영리 환경 조사 그룹(EWG)이 수행한 수명 주기 분석에 따르면 양고기와 쇠고기가 가장 많은 온실 가스 배출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유제품인 치즈가 3위를 차지했다. 치즈는 섭취 킬로당 13.5킬로의 CO2e(이산화탄소 환산, 탄소 발자국 측정의 표준 단위)를 생성한다. 이는 돼지고기, 연어, 칠면조, 닭고기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양보다 많은 것으로, 환경에 더 나쁘다는 평가다. 치즈가 탄소 집약적인 이유는 다양하지만, 가장 큰 것은 치즈 1kg은 숙성 과정으로 인해 최대 10리터의 우유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 우유의 출처가 소와 기타 낙농 동물이기 때문이다. 이들 동물은 엄청난 양의 메탄을 방출하는데, 이는 이산화탄소보다 기후에 약 25배 더 큰 피해를 준다. 게다가 이들 동물을 키우기 위한 사료 생산 역시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고, 동물 배설물도 수질과 대기 질에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육류에 비해 유제품 소비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는 사실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영국 설문조사기관 CAST에서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0%는 육류 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것에 동의했지만, 치즈 등의 유제품에 대해서는 54%만이 소비를 줄여야 한다고 응답했다. 영국 뉴스매체인 인디펜던트는 영국 배스대학교의 환경 심리학자이자 영국 기후변화 및 사회변화센터(CAST) 소장인 로레인 휘트마쉬(Lorraine Whitmarsh) 교수의 말을 인용해 “치즈와 유제품 섭취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휘트마쉬 박사는 또한 “유제품 소비를 직접 줄이는 것이 어렵다면, 먼 곳에서 배송되는 제품보다는 현지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배송으로 인해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7
ESG 라이프
기후 변화, 고기 대신 식물성 단백질 섭취로 상당부분 해결 가능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long
5-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분석에 따르면 육류와 유제품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4.5%를 차지한다. 이는 현재 운행 중인 자동차와 대형 트럭, 항공기, 선박에서 나오는 모든 온실가스를 합친 것과 같다. 온실가스에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화불화탄소류, 과불화탄소류, 육불화황, 오존, 수증기 등이 있는데, 국제기구협의회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이산화탄소 (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화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을 6대 온실가스로 지정했다. 이산화탄소는 주로 석유와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해 배출되며, 메탄은 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가축의 배설물, 초식 동물의 트림 등에 의해서 발생하고, 과불화탄소, 수소화불화탄소, 육불화황은 냉매, 반도체 공정, 변압기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최근 미국 비영리 환경 조사 그룹(EWG)이 수행한 수명 주기 분석에 따르면 양고기와 쇠고기가 가장 많은 온실 가스 배출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유제품인 치즈가 3위를 차지했다. 치즈는 섭취 킬로당 13.5킬로의 CO2e(이산화탄소 환산, 탄소 발자국 측정의 표준 단위)를 생성한다. 이는 돼지고기, 연어, 칠면조, 닭고기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양보다 많은 것으로, 환경에 더 나쁘다는 평가다. 치즈가 탄소 집약적인 이유는 다양하지만, 가장 큰 것은 치즈 1kg은 숙성 과정으로 인해 최대 10리터의 우유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 우유의 출처가 소와 기타 낙농 동물이기 때문이다. 이들 동물은 엄청난 양의 메탄을 방출하는데, 이는 이산화탄소보다 기후에 약 25배 더 큰 피해를 준다. 게다가 이들 동물을 키우기 위한 사료 생산 역시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고, 동물 배설물도 수질과 대기 질에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육류에 비해 유제품 소비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는 사실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영국 설문조사기관 CAST에서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0%는 육류 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것에 동의했지만, 치즈 등의 유제품에 대해서는 54%만이 소비를 줄여야 한다고 응답했다. 영국 뉴스매체인 인디펜던트는 영국 배스대학교의 환경 심리학자이자 영국 기후변화 및 사회변화센터(CAST) 소장인 로레인 휘트마쉬(Lorraine Whitmarsh) 교수의 말을 인용해 “치즈와 유제품 섭취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휘트마쉬 박사는 또한 “유제품 소비를 직접 줄이는 것이 어렵다면, 먼 곳에서 배송되는 제품보다는 현지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배송으로 인해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배양육으로 만든 미트볼이 상업적 용도로 대규모 생산이 가능하며, 기존 미트볼보다 영양가도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속가능성 미디어 그린퀸의 21일자 보도자료에 따르면 중국 칭화대학과 난징농업대학 공동연구팀은 학술지 생체재료(Biomaterials) 저널 최근호에 이에 관한 논문을 게재했다. 연구원들은 실험실에서 배양한 육류를 시장에서 대규모 판매가 가능할 만큼 생산할 수 있는 ‘세포 공장’이 만들어졌다고 밝혔다. 이들은 세포의 스캐폴딩 역할을 할 수 있는 3D 젤라틴 기반 ‘마이크로캐리어’를 개발했다. 마이크로캐리어는 부착의존성 세포의 밀도를 높여 배양하는 방법으로 공정 개발이 쉬워 상업공정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돼지 근육 세포와 지방을 따로 배양해 성장시킨 다음, 3D 프린팅된 몰딩으로 결합해 돼지고기 기반 미트볼을 생산했다.  또 연구원들에 따르면 재배된 미트볼은 건강에도 더 좋다. 전통적인 지역 요리인 시지터우의 중국 돼지고기 미트볼과 비교했을 때, 실험실에서 자란 재배육의 단백질이 더 높고 지방이 더 적었다. 연구원들은 “이러한 육류 공학 방법은 미트볼이나 소시지와 같이 다진 고기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확장 가능한 바이오 제조를 가능케 함으로써 미래 육류 메뉴를 혁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소태아혈청 없이 육류 생산, 비용절감 효과 이번 연구는 비용 절감을 위해 소태아혈청(FBS)을 사용하지 않아도 양질의 미트볼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 받고 있다. 기존 배양육 업계에서는 세포를 성장시키는 배양액에 소태아 혈청(FBS)을 주로 첨가해 사용했으나, 환경과 윤리, 가격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경작 육류 생산업체들은 저마다 FBS 대체 물질 개발에 나서고 있다. 네덜란드 기업 미터블(Meatable)은 이달 초 FBS 없이 실험실 배양 소시지 생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에는 또 다른 네덜란드 기업 모사 미트(Mosa Meat)가 FBS 없이 대체육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 네이처 푸드 저널에 공개한 바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가 있는 기업 업사이드 푸드(Upside Foods)는 연간 18만 킬로그램의 재배육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건설했다. 이 규모의 생산이 이뤄지면 비용도 훨씬 절감된다. 업사이드 푸드의 수석 기술자인 콘래드 뮬러 박사는 “맛있는 진짜 고기를 전 세계 사람들이 맛볼 수 있도록 생산 규모를 점점 더 크게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재배육 상용화, 소비자 인식 개선 필요 배양육이 상용화 되면, 가축을 사육하는 방식에 비해 온실가스를 대폭 줄일 수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배양육은 가축 사육 방식보다 에너지 사용량은 7~45%, 온실가스 배출량은 78~96%, 토지 사용면적은 82~96% 줄일 수 있다. UN 식량농업기구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축산물을 통해 배출되고 있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14.5%에 달한다. 현재 세계 인구 증가 추세로 감안하면 매년 2억톤의 이상의 육류가 추가로 필요하며, 가축에게 먹일 사료를 재배할 경작지 면적도 그만큼 더 필요하다. 하지만 배양육은 그런 고민을 해결해준다. 그밖에도 배양육은 식품 안전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을 지닌다. 항생제나 합성 호르몬 등과 같은 육류에 포함된 나쁜 성분들이 배제되고, 유통 구조를 단순화시켜 살모넬라 및 대장균과 같은 세균으로부터도 안전하다. 다만 재배육류의 상용화는 값비싼 생산 비용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인식 개선이라는 문제를 더불어 떠안고 있다. 재배육류 기업들은 친환경적인 기술사용에 대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싱가포르에서만 규제 승인을 받은 상태다. 미국의 경우 내년 승인이 예상되고 있으나 대중의 인식에 대한 문제가 숙제로 남아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식품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중 식품 운송 과정에서 나오는 배출량이 20%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전에 밝혀진 추정치보다 무려 7배나 높은 수치다. 최근 네이처 푸드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30% 정도인 것으로 추정됐다. 그 중 식품운송 분야가 전체 배출량의 약 6%를 차지했다. 항공 부문 배출량이 약 2%인 것에 비교하면 매우 높은 비율이다. 식품 운송 배출, 도로 차량 직접 배출 절반 차지 연구진은 74개국의 농산물, 축산, 제조업, 에너지 등 37개 경제 부문을 조사해 운송거리와 식품 질량을 계산했다. 분석 결과 식품 운송에서 세계적으로 연간 약 30억톤에 달하는 탄소가 배출됐다. 이는 전체 식품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의 19%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중국, 미국, 러시아, 인도의 식품 운송 배출량이 가장 많았다. 땅이 넓은 나라들이다. 또한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의 선진국이 배출 상위 순위에 올랐다. 이들 국가의 인구는 세계의 12.5%에 불과하지만 식품 산업 배출량은 전 세계 총 배출량의 46%를 차지했다. 배출량은 식품의 유형에 따라서도 달라졌다. 냉장 보관이 필요한 과일과 채소 등이 전체 식품 운송 배출량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연구 공동 저자이자 영양 생태학자인 데이비드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연구에 따르면 식물성 식단으로 전환하는 것 외에도, 선진국들이 곡물이나 육류 등의 식품을 현지에서 소비하는 것이 식품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기후 위기도 해결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커보어 운동' 다시 시작해야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과학자들은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소를 위해서는 15년 전 옥스포드에서 올해의 단어로 선정 되었던 '로커보어‘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커보어는 글로벌푸드나 패스트푸드를 섭취하지 않는 대신 로컬푸드를 섭취하자는 운동이다. 로컬푸드는 소비자의 인근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라서 푸드마일리지가 짧고, 식품 생산과 수송에 사용하는 에너지 및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텍사스 주립대학 제임스 맥윌리암스 교수는 “마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수입농산물은 장거리 이동을 위해 농약을 많이 사용했고, 운송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며, “로컬 푸드는 더 건강한 농산물로써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도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독려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한 사람이 지역에서 난 제철 식품을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1톤짜리 식품 운송차량이 태양을 6000번 왕복하면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로컬푸드를 소비하면서 지속가능한 식단을 유지하려는 소비자의 노력이 더해지면, 환경적 이익이 가장 커진다”며, “선진국 도시들이 먼저 지역에서 나는 제철 식품 소비에 앞장서면 미래 세대를 위해 건강한 지구를 만들어 나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국내외에서 식품업계 친환경 바람이 거세다. 최근 몇 년간 지속되던 식품업계 ESG 경영 체제는 코로나19 이후 더 가속화되고 있다. 환경문제에 대한 경각심으로 소비자들이 친환경·유기농 제품을 선호하면서다. 뉴질랜드에서는 음료 시장에 유기농 제품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1년 뉴질랜드 유기농음료 시장 규모는 소매 판매를 기준으로 28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11% 증가한 수치로, 전체 뉴질랜드 음료시장규모인 1억3000만 달러의 21%에 해당한다. 2021년 뉴질랜드에서 수입한 음료는 총 5100만 달러 규모다. 주요 수입국은 호주이며, 2021년 전체 수입시장의 55%를 차지했다. 한국은 뉴질랜드에 총 40만 달러 어치를 수출했다. 이는 뉴질랜드 수입시장 점유율의 1% 정도다. 큰 증가율을 보인 것은 과일쥬스류다. 과일쥬스류는 판매량은 3600만 달러로 전년대비 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주요 수입국은 호주였고, 그 다음으로 브라질, 태국 등이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총 20만 달러로 교역국 순위로는 26위를 기록했다. 유기농 음료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뉴질랜드인들은 가치 소비를 중시해 먹거리 선택에 있어 건강과 환경을 우선시하는 소비 패턴을 보인다. 비료나 농약 등을 사용하지 않았는지, 자연을 생각하는 친환경 제품인지를 중요하게 선택하는 것이다. 이제 소비자들은 자연과 인간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것에 대해 고민하고 기업들에도 보다 큰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고 있다. 설탕과 인공감미료의 사용을 줄이는 대신 천연원료를 통해 자연 그대로의 맛을 내고 농약과 인공 비료 등을 사용하지 않은 유기농 음료는 프리미엄 브랜드로 인식되며 건강과 웰니스 트렌드를 선도하는 핫한 아이템으로 자리 잡고 있다. 친환경 국가답게 유기농 산업 성장 꾸준 유기농 트랜드는 현지 FMCG(Fast-Moving Consumer Goods) 소비재 시장 전반에 걸쳐 다양한 틈새시장을 만들고 있다. 식품이나 음료가 아닌 화장품 시장에서도 소비자들은 안전과 건강함을 고려한 유기농 브랜드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제품 자체에 유기농 원료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패키징에도 친환경 포장재를 사용하는 등 프리미엄 브랜드와 가치소비자들을 공략하려는 현지 기업들 또한 크게 늘고 있다. 유로모니터의 뉴질랜드 유기농 음료시장 보고서에서는 대표적인 현지 유기농 음료브랜드로 아레파(Arepa)를 언급했다. 아레파는 현지 조달한 유기농 원료로 급성장하고 있는 브랜드다. 뉴질랜드는 이미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유기농 제품의 상업생산을 시작했다. 이후 유기농식품에 관한 기준 제정을 위해 뉴질랜드 바이오 생산자 협의회가 만들어졌으며 BIO-GRO NZ과 같은 유기농품 재배 인증 기준을 만들었다. 국내에서는 최근 GC녹십자(대표 허은철)가 유기농 식물성 단백질 브랜드 올게인의 신제품 식물성 프로틴 쉐이크를 선보이며, 환경 문제를 우선 순위로 두고 사업을 펼치고 있다. 올게인은 2020년부터 녹십자가 국내 독점 공급하고 있는 미국 식물성 단백질 시장 1위 브랜드다. 녹십자는 이 쉐이크가 완두단백 기반의 단백질 20g과 10가지 유기농 과일, 채소를 함유했으며, 유당과 동물성 지방, 콜레스테롤, 글루텐 등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소개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친환경 문제는 국내 식품업계뿐 아니라 전 세계 글로벌 식품기업들이 ESG경영에서도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이라며 “소비자들도 친환경을 요구하는 만큼 식품업계에 유기농 바람은 앞으로도 꾸준히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도시공원, 가로 조경, 옥상 정원 등 도시 녹지의 탄소 저감 효과가 기존 예측보다 훨씬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부 유럽 도시는 이를 통해 10년 내 탄소중립(net zero)까지 달성할 수 있다는 것. 스웨덴 왕립공대(KTH)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팀은 4일 '네이처 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서 도시녹지 같은 '자연 기반 솔루션(NBS)‘을 통해 도시 탄소 배출을 최대 25%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도시숲 같은 녹색 인프라, 가로수 같은 거리 조경, 공원 같은 녹색 공간 및 도시농업, 그린벨트 같은 보존지역, 옥상정원 등 5가지 NBS 방안을 유럽 내 54개 도시에 적용할 경우 탄소 배출량 저감에 기여하는 잠재력을 평가했다. 공동 교신저자인 KTH 자라 칼란타리 교수는 "NBS가 탄소 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간접적인 방법에 초점을 맞췄다"며 "NBS는 도시 탄소 배출량 일부를 상쇄할 뿐 아니라 배출량과 자원 소비를 줄이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5가지 NBS 방안을 이론적으로 최대한 구현할 경우 주거, 교통, 산업 부문의 도시 탄소 배출량을 최대 25%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NBS 방안에는 도시 농업, 빗물을 흡수하는 포장, 녹지 및 가로숫길 조성, 야생동물 서식지 보존, 걷기·자전거 타기에 쾌적한 환경 조성 등이 포함됐다. 유럽연합(EU) 내 54개 주요 도시에서 다양한 유형의 NBS를 공간적 우선순위를 둬 시행하면 탄소 배출량을 평균 17.4%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이산화탄소 배출 시나리오인 대표 농도 경로(RCP 1.9~8.5)에서 NBS와 다른 탄소 저감 대책의 효과를 추정한 결과 유럽 54개 도시에서 2030년까지 총 탄소배출량의 57%를 줄일 수 있고, 특히 키프로스 니코시아와 스페인 사라고사, 불가리아 플로브디프 등 3개 도시는 일부 시나리오에서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팀은 도시공원, 녹지, 가로숫길 조성 등은 자동차 운전을 대체하는 걷기, 자전거 타기 등 친환경 행동을 유도한다며 이런 조치는 다른 NBS와 결합해 열과 냉기를 흡수해 도시 기후를 개선하고 결과적으로 건물의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7
ESG 라이프
기후 변화, 고기 대신 식물성 단백질 섭취로 상당부분 해결 가능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long
5-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도시공원, 가로 조경, 옥상 정원 등 도시 녹지의 탄소 저감 효과가 기존 예측보다 훨씬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부 유럽 도시는 이를 통해 10년 내 탄소중립(net zero)까지 달성할 수 있다는 것. 스웨덴 왕립공대(KTH)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팀은 4일 '네이처 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서 도시녹지 같은 '자연 기반 솔루션(NBS)‘을 통해 도시 탄소 배출을 최대 25%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도시숲 같은 녹색 인프라, 가로수 같은 거리 조경, 공원 같은 녹색 공간 및 도시농업, 그린벨트 같은 보존지역, 옥상정원 등 5가지 NBS 방안을 유럽 내 54개 도시에 적용할 경우 탄소 배출량 저감에 기여하는 잠재력을 평가했다. 공동 교신저자인 KTH 자라 칼란타리 교수는 "NBS가 탄소 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간접적인 방법에 초점을 맞췄다"며 "NBS는 도시 탄소 배출량 일부를 상쇄할 뿐 아니라 배출량과 자원 소비를 줄이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5가지 NBS 방안을 이론적으로 최대한 구현할 경우 주거, 교통, 산업 부문의 도시 탄소 배출량을 최대 25%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NBS 방안에는 도시 농업, 빗물을 흡수하는 포장, 녹지 및 가로숫길 조성, 야생동물 서식지 보존, 걷기·자전거 타기에 쾌적한 환경 조성 등이 포함됐다. 유럽연합(EU) 내 54개 주요 도시에서 다양한 유형의 NBS를 공간적 우선순위를 둬 시행하면 탄소 배출량을 평균 17.4%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이산화탄소 배출 시나리오인 대표 농도 경로(RCP 1.9~8.5)에서 NBS와 다른 탄소 저감 대책의 효과를 추정한 결과 유럽 54개 도시에서 2030년까지 총 탄소배출량의 57%를 줄일 수 있고, 특히 키프로스 니코시아와 스페인 사라고사, 불가리아 플로브디프 등 3개 도시는 일부 시나리오에서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팀은 도시공원, 녹지, 가로숫길 조성 등은 자동차 운전을 대체하는 걷기, 자전거 타기 등 친환경 행동을 유도한다며 이런 조치는 다른 NBS와 결합해 열과 냉기를 흡수해 도시 기후를 개선하고 결과적으로 건물의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국내외에서 식품업계 친환경 바람이 거세다. 최근 몇 년간 지속되던 식품업계 ESG 경영 체제는 코로나19 이후 더 가속화되고 있다. 환경문제에 대한 경각심으로 소비자들이 친환경·유기농 제품을 선호하면서다. 뉴질랜드에서는 음료 시장에 유기농 제품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1년 뉴질랜드 유기농음료 시장 규모는 소매 판매를 기준으로 28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11% 증가한 수치로, 전체 뉴질랜드 음료시장규모인 1억3000만 달러의 21%에 해당한다. 2021년 뉴질랜드에서 수입한 음료는 총 5100만 달러 규모다. 주요 수입국은 호주이며, 2021년 전체 수입시장의 55%를 차지했다. 한국은 뉴질랜드에 총 40만 달러 어치를 수출했다. 이는 뉴질랜드 수입시장 점유율의 1% 정도다. 큰 증가율을 보인 것은 과일쥬스류다. 과일쥬스류는 판매량은 3600만 달러로 전년대비 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주요 수입국은 호주였고, 그 다음으로 브라질, 태국 등이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총 20만 달러로 교역국 순위로는 26위를 기록했다. 유기농 음료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뉴질랜드인들은 가치 소비를 중시해 먹거리 선택에 있어 건강과 환경을 우선시하는 소비 패턴을 보인다. 비료나 농약 등을 사용하지 않았는지, 자연을 생각하는 친환경 제품인지를 중요하게 선택하는 것이다. 이제 소비자들은 자연과 인간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것에 대해 고민하고 기업들에도 보다 큰 사회적 책임을 기대하고 있다. 설탕과 인공감미료의 사용을 줄이는 대신 천연원료를 통해 자연 그대로의 맛을 내고 농약과 인공 비료 등을 사용하지 않은 유기농 음료는 프리미엄 브랜드로 인식되며 건강과 웰니스 트렌드를 선도하는 핫한 아이템으로 자리 잡고 있다. 친환경 국가답게 유기농 산업 성장 꾸준 유기농 트랜드는 현지 FMCG(Fast-Moving Consumer Goods) 소비재 시장 전반에 걸쳐 다양한 틈새시장을 만들고 있다. 식품이나 음료가 아닌 화장품 시장에서도 소비자들은 안전과 건강함을 고려한 유기농 브랜드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제품 자체에 유기농 원료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패키징에도 친환경 포장재를 사용하는 등 프리미엄 브랜드와 가치소비자들을 공략하려는 현지 기업들 또한 크게 늘고 있다. 유로모니터의 뉴질랜드 유기농 음료시장 보고서에서는 대표적인 현지 유기농 음료브랜드로 아레파(Arepa)를 언급했다. 아레파는 현지 조달한 유기농 원료로 급성장하고 있는 브랜드다. 뉴질랜드는 이미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유기농 제품의 상업생산을 시작했다. 이후 유기농식품에 관한 기준 제정을 위해 뉴질랜드 바이오 생산자 협의회가 만들어졌으며 BIO-GRO NZ과 같은 유기농품 재배 인증 기준을 만들었다. 국내에서는 최근 GC녹십자(대표 허은철)가 유기농 식물성 단백질 브랜드 올게인의 신제품 식물성 프로틴 쉐이크를 선보이며, 환경 문제를 우선 순위로 두고 사업을 펼치고 있다. 올게인은 2020년부터 녹십자가 국내 독점 공급하고 있는 미국 식물성 단백질 시장 1위 브랜드다. 녹십자는 이 쉐이크가 완두단백 기반의 단백질 20g과 10가지 유기농 과일, 채소를 함유했으며, 유당과 동물성 지방, 콜레스테롤, 글루텐 등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소개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친환경 문제는 국내 식품업계뿐 아니라 전 세계 글로벌 식품기업들이 ESG경영에서도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이라며 “소비자들도 친환경을 요구하는 만큼 식품업계에 유기농 바람은 앞으로도 꾸준히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식품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중 식품 운송 과정에서 나오는 배출량이 20%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전에 밝혀진 추정치보다 무려 7배나 높은 수치다. 최근 네이처 푸드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30% 정도인 것으로 추정됐다. 그 중 식품운송 분야가 전체 배출량의 약 6%를 차지했다. 항공 부문 배출량이 약 2%인 것에 비교하면 매우 높은 비율이다. 식품 운송 배출, 도로 차량 직접 배출 절반 차지 연구진은 74개국의 농산물, 축산, 제조업, 에너지 등 37개 경제 부문을 조사해 운송거리와 식품 질량을 계산했다. 분석 결과 식품 운송에서 세계적으로 연간 약 30억톤에 달하는 탄소가 배출됐다. 이는 전체 식품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의 19%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중국, 미국, 러시아, 인도의 식품 운송 배출량이 가장 많았다. 땅이 넓은 나라들이다. 또한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의 선진국이 배출 상위 순위에 올랐다. 이들 국가의 인구는 세계의 12.5%에 불과하지만 식품 산업 배출량은 전 세계 총 배출량의 46%를 차지했다. 배출량은 식품의 유형에 따라서도 달라졌다. 냉장 보관이 필요한 과일과 채소 등이 전체 식품 운송 배출량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연구 공동 저자이자 영양 생태학자인 데이비드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연구에 따르면 식물성 식단으로 전환하는 것 외에도, 선진국들이 곡물이나 육류 등의 식품을 현지에서 소비하는 것이 식품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기후 위기도 해결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커보어 운동' 다시 시작해야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과학자들은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소를 위해서는 15년 전 옥스포드에서 올해의 단어로 선정 되었던 '로커보어‘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커보어는 글로벌푸드나 패스트푸드를 섭취하지 않는 대신 로컬푸드를 섭취하자는 운동이다. 로컬푸드는 소비자의 인근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라서 푸드마일리지가 짧고, 식품 생산과 수송에 사용하는 에너지 및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텍사스 주립대학 제임스 맥윌리암스 교수는 “마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수입농산물은 장거리 이동을 위해 농약을 많이 사용했고, 운송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며, “로컬 푸드는 더 건강한 농산물로써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도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독려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한 사람이 지역에서 난 제철 식품을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1톤짜리 식품 운송차량이 태양을 6000번 왕복하면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로컬푸드를 소비하면서 지속가능한 식단을 유지하려는 소비자의 노력이 더해지면, 환경적 이익이 가장 커진다”며, “선진국 도시들이 먼저 지역에서 나는 제철 식품 소비에 앞장서면 미래 세대를 위해 건강한 지구를 만들어 나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배양육으로 만든 미트볼이 상업적 용도로 대규모 생산이 가능하며, 기존 미트볼보다 영양가도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속가능성 미디어 그린퀸의 21일자 보도자료에 따르면 중국 칭화대학과 난징농업대학 공동연구팀은 학술지 생체재료(Biomaterials) 저널 최근호에 이에 관한 논문을 게재했다. 연구원들은 실험실에서 배양한 육류를 시장에서 대규모 판매가 가능할 만큼 생산할 수 있는 ‘세포 공장’이 만들어졌다고 밝혔다. 이들은 세포의 스캐폴딩 역할을 할 수 있는 3D 젤라틴 기반 ‘마이크로캐리어’를 개발했다. 마이크로캐리어는 부착의존성 세포의 밀도를 높여 배양하는 방법으로 공정 개발이 쉬워 상업공정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돼지 근육 세포와 지방을 따로 배양해 성장시킨 다음, 3D 프린팅된 몰딩으로 결합해 돼지고기 기반 미트볼을 생산했다.  또 연구원들에 따르면 재배된 미트볼은 건강에도 더 좋다. 전통적인 지역 요리인 시지터우의 중국 돼지고기 미트볼과 비교했을 때, 실험실에서 자란 재배육의 단백질이 더 높고 지방이 더 적었다. 연구원들은 “이러한 육류 공학 방법은 미트볼이나 소시지와 같이 다진 고기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확장 가능한 바이오 제조를 가능케 함으로써 미래 육류 메뉴를 혁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소태아혈청 없이 육류 생산, 비용절감 효과 이번 연구는 비용 절감을 위해 소태아혈청(FBS)을 사용하지 않아도 양질의 미트볼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 받고 있다. 기존 배양육 업계에서는 세포를 성장시키는 배양액에 소태아 혈청(FBS)을 주로 첨가해 사용했으나, 환경과 윤리, 가격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경작 육류 생산업체들은 저마다 FBS 대체 물질 개발에 나서고 있다. 네덜란드 기업 미터블(Meatable)은 이달 초 FBS 없이 실험실 배양 소시지 생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에는 또 다른 네덜란드 기업 모사 미트(Mosa Meat)가 FBS 없이 대체육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 네이처 푸드 저널에 공개한 바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가 있는 기업 업사이드 푸드(Upside Foods)는 연간 18만 킬로그램의 재배육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건설했다. 이 규모의 생산이 이뤄지면 비용도 훨씬 절감된다. 업사이드 푸드의 수석 기술자인 콘래드 뮬러 박사는 “맛있는 진짜 고기를 전 세계 사람들이 맛볼 수 있도록 생산 규모를 점점 더 크게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재배육 상용화, 소비자 인식 개선 필요 배양육이 상용화 되면, 가축을 사육하는 방식에 비해 온실가스를 대폭 줄일 수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배양육은 가축 사육 방식보다 에너지 사용량은 7~45%, 온실가스 배출량은 78~96%, 토지 사용면적은 82~96% 줄일 수 있다. UN 식량농업기구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축산물을 통해 배출되고 있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14.5%에 달한다. 현재 세계 인구 증가 추세로 감안하면 매년 2억톤의 이상의 육류가 추가로 필요하며, 가축에게 먹일 사료를 재배할 경작지 면적도 그만큼 더 필요하다. 하지만 배양육은 그런 고민을 해결해준다. 그밖에도 배양육은 식품 안전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을 지닌다. 항생제나 합성 호르몬 등과 같은 육류에 포함된 나쁜 성분들이 배제되고, 유통 구조를 단순화시켜 살모넬라 및 대장균과 같은 세균으로부터도 안전하다. 다만 재배육류의 상용화는 값비싼 생산 비용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인식 개선이라는 문제를 더불어 떠안고 있다. 재배육류 기업들은 친환경적인 기술사용에 대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싱가포르에서만 규제 승인을 받은 상태다. 미국의 경우 내년 승인이 예상되고 있으나 대중의 인식에 대한 문제가 숙제로 남아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분석에 따르면 육류와 유제품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4.5%를 차지한다. 이는 현재 운행 중인 자동차와 대형 트럭, 항공기, 선박에서 나오는 모든 온실가스를 합친 것과 같다. 온실가스에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화불화탄소류, 과불화탄소류, 육불화황, 오존, 수증기 등이 있는데, 국제기구협의회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이산화탄소 (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화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을 6대 온실가스로 지정했다. 이산화탄소는 주로 석유와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해 배출되며, 메탄은 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가축의 배설물, 초식 동물의 트림 등에 의해서 발생하고, 과불화탄소, 수소화불화탄소, 육불화황은 냉매, 반도체 공정, 변압기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최근 미국 비영리 환경 조사 그룹(EWG)이 수행한 수명 주기 분석에 따르면 양고기와 쇠고기가 가장 많은 온실 가스 배출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유제품인 치즈가 3위를 차지했다. 치즈는 섭취 킬로당 13.5킬로의 CO2e(이산화탄소 환산, 탄소 발자국 측정의 표준 단위)를 생성한다. 이는 돼지고기, 연어, 칠면조, 닭고기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양보다 많은 것으로, 환경에 더 나쁘다는 평가다. 치즈가 탄소 집약적인 이유는 다양하지만, 가장 큰 것은 치즈 1kg은 숙성 과정으로 인해 최대 10리터의 우유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 우유의 출처가 소와 기타 낙농 동물이기 때문이다. 이들 동물은 엄청난 양의 메탄을 방출하는데, 이는 이산화탄소보다 기후에 약 25배 더 큰 피해를 준다. 게다가 이들 동물을 키우기 위한 사료 생산 역시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고, 동물 배설물도 수질과 대기 질에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육류에 비해 유제품 소비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는 사실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영국 설문조사기관 CAST에서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0%는 육류 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것에 동의했지만, 치즈 등의 유제품에 대해서는 54%만이 소비를 줄여야 한다고 응답했다. 영국 뉴스매체인 인디펜던트는 영국 배스대학교의 환경 심리학자이자 영국 기후변화 및 사회변화센터(CAST) 소장인 로레인 휘트마쉬(Lorraine Whitmarsh) 교수의 말을 인용해 “치즈와 유제품 섭취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휘트마쉬 박사는 또한 “유제품 소비를 직접 줄이는 것이 어렵다면, 먼 곳에서 배송되는 제품보다는 현지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배송으로 인해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7
ESG 라이프
기후 변화, 고기 대신 식물성 단백질 섭취로 상당부분 해결 가능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long
3-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분석에 따르면 육류와 유제품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4.5%를 차지한다. 이는 현재 운행 중인 자동차와 대형 트럭, 항공기, 선박에서 나오는 모든 온실가스를 합친 것과 같다. 온실가스에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화불화탄소류, 과불화탄소류, 육불화황, 오존, 수증기 등이 있는데, 국제기구협의회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이산화탄소 (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화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을 6대 온실가스로 지정했다. 이산화탄소는 주로 석유와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해 배출되며, 메탄은 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가축의 배설물, 초식 동물의 트림 등에 의해서 발생하고, 과불화탄소, 수소화불화탄소, 육불화황은 냉매, 반도체 공정, 변압기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최근 미국 비영리 환경 조사 그룹(EWG)이 수행한 수명 주기 분석에 따르면 양고기와 쇠고기가 가장 많은 온실 가스 배출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유제품인 치즈가 3위를 차지했다. 치즈는 섭취 킬로당 13.5킬로의 CO2e(이산화탄소 환산, 탄소 발자국 측정의 표준 단위)를 생성한다. 이는 돼지고기, 연어, 칠면조, 닭고기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양보다 많은 것으로, 환경에 더 나쁘다는 평가다. 치즈가 탄소 집약적인 이유는 다양하지만, 가장 큰 것은 치즈 1kg은 숙성 과정으로 인해 최대 10리터의 우유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 우유의 출처가 소와 기타 낙농 동물이기 때문이다. 이들 동물은 엄청난 양의 메탄을 방출하는데, 이는 이산화탄소보다 기후에 약 25배 더 큰 피해를 준다. 게다가 이들 동물을 키우기 위한 사료 생산 역시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고, 동물 배설물도 수질과 대기 질에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육류에 비해 유제품 소비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는 사실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영국 설문조사기관 CAST에서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0%는 육류 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것에 동의했지만, 치즈 등의 유제품에 대해서는 54%만이 소비를 줄여야 한다고 응답했다. 영국 뉴스매체인 인디펜던트는 영국 배스대학교의 환경 심리학자이자 영국 기후변화 및 사회변화센터(CAST) 소장인 로레인 휘트마쉬(Lorraine Whitmarsh) 교수의 말을 인용해 “치즈와 유제품 섭취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휘트마쉬 박사는 또한 “유제품 소비를 직접 줄이는 것이 어렵다면, 먼 곳에서 배송되는 제품보다는 현지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배송으로 인해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배양육으로 만든 미트볼이 상업적 용도로 대규모 생산이 가능하며, 기존 미트볼보다 영양가도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속가능성 미디어 그린퀸의 21일자 보도자료에 따르면 중국 칭화대학과 난징농업대학 공동연구팀은 학술지 생체재료(Biomaterials) 저널 최근호에 이에 관한 논문을 게재했다. 연구원들은 실험실에서 배양한 육류를 시장에서 대규모 판매가 가능할 만큼 생산할 수 있는 ‘세포 공장’이 만들어졌다고 밝혔다. 이들은 세포의 스캐폴딩 역할을 할 수 있는 3D 젤라틴 기반 ‘마이크로캐리어’를 개발했다. 마이크로캐리어는 부착의존성 세포의 밀도를 높여 배양하는 방법으로 공정 개발이 쉬워 상업공정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돼지 근육 세포와 지방을 따로 배양해 성장시킨 다음, 3D 프린팅된 몰딩으로 결합해 돼지고기 기반 미트볼을 생산했다.  또 연구원들에 따르면 재배된 미트볼은 건강에도 더 좋다. 전통적인 지역 요리인 시지터우의 중국 돼지고기 미트볼과 비교했을 때, 실험실에서 자란 재배육의 단백질이 더 높고 지방이 더 적었다. 연구원들은 “이러한 육류 공학 방법은 미트볼이나 소시지와 같이 다진 고기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확장 가능한 바이오 제조를 가능케 함으로써 미래 육류 메뉴를 혁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소태아혈청 없이 육류 생산, 비용절감 효과 이번 연구는 비용 절감을 위해 소태아혈청(FBS)을 사용하지 않아도 양질의 미트볼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 받고 있다. 기존 배양육 업계에서는 세포를 성장시키는 배양액에 소태아 혈청(FBS)을 주로 첨가해 사용했으나, 환경과 윤리, 가격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경작 육류 생산업체들은 저마다 FBS 대체 물질 개발에 나서고 있다. 네덜란드 기업 미터블(Meatable)은 이달 초 FBS 없이 실험실 배양 소시지 생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에는 또 다른 네덜란드 기업 모사 미트(Mosa Meat)가 FBS 없이 대체육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 네이처 푸드 저널에 공개한 바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가 있는 기업 업사이드 푸드(Upside Foods)는 연간 18만 킬로그램의 재배육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건설했다. 이 규모의 생산이 이뤄지면 비용도 훨씬 절감된다. 업사이드 푸드의 수석 기술자인 콘래드 뮬러 박사는 “맛있는 진짜 고기를 전 세계 사람들이 맛볼 수 있도록 생산 규모를 점점 더 크게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재배육 상용화, 소비자 인식 개선 필요 배양육이 상용화 되면, 가축을 사육하는 방식에 비해 온실가스를 대폭 줄일 수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배양육은 가축 사육 방식보다 에너지 사용량은 7~45%, 온실가스 배출량은 78~96%, 토지 사용면적은 82~96% 줄일 수 있다. UN 식량농업기구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축산물을 통해 배출되고 있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14.5%에 달한다. 현재 세계 인구 증가 추세로 감안하면 매년 2억톤의 이상의 육류가 추가로 필요하며, 가축에게 먹일 사료를 재배할 경작지 면적도 그만큼 더 필요하다. 하지만 배양육은 그런 고민을 해결해준다. 그밖에도 배양육은 식품 안전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을 지닌다. 항생제나 합성 호르몬 등과 같은 육류에 포함된 나쁜 성분들이 배제되고, 유통 구조를 단순화시켜 살모넬라 및 대장균과 같은 세균으로부터도 안전하다. 다만 재배육류의 상용화는 값비싼 생산 비용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인식 개선이라는 문제를 더불어 떠안고 있다. 재배육류 기업들은 친환경적인 기술사용에 대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싱가포르에서만 규제 승인을 받은 상태다. 미국의 경우 내년 승인이 예상되고 있으나 대중의 인식에 대한 문제가 숙제로 남아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식품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중 식품 운송 과정에서 나오는 배출량이 20%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전에 밝혀진 추정치보다 무려 7배나 높은 수치다. 최근 네이처 푸드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30% 정도인 것으로 추정됐다. 그 중 식품운송 분야가 전체 배출량의 약 6%를 차지했다. 항공 부문 배출량이 약 2%인 것에 비교하면 매우 높은 비율이다. 식품 운송 배출, 도로 차량 직접 배출 절반 차지 연구진은 74개국의 농산물, 축산, 제조업, 에너지 등 37개 경제 부문을 조사해 운송거리와 식품 질량을 계산했다. 분석 결과 식품 운송에서 세계적으로 연간 약 30억톤에 달하는 탄소가 배출됐다. 이는 전체 식품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의 19%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중국, 미국, 러시아, 인도의 식품 운송 배출량이 가장 많았다. 땅이 넓은 나라들이다. 또한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의 선진국이 배출 상위 순위에 올랐다. 이들 국가의 인구는 세계의 12.5%에 불과하지만 식품 산업 배출량은 전 세계 총 배출량의 46%를 차지했다. 배출량은 식품의 유형에 따라서도 달라졌다. 냉장 보관이 필요한 과일과 채소 등이 전체 식품 운송 배출량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연구 공동 저자이자 영양 생태학자인 데이비드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연구에 따르면 식물성 식단으로 전환하는 것 외에도, 선진국들이 곡물이나 육류 등의 식품을 현지에서 소비하는 것이 식품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기후 위기도 해결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커보어 운동' 다시 시작해야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과학자들은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소를 위해서는 15년 전 옥스포드에서 올해의 단어로 선정 되었던 '로커보어‘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커보어는 글로벌푸드나 패스트푸드를 섭취하지 않는 대신 로컬푸드를 섭취하자는 운동이다. 로컬푸드는 소비자의 인근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라서 푸드마일리지가 짧고, 식품 생산과 수송에 사용하는 에너지 및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텍사스 주립대학 제임스 맥윌리암스 교수는 “마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수입농산물은 장거리 이동을 위해 농약을 많이 사용했고, 운송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며, “로컬 푸드는 더 건강한 농산물로써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도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독려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한 사람이 지역에서 난 제철 식품을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1톤짜리 식품 운송차량이 태양을 6000번 왕복하면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로컬푸드를 소비하면서 지속가능한 식단을 유지하려는 소비자의 노력이 더해지면, 환경적 이익이 가장 커진다”며, “선진국 도시들이 먼저 지역에서 나는 제철 식품 소비에 앞장서면 미래 세대를 위해 건강한 지구를 만들어 나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7
ESG 라이프
기후 변화, 고기 대신 식물성 단백질 섭취로 상당부분 해결 가능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long
3-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식품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중 식품 운송 과정에서 나오는 배출량이 20%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전에 밝혀진 추정치보다 무려 7배나 높은 수치다. 최근 네이처 푸드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30% 정도인 것으로 추정됐다. 그 중 식품운송 분야가 전체 배출량의 약 6%를 차지했다. 항공 부문 배출량이 약 2%인 것에 비교하면 매우 높은 비율이다. 식품 운송 배출, 도로 차량 직접 배출 절반 차지 연구진은 74개국의 농산물, 축산, 제조업, 에너지 등 37개 경제 부문을 조사해 운송거리와 식품 질량을 계산했다. 분석 결과 식품 운송에서 세계적으로 연간 약 30억톤에 달하는 탄소가 배출됐다. 이는 전체 식품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의 19%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중국, 미국, 러시아, 인도의 식품 운송 배출량이 가장 많았다. 땅이 넓은 나라들이다. 또한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의 선진국이 배출 상위 순위에 올랐다. 이들 국가의 인구는 세계의 12.5%에 불과하지만 식품 산업 배출량은 전 세계 총 배출량의 46%를 차지했다. 배출량은 식품의 유형에 따라서도 달라졌다. 냉장 보관이 필요한 과일과 채소 등이 전체 식품 운송 배출량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연구 공동 저자이자 영양 생태학자인 데이비드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연구에 따르면 식물성 식단으로 전환하는 것 외에도, 선진국들이 곡물이나 육류 등의 식품을 현지에서 소비하는 것이 식품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기후 위기도 해결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커보어 운동' 다시 시작해야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과학자들은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소를 위해서는 15년 전 옥스포드에서 올해의 단어로 선정 되었던 '로커보어‘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커보어는 글로벌푸드나 패스트푸드를 섭취하지 않는 대신 로컬푸드를 섭취하자는 운동이다. 로컬푸드는 소비자의 인근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라서 푸드마일리지가 짧고, 식품 생산과 수송에 사용하는 에너지 및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텍사스 주립대학 제임스 맥윌리암스 교수는 “마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수입농산물은 장거리 이동을 위해 농약을 많이 사용했고, 운송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며, “로컬 푸드는 더 건강한 농산물로써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도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독려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한 사람이 지역에서 난 제철 식품을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1톤짜리 식품 운송차량이 태양을 6000번 왕복하면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로컬푸드를 소비하면서 지속가능한 식단을 유지하려는 소비자의 노력이 더해지면, 환경적 이익이 가장 커진다”며, “선진국 도시들이 먼저 지역에서 나는 제철 식품 소비에 앞장서면 미래 세대를 위해 건강한 지구를 만들어 나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배양육으로 만든 미트볼이 상업적 용도로 대규모 생산이 가능하며, 기존 미트볼보다 영양가도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속가능성 미디어 그린퀸의 21일자 보도자료에 따르면 중국 칭화대학과 난징농업대학 공동연구팀은 학술지 생체재료(Biomaterials) 저널 최근호에 이에 관한 논문을 게재했다. 연구원들은 실험실에서 배양한 육류를 시장에서 대규모 판매가 가능할 만큼 생산할 수 있는 ‘세포 공장’이 만들어졌다고 밝혔다. 이들은 세포의 스캐폴딩 역할을 할 수 있는 3D 젤라틴 기반 ‘마이크로캐리어’를 개발했다. 마이크로캐리어는 부착의존성 세포의 밀도를 높여 배양하는 방법으로 공정 개발이 쉬워 상업공정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돼지 근육 세포와 지방을 따로 배양해 성장시킨 다음, 3D 프린팅된 몰딩으로 결합해 돼지고기 기반 미트볼을 생산했다.  또 연구원들에 따르면 재배된 미트볼은 건강에도 더 좋다. 전통적인 지역 요리인 시지터우의 중국 돼지고기 미트볼과 비교했을 때, 실험실에서 자란 재배육의 단백질이 더 높고 지방이 더 적었다. 연구원들은 “이러한 육류 공학 방법은 미트볼이나 소시지와 같이 다진 고기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확장 가능한 바이오 제조를 가능케 함으로써 미래 육류 메뉴를 혁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소태아혈청 없이 육류 생산, 비용절감 효과 이번 연구는 비용 절감을 위해 소태아혈청(FBS)을 사용하지 않아도 양질의 미트볼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 받고 있다. 기존 배양육 업계에서는 세포를 성장시키는 배양액에 소태아 혈청(FBS)을 주로 첨가해 사용했으나, 환경과 윤리, 가격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경작 육류 생산업체들은 저마다 FBS 대체 물질 개발에 나서고 있다. 네덜란드 기업 미터블(Meatable)은 이달 초 FBS 없이 실험실 배양 소시지 생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에는 또 다른 네덜란드 기업 모사 미트(Mosa Meat)가 FBS 없이 대체육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 네이처 푸드 저널에 공개한 바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가 있는 기업 업사이드 푸드(Upside Foods)는 연간 18만 킬로그램의 재배육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건설했다. 이 규모의 생산이 이뤄지면 비용도 훨씬 절감된다. 업사이드 푸드의 수석 기술자인 콘래드 뮬러 박사는 “맛있는 진짜 고기를 전 세계 사람들이 맛볼 수 있도록 생산 규모를 점점 더 크게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재배육 상용화, 소비자 인식 개선 필요 배양육이 상용화 되면, 가축을 사육하는 방식에 비해 온실가스를 대폭 줄일 수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배양육은 가축 사육 방식보다 에너지 사용량은 7~45%, 온실가스 배출량은 78~96%, 토지 사용면적은 82~96% 줄일 수 있다. UN 식량농업기구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축산물을 통해 배출되고 있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14.5%에 달한다. 현재 세계 인구 증가 추세로 감안하면 매년 2억톤의 이상의 육류가 추가로 필요하며, 가축에게 먹일 사료를 재배할 경작지 면적도 그만큼 더 필요하다. 하지만 배양육은 그런 고민을 해결해준다. 그밖에도 배양육은 식품 안전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을 지닌다. 항생제나 합성 호르몬 등과 같은 육류에 포함된 나쁜 성분들이 배제되고, 유통 구조를 단순화시켜 살모넬라 및 대장균과 같은 세균으로부터도 안전하다. 다만 재배육류의 상용화는 값비싼 생산 비용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인식 개선이라는 문제를 더불어 떠안고 있다. 재배육류 기업들은 친환경적인 기술사용에 대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싱가포르에서만 규제 승인을 받은 상태다. 미국의 경우 내년 승인이 예상되고 있으나 대중의 인식에 대한 문제가 숙제로 남아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분석에 따르면 육류와 유제품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4.5%를 차지한다. 이는 현재 운행 중인 자동차와 대형 트럭, 항공기, 선박에서 나오는 모든 온실가스를 합친 것과 같다. 온실가스에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화불화탄소류, 과불화탄소류, 육불화황, 오존, 수증기 등이 있는데, 국제기구협의회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이산화탄소 (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화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을 6대 온실가스로 지정했다. 이산화탄소는 주로 석유와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해 배출되며, 메탄은 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가축의 배설물, 초식 동물의 트림 등에 의해서 발생하고, 과불화탄소, 수소화불화탄소, 육불화황은 냉매, 반도체 공정, 변압기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최근 미국 비영리 환경 조사 그룹(EWG)이 수행한 수명 주기 분석에 따르면 양고기와 쇠고기가 가장 많은 온실 가스 배출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유제품인 치즈가 3위를 차지했다. 치즈는 섭취 킬로당 13.5킬로의 CO2e(이산화탄소 환산, 탄소 발자국 측정의 표준 단위)를 생성한다. 이는 돼지고기, 연어, 칠면조, 닭고기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양보다 많은 것으로, 환경에 더 나쁘다는 평가다. 치즈가 탄소 집약적인 이유는 다양하지만, 가장 큰 것은 치즈 1kg은 숙성 과정으로 인해 최대 10리터의 우유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 우유의 출처가 소와 기타 낙농 동물이기 때문이다. 이들 동물은 엄청난 양의 메탄을 방출하는데, 이는 이산화탄소보다 기후에 약 25배 더 큰 피해를 준다. 게다가 이들 동물을 키우기 위한 사료 생산 역시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고, 동물 배설물도 수질과 대기 질에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육류에 비해 유제품 소비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는 사실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영국 설문조사기관 CAST에서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0%는 육류 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것에 동의했지만, 치즈 등의 유제품에 대해서는 54%만이 소비를 줄여야 한다고 응답했다. 영국 뉴스매체인 인디펜던트는 영국 배스대학교의 환경 심리학자이자 영국 기후변화 및 사회변화센터(CAST) 소장인 로레인 휘트마쉬(Lorraine Whitmarsh) 교수의 말을 인용해 “치즈와 유제품 섭취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휘트마쉬 박사는 또한 “유제품 소비를 직접 줄이는 것이 어렵다면, 먼 곳에서 배송되는 제품보다는 현지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배송으로 인해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7
ESG 라이프
기후 변화, 고기 대신 식물성 단백질 섭취로 상당부분 해결 가능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long
3-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식품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중 식품 운송 과정에서 나오는 배출량이 20%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전에 밝혀진 추정치보다 무려 7배나 높은 수치다. 최근 네이처 푸드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30% 정도인 것으로 추정됐다. 그 중 식품운송 분야가 전체 배출량의 약 6%를 차지했다. 항공 부문 배출량이 약 2%인 것에 비교하면 매우 높은 비율이다. 식품 운송 배출, 도로 차량 직접 배출 절반 차지 연구진은 74개국의 농산물, 축산, 제조업, 에너지 등 37개 경제 부문을 조사해 운송거리와 식품 질량을 계산했다. 분석 결과 식품 운송에서 세계적으로 연간 약 30억톤에 달하는 탄소가 배출됐다. 이는 전체 식품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의 19%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중국, 미국, 러시아, 인도의 식품 운송 배출량이 가장 많았다. 땅이 넓은 나라들이다. 또한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의 선진국이 배출 상위 순위에 올랐다. 이들 국가의 인구는 세계의 12.5%에 불과하지만 식품 산업 배출량은 전 세계 총 배출량의 46%를 차지했다. 배출량은 식품의 유형에 따라서도 달라졌다. 냉장 보관이 필요한 과일과 채소 등이 전체 식품 운송 배출량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연구 공동 저자이자 영양 생태학자인 데이비드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연구에 따르면 식물성 식단으로 전환하는 것 외에도, 선진국들이 곡물이나 육류 등의 식품을 현지에서 소비하는 것이 식품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기후 위기도 해결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커보어 운동' 다시 시작해야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과학자들은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소를 위해서는 15년 전 옥스포드에서 올해의 단어로 선정 되었던 '로커보어‘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커보어는 글로벌푸드나 패스트푸드를 섭취하지 않는 대신 로컬푸드를 섭취하자는 운동이다. 로컬푸드는 소비자의 인근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라서 푸드마일리지가 짧고, 식품 생산과 수송에 사용하는 에너지 및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텍사스 주립대학 제임스 맥윌리암스 교수는 “마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수입농산물은 장거리 이동을 위해 농약을 많이 사용했고, 운송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며, “로컬 푸드는 더 건강한 농산물로써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도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독려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한 사람이 지역에서 난 제철 식품을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1톤짜리 식품 운송차량이 태양을 6000번 왕복하면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로컬푸드를 소비하면서 지속가능한 식단을 유지하려는 소비자의 노력이 더해지면, 환경적 이익이 가장 커진다”며, “선진국 도시들이 먼저 지역에서 나는 제철 식품 소비에 앞장서면 미래 세대를 위해 건강한 지구를 만들어 나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배양육으로 만든 미트볼이 상업적 용도로 대규모 생산이 가능하며, 기존 미트볼보다 영양가도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속가능성 미디어 그린퀸의 21일자 보도자료에 따르면 중국 칭화대학과 난징농업대학 공동연구팀은 학술지 생체재료(Biomaterials) 저널 최근호에 이에 관한 논문을 게재했다. 연구원들은 실험실에서 배양한 육류를 시장에서 대규모 판매가 가능할 만큼 생산할 수 있는 ‘세포 공장’이 만들어졌다고 밝혔다. 이들은 세포의 스캐폴딩 역할을 할 수 있는 3D 젤라틴 기반 ‘마이크로캐리어’를 개발했다. 마이크로캐리어는 부착의존성 세포의 밀도를 높여 배양하는 방법으로 공정 개발이 쉬워 상업공정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돼지 근육 세포와 지방을 따로 배양해 성장시킨 다음, 3D 프린팅된 몰딩으로 결합해 돼지고기 기반 미트볼을 생산했다.  또 연구원들에 따르면 재배된 미트볼은 건강에도 더 좋다. 전통적인 지역 요리인 시지터우의 중국 돼지고기 미트볼과 비교했을 때, 실험실에서 자란 재배육의 단백질이 더 높고 지방이 더 적었다. 연구원들은 “이러한 육류 공학 방법은 미트볼이나 소시지와 같이 다진 고기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확장 가능한 바이오 제조를 가능케 함으로써 미래 육류 메뉴를 혁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소태아혈청 없이 육류 생산, 비용절감 효과 이번 연구는 비용 절감을 위해 소태아혈청(FBS)을 사용하지 않아도 양질의 미트볼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 받고 있다. 기존 배양육 업계에서는 세포를 성장시키는 배양액에 소태아 혈청(FBS)을 주로 첨가해 사용했으나, 환경과 윤리, 가격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경작 육류 생산업체들은 저마다 FBS 대체 물질 개발에 나서고 있다. 네덜란드 기업 미터블(Meatable)은 이달 초 FBS 없이 실험실 배양 소시지 생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에는 또 다른 네덜란드 기업 모사 미트(Mosa Meat)가 FBS 없이 대체육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 네이처 푸드 저널에 공개한 바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가 있는 기업 업사이드 푸드(Upside Foods)는 연간 18만 킬로그램의 재배육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건설했다. 이 규모의 생산이 이뤄지면 비용도 훨씬 절감된다. 업사이드 푸드의 수석 기술자인 콘래드 뮬러 박사는 “맛있는 진짜 고기를 전 세계 사람들이 맛볼 수 있도록 생산 규모를 점점 더 크게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재배육 상용화, 소비자 인식 개선 필요 배양육이 상용화 되면, 가축을 사육하는 방식에 비해 온실가스를 대폭 줄일 수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배양육은 가축 사육 방식보다 에너지 사용량은 7~45%, 온실가스 배출량은 78~96%, 토지 사용면적은 82~96% 줄일 수 있다. UN 식량농업기구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축산물을 통해 배출되고 있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14.5%에 달한다. 현재 세계 인구 증가 추세로 감안하면 매년 2억톤의 이상의 육류가 추가로 필요하며, 가축에게 먹일 사료를 재배할 경작지 면적도 그만큼 더 필요하다. 하지만 배양육은 그런 고민을 해결해준다. 그밖에도 배양육은 식품 안전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을 지닌다. 항생제나 합성 호르몬 등과 같은 육류에 포함된 나쁜 성분들이 배제되고, 유통 구조를 단순화시켜 살모넬라 및 대장균과 같은 세균으로부터도 안전하다. 다만 재배육류의 상용화는 값비싼 생산 비용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인식 개선이라는 문제를 더불어 떠안고 있다. 재배육류 기업들은 친환경적인 기술사용에 대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싱가포르에서만 규제 승인을 받은 상태다. 미국의 경우 내년 승인이 예상되고 있으나 대중의 인식에 대한 문제가 숙제로 남아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분석에 따르면 육류와 유제품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4.5%를 차지한다. 이는 현재 운행 중인 자동차와 대형 트럭, 항공기, 선박에서 나오는 모든 온실가스를 합친 것과 같다. 온실가스에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화불화탄소류, 과불화탄소류, 육불화황, 오존, 수증기 등이 있는데, 국제기구협의회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이산화탄소 (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화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을 6대 온실가스로 지정했다. 이산화탄소는 주로 석유와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해 배출되며, 메탄은 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가축의 배설물, 초식 동물의 트림 등에 의해서 발생하고, 과불화탄소, 수소화불화탄소, 육불화황은 냉매, 반도체 공정, 변압기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최근 미국 비영리 환경 조사 그룹(EWG)이 수행한 수명 주기 분석에 따르면 양고기와 쇠고기가 가장 많은 온실 가스 배출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유제품인 치즈가 3위를 차지했다. 치즈는 섭취 킬로당 13.5킬로의 CO2e(이산화탄소 환산, 탄소 발자국 측정의 표준 단위)를 생성한다. 이는 돼지고기, 연어, 칠면조, 닭고기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양보다 많은 것으로, 환경에 더 나쁘다는 평가다. 치즈가 탄소 집약적인 이유는 다양하지만, 가장 큰 것은 치즈 1kg은 숙성 과정으로 인해 최대 10리터의 우유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 우유의 출처가 소와 기타 낙농 동물이기 때문이다. 이들 동물은 엄청난 양의 메탄을 방출하는데, 이는 이산화탄소보다 기후에 약 25배 더 큰 피해를 준다. 게다가 이들 동물을 키우기 위한 사료 생산 역시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고, 동물 배설물도 수질과 대기 질에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육류에 비해 유제품 소비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는 사실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영국 설문조사기관 CAST에서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0%는 육류 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것에 동의했지만, 치즈 등의 유제품에 대해서는 54%만이 소비를 줄여야 한다고 응답했다. 영국 뉴스매체인 인디펜던트는 영국 배스대학교의 환경 심리학자이자 영국 기후변화 및 사회변화센터(CAST) 소장인 로레인 휘트마쉬(Lorraine Whitmarsh) 교수의 말을 인용해 “치즈와 유제품 섭취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휘트마쉬 박사는 또한 “유제품 소비를 직접 줄이는 것이 어렵다면, 먼 곳에서 배송되는 제품보다는 현지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배송으로 인해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7
ESG 라이프
기후 변화, 고기 대신 식물성 단백질 섭취로 상당부분 해결 가능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long
3-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분석에 따르면 육류와 유제품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4.5%를 차지한다. 이는 현재 운행 중인 자동차와 대형 트럭, 항공기, 선박에서 나오는 모든 온실가스를 합친 것과 같다. 온실가스에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화불화탄소류, 과불화탄소류, 육불화황, 오존, 수증기 등이 있는데, 국제기구협의회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이산화탄소 (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화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을 6대 온실가스로 지정했다. 이산화탄소는 주로 석유와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해 배출되며, 메탄은 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가축의 배설물, 초식 동물의 트림 등에 의해서 발생하고, 과불화탄소, 수소화불화탄소, 육불화황은 냉매, 반도체 공정, 변압기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최근 미국 비영리 환경 조사 그룹(EWG)이 수행한 수명 주기 분석에 따르면 양고기와 쇠고기가 가장 많은 온실 가스 배출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유제품인 치즈가 3위를 차지했다. 치즈는 섭취 킬로당 13.5킬로의 CO2e(이산화탄소 환산, 탄소 발자국 측정의 표준 단위)를 생성한다. 이는 돼지고기, 연어, 칠면조, 닭고기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양보다 많은 것으로, 환경에 더 나쁘다는 평가다. 치즈가 탄소 집약적인 이유는 다양하지만, 가장 큰 것은 치즈 1kg은 숙성 과정으로 인해 최대 10리터의 우유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 우유의 출처가 소와 기타 낙농 동물이기 때문이다. 이들 동물은 엄청난 양의 메탄을 방출하는데, 이는 이산화탄소보다 기후에 약 25배 더 큰 피해를 준다. 게다가 이들 동물을 키우기 위한 사료 생산 역시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고, 동물 배설물도 수질과 대기 질에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육류에 비해 유제품 소비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는 사실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영국 설문조사기관 CAST에서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0%는 육류 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것에 동의했지만, 치즈 등의 유제품에 대해서는 54%만이 소비를 줄여야 한다고 응답했다. 영국 뉴스매체인 인디펜던트는 영국 배스대학교의 환경 심리학자이자 영국 기후변화 및 사회변화센터(CAST) 소장인 로레인 휘트마쉬(Lorraine Whitmarsh) 교수의 말을 인용해 “치즈와 유제품 섭취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휘트마쉬 박사는 또한 “유제품 소비를 직접 줄이는 것이 어렵다면, 먼 곳에서 배송되는 제품보다는 현지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배송으로 인해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배양육으로 만든 미트볼이 상업적 용도로 대규모 생산이 가능하며, 기존 미트볼보다 영양가도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속가능성 미디어 그린퀸의 21일자 보도자료에 따르면 중국 칭화대학과 난징농업대학 공동연구팀은 학술지 생체재료(Biomaterials) 저널 최근호에 이에 관한 논문을 게재했다. 연구원들은 실험실에서 배양한 육류를 시장에서 대규모 판매가 가능할 만큼 생산할 수 있는 ‘세포 공장’이 만들어졌다고 밝혔다. 이들은 세포의 스캐폴딩 역할을 할 수 있는 3D 젤라틴 기반 ‘마이크로캐리어’를 개발했다. 마이크로캐리어는 부착의존성 세포의 밀도를 높여 배양하는 방법으로 공정 개발이 쉬워 상업공정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돼지 근육 세포와 지방을 따로 배양해 성장시킨 다음, 3D 프린팅된 몰딩으로 결합해 돼지고기 기반 미트볼을 생산했다.  또 연구원들에 따르면 재배된 미트볼은 건강에도 더 좋다. 전통적인 지역 요리인 시지터우의 중국 돼지고기 미트볼과 비교했을 때, 실험실에서 자란 재배육의 단백질이 더 높고 지방이 더 적었다. 연구원들은 “이러한 육류 공학 방법은 미트볼이나 소시지와 같이 다진 고기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확장 가능한 바이오 제조를 가능케 함으로써 미래 육류 메뉴를 혁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소태아혈청 없이 육류 생산, 비용절감 효과 이번 연구는 비용 절감을 위해 소태아혈청(FBS)을 사용하지 않아도 양질의 미트볼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 받고 있다. 기존 배양육 업계에서는 세포를 성장시키는 배양액에 소태아 혈청(FBS)을 주로 첨가해 사용했으나, 환경과 윤리, 가격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경작 육류 생산업체들은 저마다 FBS 대체 물질 개발에 나서고 있다. 네덜란드 기업 미터블(Meatable)은 이달 초 FBS 없이 실험실 배양 소시지 생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에는 또 다른 네덜란드 기업 모사 미트(Mosa Meat)가 FBS 없이 대체육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 네이처 푸드 저널에 공개한 바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가 있는 기업 업사이드 푸드(Upside Foods)는 연간 18만 킬로그램의 재배육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건설했다. 이 규모의 생산이 이뤄지면 비용도 훨씬 절감된다. 업사이드 푸드의 수석 기술자인 콘래드 뮬러 박사는 “맛있는 진짜 고기를 전 세계 사람들이 맛볼 수 있도록 생산 규모를 점점 더 크게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재배육 상용화, 소비자 인식 개선 필요 배양육이 상용화 되면, 가축을 사육하는 방식에 비해 온실가스를 대폭 줄일 수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배양육은 가축 사육 방식보다 에너지 사용량은 7~45%, 온실가스 배출량은 78~96%, 토지 사용면적은 82~96% 줄일 수 있다. UN 식량농업기구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축산물을 통해 배출되고 있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14.5%에 달한다. 현재 세계 인구 증가 추세로 감안하면 매년 2억톤의 이상의 육류가 추가로 필요하며, 가축에게 먹일 사료를 재배할 경작지 면적도 그만큼 더 필요하다. 하지만 배양육은 그런 고민을 해결해준다. 그밖에도 배양육은 식품 안전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을 지닌다. 항생제나 합성 호르몬 등과 같은 육류에 포함된 나쁜 성분들이 배제되고, 유통 구조를 단순화시켜 살모넬라 및 대장균과 같은 세균으로부터도 안전하다. 다만 재배육류의 상용화는 값비싼 생산 비용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인식 개선이라는 문제를 더불어 떠안고 있다. 재배육류 기업들은 친환경적인 기술사용에 대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싱가포르에서만 규제 승인을 받은 상태다. 미국의 경우 내년 승인이 예상되고 있으나 대중의 인식에 대한 문제가 숙제로 남아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식품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중 식품 운송 과정에서 나오는 배출량이 20%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전에 밝혀진 추정치보다 무려 7배나 높은 수치다. 최근 네이처 푸드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30% 정도인 것으로 추정됐다. 그 중 식품운송 분야가 전체 배출량의 약 6%를 차지했다. 항공 부문 배출량이 약 2%인 것에 비교하면 매우 높은 비율이다. 식품 운송 배출, 도로 차량 직접 배출 절반 차지 연구진은 74개국의 농산물, 축산, 제조업, 에너지 등 37개 경제 부문을 조사해 운송거리와 식품 질량을 계산했다. 분석 결과 식품 운송에서 세계적으로 연간 약 30억톤에 달하는 탄소가 배출됐다. 이는 전체 식품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의 19%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중국, 미국, 러시아, 인도의 식품 운송 배출량이 가장 많았다. 땅이 넓은 나라들이다. 또한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의 선진국이 배출 상위 순위에 올랐다. 이들 국가의 인구는 세계의 12.5%에 불과하지만 식품 산업 배출량은 전 세계 총 배출량의 46%를 차지했다. 배출량은 식품의 유형에 따라서도 달라졌다. 냉장 보관이 필요한 과일과 채소 등이 전체 식품 운송 배출량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연구 공동 저자이자 영양 생태학자인 데이비드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연구에 따르면 식물성 식단으로 전환하는 것 외에도, 선진국들이 곡물이나 육류 등의 식품을 현지에서 소비하는 것이 식품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기후 위기도 해결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커보어 운동' 다시 시작해야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과학자들은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소를 위해서는 15년 전 옥스포드에서 올해의 단어로 선정 되었던 '로커보어‘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커보어는 글로벌푸드나 패스트푸드를 섭취하지 않는 대신 로컬푸드를 섭취하자는 운동이다. 로컬푸드는 소비자의 인근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라서 푸드마일리지가 짧고, 식품 생산과 수송에 사용하는 에너지 및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텍사스 주립대학 제임스 맥윌리암스 교수는 “마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수입농산물은 장거리 이동을 위해 농약을 많이 사용했고, 운송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며, “로컬 푸드는 더 건강한 농산물로써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도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독려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한 사람이 지역에서 난 제철 식품을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1톤짜리 식품 운송차량이 태양을 6000번 왕복하면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로컬푸드를 소비하면서 지속가능한 식단을 유지하려는 소비자의 노력이 더해지면, 환경적 이익이 가장 커진다”며, “선진국 도시들이 먼저 지역에서 나는 제철 식품 소비에 앞장서면 미래 세대를 위해 건강한 지구를 만들어 나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7
ESG 라이프
기후 변화, 고기 대신 식물성 단백질 섭취로 상당부분 해결 가능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long
1-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식품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중 식품 운송 과정에서 나오는 배출량이 20%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전에 밝혀진 추정치보다 무려 7배나 높은 수치다. 최근 네이처 푸드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30% 정도인 것으로 추정됐다. 그 중 식품운송 분야가 전체 배출량의 약 6%를 차지했다. 항공 부문 배출량이 약 2%인 것에 비교하면 매우 높은 비율이다. 식품 운송 배출, 도로 차량 직접 배출 절반 차지 연구진은 74개국의 농산물, 축산, 제조업, 에너지 등 37개 경제 부문을 조사해 운송거리와 식품 질량을 계산했다. 분석 결과 식품 운송에서 세계적으로 연간 약 30억톤에 달하는 탄소가 배출됐다. 이는 전체 식품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의 19%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중국, 미국, 러시아, 인도의 식품 운송 배출량이 가장 많았다. 땅이 넓은 나라들이다. 또한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의 선진국이 배출 상위 순위에 올랐다. 이들 국가의 인구는 세계의 12.5%에 불과하지만 식품 산업 배출량은 전 세계 총 배출량의 46%를 차지했다. 배출량은 식품의 유형에 따라서도 달라졌다. 냉장 보관이 필요한 과일과 채소 등이 전체 식품 운송 배출량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연구 공동 저자이자 영양 생태학자인 데이비드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연구에 따르면 식물성 식단으로 전환하는 것 외에도, 선진국들이 곡물이나 육류 등의 식품을 현지에서 소비하는 것이 식품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기후 위기도 해결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커보어 운동' 다시 시작해야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과학자들은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소를 위해서는 15년 전 옥스포드에서 올해의 단어로 선정 되었던 '로커보어‘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커보어는 글로벌푸드나 패스트푸드를 섭취하지 않는 대신 로컬푸드를 섭취하자는 운동이다. 로컬푸드는 소비자의 인근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라서 푸드마일리지가 짧고, 식품 생산과 수송에 사용하는 에너지 및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텍사스 주립대학 제임스 맥윌리암스 교수는 “마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수입농산물은 장거리 이동을 위해 농약을 많이 사용했고, 운송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며, “로컬 푸드는 더 건강한 농산물로써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도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독려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한 사람이 지역에서 난 제철 식품을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1톤짜리 식품 운송차량이 태양을 6000번 왕복하면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로컬푸드를 소비하면서 지속가능한 식단을 유지하려는 소비자의 노력이 더해지면, 환경적 이익이 가장 커진다”며, “선진국 도시들이 먼저 지역에서 나는 제철 식품 소비에 앞장서면 미래 세대를 위해 건강한 지구를 만들어 나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7
ESG 라이프
기후 변화, 고기 대신 식물성 단백질 섭취로 상당부분 해결 가능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long
1-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식품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중 식품 운송 과정에서 나오는 배출량이 20%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전에 밝혀진 추정치보다 무려 7배나 높은 수치다. 최근 네이처 푸드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30% 정도인 것으로 추정됐다. 그 중 식품운송 분야가 전체 배출량의 약 6%를 차지했다. 항공 부문 배출량이 약 2%인 것에 비교하면 매우 높은 비율이다. 식품 운송 배출, 도로 차량 직접 배출 절반 차지 연구진은 74개국의 농산물, 축산, 제조업, 에너지 등 37개 경제 부문을 조사해 운송거리와 식품 질량을 계산했다. 분석 결과 식품 운송에서 세계적으로 연간 약 30억톤에 달하는 탄소가 배출됐다. 이는 전체 식품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의 19%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중국, 미국, 러시아, 인도의 식품 운송 배출량이 가장 많았다. 땅이 넓은 나라들이다. 또한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의 선진국이 배출 상위 순위에 올랐다. 이들 국가의 인구는 세계의 12.5%에 불과하지만 식품 산업 배출량은 전 세계 총 배출량의 46%를 차지했다. 배출량은 식품의 유형에 따라서도 달라졌다. 냉장 보관이 필요한 과일과 채소 등이 전체 식품 운송 배출량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연구 공동 저자이자 영양 생태학자인 데이비드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연구에 따르면 식물성 식단으로 전환하는 것 외에도, 선진국들이 곡물이나 육류 등의 식품을 현지에서 소비하는 것이 식품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기후 위기도 해결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커보어 운동' 다시 시작해야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과학자들은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소를 위해서는 15년 전 옥스포드에서 올해의 단어로 선정 되었던 '로커보어‘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커보어는 글로벌푸드나 패스트푸드를 섭취하지 않는 대신 로컬푸드를 섭취하자는 운동이다. 로컬푸드는 소비자의 인근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라서 푸드마일리지가 짧고, 식품 생산과 수송에 사용하는 에너지 및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텍사스 주립대학 제임스 맥윌리암스 교수는 “마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수입농산물은 장거리 이동을 위해 농약을 많이 사용했고, 운송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며, “로컬 푸드는 더 건강한 농산물로써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도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독려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한 사람이 지역에서 난 제철 식품을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1톤짜리 식품 운송차량이 태양을 6000번 왕복하면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라우벤하이머 교수는 “로컬푸드를 소비하면서 지속가능한 식단을 유지하려는 소비자의 노력이 더해지면, 환경적 이익이 가장 커진다”며, “선진국 도시들이 먼저 지역에서 나는 제철 식품 소비에 앞장서면 미래 세대를 위해 건강한 지구를 만들어 나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 미국 등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이 식단을 변경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면 탄소 배출 감축과 토지 확보,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투자리서치기관인 코퍼레이트 나이츠는 지난 1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미국에서 식물 기반의 단백질 판매가 5배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대한 기후 배당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이중 기후 배당 효과 주로 고소득 국가에서 소비되는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탄소발자국과 토지발자국이 더 크다. 따라서 채식 단백질로 전환하면 육류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탄소 배출을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 확보도 용이해진다. 특히 탄소 배출 감축으로 인해 이중 배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첫 번째 배당은 실제 기업들의 성장 보고서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욘드 미트나 임파서블 푸드 등의 회사는 최근 식물성 햄버거를 출시했다. 해당 기업들의 ESG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성 햄버거는 소고기 버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20분의 1 정도로 감축된다. 또한 동물 사육에 필요한 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다 동물의 소화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배당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미국의 환경 과학자 7명이 진행한 연구로 검증됐다. ‘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는 54개 고소득 국가의 거주자들이 야채, 과일, 통곡물, 견과류, 콩과 같은 식물 단백질 공급원으로 구성된 유연한 식단을 채택할 경우,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식량-란셋 다이어트(EAT-Lancet Diet)’ 채택에 따른 즉각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 국가들이 이를 통해 농업 부문 탄소 배출을 62%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는 식량 생산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감축 효과다. 탄소 흡수 가능한 토지 확대 연구에 따르면 동물성 식단에서 벗어나면, 가축들로부터 해방된 방목지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토지로도 재생될 수 있다. 식물성 식단 채택으로 인해 자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토지는 유럽연합 전체보다 더 큰 면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토지는 농경지의 80%를 차지한다. 연구원들은 식습관 전환이 430만 평방 킬로미터의 목초지를 해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만약 이 땅이 탄소를 흡수하는 자연림이나 초원으로 환원된다면, 식단 변화만으로 달성된 탄소 감축보다 총 150% 더 많은 양이 감축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이러한 변화는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기구는 최근 식당 체인점에서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1년에 7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도축을 피했다고 발표했다. 돼지 21만2000마리, 소 9만2000마리, 닭 40만5000마리 등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육류 소비량이 높은 고소득국가 미국의 식물성 식단으로의 변화가 더 큰 기후 배당 효과와 자연적인 기후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논문 저자인 폴 베렌스 박사는 “식량 시스템 변화에는 고소득 국가들의 책임이 높다. 미국은 단지 육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정의로운 식량 전환이 될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과 공중 보건적인 영향에서도 거대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뉴욕대학 환경학과 메튜 하이에크 교수는 “선진국 국민들이 글로벌 평균보다 훨씬 더 많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식품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지속가능한 식생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탄소 격리를 위해 농업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6
지속가능경제
유엔 사무총장, COP26 앞두고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촉구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short
5-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다음 달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참가국들은 상향조정된 2030년까지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제출할 예정이다. NDC 못지않게 관심을 끄는 의제는 난립한 ESG 정보공개 표준을 단일화하는 작업이다.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Fortune)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이번 총회는 NDC 제출뿐 아니라 투자자가 기업의 ESG 경영 활동을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마련하는 기반을 조성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국제회계기준재단(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IFRS 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ISSB는 COP26 개최 이전에 출범할 예정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가장 큰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ISSB의 기준안이 나오면 기업은 기후변화 대응 노력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진전을 명확하면서도 손쉽게 공시하는 길이 열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ISSB가 제정할 새로운 ESG 정보공개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설립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 협의체다. 기후변화 대응 노력이 필요하지만, 사회책임(S)과 거버넌스(G) 분야의 정보공개 중요성도 간과하면 안 된다고 이들은 지적했다. 이런 분야의 기업 활동은 기후변화보다 평가가 더 어렵지만, 기업의 미래 경쟁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이미 마련된 ESG 정보공개 표준도 ISSB의 새로운 기준 제정에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선의의 지류가 많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강”이라며 통일된 정보공개 표준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에너지 가격 상승과 같은 어려움 속에서도 에너지 전환을 포함한 기후 목표 달성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올해 말 제정 예정인 ESG 정보공시 표준화 방안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시했다. 이에 따라 ISSB 기준은 글로벌 공시 표준으로 세계 각국이 채택할 가능성이 커졌다. G7 재무장관들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12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연차총회가 끝난 후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세계 경제를 혼란에 빠뜨리고 에너지와 식품을 포함한 상품 가격의 상당한 상승을 불러왔다”며 “이런 도전에 타협하지 않고 에너지 전환을 포함한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는 뜻을 분명히했다. 이들은 “청정하고 공정하며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은 세계 각국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G7이 성명에서 언급한 기후 목표는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파리기후협약의 목표를 뜻한다.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탄소중립으로 나아가기 위한 효과적이며 질서있고 공정한 경제로의 전환은 세계 경제의 지속가능한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ISSB ESG 공시 기준 환영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현재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에서 진행 중인 글로벌 ESG 공시 기준 제정을 “환영한다"고 밝히고 "ESG 공시 기준 제정을 지지함으로써 관련 정보의 개선과 필요한 투자가 촉진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성명은 "기후 관련 공시가 시장참가자들에게 투자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며 G7의 기후공시 의무화 약속을 재확인했다. G7은 ISSB에 대해 각국의 공시 기준 제정 기관이나 이해관계자들와 긴밀히 협력해 ESG 공시 기준 제정을 위한 자문과 역량을 제공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글로벌 ESG 공시 기준이 기후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 권고안에 기반을 두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며 "기준 제정에 참여하는 모든 참가자들이 실용적이고 유연하고 상호운용이 가능한 기준을 만들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ISSB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에마뉘엘 파버 ISSB 의장은 "우리의 (ESG 공시 기준 제정)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의 성명을 환영한다”며 “ISSB 기준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고자 세계 각국 당국 및 다른 기준 제정기관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ISSB는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주요 20개국(G20)과 국제증권관리위원회기구(IOSCO)를 포함한 각국 정부와 정책당국 등으로부터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 기준을 제정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지난해 11월 설립했다. ISSB는 3월 TCFD 공시 권고안을 기반으로 공시 영역을 확장한 2개의 ESG 공시 초안을 공개했다.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초안과 기후공시 초안이다. ISSB의 기후공시 초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온실가스 배출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TCFD 권고안과 함께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도 차용하고 있다. ISSB의 공시 기준은 권고안이다. 수용 여부와 어디까지 수용할지는 각국 정부가 결정할 문제다. 하지만 별도의 공시 기준을 제정하고 있는 유럽연합과 미국을 제외한 영국 등 여러나라에서 TCFD 기준을 대신해 다수가 ISSB 기준을 채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COP27에서 기후 목표 달성 진전...'탄소누출' 막기 위한 협력 약속 G7은 오는 11월 이집트에서 열리는 제27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에서 파리기후협약의 목표 달성을 위한 실질적인 진전을 이뤄내겠다고 약속했다.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25년까지 연간 1000억달러를 지원한다는 약속도 유지하기로 했다. 이들은 탄소배출권 시장의 발전과 탄소가격제가 효과적인 탄소 감축을 촉진하고 혁신을 불러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탄소누출(carbon leakeage)”을 막기 위한 제도 마련을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탄소누출은 기업들이 비용을 줄이기 위해 탄소배출 관련 규제가 느슨한 나라나 지역으로 탄소배출을 이전하는 것을 뜻한다. 유럽연합이 도입하기로 한 ’탄소국경세‘가 ‘탄소누출’을 막기 위한 제도 중 하나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일본은행은 일정 수준 이상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를 공개하는 금융기관에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원된 자금은 기후변화 대응 투자 재원 대출 등에 사용된다. 일본은행은 26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발표하고 올해 안에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에 나선 금융기관에 자금 지원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은행은 금융기관에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TFCD)의 권고안을 적용한 정보 공개를 적극적으로 독려하기로 했다. TCFD는 G20의 요청으로 금융안정협의회(FSB)가 2015년 기후변화 관련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기 위해 설립한 기구로 78개국 2000개 이상 기관이 TCFD와 TCFD의 권고안을 지지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환경부와 기업은행, 한국거래소 등 44개 기관이 지지를 선언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TCFD가 2017년에 발표한 권고안은 ▲지배구조: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이사회의 관리·감독과 경영진의 역할 ▲전략: 기후변화 관련 단기와 중장기 리스크, 기회가 경영과 재무계획에 미치는 영향 ▲리스크 관리: 기후변화에 따른 리스크 식별과 평가, 관리절차, 리스크 관리체계 통합 ▲지표 및 목표치: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와 기회의 평가와 관리지표, 목표치 달성 여부의 4개 주요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본은행은 “현장 실사와 모니터링을 통해 금융기관과 기후변화 관련 금융 리스크와 기업 고객의 탈탄소화 노력에 동참하려는 노력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금융 리스크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일본은행은 이미 밝힌 대로 외환보유액으로 외화표시 녹색채권 매입에 나설 것이라고 발표했다. 특히 아시아 지역의 녹색채권 시장의 성장을 위해 아시아의 다른 나라 중앙은행 등과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권고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된 TCFD(The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의 권고안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 등의 정보공개에 나서는 기관이 89개국의 2600여개로 최근 1년간 1000개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TCFD 권고안에 따라 정보공개를 하는 기관의 시가총액은 25조1000억 달러로 1년전에 비해 99% 증가했다. 하지만 TCFD가 권장하는 11개 정보공개 항목 중 최소 3개 항목을 채운 기관은 전체의 50%에 불과해 정보 공개의 질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TCFD는 14일(현지시간) 69개국의 1650개가 넘는 기관의 정보공개 보고서를 분석한 2021년 정보공개 현황 보고서(2021 Status Report)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TCFD 권고안을 따르는 기관이 급증한 것은 주요 7개국(G7)과 주요 20개국(G20) 등의 지지와 ESG 투자가 급증하면서 투자자의 기후변화 대응 리스크 공시 요구도 거세졌기 때문이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TCFD 권고안을 따르는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를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정보공개 질적 개선 필요 TCFD는 권고안에 따라 지난해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에 나선 1650개 기관 중 공개 내용을 분석한 결과 TCFD 권고안이 제시한 11개 공개 권고 항목 중 3개 이상의 항목에서 공개가 이루어진 경우는 50%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나 기회에 관한 항목에 대한 공시가 다른 항목 보다 많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에 대한 공시가 가장 적었다.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을 공시한 기관은 13%에 불과했으나, 2018년의 5% 보다는 늘었다. 업종별로 원자재 및 건설과 보험사가 많았다. 11개 항목에 걸쳐 공시한 원자재 및 건설사는 38%였고 가장 높은 공시율을 보인 보험사는 15%p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유럽 기업의 공시율이 높았다. 2위 지역보다 16%p 이상 높은 공시율을 보였다. TCFD의 권고안은 기후변화 위험과 기회를 관리하는 거버넌스와 기후변화 대응 전략, 리스크 관리, 성과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11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가 기한을 하루 넘긴 13일 폐막됐다. COP 사상 처음으로 화석연료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라는 점을 인정하는 등 진전이 있었으나, 일부 국가의 반발 때문에 화석연료에 대한 입장이 초안보다 후퇴하는 등 아쉬움을 남긴 회의였다. 이번 회의의 주요 성과는 ▲화석연료 사용의 점진적 감축 ▲2030년까지 메탄가스 배출량을 30% 감축하는 내용의 국제메탄서약 103개국 서명 ▲2030년까지 산림 훼손을 중단하고 훼손된 산림을 복원한다는 서약에 120개국 이상 서명 ▲빈곤국에 대한 선진국의 기후기금 상향(종전 연간 1000억 달러) ▲2040년까지 내연기관 자동차 생산중단 100여개 정부 및 기업, 지자체 합의 등이다. 또한 ▲국제 탄소시장 개설 ▲ESG 공시 표준 제정 기관 ISSB 출범 ▲40개국 단계적 석탄 사용 중단 선언 ▲글래스고 금융연합 소속 450개 금융기관 2050년 탄소중립 선언 ▲강화된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위한 진전 사항 내년 제출 등도 중요한 성과다. 유엔 뉴스에 따르면 197개 참가국은 회의가 끝난 후 글래스고 기후협정(Glasgow Climate Pact)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된 합의문을 발표했다. 합의문은 2015년 파리기후협약에서 합의한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유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COP 사상 처음으로 화석연료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라는 점을 모든 참가국이 인정하는 성과를 올렸으나, 화석연료 사용 중단에 대한 입장은 초안보다 후퇴했다. 10일 COP26 의장국인 영국이 공개한 초안에는 석탄 발전과 화석연료 보조금 지급을 ”단계적으로 중단“한다는 문구가 들어갔으나, 최종 합의문에서는 ”단계적 감축“으로 수정됐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회의 막판에 인도와 석탄 의존도가 높은 다른 개도국이 ”단계적 중단“이라는 문구를 제거하도록 요구했고 중국이 지지하면서 문구 수정이 이루어졌다. 타협의 산물...현재 온실가스 감축 목표 충분치 않다는 데 공감 안토니오 구테헤스 유엔 사무총장은 비디오를 통해 밝힌 성명을 통해 이번 합의에 대해 국가별 이해관계와 조건, 정치적 의지, 대립 등을 고려한 ”타협“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 합의가 ”중요“했으나, ”충분치 않다“며 ”지구 온도 상승 폭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가 유효하도록 기후변화 대응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세계 각국의 기후변화 대응 활동을 과학적으로 추적하고 분석하는 '기후행동추적'(Climate Action Tracker)은 9일 현재 수준의 2030년 NDC를 고려하면 이번 세기말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대비 2.4℃ 상승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는 2030년 NDC 상향 이전에 전망했던 2.7℃ 상승보다 다소 낮아진 전망치다. 하지만 파리기후협약이 정한 지구 온도 상승 폭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에서 크게 벗어난 수준이다. 과학자들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5% 감축하지 못하면 1.5℃ 목표 달성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화석연료 보조금 지급 중단과 석탄 사용의 단계적 중단, 탄소가격제, 기후변화 취약지역 보호, 기후기금 지원 등을 언급하며 이런 조치를 이행해야 하는 ”긴급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며 ”이번 회의에서 이런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으나, 진전을 위한 구성 요소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참가국은 모두 현재의 국가별 온실가스감축목표가 충분치 않다는 점을 인정하고 내년 이집트에서 열리는 COP27에서 더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을 위한 진전 사항을 제출하기로 했다. 파리협약은 NDC를 5년마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사무국(UNFCCC)에 제출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나, 2025년까지 기다릴 수 없어 내년 COP27에서 강화된 NDC를 제출한다는 뜻이다. 알록 샤마 COP26의장은 각국 대표는 "1.5℃ 목표 달성은 약속 이행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약속이 신속한 행동으로 이어지고, 글래스고 기후협정에서 제시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 기대를 충족시키고,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량과 현재의 목표 사이의 간극을 좁혀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6
지속가능경제
유엔 사무총장, COP26 앞두고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촉구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short
5-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가 기한을 하루 넘긴 13일 폐막됐다. COP 사상 처음으로 화석연료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라는 점을 인정하는 등 진전이 있었으나, 일부 국가의 반발 때문에 화석연료에 대한 입장이 초안보다 후퇴하는 등 아쉬움을 남긴 회의였다. 이번 회의의 주요 성과는 ▲화석연료 사용의 점진적 감축 ▲2030년까지 메탄가스 배출량을 30% 감축하는 내용의 국제메탄서약 103개국 서명 ▲2030년까지 산림 훼손을 중단하고 훼손된 산림을 복원한다는 서약에 120개국 이상 서명 ▲빈곤국에 대한 선진국의 기후기금 상향(종전 연간 1000억 달러) ▲2040년까지 내연기관 자동차 생산중단 100여개 정부 및 기업, 지자체 합의 등이다. 또한 ▲국제 탄소시장 개설 ▲ESG 공시 표준 제정 기관 ISSB 출범 ▲40개국 단계적 석탄 사용 중단 선언 ▲글래스고 금융연합 소속 450개 금융기관 2050년 탄소중립 선언 ▲강화된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위한 진전 사항 내년 제출 등도 중요한 성과다. 유엔 뉴스에 따르면 197개 참가국은 회의가 끝난 후 글래스고 기후협정(Glasgow Climate Pact)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된 합의문을 발표했다. 합의문은 2015년 파리기후협약에서 합의한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유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COP 사상 처음으로 화석연료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라는 점을 모든 참가국이 인정하는 성과를 올렸으나, 화석연료 사용 중단에 대한 입장은 초안보다 후퇴했다. 10일 COP26 의장국인 영국이 공개한 초안에는 석탄 발전과 화석연료 보조금 지급을 ”단계적으로 중단“한다는 문구가 들어갔으나, 최종 합의문에서는 ”단계적 감축“으로 수정됐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회의 막판에 인도와 석탄 의존도가 높은 다른 개도국이 ”단계적 중단“이라는 문구를 제거하도록 요구했고 중국이 지지하면서 문구 수정이 이루어졌다. 타협의 산물...현재 온실가스 감축 목표 충분치 않다는 데 공감 안토니오 구테헤스 유엔 사무총장은 비디오를 통해 밝힌 성명을 통해 이번 합의에 대해 국가별 이해관계와 조건, 정치적 의지, 대립 등을 고려한 ”타협“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 합의가 ”중요“했으나, ”충분치 않다“며 ”지구 온도 상승 폭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가 유효하도록 기후변화 대응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세계 각국의 기후변화 대응 활동을 과학적으로 추적하고 분석하는 '기후행동추적'(Climate Action Tracker)은 9일 현재 수준의 2030년 NDC를 고려하면 이번 세기말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대비 2.4℃ 상승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는 2030년 NDC 상향 이전에 전망했던 2.7℃ 상승보다 다소 낮아진 전망치다. 하지만 파리기후협약이 정한 지구 온도 상승 폭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에서 크게 벗어난 수준이다. 과학자들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5% 감축하지 못하면 1.5℃ 목표 달성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화석연료 보조금 지급 중단과 석탄 사용의 단계적 중단, 탄소가격제, 기후변화 취약지역 보호, 기후기금 지원 등을 언급하며 이런 조치를 이행해야 하는 ”긴급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며 ”이번 회의에서 이런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으나, 진전을 위한 구성 요소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참가국은 모두 현재의 국가별 온실가스감축목표가 충분치 않다는 점을 인정하고 내년 이집트에서 열리는 COP27에서 더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을 위한 진전 사항을 제출하기로 했다. 파리협약은 NDC를 5년마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사무국(UNFCCC)에 제출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나, 2025년까지 기다릴 수 없어 내년 COP27에서 강화된 NDC를 제출한다는 뜻이다. 알록 샤마 COP26의장은 각국 대표는 "1.5℃ 목표 달성은 약속 이행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약속이 신속한 행동으로 이어지고, 글래스고 기후협정에서 제시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 기대를 충족시키고,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량과 현재의 목표 사이의 간극을 좁혀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권고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된 TCFD(The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의 권고안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 등의 정보공개에 나서는 기관이 89개국의 2600여개로 최근 1년간 1000개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TCFD 권고안에 따라 정보공개를 하는 기관의 시가총액은 25조1000억 달러로 1년전에 비해 99% 증가했다. 하지만 TCFD가 권장하는 11개 정보공개 항목 중 최소 3개 항목을 채운 기관은 전체의 50%에 불과해 정보 공개의 질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TCFD는 14일(현지시간) 69개국의 1650개가 넘는 기관의 정보공개 보고서를 분석한 2021년 정보공개 현황 보고서(2021 Status Report)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TCFD 권고안을 따르는 기관이 급증한 것은 주요 7개국(G7)과 주요 20개국(G20) 등의 지지와 ESG 투자가 급증하면서 투자자의 기후변화 대응 리스크 공시 요구도 거세졌기 때문이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TCFD 권고안을 따르는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를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정보공개 질적 개선 필요 TCFD는 권고안에 따라 지난해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에 나선 1650개 기관 중 공개 내용을 분석한 결과 TCFD 권고안이 제시한 11개 공개 권고 항목 중 3개 이상의 항목에서 공개가 이루어진 경우는 50%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나 기회에 관한 항목에 대한 공시가 다른 항목 보다 많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에 대한 공시가 가장 적었다.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을 공시한 기관은 13%에 불과했으나, 2018년의 5% 보다는 늘었다. 업종별로 원자재 및 건설과 보험사가 많았다. 11개 항목에 걸쳐 공시한 원자재 및 건설사는 38%였고 가장 높은 공시율을 보인 보험사는 15%p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유럽 기업의 공시율이 높았다. 2위 지역보다 16%p 이상 높은 공시율을 보였다. TCFD의 권고안은 기후변화 위험과 기회를 관리하는 거버넌스와 기후변화 대응 전략, 리스크 관리, 성과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11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일본은행은 일정 수준 이상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를 공개하는 금융기관에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원된 자금은 기후변화 대응 투자 재원 대출 등에 사용된다. 일본은행은 26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발표하고 올해 안에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에 나선 금융기관에 자금 지원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은행은 금융기관에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TFCD)의 권고안을 적용한 정보 공개를 적극적으로 독려하기로 했다. TCFD는 G20의 요청으로 금융안정협의회(FSB)가 2015년 기후변화 관련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기 위해 설립한 기구로 78개국 2000개 이상 기관이 TCFD와 TCFD의 권고안을 지지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환경부와 기업은행, 한국거래소 등 44개 기관이 지지를 선언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TCFD가 2017년에 발표한 권고안은 ▲지배구조: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이사회의 관리·감독과 경영진의 역할 ▲전략: 기후변화 관련 단기와 중장기 리스크, 기회가 경영과 재무계획에 미치는 영향 ▲리스크 관리: 기후변화에 따른 리스크 식별과 평가, 관리절차, 리스크 관리체계 통합 ▲지표 및 목표치: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와 기회의 평가와 관리지표, 목표치 달성 여부의 4개 주요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본은행은 “현장 실사와 모니터링을 통해 금융기관과 기후변화 관련 금융 리스크와 기업 고객의 탈탄소화 노력에 동참하려는 노력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금융 리스크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일본은행은 이미 밝힌 대로 외환보유액으로 외화표시 녹색채권 매입에 나설 것이라고 발표했다. 특히 아시아 지역의 녹색채권 시장의 성장을 위해 아시아의 다른 나라 중앙은행 등과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에너지 가격 상승과 같은 어려움 속에서도 에너지 전환을 포함한 기후 목표 달성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올해 말 제정 예정인 ESG 정보공시 표준화 방안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시했다. 이에 따라 ISSB 기준은 글로벌 공시 표준으로 세계 각국이 채택할 가능성이 커졌다. G7 재무장관들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12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연차총회가 끝난 후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세계 경제를 혼란에 빠뜨리고 에너지와 식품을 포함한 상품 가격의 상당한 상승을 불러왔다”며 “이런 도전에 타협하지 않고 에너지 전환을 포함한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는 뜻을 분명히했다. 이들은 “청정하고 공정하며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은 세계 각국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G7이 성명에서 언급한 기후 목표는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파리기후협약의 목표를 뜻한다.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탄소중립으로 나아가기 위한 효과적이며 질서있고 공정한 경제로의 전환은 세계 경제의 지속가능한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ISSB ESG 공시 기준 환영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현재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에서 진행 중인 글로벌 ESG 공시 기준 제정을 “환영한다"고 밝히고 "ESG 공시 기준 제정을 지지함으로써 관련 정보의 개선과 필요한 투자가 촉진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성명은 "기후 관련 공시가 시장참가자들에게 투자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며 G7의 기후공시 의무화 약속을 재확인했다. G7은 ISSB에 대해 각국의 공시 기준 제정 기관이나 이해관계자들와 긴밀히 협력해 ESG 공시 기준 제정을 위한 자문과 역량을 제공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글로벌 ESG 공시 기준이 기후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 권고안에 기반을 두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며 "기준 제정에 참여하는 모든 참가자들이 실용적이고 유연하고 상호운용이 가능한 기준을 만들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ISSB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에마뉘엘 파버 ISSB 의장은 "우리의 (ESG 공시 기준 제정)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의 성명을 환영한다”며 “ISSB 기준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고자 세계 각국 당국 및 다른 기준 제정기관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ISSB는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주요 20개국(G20)과 국제증권관리위원회기구(IOSCO)를 포함한 각국 정부와 정책당국 등으로부터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 기준을 제정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지난해 11월 설립했다. ISSB는 3월 TCFD 공시 권고안을 기반으로 공시 영역을 확장한 2개의 ESG 공시 초안을 공개했다.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초안과 기후공시 초안이다. ISSB의 기후공시 초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온실가스 배출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TCFD 권고안과 함께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도 차용하고 있다. ISSB의 공시 기준은 권고안이다. 수용 여부와 어디까지 수용할지는 각국 정부가 결정할 문제다. 하지만 별도의 공시 기준을 제정하고 있는 유럽연합과 미국을 제외한 영국 등 여러나라에서 TCFD 기준을 대신해 다수가 ISSB 기준을 채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COP27에서 기후 목표 달성 진전...'탄소누출' 막기 위한 협력 약속 G7은 오는 11월 이집트에서 열리는 제27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에서 파리기후협약의 목표 달성을 위한 실질적인 진전을 이뤄내겠다고 약속했다.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25년까지 연간 1000억달러를 지원한다는 약속도 유지하기로 했다. 이들은 탄소배출권 시장의 발전과 탄소가격제가 효과적인 탄소 감축을 촉진하고 혁신을 불러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탄소누출(carbon leakeage)”을 막기 위한 제도 마련을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탄소누출은 기업들이 비용을 줄이기 위해 탄소배출 관련 규제가 느슨한 나라나 지역으로 탄소배출을 이전하는 것을 뜻한다. 유럽연합이 도입하기로 한 ’탄소국경세‘가 ‘탄소누출’을 막기 위한 제도 중 하나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다음 달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참가국들은 상향조정된 2030년까지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제출할 예정이다. NDC 못지않게 관심을 끄는 의제는 난립한 ESG 정보공개 표준을 단일화하는 작업이다.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Fortune)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이번 총회는 NDC 제출뿐 아니라 투자자가 기업의 ESG 경영 활동을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마련하는 기반을 조성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국제회계기준재단(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IFRS 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ISSB는 COP26 개최 이전에 출범할 예정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가장 큰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ISSB의 기준안이 나오면 기업은 기후변화 대응 노력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진전을 명확하면서도 손쉽게 공시하는 길이 열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ISSB가 제정할 새로운 ESG 정보공개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설립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 협의체다. 기후변화 대응 노력이 필요하지만, 사회책임(S)과 거버넌스(G) 분야의 정보공개 중요성도 간과하면 안 된다고 이들은 지적했다. 이런 분야의 기업 활동은 기후변화보다 평가가 더 어렵지만, 기업의 미래 경쟁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이미 마련된 ESG 정보공개 표준도 ISSB의 새로운 기준 제정에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선의의 지류가 많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강”이라며 통일된 정보공개 표준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6
지속가능경제
유엔 사무총장, COP26 앞두고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촉구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short
5-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다음 달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참가국들은 상향조정된 2030년까지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제출할 예정이다. NDC 못지않게 관심을 끄는 의제는 난립한 ESG 정보공개 표준을 단일화하는 작업이다.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Fortune)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이번 총회는 NDC 제출뿐 아니라 투자자가 기업의 ESG 경영 활동을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마련하는 기반을 조성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국제회계기준재단(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IFRS 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ISSB는 COP26 개최 이전에 출범할 예정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가장 큰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ISSB의 기준안이 나오면 기업은 기후변화 대응 노력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진전을 명확하면서도 손쉽게 공시하는 길이 열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ISSB가 제정할 새로운 ESG 정보공개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설립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 협의체다. 기후변화 대응 노력이 필요하지만, 사회책임(S)과 거버넌스(G) 분야의 정보공개 중요성도 간과하면 안 된다고 이들은 지적했다. 이런 분야의 기업 활동은 기후변화보다 평가가 더 어렵지만, 기업의 미래 경쟁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이미 마련된 ESG 정보공개 표준도 ISSB의 새로운 기준 제정에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선의의 지류가 많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강”이라며 통일된 정보공개 표준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에너지 가격 상승과 같은 어려움 속에서도 에너지 전환을 포함한 기후 목표 달성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올해 말 제정 예정인 ESG 정보공시 표준화 방안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시했다. 이에 따라 ISSB 기준은 글로벌 공시 표준으로 세계 각국이 채택할 가능성이 커졌다. G7 재무장관들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12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연차총회가 끝난 후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세계 경제를 혼란에 빠뜨리고 에너지와 식품을 포함한 상품 가격의 상당한 상승을 불러왔다”며 “이런 도전에 타협하지 않고 에너지 전환을 포함한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는 뜻을 분명히했다. 이들은 “청정하고 공정하며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은 세계 각국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G7이 성명에서 언급한 기후 목표는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파리기후협약의 목표를 뜻한다.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탄소중립으로 나아가기 위한 효과적이며 질서있고 공정한 경제로의 전환은 세계 경제의 지속가능한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ISSB ESG 공시 기준 환영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현재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에서 진행 중인 글로벌 ESG 공시 기준 제정을 “환영한다"고 밝히고 "ESG 공시 기준 제정을 지지함으로써 관련 정보의 개선과 필요한 투자가 촉진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성명은 "기후 관련 공시가 시장참가자들에게 투자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며 G7의 기후공시 의무화 약속을 재확인했다. G7은 ISSB에 대해 각국의 공시 기준 제정 기관이나 이해관계자들와 긴밀히 협력해 ESG 공시 기준 제정을 위한 자문과 역량을 제공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글로벌 ESG 공시 기준이 기후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 권고안에 기반을 두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며 "기준 제정에 참여하는 모든 참가자들이 실용적이고 유연하고 상호운용이 가능한 기준을 만들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ISSB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에마뉘엘 파버 ISSB 의장은 "우리의 (ESG 공시 기준 제정)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의 성명을 환영한다”며 “ISSB 기준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고자 세계 각국 당국 및 다른 기준 제정기관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ISSB는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주요 20개국(G20)과 국제증권관리위원회기구(IOSCO)를 포함한 각국 정부와 정책당국 등으로부터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 기준을 제정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지난해 11월 설립했다. ISSB는 3월 TCFD 공시 권고안을 기반으로 공시 영역을 확장한 2개의 ESG 공시 초안을 공개했다.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초안과 기후공시 초안이다. ISSB의 기후공시 초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온실가스 배출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TCFD 권고안과 함께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도 차용하고 있다. ISSB의 공시 기준은 권고안이다. 수용 여부와 어디까지 수용할지는 각국 정부가 결정할 문제다. 하지만 별도의 공시 기준을 제정하고 있는 유럽연합과 미국을 제외한 영국 등 여러나라에서 TCFD 기준을 대신해 다수가 ISSB 기준을 채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COP27에서 기후 목표 달성 진전...'탄소누출' 막기 위한 협력 약속 G7은 오는 11월 이집트에서 열리는 제27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에서 파리기후협약의 목표 달성을 위한 실질적인 진전을 이뤄내겠다고 약속했다.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25년까지 연간 1000억달러를 지원한다는 약속도 유지하기로 했다. 이들은 탄소배출권 시장의 발전과 탄소가격제가 효과적인 탄소 감축을 촉진하고 혁신을 불러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탄소누출(carbon leakeage)”을 막기 위한 제도 마련을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탄소누출은 기업들이 비용을 줄이기 위해 탄소배출 관련 규제가 느슨한 나라나 지역으로 탄소배출을 이전하는 것을 뜻한다. 유럽연합이 도입하기로 한 ’탄소국경세‘가 ‘탄소누출’을 막기 위한 제도 중 하나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일본은행은 일정 수준 이상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를 공개하는 금융기관에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원된 자금은 기후변화 대응 투자 재원 대출 등에 사용된다. 일본은행은 26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발표하고 올해 안에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에 나선 금융기관에 자금 지원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은행은 금융기관에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TFCD)의 권고안을 적용한 정보 공개를 적극적으로 독려하기로 했다. TCFD는 G20의 요청으로 금융안정협의회(FSB)가 2015년 기후변화 관련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기 위해 설립한 기구로 78개국 2000개 이상 기관이 TCFD와 TCFD의 권고안을 지지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환경부와 기업은행, 한국거래소 등 44개 기관이 지지를 선언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TCFD가 2017년에 발표한 권고안은 ▲지배구조: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이사회의 관리·감독과 경영진의 역할 ▲전략: 기후변화 관련 단기와 중장기 리스크, 기회가 경영과 재무계획에 미치는 영향 ▲리스크 관리: 기후변화에 따른 리스크 식별과 평가, 관리절차, 리스크 관리체계 통합 ▲지표 및 목표치: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와 기회의 평가와 관리지표, 목표치 달성 여부의 4개 주요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본은행은 “현장 실사와 모니터링을 통해 금융기관과 기후변화 관련 금융 리스크와 기업 고객의 탈탄소화 노력에 동참하려는 노력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금융 리스크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일본은행은 이미 밝힌 대로 외환보유액으로 외화표시 녹색채권 매입에 나설 것이라고 발표했다. 특히 아시아 지역의 녹색채권 시장의 성장을 위해 아시아의 다른 나라 중앙은행 등과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권고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된 TCFD(The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의 권고안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 등의 정보공개에 나서는 기관이 89개국의 2600여개로 최근 1년간 1000개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TCFD 권고안에 따라 정보공개를 하는 기관의 시가총액은 25조1000억 달러로 1년전에 비해 99% 증가했다. 하지만 TCFD가 권장하는 11개 정보공개 항목 중 최소 3개 항목을 채운 기관은 전체의 50%에 불과해 정보 공개의 질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TCFD는 14일(현지시간) 69개국의 1650개가 넘는 기관의 정보공개 보고서를 분석한 2021년 정보공개 현황 보고서(2021 Status Report)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TCFD 권고안을 따르는 기관이 급증한 것은 주요 7개국(G7)과 주요 20개국(G20) 등의 지지와 ESG 투자가 급증하면서 투자자의 기후변화 대응 리스크 공시 요구도 거세졌기 때문이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TCFD 권고안을 따르는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를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정보공개 질적 개선 필요 TCFD는 권고안에 따라 지난해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에 나선 1650개 기관 중 공개 내용을 분석한 결과 TCFD 권고안이 제시한 11개 공개 권고 항목 중 3개 이상의 항목에서 공개가 이루어진 경우는 50%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나 기회에 관한 항목에 대한 공시가 다른 항목 보다 많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에 대한 공시가 가장 적었다.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을 공시한 기관은 13%에 불과했으나, 2018년의 5% 보다는 늘었다. 업종별로 원자재 및 건설과 보험사가 많았다. 11개 항목에 걸쳐 공시한 원자재 및 건설사는 38%였고 가장 높은 공시율을 보인 보험사는 15%p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유럽 기업의 공시율이 높았다. 2위 지역보다 16%p 이상 높은 공시율을 보였다. TCFD의 권고안은 기후변화 위험과 기회를 관리하는 거버넌스와 기후변화 대응 전략, 리스크 관리, 성과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11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가 기한을 하루 넘긴 13일 폐막됐다. COP 사상 처음으로 화석연료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라는 점을 인정하는 등 진전이 있었으나, 일부 국가의 반발 때문에 화석연료에 대한 입장이 초안보다 후퇴하는 등 아쉬움을 남긴 회의였다. 이번 회의의 주요 성과는 ▲화석연료 사용의 점진적 감축 ▲2030년까지 메탄가스 배출량을 30% 감축하는 내용의 국제메탄서약 103개국 서명 ▲2030년까지 산림 훼손을 중단하고 훼손된 산림을 복원한다는 서약에 120개국 이상 서명 ▲빈곤국에 대한 선진국의 기후기금 상향(종전 연간 1000억 달러) ▲2040년까지 내연기관 자동차 생산중단 100여개 정부 및 기업, 지자체 합의 등이다. 또한 ▲국제 탄소시장 개설 ▲ESG 공시 표준 제정 기관 ISSB 출범 ▲40개국 단계적 석탄 사용 중단 선언 ▲글래스고 금융연합 소속 450개 금융기관 2050년 탄소중립 선언 ▲강화된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위한 진전 사항 내년 제출 등도 중요한 성과다. 유엔 뉴스에 따르면 197개 참가국은 회의가 끝난 후 글래스고 기후협정(Glasgow Climate Pact)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된 합의문을 발표했다. 합의문은 2015년 파리기후협약에서 합의한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유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COP 사상 처음으로 화석연료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라는 점을 모든 참가국이 인정하는 성과를 올렸으나, 화석연료 사용 중단에 대한 입장은 초안보다 후퇴했다. 10일 COP26 의장국인 영국이 공개한 초안에는 석탄 발전과 화석연료 보조금 지급을 ”단계적으로 중단“한다는 문구가 들어갔으나, 최종 합의문에서는 ”단계적 감축“으로 수정됐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회의 막판에 인도와 석탄 의존도가 높은 다른 개도국이 ”단계적 중단“이라는 문구를 제거하도록 요구했고 중국이 지지하면서 문구 수정이 이루어졌다. 타협의 산물...현재 온실가스 감축 목표 충분치 않다는 데 공감 안토니오 구테헤스 유엔 사무총장은 비디오를 통해 밝힌 성명을 통해 이번 합의에 대해 국가별 이해관계와 조건, 정치적 의지, 대립 등을 고려한 ”타협“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 합의가 ”중요“했으나, ”충분치 않다“며 ”지구 온도 상승 폭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가 유효하도록 기후변화 대응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세계 각국의 기후변화 대응 활동을 과학적으로 추적하고 분석하는 '기후행동추적'(Climate Action Tracker)은 9일 현재 수준의 2030년 NDC를 고려하면 이번 세기말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대비 2.4℃ 상승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는 2030년 NDC 상향 이전에 전망했던 2.7℃ 상승보다 다소 낮아진 전망치다. 하지만 파리기후협약이 정한 지구 온도 상승 폭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에서 크게 벗어난 수준이다. 과학자들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5% 감축하지 못하면 1.5℃ 목표 달성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화석연료 보조금 지급 중단과 석탄 사용의 단계적 중단, 탄소가격제, 기후변화 취약지역 보호, 기후기금 지원 등을 언급하며 이런 조치를 이행해야 하는 ”긴급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며 ”이번 회의에서 이런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으나, 진전을 위한 구성 요소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참가국은 모두 현재의 국가별 온실가스감축목표가 충분치 않다는 점을 인정하고 내년 이집트에서 열리는 COP27에서 더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을 위한 진전 사항을 제출하기로 했다. 파리협약은 NDC를 5년마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사무국(UNFCCC)에 제출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나, 2025년까지 기다릴 수 없어 내년 COP27에서 강화된 NDC를 제출한다는 뜻이다. 알록 샤마 COP26의장은 각국 대표는 "1.5℃ 목표 달성은 약속 이행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약속이 신속한 행동으로 이어지고, 글래스고 기후협정에서 제시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 기대를 충족시키고,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량과 현재의 목표 사이의 간극을 좁혀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6
지속가능경제
유엔 사무총장, COP26 앞두고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촉구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short
5-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가 기한을 하루 넘긴 13일 폐막됐다. COP 사상 처음으로 화석연료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라는 점을 인정하는 등 진전이 있었으나, 일부 국가의 반발 때문에 화석연료에 대한 입장이 초안보다 후퇴하는 등 아쉬움을 남긴 회의였다. 이번 회의의 주요 성과는 ▲화석연료 사용의 점진적 감축 ▲2030년까지 메탄가스 배출량을 30% 감축하는 내용의 국제메탄서약 103개국 서명 ▲2030년까지 산림 훼손을 중단하고 훼손된 산림을 복원한다는 서약에 120개국 이상 서명 ▲빈곤국에 대한 선진국의 기후기금 상향(종전 연간 1000억 달러) ▲2040년까지 내연기관 자동차 생산중단 100여개 정부 및 기업, 지자체 합의 등이다. 또한 ▲국제 탄소시장 개설 ▲ESG 공시 표준 제정 기관 ISSB 출범 ▲40개국 단계적 석탄 사용 중단 선언 ▲글래스고 금융연합 소속 450개 금융기관 2050년 탄소중립 선언 ▲강화된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위한 진전 사항 내년 제출 등도 중요한 성과다. 유엔 뉴스에 따르면 197개 참가국은 회의가 끝난 후 글래스고 기후협정(Glasgow Climate Pact)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된 합의문을 발표했다. 합의문은 2015년 파리기후협약에서 합의한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유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COP 사상 처음으로 화석연료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라는 점을 모든 참가국이 인정하는 성과를 올렸으나, 화석연료 사용 중단에 대한 입장은 초안보다 후퇴했다. 10일 COP26 의장국인 영국이 공개한 초안에는 석탄 발전과 화석연료 보조금 지급을 ”단계적으로 중단“한다는 문구가 들어갔으나, 최종 합의문에서는 ”단계적 감축“으로 수정됐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회의 막판에 인도와 석탄 의존도가 높은 다른 개도국이 ”단계적 중단“이라는 문구를 제거하도록 요구했고 중국이 지지하면서 문구 수정이 이루어졌다. 타협의 산물...현재 온실가스 감축 목표 충분치 않다는 데 공감 안토니오 구테헤스 유엔 사무총장은 비디오를 통해 밝힌 성명을 통해 이번 합의에 대해 국가별 이해관계와 조건, 정치적 의지, 대립 등을 고려한 ”타협“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 합의가 ”중요“했으나, ”충분치 않다“며 ”지구 온도 상승 폭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가 유효하도록 기후변화 대응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세계 각국의 기후변화 대응 활동을 과학적으로 추적하고 분석하는 '기후행동추적'(Climate Action Tracker)은 9일 현재 수준의 2030년 NDC를 고려하면 이번 세기말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대비 2.4℃ 상승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는 2030년 NDC 상향 이전에 전망했던 2.7℃ 상승보다 다소 낮아진 전망치다. 하지만 파리기후협약이 정한 지구 온도 상승 폭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에서 크게 벗어난 수준이다. 과학자들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5% 감축하지 못하면 1.5℃ 목표 달성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화석연료 보조금 지급 중단과 석탄 사용의 단계적 중단, 탄소가격제, 기후변화 취약지역 보호, 기후기금 지원 등을 언급하며 이런 조치를 이행해야 하는 ”긴급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며 ”이번 회의에서 이런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으나, 진전을 위한 구성 요소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참가국은 모두 현재의 국가별 온실가스감축목표가 충분치 않다는 점을 인정하고 내년 이집트에서 열리는 COP27에서 더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을 위한 진전 사항을 제출하기로 했다. 파리협약은 NDC를 5년마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사무국(UNFCCC)에 제출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나, 2025년까지 기다릴 수 없어 내년 COP27에서 강화된 NDC를 제출한다는 뜻이다. 알록 샤마 COP26의장은 각국 대표는 "1.5℃ 목표 달성은 약속 이행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약속이 신속한 행동으로 이어지고, 글래스고 기후협정에서 제시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 기대를 충족시키고,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량과 현재의 목표 사이의 간극을 좁혀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권고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된 TCFD(The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의 권고안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 등의 정보공개에 나서는 기관이 89개국의 2600여개로 최근 1년간 1000개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TCFD 권고안에 따라 정보공개를 하는 기관의 시가총액은 25조1000억 달러로 1년전에 비해 99% 증가했다. 하지만 TCFD가 권장하는 11개 정보공개 항목 중 최소 3개 항목을 채운 기관은 전체의 50%에 불과해 정보 공개의 질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TCFD는 14일(현지시간) 69개국의 1650개가 넘는 기관의 정보공개 보고서를 분석한 2021년 정보공개 현황 보고서(2021 Status Report)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TCFD 권고안을 따르는 기관이 급증한 것은 주요 7개국(G7)과 주요 20개국(G20) 등의 지지와 ESG 투자가 급증하면서 투자자의 기후변화 대응 리스크 공시 요구도 거세졌기 때문이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TCFD 권고안을 따르는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를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정보공개 질적 개선 필요 TCFD는 권고안에 따라 지난해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에 나선 1650개 기관 중 공개 내용을 분석한 결과 TCFD 권고안이 제시한 11개 공개 권고 항목 중 3개 이상의 항목에서 공개가 이루어진 경우는 50%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나 기회에 관한 항목에 대한 공시가 다른 항목 보다 많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에 대한 공시가 가장 적었다.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을 공시한 기관은 13%에 불과했으나, 2018년의 5% 보다는 늘었다. 업종별로 원자재 및 건설과 보험사가 많았다. 11개 항목에 걸쳐 공시한 원자재 및 건설사는 38%였고 가장 높은 공시율을 보인 보험사는 15%p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유럽 기업의 공시율이 높았다. 2위 지역보다 16%p 이상 높은 공시율을 보였다. TCFD의 권고안은 기후변화 위험과 기회를 관리하는 거버넌스와 기후변화 대응 전략, 리스크 관리, 성과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11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일본은행은 일정 수준 이상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를 공개하는 금융기관에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원된 자금은 기후변화 대응 투자 재원 대출 등에 사용된다. 일본은행은 26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발표하고 올해 안에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에 나선 금융기관에 자금 지원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은행은 금융기관에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TFCD)의 권고안을 적용한 정보 공개를 적극적으로 독려하기로 했다. TCFD는 G20의 요청으로 금융안정협의회(FSB)가 2015년 기후변화 관련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기 위해 설립한 기구로 78개국 2000개 이상 기관이 TCFD와 TCFD의 권고안을 지지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환경부와 기업은행, 한국거래소 등 44개 기관이 지지를 선언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TCFD가 2017년에 발표한 권고안은 ▲지배구조: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이사회의 관리·감독과 경영진의 역할 ▲전략: 기후변화 관련 단기와 중장기 리스크, 기회가 경영과 재무계획에 미치는 영향 ▲리스크 관리: 기후변화에 따른 리스크 식별과 평가, 관리절차, 리스크 관리체계 통합 ▲지표 및 목표치: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와 기회의 평가와 관리지표, 목표치 달성 여부의 4개 주요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본은행은 “현장 실사와 모니터링을 통해 금융기관과 기후변화 관련 금융 리스크와 기업 고객의 탈탄소화 노력에 동참하려는 노력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금융 리스크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일본은행은 이미 밝힌 대로 외환보유액으로 외화표시 녹색채권 매입에 나설 것이라고 발표했다. 특히 아시아 지역의 녹색채권 시장의 성장을 위해 아시아의 다른 나라 중앙은행 등과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에너지 가격 상승과 같은 어려움 속에서도 에너지 전환을 포함한 기후 목표 달성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올해 말 제정 예정인 ESG 정보공시 표준화 방안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시했다. 이에 따라 ISSB 기준은 글로벌 공시 표준으로 세계 각국이 채택할 가능성이 커졌다. G7 재무장관들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12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연차총회가 끝난 후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세계 경제를 혼란에 빠뜨리고 에너지와 식품을 포함한 상품 가격의 상당한 상승을 불러왔다”며 “이런 도전에 타협하지 않고 에너지 전환을 포함한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는 뜻을 분명히했다. 이들은 “청정하고 공정하며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은 세계 각국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G7이 성명에서 언급한 기후 목표는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파리기후협약의 목표를 뜻한다.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탄소중립으로 나아가기 위한 효과적이며 질서있고 공정한 경제로의 전환은 세계 경제의 지속가능한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ISSB ESG 공시 기준 환영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현재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에서 진행 중인 글로벌 ESG 공시 기준 제정을 “환영한다"고 밝히고 "ESG 공시 기준 제정을 지지함으로써 관련 정보의 개선과 필요한 투자가 촉진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성명은 "기후 관련 공시가 시장참가자들에게 투자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며 G7의 기후공시 의무화 약속을 재확인했다. G7은 ISSB에 대해 각국의 공시 기준 제정 기관이나 이해관계자들와 긴밀히 협력해 ESG 공시 기준 제정을 위한 자문과 역량을 제공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글로벌 ESG 공시 기준이 기후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 권고안에 기반을 두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며 "기준 제정에 참여하는 모든 참가자들이 실용적이고 유연하고 상호운용이 가능한 기준을 만들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ISSB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에마뉘엘 파버 ISSB 의장은 "우리의 (ESG 공시 기준 제정)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의 성명을 환영한다”며 “ISSB 기준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고자 세계 각국 당국 및 다른 기준 제정기관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ISSB는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주요 20개국(G20)과 국제증권관리위원회기구(IOSCO)를 포함한 각국 정부와 정책당국 등으로부터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 기준을 제정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지난해 11월 설립했다. ISSB는 3월 TCFD 공시 권고안을 기반으로 공시 영역을 확장한 2개의 ESG 공시 초안을 공개했다.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초안과 기후공시 초안이다. ISSB의 기후공시 초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온실가스 배출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TCFD 권고안과 함께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도 차용하고 있다. ISSB의 공시 기준은 권고안이다. 수용 여부와 어디까지 수용할지는 각국 정부가 결정할 문제다. 하지만 별도의 공시 기준을 제정하고 있는 유럽연합과 미국을 제외한 영국 등 여러나라에서 TCFD 기준을 대신해 다수가 ISSB 기준을 채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COP27에서 기후 목표 달성 진전...'탄소누출' 막기 위한 협력 약속 G7은 오는 11월 이집트에서 열리는 제27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에서 파리기후협약의 목표 달성을 위한 실질적인 진전을 이뤄내겠다고 약속했다.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25년까지 연간 1000억달러를 지원한다는 약속도 유지하기로 했다. 이들은 탄소배출권 시장의 발전과 탄소가격제가 효과적인 탄소 감축을 촉진하고 혁신을 불러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탄소누출(carbon leakeage)”을 막기 위한 제도 마련을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탄소누출은 기업들이 비용을 줄이기 위해 탄소배출 관련 규제가 느슨한 나라나 지역으로 탄소배출을 이전하는 것을 뜻한다. 유럽연합이 도입하기로 한 ’탄소국경세‘가 ‘탄소누출’을 막기 위한 제도 중 하나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다음 달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참가국들은 상향조정된 2030년까지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제출할 예정이다. NDC 못지않게 관심을 끄는 의제는 난립한 ESG 정보공개 표준을 단일화하는 작업이다.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Fortune)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이번 총회는 NDC 제출뿐 아니라 투자자가 기업의 ESG 경영 활동을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마련하는 기반을 조성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국제회계기준재단(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IFRS 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ISSB는 COP26 개최 이전에 출범할 예정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가장 큰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ISSB의 기준안이 나오면 기업은 기후변화 대응 노력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진전을 명확하면서도 손쉽게 공시하는 길이 열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ISSB가 제정할 새로운 ESG 정보공개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설립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 협의체다. 기후변화 대응 노력이 필요하지만, 사회책임(S)과 거버넌스(G) 분야의 정보공개 중요성도 간과하면 안 된다고 이들은 지적했다. 이런 분야의 기업 활동은 기후변화보다 평가가 더 어렵지만, 기업의 미래 경쟁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이미 마련된 ESG 정보공개 표준도 ISSB의 새로운 기준 제정에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선의의 지류가 많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강”이라며 통일된 정보공개 표준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6
지속가능경제
유엔 사무총장, COP26 앞두고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촉구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short
3-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다음 달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참가국들은 상향조정된 2030년까지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제출할 예정이다. NDC 못지않게 관심을 끄는 의제는 난립한 ESG 정보공개 표준을 단일화하는 작업이다.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Fortune)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이번 총회는 NDC 제출뿐 아니라 투자자가 기업의 ESG 경영 활동을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마련하는 기반을 조성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국제회계기준재단(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IFRS 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ISSB는 COP26 개최 이전에 출범할 예정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가장 큰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ISSB의 기준안이 나오면 기업은 기후변화 대응 노력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진전을 명확하면서도 손쉽게 공시하는 길이 열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ISSB가 제정할 새로운 ESG 정보공개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설립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 협의체다. 기후변화 대응 노력이 필요하지만, 사회책임(S)과 거버넌스(G) 분야의 정보공개 중요성도 간과하면 안 된다고 이들은 지적했다. 이런 분야의 기업 활동은 기후변화보다 평가가 더 어렵지만, 기업의 미래 경쟁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이미 마련된 ESG 정보공개 표준도 ISSB의 새로운 기준 제정에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선의의 지류가 많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강”이라며 통일된 정보공개 표준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에너지 가격 상승과 같은 어려움 속에서도 에너지 전환을 포함한 기후 목표 달성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올해 말 제정 예정인 ESG 정보공시 표준화 방안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시했다. 이에 따라 ISSB 기준은 글로벌 공시 표준으로 세계 각국이 채택할 가능성이 커졌다. G7 재무장관들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12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연차총회가 끝난 후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세계 경제를 혼란에 빠뜨리고 에너지와 식품을 포함한 상품 가격의 상당한 상승을 불러왔다”며 “이런 도전에 타협하지 않고 에너지 전환을 포함한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는 뜻을 분명히했다. 이들은 “청정하고 공정하며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은 세계 각국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G7이 성명에서 언급한 기후 목표는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파리기후협약의 목표를 뜻한다.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탄소중립으로 나아가기 위한 효과적이며 질서있고 공정한 경제로의 전환은 세계 경제의 지속가능한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ISSB ESG 공시 기준 환영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현재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에서 진행 중인 글로벌 ESG 공시 기준 제정을 “환영한다"고 밝히고 "ESG 공시 기준 제정을 지지함으로써 관련 정보의 개선과 필요한 투자가 촉진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성명은 "기후 관련 공시가 시장참가자들에게 투자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며 G7의 기후공시 의무화 약속을 재확인했다. G7은 ISSB에 대해 각국의 공시 기준 제정 기관이나 이해관계자들와 긴밀히 협력해 ESG 공시 기준 제정을 위한 자문과 역량을 제공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글로벌 ESG 공시 기준이 기후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 권고안에 기반을 두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며 "기준 제정에 참여하는 모든 참가자들이 실용적이고 유연하고 상호운용이 가능한 기준을 만들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ISSB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에마뉘엘 파버 ISSB 의장은 "우리의 (ESG 공시 기준 제정)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의 성명을 환영한다”며 “ISSB 기준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고자 세계 각국 당국 및 다른 기준 제정기관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ISSB는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주요 20개국(G20)과 국제증권관리위원회기구(IOSCO)를 포함한 각국 정부와 정책당국 등으로부터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 기준을 제정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지난해 11월 설립했다. ISSB는 3월 TCFD 공시 권고안을 기반으로 공시 영역을 확장한 2개의 ESG 공시 초안을 공개했다.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초안과 기후공시 초안이다. ISSB의 기후공시 초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온실가스 배출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TCFD 권고안과 함께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도 차용하고 있다. ISSB의 공시 기준은 권고안이다. 수용 여부와 어디까지 수용할지는 각국 정부가 결정할 문제다. 하지만 별도의 공시 기준을 제정하고 있는 유럽연합과 미국을 제외한 영국 등 여러나라에서 TCFD 기준을 대신해 다수가 ISSB 기준을 채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COP27에서 기후 목표 달성 진전...'탄소누출' 막기 위한 협력 약속 G7은 오는 11월 이집트에서 열리는 제27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에서 파리기후협약의 목표 달성을 위한 실질적인 진전을 이뤄내겠다고 약속했다.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25년까지 연간 1000억달러를 지원한다는 약속도 유지하기로 했다. 이들은 탄소배출권 시장의 발전과 탄소가격제가 효과적인 탄소 감축을 촉진하고 혁신을 불러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탄소누출(carbon leakeage)”을 막기 위한 제도 마련을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탄소누출은 기업들이 비용을 줄이기 위해 탄소배출 관련 규제가 느슨한 나라나 지역으로 탄소배출을 이전하는 것을 뜻한다. 유럽연합이 도입하기로 한 ’탄소국경세‘가 ‘탄소누출’을 막기 위한 제도 중 하나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권고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된 TCFD(The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의 권고안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 등의 정보공개에 나서는 기관이 89개국의 2600여개로 최근 1년간 1000개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TCFD 권고안에 따라 정보공개를 하는 기관의 시가총액은 25조1000억 달러로 1년전에 비해 99% 증가했다. 하지만 TCFD가 권장하는 11개 정보공개 항목 중 최소 3개 항목을 채운 기관은 전체의 50%에 불과해 정보 공개의 질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TCFD는 14일(현지시간) 69개국의 1650개가 넘는 기관의 정보공개 보고서를 분석한 2021년 정보공개 현황 보고서(2021 Status Report)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TCFD 권고안을 따르는 기관이 급증한 것은 주요 7개국(G7)과 주요 20개국(G20) 등의 지지와 ESG 투자가 급증하면서 투자자의 기후변화 대응 리스크 공시 요구도 거세졌기 때문이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TCFD 권고안을 따르는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를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정보공개 질적 개선 필요 TCFD는 권고안에 따라 지난해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에 나선 1650개 기관 중 공개 내용을 분석한 결과 TCFD 권고안이 제시한 11개 공개 권고 항목 중 3개 이상의 항목에서 공개가 이루어진 경우는 50%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나 기회에 관한 항목에 대한 공시가 다른 항목 보다 많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에 대한 공시가 가장 적었다.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을 공시한 기관은 13%에 불과했으나, 2018년의 5% 보다는 늘었다. 업종별로 원자재 및 건설과 보험사가 많았다. 11개 항목에 걸쳐 공시한 원자재 및 건설사는 38%였고 가장 높은 공시율을 보인 보험사는 15%p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유럽 기업의 공시율이 높았다. 2위 지역보다 16%p 이상 높은 공시율을 보였다. TCFD의 권고안은 기후변화 위험과 기회를 관리하는 거버넌스와 기후변화 대응 전략, 리스크 관리, 성과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11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6
지속가능경제
유엔 사무총장, COP26 앞두고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촉구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short
3-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권고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된 TCFD(The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의 권고안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 등의 정보공개에 나서는 기관이 89개국의 2600여개로 최근 1년간 1000개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TCFD 권고안에 따라 정보공개를 하는 기관의 시가총액은 25조1000억 달러로 1년전에 비해 99% 증가했다. 하지만 TCFD가 권장하는 11개 정보공개 항목 중 최소 3개 항목을 채운 기관은 전체의 50%에 불과해 정보 공개의 질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TCFD는 14일(현지시간) 69개국의 1650개가 넘는 기관의 정보공개 보고서를 분석한 2021년 정보공개 현황 보고서(2021 Status Report)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TCFD 권고안을 따르는 기관이 급증한 것은 주요 7개국(G7)과 주요 20개국(G20) 등의 지지와 ESG 투자가 급증하면서 투자자의 기후변화 대응 리스크 공시 요구도 거세졌기 때문이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TCFD 권고안을 따르는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를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정보공개 질적 개선 필요 TCFD는 권고안에 따라 지난해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에 나선 1650개 기관 중 공개 내용을 분석한 결과 TCFD 권고안이 제시한 11개 공개 권고 항목 중 3개 이상의 항목에서 공개가 이루어진 경우는 50%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나 기회에 관한 항목에 대한 공시가 다른 항목 보다 많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에 대한 공시가 가장 적었다.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을 공시한 기관은 13%에 불과했으나, 2018년의 5% 보다는 늘었다. 업종별로 원자재 및 건설과 보험사가 많았다. 11개 항목에 걸쳐 공시한 원자재 및 건설사는 38%였고 가장 높은 공시율을 보인 보험사는 15%p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유럽 기업의 공시율이 높았다. 2위 지역보다 16%p 이상 높은 공시율을 보였다. TCFD의 권고안은 기후변화 위험과 기회를 관리하는 거버넌스와 기후변화 대응 전략, 리스크 관리, 성과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11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에너지 가격 상승과 같은 어려움 속에서도 에너지 전환을 포함한 기후 목표 달성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올해 말 제정 예정인 ESG 정보공시 표준화 방안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시했다. 이에 따라 ISSB 기준은 글로벌 공시 표준으로 세계 각국이 채택할 가능성이 커졌다. G7 재무장관들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12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연차총회가 끝난 후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세계 경제를 혼란에 빠뜨리고 에너지와 식품을 포함한 상품 가격의 상당한 상승을 불러왔다”며 “이런 도전에 타협하지 않고 에너지 전환을 포함한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는 뜻을 분명히했다. 이들은 “청정하고 공정하며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은 세계 각국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G7이 성명에서 언급한 기후 목표는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파리기후협약의 목표를 뜻한다.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탄소중립으로 나아가기 위한 효과적이며 질서있고 공정한 경제로의 전환은 세계 경제의 지속가능한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ISSB ESG 공시 기준 환영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현재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에서 진행 중인 글로벌 ESG 공시 기준 제정을 “환영한다"고 밝히고 "ESG 공시 기준 제정을 지지함으로써 관련 정보의 개선과 필요한 투자가 촉진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성명은 "기후 관련 공시가 시장참가자들에게 투자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며 G7의 기후공시 의무화 약속을 재확인했다. G7은 ISSB에 대해 각국의 공시 기준 제정 기관이나 이해관계자들와 긴밀히 협력해 ESG 공시 기준 제정을 위한 자문과 역량을 제공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글로벌 ESG 공시 기준이 기후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 권고안에 기반을 두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며 "기준 제정에 참여하는 모든 참가자들이 실용적이고 유연하고 상호운용이 가능한 기준을 만들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ISSB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에마뉘엘 파버 ISSB 의장은 "우리의 (ESG 공시 기준 제정)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의 성명을 환영한다”며 “ISSB 기준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고자 세계 각국 당국 및 다른 기준 제정기관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ISSB는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주요 20개국(G20)과 국제증권관리위원회기구(IOSCO)를 포함한 각국 정부와 정책당국 등으로부터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 기준을 제정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지난해 11월 설립했다. ISSB는 3월 TCFD 공시 권고안을 기반으로 공시 영역을 확장한 2개의 ESG 공시 초안을 공개했다.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초안과 기후공시 초안이다. ISSB의 기후공시 초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온실가스 배출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TCFD 권고안과 함께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도 차용하고 있다. ISSB의 공시 기준은 권고안이다. 수용 여부와 어디까지 수용할지는 각국 정부가 결정할 문제다. 하지만 별도의 공시 기준을 제정하고 있는 유럽연합과 미국을 제외한 영국 등 여러나라에서 TCFD 기준을 대신해 다수가 ISSB 기준을 채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COP27에서 기후 목표 달성 진전...'탄소누출' 막기 위한 협력 약속 G7은 오는 11월 이집트에서 열리는 제27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에서 파리기후협약의 목표 달성을 위한 실질적인 진전을 이뤄내겠다고 약속했다.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25년까지 연간 1000억달러를 지원한다는 약속도 유지하기로 했다. 이들은 탄소배출권 시장의 발전과 탄소가격제가 효과적인 탄소 감축을 촉진하고 혁신을 불러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탄소누출(carbon leakeage)”을 막기 위한 제도 마련을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탄소누출은 기업들이 비용을 줄이기 위해 탄소배출 관련 규제가 느슨한 나라나 지역으로 탄소배출을 이전하는 것을 뜻한다. 유럽연합이 도입하기로 한 ’탄소국경세‘가 ‘탄소누출’을 막기 위한 제도 중 하나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다음 달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참가국들은 상향조정된 2030년까지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제출할 예정이다. NDC 못지않게 관심을 끄는 의제는 난립한 ESG 정보공개 표준을 단일화하는 작업이다.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Fortune)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이번 총회는 NDC 제출뿐 아니라 투자자가 기업의 ESG 경영 활동을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마련하는 기반을 조성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국제회계기준재단(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IFRS 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ISSB는 COP26 개최 이전에 출범할 예정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가장 큰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ISSB의 기준안이 나오면 기업은 기후변화 대응 노력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진전을 명확하면서도 손쉽게 공시하는 길이 열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ISSB가 제정할 새로운 ESG 정보공개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설립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 협의체다. 기후변화 대응 노력이 필요하지만, 사회책임(S)과 거버넌스(G) 분야의 정보공개 중요성도 간과하면 안 된다고 이들은 지적했다. 이런 분야의 기업 활동은 기후변화보다 평가가 더 어렵지만, 기업의 미래 경쟁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이미 마련된 ESG 정보공개 표준도 ISSB의 새로운 기준 제정에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선의의 지류가 많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강”이라며 통일된 정보공개 표준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6
지속가능경제
유엔 사무총장, COP26 앞두고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촉구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short
3-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권고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된 TCFD(The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의 권고안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 등의 정보공개에 나서는 기관이 89개국의 2600여개로 최근 1년간 1000개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TCFD 권고안에 따라 정보공개를 하는 기관의 시가총액은 25조1000억 달러로 1년전에 비해 99% 증가했다. 하지만 TCFD가 권장하는 11개 정보공개 항목 중 최소 3개 항목을 채운 기관은 전체의 50%에 불과해 정보 공개의 질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TCFD는 14일(현지시간) 69개국의 1650개가 넘는 기관의 정보공개 보고서를 분석한 2021년 정보공개 현황 보고서(2021 Status Report)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TCFD 권고안을 따르는 기관이 급증한 것은 주요 7개국(G7)과 주요 20개국(G20) 등의 지지와 ESG 투자가 급증하면서 투자자의 기후변화 대응 리스크 공시 요구도 거세졌기 때문이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TCFD 권고안을 따르는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를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정보공개 질적 개선 필요 TCFD는 권고안에 따라 지난해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에 나선 1650개 기관 중 공개 내용을 분석한 결과 TCFD 권고안이 제시한 11개 공개 권고 항목 중 3개 이상의 항목에서 공개가 이루어진 경우는 50%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나 기회에 관한 항목에 대한 공시가 다른 항목 보다 많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에 대한 공시가 가장 적었다.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을 공시한 기관은 13%에 불과했으나, 2018년의 5% 보다는 늘었다. 업종별로 원자재 및 건설과 보험사가 많았다. 11개 항목에 걸쳐 공시한 원자재 및 건설사는 38%였고 가장 높은 공시율을 보인 보험사는 15%p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유럽 기업의 공시율이 높았다. 2위 지역보다 16%p 이상 높은 공시율을 보였다. TCFD의 권고안은 기후변화 위험과 기회를 관리하는 거버넌스와 기후변화 대응 전략, 리스크 관리, 성과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11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에너지 가격 상승과 같은 어려움 속에서도 에너지 전환을 포함한 기후 목표 달성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올해 말 제정 예정인 ESG 정보공시 표준화 방안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시했다. 이에 따라 ISSB 기준은 글로벌 공시 표준으로 세계 각국이 채택할 가능성이 커졌다. G7 재무장관들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12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연차총회가 끝난 후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세계 경제를 혼란에 빠뜨리고 에너지와 식품을 포함한 상품 가격의 상당한 상승을 불러왔다”며 “이런 도전에 타협하지 않고 에너지 전환을 포함한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는 뜻을 분명히했다. 이들은 “청정하고 공정하며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은 세계 각국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G7이 성명에서 언급한 기후 목표는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파리기후협약의 목표를 뜻한다.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탄소중립으로 나아가기 위한 효과적이며 질서있고 공정한 경제로의 전환은 세계 경제의 지속가능한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ISSB ESG 공시 기준 환영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현재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에서 진행 중인 글로벌 ESG 공시 기준 제정을 “환영한다"고 밝히고 "ESG 공시 기준 제정을 지지함으로써 관련 정보의 개선과 필요한 투자가 촉진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성명은 "기후 관련 공시가 시장참가자들에게 투자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며 G7의 기후공시 의무화 약속을 재확인했다. G7은 ISSB에 대해 각국의 공시 기준 제정 기관이나 이해관계자들와 긴밀히 협력해 ESG 공시 기준 제정을 위한 자문과 역량을 제공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글로벌 ESG 공시 기준이 기후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 권고안에 기반을 두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며 "기준 제정에 참여하는 모든 참가자들이 실용적이고 유연하고 상호운용이 가능한 기준을 만들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ISSB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에마뉘엘 파버 ISSB 의장은 "우리의 (ESG 공시 기준 제정)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의 성명을 환영한다”며 “ISSB 기준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고자 세계 각국 당국 및 다른 기준 제정기관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ISSB는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주요 20개국(G20)과 국제증권관리위원회기구(IOSCO)를 포함한 각국 정부와 정책당국 등으로부터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 기준을 제정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지난해 11월 설립했다. ISSB는 3월 TCFD 공시 권고안을 기반으로 공시 영역을 확장한 2개의 ESG 공시 초안을 공개했다.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초안과 기후공시 초안이다. ISSB의 기후공시 초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온실가스 배출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TCFD 권고안과 함께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도 차용하고 있다. ISSB의 공시 기준은 권고안이다. 수용 여부와 어디까지 수용할지는 각국 정부가 결정할 문제다. 하지만 별도의 공시 기준을 제정하고 있는 유럽연합과 미국을 제외한 영국 등 여러나라에서 TCFD 기준을 대신해 다수가 ISSB 기준을 채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COP27에서 기후 목표 달성 진전...'탄소누출' 막기 위한 협력 약속 G7은 오는 11월 이집트에서 열리는 제27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에서 파리기후협약의 목표 달성을 위한 실질적인 진전을 이뤄내겠다고 약속했다.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25년까지 연간 1000억달러를 지원한다는 약속도 유지하기로 했다. 이들은 탄소배출권 시장의 발전과 탄소가격제가 효과적인 탄소 감축을 촉진하고 혁신을 불러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탄소누출(carbon leakeage)”을 막기 위한 제도 마련을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탄소누출은 기업들이 비용을 줄이기 위해 탄소배출 관련 규제가 느슨한 나라나 지역으로 탄소배출을 이전하는 것을 뜻한다. 유럽연합이 도입하기로 한 ’탄소국경세‘가 ‘탄소누출’을 막기 위한 제도 중 하나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다음 달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참가국들은 상향조정된 2030년까지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제출할 예정이다. NDC 못지않게 관심을 끄는 의제는 난립한 ESG 정보공개 표준을 단일화하는 작업이다.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Fortune)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이번 총회는 NDC 제출뿐 아니라 투자자가 기업의 ESG 경영 활동을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마련하는 기반을 조성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국제회계기준재단(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IFRS 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ISSB는 COP26 개최 이전에 출범할 예정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가장 큰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ISSB의 기준안이 나오면 기업은 기후변화 대응 노력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진전을 명확하면서도 손쉽게 공시하는 길이 열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ISSB가 제정할 새로운 ESG 정보공개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설립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 협의체다. 기후변화 대응 노력이 필요하지만, 사회책임(S)과 거버넌스(G) 분야의 정보공개 중요성도 간과하면 안 된다고 이들은 지적했다. 이런 분야의 기업 활동은 기후변화보다 평가가 더 어렵지만, 기업의 미래 경쟁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이미 마련된 ESG 정보공개 표준도 ISSB의 새로운 기준 제정에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선의의 지류가 많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강”이라며 통일된 정보공개 표준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6
지속가능경제
유엔 사무총장, COP26 앞두고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촉구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short
3-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다음 달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참가국들은 상향조정된 2030년까지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제출할 예정이다. NDC 못지않게 관심을 끄는 의제는 난립한 ESG 정보공개 표준을 단일화하는 작업이다.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Fortune)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이번 총회는 NDC 제출뿐 아니라 투자자가 기업의 ESG 경영 활동을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마련하는 기반을 조성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국제회계기준재단(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IFRS 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ISSB는 COP26 개최 이전에 출범할 예정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가장 큰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ISSB의 기준안이 나오면 기업은 기후변화 대응 노력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진전을 명확하면서도 손쉽게 공시하는 길이 열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ISSB가 제정할 새로운 ESG 정보공개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설립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 협의체다. 기후변화 대응 노력이 필요하지만, 사회책임(S)과 거버넌스(G) 분야의 정보공개 중요성도 간과하면 안 된다고 이들은 지적했다. 이런 분야의 기업 활동은 기후변화보다 평가가 더 어렵지만, 기업의 미래 경쟁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이미 마련된 ESG 정보공개 표준도 ISSB의 새로운 기준 제정에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선의의 지류가 많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강”이라며 통일된 정보공개 표준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에너지 가격 상승과 같은 어려움 속에서도 에너지 전환을 포함한 기후 목표 달성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올해 말 제정 예정인 ESG 정보공시 표준화 방안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시했다. 이에 따라 ISSB 기준은 글로벌 공시 표준으로 세계 각국이 채택할 가능성이 커졌다. G7 재무장관들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12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연차총회가 끝난 후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세계 경제를 혼란에 빠뜨리고 에너지와 식품을 포함한 상품 가격의 상당한 상승을 불러왔다”며 “이런 도전에 타협하지 않고 에너지 전환을 포함한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는 뜻을 분명히했다. 이들은 “청정하고 공정하며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은 세계 각국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G7이 성명에서 언급한 기후 목표는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파리기후협약의 목표를 뜻한다.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탄소중립으로 나아가기 위한 효과적이며 질서있고 공정한 경제로의 전환은 세계 경제의 지속가능한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ISSB ESG 공시 기준 환영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현재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에서 진행 중인 글로벌 ESG 공시 기준 제정을 “환영한다"고 밝히고 "ESG 공시 기준 제정을 지지함으로써 관련 정보의 개선과 필요한 투자가 촉진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성명은 "기후 관련 공시가 시장참가자들에게 투자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며 G7의 기후공시 의무화 약속을 재확인했다. G7은 ISSB에 대해 각국의 공시 기준 제정 기관이나 이해관계자들와 긴밀히 협력해 ESG 공시 기준 제정을 위한 자문과 역량을 제공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글로벌 ESG 공시 기준이 기후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 권고안에 기반을 두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며 "기준 제정에 참여하는 모든 참가자들이 실용적이고 유연하고 상호운용이 가능한 기준을 만들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ISSB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에마뉘엘 파버 ISSB 의장은 "우리의 (ESG 공시 기준 제정)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의 성명을 환영한다”며 “ISSB 기준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고자 세계 각국 당국 및 다른 기준 제정기관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ISSB는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주요 20개국(G20)과 국제증권관리위원회기구(IOSCO)를 포함한 각국 정부와 정책당국 등으로부터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 기준을 제정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지난해 11월 설립했다. ISSB는 3월 TCFD 공시 권고안을 기반으로 공시 영역을 확장한 2개의 ESG 공시 초안을 공개했다.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초안과 기후공시 초안이다. ISSB의 기후공시 초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온실가스 배출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TCFD 권고안과 함께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도 차용하고 있다. ISSB의 공시 기준은 권고안이다. 수용 여부와 어디까지 수용할지는 각국 정부가 결정할 문제다. 하지만 별도의 공시 기준을 제정하고 있는 유럽연합과 미국을 제외한 영국 등 여러나라에서 TCFD 기준을 대신해 다수가 ISSB 기준을 채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COP27에서 기후 목표 달성 진전...'탄소누출' 막기 위한 협력 약속 G7은 오는 11월 이집트에서 열리는 제27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에서 파리기후협약의 목표 달성을 위한 실질적인 진전을 이뤄내겠다고 약속했다.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25년까지 연간 1000억달러를 지원한다는 약속도 유지하기로 했다. 이들은 탄소배출권 시장의 발전과 탄소가격제가 효과적인 탄소 감축을 촉진하고 혁신을 불러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탄소누출(carbon leakeage)”을 막기 위한 제도 마련을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탄소누출은 기업들이 비용을 줄이기 위해 탄소배출 관련 규제가 느슨한 나라나 지역으로 탄소배출을 이전하는 것을 뜻한다. 유럽연합이 도입하기로 한 ’탄소국경세‘가 ‘탄소누출’을 막기 위한 제도 중 하나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권고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된 TCFD(The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의 권고안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 등의 정보공개에 나서는 기관이 89개국의 2600여개로 최근 1년간 1000개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TCFD 권고안에 따라 정보공개를 하는 기관의 시가총액은 25조1000억 달러로 1년전에 비해 99% 증가했다. 하지만 TCFD가 권장하는 11개 정보공개 항목 중 최소 3개 항목을 채운 기관은 전체의 50%에 불과해 정보 공개의 질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TCFD는 14일(현지시간) 69개국의 1650개가 넘는 기관의 정보공개 보고서를 분석한 2021년 정보공개 현황 보고서(2021 Status Report)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TCFD 권고안을 따르는 기관이 급증한 것은 주요 7개국(G7)과 주요 20개국(G20) 등의 지지와 ESG 투자가 급증하면서 투자자의 기후변화 대응 리스크 공시 요구도 거세졌기 때문이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TCFD 권고안을 따르는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를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정보공개 질적 개선 필요 TCFD는 권고안에 따라 지난해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에 나선 1650개 기관 중 공개 내용을 분석한 결과 TCFD 권고안이 제시한 11개 공개 권고 항목 중 3개 이상의 항목에서 공개가 이루어진 경우는 50%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나 기회에 관한 항목에 대한 공시가 다른 항목 보다 많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에 대한 공시가 가장 적었다.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을 공시한 기관은 13%에 불과했으나, 2018년의 5% 보다는 늘었다. 업종별로 원자재 및 건설과 보험사가 많았다. 11개 항목에 걸쳐 공시한 원자재 및 건설사는 38%였고 가장 높은 공시율을 보인 보험사는 15%p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유럽 기업의 공시율이 높았다. 2위 지역보다 16%p 이상 높은 공시율을 보였다. TCFD의 권고안은 기후변화 위험과 기회를 관리하는 거버넌스와 기후변화 대응 전략, 리스크 관리, 성과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11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6
지속가능경제
유엔 사무총장, COP26 앞두고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촉구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short
1-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다음 달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참가국들은 상향조정된 2030년까지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제출할 예정이다. NDC 못지않게 관심을 끄는 의제는 난립한 ESG 정보공개 표준을 단일화하는 작업이다.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Fortune)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이번 총회는 NDC 제출뿐 아니라 투자자가 기업의 ESG 경영 활동을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마련하는 기반을 조성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국제회계기준재단(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IFRS 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ISSB는 COP26 개최 이전에 출범할 예정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가장 큰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ISSB의 기준안이 나오면 기업은 기후변화 대응 노력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진전을 명확하면서도 손쉽게 공시하는 길이 열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ISSB가 제정할 새로운 ESG 정보공개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설립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 협의체다. 기후변화 대응 노력이 필요하지만, 사회책임(S)과 거버넌스(G) 분야의 정보공개 중요성도 간과하면 안 된다고 이들은 지적했다. 이런 분야의 기업 활동은 기후변화보다 평가가 더 어렵지만, 기업의 미래 경쟁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이미 마련된 ESG 정보공개 표준도 ISSB의 새로운 기준 제정에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선의의 지류가 많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강”이라며 통일된 정보공개 표준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6
지속가능경제
유엔 사무총장, COP26 앞두고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촉구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short
1-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다음 달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참가국들은 상향조정된 2030년까지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제출할 예정이다. NDC 못지않게 관심을 끄는 의제는 난립한 ESG 정보공개 표준을 단일화하는 작업이다.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Fortune)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이번 총회는 NDC 제출뿐 아니라 투자자가 기업의 ESG 경영 활동을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마련하는 기반을 조성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국제회계기준재단(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IFRS 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ISSB는 COP26 개최 이전에 출범할 예정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가장 큰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ISSB의 기준안이 나오면 기업은 기후변화 대응 노력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진전을 명확하면서도 손쉽게 공시하는 길이 열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ISSB가 제정할 새로운 ESG 정보공개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설립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 협의체다. 기후변화 대응 노력이 필요하지만, 사회책임(S)과 거버넌스(G) 분야의 정보공개 중요성도 간과하면 안 된다고 이들은 지적했다. 이런 분야의 기업 활동은 기후변화보다 평가가 더 어렵지만, 기업의 미래 경쟁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올리버 바테와 미즈노 히로는 이미 마련된 ESG 정보공개 표준도 ISSB의 새로운 기준 제정에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선의의 지류가 많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강”이라며 통일된 정보공개 표준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원국 재무장관에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12일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연합 회의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OP26과 그 이후의 성공에 각국 재무장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의 재무장관의 결정과 행동이 세계 경제가 저탄소와 회복력, 포용성을 갖춘 성장세로 전환할 것인지 화석연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틀에 갇힐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COP26에서 진전을 이뤄내야 할 3대 과제로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금융 격차 축소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 회원국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를 신속하게 줄여나가야 한다며 각국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대비 1.5℃로 억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약속을 기꺼이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간 기후금융 격차도 줄여야 한다며 이미 합의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간 1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TCFD 권고안에 맞춰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 의무화 해야 그는 이어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금융이 탄소중립과 회복력을 갖춘 개발과 연계해 운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모든 재무장관에게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권고안을 따르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CFD는 금융안정위원회(FSI)가 G20의 요청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보공개안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올리버 바테 알리안츠 CEO와 미즈노 히로 유엔 혁신금융 및 지속가능 투자 특사는 포춘지 공동 기고문을 통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ESG 정보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할 ISSB(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가 자본시장에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ISSB가 ESG 정보공개 기준을 만들 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며 ISSB의 표준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TCFD의 기후변화 정보공개 권고안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IFRS재단은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하는 기구로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ISSB 설립에 나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4620
환경·사회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올해도 늘어…기후변화 대응 연대는 공염불?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medium
5-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올해 들어 지구의 기온과 해수 온도가 산업화 이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남극 빙하 규모는 역대 최저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유럽의 기온은 지구 평균의 2배 가까이 올랐다. 인간이 기온을 측정한 이후 기후 지표가 최고치나 최저치를 마구 경신하고 있는 셈이다. 미 CNN 방송은 기후위기를 보여주는 4가지 지표를 골라 19일(현지시간) 소개했다. 유럽연합(EU)의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3S)는 지난 1∼11일의 지구 평균 기온이 역대 같은 기간 대비 최고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이 기관에 따르면 6월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1.5도 넘게 오른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미 기상청(NWS)에 따르면 중미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최근 체감 기온이 48.9(화씨 120도)도 넘게 치솟는 폭염을 기록했다. 미국 텍사스와 루이지애나, 인도 등지에서도 예년에 경험하지 못한 무더위로 온열질환 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주요 도시에서는 지난달 14일 기온이 섭씨 36도를 기록해 역대 5월 최고 기록을 썼다. 그 결과 도처에 산불이 일어나 아직도 상당 지역 타고 있다. 해수면 온도 최고치 경신...2016년 넘어 올해 가장 무더운 해 될듯 지구 해수면 온도는 지난 3월부터 이례적으로 오르기 시작해 현재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 중이다. CNN이 메인대학교 기후변화연구소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해수면 평균 온도는 지난 3월 13일 20.96도로 이전까지 가장 높았던 2016년과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4월 2일에는 21.05도로 올해 최고치를 찍었다. 이후 소폭 내렸으나 14일 20.87도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 같은 날의 20.64도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전까지는 엘니뇨와 온실가스 효과가 동시에 나타난 2016년이 가장 더웠던 해로 기록됐다. 올해는 엘니뇨가 더 심각하게 나타나면서 기후 재해가 빈발할 수 있다고 기후학자들은 우려한다. 남극 대륙의 해빙(sea ice) 규모도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에 따르면 2월 2일 남극 해빙의 범위는 179만㎢로, 1979년 위성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줄었다. 이는 지난해 2월 25일의 최저치보다 13만㎢ 적었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사상 최고치 ...지구온난화의 주범 화석 연료를 태울 때 대기 중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힌다.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과 캘리포니아대학교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424ppm으로 사상 최고였다. 이 정도의 이산화탄소 수치는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하면 50% 이상 높은 수준이라고 NOAA는 설명했다. 한편 세계기상기구(WMO)가 19일(현지시간) 발간한 기후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1800년대 중반 이후로 작년까지 세계 평균 기온은 1.2도 상승했다. 같은 시기에 유럽의 기온 상승 폭은 2.3도로 지구 평균의 2배였다. 보고서는 "유럽 대륙은 지난해 기록상 가장 더운 여름을 보냈고 프랑스와 독일,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영국을 포함한 여러 유럽 국가가 역사상 가장 더운 한 해를 경험했다"고 전했다. 유럽의 온난화는 최근 더욱 빨라져 1991년부터 2021년까지 유럽 전체의 기온은 1.5도 상승했다. 1800년대 이후의 유럽의 기온 상승 폭 가운데 최근 30년이 차지하는 부분이 65%를 넘어선 셈이다. 보고서는 "유럽의 극심한 더위로 지난해 1만6,000명 넘는 사람이 사망했고 홍수 등 극한적인 기후로 20억 달러(2조5,600억여원) 가량의 경제적 피해를 유발했다"면서 "안타깝게도 이는 일회성 기후 이변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이회성 의장은 "산업계 탄소 배출량이 많은 한국은 기술 문제만 해결하면 어느 나라보다 탄소중립 달성에 앞서갈 유리한 위치에 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2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IPCC가 최근 내놓은 제6차 평가보고서 종합보고서(6차 보고서)의 시사점을 설명하는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6차 보고서에는 2011~2020년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전인 1850~1900년보다 1.1도 상승했고,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표면온도 상승 폭이 향후 20년 안에 1.5도를 넘을 것이라는 경고가 담겼다. 특히 보고서는 각국이 현재까지 내놓은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로는 지구 온도 상승 폭 1.5도 제한이 불가능한 것은 물론 2.0도 제한도 어렵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해 이 의장은 '산업화 이전 대비 1.1도 상승'은 '이변'이라고 단언했다. 짧은 기간 이런 폭의 온도 상승도 이런 표현을 쓸 정도로 이례적이라는 것이다. 그는 "과거에도 (지구 온도가) 1.1도 오르는 경우가 많이 있었지만, 그 땐 온도 상승에 걸린 시간이 2만~3만년이었다"면서 "지구 온도가 올라가는 속도가 너무 빠른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이 의장은 "현 상태로 진행되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0년 내 1.5도를 넘어서는 것은 불가피하고 극한의 기상이변 현상이 잦아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5차 보고서까지만 해도 기상이변에 대해 '인간에 의한 기후변화가 있으나 그 범위는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정도였다면 과학기법의 발달로 6차 보고서에는 '인간에 의한 기후변화를 빼놓고는 기상이변을 설명할 수 없다'라고 할 정도로 진일보했다"라고 덧붙였다. 지구 온도 상승 '뜨거운 맛' 본 뒤 바빠질 것 이 의장은 지구 온도 상승 폭이 일시적으로 1.5도를 넘어서는 '오버슈트'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면서 "기온이 상승해서 '뜨거운 맛'을 본 다음에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저장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줄여 온도 상승 폭을 낮추는 시나리오가 반드시 올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각국이 '2050년 탄소중립(넷제로)'을 약속하고 있지만, 그간 탄소 배출량이 많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더 일찍 넷제로를 달성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제성장을 포기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것이 탄소중립에 부합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2050년에 탄소중립을 달성하려면 30년간 매년 7%씩 줄여야 하는데 코로나19 대유행이 한창인 2020년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7% 줄었다"면서 "하지만 2020년에 세계 경제성장률이 -3%로 경제를 3%씩 후퇴시키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것은 탄소중립에 부합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IPCC는 6차 보고서에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기후변화 완화책과 적응책을 통합하는 '기후 탄력적 개발'을 단기 대안으로 제시했다. 또 기후변화 완화·적응 재원을 현재의 3~6배로 늘리고 개발도상국에 재정·기술 지원 등 국제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산업계가 책임지고 탄소중립 앞장서야 이 의장은 한국 정부가 최근 발표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대해 "한국은 산업계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라며 “따라서 (당사자인 산업계에서) 기술적인 문제만 해결한다면 다른 나라보다 탄소중립에 앞서갈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기술 개발 능력은 세계가 감탄할 수준으로 탄소중립 달성에 가장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확신한다"라고 덧붙였다. 이 의장은 정부가 원전 비중을 높이려는 것과 관련해선 "상황에 따라 각국이 추구하는 정책이 달라질 수 밖에 없기에 IPCC는 기술과 정책에 대해 중립적"이라면서 즉답을 피했다. 다만  "원전을 강조하든 수소를 강조하든 탄소 배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 기본적으로 용납이 된다"면서 "어떤 에너지믹스로든 2050년 때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각국이 앞다퉈 봉쇄조치를 시행하자 지난해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CO₂)의 전 세계 배출량은 5.4% 감소하는 효과를 누렸다. 하지만 올해 경제활동이 재개되면서 CO₂ 배출량이 팬데믹 이전이자 역대 최대 수준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현지시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적하는 국제 연구 단체인 글로벌탄소프로젝트(GCP)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CO₂ 배출량은 작년보다 4.9%까지 증가한 36.4기가톤(GT)에 이르러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수준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CO₂ 배출량, 작년보다 4.9% 증가 전망 GCP는 석유가 타면서 나오는 CO₂는 2019년 때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더라도 석탄과 가스를 태울 때 나오는 CO₂는 작년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오슬로에 소재한 국제기후연구센터(CICR)의 글렌 피터스 박스는 “작년에만 해도 본인을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이 향후 몇 년 동안 CO₂ 배출량이 꾸준히 조금씩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지 올해처럼 이렇게 크게 늘 거라고 예상하지는 못했다”면서 “이렇게 갑자기 배출량이 늘었다는 사실이 놀랍고, 앞으로 더 늘어날까 봐 걱정된다”라고 말했다. 미 스탠퍼드대학의 지구시스템과학과의 로버트 잭슨 교수 역시 "CO₂ 배출량이 고무밴드처럼 다시 튀어 올랐다"며 "이는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이듬해에 배출량이 1.5% 줄었다가 2010년에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다는 듯 다시 5% 튀어 오른 것과 똑같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GCP가 발표한 <전 세계 탄소 예산(Global Carbon Budget)> 보고서는 삼림 같은 토양 활동에서 배출되는 탄소 정보와 경제 데이터를 분석하는 94명의 저자들이 쓴 글을 모아 놓은 것이다. 지구 기온 1.5도 상승 시기 앞당겨질 수도  지난 2015년 프랑스에서 열린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는 인류가 산업화 이전 시대와 비교해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을 1.5도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에 합의했다. 그런데 GCP 보고서는 인류가 탄소 배출을 줄이지 못한다면 불과 약 11년 정도 뒤면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에 비해 1.5 상승할 가능성을 50%로 잡고 있다. 이는 2030년대 초 그와 같은 일이 일어날 것임을 시사한 최근 발표된 유엔 보고서 내용과 일치한다. 영국 이스트앵글리아 대학의 콜린 르 퀴리 교수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로 억제하려면 CO₂ 배출량이 2050년까지 넷제로 상태에 도달해야 한다”면서 “그러려면 매년 전 세계 CO₂ 배출량은 14억 톤씩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과학자들 "1.5도 상승 목표 달성 가능하다"   지난해 줄어든 CO₂ 배출량은 19억 톤이었지만, 봉쇄 조치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게 과학자들의 분석이다. 따라서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이 정도 수준으로 CO₂ 배출량을 줄인다는 게 쉽지 않을 수 있다. 그래도 과학자들은 가능한 목표라며 희망을 잃지 않고 있다. 보고서 공동저자인 엑서터 대학의 피에르 프리딩스타인은 “개인적으로 1.5도 목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보지만, 기다리는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도달하기 힘들 것”이라며 “즉각적인 감축 조치가 시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르 퀴리 교수 역시 “매년 14억 톤의 CO₂ 를 감축한다는 건 사실 아주 거창한 목표인 건 맞다”면서도 “하지만 우리 모두가 노력하면 달성 가능한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최대한 기후변화를 제한하면 1.5도는 유지할 수 있는 목표”라고 덧붙였다. 중국 CO₂ 배출량 계속 늘어나  GCP는 무엇보다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의 경우 올해 CO₂ 배출량은 11GT에 달해 2019년에 비해 5.5%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전 세계 CO₂ 배출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이 팬데믹으로 주춤했던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석탄발전소의 가동을 부쩍 늘리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 세계 3위인 인도 역시 올해 CO₂ 배출량이 2019년보다 4.4%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 인도는 금주 열린 COP26에서 2070년까지 넷제로 달성을 선언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앞으로 5년 중 적어도 1년은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시기(1850∼1900년)보다 1.5도 이상 올라갈 가능성이 약 40% 정도며, 이 같은 확률은 앞으로 내려가기는커녕 계속해서 올라갈 것이라고 27일 세계기상기구(WMO)가 경고했다. 이와 같은 기온 상승이 비록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더라도, 이 예상대로라면 2015년 열린 파리협정 서명에 참여한 세계 정상들이 했던 "21세기 안에 지구 온난화를 1.5도이내로 제한하자"는 약속을 지킬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커진 게 된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성명을 통해 "기후변화에 관한 파리협정의 목표치에 점점 더 다가서고 있다"면서 "세계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약속을 서둘러 이행해야 한다는 걸 보여주는 또 다른 경고 신호가 나온 셈"이라고 말했다. 지난해는 역대 가장 따뜻했던 2016년과 마찬가지로 전 세계 기온이 산업화 이전 기온보다 1.2도 높았다. 지난 7년은 기온 집계가 시작된 기간 중 가장 따뜻한 기간이었는데, 이는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인류가 유발한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악천후가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이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향후 지구 기온 계속해서 상승 예상  WMO 예상에 따르면, 향후 5년 동안의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더 따뜻한 해가 1년으로 그칠 가능성이 크지만, 그렇다고 해서 5년 동안 기온이 최근의 기록적 기온보다 낮아질 걸로 예상되는 것도 아니다. WMO는 5년 동안 매년 평균 기온은 최소 1도 이상 더워지고, 2021~2025년 사이에 적어도 1년은 2016년보다 더 더울 확률이 90%에 이를 걸로 추정했다. 탈라스 총장은 "기온 상승은 단순한 통계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면서 "그것이 식량안보, 건강, 환경 및 지속가능한 개발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뜻"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와 별도로 우리 기상청은 이날 발표한 '동아시아 지역 미래 극한기후 변화 분석 결과'란 자료를 통해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상승하는 시기를 2028∼2034년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기상청은 산업화 이전 시기보다 기온이 1.5도 높아지는 때는 2028∼2034년, 2.0도 상승하는 시기는 2041∼2053년으로 전망했다.  2018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서 발간한 '지구 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에서는 1.5도 상승이 이뤄지는 시기를 2030∼2052년으로 예상한 바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유엔기후변화 협약에 서명한 192개국의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고려하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16% 증가하고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2.7℃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사무국은(UNFCCC) 최근 상향조정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종합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NDC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간 단계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한 것이다. 다음 주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10월 현재까지 143개국이 새로 NDC를 정하거나 상향조정했다. 보고서는 이를 종합한 결과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은 2010년 대비 9% 정도 감축될 것으로 추정했다. 또 71개국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논의하고 있어 NDC를 상향하거나 새로 정한 나라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한 나라의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 대비 8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기후변화협약에 참여한 192개국 전체의 NDC를 고려하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렇게 되면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2.7℃ 상승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파리기후협약은 되돌릴 수 없는 수준의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205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정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지구 온도 상승 억제 목표치 달성이 요원하다는 얘기다. 패트리시아 에스피노자 UNFCCC 사무총장은 기후변화협약 참여국은 파리협약이 정한 목표 달성을 위해 “반드시 긴급하게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배가해야 한다”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불안정한 세계가 도래하고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소흘한 나라를 포함해 (모든 나라가) 끝이 없는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 따르면 지구 온도 상승을 1.5℃로 억제하려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5% 감축해야 하고 2℃ 이하로 억제하려면 온실가스를 25% 감축해야 한다. UNFCCC 보고서는 2030년까지 이 정도의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지 못하면 그 이후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더 큰 비용을 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4620
환경·사회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올해도 늘어…기후변화 대응 연대는 공염불?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medium
5-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유엔기후변화 협약에 서명한 192개국의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고려하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16% 증가하고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2.7℃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사무국은(UNFCCC) 최근 상향조정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종합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NDC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간 단계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한 것이다. 다음 주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10월 현재까지 143개국이 새로 NDC를 정하거나 상향조정했다. 보고서는 이를 종합한 결과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은 2010년 대비 9% 정도 감축될 것으로 추정했다. 또 71개국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논의하고 있어 NDC를 상향하거나 새로 정한 나라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한 나라의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 대비 8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기후변화협약에 참여한 192개국 전체의 NDC를 고려하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렇게 되면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2.7℃ 상승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파리기후협약은 되돌릴 수 없는 수준의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205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정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지구 온도 상승 억제 목표치 달성이 요원하다는 얘기다. 패트리시아 에스피노자 UNFCCC 사무총장은 기후변화협약 참여국은 파리협약이 정한 목표 달성을 위해 “반드시 긴급하게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배가해야 한다”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불안정한 세계가 도래하고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소흘한 나라를 포함해 (모든 나라가) 끝이 없는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 따르면 지구 온도 상승을 1.5℃로 억제하려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5% 감축해야 하고 2℃ 이하로 억제하려면 온실가스를 25% 감축해야 한다. UNFCCC 보고서는 2030년까지 이 정도의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지 못하면 그 이후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더 큰 비용을 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앞으로 5년 중 적어도 1년은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시기(1850∼1900년)보다 1.5도 이상 올라갈 가능성이 약 40% 정도며, 이 같은 확률은 앞으로 내려가기는커녕 계속해서 올라갈 것이라고 27일 세계기상기구(WMO)가 경고했다. 이와 같은 기온 상승이 비록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더라도, 이 예상대로라면 2015년 열린 파리협정 서명에 참여한 세계 정상들이 했던 "21세기 안에 지구 온난화를 1.5도이내로 제한하자"는 약속을 지킬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커진 게 된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성명을 통해 "기후변화에 관한 파리협정의 목표치에 점점 더 다가서고 있다"면서 "세계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약속을 서둘러 이행해야 한다는 걸 보여주는 또 다른 경고 신호가 나온 셈"이라고 말했다. 지난해는 역대 가장 따뜻했던 2016년과 마찬가지로 전 세계 기온이 산업화 이전 기온보다 1.2도 높았다. 지난 7년은 기온 집계가 시작된 기간 중 가장 따뜻한 기간이었는데, 이는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인류가 유발한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악천후가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이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향후 지구 기온 계속해서 상승 예상  WMO 예상에 따르면, 향후 5년 동안의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더 따뜻한 해가 1년으로 그칠 가능성이 크지만, 그렇다고 해서 5년 동안 기온이 최근의 기록적 기온보다 낮아질 걸로 예상되는 것도 아니다. WMO는 5년 동안 매년 평균 기온은 최소 1도 이상 더워지고, 2021~2025년 사이에 적어도 1년은 2016년보다 더 더울 확률이 90%에 이를 걸로 추정했다. 탈라스 총장은 "기온 상승은 단순한 통계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면서 "그것이 식량안보, 건강, 환경 및 지속가능한 개발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뜻"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와 별도로 우리 기상청은 이날 발표한 '동아시아 지역 미래 극한기후 변화 분석 결과'란 자료를 통해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상승하는 시기를 2028∼2034년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기상청은 산업화 이전 시기보다 기온이 1.5도 높아지는 때는 2028∼2034년, 2.0도 상승하는 시기는 2041∼2053년으로 전망했다.  2018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서 발간한 '지구 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에서는 1.5도 상승이 이뤄지는 시기를 2030∼2052년으로 예상한 바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각국이 앞다퉈 봉쇄조치를 시행하자 지난해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CO₂)의 전 세계 배출량은 5.4% 감소하는 효과를 누렸다. 하지만 올해 경제활동이 재개되면서 CO₂ 배출량이 팬데믹 이전이자 역대 최대 수준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현지시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적하는 국제 연구 단체인 글로벌탄소프로젝트(GCP)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CO₂ 배출량은 작년보다 4.9%까지 증가한 36.4기가톤(GT)에 이르러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수준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CO₂ 배출량, 작년보다 4.9% 증가 전망 GCP는 석유가 타면서 나오는 CO₂는 2019년 때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더라도 석탄과 가스를 태울 때 나오는 CO₂는 작년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오슬로에 소재한 국제기후연구센터(CICR)의 글렌 피터스 박스는 “작년에만 해도 본인을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이 향후 몇 년 동안 CO₂ 배출량이 꾸준히 조금씩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지 올해처럼 이렇게 크게 늘 거라고 예상하지는 못했다”면서 “이렇게 갑자기 배출량이 늘었다는 사실이 놀랍고, 앞으로 더 늘어날까 봐 걱정된다”라고 말했다. 미 스탠퍼드대학의 지구시스템과학과의 로버트 잭슨 교수 역시 "CO₂ 배출량이 고무밴드처럼 다시 튀어 올랐다"며 "이는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이듬해에 배출량이 1.5% 줄었다가 2010년에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다는 듯 다시 5% 튀어 오른 것과 똑같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GCP가 발표한 <전 세계 탄소 예산(Global Carbon Budget)> 보고서는 삼림 같은 토양 활동에서 배출되는 탄소 정보와 경제 데이터를 분석하는 94명의 저자들이 쓴 글을 모아 놓은 것이다. 지구 기온 1.5도 상승 시기 앞당겨질 수도  지난 2015년 프랑스에서 열린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는 인류가 산업화 이전 시대와 비교해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을 1.5도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에 합의했다. 그런데 GCP 보고서는 인류가 탄소 배출을 줄이지 못한다면 불과 약 11년 정도 뒤면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에 비해 1.5 상승할 가능성을 50%로 잡고 있다. 이는 2030년대 초 그와 같은 일이 일어날 것임을 시사한 최근 발표된 유엔 보고서 내용과 일치한다. 영국 이스트앵글리아 대학의 콜린 르 퀴리 교수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로 억제하려면 CO₂ 배출량이 2050년까지 넷제로 상태에 도달해야 한다”면서 “그러려면 매년 전 세계 CO₂ 배출량은 14억 톤씩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과학자들 "1.5도 상승 목표 달성 가능하다"   지난해 줄어든 CO₂ 배출량은 19억 톤이었지만, 봉쇄 조치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게 과학자들의 분석이다. 따라서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이 정도 수준으로 CO₂ 배출량을 줄인다는 게 쉽지 않을 수 있다. 그래도 과학자들은 가능한 목표라며 희망을 잃지 않고 있다. 보고서 공동저자인 엑서터 대학의 피에르 프리딩스타인은 “개인적으로 1.5도 목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보지만, 기다리는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도달하기 힘들 것”이라며 “즉각적인 감축 조치가 시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르 퀴리 교수 역시 “매년 14억 톤의 CO₂ 를 감축한다는 건 사실 아주 거창한 목표인 건 맞다”면서도 “하지만 우리 모두가 노력하면 달성 가능한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최대한 기후변화를 제한하면 1.5도는 유지할 수 있는 목표”라고 덧붙였다. 중국 CO₂ 배출량 계속 늘어나  GCP는 무엇보다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의 경우 올해 CO₂ 배출량은 11GT에 달해 2019년에 비해 5.5%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전 세계 CO₂ 배출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이 팬데믹으로 주춤했던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석탄발전소의 가동을 부쩍 늘리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 세계 3위인 인도 역시 올해 CO₂ 배출량이 2019년보다 4.4%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 인도는 금주 열린 COP26에서 2070년까지 넷제로 달성을 선언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이회성 의장은 "산업계 탄소 배출량이 많은 한국은 기술 문제만 해결하면 어느 나라보다 탄소중립 달성에 앞서갈 유리한 위치에 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2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IPCC가 최근 내놓은 제6차 평가보고서 종합보고서(6차 보고서)의 시사점을 설명하는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6차 보고서에는 2011~2020년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전인 1850~1900년보다 1.1도 상승했고,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표면온도 상승 폭이 향후 20년 안에 1.5도를 넘을 것이라는 경고가 담겼다. 특히 보고서는 각국이 현재까지 내놓은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로는 지구 온도 상승 폭 1.5도 제한이 불가능한 것은 물론 2.0도 제한도 어렵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해 이 의장은 '산업화 이전 대비 1.1도 상승'은 '이변'이라고 단언했다. 짧은 기간 이런 폭의 온도 상승도 이런 표현을 쓸 정도로 이례적이라는 것이다. 그는 "과거에도 (지구 온도가) 1.1도 오르는 경우가 많이 있었지만, 그 땐 온도 상승에 걸린 시간이 2만~3만년이었다"면서 "지구 온도가 올라가는 속도가 너무 빠른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이 의장은 "현 상태로 진행되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0년 내 1.5도를 넘어서는 것은 불가피하고 극한의 기상이변 현상이 잦아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5차 보고서까지만 해도 기상이변에 대해 '인간에 의한 기후변화가 있으나 그 범위는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정도였다면 과학기법의 발달로 6차 보고서에는 '인간에 의한 기후변화를 빼놓고는 기상이변을 설명할 수 없다'라고 할 정도로 진일보했다"라고 덧붙였다. 지구 온도 상승 '뜨거운 맛' 본 뒤 바빠질 것 이 의장은 지구 온도 상승 폭이 일시적으로 1.5도를 넘어서는 '오버슈트'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면서 "기온이 상승해서 '뜨거운 맛'을 본 다음에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저장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줄여 온도 상승 폭을 낮추는 시나리오가 반드시 올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각국이 '2050년 탄소중립(넷제로)'을 약속하고 있지만, 그간 탄소 배출량이 많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더 일찍 넷제로를 달성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제성장을 포기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것이 탄소중립에 부합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2050년에 탄소중립을 달성하려면 30년간 매년 7%씩 줄여야 하는데 코로나19 대유행이 한창인 2020년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7% 줄었다"면서 "하지만 2020년에 세계 경제성장률이 -3%로 경제를 3%씩 후퇴시키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것은 탄소중립에 부합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IPCC는 6차 보고서에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기후변화 완화책과 적응책을 통합하는 '기후 탄력적 개발'을 단기 대안으로 제시했다. 또 기후변화 완화·적응 재원을 현재의 3~6배로 늘리고 개발도상국에 재정·기술 지원 등 국제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산업계가 책임지고 탄소중립 앞장서야 이 의장은 한국 정부가 최근 발표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대해 "한국은 산업계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라며 “따라서 (당사자인 산업계에서) 기술적인 문제만 해결한다면 다른 나라보다 탄소중립에 앞서갈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기술 개발 능력은 세계가 감탄할 수준으로 탄소중립 달성에 가장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확신한다"라고 덧붙였다. 이 의장은 정부가 원전 비중을 높이려는 것과 관련해선 "상황에 따라 각국이 추구하는 정책이 달라질 수 밖에 없기에 IPCC는 기술과 정책에 대해 중립적"이라면서 즉답을 피했다. 다만  "원전을 강조하든 수소를 강조하든 탄소 배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 기본적으로 용납이 된다"면서 "어떤 에너지믹스로든 2050년 때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올해 들어 지구의 기온과 해수 온도가 산업화 이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남극 빙하 규모는 역대 최저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유럽의 기온은 지구 평균의 2배 가까이 올랐다. 인간이 기온을 측정한 이후 기후 지표가 최고치나 최저치를 마구 경신하고 있는 셈이다. 미 CNN 방송은 기후위기를 보여주는 4가지 지표를 골라 19일(현지시간) 소개했다. 유럽연합(EU)의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3S)는 지난 1∼11일의 지구 평균 기온이 역대 같은 기간 대비 최고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이 기관에 따르면 6월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1.5도 넘게 오른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미 기상청(NWS)에 따르면 중미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최근 체감 기온이 48.9(화씨 120도)도 넘게 치솟는 폭염을 기록했다. 미국 텍사스와 루이지애나, 인도 등지에서도 예년에 경험하지 못한 무더위로 온열질환 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주요 도시에서는 지난달 14일 기온이 섭씨 36도를 기록해 역대 5월 최고 기록을 썼다. 그 결과 도처에 산불이 일어나 아직도 상당 지역 타고 있다. 해수면 온도 최고치 경신...2016년 넘어 올해 가장 무더운 해 될듯 지구 해수면 온도는 지난 3월부터 이례적으로 오르기 시작해 현재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 중이다. CNN이 메인대학교 기후변화연구소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해수면 평균 온도는 지난 3월 13일 20.96도로 이전까지 가장 높았던 2016년과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4월 2일에는 21.05도로 올해 최고치를 찍었다. 이후 소폭 내렸으나 14일 20.87도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 같은 날의 20.64도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전까지는 엘니뇨와 온실가스 효과가 동시에 나타난 2016년이 가장 더웠던 해로 기록됐다. 올해는 엘니뇨가 더 심각하게 나타나면서 기후 재해가 빈발할 수 있다고 기후학자들은 우려한다. 남극 대륙의 해빙(sea ice) 규모도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에 따르면 2월 2일 남극 해빙의 범위는 179만㎢로, 1979년 위성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줄었다. 이는 지난해 2월 25일의 최저치보다 13만㎢ 적었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사상 최고치 ...지구온난화의 주범 화석 연료를 태울 때 대기 중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힌다.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과 캘리포니아대학교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424ppm으로 사상 최고였다. 이 정도의 이산화탄소 수치는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하면 50% 이상 높은 수준이라고 NOAA는 설명했다. 한편 세계기상기구(WMO)가 19일(현지시간) 발간한 기후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1800년대 중반 이후로 작년까지 세계 평균 기온은 1.2도 상승했다. 같은 시기에 유럽의 기온 상승 폭은 2.3도로 지구 평균의 2배였다. 보고서는 "유럽 대륙은 지난해 기록상 가장 더운 여름을 보냈고 프랑스와 독일,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영국을 포함한 여러 유럽 국가가 역사상 가장 더운 한 해를 경험했다"고 전했다. 유럽의 온난화는 최근 더욱 빨라져 1991년부터 2021년까지 유럽 전체의 기온은 1.5도 상승했다. 1800년대 이후의 유럽의 기온 상승 폭 가운데 최근 30년이 차지하는 부분이 65%를 넘어선 셈이다. 보고서는 "유럽의 극심한 더위로 지난해 1만6,000명 넘는 사람이 사망했고 홍수 등 극한적인 기후로 20억 달러(2조5,600억여원) 가량의 경제적 피해를 유발했다"면서 "안타깝게도 이는 일회성 기후 이변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4620
환경·사회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올해도 늘어…기후변화 대응 연대는 공염불?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medium
5-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올해 들어 지구의 기온과 해수 온도가 산업화 이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남극 빙하 규모는 역대 최저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유럽의 기온은 지구 평균의 2배 가까이 올랐다. 인간이 기온을 측정한 이후 기후 지표가 최고치나 최저치를 마구 경신하고 있는 셈이다. 미 CNN 방송은 기후위기를 보여주는 4가지 지표를 골라 19일(현지시간) 소개했다. 유럽연합(EU)의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3S)는 지난 1∼11일의 지구 평균 기온이 역대 같은 기간 대비 최고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이 기관에 따르면 6월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1.5도 넘게 오른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미 기상청(NWS)에 따르면 중미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최근 체감 기온이 48.9(화씨 120도)도 넘게 치솟는 폭염을 기록했다. 미국 텍사스와 루이지애나, 인도 등지에서도 예년에 경험하지 못한 무더위로 온열질환 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주요 도시에서는 지난달 14일 기온이 섭씨 36도를 기록해 역대 5월 최고 기록을 썼다. 그 결과 도처에 산불이 일어나 아직도 상당 지역 타고 있다. 해수면 온도 최고치 경신...2016년 넘어 올해 가장 무더운 해 될듯 지구 해수면 온도는 지난 3월부터 이례적으로 오르기 시작해 현재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 중이다. CNN이 메인대학교 기후변화연구소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해수면 평균 온도는 지난 3월 13일 20.96도로 이전까지 가장 높았던 2016년과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4월 2일에는 21.05도로 올해 최고치를 찍었다. 이후 소폭 내렸으나 14일 20.87도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 같은 날의 20.64도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전까지는 엘니뇨와 온실가스 효과가 동시에 나타난 2016년이 가장 더웠던 해로 기록됐다. 올해는 엘니뇨가 더 심각하게 나타나면서 기후 재해가 빈발할 수 있다고 기후학자들은 우려한다. 남극 대륙의 해빙(sea ice) 규모도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에 따르면 2월 2일 남극 해빙의 범위는 179만㎢로, 1979년 위성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줄었다. 이는 지난해 2월 25일의 최저치보다 13만㎢ 적었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사상 최고치 ...지구온난화의 주범 화석 연료를 태울 때 대기 중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힌다.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과 캘리포니아대학교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424ppm으로 사상 최고였다. 이 정도의 이산화탄소 수치는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하면 50% 이상 높은 수준이라고 NOAA는 설명했다. 한편 세계기상기구(WMO)가 19일(현지시간) 발간한 기후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1800년대 중반 이후로 작년까지 세계 평균 기온은 1.2도 상승했다. 같은 시기에 유럽의 기온 상승 폭은 2.3도로 지구 평균의 2배였다. 보고서는 "유럽 대륙은 지난해 기록상 가장 더운 여름을 보냈고 프랑스와 독일,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영국을 포함한 여러 유럽 국가가 역사상 가장 더운 한 해를 경험했다"고 전했다. 유럽의 온난화는 최근 더욱 빨라져 1991년부터 2021년까지 유럽 전체의 기온은 1.5도 상승했다. 1800년대 이후의 유럽의 기온 상승 폭 가운데 최근 30년이 차지하는 부분이 65%를 넘어선 셈이다. 보고서는 "유럽의 극심한 더위로 지난해 1만6,000명 넘는 사람이 사망했고 홍수 등 극한적인 기후로 20억 달러(2조5,600억여원) 가량의 경제적 피해를 유발했다"면서 "안타깝게도 이는 일회성 기후 이변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이회성 의장은 "산업계 탄소 배출량이 많은 한국은 기술 문제만 해결하면 어느 나라보다 탄소중립 달성에 앞서갈 유리한 위치에 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2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IPCC가 최근 내놓은 제6차 평가보고서 종합보고서(6차 보고서)의 시사점을 설명하는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6차 보고서에는 2011~2020년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전인 1850~1900년보다 1.1도 상승했고,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표면온도 상승 폭이 향후 20년 안에 1.5도를 넘을 것이라는 경고가 담겼다. 특히 보고서는 각국이 현재까지 내놓은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로는 지구 온도 상승 폭 1.5도 제한이 불가능한 것은 물론 2.0도 제한도 어렵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해 이 의장은 '산업화 이전 대비 1.1도 상승'은 '이변'이라고 단언했다. 짧은 기간 이런 폭의 온도 상승도 이런 표현을 쓸 정도로 이례적이라는 것이다. 그는 "과거에도 (지구 온도가) 1.1도 오르는 경우가 많이 있었지만, 그 땐 온도 상승에 걸린 시간이 2만~3만년이었다"면서 "지구 온도가 올라가는 속도가 너무 빠른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이 의장은 "현 상태로 진행되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0년 내 1.5도를 넘어서는 것은 불가피하고 극한의 기상이변 현상이 잦아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5차 보고서까지만 해도 기상이변에 대해 '인간에 의한 기후변화가 있으나 그 범위는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정도였다면 과학기법의 발달로 6차 보고서에는 '인간에 의한 기후변화를 빼놓고는 기상이변을 설명할 수 없다'라고 할 정도로 진일보했다"라고 덧붙였다. 지구 온도 상승 '뜨거운 맛' 본 뒤 바빠질 것 이 의장은 지구 온도 상승 폭이 일시적으로 1.5도를 넘어서는 '오버슈트'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면서 "기온이 상승해서 '뜨거운 맛'을 본 다음에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저장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줄여 온도 상승 폭을 낮추는 시나리오가 반드시 올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각국이 '2050년 탄소중립(넷제로)'을 약속하고 있지만, 그간 탄소 배출량이 많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더 일찍 넷제로를 달성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제성장을 포기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것이 탄소중립에 부합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2050년에 탄소중립을 달성하려면 30년간 매년 7%씩 줄여야 하는데 코로나19 대유행이 한창인 2020년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7% 줄었다"면서 "하지만 2020년에 세계 경제성장률이 -3%로 경제를 3%씩 후퇴시키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것은 탄소중립에 부합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IPCC는 6차 보고서에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기후변화 완화책과 적응책을 통합하는 '기후 탄력적 개발'을 단기 대안으로 제시했다. 또 기후변화 완화·적응 재원을 현재의 3~6배로 늘리고 개발도상국에 재정·기술 지원 등 국제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산업계가 책임지고 탄소중립 앞장서야 이 의장은 한국 정부가 최근 발표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대해 "한국은 산업계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라며 “따라서 (당사자인 산업계에서) 기술적인 문제만 해결한다면 다른 나라보다 탄소중립에 앞서갈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기술 개발 능력은 세계가 감탄할 수준으로 탄소중립 달성에 가장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확신한다"라고 덧붙였다. 이 의장은 정부가 원전 비중을 높이려는 것과 관련해선 "상황에 따라 각국이 추구하는 정책이 달라질 수 밖에 없기에 IPCC는 기술과 정책에 대해 중립적"이라면서 즉답을 피했다. 다만  "원전을 강조하든 수소를 강조하든 탄소 배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 기본적으로 용납이 된다"면서 "어떤 에너지믹스로든 2050년 때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각국이 앞다퉈 봉쇄조치를 시행하자 지난해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CO₂)의 전 세계 배출량은 5.4% 감소하는 효과를 누렸다. 하지만 올해 경제활동이 재개되면서 CO₂ 배출량이 팬데믹 이전이자 역대 최대 수준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현지시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적하는 국제 연구 단체인 글로벌탄소프로젝트(GCP)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CO₂ 배출량은 작년보다 4.9%까지 증가한 36.4기가톤(GT)에 이르러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수준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CO₂ 배출량, 작년보다 4.9% 증가 전망 GCP는 석유가 타면서 나오는 CO₂는 2019년 때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더라도 석탄과 가스를 태울 때 나오는 CO₂는 작년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오슬로에 소재한 국제기후연구센터(CICR)의 글렌 피터스 박스는 “작년에만 해도 본인을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이 향후 몇 년 동안 CO₂ 배출량이 꾸준히 조금씩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지 올해처럼 이렇게 크게 늘 거라고 예상하지는 못했다”면서 “이렇게 갑자기 배출량이 늘었다는 사실이 놀랍고, 앞으로 더 늘어날까 봐 걱정된다”라고 말했다. 미 스탠퍼드대학의 지구시스템과학과의 로버트 잭슨 교수 역시 "CO₂ 배출량이 고무밴드처럼 다시 튀어 올랐다"며 "이는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이듬해에 배출량이 1.5% 줄었다가 2010년에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다는 듯 다시 5% 튀어 오른 것과 똑같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GCP가 발표한 <전 세계 탄소 예산(Global Carbon Budget)> 보고서는 삼림 같은 토양 활동에서 배출되는 탄소 정보와 경제 데이터를 분석하는 94명의 저자들이 쓴 글을 모아 놓은 것이다. 지구 기온 1.5도 상승 시기 앞당겨질 수도  지난 2015년 프랑스에서 열린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는 인류가 산업화 이전 시대와 비교해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을 1.5도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에 합의했다. 그런데 GCP 보고서는 인류가 탄소 배출을 줄이지 못한다면 불과 약 11년 정도 뒤면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에 비해 1.5 상승할 가능성을 50%로 잡고 있다. 이는 2030년대 초 그와 같은 일이 일어날 것임을 시사한 최근 발표된 유엔 보고서 내용과 일치한다. 영국 이스트앵글리아 대학의 콜린 르 퀴리 교수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로 억제하려면 CO₂ 배출량이 2050년까지 넷제로 상태에 도달해야 한다”면서 “그러려면 매년 전 세계 CO₂ 배출량은 14억 톤씩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과학자들 "1.5도 상승 목표 달성 가능하다"   지난해 줄어든 CO₂ 배출량은 19억 톤이었지만, 봉쇄 조치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게 과학자들의 분석이다. 따라서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이 정도 수준으로 CO₂ 배출량을 줄인다는 게 쉽지 않을 수 있다. 그래도 과학자들은 가능한 목표라며 희망을 잃지 않고 있다. 보고서 공동저자인 엑서터 대학의 피에르 프리딩스타인은 “개인적으로 1.5도 목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보지만, 기다리는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도달하기 힘들 것”이라며 “즉각적인 감축 조치가 시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르 퀴리 교수 역시 “매년 14억 톤의 CO₂ 를 감축한다는 건 사실 아주 거창한 목표인 건 맞다”면서도 “하지만 우리 모두가 노력하면 달성 가능한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최대한 기후변화를 제한하면 1.5도는 유지할 수 있는 목표”라고 덧붙였다. 중국 CO₂ 배출량 계속 늘어나  GCP는 무엇보다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의 경우 올해 CO₂ 배출량은 11GT에 달해 2019년에 비해 5.5%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전 세계 CO₂ 배출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이 팬데믹으로 주춤했던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석탄발전소의 가동을 부쩍 늘리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 세계 3위인 인도 역시 올해 CO₂ 배출량이 2019년보다 4.4%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 인도는 금주 열린 COP26에서 2070년까지 넷제로 달성을 선언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앞으로 5년 중 적어도 1년은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시기(1850∼1900년)보다 1.5도 이상 올라갈 가능성이 약 40% 정도며, 이 같은 확률은 앞으로 내려가기는커녕 계속해서 올라갈 것이라고 27일 세계기상기구(WMO)가 경고했다. 이와 같은 기온 상승이 비록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더라도, 이 예상대로라면 2015년 열린 파리협정 서명에 참여한 세계 정상들이 했던 "21세기 안에 지구 온난화를 1.5도이내로 제한하자"는 약속을 지킬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커진 게 된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성명을 통해 "기후변화에 관한 파리협정의 목표치에 점점 더 다가서고 있다"면서 "세계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약속을 서둘러 이행해야 한다는 걸 보여주는 또 다른 경고 신호가 나온 셈"이라고 말했다. 지난해는 역대 가장 따뜻했던 2016년과 마찬가지로 전 세계 기온이 산업화 이전 기온보다 1.2도 높았다. 지난 7년은 기온 집계가 시작된 기간 중 가장 따뜻한 기간이었는데, 이는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인류가 유발한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악천후가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이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향후 지구 기온 계속해서 상승 예상  WMO 예상에 따르면, 향후 5년 동안의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더 따뜻한 해가 1년으로 그칠 가능성이 크지만, 그렇다고 해서 5년 동안 기온이 최근의 기록적 기온보다 낮아질 걸로 예상되는 것도 아니다. WMO는 5년 동안 매년 평균 기온은 최소 1도 이상 더워지고, 2021~2025년 사이에 적어도 1년은 2016년보다 더 더울 확률이 90%에 이를 걸로 추정했다. 탈라스 총장은 "기온 상승은 단순한 통계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면서 "그것이 식량안보, 건강, 환경 및 지속가능한 개발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뜻"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와 별도로 우리 기상청은 이날 발표한 '동아시아 지역 미래 극한기후 변화 분석 결과'란 자료를 통해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상승하는 시기를 2028∼2034년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기상청은 산업화 이전 시기보다 기온이 1.5도 높아지는 때는 2028∼2034년, 2.0도 상승하는 시기는 2041∼2053년으로 전망했다.  2018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서 발간한 '지구 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에서는 1.5도 상승이 이뤄지는 시기를 2030∼2052년으로 예상한 바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유엔기후변화 협약에 서명한 192개국의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고려하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16% 증가하고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2.7℃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사무국은(UNFCCC) 최근 상향조정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종합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NDC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간 단계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한 것이다. 다음 주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10월 현재까지 143개국이 새로 NDC를 정하거나 상향조정했다. 보고서는 이를 종합한 결과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은 2010년 대비 9% 정도 감축될 것으로 추정했다. 또 71개국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논의하고 있어 NDC를 상향하거나 새로 정한 나라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한 나라의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 대비 8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기후변화협약에 참여한 192개국 전체의 NDC를 고려하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렇게 되면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2.7℃ 상승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파리기후협약은 되돌릴 수 없는 수준의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205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정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지구 온도 상승 억제 목표치 달성이 요원하다는 얘기다. 패트리시아 에스피노자 UNFCCC 사무총장은 기후변화협약 참여국은 파리협약이 정한 목표 달성을 위해 “반드시 긴급하게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배가해야 한다”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불안정한 세계가 도래하고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소흘한 나라를 포함해 (모든 나라가) 끝이 없는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 따르면 지구 온도 상승을 1.5℃로 억제하려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5% 감축해야 하고 2℃ 이하로 억제하려면 온실가스를 25% 감축해야 한다. UNFCCC 보고서는 2030년까지 이 정도의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지 못하면 그 이후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더 큰 비용을 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4620
환경·사회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올해도 늘어…기후변화 대응 연대는 공염불?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medium
5-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유엔기후변화 협약에 서명한 192개국의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고려하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16% 증가하고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2.7℃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사무국은(UNFCCC) 최근 상향조정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종합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NDC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간 단계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한 것이다. 다음 주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10월 현재까지 143개국이 새로 NDC를 정하거나 상향조정했다. 보고서는 이를 종합한 결과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은 2010년 대비 9% 정도 감축될 것으로 추정했다. 또 71개국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논의하고 있어 NDC를 상향하거나 새로 정한 나라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한 나라의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 대비 8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기후변화협약에 참여한 192개국 전체의 NDC를 고려하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렇게 되면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2.7℃ 상승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파리기후협약은 되돌릴 수 없는 수준의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205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정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지구 온도 상승 억제 목표치 달성이 요원하다는 얘기다. 패트리시아 에스피노자 UNFCCC 사무총장은 기후변화협약 참여국은 파리협약이 정한 목표 달성을 위해 “반드시 긴급하게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배가해야 한다”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불안정한 세계가 도래하고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소흘한 나라를 포함해 (모든 나라가) 끝이 없는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 따르면 지구 온도 상승을 1.5℃로 억제하려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5% 감축해야 하고 2℃ 이하로 억제하려면 온실가스를 25% 감축해야 한다. UNFCCC 보고서는 2030년까지 이 정도의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지 못하면 그 이후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더 큰 비용을 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앞으로 5년 중 적어도 1년은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시기(1850∼1900년)보다 1.5도 이상 올라갈 가능성이 약 40% 정도며, 이 같은 확률은 앞으로 내려가기는커녕 계속해서 올라갈 것이라고 27일 세계기상기구(WMO)가 경고했다. 이와 같은 기온 상승이 비록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더라도, 이 예상대로라면 2015년 열린 파리협정 서명에 참여한 세계 정상들이 했던 "21세기 안에 지구 온난화를 1.5도이내로 제한하자"는 약속을 지킬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커진 게 된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성명을 통해 "기후변화에 관한 파리협정의 목표치에 점점 더 다가서고 있다"면서 "세계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약속을 서둘러 이행해야 한다는 걸 보여주는 또 다른 경고 신호가 나온 셈"이라고 말했다. 지난해는 역대 가장 따뜻했던 2016년과 마찬가지로 전 세계 기온이 산업화 이전 기온보다 1.2도 높았다. 지난 7년은 기온 집계가 시작된 기간 중 가장 따뜻한 기간이었는데, 이는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인류가 유발한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악천후가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이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향후 지구 기온 계속해서 상승 예상  WMO 예상에 따르면, 향후 5년 동안의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더 따뜻한 해가 1년으로 그칠 가능성이 크지만, 그렇다고 해서 5년 동안 기온이 최근의 기록적 기온보다 낮아질 걸로 예상되는 것도 아니다. WMO는 5년 동안 매년 평균 기온은 최소 1도 이상 더워지고, 2021~2025년 사이에 적어도 1년은 2016년보다 더 더울 확률이 90%에 이를 걸로 추정했다. 탈라스 총장은 "기온 상승은 단순한 통계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면서 "그것이 식량안보, 건강, 환경 및 지속가능한 개발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뜻"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와 별도로 우리 기상청은 이날 발표한 '동아시아 지역 미래 극한기후 변화 분석 결과'란 자료를 통해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상승하는 시기를 2028∼2034년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기상청은 산업화 이전 시기보다 기온이 1.5도 높아지는 때는 2028∼2034년, 2.0도 상승하는 시기는 2041∼2053년으로 전망했다.  2018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서 발간한 '지구 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에서는 1.5도 상승이 이뤄지는 시기를 2030∼2052년으로 예상한 바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각국이 앞다퉈 봉쇄조치를 시행하자 지난해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CO₂)의 전 세계 배출량은 5.4% 감소하는 효과를 누렸다. 하지만 올해 경제활동이 재개되면서 CO₂ 배출량이 팬데믹 이전이자 역대 최대 수준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현지시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적하는 국제 연구 단체인 글로벌탄소프로젝트(GCP)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CO₂ 배출량은 작년보다 4.9%까지 증가한 36.4기가톤(GT)에 이르러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수준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CO₂ 배출량, 작년보다 4.9% 증가 전망 GCP는 석유가 타면서 나오는 CO₂는 2019년 때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더라도 석탄과 가스를 태울 때 나오는 CO₂는 작년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오슬로에 소재한 국제기후연구센터(CICR)의 글렌 피터스 박스는 “작년에만 해도 본인을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이 향후 몇 년 동안 CO₂ 배출량이 꾸준히 조금씩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지 올해처럼 이렇게 크게 늘 거라고 예상하지는 못했다”면서 “이렇게 갑자기 배출량이 늘었다는 사실이 놀랍고, 앞으로 더 늘어날까 봐 걱정된다”라고 말했다. 미 스탠퍼드대학의 지구시스템과학과의 로버트 잭슨 교수 역시 "CO₂ 배출량이 고무밴드처럼 다시 튀어 올랐다"며 "이는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이듬해에 배출량이 1.5% 줄었다가 2010년에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다는 듯 다시 5% 튀어 오른 것과 똑같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GCP가 발표한 <전 세계 탄소 예산(Global Carbon Budget)> 보고서는 삼림 같은 토양 활동에서 배출되는 탄소 정보와 경제 데이터를 분석하는 94명의 저자들이 쓴 글을 모아 놓은 것이다. 지구 기온 1.5도 상승 시기 앞당겨질 수도  지난 2015년 프랑스에서 열린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는 인류가 산업화 이전 시대와 비교해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을 1.5도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에 합의했다. 그런데 GCP 보고서는 인류가 탄소 배출을 줄이지 못한다면 불과 약 11년 정도 뒤면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에 비해 1.5 상승할 가능성을 50%로 잡고 있다. 이는 2030년대 초 그와 같은 일이 일어날 것임을 시사한 최근 발표된 유엔 보고서 내용과 일치한다. 영국 이스트앵글리아 대학의 콜린 르 퀴리 교수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로 억제하려면 CO₂ 배출량이 2050년까지 넷제로 상태에 도달해야 한다”면서 “그러려면 매년 전 세계 CO₂ 배출량은 14억 톤씩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과학자들 "1.5도 상승 목표 달성 가능하다"   지난해 줄어든 CO₂ 배출량은 19억 톤이었지만, 봉쇄 조치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게 과학자들의 분석이다. 따라서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이 정도 수준으로 CO₂ 배출량을 줄인다는 게 쉽지 않을 수 있다. 그래도 과학자들은 가능한 목표라며 희망을 잃지 않고 있다. 보고서 공동저자인 엑서터 대학의 피에르 프리딩스타인은 “개인적으로 1.5도 목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보지만, 기다리는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도달하기 힘들 것”이라며 “즉각적인 감축 조치가 시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르 퀴리 교수 역시 “매년 14억 톤의 CO₂ 를 감축한다는 건 사실 아주 거창한 목표인 건 맞다”면서도 “하지만 우리 모두가 노력하면 달성 가능한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최대한 기후변화를 제한하면 1.5도는 유지할 수 있는 목표”라고 덧붙였다. 중국 CO₂ 배출량 계속 늘어나  GCP는 무엇보다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의 경우 올해 CO₂ 배출량은 11GT에 달해 2019년에 비해 5.5%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전 세계 CO₂ 배출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이 팬데믹으로 주춤했던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석탄발전소의 가동을 부쩍 늘리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 세계 3위인 인도 역시 올해 CO₂ 배출량이 2019년보다 4.4%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 인도는 금주 열린 COP26에서 2070년까지 넷제로 달성을 선언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이회성 의장은 "산업계 탄소 배출량이 많은 한국은 기술 문제만 해결하면 어느 나라보다 탄소중립 달성에 앞서갈 유리한 위치에 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2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IPCC가 최근 내놓은 제6차 평가보고서 종합보고서(6차 보고서)의 시사점을 설명하는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6차 보고서에는 2011~2020년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전인 1850~1900년보다 1.1도 상승했고,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표면온도 상승 폭이 향후 20년 안에 1.5도를 넘을 것이라는 경고가 담겼다. 특히 보고서는 각국이 현재까지 내놓은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로는 지구 온도 상승 폭 1.5도 제한이 불가능한 것은 물론 2.0도 제한도 어렵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해 이 의장은 '산업화 이전 대비 1.1도 상승'은 '이변'이라고 단언했다. 짧은 기간 이런 폭의 온도 상승도 이런 표현을 쓸 정도로 이례적이라는 것이다. 그는 "과거에도 (지구 온도가) 1.1도 오르는 경우가 많이 있었지만, 그 땐 온도 상승에 걸린 시간이 2만~3만년이었다"면서 "지구 온도가 올라가는 속도가 너무 빠른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이 의장은 "현 상태로 진행되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0년 내 1.5도를 넘어서는 것은 불가피하고 극한의 기상이변 현상이 잦아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5차 보고서까지만 해도 기상이변에 대해 '인간에 의한 기후변화가 있으나 그 범위는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정도였다면 과학기법의 발달로 6차 보고서에는 '인간에 의한 기후변화를 빼놓고는 기상이변을 설명할 수 없다'라고 할 정도로 진일보했다"라고 덧붙였다. 지구 온도 상승 '뜨거운 맛' 본 뒤 바빠질 것 이 의장은 지구 온도 상승 폭이 일시적으로 1.5도를 넘어서는 '오버슈트'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면서 "기온이 상승해서 '뜨거운 맛'을 본 다음에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저장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줄여 온도 상승 폭을 낮추는 시나리오가 반드시 올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각국이 '2050년 탄소중립(넷제로)'을 약속하고 있지만, 그간 탄소 배출량이 많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더 일찍 넷제로를 달성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제성장을 포기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것이 탄소중립에 부합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2050년에 탄소중립을 달성하려면 30년간 매년 7%씩 줄여야 하는데 코로나19 대유행이 한창인 2020년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7% 줄었다"면서 "하지만 2020년에 세계 경제성장률이 -3%로 경제를 3%씩 후퇴시키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것은 탄소중립에 부합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IPCC는 6차 보고서에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기후변화 완화책과 적응책을 통합하는 '기후 탄력적 개발'을 단기 대안으로 제시했다. 또 기후변화 완화·적응 재원을 현재의 3~6배로 늘리고 개발도상국에 재정·기술 지원 등 국제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산업계가 책임지고 탄소중립 앞장서야 이 의장은 한국 정부가 최근 발표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대해 "한국은 산업계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라며 “따라서 (당사자인 산업계에서) 기술적인 문제만 해결한다면 다른 나라보다 탄소중립에 앞서갈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기술 개발 능력은 세계가 감탄할 수준으로 탄소중립 달성에 가장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확신한다"라고 덧붙였다. 이 의장은 정부가 원전 비중을 높이려는 것과 관련해선 "상황에 따라 각국이 추구하는 정책이 달라질 수 밖에 없기에 IPCC는 기술과 정책에 대해 중립적"이라면서 즉답을 피했다. 다만  "원전을 강조하든 수소를 강조하든 탄소 배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 기본적으로 용납이 된다"면서 "어떤 에너지믹스로든 2050년 때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올해 들어 지구의 기온과 해수 온도가 산업화 이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남극 빙하 규모는 역대 최저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유럽의 기온은 지구 평균의 2배 가까이 올랐다. 인간이 기온을 측정한 이후 기후 지표가 최고치나 최저치를 마구 경신하고 있는 셈이다. 미 CNN 방송은 기후위기를 보여주는 4가지 지표를 골라 19일(현지시간) 소개했다. 유럽연합(EU)의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3S)는 지난 1∼11일의 지구 평균 기온이 역대 같은 기간 대비 최고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이 기관에 따르면 6월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1.5도 넘게 오른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미 기상청(NWS)에 따르면 중미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최근 체감 기온이 48.9(화씨 120도)도 넘게 치솟는 폭염을 기록했다. 미국 텍사스와 루이지애나, 인도 등지에서도 예년에 경험하지 못한 무더위로 온열질환 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주요 도시에서는 지난달 14일 기온이 섭씨 36도를 기록해 역대 5월 최고 기록을 썼다. 그 결과 도처에 산불이 일어나 아직도 상당 지역 타고 있다. 해수면 온도 최고치 경신...2016년 넘어 올해 가장 무더운 해 될듯 지구 해수면 온도는 지난 3월부터 이례적으로 오르기 시작해 현재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 중이다. CNN이 메인대학교 기후변화연구소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해수면 평균 온도는 지난 3월 13일 20.96도로 이전까지 가장 높았던 2016년과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4월 2일에는 21.05도로 올해 최고치를 찍었다. 이후 소폭 내렸으나 14일 20.87도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 같은 날의 20.64도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전까지는 엘니뇨와 온실가스 효과가 동시에 나타난 2016년이 가장 더웠던 해로 기록됐다. 올해는 엘니뇨가 더 심각하게 나타나면서 기후 재해가 빈발할 수 있다고 기후학자들은 우려한다. 남극 대륙의 해빙(sea ice) 규모도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에 따르면 2월 2일 남극 해빙의 범위는 179만㎢로, 1979년 위성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줄었다. 이는 지난해 2월 25일의 최저치보다 13만㎢ 적었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사상 최고치 ...지구온난화의 주범 화석 연료를 태울 때 대기 중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힌다.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과 캘리포니아대학교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424ppm으로 사상 최고였다. 이 정도의 이산화탄소 수치는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하면 50% 이상 높은 수준이라고 NOAA는 설명했다. 한편 세계기상기구(WMO)가 19일(현지시간) 발간한 기후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1800년대 중반 이후로 작년까지 세계 평균 기온은 1.2도 상승했다. 같은 시기에 유럽의 기온 상승 폭은 2.3도로 지구 평균의 2배였다. 보고서는 "유럽 대륙은 지난해 기록상 가장 더운 여름을 보냈고 프랑스와 독일,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영국을 포함한 여러 유럽 국가가 역사상 가장 더운 한 해를 경험했다"고 전했다. 유럽의 온난화는 최근 더욱 빨라져 1991년부터 2021년까지 유럽 전체의 기온은 1.5도 상승했다. 1800년대 이후의 유럽의 기온 상승 폭 가운데 최근 30년이 차지하는 부분이 65%를 넘어선 셈이다. 보고서는 "유럽의 극심한 더위로 지난해 1만6,000명 넘는 사람이 사망했고 홍수 등 극한적인 기후로 20억 달러(2조5,600억여원) 가량의 경제적 피해를 유발했다"면서 "안타깝게도 이는 일회성 기후 이변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4620
환경·사회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올해도 늘어…기후변화 대응 연대는 공염불?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medium
3-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올해 들어 지구의 기온과 해수 온도가 산업화 이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남극 빙하 규모는 역대 최저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유럽의 기온은 지구 평균의 2배 가까이 올랐다. 인간이 기온을 측정한 이후 기후 지표가 최고치나 최저치를 마구 경신하고 있는 셈이다. 미 CNN 방송은 기후위기를 보여주는 4가지 지표를 골라 19일(현지시간) 소개했다. 유럽연합(EU)의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3S)는 지난 1∼11일의 지구 평균 기온이 역대 같은 기간 대비 최고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이 기관에 따르면 6월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1.5도 넘게 오른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미 기상청(NWS)에 따르면 중미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최근 체감 기온이 48.9(화씨 120도)도 넘게 치솟는 폭염을 기록했다. 미국 텍사스와 루이지애나, 인도 등지에서도 예년에 경험하지 못한 무더위로 온열질환 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주요 도시에서는 지난달 14일 기온이 섭씨 36도를 기록해 역대 5월 최고 기록을 썼다. 그 결과 도처에 산불이 일어나 아직도 상당 지역 타고 있다. 해수면 온도 최고치 경신...2016년 넘어 올해 가장 무더운 해 될듯 지구 해수면 온도는 지난 3월부터 이례적으로 오르기 시작해 현재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 중이다. CNN이 메인대학교 기후변화연구소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해수면 평균 온도는 지난 3월 13일 20.96도로 이전까지 가장 높았던 2016년과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4월 2일에는 21.05도로 올해 최고치를 찍었다. 이후 소폭 내렸으나 14일 20.87도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 같은 날의 20.64도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전까지는 엘니뇨와 온실가스 효과가 동시에 나타난 2016년이 가장 더웠던 해로 기록됐다. 올해는 엘니뇨가 더 심각하게 나타나면서 기후 재해가 빈발할 수 있다고 기후학자들은 우려한다. 남극 대륙의 해빙(sea ice) 규모도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에 따르면 2월 2일 남극 해빙의 범위는 179만㎢로, 1979년 위성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줄었다. 이는 지난해 2월 25일의 최저치보다 13만㎢ 적었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사상 최고치 ...지구온난화의 주범 화석 연료를 태울 때 대기 중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힌다.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과 캘리포니아대학교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424ppm으로 사상 최고였다. 이 정도의 이산화탄소 수치는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하면 50% 이상 높은 수준이라고 NOAA는 설명했다. 한편 세계기상기구(WMO)가 19일(현지시간) 발간한 기후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1800년대 중반 이후로 작년까지 세계 평균 기온은 1.2도 상승했다. 같은 시기에 유럽의 기온 상승 폭은 2.3도로 지구 평균의 2배였다. 보고서는 "유럽 대륙은 지난해 기록상 가장 더운 여름을 보냈고 프랑스와 독일,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영국을 포함한 여러 유럽 국가가 역사상 가장 더운 한 해를 경험했다"고 전했다. 유럽의 온난화는 최근 더욱 빨라져 1991년부터 2021년까지 유럽 전체의 기온은 1.5도 상승했다. 1800년대 이후의 유럽의 기온 상승 폭 가운데 최근 30년이 차지하는 부분이 65%를 넘어선 셈이다. 보고서는 "유럽의 극심한 더위로 지난해 1만6,000명 넘는 사람이 사망했고 홍수 등 극한적인 기후로 20억 달러(2조5,600억여원) 가량의 경제적 피해를 유발했다"면서 "안타깝게도 이는 일회성 기후 이변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앞으로 5년 중 적어도 1년은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시기(1850∼1900년)보다 1.5도 이상 올라갈 가능성이 약 40% 정도며, 이 같은 확률은 앞으로 내려가기는커녕 계속해서 올라갈 것이라고 27일 세계기상기구(WMO)가 경고했다. 이와 같은 기온 상승이 비록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더라도, 이 예상대로라면 2015년 열린 파리협정 서명에 참여한 세계 정상들이 했던 "21세기 안에 지구 온난화를 1.5도이내로 제한하자"는 약속을 지킬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커진 게 된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성명을 통해 "기후변화에 관한 파리협정의 목표치에 점점 더 다가서고 있다"면서 "세계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약속을 서둘러 이행해야 한다는 걸 보여주는 또 다른 경고 신호가 나온 셈"이라고 말했다. 지난해는 역대 가장 따뜻했던 2016년과 마찬가지로 전 세계 기온이 산업화 이전 기온보다 1.2도 높았다. 지난 7년은 기온 집계가 시작된 기간 중 가장 따뜻한 기간이었는데, 이는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인류가 유발한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악천후가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이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향후 지구 기온 계속해서 상승 예상  WMO 예상에 따르면, 향후 5년 동안의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더 따뜻한 해가 1년으로 그칠 가능성이 크지만, 그렇다고 해서 5년 동안 기온이 최근의 기록적 기온보다 낮아질 걸로 예상되는 것도 아니다. WMO는 5년 동안 매년 평균 기온은 최소 1도 이상 더워지고, 2021~2025년 사이에 적어도 1년은 2016년보다 더 더울 확률이 90%에 이를 걸로 추정했다. 탈라스 총장은 "기온 상승은 단순한 통계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면서 "그것이 식량안보, 건강, 환경 및 지속가능한 개발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뜻"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와 별도로 우리 기상청은 이날 발표한 '동아시아 지역 미래 극한기후 변화 분석 결과'란 자료를 통해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상승하는 시기를 2028∼2034년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기상청은 산업화 이전 시기보다 기온이 1.5도 높아지는 때는 2028∼2034년, 2.0도 상승하는 시기는 2041∼2053년으로 전망했다.  2018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서 발간한 '지구 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에서는 1.5도 상승이 이뤄지는 시기를 2030∼2052년으로 예상한 바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유엔기후변화 협약에 서명한 192개국의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고려하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16% 증가하고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2.7℃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사무국은(UNFCCC) 최근 상향조정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종합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NDC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간 단계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한 것이다. 다음 주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10월 현재까지 143개국이 새로 NDC를 정하거나 상향조정했다. 보고서는 이를 종합한 결과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은 2010년 대비 9% 정도 감축될 것으로 추정했다. 또 71개국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논의하고 있어 NDC를 상향하거나 새로 정한 나라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한 나라의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 대비 8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기후변화협약에 참여한 192개국 전체의 NDC를 고려하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렇게 되면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2.7℃ 상승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파리기후협약은 되돌릴 수 없는 수준의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205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정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지구 온도 상승 억제 목표치 달성이 요원하다는 얘기다. 패트리시아 에스피노자 UNFCCC 사무총장은 기후변화협약 참여국은 파리협약이 정한 목표 달성을 위해 “반드시 긴급하게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배가해야 한다”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불안정한 세계가 도래하고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소흘한 나라를 포함해 (모든 나라가) 끝이 없는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 따르면 지구 온도 상승을 1.5℃로 억제하려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5% 감축해야 하고 2℃ 이하로 억제하려면 온실가스를 25% 감축해야 한다. UNFCCC 보고서는 2030년까지 이 정도의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지 못하면 그 이후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더 큰 비용을 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4620
환경·사회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올해도 늘어…기후변화 대응 연대는 공염불?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medium
3-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유엔기후변화 협약에 서명한 192개국의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고려하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16% 증가하고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2.7℃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사무국은(UNFCCC) 최근 상향조정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종합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NDC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간 단계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한 것이다. 다음 주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10월 현재까지 143개국이 새로 NDC를 정하거나 상향조정했다. 보고서는 이를 종합한 결과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은 2010년 대비 9% 정도 감축될 것으로 추정했다. 또 71개국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논의하고 있어 NDC를 상향하거나 새로 정한 나라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한 나라의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 대비 8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기후변화협약에 참여한 192개국 전체의 NDC를 고려하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렇게 되면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2.7℃ 상승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파리기후협약은 되돌릴 수 없는 수준의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205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정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지구 온도 상승 억제 목표치 달성이 요원하다는 얘기다. 패트리시아 에스피노자 UNFCCC 사무총장은 기후변화협약 참여국은 파리협약이 정한 목표 달성을 위해 “반드시 긴급하게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배가해야 한다”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불안정한 세계가 도래하고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소흘한 나라를 포함해 (모든 나라가) 끝이 없는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 따르면 지구 온도 상승을 1.5℃로 억제하려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5% 감축해야 하고 2℃ 이하로 억제하려면 온실가스를 25% 감축해야 한다. UNFCCC 보고서는 2030년까지 이 정도의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지 못하면 그 이후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더 큰 비용을 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앞으로 5년 중 적어도 1년은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시기(1850∼1900년)보다 1.5도 이상 올라갈 가능성이 약 40% 정도며, 이 같은 확률은 앞으로 내려가기는커녕 계속해서 올라갈 것이라고 27일 세계기상기구(WMO)가 경고했다. 이와 같은 기온 상승이 비록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더라도, 이 예상대로라면 2015년 열린 파리협정 서명에 참여한 세계 정상들이 했던 "21세기 안에 지구 온난화를 1.5도이내로 제한하자"는 약속을 지킬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커진 게 된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성명을 통해 "기후변화에 관한 파리협정의 목표치에 점점 더 다가서고 있다"면서 "세계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약속을 서둘러 이행해야 한다는 걸 보여주는 또 다른 경고 신호가 나온 셈"이라고 말했다. 지난해는 역대 가장 따뜻했던 2016년과 마찬가지로 전 세계 기온이 산업화 이전 기온보다 1.2도 높았다. 지난 7년은 기온 집계가 시작된 기간 중 가장 따뜻한 기간이었는데, 이는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인류가 유발한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악천후가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이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향후 지구 기온 계속해서 상승 예상  WMO 예상에 따르면, 향후 5년 동안의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더 따뜻한 해가 1년으로 그칠 가능성이 크지만, 그렇다고 해서 5년 동안 기온이 최근의 기록적 기온보다 낮아질 걸로 예상되는 것도 아니다. WMO는 5년 동안 매년 평균 기온은 최소 1도 이상 더워지고, 2021~2025년 사이에 적어도 1년은 2016년보다 더 더울 확률이 90%에 이를 걸로 추정했다. 탈라스 총장은 "기온 상승은 단순한 통계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면서 "그것이 식량안보, 건강, 환경 및 지속가능한 개발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뜻"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와 별도로 우리 기상청은 이날 발표한 '동아시아 지역 미래 극한기후 변화 분석 결과'란 자료를 통해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상승하는 시기를 2028∼2034년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기상청은 산업화 이전 시기보다 기온이 1.5도 높아지는 때는 2028∼2034년, 2.0도 상승하는 시기는 2041∼2053년으로 전망했다.  2018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서 발간한 '지구 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에서는 1.5도 상승이 이뤄지는 시기를 2030∼2052년으로 예상한 바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올해 들어 지구의 기온과 해수 온도가 산업화 이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남극 빙하 규모는 역대 최저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유럽의 기온은 지구 평균의 2배 가까이 올랐다. 인간이 기온을 측정한 이후 기후 지표가 최고치나 최저치를 마구 경신하고 있는 셈이다. 미 CNN 방송은 기후위기를 보여주는 4가지 지표를 골라 19일(현지시간) 소개했다. 유럽연합(EU)의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3S)는 지난 1∼11일의 지구 평균 기온이 역대 같은 기간 대비 최고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이 기관에 따르면 6월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1.5도 넘게 오른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미 기상청(NWS)에 따르면 중미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최근 체감 기온이 48.9(화씨 120도)도 넘게 치솟는 폭염을 기록했다. 미국 텍사스와 루이지애나, 인도 등지에서도 예년에 경험하지 못한 무더위로 온열질환 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주요 도시에서는 지난달 14일 기온이 섭씨 36도를 기록해 역대 5월 최고 기록을 썼다. 그 결과 도처에 산불이 일어나 아직도 상당 지역 타고 있다. 해수면 온도 최고치 경신...2016년 넘어 올해 가장 무더운 해 될듯 지구 해수면 온도는 지난 3월부터 이례적으로 오르기 시작해 현재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 중이다. CNN이 메인대학교 기후변화연구소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해수면 평균 온도는 지난 3월 13일 20.96도로 이전까지 가장 높았던 2016년과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4월 2일에는 21.05도로 올해 최고치를 찍었다. 이후 소폭 내렸으나 14일 20.87도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 같은 날의 20.64도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전까지는 엘니뇨와 온실가스 효과가 동시에 나타난 2016년이 가장 더웠던 해로 기록됐다. 올해는 엘니뇨가 더 심각하게 나타나면서 기후 재해가 빈발할 수 있다고 기후학자들은 우려한다. 남극 대륙의 해빙(sea ice) 규모도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에 따르면 2월 2일 남극 해빙의 범위는 179만㎢로, 1979년 위성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줄었다. 이는 지난해 2월 25일의 최저치보다 13만㎢ 적었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사상 최고치 ...지구온난화의 주범 화석 연료를 태울 때 대기 중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힌다.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과 캘리포니아대학교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424ppm으로 사상 최고였다. 이 정도의 이산화탄소 수치는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하면 50% 이상 높은 수준이라고 NOAA는 설명했다. 한편 세계기상기구(WMO)가 19일(현지시간) 발간한 기후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1800년대 중반 이후로 작년까지 세계 평균 기온은 1.2도 상승했다. 같은 시기에 유럽의 기온 상승 폭은 2.3도로 지구 평균의 2배였다. 보고서는 "유럽 대륙은 지난해 기록상 가장 더운 여름을 보냈고 프랑스와 독일,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영국을 포함한 여러 유럽 국가가 역사상 가장 더운 한 해를 경험했다"고 전했다. 유럽의 온난화는 최근 더욱 빨라져 1991년부터 2021년까지 유럽 전체의 기온은 1.5도 상승했다. 1800년대 이후의 유럽의 기온 상승 폭 가운데 최근 30년이 차지하는 부분이 65%를 넘어선 셈이다. 보고서는 "유럽의 극심한 더위로 지난해 1만6,000명 넘는 사람이 사망했고 홍수 등 극한적인 기후로 20억 달러(2조5,600억여원) 가량의 경제적 피해를 유발했다"면서 "안타깝게도 이는 일회성 기후 이변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4620
환경·사회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올해도 늘어…기후변화 대응 연대는 공염불?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medium
3-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유엔기후변화 협약에 서명한 192개국의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고려하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16% 증가하고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2.7℃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사무국은(UNFCCC) 최근 상향조정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종합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NDC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간 단계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한 것이다. 다음 주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10월 현재까지 143개국이 새로 NDC를 정하거나 상향조정했다. 보고서는 이를 종합한 결과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은 2010년 대비 9% 정도 감축될 것으로 추정했다. 또 71개국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논의하고 있어 NDC를 상향하거나 새로 정한 나라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한 나라의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 대비 8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기후변화협약에 참여한 192개국 전체의 NDC를 고려하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렇게 되면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2.7℃ 상승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파리기후협약은 되돌릴 수 없는 수준의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205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정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지구 온도 상승 억제 목표치 달성이 요원하다는 얘기다. 패트리시아 에스피노자 UNFCCC 사무총장은 기후변화협약 참여국은 파리협약이 정한 목표 달성을 위해 “반드시 긴급하게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배가해야 한다”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불안정한 세계가 도래하고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소흘한 나라를 포함해 (모든 나라가) 끝이 없는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 따르면 지구 온도 상승을 1.5℃로 억제하려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5% 감축해야 하고 2℃ 이하로 억제하려면 온실가스를 25% 감축해야 한다. UNFCCC 보고서는 2030년까지 이 정도의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지 못하면 그 이후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더 큰 비용을 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앞으로 5년 중 적어도 1년은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시기(1850∼1900년)보다 1.5도 이상 올라갈 가능성이 약 40% 정도며, 이 같은 확률은 앞으로 내려가기는커녕 계속해서 올라갈 것이라고 27일 세계기상기구(WMO)가 경고했다. 이와 같은 기온 상승이 비록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더라도, 이 예상대로라면 2015년 열린 파리협정 서명에 참여한 세계 정상들이 했던 "21세기 안에 지구 온난화를 1.5도이내로 제한하자"는 약속을 지킬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커진 게 된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성명을 통해 "기후변화에 관한 파리협정의 목표치에 점점 더 다가서고 있다"면서 "세계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약속을 서둘러 이행해야 한다는 걸 보여주는 또 다른 경고 신호가 나온 셈"이라고 말했다. 지난해는 역대 가장 따뜻했던 2016년과 마찬가지로 전 세계 기온이 산업화 이전 기온보다 1.2도 높았다. 지난 7년은 기온 집계가 시작된 기간 중 가장 따뜻한 기간이었는데, 이는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인류가 유발한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악천후가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이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향후 지구 기온 계속해서 상승 예상  WMO 예상에 따르면, 향후 5년 동안의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더 따뜻한 해가 1년으로 그칠 가능성이 크지만, 그렇다고 해서 5년 동안 기온이 최근의 기록적 기온보다 낮아질 걸로 예상되는 것도 아니다. WMO는 5년 동안 매년 평균 기온은 최소 1도 이상 더워지고, 2021~2025년 사이에 적어도 1년은 2016년보다 더 더울 확률이 90%에 이를 걸로 추정했다. 탈라스 총장은 "기온 상승은 단순한 통계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면서 "그것이 식량안보, 건강, 환경 및 지속가능한 개발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뜻"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와 별도로 우리 기상청은 이날 발표한 '동아시아 지역 미래 극한기후 변화 분석 결과'란 자료를 통해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상승하는 시기를 2028∼2034년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기상청은 산업화 이전 시기보다 기온이 1.5도 높아지는 때는 2028∼2034년, 2.0도 상승하는 시기는 2041∼2053년으로 전망했다.  2018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서 발간한 '지구 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에서는 1.5도 상승이 이뤄지는 시기를 2030∼2052년으로 예상한 바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올해 들어 지구의 기온과 해수 온도가 산업화 이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남극 빙하 규모는 역대 최저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유럽의 기온은 지구 평균의 2배 가까이 올랐다. 인간이 기온을 측정한 이후 기후 지표가 최고치나 최저치를 마구 경신하고 있는 셈이다. 미 CNN 방송은 기후위기를 보여주는 4가지 지표를 골라 19일(현지시간) 소개했다. 유럽연합(EU)의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3S)는 지난 1∼11일의 지구 평균 기온이 역대 같은 기간 대비 최고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이 기관에 따르면 6월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1.5도 넘게 오른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미 기상청(NWS)에 따르면 중미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최근 체감 기온이 48.9(화씨 120도)도 넘게 치솟는 폭염을 기록했다. 미국 텍사스와 루이지애나, 인도 등지에서도 예년에 경험하지 못한 무더위로 온열질환 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주요 도시에서는 지난달 14일 기온이 섭씨 36도를 기록해 역대 5월 최고 기록을 썼다. 그 결과 도처에 산불이 일어나 아직도 상당 지역 타고 있다. 해수면 온도 최고치 경신...2016년 넘어 올해 가장 무더운 해 될듯 지구 해수면 온도는 지난 3월부터 이례적으로 오르기 시작해 현재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 중이다. CNN이 메인대학교 기후변화연구소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해수면 평균 온도는 지난 3월 13일 20.96도로 이전까지 가장 높았던 2016년과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4월 2일에는 21.05도로 올해 최고치를 찍었다. 이후 소폭 내렸으나 14일 20.87도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 같은 날의 20.64도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전까지는 엘니뇨와 온실가스 효과가 동시에 나타난 2016년이 가장 더웠던 해로 기록됐다. 올해는 엘니뇨가 더 심각하게 나타나면서 기후 재해가 빈발할 수 있다고 기후학자들은 우려한다. 남극 대륙의 해빙(sea ice) 규모도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에 따르면 2월 2일 남극 해빙의 범위는 179만㎢로, 1979년 위성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줄었다. 이는 지난해 2월 25일의 최저치보다 13만㎢ 적었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사상 최고치 ...지구온난화의 주범 화석 연료를 태울 때 대기 중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힌다.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과 캘리포니아대학교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424ppm으로 사상 최고였다. 이 정도의 이산화탄소 수치는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하면 50% 이상 높은 수준이라고 NOAA는 설명했다. 한편 세계기상기구(WMO)가 19일(현지시간) 발간한 기후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1800년대 중반 이후로 작년까지 세계 평균 기온은 1.2도 상승했다. 같은 시기에 유럽의 기온 상승 폭은 2.3도로 지구 평균의 2배였다. 보고서는 "유럽 대륙은 지난해 기록상 가장 더운 여름을 보냈고 프랑스와 독일,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영국을 포함한 여러 유럽 국가가 역사상 가장 더운 한 해를 경험했다"고 전했다. 유럽의 온난화는 최근 더욱 빨라져 1991년부터 2021년까지 유럽 전체의 기온은 1.5도 상승했다. 1800년대 이후의 유럽의 기온 상승 폭 가운데 최근 30년이 차지하는 부분이 65%를 넘어선 셈이다. 보고서는 "유럽의 극심한 더위로 지난해 1만6,000명 넘는 사람이 사망했고 홍수 등 극한적인 기후로 20억 달러(2조5,600억여원) 가량의 경제적 피해를 유발했다"면서 "안타깝게도 이는 일회성 기후 이변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4620
환경·사회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올해도 늘어…기후변화 대응 연대는 공염불?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medium
3-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올해 들어 지구의 기온과 해수 온도가 산업화 이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남극 빙하 규모는 역대 최저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유럽의 기온은 지구 평균의 2배 가까이 올랐다. 인간이 기온을 측정한 이후 기후 지표가 최고치나 최저치를 마구 경신하고 있는 셈이다. 미 CNN 방송은 기후위기를 보여주는 4가지 지표를 골라 19일(현지시간) 소개했다. 유럽연합(EU)의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3S)는 지난 1∼11일의 지구 평균 기온이 역대 같은 기간 대비 최고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이 기관에 따르면 6월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1.5도 넘게 오른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미 기상청(NWS)에 따르면 중미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최근 체감 기온이 48.9(화씨 120도)도 넘게 치솟는 폭염을 기록했다. 미국 텍사스와 루이지애나, 인도 등지에서도 예년에 경험하지 못한 무더위로 온열질환 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주요 도시에서는 지난달 14일 기온이 섭씨 36도를 기록해 역대 5월 최고 기록을 썼다. 그 결과 도처에 산불이 일어나 아직도 상당 지역 타고 있다. 해수면 온도 최고치 경신...2016년 넘어 올해 가장 무더운 해 될듯 지구 해수면 온도는 지난 3월부터 이례적으로 오르기 시작해 현재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 중이다. CNN이 메인대학교 기후변화연구소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해수면 평균 온도는 지난 3월 13일 20.96도로 이전까지 가장 높았던 2016년과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4월 2일에는 21.05도로 올해 최고치를 찍었다. 이후 소폭 내렸으나 14일 20.87도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 같은 날의 20.64도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전까지는 엘니뇨와 온실가스 효과가 동시에 나타난 2016년이 가장 더웠던 해로 기록됐다. 올해는 엘니뇨가 더 심각하게 나타나면서 기후 재해가 빈발할 수 있다고 기후학자들은 우려한다. 남극 대륙의 해빙(sea ice) 규모도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에 따르면 2월 2일 남극 해빙의 범위는 179만㎢로, 1979년 위성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줄었다. 이는 지난해 2월 25일의 최저치보다 13만㎢ 적었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사상 최고치 ...지구온난화의 주범 화석 연료를 태울 때 대기 중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힌다.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과 캘리포니아대학교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424ppm으로 사상 최고였다. 이 정도의 이산화탄소 수치는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하면 50% 이상 높은 수준이라고 NOAA는 설명했다. 한편 세계기상기구(WMO)가 19일(현지시간) 발간한 기후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1800년대 중반 이후로 작년까지 세계 평균 기온은 1.2도 상승했다. 같은 시기에 유럽의 기온 상승 폭은 2.3도로 지구 평균의 2배였다. 보고서는 "유럽 대륙은 지난해 기록상 가장 더운 여름을 보냈고 프랑스와 독일,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영국을 포함한 여러 유럽 국가가 역사상 가장 더운 한 해를 경험했다"고 전했다. 유럽의 온난화는 최근 더욱 빨라져 1991년부터 2021년까지 유럽 전체의 기온은 1.5도 상승했다. 1800년대 이후의 유럽의 기온 상승 폭 가운데 최근 30년이 차지하는 부분이 65%를 넘어선 셈이다. 보고서는 "유럽의 극심한 더위로 지난해 1만6,000명 넘는 사람이 사망했고 홍수 등 극한적인 기후로 20억 달러(2조5,600억여원) 가량의 경제적 피해를 유발했다"면서 "안타깝게도 이는 일회성 기후 이변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앞으로 5년 중 적어도 1년은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시기(1850∼1900년)보다 1.5도 이상 올라갈 가능성이 약 40% 정도며, 이 같은 확률은 앞으로 내려가기는커녕 계속해서 올라갈 것이라고 27일 세계기상기구(WMO)가 경고했다. 이와 같은 기온 상승이 비록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더라도, 이 예상대로라면 2015년 열린 파리협정 서명에 참여한 세계 정상들이 했던 "21세기 안에 지구 온난화를 1.5도이내로 제한하자"는 약속을 지킬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커진 게 된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성명을 통해 "기후변화에 관한 파리협정의 목표치에 점점 더 다가서고 있다"면서 "세계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약속을 서둘러 이행해야 한다는 걸 보여주는 또 다른 경고 신호가 나온 셈"이라고 말했다. 지난해는 역대 가장 따뜻했던 2016년과 마찬가지로 전 세계 기온이 산업화 이전 기온보다 1.2도 높았다. 지난 7년은 기온 집계가 시작된 기간 중 가장 따뜻한 기간이었는데, 이는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인류가 유발한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악천후가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이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향후 지구 기온 계속해서 상승 예상  WMO 예상에 따르면, 향후 5년 동안의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더 따뜻한 해가 1년으로 그칠 가능성이 크지만, 그렇다고 해서 5년 동안 기온이 최근의 기록적 기온보다 낮아질 걸로 예상되는 것도 아니다. WMO는 5년 동안 매년 평균 기온은 최소 1도 이상 더워지고, 2021~2025년 사이에 적어도 1년은 2016년보다 더 더울 확률이 90%에 이를 걸로 추정했다. 탈라스 총장은 "기온 상승은 단순한 통계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면서 "그것이 식량안보, 건강, 환경 및 지속가능한 개발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뜻"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와 별도로 우리 기상청은 이날 발표한 '동아시아 지역 미래 극한기후 변화 분석 결과'란 자료를 통해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상승하는 시기를 2028∼2034년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기상청은 산업화 이전 시기보다 기온이 1.5도 높아지는 때는 2028∼2034년, 2.0도 상승하는 시기는 2041∼2053년으로 전망했다.  2018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서 발간한 '지구 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에서는 1.5도 상승이 이뤄지는 시기를 2030∼2052년으로 예상한 바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유엔기후변화 협약에 서명한 192개국의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고려하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16% 증가하고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2.7℃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사무국은(UNFCCC) 최근 상향조정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종합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NDC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간 단계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한 것이다. 다음 주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10월 현재까지 143개국이 새로 NDC를 정하거나 상향조정했다. 보고서는 이를 종합한 결과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은 2010년 대비 9% 정도 감축될 것으로 추정했다. 또 71개국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논의하고 있어 NDC를 상향하거나 새로 정한 나라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한 나라의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 대비 8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기후변화협약에 참여한 192개국 전체의 NDC를 고려하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렇게 되면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2.7℃ 상승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파리기후협약은 되돌릴 수 없는 수준의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205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정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지구 온도 상승 억제 목표치 달성이 요원하다는 얘기다. 패트리시아 에스피노자 UNFCCC 사무총장은 기후변화협약 참여국은 파리협약이 정한 목표 달성을 위해 “반드시 긴급하게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배가해야 한다”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불안정한 세계가 도래하고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소흘한 나라를 포함해 (모든 나라가) 끝이 없는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 따르면 지구 온도 상승을 1.5℃로 억제하려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5% 감축해야 하고 2℃ 이하로 억제하려면 온실가스를 25% 감축해야 한다. UNFCCC 보고서는 2030년까지 이 정도의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지 못하면 그 이후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더 큰 비용을 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4620
환경·사회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올해도 늘어…기후변화 대응 연대는 공염불?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medium
1-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유엔기후변화 협약에 서명한 192개국의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고려하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16% 증가하고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2.7℃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사무국은(UNFCCC) 최근 상향조정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종합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NDC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간 단계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한 것이다. 다음 주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10월 현재까지 143개국이 새로 NDC를 정하거나 상향조정했다. 보고서는 이를 종합한 결과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은 2010년 대비 9% 정도 감축될 것으로 추정했다. 또 71개국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논의하고 있어 NDC를 상향하거나 새로 정한 나라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한 나라의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 대비 8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기후변화협약에 참여한 192개국 전체의 NDC를 고려하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렇게 되면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2.7℃ 상승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파리기후협약은 되돌릴 수 없는 수준의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205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정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지구 온도 상승 억제 목표치 달성이 요원하다는 얘기다. 패트리시아 에스피노자 UNFCCC 사무총장은 기후변화협약 참여국은 파리협약이 정한 목표 달성을 위해 “반드시 긴급하게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배가해야 한다”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불안정한 세계가 도래하고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소흘한 나라를 포함해 (모든 나라가) 끝이 없는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 따르면 지구 온도 상승을 1.5℃로 억제하려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5% 감축해야 하고 2℃ 이하로 억제하려면 온실가스를 25% 감축해야 한다. UNFCCC 보고서는 2030년까지 이 정도의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지 못하면 그 이후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더 큰 비용을 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4620
환경·사회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올해도 늘어…기후변화 대응 연대는 공염불?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medium
1-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유엔기후변화 협약에 서명한 192개국의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고려하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16% 증가하고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2.7℃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사무국은(UNFCCC) 최근 상향조정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종합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NDC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간 단계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한 것이다. 다음 주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10월 현재까지 143개국이 새로 NDC를 정하거나 상향조정했다. 보고서는 이를 종합한 결과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은 2010년 대비 9% 정도 감축될 것으로 추정했다. 또 71개국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논의하고 있어 NDC를 상향하거나 새로 정한 나라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한 나라의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 대비 8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기후변화협약에 참여한 192개국 전체의 NDC를 고려하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렇게 되면 21세기 말에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2.7℃ 상승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파리기후협약은 되돌릴 수 없는 수준의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205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대 대비 1.5℃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정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지구 온도 상승 억제 목표치 달성이 요원하다는 얘기다. 패트리시아 에스피노자 UNFCCC 사무총장은 기후변화협약 참여국은 파리협약이 정한 목표 달성을 위해 “반드시 긴급하게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배가해야 한다”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불안정한 세계가 도래하고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소흘한 나라를 포함해 (모든 나라가) 끝이 없는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 따르면 지구 온도 상승을 1.5℃로 억제하려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5% 감축해야 하고 2℃ 이하로 억제하려면 온실가스를 25% 감축해야 한다. UNFCCC 보고서는 2030년까지 이 정도의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지 못하면 그 이후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더 큰 비용을 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늘리면서 기후변화 대응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계속 늘고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8개 국제기구와 함께 '2023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United In Science)를 14일 발표했다. 기후과학 합동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보고서로 매년 발표된다. SDGs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2030년까지 이루기로 약속한 공통의 목표로 빈곤 종식 등 17개로 구성돼 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의 서문에서 "지구는 기후 목표와 2030 의제를 달성하는 경로에서 한참을 벗어나 있다"면서 "이는 과학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은 온실가스 방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 이내로 막기 위해 2050년 넷제로(순배출 0) 목표에 뜻을 같이 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구 온도 산업화 이전 대배 1.15℃ 상승 보고서는 경로 이탈 폭을 각종 수치로 제시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15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됐다. 1.15도 가운데 1.14도가 '인간이 올린 온도'로 평가됐다. 올해는 이런 경로 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고 이에 따라 폭염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재난이 지구촌 사람들을 괴롭혔다. 올들어 6월까지 평균 지구 표면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18±0.1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이 발생해 올해는 인류가 지구 온도를 측정한 이후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지포면 온도가 여기서 더 올라가 향후 5년 중 한해라도 2 '사상 가장 더운 해'로 새롭게 기록될 확률은 98%, 연평균 지표면 근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은 해가 한해라도 나올 확률은 66%로 제시됐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406억톤, 올 상반기도 0.3% 증가 인류의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양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22년 406억t(톤)으로 2021년보다 1%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사그라지면서 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석유 사용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발전과 내수 분야 배출량은 줄었지만, 산업과 운송 쪽 배출량이 늘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0도 이하로 제한'하고 실제 '1.5도 이하로 억제하는데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순제로로 감축해야 하지만, 인류는 여전히 거꾸로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변화 결과는 극한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소 수준이다. 2018~2022년 평균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1991~2020년 평균보다 100만㎢ 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나타난 대표적인 극한기후 현상 세 개를 꼽았다. ▶역대 최장인 5주 이상 세력을 유지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은 사이클론 프레디, ▶중국 베이징에 7월 29일 밤부터 8월 2일 아침까지 744.8㎜라는 140년만 최대치 폭우를 쏟아낸 태풍 독수리, ▶미국·멕시코·유럽·북아프리카·중국 등의 이상고온 등이다. 지난 50년 간 기후재난으로 209만명 사망 보고서는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날씨·기후·물 관련 극한현상에 기인한 재난이 1만1,778건 보고됐으며 이 재난들로 인해 208만7,229명이 숨지고 4조3,000억달러(약 5,699조)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망자 90%와 경제적 피해 6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90%를 배출하는 166개국의 2022년 9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하면 파리협정을 달성하는 데 못 미치며 최근 9개월 사이 새로 제출된 목표들을 고려해도 뚜렷한 차이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추가 행동 없이 현재 목표만 추구한다면 이번 세기 내 지구 온도 상승 폭이 2.8도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23년은 기후변화가 현재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면서 "해결책의 중심은 과학"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438
공시·평가
노르웨이 국부펀드, 한국가스공사 주식 투자 철회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medium
5-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거대 정유회사 엑손모빌의 이사진 교체를 이끈 행동주의 펀드 엔진 넘버원(Engine No.1)이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해 또 다른 주주 반란을 예고했다. CNBC는 최근 기업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이 새로운 형태의 ETF가 의도대로 기업을 바꿀 수 있을지 진단하는 분석기사를 실었다. 엔진 넘버원은 6월 말부터 시장에서 거래되기 시작한 이 엔진 넘버원 트랜스폼 500 ETF(Engine No. 1 Transform 500 ETF)가 “상장기업의 변화를 독려”하고 “기업의 직원과 지역 사회, 소비자, 환경, 영업, ESG에 대한 투자의 계량적 분석”을 추구하는 상품이라고 밝혔다. 이 상품은 출시가 예고된 직후부터 관심을 끌었다. 최근 뜨거운 관심을 얻고 있는 ETF와 ESG, 행동주의 투자가 모두 결합한 상품이기 때문이다. 이 ETF는 투자 기준에 맞춰 상품을 편입하거나 제외하는 기존 ESG ETF와 다르다. 예를 들어 청정에너지 ETF는 풍력이나 지열, 태양광 발전 관련 기업의 주식을 편입하고 화석연료 발전 기업의 주식은 멀리한다. 하지만 엔진 넘버원의 ETF는 S&P500지수와 유사한 모닝스타 US 라지캡 셀렉트 인덱스(Morningstar U.S. Large Cap Select Index)를 추종한다. 신념을 같이하는 기업의 주식을 편입하고 그렇지 않은 기업의 주식은 제외하는 기존의 ETF와 달리 추종하는 지수 편입 종목을 담고 이들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과 다른 ESG 관련 사안에 대해 적극적인 의결권을 행사한다. ETF와 뮤추얼펀드 리서치사인 CFRA의 토드 로젠블루스 이사는 “그들(엔진 넘버원)은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다른 기업의 주식을 사서 장기전을 벌이려 한다”고 말했다. 연합전선 구축이 관건 엔진 넘버원은 규모가 작은 펀드다. 독자적으로는 기업의 변화를 이끌기 어렵다. 엔진 넘버원이 보유한 엑손모빌 지분은 대략 0.02%에 불과했다. 이런 엔진 넘버원이 기후변화 대응에 미온적인 엑손모빌의 이사진 교체를 성사시킨 것은 엑손모빌의 다른 주주를 설득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투자 목표를 달성하는데 블랙록과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와 같은 대형 자산운용사와의 공조 여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유럽 자산운용사 로베코(robeco)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패시브펀드가 과거에는 ESG에 호의적으로 투표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작았다고 밝혔다. “ESG 관련 주주제안이나 이런 제안에 동조해 투표권을 행사하는 사례가 적었고 특히 대형 패시브펀드의 ESG 안건에 동조하는 투표가 적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최근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블랙록은 올해 ESG를 투자의 핵심 과제로 선정했다. 엑손모빌 주총에서 블랙록은 엔진 넘버원의 손을 들어줬고 뱅가드와 스테이트스트리트도 마찬가지였다. 펀드 평가사 모닝스타에 따르면 이들 3개 자산운용사가 보유한 엑손모빌 지분은 21%에 달했다. 일부 국부펀드도 엔진 넘버원의 편에 섰다. 이들 3개 자산운용사는 현재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모닝스타의 존 리켄세일러 부사장은 이들 3개사가 미국 전체 자산운용사가 보유한 주식 자산의 43%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과의 공조가 없으면 엔진 넘버원은 힘을 쓸 수 없다. 엔진 넘버원의 마이클 오리어리 이사는 CNBC 기자에게 이들과의 공조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속가능성과 ESG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자산운용사의 요구와 주주 권한 행사에 변화가 일고 있다”며 “우리는 적극적인 주주 권한 행사에 초점을 두고 기업의 변화를 이끄는데 기여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위험한 공조? 하지만 이런 공조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있다. 특히 투자자가 아닌 거대 자산운용사 대표가 대리투표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모닝스타의 리켄세일러 부사장은 “엔진 넘버원이 블랙록,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와 연합해 투표한 결과 ”기업의 수장뿐 아니라 연방 정부, 대다수 시민을 불편하게 할 수도 있다“며 ”소수에게 과도한 힘이 집중되는 것을 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전 하버드대학교 로스쿨 교수로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업 금융 분야 대리 이사를 맡고 있는 존 코츠 이사는 2018년 발표된 논문에서 ”가까운 장래에 대략 12명의 개인이 미국 상장사 대부분에 대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대형 자산운용사가 기업의 배당을 받는 만큼 자산운용사와 기업 경영진과의 유착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이런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일부 전문가는 대형 자산운용사의 대리투표 권한을 없애 펀드에 가입한 투자자에게 투표권을 돌려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 달리 코츠 이사는 거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12명을 겨냥한 맞춤형 규제를 제안하고 있다. 그가 현재 SEC의 임원으로 재직 중이기 때문에 그의 이런 제안도 무게감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수의 지원 세력 포진 엔진 넘버원의 오리어리 이사는 이런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일축하며 행동주의 투자가 힘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제는 패시브펀드가 아니라 수동적인 주주의 태도“라며 ”전통적으로 인덱스펀드는 지배구조나 스튜어드십에 대한 투자에 나설 유인이 없었으나, 지금은 지속가능한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투자자들이 변화를 촉진하는 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우려와 기대 속에 출시된 엔진 넘버원의 ETF는 0.05%의 낮은 수수료와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일단 성공적인 첫걸음을 내디뎠다. 디지털 투자회사 베터먼트 등이 이미 이 ETF의 편입 의사를 밝혔다. 행동주의 투자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견해에도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다만 이들이 원하는 일을 이루면서 다른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가 남아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사람과 지구를 지키기 위해 투자한다고 광고하는 ESG 펀드들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공격을 감행하며 수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의 목숨을 앗아가고 있는 러시아 기업 주식이나 자산에 투자하는 게 정당하냐를 두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논란은 ESG 투자가 말 그대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같은 기업의 비재무적인 리스크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 반드시 '윤리적인 투자'여야 하느냐는논란으로도 옮겨붙고 있다.  6일(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타임스와 블룸버그 등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글로벌 ESG 펀드들은 러시아 국영 에너지 기업인 가즈프롬(Gazprom)과 로즈네프트(Rosneft)는 물론이고 러시아 최대 은행인 스베르방크(Sberbank)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또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독재 통치자금으로 쓰이는 러시아 국채에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ESG 투자는 실패했다" 커지는 자성론 ESG 전문가인 폴 클레멘츠-헌트는 이를 두고 “ESG 투자는 실패했다”면서 “ESG가 비효율적으로 남용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투자자들이 기업 리스크뿐만 아니라 경제 및 정치 시스템 전반의 리스크를 평가해야 하지만 쉽게 돈을 버는 데 눈이 멀어 연관된 리스크를 무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예상하지 않았던 ESG 투자 세계의 이면을 드러내주고 있다. 가령 모닝스타 연구원들은 전 세계 ESG 펀드의 14%가 전쟁 전부터 이미 러시아 자산에 투자해온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나타식스 투자운용 산하 ESG 투자회사인 미로바(Mirova)의 필립 자우아티 CEO는 “우크라이나 사태는 지금까지 우리가 접한 가장 중요한 ESG 이슈 중 하나”라면서 “이것은 에너지 및 인권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며, 우리가 여전히 민주주의 사회에 살고 있는지를 묻게 해주는 이슈”라고 강조했다. "ESG 펀드는 윤리적 펀드가 아니다" 주장도  하지만 ESG 투자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전문가들 중 일부는 ESG라는 용어가 광범위하게 오해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ESG 데이터로 작업하고 분석하는 대기업들은 ESG를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같은 기업의 비재무적인 리스크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스크리닝 도구’ 정도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모닝스타의 글로벌 지속가능성 연구 수석인 호텐스 비오이는 “여전히 지속가능성과 윤리를 같은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다”면서 “지속가능한 ESG 펀드들은 윤리적 펀드들과는 엄연히 다르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ESG 펀드들은 전통 무기와 화석연료 생산업체를 포함해서 광범위한 기업들에 투자해도 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세계 최대 ESG 상장지수펀드(ETF)인 블랙록의 아이셰어스 ESG 어웨어 MSCI USA 펀드는 미국 우주항공 방위산업기업인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와 정유회사인 엑슨 모빌 같은 기업들의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  비오이는 따라서 "ESG펀드 운용사들도 러시아 자산 보유 유무와 상관없이 다른 운용사들처럼 현재의 투자 여건을 파악하고, 전쟁이 미칠 광범위한 영향과 그것이 자신들이 운용 중인 포트폴리오에 미칠 영향에 대해 평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착한' 러시아 기업 투자도 문제?  또 다른 일각에서는 러시아 자산 매각 시 애꿎은 우량자산 손절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다시 말해, 푸틴에 맞서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기술기업들에 대한 투자도 포기해야 하느냐는 것이다. 사회적 정의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ETF를 운용하는 아다시나 소셜 캐피탈의 창업자인 라이첼 로바시오티는 “어떤 기업이 러시아 같은 독제 정권의 꼭두각시가 아닌 이상 기업과 그 기업이 속한 국가를 구분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우리는 본사가 소재한 국가가 하는 행동을 갖고서 기업을 벌주지는 않는다”라고 말했다. 가장 오래된 사회적 책임 투자기업 중 하나인 보스턴 커먼 자산운용은 러시아 검색엔진인 얀덱스(Yandex)가 러시아의 민주주의 발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고 판단해 투자해오다가 지난달 지분을 모두 처분했다. 얀덱스의 마케팅 본부장인 케빈 하트는 “얀덱스는 인권과 공급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행동수칙을 채택해왔다”라고 말했다.  ESG 투자의 개념을 재정의해야 할 필요  전문가들은 지금이 ESG 투자자들이 ESG 투자에 대한 개념을 재정립해야할 시점이라고 말한다. 미로바의 자우아티는 “우리는 러시아 정부와 러시아 기업들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지 결정해야 한다”며 “이는 앞으로 러시아 외 다른 독재정권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기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로바는 이런 고민 끝에 러시아뿐만 아니라 중국 자산도 포트폴리오에서 배제시켰다. 조사회사인 서스테이너블 마켓 스트래티지의 상무이사인 펠릭스 보우드롤트는 "2018년부터 대(對)러시아 투자를 자제해줄 것을 고객들에게 당부해왔으며, 지금은 대중국 투자를 자제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투자자로서 기업뿐만 아니라 그 기업이 활동하는 주변 환경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라면서 “ESG 관점에서는 중국에도 투자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카카오가 14일 골목상권 관련 사업에서 철수할 계획을 전격 발표했다. 카카오 T택시 제도를 개선하고, 배달 중개서비스를 우선 중단하는 등 골목상권을 위협하는 여러 사업을 정비할 계획이다. 이 계획은 금융위의 금융플랫폼 서비스 위법 결정과 공정위 조사가 진행되는 와중에 발표된 것으로서 사업구조의 대대적인 개편을 예고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카카오가 ESG경영을 경시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카카오의 ESG평가 등급은 현재 B에 불과한 것이 이를 보여준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카카오는 ESG경영에 눈을 돌릴 것으로 기대된다. ESG평가 측면에서 긍적인 요인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실제 약속이 이행되고 후속 조치들이 취해질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다. 골목상권 관련사업에서 전격 철수 카카오에 따르면 IT혁신과 이용자들의 후생을 더할 수 있는 영역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골목 상권 논란 사업 등 이에 부합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선 계열사 정리 및 철수를 진행한다. 세부적으로 ▲골목상권 논란 사업 철수 및 혁신 사업 중심으로 구조 재편 ▲파트너 지원 확대를 위한 기금 5년간 3000억 원 조성 ▲케이큐브홀딩스의사회적 가치 창출 집중 등 회사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로 했다. 카카오 T 택시의 사회적인 영향력을 통감하고, 택시 기사와 이용자 부담이 가중되지 않도록 ▲스마트호출 서비스를 전면 폐지 ▲택시 기사 대상 프로멤버십 요금을 월 3만9000원으로 인하 ▲프로멤버십 요금과 혜택도 택시 단체와 협의를 통해 합리적인 방안 도출 등을 약속했다. 카카오는 또한 골목상권 진출 직접 가능성에 대해 우려가 있었던 기업 고객 대상 꽃・간식・샐러드배달 중개 서비스는 우선 철수키로 했다. 해당 서비스를 제공해 온 기업에 미칠 사업적 영향을 고려, 충분한 논의를 통해 점진적으로 사업을 축소해 나갈 예정이다. 사업방향의 대대적 전환 시작 김범수 의장은 “최근의 지적은 사회가 울리는 강력한 경종”이라며 “카카오와 모든 계열 회사들은 지난 10년간 추구해 왔던 성장 방식을 과감하게 버리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성장을 위한 근본적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김의장의 언급은이번 조치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앞으로 추가적인 변화가 이어질 것임을 시사한다. 공정위의 김범수 의장 조사 공정위는 카카오가 최근 5년간 제출한 공정위지정자료에서 김범수 의장이 주식 100%를 보유하고 있어 실질적인 카카오의 지주회사로 볼 수 있는 케이큐브홀딩스관련 자료를 누락하거나 허위로 보고한 사실이 있는 지를 조사 중이다 공정위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공정위조사결과에 따라 김 의장이 검찰에 고발당할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공정위는 또한 금산분리 규정 위반과 관련해서도 케이큐브홀딩스를조사하고 있다. 올해 들어 케이큐브홀딩스가경영컨설팅업에서 금융투자업으로 업종을 변경했기 때문에 금융사인 케이큐브홀딩스가비금융사인 카카오를 지배하는 구조가 된 것이다. 현행 공정거래법은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대기업집단 소속 금융·보험사가 지분을 보유한 비금융·보험사에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규정한다. 즉 금융사인 케이큐브홀딩스가비금융사인 카카오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하게 되면 법을 위반하게 되는 것이다. 일단 올해 케이큐브홀딩스가업종을 변경한 후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한 사실이 없지만, 업종 변경 전이더라도 케이큐브홀딩스가사실상의 금융업을 영위했던 것으로 판단되면지금까지의 의결권 행사가 위법 행위로 인정될 수 있다. ESG측면의 중대 사안, 지속적 관찰 필요 카카오의 이번 조치는 외부환경 악화에 따른 비자발적 조치로 판단된다. 하지만 그 방향성에 대해서는 ESG 사회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또한 김 의장의 발언에서 나타나듯이 향후 추가적인 사업 변화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약속 이행 및 정부의 조치 등 중대성을 감안할 때 이번 이슈가 카카오의 ESG 사회 분야 에 미치는 평가는 일단 유보한다. 관찰 대상(Watch List)에 포함하여 향후 사태 추이를 면밀히 검토하는 게 필요하다. 김 의장이 내놓은 약속의 진정성과 지속성, 여론 동향, 정부와 정치권의 대응 등을 종합적으로 관찰하여야 한다. 이번 카카오 사태는 다른 플렛폼 기업들의 향후 ESG경영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사안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태양광과 풍력, 수력은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신재생 에너지다. 그러나 효율 측면에서 아직 화석 연료의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최근 노르웨이에서는 태양광과 수력 발전을 동시에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노르웨이 신재생 에너지 개발업체 스카텍(Scatec)은 최근 노르웨이 정부로부터 서아프리카의 비공개 된 위치에 대규모 수력 및 수상 태양광 하이브리드 에너지 생산을 위한 발전소 개발 허가를 받았다. 이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세계 최초로 운영되는 수력‧태양광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된다. 노르웨이 정부는 최근 컨소시엄을 통해 수력 및 수상 태양광 발전소 개발 목표 연구 프로젝트에 79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PV 전문업체인 오션 썬(Ocean Sun), 독립 연구 기관 스니테프(Sintef), 소프트웨어 제공업체 Prediktor, IFE(에너지 기술연구소), 노르웨이 태양광 산업 단체 솔레네르기클린겐(Solenergiklyngen) 등이 참여한다. 일반적으로 수상 태양광 발전은 기존 수력 발전소에 추가로 설치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에서 개발되는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전체적으로 발전비용이 더 적게 드는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로 새롭게 개발될 예정이다. 물의 증발과 온도차를 이용해 바람을 만들어 내는 원리를 기반으로 가동되며,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 기술을 통해 계절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더 안정적이고 가치가 높은 수력 에너지를 생산해 낸다는 목표다. 또 하이브리드 발전소 운영을 최적화하기 위해 수질 정화 기술을 보완하고, 건설 단계에서 태양광 발전소의 초기 생산 수준을 넘어서지 않도록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사물 인터넷 전문가와 함께 하이브리드 전력 생산을 최적화하는 미세 조정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제어 매커니즘을 개발한다.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해 스카텍은 노르웨이 국영 사모펀드인 Norfund로부터 ‘SN Power 수력 발전 사업’을 인수했다. SN Power는 아시아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 2.5GW 용량의 수력 에너지 생산량을 자랑한다. 스카텍 관계자는 태양광 시장 및 기술 관련 PV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는 풍부한 태양광이 있을 때만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이나 수온이 일정량 이상일 때에만 전기 생산이 가능한 수력 발전소 등과 비교했을 때, 성능이나 비용 면에서 훨씬 우수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적이면서도 청정한 재생에너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세계에서 첫 번째로 시도되는 발전소인 만큼, 성공을 위해 프로젝트 참여 기업들과 긴밀하게 협력키로 결정했다”고 밝히며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재생가능 에너지 생산의 표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세계 각국의 중앙은행과 국부펀드들이 자금 운용에 있어 ESG 정책을 잇따라 반영하고 있다. 전 세계 국부펀드의 75%와 중앙은행의 47%가 현재 ESG 투자에 대한 공식 정책을 채택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베스코 글로벌 소버린 자산운용 연구(Invesco Global Sovereign Asset Management Study)’가 최근 전 세계 81개 국부펀드와 58개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다. 이들이 운용 중인 전체 자산의 합계는 무려 약 23조 달러(약 3경 달러)에 이르기 때문에 이들의 투자 정책은 다양한 민간 기관들의 투자 전략 수립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ESG 정책 수립 국부펀드와 중앙은행 비율(%)> 이번 조사는 기관들이 기후변화와의 싸움에서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실제로 5년 전인 2017년 실시한 동조사 때에는 국부펀드의 46%와 중앙은행의 11%만이 ESG 정책을 마련해 놓고 있다고 답했다.  탄소 배출 감축 목표 수립은 아직 미진  다만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 대상 자산의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했다고 답한 국부펀드와 중앙은행 비율은 아직 높지 않았다. 그나마 국부펀드 중에는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정했다고 답한 곳이 약 30% 정도 되지만, 중앙은행 중에서는 불과 16%만 이 같은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고 밝혔다.  중앙은행들은 자체적으로 탄소 감축 정책을 정하기보다는 정부와 조율해서 정하는 게 일반적이라는 점에서, 탄소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워놓지 않은 국가들이 아직 많기 때문에 이런 결과에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탄소 감축 목표를 세웠다고 답한 중앙은행 중 약 83%는 그들이 세운 목표가 정부가 세운 목표와 일치한다고 답했다. <탄소 감축 목표 수립 여부(%)> 탄소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탄소 배출이 많은 자산 매각, 탄소 배출 감축 전환, 재생에너지 같은 기후친화적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 등의 전략이 동원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ESG 투자의 최대 걸림돌은 '명확한 규제 기준 부족'  ESG 정책을 공식적으로 운용 중인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은 ESG 정책을 적절하게 시행하기 위해 풀어야 할 다양한 도전을 언급했는데, 그중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ESG 투자를 둘러싼 명확한 규제 기준 부족’이었다. 조사 대상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의 37%가 이를 ‘심각한 도전’으로 거론했다. 그 외에는 데이터와 ESG 등급의 품질과 위장환경주의로 불리는 ‘그린워싱’에 대한 우려 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들었다. 보고서는 중동의 한 국부펀드를 거론하며 “평판 위험을 일으킬 수 있는 투명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한 자발적 시도도 확인됐다. 일정 시간이 지난 뒤 검증 및 추적 가능한 요소에 따라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일명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ing)’에 관심을 보이는 국부펀드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438
공시·평가
노르웨이 국부펀드, 한국가스공사 주식 투자 철회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medium
5-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세계 각국의 중앙은행과 국부펀드들이 자금 운용에 있어 ESG 정책을 잇따라 반영하고 있다. 전 세계 국부펀드의 75%와 중앙은행의 47%가 현재 ESG 투자에 대한 공식 정책을 채택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베스코 글로벌 소버린 자산운용 연구(Invesco Global Sovereign Asset Management Study)’가 최근 전 세계 81개 국부펀드와 58개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다. 이들이 운용 중인 전체 자산의 합계는 무려 약 23조 달러(약 3경 달러)에 이르기 때문에 이들의 투자 정책은 다양한 민간 기관들의 투자 전략 수립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ESG 정책 수립 국부펀드와 중앙은행 비율(%)> 이번 조사는 기관들이 기후변화와의 싸움에서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실제로 5년 전인 2017년 실시한 동조사 때에는 국부펀드의 46%와 중앙은행의 11%만이 ESG 정책을 마련해 놓고 있다고 답했다.  탄소 배출 감축 목표 수립은 아직 미진  다만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 대상 자산의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했다고 답한 국부펀드와 중앙은행 비율은 아직 높지 않았다. 그나마 국부펀드 중에는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정했다고 답한 곳이 약 30% 정도 되지만, 중앙은행 중에서는 불과 16%만 이 같은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고 밝혔다.  중앙은행들은 자체적으로 탄소 감축 정책을 정하기보다는 정부와 조율해서 정하는 게 일반적이라는 점에서, 탄소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워놓지 않은 국가들이 아직 많기 때문에 이런 결과에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탄소 감축 목표를 세웠다고 답한 중앙은행 중 약 83%는 그들이 세운 목표가 정부가 세운 목표와 일치한다고 답했다. <탄소 감축 목표 수립 여부(%)> 탄소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탄소 배출이 많은 자산 매각, 탄소 배출 감축 전환, 재생에너지 같은 기후친화적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 등의 전략이 동원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ESG 투자의 최대 걸림돌은 '명확한 규제 기준 부족'  ESG 정책을 공식적으로 운용 중인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은 ESG 정책을 적절하게 시행하기 위해 풀어야 할 다양한 도전을 언급했는데, 그중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ESG 투자를 둘러싼 명확한 규제 기준 부족’이었다. 조사 대상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의 37%가 이를 ‘심각한 도전’으로 거론했다. 그 외에는 데이터와 ESG 등급의 품질과 위장환경주의로 불리는 ‘그린워싱’에 대한 우려 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들었다. 보고서는 중동의 한 국부펀드를 거론하며 “평판 위험을 일으킬 수 있는 투명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한 자발적 시도도 확인됐다. 일정 시간이 지난 뒤 검증 및 추적 가능한 요소에 따라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일명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ing)’에 관심을 보이는 국부펀드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태양광과 풍력, 수력은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신재생 에너지다. 그러나 효율 측면에서 아직 화석 연료의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최근 노르웨이에서는 태양광과 수력 발전을 동시에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노르웨이 신재생 에너지 개발업체 스카텍(Scatec)은 최근 노르웨이 정부로부터 서아프리카의 비공개 된 위치에 대규모 수력 및 수상 태양광 하이브리드 에너지 생산을 위한 발전소 개발 허가를 받았다. 이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세계 최초로 운영되는 수력‧태양광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된다. 노르웨이 정부는 최근 컨소시엄을 통해 수력 및 수상 태양광 발전소 개발 목표 연구 프로젝트에 79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PV 전문업체인 오션 썬(Ocean Sun), 독립 연구 기관 스니테프(Sintef), 소프트웨어 제공업체 Prediktor, IFE(에너지 기술연구소), 노르웨이 태양광 산업 단체 솔레네르기클린겐(Solenergiklyngen) 등이 참여한다. 일반적으로 수상 태양광 발전은 기존 수력 발전소에 추가로 설치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에서 개발되는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전체적으로 발전비용이 더 적게 드는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로 새롭게 개발될 예정이다. 물의 증발과 온도차를 이용해 바람을 만들어 내는 원리를 기반으로 가동되며,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 기술을 통해 계절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더 안정적이고 가치가 높은 수력 에너지를 생산해 낸다는 목표다. 또 하이브리드 발전소 운영을 최적화하기 위해 수질 정화 기술을 보완하고, 건설 단계에서 태양광 발전소의 초기 생산 수준을 넘어서지 않도록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사물 인터넷 전문가와 함께 하이브리드 전력 생산을 최적화하는 미세 조정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제어 매커니즘을 개발한다.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해 스카텍은 노르웨이 국영 사모펀드인 Norfund로부터 ‘SN Power 수력 발전 사업’을 인수했다. SN Power는 아시아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 2.5GW 용량의 수력 에너지 생산량을 자랑한다. 스카텍 관계자는 태양광 시장 및 기술 관련 PV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는 풍부한 태양광이 있을 때만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이나 수온이 일정량 이상일 때에만 전기 생산이 가능한 수력 발전소 등과 비교했을 때, 성능이나 비용 면에서 훨씬 우수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적이면서도 청정한 재생에너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세계에서 첫 번째로 시도되는 발전소인 만큼, 성공을 위해 프로젝트 참여 기업들과 긴밀하게 협력키로 결정했다”고 밝히며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재생가능 에너지 생산의 표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카카오가 14일 골목상권 관련 사업에서 철수할 계획을 전격 발표했다. 카카오 T택시 제도를 개선하고, 배달 중개서비스를 우선 중단하는 등 골목상권을 위협하는 여러 사업을 정비할 계획이다. 이 계획은 금융위의 금융플랫폼 서비스 위법 결정과 공정위 조사가 진행되는 와중에 발표된 것으로서 사업구조의 대대적인 개편을 예고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카카오가 ESG경영을 경시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카카오의 ESG평가 등급은 현재 B에 불과한 것이 이를 보여준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카카오는 ESG경영에 눈을 돌릴 것으로 기대된다. ESG평가 측면에서 긍적인 요인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실제 약속이 이행되고 후속 조치들이 취해질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다. 골목상권 관련사업에서 전격 철수 카카오에 따르면 IT혁신과 이용자들의 후생을 더할 수 있는 영역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골목 상권 논란 사업 등 이에 부합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선 계열사 정리 및 철수를 진행한다. 세부적으로 ▲골목상권 논란 사업 철수 및 혁신 사업 중심으로 구조 재편 ▲파트너 지원 확대를 위한 기금 5년간 3000억 원 조성 ▲케이큐브홀딩스의사회적 가치 창출 집중 등 회사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로 했다. 카카오 T 택시의 사회적인 영향력을 통감하고, 택시 기사와 이용자 부담이 가중되지 않도록 ▲스마트호출 서비스를 전면 폐지 ▲택시 기사 대상 프로멤버십 요금을 월 3만9000원으로 인하 ▲프로멤버십 요금과 혜택도 택시 단체와 협의를 통해 합리적인 방안 도출 등을 약속했다. 카카오는 또한 골목상권 진출 직접 가능성에 대해 우려가 있었던 기업 고객 대상 꽃・간식・샐러드배달 중개 서비스는 우선 철수키로 했다. 해당 서비스를 제공해 온 기업에 미칠 사업적 영향을 고려, 충분한 논의를 통해 점진적으로 사업을 축소해 나갈 예정이다. 사업방향의 대대적 전환 시작 김범수 의장은 “최근의 지적은 사회가 울리는 강력한 경종”이라며 “카카오와 모든 계열 회사들은 지난 10년간 추구해 왔던 성장 방식을 과감하게 버리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성장을 위한 근본적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김의장의 언급은이번 조치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앞으로 추가적인 변화가 이어질 것임을 시사한다. 공정위의 김범수 의장 조사 공정위는 카카오가 최근 5년간 제출한 공정위지정자료에서 김범수 의장이 주식 100%를 보유하고 있어 실질적인 카카오의 지주회사로 볼 수 있는 케이큐브홀딩스관련 자료를 누락하거나 허위로 보고한 사실이 있는 지를 조사 중이다 공정위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공정위조사결과에 따라 김 의장이 검찰에 고발당할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공정위는 또한 금산분리 규정 위반과 관련해서도 케이큐브홀딩스를조사하고 있다. 올해 들어 케이큐브홀딩스가경영컨설팅업에서 금융투자업으로 업종을 변경했기 때문에 금융사인 케이큐브홀딩스가비금융사인 카카오를 지배하는 구조가 된 것이다. 현행 공정거래법은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대기업집단 소속 금융·보험사가 지분을 보유한 비금융·보험사에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규정한다. 즉 금융사인 케이큐브홀딩스가비금융사인 카카오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하게 되면 법을 위반하게 되는 것이다. 일단 올해 케이큐브홀딩스가업종을 변경한 후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한 사실이 없지만, 업종 변경 전이더라도 케이큐브홀딩스가사실상의 금융업을 영위했던 것으로 판단되면지금까지의 의결권 행사가 위법 행위로 인정될 수 있다. ESG측면의 중대 사안, 지속적 관찰 필요 카카오의 이번 조치는 외부환경 악화에 따른 비자발적 조치로 판단된다. 하지만 그 방향성에 대해서는 ESG 사회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또한 김 의장의 발언에서 나타나듯이 향후 추가적인 사업 변화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약속 이행 및 정부의 조치 등 중대성을 감안할 때 이번 이슈가 카카오의 ESG 사회 분야 에 미치는 평가는 일단 유보한다. 관찰 대상(Watch List)에 포함하여 향후 사태 추이를 면밀히 검토하는 게 필요하다. 김 의장이 내놓은 약속의 진정성과 지속성, 여론 동향, 정부와 정치권의 대응 등을 종합적으로 관찰하여야 한다. 이번 카카오 사태는 다른 플렛폼 기업들의 향후 ESG경영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사안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사람과 지구를 지키기 위해 투자한다고 광고하는 ESG 펀드들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공격을 감행하며 수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의 목숨을 앗아가고 있는 러시아 기업 주식이나 자산에 투자하는 게 정당하냐를 두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논란은 ESG 투자가 말 그대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같은 기업의 비재무적인 리스크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 반드시 '윤리적인 투자'여야 하느냐는논란으로도 옮겨붙고 있다.  6일(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타임스와 블룸버그 등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글로벌 ESG 펀드들은 러시아 국영 에너지 기업인 가즈프롬(Gazprom)과 로즈네프트(Rosneft)는 물론이고 러시아 최대 은행인 스베르방크(Sberbank)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또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독재 통치자금으로 쓰이는 러시아 국채에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ESG 투자는 실패했다" 커지는 자성론 ESG 전문가인 폴 클레멘츠-헌트는 이를 두고 “ESG 투자는 실패했다”면서 “ESG가 비효율적으로 남용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투자자들이 기업 리스크뿐만 아니라 경제 및 정치 시스템 전반의 리스크를 평가해야 하지만 쉽게 돈을 버는 데 눈이 멀어 연관된 리스크를 무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예상하지 않았던 ESG 투자 세계의 이면을 드러내주고 있다. 가령 모닝스타 연구원들은 전 세계 ESG 펀드의 14%가 전쟁 전부터 이미 러시아 자산에 투자해온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나타식스 투자운용 산하 ESG 투자회사인 미로바(Mirova)의 필립 자우아티 CEO는 “우크라이나 사태는 지금까지 우리가 접한 가장 중요한 ESG 이슈 중 하나”라면서 “이것은 에너지 및 인권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며, 우리가 여전히 민주주의 사회에 살고 있는지를 묻게 해주는 이슈”라고 강조했다. "ESG 펀드는 윤리적 펀드가 아니다" 주장도  하지만 ESG 투자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전문가들 중 일부는 ESG라는 용어가 광범위하게 오해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ESG 데이터로 작업하고 분석하는 대기업들은 ESG를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같은 기업의 비재무적인 리스크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스크리닝 도구’ 정도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모닝스타의 글로벌 지속가능성 연구 수석인 호텐스 비오이는 “여전히 지속가능성과 윤리를 같은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다”면서 “지속가능한 ESG 펀드들은 윤리적 펀드들과는 엄연히 다르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ESG 펀드들은 전통 무기와 화석연료 생산업체를 포함해서 광범위한 기업들에 투자해도 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세계 최대 ESG 상장지수펀드(ETF)인 블랙록의 아이셰어스 ESG 어웨어 MSCI USA 펀드는 미국 우주항공 방위산업기업인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와 정유회사인 엑슨 모빌 같은 기업들의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  비오이는 따라서 "ESG펀드 운용사들도 러시아 자산 보유 유무와 상관없이 다른 운용사들처럼 현재의 투자 여건을 파악하고, 전쟁이 미칠 광범위한 영향과 그것이 자신들이 운용 중인 포트폴리오에 미칠 영향에 대해 평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착한' 러시아 기업 투자도 문제?  또 다른 일각에서는 러시아 자산 매각 시 애꿎은 우량자산 손절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다시 말해, 푸틴에 맞서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기술기업들에 대한 투자도 포기해야 하느냐는 것이다. 사회적 정의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ETF를 운용하는 아다시나 소셜 캐피탈의 창업자인 라이첼 로바시오티는 “어떤 기업이 러시아 같은 독제 정권의 꼭두각시가 아닌 이상 기업과 그 기업이 속한 국가를 구분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우리는 본사가 소재한 국가가 하는 행동을 갖고서 기업을 벌주지는 않는다”라고 말했다. 가장 오래된 사회적 책임 투자기업 중 하나인 보스턴 커먼 자산운용은 러시아 검색엔진인 얀덱스(Yandex)가 러시아의 민주주의 발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고 판단해 투자해오다가 지난달 지분을 모두 처분했다. 얀덱스의 마케팅 본부장인 케빈 하트는 “얀덱스는 인권과 공급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행동수칙을 채택해왔다”라고 말했다.  ESG 투자의 개념을 재정의해야 할 필요  전문가들은 지금이 ESG 투자자들이 ESG 투자에 대한 개념을 재정립해야할 시점이라고 말한다. 미로바의 자우아티는 “우리는 러시아 정부와 러시아 기업들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지 결정해야 한다”며 “이는 앞으로 러시아 외 다른 독재정권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기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로바는 이런 고민 끝에 러시아뿐만 아니라 중국 자산도 포트폴리오에서 배제시켰다. 조사회사인 서스테이너블 마켓 스트래티지의 상무이사인 펠릭스 보우드롤트는 "2018년부터 대(對)러시아 투자를 자제해줄 것을 고객들에게 당부해왔으며, 지금은 대중국 투자를 자제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투자자로서 기업뿐만 아니라 그 기업이 활동하는 주변 환경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라면서 “ESG 관점에서는 중국에도 투자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거대 정유회사 엑손모빌의 이사진 교체를 이끈 행동주의 펀드 엔진 넘버원(Engine No.1)이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해 또 다른 주주 반란을 예고했다. CNBC는 최근 기업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이 새로운 형태의 ETF가 의도대로 기업을 바꿀 수 있을지 진단하는 분석기사를 실었다. 엔진 넘버원은 6월 말부터 시장에서 거래되기 시작한 이 엔진 넘버원 트랜스폼 500 ETF(Engine No. 1 Transform 500 ETF)가 “상장기업의 변화를 독려”하고 “기업의 직원과 지역 사회, 소비자, 환경, 영업, ESG에 대한 투자의 계량적 분석”을 추구하는 상품이라고 밝혔다. 이 상품은 출시가 예고된 직후부터 관심을 끌었다. 최근 뜨거운 관심을 얻고 있는 ETF와 ESG, 행동주의 투자가 모두 결합한 상품이기 때문이다. 이 ETF는 투자 기준에 맞춰 상품을 편입하거나 제외하는 기존 ESG ETF와 다르다. 예를 들어 청정에너지 ETF는 풍력이나 지열, 태양광 발전 관련 기업의 주식을 편입하고 화석연료 발전 기업의 주식은 멀리한다. 하지만 엔진 넘버원의 ETF는 S&P500지수와 유사한 모닝스타 US 라지캡 셀렉트 인덱스(Morningstar U.S. Large Cap Select Index)를 추종한다. 신념을 같이하는 기업의 주식을 편입하고 그렇지 않은 기업의 주식은 제외하는 기존의 ETF와 달리 추종하는 지수 편입 종목을 담고 이들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과 다른 ESG 관련 사안에 대해 적극적인 의결권을 행사한다. ETF와 뮤추얼펀드 리서치사인 CFRA의 토드 로젠블루스 이사는 “그들(엔진 넘버원)은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다른 기업의 주식을 사서 장기전을 벌이려 한다”고 말했다. 연합전선 구축이 관건 엔진 넘버원은 규모가 작은 펀드다. 독자적으로는 기업의 변화를 이끌기 어렵다. 엔진 넘버원이 보유한 엑손모빌 지분은 대략 0.02%에 불과했다. 이런 엔진 넘버원이 기후변화 대응에 미온적인 엑손모빌의 이사진 교체를 성사시킨 것은 엑손모빌의 다른 주주를 설득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투자 목표를 달성하는데 블랙록과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와 같은 대형 자산운용사와의 공조 여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유럽 자산운용사 로베코(robeco)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패시브펀드가 과거에는 ESG에 호의적으로 투표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작았다고 밝혔다. “ESG 관련 주주제안이나 이런 제안에 동조해 투표권을 행사하는 사례가 적었고 특히 대형 패시브펀드의 ESG 안건에 동조하는 투표가 적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최근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블랙록은 올해 ESG를 투자의 핵심 과제로 선정했다. 엑손모빌 주총에서 블랙록은 엔진 넘버원의 손을 들어줬고 뱅가드와 스테이트스트리트도 마찬가지였다. 펀드 평가사 모닝스타에 따르면 이들 3개 자산운용사가 보유한 엑손모빌 지분은 21%에 달했다. 일부 국부펀드도 엔진 넘버원의 편에 섰다. 이들 3개 자산운용사는 현재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모닝스타의 존 리켄세일러 부사장은 이들 3개사가 미국 전체 자산운용사가 보유한 주식 자산의 43%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과의 공조가 없으면 엔진 넘버원은 힘을 쓸 수 없다. 엔진 넘버원의 마이클 오리어리 이사는 CNBC 기자에게 이들과의 공조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속가능성과 ESG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자산운용사의 요구와 주주 권한 행사에 변화가 일고 있다”며 “우리는 적극적인 주주 권한 행사에 초점을 두고 기업의 변화를 이끄는데 기여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위험한 공조? 하지만 이런 공조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있다. 특히 투자자가 아닌 거대 자산운용사 대표가 대리투표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모닝스타의 리켄세일러 부사장은 “엔진 넘버원이 블랙록,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와 연합해 투표한 결과 ”기업의 수장뿐 아니라 연방 정부, 대다수 시민을 불편하게 할 수도 있다“며 ”소수에게 과도한 힘이 집중되는 것을 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전 하버드대학교 로스쿨 교수로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업 금융 분야 대리 이사를 맡고 있는 존 코츠 이사는 2018년 발표된 논문에서 ”가까운 장래에 대략 12명의 개인이 미국 상장사 대부분에 대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대형 자산운용사가 기업의 배당을 받는 만큼 자산운용사와 기업 경영진과의 유착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이런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일부 전문가는 대형 자산운용사의 대리투표 권한을 없애 펀드에 가입한 투자자에게 투표권을 돌려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 달리 코츠 이사는 거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12명을 겨냥한 맞춤형 규제를 제안하고 있다. 그가 현재 SEC의 임원으로 재직 중이기 때문에 그의 이런 제안도 무게감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수의 지원 세력 포진 엔진 넘버원의 오리어리 이사는 이런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일축하며 행동주의 투자가 힘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제는 패시브펀드가 아니라 수동적인 주주의 태도“라며 ”전통적으로 인덱스펀드는 지배구조나 스튜어드십에 대한 투자에 나설 유인이 없었으나, 지금은 지속가능한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투자자들이 변화를 촉진하는 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우려와 기대 속에 출시된 엔진 넘버원의 ETF는 0.05%의 낮은 수수료와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일단 성공적인 첫걸음을 내디뎠다. 디지털 투자회사 베터먼트 등이 이미 이 ETF의 편입 의사를 밝혔다. 행동주의 투자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견해에도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다만 이들이 원하는 일을 이루면서 다른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가 남아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438
공시·평가
노르웨이 국부펀드, 한국가스공사 주식 투자 철회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medium
5-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거대 정유회사 엑손모빌의 이사진 교체를 이끈 행동주의 펀드 엔진 넘버원(Engine No.1)이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해 또 다른 주주 반란을 예고했다. CNBC는 최근 기업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이 새로운 형태의 ETF가 의도대로 기업을 바꿀 수 있을지 진단하는 분석기사를 실었다. 엔진 넘버원은 6월 말부터 시장에서 거래되기 시작한 이 엔진 넘버원 트랜스폼 500 ETF(Engine No. 1 Transform 500 ETF)가 “상장기업의 변화를 독려”하고 “기업의 직원과 지역 사회, 소비자, 환경, 영업, ESG에 대한 투자의 계량적 분석”을 추구하는 상품이라고 밝혔다. 이 상품은 출시가 예고된 직후부터 관심을 끌었다. 최근 뜨거운 관심을 얻고 있는 ETF와 ESG, 행동주의 투자가 모두 결합한 상품이기 때문이다. 이 ETF는 투자 기준에 맞춰 상품을 편입하거나 제외하는 기존 ESG ETF와 다르다. 예를 들어 청정에너지 ETF는 풍력이나 지열, 태양광 발전 관련 기업의 주식을 편입하고 화석연료 발전 기업의 주식은 멀리한다. 하지만 엔진 넘버원의 ETF는 S&P500지수와 유사한 모닝스타 US 라지캡 셀렉트 인덱스(Morningstar U.S. Large Cap Select Index)를 추종한다. 신념을 같이하는 기업의 주식을 편입하고 그렇지 않은 기업의 주식은 제외하는 기존의 ETF와 달리 추종하는 지수 편입 종목을 담고 이들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과 다른 ESG 관련 사안에 대해 적극적인 의결권을 행사한다. ETF와 뮤추얼펀드 리서치사인 CFRA의 토드 로젠블루스 이사는 “그들(엔진 넘버원)은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다른 기업의 주식을 사서 장기전을 벌이려 한다”고 말했다. 연합전선 구축이 관건 엔진 넘버원은 규모가 작은 펀드다. 독자적으로는 기업의 변화를 이끌기 어렵다. 엔진 넘버원이 보유한 엑손모빌 지분은 대략 0.02%에 불과했다. 이런 엔진 넘버원이 기후변화 대응에 미온적인 엑손모빌의 이사진 교체를 성사시킨 것은 엑손모빌의 다른 주주를 설득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투자 목표를 달성하는데 블랙록과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와 같은 대형 자산운용사와의 공조 여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유럽 자산운용사 로베코(robeco)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패시브펀드가 과거에는 ESG에 호의적으로 투표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작았다고 밝혔다. “ESG 관련 주주제안이나 이런 제안에 동조해 투표권을 행사하는 사례가 적었고 특히 대형 패시브펀드의 ESG 안건에 동조하는 투표가 적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최근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블랙록은 올해 ESG를 투자의 핵심 과제로 선정했다. 엑손모빌 주총에서 블랙록은 엔진 넘버원의 손을 들어줬고 뱅가드와 스테이트스트리트도 마찬가지였다. 펀드 평가사 모닝스타에 따르면 이들 3개 자산운용사가 보유한 엑손모빌 지분은 21%에 달했다. 일부 국부펀드도 엔진 넘버원의 편에 섰다. 이들 3개 자산운용사는 현재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모닝스타의 존 리켄세일러 부사장은 이들 3개사가 미국 전체 자산운용사가 보유한 주식 자산의 43%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과의 공조가 없으면 엔진 넘버원은 힘을 쓸 수 없다. 엔진 넘버원의 마이클 오리어리 이사는 CNBC 기자에게 이들과의 공조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속가능성과 ESG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자산운용사의 요구와 주주 권한 행사에 변화가 일고 있다”며 “우리는 적극적인 주주 권한 행사에 초점을 두고 기업의 변화를 이끄는데 기여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위험한 공조? 하지만 이런 공조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있다. 특히 투자자가 아닌 거대 자산운용사 대표가 대리투표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모닝스타의 리켄세일러 부사장은 “엔진 넘버원이 블랙록,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와 연합해 투표한 결과 ”기업의 수장뿐 아니라 연방 정부, 대다수 시민을 불편하게 할 수도 있다“며 ”소수에게 과도한 힘이 집중되는 것을 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전 하버드대학교 로스쿨 교수로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업 금융 분야 대리 이사를 맡고 있는 존 코츠 이사는 2018년 발표된 논문에서 ”가까운 장래에 대략 12명의 개인이 미국 상장사 대부분에 대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대형 자산운용사가 기업의 배당을 받는 만큼 자산운용사와 기업 경영진과의 유착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이런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일부 전문가는 대형 자산운용사의 대리투표 권한을 없애 펀드에 가입한 투자자에게 투표권을 돌려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 달리 코츠 이사는 거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12명을 겨냥한 맞춤형 규제를 제안하고 있다. 그가 현재 SEC의 임원으로 재직 중이기 때문에 그의 이런 제안도 무게감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수의 지원 세력 포진 엔진 넘버원의 오리어리 이사는 이런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일축하며 행동주의 투자가 힘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제는 패시브펀드가 아니라 수동적인 주주의 태도“라며 ”전통적으로 인덱스펀드는 지배구조나 스튜어드십에 대한 투자에 나설 유인이 없었으나, 지금은 지속가능한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투자자들이 변화를 촉진하는 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우려와 기대 속에 출시된 엔진 넘버원의 ETF는 0.05%의 낮은 수수료와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일단 성공적인 첫걸음을 내디뎠다. 디지털 투자회사 베터먼트 등이 이미 이 ETF의 편입 의사를 밝혔다. 행동주의 투자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견해에도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다만 이들이 원하는 일을 이루면서 다른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가 남아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사람과 지구를 지키기 위해 투자한다고 광고하는 ESG 펀드들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공격을 감행하며 수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의 목숨을 앗아가고 있는 러시아 기업 주식이나 자산에 투자하는 게 정당하냐를 두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논란은 ESG 투자가 말 그대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같은 기업의 비재무적인 리스크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 반드시 '윤리적인 투자'여야 하느냐는논란으로도 옮겨붙고 있다.  6일(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타임스와 블룸버그 등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글로벌 ESG 펀드들은 러시아 국영 에너지 기업인 가즈프롬(Gazprom)과 로즈네프트(Rosneft)는 물론이고 러시아 최대 은행인 스베르방크(Sberbank)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또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독재 통치자금으로 쓰이는 러시아 국채에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ESG 투자는 실패했다" 커지는 자성론 ESG 전문가인 폴 클레멘츠-헌트는 이를 두고 “ESG 투자는 실패했다”면서 “ESG가 비효율적으로 남용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투자자들이 기업 리스크뿐만 아니라 경제 및 정치 시스템 전반의 리스크를 평가해야 하지만 쉽게 돈을 버는 데 눈이 멀어 연관된 리스크를 무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예상하지 않았던 ESG 투자 세계의 이면을 드러내주고 있다. 가령 모닝스타 연구원들은 전 세계 ESG 펀드의 14%가 전쟁 전부터 이미 러시아 자산에 투자해온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나타식스 투자운용 산하 ESG 투자회사인 미로바(Mirova)의 필립 자우아티 CEO는 “우크라이나 사태는 지금까지 우리가 접한 가장 중요한 ESG 이슈 중 하나”라면서 “이것은 에너지 및 인권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며, 우리가 여전히 민주주의 사회에 살고 있는지를 묻게 해주는 이슈”라고 강조했다. "ESG 펀드는 윤리적 펀드가 아니다" 주장도  하지만 ESG 투자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전문가들 중 일부는 ESG라는 용어가 광범위하게 오해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ESG 데이터로 작업하고 분석하는 대기업들은 ESG를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같은 기업의 비재무적인 리스크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스크리닝 도구’ 정도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모닝스타의 글로벌 지속가능성 연구 수석인 호텐스 비오이는 “여전히 지속가능성과 윤리를 같은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다”면서 “지속가능한 ESG 펀드들은 윤리적 펀드들과는 엄연히 다르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ESG 펀드들은 전통 무기와 화석연료 생산업체를 포함해서 광범위한 기업들에 투자해도 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세계 최대 ESG 상장지수펀드(ETF)인 블랙록의 아이셰어스 ESG 어웨어 MSCI USA 펀드는 미국 우주항공 방위산업기업인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와 정유회사인 엑슨 모빌 같은 기업들의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  비오이는 따라서 "ESG펀드 운용사들도 러시아 자산 보유 유무와 상관없이 다른 운용사들처럼 현재의 투자 여건을 파악하고, 전쟁이 미칠 광범위한 영향과 그것이 자신들이 운용 중인 포트폴리오에 미칠 영향에 대해 평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착한' 러시아 기업 투자도 문제?  또 다른 일각에서는 러시아 자산 매각 시 애꿎은 우량자산 손절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다시 말해, 푸틴에 맞서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기술기업들에 대한 투자도 포기해야 하느냐는 것이다. 사회적 정의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ETF를 운용하는 아다시나 소셜 캐피탈의 창업자인 라이첼 로바시오티는 “어떤 기업이 러시아 같은 독제 정권의 꼭두각시가 아닌 이상 기업과 그 기업이 속한 국가를 구분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우리는 본사가 소재한 국가가 하는 행동을 갖고서 기업을 벌주지는 않는다”라고 말했다. 가장 오래된 사회적 책임 투자기업 중 하나인 보스턴 커먼 자산운용은 러시아 검색엔진인 얀덱스(Yandex)가 러시아의 민주주의 발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고 판단해 투자해오다가 지난달 지분을 모두 처분했다. 얀덱스의 마케팅 본부장인 케빈 하트는 “얀덱스는 인권과 공급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행동수칙을 채택해왔다”라고 말했다.  ESG 투자의 개념을 재정의해야 할 필요  전문가들은 지금이 ESG 투자자들이 ESG 투자에 대한 개념을 재정립해야할 시점이라고 말한다. 미로바의 자우아티는 “우리는 러시아 정부와 러시아 기업들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지 결정해야 한다”며 “이는 앞으로 러시아 외 다른 독재정권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기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로바는 이런 고민 끝에 러시아뿐만 아니라 중국 자산도 포트폴리오에서 배제시켰다. 조사회사인 서스테이너블 마켓 스트래티지의 상무이사인 펠릭스 보우드롤트는 "2018년부터 대(對)러시아 투자를 자제해줄 것을 고객들에게 당부해왔으며, 지금은 대중국 투자를 자제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투자자로서 기업뿐만 아니라 그 기업이 활동하는 주변 환경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라면서 “ESG 관점에서는 중국에도 투자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카카오가 14일 골목상권 관련 사업에서 철수할 계획을 전격 발표했다. 카카오 T택시 제도를 개선하고, 배달 중개서비스를 우선 중단하는 등 골목상권을 위협하는 여러 사업을 정비할 계획이다. 이 계획은 금융위의 금융플랫폼 서비스 위법 결정과 공정위 조사가 진행되는 와중에 발표된 것으로서 사업구조의 대대적인 개편을 예고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카카오가 ESG경영을 경시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카카오의 ESG평가 등급은 현재 B에 불과한 것이 이를 보여준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카카오는 ESG경영에 눈을 돌릴 것으로 기대된다. ESG평가 측면에서 긍적인 요인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실제 약속이 이행되고 후속 조치들이 취해질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다. 골목상권 관련사업에서 전격 철수 카카오에 따르면 IT혁신과 이용자들의 후생을 더할 수 있는 영역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골목 상권 논란 사업 등 이에 부합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선 계열사 정리 및 철수를 진행한다. 세부적으로 ▲골목상권 논란 사업 철수 및 혁신 사업 중심으로 구조 재편 ▲파트너 지원 확대를 위한 기금 5년간 3000억 원 조성 ▲케이큐브홀딩스의사회적 가치 창출 집중 등 회사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로 했다. 카카오 T 택시의 사회적인 영향력을 통감하고, 택시 기사와 이용자 부담이 가중되지 않도록 ▲스마트호출 서비스를 전면 폐지 ▲택시 기사 대상 프로멤버십 요금을 월 3만9000원으로 인하 ▲프로멤버십 요금과 혜택도 택시 단체와 협의를 통해 합리적인 방안 도출 등을 약속했다. 카카오는 또한 골목상권 진출 직접 가능성에 대해 우려가 있었던 기업 고객 대상 꽃・간식・샐러드배달 중개 서비스는 우선 철수키로 했다. 해당 서비스를 제공해 온 기업에 미칠 사업적 영향을 고려, 충분한 논의를 통해 점진적으로 사업을 축소해 나갈 예정이다. 사업방향의 대대적 전환 시작 김범수 의장은 “최근의 지적은 사회가 울리는 강력한 경종”이라며 “카카오와 모든 계열 회사들은 지난 10년간 추구해 왔던 성장 방식을 과감하게 버리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성장을 위한 근본적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김의장의 언급은이번 조치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앞으로 추가적인 변화가 이어질 것임을 시사한다. 공정위의 김범수 의장 조사 공정위는 카카오가 최근 5년간 제출한 공정위지정자료에서 김범수 의장이 주식 100%를 보유하고 있어 실질적인 카카오의 지주회사로 볼 수 있는 케이큐브홀딩스관련 자료를 누락하거나 허위로 보고한 사실이 있는 지를 조사 중이다 공정위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공정위조사결과에 따라 김 의장이 검찰에 고발당할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공정위는 또한 금산분리 규정 위반과 관련해서도 케이큐브홀딩스를조사하고 있다. 올해 들어 케이큐브홀딩스가경영컨설팅업에서 금융투자업으로 업종을 변경했기 때문에 금융사인 케이큐브홀딩스가비금융사인 카카오를 지배하는 구조가 된 것이다. 현행 공정거래법은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대기업집단 소속 금융·보험사가 지분을 보유한 비금융·보험사에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규정한다. 즉 금융사인 케이큐브홀딩스가비금융사인 카카오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하게 되면 법을 위반하게 되는 것이다. 일단 올해 케이큐브홀딩스가업종을 변경한 후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한 사실이 없지만, 업종 변경 전이더라도 케이큐브홀딩스가사실상의 금융업을 영위했던 것으로 판단되면지금까지의 의결권 행사가 위법 행위로 인정될 수 있다. ESG측면의 중대 사안, 지속적 관찰 필요 카카오의 이번 조치는 외부환경 악화에 따른 비자발적 조치로 판단된다. 하지만 그 방향성에 대해서는 ESG 사회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또한 김 의장의 발언에서 나타나듯이 향후 추가적인 사업 변화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약속 이행 및 정부의 조치 등 중대성을 감안할 때 이번 이슈가 카카오의 ESG 사회 분야 에 미치는 평가는 일단 유보한다. 관찰 대상(Watch List)에 포함하여 향후 사태 추이를 면밀히 검토하는 게 필요하다. 김 의장이 내놓은 약속의 진정성과 지속성, 여론 동향, 정부와 정치권의 대응 등을 종합적으로 관찰하여야 한다. 이번 카카오 사태는 다른 플렛폼 기업들의 향후 ESG경영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사안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태양광과 풍력, 수력은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신재생 에너지다. 그러나 효율 측면에서 아직 화석 연료의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최근 노르웨이에서는 태양광과 수력 발전을 동시에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노르웨이 신재생 에너지 개발업체 스카텍(Scatec)은 최근 노르웨이 정부로부터 서아프리카의 비공개 된 위치에 대규모 수력 및 수상 태양광 하이브리드 에너지 생산을 위한 발전소 개발 허가를 받았다. 이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세계 최초로 운영되는 수력‧태양광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된다. 노르웨이 정부는 최근 컨소시엄을 통해 수력 및 수상 태양광 발전소 개발 목표 연구 프로젝트에 79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PV 전문업체인 오션 썬(Ocean Sun), 독립 연구 기관 스니테프(Sintef), 소프트웨어 제공업체 Prediktor, IFE(에너지 기술연구소), 노르웨이 태양광 산업 단체 솔레네르기클린겐(Solenergiklyngen) 등이 참여한다. 일반적으로 수상 태양광 발전은 기존 수력 발전소에 추가로 설치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에서 개발되는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전체적으로 발전비용이 더 적게 드는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로 새롭게 개발될 예정이다. 물의 증발과 온도차를 이용해 바람을 만들어 내는 원리를 기반으로 가동되며,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 기술을 통해 계절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더 안정적이고 가치가 높은 수력 에너지를 생산해 낸다는 목표다. 또 하이브리드 발전소 운영을 최적화하기 위해 수질 정화 기술을 보완하고, 건설 단계에서 태양광 발전소의 초기 생산 수준을 넘어서지 않도록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사물 인터넷 전문가와 함께 하이브리드 전력 생산을 최적화하는 미세 조정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제어 매커니즘을 개발한다.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해 스카텍은 노르웨이 국영 사모펀드인 Norfund로부터 ‘SN Power 수력 발전 사업’을 인수했다. SN Power는 아시아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 2.5GW 용량의 수력 에너지 생산량을 자랑한다. 스카텍 관계자는 태양광 시장 및 기술 관련 PV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는 풍부한 태양광이 있을 때만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이나 수온이 일정량 이상일 때에만 전기 생산이 가능한 수력 발전소 등과 비교했을 때, 성능이나 비용 면에서 훨씬 우수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적이면서도 청정한 재생에너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세계에서 첫 번째로 시도되는 발전소인 만큼, 성공을 위해 프로젝트 참여 기업들과 긴밀하게 협력키로 결정했다”고 밝히며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재생가능 에너지 생산의 표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세계 각국의 중앙은행과 국부펀드들이 자금 운용에 있어 ESG 정책을 잇따라 반영하고 있다. 전 세계 국부펀드의 75%와 중앙은행의 47%가 현재 ESG 투자에 대한 공식 정책을 채택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베스코 글로벌 소버린 자산운용 연구(Invesco Global Sovereign Asset Management Study)’가 최근 전 세계 81개 국부펀드와 58개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다. 이들이 운용 중인 전체 자산의 합계는 무려 약 23조 달러(약 3경 달러)에 이르기 때문에 이들의 투자 정책은 다양한 민간 기관들의 투자 전략 수립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ESG 정책 수립 국부펀드와 중앙은행 비율(%)> 이번 조사는 기관들이 기후변화와의 싸움에서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실제로 5년 전인 2017년 실시한 동조사 때에는 국부펀드의 46%와 중앙은행의 11%만이 ESG 정책을 마련해 놓고 있다고 답했다.  탄소 배출 감축 목표 수립은 아직 미진  다만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 대상 자산의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했다고 답한 국부펀드와 중앙은행 비율은 아직 높지 않았다. 그나마 국부펀드 중에는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정했다고 답한 곳이 약 30% 정도 되지만, 중앙은행 중에서는 불과 16%만 이 같은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고 밝혔다.  중앙은행들은 자체적으로 탄소 감축 정책을 정하기보다는 정부와 조율해서 정하는 게 일반적이라는 점에서, 탄소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워놓지 않은 국가들이 아직 많기 때문에 이런 결과에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탄소 감축 목표를 세웠다고 답한 중앙은행 중 약 83%는 그들이 세운 목표가 정부가 세운 목표와 일치한다고 답했다. <탄소 감축 목표 수립 여부(%)> 탄소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탄소 배출이 많은 자산 매각, 탄소 배출 감축 전환, 재생에너지 같은 기후친화적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 등의 전략이 동원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ESG 투자의 최대 걸림돌은 '명확한 규제 기준 부족'  ESG 정책을 공식적으로 운용 중인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은 ESG 정책을 적절하게 시행하기 위해 풀어야 할 다양한 도전을 언급했는데, 그중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ESG 투자를 둘러싼 명확한 규제 기준 부족’이었다. 조사 대상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의 37%가 이를 ‘심각한 도전’으로 거론했다. 그 외에는 데이터와 ESG 등급의 품질과 위장환경주의로 불리는 ‘그린워싱’에 대한 우려 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들었다. 보고서는 중동의 한 국부펀드를 거론하며 “평판 위험을 일으킬 수 있는 투명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한 자발적 시도도 확인됐다. 일정 시간이 지난 뒤 검증 및 추적 가능한 요소에 따라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일명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ing)’에 관심을 보이는 국부펀드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438
공시·평가
노르웨이 국부펀드, 한국가스공사 주식 투자 철회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medium
5-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세계 각국의 중앙은행과 국부펀드들이 자금 운용에 있어 ESG 정책을 잇따라 반영하고 있다. 전 세계 국부펀드의 75%와 중앙은행의 47%가 현재 ESG 투자에 대한 공식 정책을 채택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베스코 글로벌 소버린 자산운용 연구(Invesco Global Sovereign Asset Management Study)’가 최근 전 세계 81개 국부펀드와 58개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다. 이들이 운용 중인 전체 자산의 합계는 무려 약 23조 달러(약 3경 달러)에 이르기 때문에 이들의 투자 정책은 다양한 민간 기관들의 투자 전략 수립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ESG 정책 수립 국부펀드와 중앙은행 비율(%)> 이번 조사는 기관들이 기후변화와의 싸움에서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실제로 5년 전인 2017년 실시한 동조사 때에는 국부펀드의 46%와 중앙은행의 11%만이 ESG 정책을 마련해 놓고 있다고 답했다.  탄소 배출 감축 목표 수립은 아직 미진  다만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 대상 자산의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했다고 답한 국부펀드와 중앙은행 비율은 아직 높지 않았다. 그나마 국부펀드 중에는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정했다고 답한 곳이 약 30% 정도 되지만, 중앙은행 중에서는 불과 16%만 이 같은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고 밝혔다.  중앙은행들은 자체적으로 탄소 감축 정책을 정하기보다는 정부와 조율해서 정하는 게 일반적이라는 점에서, 탄소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워놓지 않은 국가들이 아직 많기 때문에 이런 결과에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탄소 감축 목표를 세웠다고 답한 중앙은행 중 약 83%는 그들이 세운 목표가 정부가 세운 목표와 일치한다고 답했다. <탄소 감축 목표 수립 여부(%)> 탄소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탄소 배출이 많은 자산 매각, 탄소 배출 감축 전환, 재생에너지 같은 기후친화적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 등의 전략이 동원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ESG 투자의 최대 걸림돌은 '명확한 규제 기준 부족'  ESG 정책을 공식적으로 운용 중인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은 ESG 정책을 적절하게 시행하기 위해 풀어야 할 다양한 도전을 언급했는데, 그중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ESG 투자를 둘러싼 명확한 규제 기준 부족’이었다. 조사 대상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의 37%가 이를 ‘심각한 도전’으로 거론했다. 그 외에는 데이터와 ESG 등급의 품질과 위장환경주의로 불리는 ‘그린워싱’에 대한 우려 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들었다. 보고서는 중동의 한 국부펀드를 거론하며 “평판 위험을 일으킬 수 있는 투명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한 자발적 시도도 확인됐다. 일정 시간이 지난 뒤 검증 및 추적 가능한 요소에 따라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일명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ing)’에 관심을 보이는 국부펀드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태양광과 풍력, 수력은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신재생 에너지다. 그러나 효율 측면에서 아직 화석 연료의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최근 노르웨이에서는 태양광과 수력 발전을 동시에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노르웨이 신재생 에너지 개발업체 스카텍(Scatec)은 최근 노르웨이 정부로부터 서아프리카의 비공개 된 위치에 대규모 수력 및 수상 태양광 하이브리드 에너지 생산을 위한 발전소 개발 허가를 받았다. 이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세계 최초로 운영되는 수력‧태양광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된다. 노르웨이 정부는 최근 컨소시엄을 통해 수력 및 수상 태양광 발전소 개발 목표 연구 프로젝트에 79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PV 전문업체인 오션 썬(Ocean Sun), 독립 연구 기관 스니테프(Sintef), 소프트웨어 제공업체 Prediktor, IFE(에너지 기술연구소), 노르웨이 태양광 산업 단체 솔레네르기클린겐(Solenergiklyngen) 등이 참여한다. 일반적으로 수상 태양광 발전은 기존 수력 발전소에 추가로 설치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에서 개발되는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전체적으로 발전비용이 더 적게 드는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로 새롭게 개발될 예정이다. 물의 증발과 온도차를 이용해 바람을 만들어 내는 원리를 기반으로 가동되며,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 기술을 통해 계절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더 안정적이고 가치가 높은 수력 에너지를 생산해 낸다는 목표다. 또 하이브리드 발전소 운영을 최적화하기 위해 수질 정화 기술을 보완하고, 건설 단계에서 태양광 발전소의 초기 생산 수준을 넘어서지 않도록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사물 인터넷 전문가와 함께 하이브리드 전력 생산을 최적화하는 미세 조정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제어 매커니즘을 개발한다.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해 스카텍은 노르웨이 국영 사모펀드인 Norfund로부터 ‘SN Power 수력 발전 사업’을 인수했다. SN Power는 아시아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 2.5GW 용량의 수력 에너지 생산량을 자랑한다. 스카텍 관계자는 태양광 시장 및 기술 관련 PV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는 풍부한 태양광이 있을 때만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이나 수온이 일정량 이상일 때에만 전기 생산이 가능한 수력 발전소 등과 비교했을 때, 성능이나 비용 면에서 훨씬 우수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적이면서도 청정한 재생에너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세계에서 첫 번째로 시도되는 발전소인 만큼, 성공을 위해 프로젝트 참여 기업들과 긴밀하게 협력키로 결정했다”고 밝히며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재생가능 에너지 생산의 표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카카오가 14일 골목상권 관련 사업에서 철수할 계획을 전격 발표했다. 카카오 T택시 제도를 개선하고, 배달 중개서비스를 우선 중단하는 등 골목상권을 위협하는 여러 사업을 정비할 계획이다. 이 계획은 금융위의 금융플랫폼 서비스 위법 결정과 공정위 조사가 진행되는 와중에 발표된 것으로서 사업구조의 대대적인 개편을 예고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카카오가 ESG경영을 경시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카카오의 ESG평가 등급은 현재 B에 불과한 것이 이를 보여준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카카오는 ESG경영에 눈을 돌릴 것으로 기대된다. ESG평가 측면에서 긍적인 요인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실제 약속이 이행되고 후속 조치들이 취해질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다. 골목상권 관련사업에서 전격 철수 카카오에 따르면 IT혁신과 이용자들의 후생을 더할 수 있는 영역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골목 상권 논란 사업 등 이에 부합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선 계열사 정리 및 철수를 진행한다. 세부적으로 ▲골목상권 논란 사업 철수 및 혁신 사업 중심으로 구조 재편 ▲파트너 지원 확대를 위한 기금 5년간 3000억 원 조성 ▲케이큐브홀딩스의사회적 가치 창출 집중 등 회사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로 했다. 카카오 T 택시의 사회적인 영향력을 통감하고, 택시 기사와 이용자 부담이 가중되지 않도록 ▲스마트호출 서비스를 전면 폐지 ▲택시 기사 대상 프로멤버십 요금을 월 3만9000원으로 인하 ▲프로멤버십 요금과 혜택도 택시 단체와 협의를 통해 합리적인 방안 도출 등을 약속했다. 카카오는 또한 골목상권 진출 직접 가능성에 대해 우려가 있었던 기업 고객 대상 꽃・간식・샐러드배달 중개 서비스는 우선 철수키로 했다. 해당 서비스를 제공해 온 기업에 미칠 사업적 영향을 고려, 충분한 논의를 통해 점진적으로 사업을 축소해 나갈 예정이다. 사업방향의 대대적 전환 시작 김범수 의장은 “최근의 지적은 사회가 울리는 강력한 경종”이라며 “카카오와 모든 계열 회사들은 지난 10년간 추구해 왔던 성장 방식을 과감하게 버리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성장을 위한 근본적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김의장의 언급은이번 조치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앞으로 추가적인 변화가 이어질 것임을 시사한다. 공정위의 김범수 의장 조사 공정위는 카카오가 최근 5년간 제출한 공정위지정자료에서 김범수 의장이 주식 100%를 보유하고 있어 실질적인 카카오의 지주회사로 볼 수 있는 케이큐브홀딩스관련 자료를 누락하거나 허위로 보고한 사실이 있는 지를 조사 중이다 공정위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공정위조사결과에 따라 김 의장이 검찰에 고발당할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공정위는 또한 금산분리 규정 위반과 관련해서도 케이큐브홀딩스를조사하고 있다. 올해 들어 케이큐브홀딩스가경영컨설팅업에서 금융투자업으로 업종을 변경했기 때문에 금융사인 케이큐브홀딩스가비금융사인 카카오를 지배하는 구조가 된 것이다. 현행 공정거래법은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대기업집단 소속 금융·보험사가 지분을 보유한 비금융·보험사에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규정한다. 즉 금융사인 케이큐브홀딩스가비금융사인 카카오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하게 되면 법을 위반하게 되는 것이다. 일단 올해 케이큐브홀딩스가업종을 변경한 후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한 사실이 없지만, 업종 변경 전이더라도 케이큐브홀딩스가사실상의 금융업을 영위했던 것으로 판단되면지금까지의 의결권 행사가 위법 행위로 인정될 수 있다. ESG측면의 중대 사안, 지속적 관찰 필요 카카오의 이번 조치는 외부환경 악화에 따른 비자발적 조치로 판단된다. 하지만 그 방향성에 대해서는 ESG 사회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또한 김 의장의 발언에서 나타나듯이 향후 추가적인 사업 변화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약속 이행 및 정부의 조치 등 중대성을 감안할 때 이번 이슈가 카카오의 ESG 사회 분야 에 미치는 평가는 일단 유보한다. 관찰 대상(Watch List)에 포함하여 향후 사태 추이를 면밀히 검토하는 게 필요하다. 김 의장이 내놓은 약속의 진정성과 지속성, 여론 동향, 정부와 정치권의 대응 등을 종합적으로 관찰하여야 한다. 이번 카카오 사태는 다른 플렛폼 기업들의 향후 ESG경영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사안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사람과 지구를 지키기 위해 투자한다고 광고하는 ESG 펀드들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공격을 감행하며 수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의 목숨을 앗아가고 있는 러시아 기업 주식이나 자산에 투자하는 게 정당하냐를 두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논란은 ESG 투자가 말 그대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같은 기업의 비재무적인 리스크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 반드시 '윤리적인 투자'여야 하느냐는논란으로도 옮겨붙고 있다.  6일(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타임스와 블룸버그 등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글로벌 ESG 펀드들은 러시아 국영 에너지 기업인 가즈프롬(Gazprom)과 로즈네프트(Rosneft)는 물론이고 러시아 최대 은행인 스베르방크(Sberbank)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또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독재 통치자금으로 쓰이는 러시아 국채에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ESG 투자는 실패했다" 커지는 자성론 ESG 전문가인 폴 클레멘츠-헌트는 이를 두고 “ESG 투자는 실패했다”면서 “ESG가 비효율적으로 남용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투자자들이 기업 리스크뿐만 아니라 경제 및 정치 시스템 전반의 리스크를 평가해야 하지만 쉽게 돈을 버는 데 눈이 멀어 연관된 리스크를 무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예상하지 않았던 ESG 투자 세계의 이면을 드러내주고 있다. 가령 모닝스타 연구원들은 전 세계 ESG 펀드의 14%가 전쟁 전부터 이미 러시아 자산에 투자해온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나타식스 투자운용 산하 ESG 투자회사인 미로바(Mirova)의 필립 자우아티 CEO는 “우크라이나 사태는 지금까지 우리가 접한 가장 중요한 ESG 이슈 중 하나”라면서 “이것은 에너지 및 인권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며, 우리가 여전히 민주주의 사회에 살고 있는지를 묻게 해주는 이슈”라고 강조했다. "ESG 펀드는 윤리적 펀드가 아니다" 주장도  하지만 ESG 투자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전문가들 중 일부는 ESG라는 용어가 광범위하게 오해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ESG 데이터로 작업하고 분석하는 대기업들은 ESG를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같은 기업의 비재무적인 리스크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스크리닝 도구’ 정도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모닝스타의 글로벌 지속가능성 연구 수석인 호텐스 비오이는 “여전히 지속가능성과 윤리를 같은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다”면서 “지속가능한 ESG 펀드들은 윤리적 펀드들과는 엄연히 다르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ESG 펀드들은 전통 무기와 화석연료 생산업체를 포함해서 광범위한 기업들에 투자해도 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세계 최대 ESG 상장지수펀드(ETF)인 블랙록의 아이셰어스 ESG 어웨어 MSCI USA 펀드는 미국 우주항공 방위산업기업인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와 정유회사인 엑슨 모빌 같은 기업들의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  비오이는 따라서 "ESG펀드 운용사들도 러시아 자산 보유 유무와 상관없이 다른 운용사들처럼 현재의 투자 여건을 파악하고, 전쟁이 미칠 광범위한 영향과 그것이 자신들이 운용 중인 포트폴리오에 미칠 영향에 대해 평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착한' 러시아 기업 투자도 문제?  또 다른 일각에서는 러시아 자산 매각 시 애꿎은 우량자산 손절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다시 말해, 푸틴에 맞서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기술기업들에 대한 투자도 포기해야 하느냐는 것이다. 사회적 정의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ETF를 운용하는 아다시나 소셜 캐피탈의 창업자인 라이첼 로바시오티는 “어떤 기업이 러시아 같은 독제 정권의 꼭두각시가 아닌 이상 기업과 그 기업이 속한 국가를 구분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우리는 본사가 소재한 국가가 하는 행동을 갖고서 기업을 벌주지는 않는다”라고 말했다. 가장 오래된 사회적 책임 투자기업 중 하나인 보스턴 커먼 자산운용은 러시아 검색엔진인 얀덱스(Yandex)가 러시아의 민주주의 발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고 판단해 투자해오다가 지난달 지분을 모두 처분했다. 얀덱스의 마케팅 본부장인 케빈 하트는 “얀덱스는 인권과 공급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행동수칙을 채택해왔다”라고 말했다.  ESG 투자의 개념을 재정의해야 할 필요  전문가들은 지금이 ESG 투자자들이 ESG 투자에 대한 개념을 재정립해야할 시점이라고 말한다. 미로바의 자우아티는 “우리는 러시아 정부와 러시아 기업들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지 결정해야 한다”며 “이는 앞으로 러시아 외 다른 독재정권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기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로바는 이런 고민 끝에 러시아뿐만 아니라 중국 자산도 포트폴리오에서 배제시켰다. 조사회사인 서스테이너블 마켓 스트래티지의 상무이사인 펠릭스 보우드롤트는 "2018년부터 대(對)러시아 투자를 자제해줄 것을 고객들에게 당부해왔으며, 지금은 대중국 투자를 자제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투자자로서 기업뿐만 아니라 그 기업이 활동하는 주변 환경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라면서 “ESG 관점에서는 중국에도 투자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거대 정유회사 엑손모빌의 이사진 교체를 이끈 행동주의 펀드 엔진 넘버원(Engine No.1)이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해 또 다른 주주 반란을 예고했다. CNBC는 최근 기업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이 새로운 형태의 ETF가 의도대로 기업을 바꿀 수 있을지 진단하는 분석기사를 실었다. 엔진 넘버원은 6월 말부터 시장에서 거래되기 시작한 이 엔진 넘버원 트랜스폼 500 ETF(Engine No. 1 Transform 500 ETF)가 “상장기업의 변화를 독려”하고 “기업의 직원과 지역 사회, 소비자, 환경, 영업, ESG에 대한 투자의 계량적 분석”을 추구하는 상품이라고 밝혔다. 이 상품은 출시가 예고된 직후부터 관심을 끌었다. 최근 뜨거운 관심을 얻고 있는 ETF와 ESG, 행동주의 투자가 모두 결합한 상품이기 때문이다. 이 ETF는 투자 기준에 맞춰 상품을 편입하거나 제외하는 기존 ESG ETF와 다르다. 예를 들어 청정에너지 ETF는 풍력이나 지열, 태양광 발전 관련 기업의 주식을 편입하고 화석연료 발전 기업의 주식은 멀리한다. 하지만 엔진 넘버원의 ETF는 S&P500지수와 유사한 모닝스타 US 라지캡 셀렉트 인덱스(Morningstar U.S. Large Cap Select Index)를 추종한다. 신념을 같이하는 기업의 주식을 편입하고 그렇지 않은 기업의 주식은 제외하는 기존의 ETF와 달리 추종하는 지수 편입 종목을 담고 이들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과 다른 ESG 관련 사안에 대해 적극적인 의결권을 행사한다. ETF와 뮤추얼펀드 리서치사인 CFRA의 토드 로젠블루스 이사는 “그들(엔진 넘버원)은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다른 기업의 주식을 사서 장기전을 벌이려 한다”고 말했다. 연합전선 구축이 관건 엔진 넘버원은 규모가 작은 펀드다. 독자적으로는 기업의 변화를 이끌기 어렵다. 엔진 넘버원이 보유한 엑손모빌 지분은 대략 0.02%에 불과했다. 이런 엔진 넘버원이 기후변화 대응에 미온적인 엑손모빌의 이사진 교체를 성사시킨 것은 엑손모빌의 다른 주주를 설득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투자 목표를 달성하는데 블랙록과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와 같은 대형 자산운용사와의 공조 여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유럽 자산운용사 로베코(robeco)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패시브펀드가 과거에는 ESG에 호의적으로 투표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작았다고 밝혔다. “ESG 관련 주주제안이나 이런 제안에 동조해 투표권을 행사하는 사례가 적었고 특히 대형 패시브펀드의 ESG 안건에 동조하는 투표가 적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최근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블랙록은 올해 ESG를 투자의 핵심 과제로 선정했다. 엑손모빌 주총에서 블랙록은 엔진 넘버원의 손을 들어줬고 뱅가드와 스테이트스트리트도 마찬가지였다. 펀드 평가사 모닝스타에 따르면 이들 3개 자산운용사가 보유한 엑손모빌 지분은 21%에 달했다. 일부 국부펀드도 엔진 넘버원의 편에 섰다. 이들 3개 자산운용사는 현재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모닝스타의 존 리켄세일러 부사장은 이들 3개사가 미국 전체 자산운용사가 보유한 주식 자산의 43%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과의 공조가 없으면 엔진 넘버원은 힘을 쓸 수 없다. 엔진 넘버원의 마이클 오리어리 이사는 CNBC 기자에게 이들과의 공조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속가능성과 ESG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자산운용사의 요구와 주주 권한 행사에 변화가 일고 있다”며 “우리는 적극적인 주주 권한 행사에 초점을 두고 기업의 변화를 이끄는데 기여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위험한 공조? 하지만 이런 공조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있다. 특히 투자자가 아닌 거대 자산운용사 대표가 대리투표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모닝스타의 리켄세일러 부사장은 “엔진 넘버원이 블랙록,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와 연합해 투표한 결과 ”기업의 수장뿐 아니라 연방 정부, 대다수 시민을 불편하게 할 수도 있다“며 ”소수에게 과도한 힘이 집중되는 것을 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전 하버드대학교 로스쿨 교수로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업 금융 분야 대리 이사를 맡고 있는 존 코츠 이사는 2018년 발표된 논문에서 ”가까운 장래에 대략 12명의 개인이 미국 상장사 대부분에 대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대형 자산운용사가 기업의 배당을 받는 만큼 자산운용사와 기업 경영진과의 유착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이런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일부 전문가는 대형 자산운용사의 대리투표 권한을 없애 펀드에 가입한 투자자에게 투표권을 돌려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 달리 코츠 이사는 거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12명을 겨냥한 맞춤형 규제를 제안하고 있다. 그가 현재 SEC의 임원으로 재직 중이기 때문에 그의 이런 제안도 무게감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수의 지원 세력 포진 엔진 넘버원의 오리어리 이사는 이런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일축하며 행동주의 투자가 힘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제는 패시브펀드가 아니라 수동적인 주주의 태도“라며 ”전통적으로 인덱스펀드는 지배구조나 스튜어드십에 대한 투자에 나설 유인이 없었으나, 지금은 지속가능한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투자자들이 변화를 촉진하는 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우려와 기대 속에 출시된 엔진 넘버원의 ETF는 0.05%의 낮은 수수료와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일단 성공적인 첫걸음을 내디뎠다. 디지털 투자회사 베터먼트 등이 이미 이 ETF의 편입 의사를 밝혔다. 행동주의 투자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견해에도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다만 이들이 원하는 일을 이루면서 다른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가 남아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438
공시·평가
노르웨이 국부펀드, 한국가스공사 주식 투자 철회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medium
3-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거대 정유회사 엑손모빌의 이사진 교체를 이끈 행동주의 펀드 엔진 넘버원(Engine No.1)이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해 또 다른 주주 반란을 예고했다. CNBC는 최근 기업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이 새로운 형태의 ETF가 의도대로 기업을 바꿀 수 있을지 진단하는 분석기사를 실었다. 엔진 넘버원은 6월 말부터 시장에서 거래되기 시작한 이 엔진 넘버원 트랜스폼 500 ETF(Engine No. 1 Transform 500 ETF)가 “상장기업의 변화를 독려”하고 “기업의 직원과 지역 사회, 소비자, 환경, 영업, ESG에 대한 투자의 계량적 분석”을 추구하는 상품이라고 밝혔다. 이 상품은 출시가 예고된 직후부터 관심을 끌었다. 최근 뜨거운 관심을 얻고 있는 ETF와 ESG, 행동주의 투자가 모두 결합한 상품이기 때문이다. 이 ETF는 투자 기준에 맞춰 상품을 편입하거나 제외하는 기존 ESG ETF와 다르다. 예를 들어 청정에너지 ETF는 풍력이나 지열, 태양광 발전 관련 기업의 주식을 편입하고 화석연료 발전 기업의 주식은 멀리한다. 하지만 엔진 넘버원의 ETF는 S&P500지수와 유사한 모닝스타 US 라지캡 셀렉트 인덱스(Morningstar U.S. Large Cap Select Index)를 추종한다. 신념을 같이하는 기업의 주식을 편입하고 그렇지 않은 기업의 주식은 제외하는 기존의 ETF와 달리 추종하는 지수 편입 종목을 담고 이들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과 다른 ESG 관련 사안에 대해 적극적인 의결권을 행사한다. ETF와 뮤추얼펀드 리서치사인 CFRA의 토드 로젠블루스 이사는 “그들(엔진 넘버원)은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다른 기업의 주식을 사서 장기전을 벌이려 한다”고 말했다. 연합전선 구축이 관건 엔진 넘버원은 규모가 작은 펀드다. 독자적으로는 기업의 변화를 이끌기 어렵다. 엔진 넘버원이 보유한 엑손모빌 지분은 대략 0.02%에 불과했다. 이런 엔진 넘버원이 기후변화 대응에 미온적인 엑손모빌의 이사진 교체를 성사시킨 것은 엑손모빌의 다른 주주를 설득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투자 목표를 달성하는데 블랙록과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와 같은 대형 자산운용사와의 공조 여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유럽 자산운용사 로베코(robeco)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패시브펀드가 과거에는 ESG에 호의적으로 투표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작았다고 밝혔다. “ESG 관련 주주제안이나 이런 제안에 동조해 투표권을 행사하는 사례가 적었고 특히 대형 패시브펀드의 ESG 안건에 동조하는 투표가 적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최근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블랙록은 올해 ESG를 투자의 핵심 과제로 선정했다. 엑손모빌 주총에서 블랙록은 엔진 넘버원의 손을 들어줬고 뱅가드와 스테이트스트리트도 마찬가지였다. 펀드 평가사 모닝스타에 따르면 이들 3개 자산운용사가 보유한 엑손모빌 지분은 21%에 달했다. 일부 국부펀드도 엔진 넘버원의 편에 섰다. 이들 3개 자산운용사는 현재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모닝스타의 존 리켄세일러 부사장은 이들 3개사가 미국 전체 자산운용사가 보유한 주식 자산의 43%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과의 공조가 없으면 엔진 넘버원은 힘을 쓸 수 없다. 엔진 넘버원의 마이클 오리어리 이사는 CNBC 기자에게 이들과의 공조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속가능성과 ESG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자산운용사의 요구와 주주 권한 행사에 변화가 일고 있다”며 “우리는 적극적인 주주 권한 행사에 초점을 두고 기업의 변화를 이끄는데 기여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위험한 공조? 하지만 이런 공조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있다. 특히 투자자가 아닌 거대 자산운용사 대표가 대리투표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모닝스타의 리켄세일러 부사장은 “엔진 넘버원이 블랙록,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와 연합해 투표한 결과 ”기업의 수장뿐 아니라 연방 정부, 대다수 시민을 불편하게 할 수도 있다“며 ”소수에게 과도한 힘이 집중되는 것을 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전 하버드대학교 로스쿨 교수로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업 금융 분야 대리 이사를 맡고 있는 존 코츠 이사는 2018년 발표된 논문에서 ”가까운 장래에 대략 12명의 개인이 미국 상장사 대부분에 대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대형 자산운용사가 기업의 배당을 받는 만큼 자산운용사와 기업 경영진과의 유착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이런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일부 전문가는 대형 자산운용사의 대리투표 권한을 없애 펀드에 가입한 투자자에게 투표권을 돌려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 달리 코츠 이사는 거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12명을 겨냥한 맞춤형 규제를 제안하고 있다. 그가 현재 SEC의 임원으로 재직 중이기 때문에 그의 이런 제안도 무게감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수의 지원 세력 포진 엔진 넘버원의 오리어리 이사는 이런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일축하며 행동주의 투자가 힘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제는 패시브펀드가 아니라 수동적인 주주의 태도“라며 ”전통적으로 인덱스펀드는 지배구조나 스튜어드십에 대한 투자에 나설 유인이 없었으나, 지금은 지속가능한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투자자들이 변화를 촉진하는 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우려와 기대 속에 출시된 엔진 넘버원의 ETF는 0.05%의 낮은 수수료와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일단 성공적인 첫걸음을 내디뎠다. 디지털 투자회사 베터먼트 등이 이미 이 ETF의 편입 의사를 밝혔다. 행동주의 투자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견해에도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다만 이들이 원하는 일을 이루면서 다른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가 남아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태양광과 풍력, 수력은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신재생 에너지다. 그러나 효율 측면에서 아직 화석 연료의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최근 노르웨이에서는 태양광과 수력 발전을 동시에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노르웨이 신재생 에너지 개발업체 스카텍(Scatec)은 최근 노르웨이 정부로부터 서아프리카의 비공개 된 위치에 대규모 수력 및 수상 태양광 하이브리드 에너지 생산을 위한 발전소 개발 허가를 받았다. 이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세계 최초로 운영되는 수력‧태양광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된다. 노르웨이 정부는 최근 컨소시엄을 통해 수력 및 수상 태양광 발전소 개발 목표 연구 프로젝트에 79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PV 전문업체인 오션 썬(Ocean Sun), 독립 연구 기관 스니테프(Sintef), 소프트웨어 제공업체 Prediktor, IFE(에너지 기술연구소), 노르웨이 태양광 산업 단체 솔레네르기클린겐(Solenergiklyngen) 등이 참여한다. 일반적으로 수상 태양광 발전은 기존 수력 발전소에 추가로 설치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에서 개발되는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전체적으로 발전비용이 더 적게 드는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로 새롭게 개발될 예정이다. 물의 증발과 온도차를 이용해 바람을 만들어 내는 원리를 기반으로 가동되며,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 기술을 통해 계절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더 안정적이고 가치가 높은 수력 에너지를 생산해 낸다는 목표다. 또 하이브리드 발전소 운영을 최적화하기 위해 수질 정화 기술을 보완하고, 건설 단계에서 태양광 발전소의 초기 생산 수준을 넘어서지 않도록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사물 인터넷 전문가와 함께 하이브리드 전력 생산을 최적화하는 미세 조정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제어 매커니즘을 개발한다.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해 스카텍은 노르웨이 국영 사모펀드인 Norfund로부터 ‘SN Power 수력 발전 사업’을 인수했다. SN Power는 아시아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 2.5GW 용량의 수력 에너지 생산량을 자랑한다. 스카텍 관계자는 태양광 시장 및 기술 관련 PV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는 풍부한 태양광이 있을 때만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이나 수온이 일정량 이상일 때에만 전기 생산이 가능한 수력 발전소 등과 비교했을 때, 성능이나 비용 면에서 훨씬 우수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적이면서도 청정한 재생에너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세계에서 첫 번째로 시도되는 발전소인 만큼, 성공을 위해 프로젝트 참여 기업들과 긴밀하게 협력키로 결정했다”고 밝히며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재생가능 에너지 생산의 표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세계 각국의 중앙은행과 국부펀드들이 자금 운용에 있어 ESG 정책을 잇따라 반영하고 있다. 전 세계 국부펀드의 75%와 중앙은행의 47%가 현재 ESG 투자에 대한 공식 정책을 채택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베스코 글로벌 소버린 자산운용 연구(Invesco Global Sovereign Asset Management Study)’가 최근 전 세계 81개 국부펀드와 58개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다. 이들이 운용 중인 전체 자산의 합계는 무려 약 23조 달러(약 3경 달러)에 이르기 때문에 이들의 투자 정책은 다양한 민간 기관들의 투자 전략 수립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ESG 정책 수립 국부펀드와 중앙은행 비율(%)> 이번 조사는 기관들이 기후변화와의 싸움에서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실제로 5년 전인 2017년 실시한 동조사 때에는 국부펀드의 46%와 중앙은행의 11%만이 ESG 정책을 마련해 놓고 있다고 답했다.  탄소 배출 감축 목표 수립은 아직 미진  다만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 대상 자산의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했다고 답한 국부펀드와 중앙은행 비율은 아직 높지 않았다. 그나마 국부펀드 중에는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정했다고 답한 곳이 약 30% 정도 되지만, 중앙은행 중에서는 불과 16%만 이 같은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고 밝혔다.  중앙은행들은 자체적으로 탄소 감축 정책을 정하기보다는 정부와 조율해서 정하는 게 일반적이라는 점에서, 탄소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워놓지 않은 국가들이 아직 많기 때문에 이런 결과에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탄소 감축 목표를 세웠다고 답한 중앙은행 중 약 83%는 그들이 세운 목표가 정부가 세운 목표와 일치한다고 답했다. <탄소 감축 목표 수립 여부(%)> 탄소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탄소 배출이 많은 자산 매각, 탄소 배출 감축 전환, 재생에너지 같은 기후친화적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 등의 전략이 동원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ESG 투자의 최대 걸림돌은 '명확한 규제 기준 부족'  ESG 정책을 공식적으로 운용 중인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은 ESG 정책을 적절하게 시행하기 위해 풀어야 할 다양한 도전을 언급했는데, 그중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ESG 투자를 둘러싼 명확한 규제 기준 부족’이었다. 조사 대상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의 37%가 이를 ‘심각한 도전’으로 거론했다. 그 외에는 데이터와 ESG 등급의 품질과 위장환경주의로 불리는 ‘그린워싱’에 대한 우려 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들었다. 보고서는 중동의 한 국부펀드를 거론하며 “평판 위험을 일으킬 수 있는 투명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한 자발적 시도도 확인됐다. 일정 시간이 지난 뒤 검증 및 추적 가능한 요소에 따라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일명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ing)’에 관심을 보이는 국부펀드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438
공시·평가
노르웨이 국부펀드, 한국가스공사 주식 투자 철회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medium
3-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세계 각국의 중앙은행과 국부펀드들이 자금 운용에 있어 ESG 정책을 잇따라 반영하고 있다. 전 세계 국부펀드의 75%와 중앙은행의 47%가 현재 ESG 투자에 대한 공식 정책을 채택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베스코 글로벌 소버린 자산운용 연구(Invesco Global Sovereign Asset Management Study)’가 최근 전 세계 81개 국부펀드와 58개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다. 이들이 운용 중인 전체 자산의 합계는 무려 약 23조 달러(약 3경 달러)에 이르기 때문에 이들의 투자 정책은 다양한 민간 기관들의 투자 전략 수립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ESG 정책 수립 국부펀드와 중앙은행 비율(%)> 이번 조사는 기관들이 기후변화와의 싸움에서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실제로 5년 전인 2017년 실시한 동조사 때에는 국부펀드의 46%와 중앙은행의 11%만이 ESG 정책을 마련해 놓고 있다고 답했다.  탄소 배출 감축 목표 수립은 아직 미진  다만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 대상 자산의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했다고 답한 국부펀드와 중앙은행 비율은 아직 높지 않았다. 그나마 국부펀드 중에는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정했다고 답한 곳이 약 30% 정도 되지만, 중앙은행 중에서는 불과 16%만 이 같은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고 밝혔다.  중앙은행들은 자체적으로 탄소 감축 정책을 정하기보다는 정부와 조율해서 정하는 게 일반적이라는 점에서, 탄소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워놓지 않은 국가들이 아직 많기 때문에 이런 결과에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탄소 감축 목표를 세웠다고 답한 중앙은행 중 약 83%는 그들이 세운 목표가 정부가 세운 목표와 일치한다고 답했다. <탄소 감축 목표 수립 여부(%)> 탄소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탄소 배출이 많은 자산 매각, 탄소 배출 감축 전환, 재생에너지 같은 기후친화적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 등의 전략이 동원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ESG 투자의 최대 걸림돌은 '명확한 규제 기준 부족'  ESG 정책을 공식적으로 운용 중인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은 ESG 정책을 적절하게 시행하기 위해 풀어야 할 다양한 도전을 언급했는데, 그중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ESG 투자를 둘러싼 명확한 규제 기준 부족’이었다. 조사 대상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의 37%가 이를 ‘심각한 도전’으로 거론했다. 그 외에는 데이터와 ESG 등급의 품질과 위장환경주의로 불리는 ‘그린워싱’에 대한 우려 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들었다. 보고서는 중동의 한 국부펀드를 거론하며 “평판 위험을 일으킬 수 있는 투명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한 자발적 시도도 확인됐다. 일정 시간이 지난 뒤 검증 및 추적 가능한 요소에 따라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일명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ing)’에 관심을 보이는 국부펀드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태양광과 풍력, 수력은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신재생 에너지다. 그러나 효율 측면에서 아직 화석 연료의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최근 노르웨이에서는 태양광과 수력 발전을 동시에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노르웨이 신재생 에너지 개발업체 스카텍(Scatec)은 최근 노르웨이 정부로부터 서아프리카의 비공개 된 위치에 대규모 수력 및 수상 태양광 하이브리드 에너지 생산을 위한 발전소 개발 허가를 받았다. 이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세계 최초로 운영되는 수력‧태양광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된다. 노르웨이 정부는 최근 컨소시엄을 통해 수력 및 수상 태양광 발전소 개발 목표 연구 프로젝트에 79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PV 전문업체인 오션 썬(Ocean Sun), 독립 연구 기관 스니테프(Sintef), 소프트웨어 제공업체 Prediktor, IFE(에너지 기술연구소), 노르웨이 태양광 산업 단체 솔레네르기클린겐(Solenergiklyngen) 등이 참여한다. 일반적으로 수상 태양광 발전은 기존 수력 발전소에 추가로 설치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에서 개발되는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전체적으로 발전비용이 더 적게 드는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로 새롭게 개발될 예정이다. 물의 증발과 온도차를 이용해 바람을 만들어 내는 원리를 기반으로 가동되며,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 기술을 통해 계절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더 안정적이고 가치가 높은 수력 에너지를 생산해 낸다는 목표다. 또 하이브리드 발전소 운영을 최적화하기 위해 수질 정화 기술을 보완하고, 건설 단계에서 태양광 발전소의 초기 생산 수준을 넘어서지 않도록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사물 인터넷 전문가와 함께 하이브리드 전력 생산을 최적화하는 미세 조정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제어 매커니즘을 개발한다.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해 스카텍은 노르웨이 국영 사모펀드인 Norfund로부터 ‘SN Power 수력 발전 사업’을 인수했다. SN Power는 아시아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 2.5GW 용량의 수력 에너지 생산량을 자랑한다. 스카텍 관계자는 태양광 시장 및 기술 관련 PV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는 풍부한 태양광이 있을 때만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이나 수온이 일정량 이상일 때에만 전기 생산이 가능한 수력 발전소 등과 비교했을 때, 성능이나 비용 면에서 훨씬 우수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적이면서도 청정한 재생에너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세계에서 첫 번째로 시도되는 발전소인 만큼, 성공을 위해 프로젝트 참여 기업들과 긴밀하게 협력키로 결정했다”고 밝히며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재생가능 에너지 생산의 표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거대 정유회사 엑손모빌의 이사진 교체를 이끈 행동주의 펀드 엔진 넘버원(Engine No.1)이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해 또 다른 주주 반란을 예고했다. CNBC는 최근 기업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이 새로운 형태의 ETF가 의도대로 기업을 바꿀 수 있을지 진단하는 분석기사를 실었다. 엔진 넘버원은 6월 말부터 시장에서 거래되기 시작한 이 엔진 넘버원 트랜스폼 500 ETF(Engine No. 1 Transform 500 ETF)가 “상장기업의 변화를 독려”하고 “기업의 직원과 지역 사회, 소비자, 환경, 영업, ESG에 대한 투자의 계량적 분석”을 추구하는 상품이라고 밝혔다. 이 상품은 출시가 예고된 직후부터 관심을 끌었다. 최근 뜨거운 관심을 얻고 있는 ETF와 ESG, 행동주의 투자가 모두 결합한 상품이기 때문이다. 이 ETF는 투자 기준에 맞춰 상품을 편입하거나 제외하는 기존 ESG ETF와 다르다. 예를 들어 청정에너지 ETF는 풍력이나 지열, 태양광 발전 관련 기업의 주식을 편입하고 화석연료 발전 기업의 주식은 멀리한다. 하지만 엔진 넘버원의 ETF는 S&P500지수와 유사한 모닝스타 US 라지캡 셀렉트 인덱스(Morningstar U.S. Large Cap Select Index)를 추종한다. 신념을 같이하는 기업의 주식을 편입하고 그렇지 않은 기업의 주식은 제외하는 기존의 ETF와 달리 추종하는 지수 편입 종목을 담고 이들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과 다른 ESG 관련 사안에 대해 적극적인 의결권을 행사한다. ETF와 뮤추얼펀드 리서치사인 CFRA의 토드 로젠블루스 이사는 “그들(엔진 넘버원)은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다른 기업의 주식을 사서 장기전을 벌이려 한다”고 말했다. 연합전선 구축이 관건 엔진 넘버원은 규모가 작은 펀드다. 독자적으로는 기업의 변화를 이끌기 어렵다. 엔진 넘버원이 보유한 엑손모빌 지분은 대략 0.02%에 불과했다. 이런 엔진 넘버원이 기후변화 대응에 미온적인 엑손모빌의 이사진 교체를 성사시킨 것은 엑손모빌의 다른 주주를 설득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투자 목표를 달성하는데 블랙록과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와 같은 대형 자산운용사와의 공조 여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유럽 자산운용사 로베코(robeco)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패시브펀드가 과거에는 ESG에 호의적으로 투표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작았다고 밝혔다. “ESG 관련 주주제안이나 이런 제안에 동조해 투표권을 행사하는 사례가 적었고 특히 대형 패시브펀드의 ESG 안건에 동조하는 투표가 적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최근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블랙록은 올해 ESG를 투자의 핵심 과제로 선정했다. 엑손모빌 주총에서 블랙록은 엔진 넘버원의 손을 들어줬고 뱅가드와 스테이트스트리트도 마찬가지였다. 펀드 평가사 모닝스타에 따르면 이들 3개 자산운용사가 보유한 엑손모빌 지분은 21%에 달했다. 일부 국부펀드도 엔진 넘버원의 편에 섰다. 이들 3개 자산운용사는 현재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모닝스타의 존 리켄세일러 부사장은 이들 3개사가 미국 전체 자산운용사가 보유한 주식 자산의 43%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과의 공조가 없으면 엔진 넘버원은 힘을 쓸 수 없다. 엔진 넘버원의 마이클 오리어리 이사는 CNBC 기자에게 이들과의 공조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속가능성과 ESG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자산운용사의 요구와 주주 권한 행사에 변화가 일고 있다”며 “우리는 적극적인 주주 권한 행사에 초점을 두고 기업의 변화를 이끄는데 기여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위험한 공조? 하지만 이런 공조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있다. 특히 투자자가 아닌 거대 자산운용사 대표가 대리투표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모닝스타의 리켄세일러 부사장은 “엔진 넘버원이 블랙록,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와 연합해 투표한 결과 ”기업의 수장뿐 아니라 연방 정부, 대다수 시민을 불편하게 할 수도 있다“며 ”소수에게 과도한 힘이 집중되는 것을 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전 하버드대학교 로스쿨 교수로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업 금융 분야 대리 이사를 맡고 있는 존 코츠 이사는 2018년 발표된 논문에서 ”가까운 장래에 대략 12명의 개인이 미국 상장사 대부분에 대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대형 자산운용사가 기업의 배당을 받는 만큼 자산운용사와 기업 경영진과의 유착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이런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일부 전문가는 대형 자산운용사의 대리투표 권한을 없애 펀드에 가입한 투자자에게 투표권을 돌려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 달리 코츠 이사는 거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12명을 겨냥한 맞춤형 규제를 제안하고 있다. 그가 현재 SEC의 임원으로 재직 중이기 때문에 그의 이런 제안도 무게감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수의 지원 세력 포진 엔진 넘버원의 오리어리 이사는 이런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일축하며 행동주의 투자가 힘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제는 패시브펀드가 아니라 수동적인 주주의 태도“라며 ”전통적으로 인덱스펀드는 지배구조나 스튜어드십에 대한 투자에 나설 유인이 없었으나, 지금은 지속가능한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투자자들이 변화를 촉진하는 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우려와 기대 속에 출시된 엔진 넘버원의 ETF는 0.05%의 낮은 수수료와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일단 성공적인 첫걸음을 내디뎠다. 디지털 투자회사 베터먼트 등이 이미 이 ETF의 편입 의사를 밝혔다. 행동주의 투자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견해에도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다만 이들이 원하는 일을 이루면서 다른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가 남아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438
공시·평가
노르웨이 국부펀드, 한국가스공사 주식 투자 철회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medium
3-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세계 각국의 중앙은행과 국부펀드들이 자금 운용에 있어 ESG 정책을 잇따라 반영하고 있다. 전 세계 국부펀드의 75%와 중앙은행의 47%가 현재 ESG 투자에 대한 공식 정책을 채택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베스코 글로벌 소버린 자산운용 연구(Invesco Global Sovereign Asset Management Study)’가 최근 전 세계 81개 국부펀드와 58개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다. 이들이 운용 중인 전체 자산의 합계는 무려 약 23조 달러(약 3경 달러)에 이르기 때문에 이들의 투자 정책은 다양한 민간 기관들의 투자 전략 수립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ESG 정책 수립 국부펀드와 중앙은행 비율(%)> 이번 조사는 기관들이 기후변화와의 싸움에서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실제로 5년 전인 2017년 실시한 동조사 때에는 국부펀드의 46%와 중앙은행의 11%만이 ESG 정책을 마련해 놓고 있다고 답했다.  탄소 배출 감축 목표 수립은 아직 미진  다만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 대상 자산의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했다고 답한 국부펀드와 중앙은행 비율은 아직 높지 않았다. 그나마 국부펀드 중에는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정했다고 답한 곳이 약 30% 정도 되지만, 중앙은행 중에서는 불과 16%만 이 같은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고 밝혔다.  중앙은행들은 자체적으로 탄소 감축 정책을 정하기보다는 정부와 조율해서 정하는 게 일반적이라는 점에서, 탄소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워놓지 않은 국가들이 아직 많기 때문에 이런 결과에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탄소 감축 목표를 세웠다고 답한 중앙은행 중 약 83%는 그들이 세운 목표가 정부가 세운 목표와 일치한다고 답했다. <탄소 감축 목표 수립 여부(%)> 탄소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탄소 배출이 많은 자산 매각, 탄소 배출 감축 전환, 재생에너지 같은 기후친화적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 등의 전략이 동원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ESG 투자의 최대 걸림돌은 '명확한 규제 기준 부족'  ESG 정책을 공식적으로 운용 중인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은 ESG 정책을 적절하게 시행하기 위해 풀어야 할 다양한 도전을 언급했는데, 그중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ESG 투자를 둘러싼 명확한 규제 기준 부족’이었다. 조사 대상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의 37%가 이를 ‘심각한 도전’으로 거론했다. 그 외에는 데이터와 ESG 등급의 품질과 위장환경주의로 불리는 ‘그린워싱’에 대한 우려 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들었다. 보고서는 중동의 한 국부펀드를 거론하며 “평판 위험을 일으킬 수 있는 투명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한 자발적 시도도 확인됐다. 일정 시간이 지난 뒤 검증 및 추적 가능한 요소에 따라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일명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ing)’에 관심을 보이는 국부펀드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태양광과 풍력, 수력은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신재생 에너지다. 그러나 효율 측면에서 아직 화석 연료의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최근 노르웨이에서는 태양광과 수력 발전을 동시에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노르웨이 신재생 에너지 개발업체 스카텍(Scatec)은 최근 노르웨이 정부로부터 서아프리카의 비공개 된 위치에 대규모 수력 및 수상 태양광 하이브리드 에너지 생산을 위한 발전소 개발 허가를 받았다. 이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세계 최초로 운영되는 수력‧태양광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된다. 노르웨이 정부는 최근 컨소시엄을 통해 수력 및 수상 태양광 발전소 개발 목표 연구 프로젝트에 79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PV 전문업체인 오션 썬(Ocean Sun), 독립 연구 기관 스니테프(Sintef), 소프트웨어 제공업체 Prediktor, IFE(에너지 기술연구소), 노르웨이 태양광 산업 단체 솔레네르기클린겐(Solenergiklyngen) 등이 참여한다. 일반적으로 수상 태양광 발전은 기존 수력 발전소에 추가로 설치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에서 개발되는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전체적으로 발전비용이 더 적게 드는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로 새롭게 개발될 예정이다. 물의 증발과 온도차를 이용해 바람을 만들어 내는 원리를 기반으로 가동되며,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 기술을 통해 계절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더 안정적이고 가치가 높은 수력 에너지를 생산해 낸다는 목표다. 또 하이브리드 발전소 운영을 최적화하기 위해 수질 정화 기술을 보완하고, 건설 단계에서 태양광 발전소의 초기 생산 수준을 넘어서지 않도록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사물 인터넷 전문가와 함께 하이브리드 전력 생산을 최적화하는 미세 조정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제어 매커니즘을 개발한다.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해 스카텍은 노르웨이 국영 사모펀드인 Norfund로부터 ‘SN Power 수력 발전 사업’을 인수했다. SN Power는 아시아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 2.5GW 용량의 수력 에너지 생산량을 자랑한다. 스카텍 관계자는 태양광 시장 및 기술 관련 PV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는 풍부한 태양광이 있을 때만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이나 수온이 일정량 이상일 때에만 전기 생산이 가능한 수력 발전소 등과 비교했을 때, 성능이나 비용 면에서 훨씬 우수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적이면서도 청정한 재생에너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세계에서 첫 번째로 시도되는 발전소인 만큼, 성공을 위해 프로젝트 참여 기업들과 긴밀하게 협력키로 결정했다”고 밝히며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재생가능 에너지 생산의 표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거대 정유회사 엑손모빌의 이사진 교체를 이끈 행동주의 펀드 엔진 넘버원(Engine No.1)이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해 또 다른 주주 반란을 예고했다. CNBC는 최근 기업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이 새로운 형태의 ETF가 의도대로 기업을 바꿀 수 있을지 진단하는 분석기사를 실었다. 엔진 넘버원은 6월 말부터 시장에서 거래되기 시작한 이 엔진 넘버원 트랜스폼 500 ETF(Engine No. 1 Transform 500 ETF)가 “상장기업의 변화를 독려”하고 “기업의 직원과 지역 사회, 소비자, 환경, 영업, ESG에 대한 투자의 계량적 분석”을 추구하는 상품이라고 밝혔다. 이 상품은 출시가 예고된 직후부터 관심을 끌었다. 최근 뜨거운 관심을 얻고 있는 ETF와 ESG, 행동주의 투자가 모두 결합한 상품이기 때문이다. 이 ETF는 투자 기준에 맞춰 상품을 편입하거나 제외하는 기존 ESG ETF와 다르다. 예를 들어 청정에너지 ETF는 풍력이나 지열, 태양광 발전 관련 기업의 주식을 편입하고 화석연료 발전 기업의 주식은 멀리한다. 하지만 엔진 넘버원의 ETF는 S&P500지수와 유사한 모닝스타 US 라지캡 셀렉트 인덱스(Morningstar U.S. Large Cap Select Index)를 추종한다. 신념을 같이하는 기업의 주식을 편입하고 그렇지 않은 기업의 주식은 제외하는 기존의 ETF와 달리 추종하는 지수 편입 종목을 담고 이들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과 다른 ESG 관련 사안에 대해 적극적인 의결권을 행사한다. ETF와 뮤추얼펀드 리서치사인 CFRA의 토드 로젠블루스 이사는 “그들(엔진 넘버원)은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다른 기업의 주식을 사서 장기전을 벌이려 한다”고 말했다. 연합전선 구축이 관건 엔진 넘버원은 규모가 작은 펀드다. 독자적으로는 기업의 변화를 이끌기 어렵다. 엔진 넘버원이 보유한 엑손모빌 지분은 대략 0.02%에 불과했다. 이런 엔진 넘버원이 기후변화 대응에 미온적인 엑손모빌의 이사진 교체를 성사시킨 것은 엑손모빌의 다른 주주를 설득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투자 목표를 달성하는데 블랙록과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와 같은 대형 자산운용사와의 공조 여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유럽 자산운용사 로베코(robeco)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패시브펀드가 과거에는 ESG에 호의적으로 투표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작았다고 밝혔다. “ESG 관련 주주제안이나 이런 제안에 동조해 투표권을 행사하는 사례가 적었고 특히 대형 패시브펀드의 ESG 안건에 동조하는 투표가 적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최근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블랙록은 올해 ESG를 투자의 핵심 과제로 선정했다. 엑손모빌 주총에서 블랙록은 엔진 넘버원의 손을 들어줬고 뱅가드와 스테이트스트리트도 마찬가지였다. 펀드 평가사 모닝스타에 따르면 이들 3개 자산운용사가 보유한 엑손모빌 지분은 21%에 달했다. 일부 국부펀드도 엔진 넘버원의 편에 섰다. 이들 3개 자산운용사는 현재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모닝스타의 존 리켄세일러 부사장은 이들 3개사가 미국 전체 자산운용사가 보유한 주식 자산의 43%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과의 공조가 없으면 엔진 넘버원은 힘을 쓸 수 없다. 엔진 넘버원의 마이클 오리어리 이사는 CNBC 기자에게 이들과의 공조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속가능성과 ESG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자산운용사의 요구와 주주 권한 행사에 변화가 일고 있다”며 “우리는 적극적인 주주 권한 행사에 초점을 두고 기업의 변화를 이끄는데 기여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위험한 공조? 하지만 이런 공조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있다. 특히 투자자가 아닌 거대 자산운용사 대표가 대리투표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모닝스타의 리켄세일러 부사장은 “엔진 넘버원이 블랙록,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와 연합해 투표한 결과 ”기업의 수장뿐 아니라 연방 정부, 대다수 시민을 불편하게 할 수도 있다“며 ”소수에게 과도한 힘이 집중되는 것을 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전 하버드대학교 로스쿨 교수로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업 금융 분야 대리 이사를 맡고 있는 존 코츠 이사는 2018년 발표된 논문에서 ”가까운 장래에 대략 12명의 개인이 미국 상장사 대부분에 대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대형 자산운용사가 기업의 배당을 받는 만큼 자산운용사와 기업 경영진과의 유착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이런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일부 전문가는 대형 자산운용사의 대리투표 권한을 없애 펀드에 가입한 투자자에게 투표권을 돌려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 달리 코츠 이사는 거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12명을 겨냥한 맞춤형 규제를 제안하고 있다. 그가 현재 SEC의 임원으로 재직 중이기 때문에 그의 이런 제안도 무게감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수의 지원 세력 포진 엔진 넘버원의 오리어리 이사는 이런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일축하며 행동주의 투자가 힘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제는 패시브펀드가 아니라 수동적인 주주의 태도“라며 ”전통적으로 인덱스펀드는 지배구조나 스튜어드십에 대한 투자에 나설 유인이 없었으나, 지금은 지속가능한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투자자들이 변화를 촉진하는 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우려와 기대 속에 출시된 엔진 넘버원의 ETF는 0.05%의 낮은 수수료와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일단 성공적인 첫걸음을 내디뎠다. 디지털 투자회사 베터먼트 등이 이미 이 ETF의 편입 의사를 밝혔다. 행동주의 투자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견해에도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다만 이들이 원하는 일을 이루면서 다른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가 남아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438
공시·평가
노르웨이 국부펀드, 한국가스공사 주식 투자 철회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medium
3-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거대 정유회사 엑손모빌의 이사진 교체를 이끈 행동주의 펀드 엔진 넘버원(Engine No.1)이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해 또 다른 주주 반란을 예고했다. CNBC는 최근 기업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이 새로운 형태의 ETF가 의도대로 기업을 바꿀 수 있을지 진단하는 분석기사를 실었다. 엔진 넘버원은 6월 말부터 시장에서 거래되기 시작한 이 엔진 넘버원 트랜스폼 500 ETF(Engine No. 1 Transform 500 ETF)가 “상장기업의 변화를 독려”하고 “기업의 직원과 지역 사회, 소비자, 환경, 영업, ESG에 대한 투자의 계량적 분석”을 추구하는 상품이라고 밝혔다. 이 상품은 출시가 예고된 직후부터 관심을 끌었다. 최근 뜨거운 관심을 얻고 있는 ETF와 ESG, 행동주의 투자가 모두 결합한 상품이기 때문이다. 이 ETF는 투자 기준에 맞춰 상품을 편입하거나 제외하는 기존 ESG ETF와 다르다. 예를 들어 청정에너지 ETF는 풍력이나 지열, 태양광 발전 관련 기업의 주식을 편입하고 화석연료 발전 기업의 주식은 멀리한다. 하지만 엔진 넘버원의 ETF는 S&P500지수와 유사한 모닝스타 US 라지캡 셀렉트 인덱스(Morningstar U.S. Large Cap Select Index)를 추종한다. 신념을 같이하는 기업의 주식을 편입하고 그렇지 않은 기업의 주식은 제외하는 기존의 ETF와 달리 추종하는 지수 편입 종목을 담고 이들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과 다른 ESG 관련 사안에 대해 적극적인 의결권을 행사한다. ETF와 뮤추얼펀드 리서치사인 CFRA의 토드 로젠블루스 이사는 “그들(엔진 넘버원)은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다른 기업의 주식을 사서 장기전을 벌이려 한다”고 말했다. 연합전선 구축이 관건 엔진 넘버원은 규모가 작은 펀드다. 독자적으로는 기업의 변화를 이끌기 어렵다. 엔진 넘버원이 보유한 엑손모빌 지분은 대략 0.02%에 불과했다. 이런 엔진 넘버원이 기후변화 대응에 미온적인 엑손모빌의 이사진 교체를 성사시킨 것은 엑손모빌의 다른 주주를 설득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투자 목표를 달성하는데 블랙록과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와 같은 대형 자산운용사와의 공조 여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유럽 자산운용사 로베코(robeco)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패시브펀드가 과거에는 ESG에 호의적으로 투표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작았다고 밝혔다. “ESG 관련 주주제안이나 이런 제안에 동조해 투표권을 행사하는 사례가 적었고 특히 대형 패시브펀드의 ESG 안건에 동조하는 투표가 적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최근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블랙록은 올해 ESG를 투자의 핵심 과제로 선정했다. 엑손모빌 주총에서 블랙록은 엔진 넘버원의 손을 들어줬고 뱅가드와 스테이트스트리트도 마찬가지였다. 펀드 평가사 모닝스타에 따르면 이들 3개 자산운용사가 보유한 엑손모빌 지분은 21%에 달했다. 일부 국부펀드도 엔진 넘버원의 편에 섰다. 이들 3개 자산운용사는 현재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모닝스타의 존 리켄세일러 부사장은 이들 3개사가 미국 전체 자산운용사가 보유한 주식 자산의 43%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과의 공조가 없으면 엔진 넘버원은 힘을 쓸 수 없다. 엔진 넘버원의 마이클 오리어리 이사는 CNBC 기자에게 이들과의 공조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속가능성과 ESG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자산운용사의 요구와 주주 권한 행사에 변화가 일고 있다”며 “우리는 적극적인 주주 권한 행사에 초점을 두고 기업의 변화를 이끄는데 기여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위험한 공조? 하지만 이런 공조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있다. 특히 투자자가 아닌 거대 자산운용사 대표가 대리투표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모닝스타의 리켄세일러 부사장은 “엔진 넘버원이 블랙록,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와 연합해 투표한 결과 ”기업의 수장뿐 아니라 연방 정부, 대다수 시민을 불편하게 할 수도 있다“며 ”소수에게 과도한 힘이 집중되는 것을 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전 하버드대학교 로스쿨 교수로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업 금융 분야 대리 이사를 맡고 있는 존 코츠 이사는 2018년 발표된 논문에서 ”가까운 장래에 대략 12명의 개인이 미국 상장사 대부분에 대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대형 자산운용사가 기업의 배당을 받는 만큼 자산운용사와 기업 경영진과의 유착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이런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일부 전문가는 대형 자산운용사의 대리투표 권한을 없애 펀드에 가입한 투자자에게 투표권을 돌려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 달리 코츠 이사는 거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12명을 겨냥한 맞춤형 규제를 제안하고 있다. 그가 현재 SEC의 임원으로 재직 중이기 때문에 그의 이런 제안도 무게감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수의 지원 세력 포진 엔진 넘버원의 오리어리 이사는 이런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일축하며 행동주의 투자가 힘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제는 패시브펀드가 아니라 수동적인 주주의 태도“라며 ”전통적으로 인덱스펀드는 지배구조나 스튜어드십에 대한 투자에 나설 유인이 없었으나, 지금은 지속가능한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투자자들이 변화를 촉진하는 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우려와 기대 속에 출시된 엔진 넘버원의 ETF는 0.05%의 낮은 수수료와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일단 성공적인 첫걸음을 내디뎠다. 디지털 투자회사 베터먼트 등이 이미 이 ETF의 편입 의사를 밝혔다. 행동주의 투자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견해에도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다만 이들이 원하는 일을 이루면서 다른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가 남아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태양광과 풍력, 수력은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신재생 에너지다. 그러나 효율 측면에서 아직 화석 연료의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최근 노르웨이에서는 태양광과 수력 발전을 동시에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노르웨이 신재생 에너지 개발업체 스카텍(Scatec)은 최근 노르웨이 정부로부터 서아프리카의 비공개 된 위치에 대규모 수력 및 수상 태양광 하이브리드 에너지 생산을 위한 발전소 개발 허가를 받았다. 이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세계 최초로 운영되는 수력‧태양광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된다. 노르웨이 정부는 최근 컨소시엄을 통해 수력 및 수상 태양광 발전소 개발 목표 연구 프로젝트에 79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PV 전문업체인 오션 썬(Ocean Sun), 독립 연구 기관 스니테프(Sintef), 소프트웨어 제공업체 Prediktor, IFE(에너지 기술연구소), 노르웨이 태양광 산업 단체 솔레네르기클린겐(Solenergiklyngen) 등이 참여한다. 일반적으로 수상 태양광 발전은 기존 수력 발전소에 추가로 설치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에서 개발되는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전체적으로 발전비용이 더 적게 드는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로 새롭게 개발될 예정이다. 물의 증발과 온도차를 이용해 바람을 만들어 내는 원리를 기반으로 가동되며,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 기술을 통해 계절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더 안정적이고 가치가 높은 수력 에너지를 생산해 낸다는 목표다. 또 하이브리드 발전소 운영을 최적화하기 위해 수질 정화 기술을 보완하고, 건설 단계에서 태양광 발전소의 초기 생산 수준을 넘어서지 않도록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사물 인터넷 전문가와 함께 하이브리드 전력 생산을 최적화하는 미세 조정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제어 매커니즘을 개발한다.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해 스카텍은 노르웨이 국영 사모펀드인 Norfund로부터 ‘SN Power 수력 발전 사업’을 인수했다. SN Power는 아시아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 2.5GW 용량의 수력 에너지 생산량을 자랑한다. 스카텍 관계자는 태양광 시장 및 기술 관련 PV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는 풍부한 태양광이 있을 때만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이나 수온이 일정량 이상일 때에만 전기 생산이 가능한 수력 발전소 등과 비교했을 때, 성능이나 비용 면에서 훨씬 우수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적이면서도 청정한 재생에너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세계에서 첫 번째로 시도되는 발전소인 만큼, 성공을 위해 프로젝트 참여 기업들과 긴밀하게 협력키로 결정했다”고 밝히며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재생가능 에너지 생산의 표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세계 각국의 중앙은행과 국부펀드들이 자금 운용에 있어 ESG 정책을 잇따라 반영하고 있다. 전 세계 국부펀드의 75%와 중앙은행의 47%가 현재 ESG 투자에 대한 공식 정책을 채택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베스코 글로벌 소버린 자산운용 연구(Invesco Global Sovereign Asset Management Study)’가 최근 전 세계 81개 국부펀드와 58개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다. 이들이 운용 중인 전체 자산의 합계는 무려 약 23조 달러(약 3경 달러)에 이르기 때문에 이들의 투자 정책은 다양한 민간 기관들의 투자 전략 수립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ESG 정책 수립 국부펀드와 중앙은행 비율(%)> 이번 조사는 기관들이 기후변화와의 싸움에서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실제로 5년 전인 2017년 실시한 동조사 때에는 국부펀드의 46%와 중앙은행의 11%만이 ESG 정책을 마련해 놓고 있다고 답했다.  탄소 배출 감축 목표 수립은 아직 미진  다만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 대상 자산의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했다고 답한 국부펀드와 중앙은행 비율은 아직 높지 않았다. 그나마 국부펀드 중에는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정했다고 답한 곳이 약 30% 정도 되지만, 중앙은행 중에서는 불과 16%만 이 같은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고 밝혔다.  중앙은행들은 자체적으로 탄소 감축 정책을 정하기보다는 정부와 조율해서 정하는 게 일반적이라는 점에서, 탄소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워놓지 않은 국가들이 아직 많기 때문에 이런 결과에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탄소 감축 목표를 세웠다고 답한 중앙은행 중 약 83%는 그들이 세운 목표가 정부가 세운 목표와 일치한다고 답했다. <탄소 감축 목표 수립 여부(%)> 탄소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탄소 배출이 많은 자산 매각, 탄소 배출 감축 전환, 재생에너지 같은 기후친화적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 등의 전략이 동원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ESG 투자의 최대 걸림돌은 '명확한 규제 기준 부족'  ESG 정책을 공식적으로 운용 중인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은 ESG 정책을 적절하게 시행하기 위해 풀어야 할 다양한 도전을 언급했는데, 그중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ESG 투자를 둘러싼 명확한 규제 기준 부족’이었다. 조사 대상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의 37%가 이를 ‘심각한 도전’으로 거론했다. 그 외에는 데이터와 ESG 등급의 품질과 위장환경주의로 불리는 ‘그린워싱’에 대한 우려 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들었다. 보고서는 중동의 한 국부펀드를 거론하며 “평판 위험을 일으킬 수 있는 투명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한 자발적 시도도 확인됐다. 일정 시간이 지난 뒤 검증 및 추적 가능한 요소에 따라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일명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ing)’에 관심을 보이는 국부펀드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438
공시·평가
노르웨이 국부펀드, 한국가스공사 주식 투자 철회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medium
1-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태양광과 풍력, 수력은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신재생 에너지다. 그러나 효율 측면에서 아직 화석 연료의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최근 노르웨이에서는 태양광과 수력 발전을 동시에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노르웨이 신재생 에너지 개발업체 스카텍(Scatec)은 최근 노르웨이 정부로부터 서아프리카의 비공개 된 위치에 대규모 수력 및 수상 태양광 하이브리드 에너지 생산을 위한 발전소 개발 허가를 받았다. 이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세계 최초로 운영되는 수력‧태양광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된다. 노르웨이 정부는 최근 컨소시엄을 통해 수력 및 수상 태양광 발전소 개발 목표 연구 프로젝트에 79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PV 전문업체인 오션 썬(Ocean Sun), 독립 연구 기관 스니테프(Sintef), 소프트웨어 제공업체 Prediktor, IFE(에너지 기술연구소), 노르웨이 태양광 산업 단체 솔레네르기클린겐(Solenergiklyngen) 등이 참여한다. 일반적으로 수상 태양광 발전은 기존 수력 발전소에 추가로 설치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에서 개발되는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전체적으로 발전비용이 더 적게 드는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로 새롭게 개발될 예정이다. 물의 증발과 온도차를 이용해 바람을 만들어 내는 원리를 기반으로 가동되며,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 기술을 통해 계절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더 안정적이고 가치가 높은 수력 에너지를 생산해 낸다는 목표다. 또 하이브리드 발전소 운영을 최적화하기 위해 수질 정화 기술을 보완하고, 건설 단계에서 태양광 발전소의 초기 생산 수준을 넘어서지 않도록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사물 인터넷 전문가와 함께 하이브리드 전력 생산을 최적화하는 미세 조정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제어 매커니즘을 개발한다.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해 스카텍은 노르웨이 국영 사모펀드인 Norfund로부터 ‘SN Power 수력 발전 사업’을 인수했다. SN Power는 아시아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 2.5GW 용량의 수력 에너지 생산량을 자랑한다. 스카텍 관계자는 태양광 시장 및 기술 관련 PV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는 풍부한 태양광이 있을 때만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이나 수온이 일정량 이상일 때에만 전기 생산이 가능한 수력 발전소 등과 비교했을 때, 성능이나 비용 면에서 훨씬 우수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적이면서도 청정한 재생에너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세계에서 첫 번째로 시도되는 발전소인 만큼, 성공을 위해 프로젝트 참여 기업들과 긴밀하게 협력키로 결정했다”고 밝히며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재생가능 에너지 생산의 표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438
공시·평가
노르웨이 국부펀드, 한국가스공사 주식 투자 철회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medium
1-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태양광과 풍력, 수력은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신재생 에너지다. 그러나 효율 측면에서 아직 화석 연료의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최근 노르웨이에서는 태양광과 수력 발전을 동시에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노르웨이 신재생 에너지 개발업체 스카텍(Scatec)은 최근 노르웨이 정부로부터 서아프리카의 비공개 된 위치에 대규모 수력 및 수상 태양광 하이브리드 에너지 생산을 위한 발전소 개발 허가를 받았다. 이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세계 최초로 운영되는 수력‧태양광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된다. 노르웨이 정부는 최근 컨소시엄을 통해 수력 및 수상 태양광 발전소 개발 목표 연구 프로젝트에 79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PV 전문업체인 오션 썬(Ocean Sun), 독립 연구 기관 스니테프(Sintef), 소프트웨어 제공업체 Prediktor, IFE(에너지 기술연구소), 노르웨이 태양광 산업 단체 솔레네르기클린겐(Solenergiklyngen) 등이 참여한다. 일반적으로 수상 태양광 발전은 기존 수력 발전소에 추가로 설치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에서 개발되는 하이브리드 발전소는 전체적으로 발전비용이 더 적게 드는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로 새롭게 개발될 예정이다. 물의 증발과 온도차를 이용해 바람을 만들어 내는 원리를 기반으로 가동되며, ‘그린필드 콤보 발전소’ 기술을 통해 계절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더 안정적이고 가치가 높은 수력 에너지를 생산해 낸다는 목표다. 또 하이브리드 발전소 운영을 최적화하기 위해 수질 정화 기술을 보완하고, 건설 단계에서 태양광 발전소의 초기 생산 수준을 넘어서지 않도록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사물 인터넷 전문가와 함께 하이브리드 전력 생산을 최적화하는 미세 조정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제어 매커니즘을 개발한다.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해 스카텍은 노르웨이 국영 사모펀드인 Norfund로부터 ‘SN Power 수력 발전 사업’을 인수했다. SN Power는 아시아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 2.5GW 용량의 수력 에너지 생산량을 자랑한다. 스카텍 관계자는 태양광 시장 및 기술 관련 PV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는 풍부한 태양광이 있을 때만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이나 수온이 일정량 이상일 때에만 전기 생산이 가능한 수력 발전소 등과 비교했을 때, 성능이나 비용 면에서 훨씬 우수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적이면서도 청정한 재생에너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세계에서 첫 번째로 시도되는 발전소인 만큼, 성공을 위해 프로젝트 참여 기업들과 긴밀하게 협력키로 결정했다”고 밝히며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재생가능 에너지 생산의 표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한국가스공사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 게일(Gail)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가스공사가 미얀마 군사정권과 관련된 기업과 사업 상 연결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부펀드 운용을 맡은 노르웨이중앙은행투자관리처(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 NBIM)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사정권 관련 기업과의 거래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개인 권리를 크게 침해할 수 있는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29일 나온 노르웨이 중앙은행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NBIM은 특정 기업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 전에 주주권한 행사를 포함한 다른 조치 적용을 검토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의 사례는 다른 조치 적용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즉시 투자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NBIM은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미얀마석유가스공사(MOGE)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이 미얀마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를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이번 결정이 다른 연기금이나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가스공사에 대한 연쇄적인 투자 철회로 이어질 지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국부펀드나 연기금이 일단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을 참고하기는 하겠지만 같은 결정을 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 ESG경영에 문제가 있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주주 권한을 행사해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요즘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자산규모가 12조4300억 크로네(약 1565조9000억원)의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전체 자산의 69.8%를 63개국 9228개 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27.5%는 48개국 1430종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나머지 2.7%는 14개국의 부동산에, 0.1%는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한국가스공사 지분의 0.21%, 게일 지분의 0.92%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28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원 떨어진 2만6800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 회사의 주가는 1년 전 4만 8000원 대에서 계속 미끄러지고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38
지속가능경제
중국, 석탄 증산 긴급 조치...전력난 해소에는 역부족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short
5-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원전을 늘려가면서 가동 원전 규모에서 곧 프랑스를 따라잡고 미국에 이어 세계 2위가 될 게 확실시된다. 현재 세계 신규 건설 원전의 약 40%가 중국에 있을 정도로 중국이 원전을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중국 원전 대부분 한국과 가까운 산둥성 등 동부 연안에 몰려 있어 한중 원자력 안전 협력의 중요성도 커질 전망이다. 4일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지난달 현재 세계에서 가동 중인 원전은 총 436기다. 국가 별로 미국이 93기(설비용량 9만5,835MW)로 가장 많고, 프랑스 56기(6만1,370MW), 중국 55기(5만3,286MW), 러시아 37기(2만7,727MW), 일본 33기(3만1,679MW), 한국 25기(2만4,489MW)  순이었다. 중국은 프랑스보다 가동 원전이 1기 적지만, 신규 원전 건설 규모가 압도적이어서 조만간 2위에 오르게 된다. 건설 중인 59기 원전 가운데 중국이 40% 지구촌 건설 중인 원전은 총 59기로 중국에서 40%에 육박하는 23기가 건설 중이다. 프랑스는 한 곳에 불과하다. 신규 원전 건설 규모에서 중국은 인도(8기), 터키(4기), 한국(3기), 러시아(3기), 이집트(3기) 등 원전 건설이 비교적 활발한 다른 나라들을 훨씬 압도했다. 승인이 나왔거나 자금 확보 방안이 확정돼 15년 내 운영 가능성이 큰 건설 예정 원전까지 더하면 중국의 원전 확대 흐름은 더욱 선명하다. 건설 중인 원전과 별개로 세계적으로 건설 예정 원전은 모두 100기로, 이 중 중국이 추진하는 것이 절반 가까운 45기에 달한다. 세계에서 원자력 발전 규모가 가장 큰 미국은 현재 1기의 원전을 건설 중이고, 3기를 추가로 건설할 계획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건설 중이거나 건설할 계획인 원전을 합치면 모두 68기다. 이 같은 추세라면 중국은 머지 않아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원전 가동국이 될 전망이다. 중국이 적극적으로 원전 확대에 나선 것은 심각한 대기 오염을 낳는 석탄 에너지 의존을 줄이기 위해서다. 중국 전체 전력 중 약 60%가 석탄을 태우는 화력발전소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WNA는 "석탄 발전 의존도가 전통적으로 높아 중국의 전력 생산은 대기 오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며 "이는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이 원전 비중을 높이려는 강력한 이유가 된다"고 밝혔다. 원전 확대에도 중국의 전체 전력 중 원전 생산 전력이 차지한 비중은 2021년 기준 5%에 불과하다. 프랑스(69%)는 물론 스웨덴(31%), 한국(28%), 영국(15%), 독일(12%), 일본(7%) 등에 미치지 못한다. 중국 원전은 한반도에 엄청난 잠재 위협...”후쿠시마 오염수는 새발의 피“ 중국 정부는 2021년 3월 공개한 '14차 5개년 계획'(14·5계획)에서 2020년 말 51GW(기가와트)인 원전 설비용량을 2025년 말까지 70GW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중국 핵에너지산업협회(CNEA)는 지난 2015년 보고서에서 원전 생산 전력 비중이 2030년 10%, 2050년 15%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의 원전은 한국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중국의 동부 연안에 몰려 있다. 광둥성 다야완(大亞灣)·링아오(嶺澳) 등 한국과 거리가 먼 중국의 남부 지역을 제외하고도 장쑤성 톈완(田灣), 산둥성 하이양(海陽), 랴오닝성 훙옌허(紅沿河) 등 한국과 가까운 지역에 원전이 들어서고 있다. 한국과 가장 가까운 산둥반도 끝 스다오완(石島灣)에도 원전이 신규로 건설 중이다. 중국은 대규모 육상 원전뿐 아니라 바다에 띄우는 해상부유식 원전 개발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중국은 14·5계획의 원전 정책 부분에서 "해상 부유식 핵동력 플랫폼 등 선진 원자로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면서 해상부유 원전 개발 의지를 밝혔다. 우리나라는 최근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에 국민들의 관심이 쏠려 있지만, 정작 위험한 요소는 중국의 원전으로 꼽힌다. 중국 원전에서 사고라도 나면 편서풍을 타고 방사능이 고스란히 한반도로 넘어오기 때문이다. 한 원전 전문가는 ”중국의 원전 건설 지도를 보면 우리나라가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은 중국의 원자력 안전이며,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는 중국 원전 안전과 비교할 때 한 마디로 우리 국민의 안전과 생명에 미치는 영향은 새 발의 피“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국내 석탄화력 발전 공기업들이 석탄발전을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으로의 전환을 선언해 '2050 탄소중립'에 한발 더 다가섰다. 한전과 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발전공기업은 1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 2021'(BIXPO 2021) 개막식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오는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공동으로 선언했다. 또한 대규모 해상풍력, 차세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사업 개발을 주도하고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공동 연구개발과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내용의 탄소중립 비전인 '제로 포 그린(ZERO for Green)'을 발표했다. 대규모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개발 주도 전력공기업은 재생에너지, 수소 등 탄소배출이 없는 발전원으로 과감히 전환해 발전 분야 탄소배출을 '제로'(0)화하기로 했다. 공정하고 질서 있는 감축 방안을 마련해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고, 민간기업 참여만으로는 활성화가 어려운 대규모 해상풍력이나 차세대 태양광 등 자본·기술집약적 사업 개발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암모니아, 그린수소 등 수소 기반 발전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관련해 전력공기업은 공동의 기술개발 전략과 이행방안을 담은 '탄소중립 기술개발전략'을 수립해 발표했다. 터빈 대형화 및 대규모 단지 시공 기술 등을 개발해 2030년까지 해상풍력의 균등화발전단가(LCOE)를 현행 대비 40% 이상 절감한 ㎾h당 150원으로 낮추기로 했고, 또한 수전해 기술을 중점 개발해 그린수소의 생산 효율을 현재의 65% 수준에서 2030년까지 8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연료 전환을 위해선 2027년까지 20% 암모니아 혼소를 실증하고 2028년까지 50% 수소 혼소 기술을 개발한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도 2030년까지 석탄화력 500㎿, 가스화력 150㎿급으로 상용화해 포집 비용을 현재의 50% 수준인 t(톤)당 30달러까지 낮춘다는 목표도 세웠다. 미국‧일본 등 석탄화력 비중 단계적 축소 목표 수립 세계적으로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2020년 상반기에 발표된 KEA에너지 이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설비 18.3GW가 증설되고, 21.2GW가 폐쇄돼 역대 처음으로 석탄화력 설비용량이 2.9GW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2019년 연간 에너지 소비 통계에서 미국의 재생에너지 소비가 1885년 이래 처음으로 석탄 소비를 역전했다고 보고했다. 미국의 2019년 석탄 소비는 2억 8097만toe로 전년대비 약 15%가 감소했고, 재생에너지 소비는 2억 8475만toe로 전년대비 약 1%가 증가했다. 또한 미국에서는 2050년까지 미국의 전력 생산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석탄, 천연가스 및 원자력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에너지 소비의 38%는 재생에너지가, 나머지 36%는 천연가스, 석탄이 13%, 원자력이 12% 순으로 그 뒤를 이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본에서도 2019년 석탄의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발전용·산업용 석탄 수요가 모두 감소했다. 2018년 대비 5% 줄어든 1억 1715만toe 정도였다. 또 일본은 노후된 석탄화력 발전소 약 100기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가동 중단 및 폐지를 추진한다. 석탄발전소의 가동 중단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18년 기준 17%에서 2030년 22~24%까지 상향 목표를 잡았다. 중국은 2016년에 발표한 전력부문 계획에서 1차 에너지 중 석탄 비중 축소 목표인 55% 이하를 3년 앞당겨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2019년 국가 에너지국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석탄발전설비 20GW를 퇴출시킴으로서 감축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석탄 소비가 2022년 이후 정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67%에서 2024년 59%로 낮아질 전망이다. 석탄수요 역시 중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에 따른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으로 인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탈석탄 정책 잇따르는 EU EU에서도 탈석탄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비영리 탄소시장 정책 분석기관인 샌드백(Sandbag) 역시 풍력과 태양광 발전용량이 크게 늘어난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석탄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고 밝혔다. 독일은 탈석탄 공론화 위원회 권고를 정부가 받아들여 2020년 7월 탈석탄법을 통과시키고 2038년까지 탈석탄 및 2035년 조기달성 목표를 수립했다. 독일은 지난 20년 간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법제를 수립한 결과, 2018년 전력소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이 2010년 대비 5.9배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영국은 2050 탄소중립 목표의 법제화와 함께 2025년 탈석탄을 목표로 석탄발전소 전면 폐쇄를 계획하고 있다. 탈석탄에 따른 부족한 발전용량을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대체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30GW의 해상풍력 설비를 확충한다. 네덜란드는 2018년 6월 CO2 배출량 감축 목표를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49% 감축한다고 밝혔으며, 2050년까지 95%를 감축한다는 계획을 담은 최초의 국가기후변화법을 통과시켰다. 또 기후변화 법에 따라 노후 석탄발전소 2기를 2024년에 철거하고, 신규 발전소 3기를 2030년까지 대체연료 발전소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 지난해 정부의 9차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전체 65개(건설 중 7개 포함)의 석탄발전소 중 2034년까지 30개 석탄발전소를 폐지하고 이 중 24개를 액화천연가스(LNG)복합발전소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중국이 풍력 및 태양광 발전 설비를 대규모로 확충하기로 한 가운데 고비사막에 집중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단지를 건설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1일 보도했다. 세계 최다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은 2060년 탄소중립을 약속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풍력 및 태양광 발전량을 1200 기가와트까지 늘리는 한편 화석연료 사용은 단계적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다.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은 전날 발표된 새로운 에너지정책 가이드라인을 통해 중국이 녹색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새로운 정책과 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따라서 중국은 2030년까지 새로운 에너지 수요를 비화석연료 에너지원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생에너지 분야 투자를 늘리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한편 시장 구조도 개혁해 나갈 계획이다. 중국은 또 농촌 지역 송전 설비를 개선하는 한편 마을 단위로 재생에너지에 투자하고 여기서 생산된 전기를 판매해 이익을 공유하도록 할 방침이다. 중국 정부는 이처럼 재생에너지 투자가 늘어나도 2025년까지 중국의 석탄 소비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2021~2025년 중 중국의 석탄 화력 발전 설비가 150 기가와트 규모로 확충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이에 따른 탄소배출량 증가를 막기 위해 발전소에 탄소 포집 및 저장 설비를 공급하고 소규모의 비효율적인 광산과 발전소 등은 폐기할 방침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중국 최대 민영 부동산개발업체 헝다그룹(에버그란데)의 채무불이행 우려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강타한 가운데 중국의 전력 부족 사태가 헝다그룹 위기만큼 중국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고 블룸버그뉴스가 27일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전력 소비 통제에 나섰다. 중국의 엄격한 오염물질 배출량 감축 목표뿐 아니라 석탄과 천연가스 가격 급등, 전력 수요 증가 등이 전력 소비 통제로 이어졌다. 중국 정부는 제조업부터 통제하기 시작했다. 알루미늄 제련에서 섬유 생산과 콩 가공 공장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업이 공장 가동을 줄이거나 가동을 중단시켰다. 중국의 23개 성 중 거의 절반이 중앙정부가 정한 에너지 사용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에너지 사용을 줄이라는 압력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 경제에서 3분의 1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는 요충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이 전력 소비 통제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노무라증권의 팅 루 등의 애널리스트들은 리서치 노트에서 “시장의 관심이 에버그란데에 집중돼 있고 중국 정부가 전례 없는 부동산 규제에 나서고 있다”며 “다른 공급 측면의 충격은 과소평가 되거나 외면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번 분기에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헝다그룹 채무불이행 우려에 가려진 중국의 에너지 부족 문제는 이미 유럽 시장을 혼란에 빠트린 전 세계적인 에너지 수급 불안을 반영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경제 봉쇄가 풀리면서 경기가 급반등했고 석탄이나 석유, 천연가스 생산은 감소한 가운데 수요는 급증하면서 에너지 수급 불안이 발생했다. 중국의 경우 내년 2월에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에너지 수급 불안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국제사회에 올림픽 기간 중 푸른 하늘이 드러난 베이징을 보여주는 한편 저탄소 경제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것을 과시하려 한다. 저탄소 전환에 더해 석탄과 가스 가격 급등 중국은 현재 석탄과 천연가스 공급 부족을 겪고 있다. 석탄과 천연가스는 겨울철 난방과 전력 생산에 사용된다. 공급 부족으로 난방용 석탄 선물은 지난달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4배나 상승했다. 광산 안전과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우려가 중국 내 석탄 생산을 제약하는 가운데 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천연가스도 수요자들이 경쟁적으로 물량 확보에 나서면서 급등하고 있다. 과거에 겨울철 전력 수요가 급증할 때 중국은 디젤 발전기를 가동해 부족분을 메웠다. 하지만 올해는 중국 정부의 오염 저감 정책 때문에 디젤 발전으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는데 제약이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의 에너지 소비 감축 요구에 따라 90억 달러 상당의 알루미늄을 생산하는 윈난 알루미늄은 생산을 줄였다. 콩을 가공해 식용유나 동물 사료를 생산하는 톈진 소재 대형 식품업체가 이번 주 공장 가동을 중단하는 등 식품산업도 타격을 입었다. 닛케이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내 애플과 테슬라 협력업체들도 일부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다. 하지만 아이폰을 생산하는 폭스콘은 중국 정부의 조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닛케이는 보도했다. 이보다 규모가 작은 다수의 기업이 감산이나 생산 중단 명령을 받았다는 공시를 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는 이런 기업에 관심을 두지 않고 있으나, 이런 기업의 생산이 위축되면 다국적 기업의 공급망과 영업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하이 인근의 장쑤성에서는 제철소 가동이 중단됐고 일부 도시는 가로등을 켜지 않는다. 저장성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많은 160개 기업이 생산을 중단했고 랴오닝성의 14개 도시는 석탄 가격 급등으로 전력 사용을 줄이는 비상조치에 들어갔다. 노무라증권의 팅 애널리스트는 “에너지 통제는 글로벌 마켓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조만간 시장은 섬유에서 장난감, 기계 부품에 이르기까지 약간의 공급부족 현상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가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성장률을 희생시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맥쿼리그룹의 래리 후 중국 경제 담당 책임자는 “정책당국이 탄소 배출량 목표 달성을 위해 올해 남은 기간 중 저성장을 기꺼이 수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6% 이상의 성장률은 쉽게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상반기의 높은 성장률을 고려할 때 올해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는 쉽게 달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올해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같다는 예측이 나왔다. 가뭄으로 석탄발전이 늘고 코로나 사태 진정으로 경기가 회복되기 때문이다. 특히 석탄발전은 중국 북부에서 주로 이뤄줘 악화될 공기질과 황사가 한반도 하늘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3일(현지시간) 기후과학과 정책을 다루는 웹사이트 '카본 브리프'와 핀란드의 독립 싱크탱크 에너지·청정공기연구센터(CREA)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13일(현지시간) 이같이 보도했다. 올해 중국의 1분기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작년 동기 대비 4% 증가하며 역대 1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추세대로라면 중국의 올해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종전 최대인 2021년을 능가하는 역대 최대가 될 것이라고 SCMP는 전망했다. 중국은 올해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한 뒤 경기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 차원에서 부양책을 쓰고 있다.  지속적 가뭄으로 수력발전이 부진한 상황 등이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의 원인이라고 SCMP는 분석했다. CREA의 라우리 밀리비르타 수석애널리스트와 치친 중국 애널리스트는 카본 브리프가 발행한 보고서(이하 보고서)에서 "중국 정부가 올해 2∼4분기 경제 성장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종전 최대인 2021년을 넘어선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전망했다. 중국은 중앙 정부의 엄격한 탄소배출 감축 정책과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의 영향 속에 2021년 대규모 정전 사태를 겪었다. 이후 작년에 중국 지방 정부들은 2015년 이후 최대 규모로 총 106GW(기가와트) 의 새 석탄 발전소 신설을 허가했다. 이는 2021년의 4배 수준이었다. 중국의 탄소배출량은 국가별로 세계 최대 규모로, 2021년 현재 31%를 넘어섰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38
지속가능경제
중국, 석탄 증산 긴급 조치...전력난 해소에는 역부족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short
5-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올해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같다는 예측이 나왔다. 가뭄으로 석탄발전이 늘고 코로나 사태 진정으로 경기가 회복되기 때문이다. 특히 석탄발전은 중국 북부에서 주로 이뤄줘 악화될 공기질과 황사가 한반도 하늘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3일(현지시간) 기후과학과 정책을 다루는 웹사이트 '카본 브리프'와 핀란드의 독립 싱크탱크 에너지·청정공기연구센터(CREA)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13일(현지시간) 이같이 보도했다. 올해 중국의 1분기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작년 동기 대비 4% 증가하며 역대 1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추세대로라면 중국의 올해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종전 최대인 2021년을 능가하는 역대 최대가 될 것이라고 SCMP는 전망했다. 중국은 올해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한 뒤 경기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 차원에서 부양책을 쓰고 있다.  지속적 가뭄으로 수력발전이 부진한 상황 등이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의 원인이라고 SCMP는 분석했다. CREA의 라우리 밀리비르타 수석애널리스트와 치친 중국 애널리스트는 카본 브리프가 발행한 보고서(이하 보고서)에서 "중국 정부가 올해 2∼4분기 경제 성장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종전 최대인 2021년을 넘어선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전망했다. 중국은 중앙 정부의 엄격한 탄소배출 감축 정책과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의 영향 속에 2021년 대규모 정전 사태를 겪었다. 이후 작년에 중국 지방 정부들은 2015년 이후 최대 규모로 총 106GW(기가와트) 의 새 석탄 발전소 신설을 허가했다. 이는 2021년의 4배 수준이었다. 중국의 탄소배출량은 국가별로 세계 최대 규모로, 2021년 현재 31%를 넘어섰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중국 최대 민영 부동산개발업체 헝다그룹(에버그란데)의 채무불이행 우려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강타한 가운데 중국의 전력 부족 사태가 헝다그룹 위기만큼 중국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고 블룸버그뉴스가 27일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전력 소비 통제에 나섰다. 중국의 엄격한 오염물질 배출량 감축 목표뿐 아니라 석탄과 천연가스 가격 급등, 전력 수요 증가 등이 전력 소비 통제로 이어졌다. 중국 정부는 제조업부터 통제하기 시작했다. 알루미늄 제련에서 섬유 생산과 콩 가공 공장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업이 공장 가동을 줄이거나 가동을 중단시켰다. 중국의 23개 성 중 거의 절반이 중앙정부가 정한 에너지 사용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에너지 사용을 줄이라는 압력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 경제에서 3분의 1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는 요충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이 전력 소비 통제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노무라증권의 팅 루 등의 애널리스트들은 리서치 노트에서 “시장의 관심이 에버그란데에 집중돼 있고 중국 정부가 전례 없는 부동산 규제에 나서고 있다”며 “다른 공급 측면의 충격은 과소평가 되거나 외면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번 분기에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헝다그룹 채무불이행 우려에 가려진 중국의 에너지 부족 문제는 이미 유럽 시장을 혼란에 빠트린 전 세계적인 에너지 수급 불안을 반영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경제 봉쇄가 풀리면서 경기가 급반등했고 석탄이나 석유, 천연가스 생산은 감소한 가운데 수요는 급증하면서 에너지 수급 불안이 발생했다. 중국의 경우 내년 2월에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에너지 수급 불안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국제사회에 올림픽 기간 중 푸른 하늘이 드러난 베이징을 보여주는 한편 저탄소 경제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것을 과시하려 한다. 저탄소 전환에 더해 석탄과 가스 가격 급등 중국은 현재 석탄과 천연가스 공급 부족을 겪고 있다. 석탄과 천연가스는 겨울철 난방과 전력 생산에 사용된다. 공급 부족으로 난방용 석탄 선물은 지난달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4배나 상승했다. 광산 안전과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우려가 중국 내 석탄 생산을 제약하는 가운데 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천연가스도 수요자들이 경쟁적으로 물량 확보에 나서면서 급등하고 있다. 과거에 겨울철 전력 수요가 급증할 때 중국은 디젤 발전기를 가동해 부족분을 메웠다. 하지만 올해는 중국 정부의 오염 저감 정책 때문에 디젤 발전으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는데 제약이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의 에너지 소비 감축 요구에 따라 90억 달러 상당의 알루미늄을 생산하는 윈난 알루미늄은 생산을 줄였다. 콩을 가공해 식용유나 동물 사료를 생산하는 톈진 소재 대형 식품업체가 이번 주 공장 가동을 중단하는 등 식품산업도 타격을 입었다. 닛케이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내 애플과 테슬라 협력업체들도 일부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다. 하지만 아이폰을 생산하는 폭스콘은 중국 정부의 조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닛케이는 보도했다. 이보다 규모가 작은 다수의 기업이 감산이나 생산 중단 명령을 받았다는 공시를 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는 이런 기업에 관심을 두지 않고 있으나, 이런 기업의 생산이 위축되면 다국적 기업의 공급망과 영업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하이 인근의 장쑤성에서는 제철소 가동이 중단됐고 일부 도시는 가로등을 켜지 않는다. 저장성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많은 160개 기업이 생산을 중단했고 랴오닝성의 14개 도시는 석탄 가격 급등으로 전력 사용을 줄이는 비상조치에 들어갔다. 노무라증권의 팅 애널리스트는 “에너지 통제는 글로벌 마켓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조만간 시장은 섬유에서 장난감, 기계 부품에 이르기까지 약간의 공급부족 현상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가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성장률을 희생시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맥쿼리그룹의 래리 후 중국 경제 담당 책임자는 “정책당국이 탄소 배출량 목표 달성을 위해 올해 남은 기간 중 저성장을 기꺼이 수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6% 이상의 성장률은 쉽게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상반기의 높은 성장률을 고려할 때 올해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는 쉽게 달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중국이 풍력 및 태양광 발전 설비를 대규모로 확충하기로 한 가운데 고비사막에 집중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단지를 건설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1일 보도했다. 세계 최다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은 2060년 탄소중립을 약속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풍력 및 태양광 발전량을 1200 기가와트까지 늘리는 한편 화석연료 사용은 단계적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다.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은 전날 발표된 새로운 에너지정책 가이드라인을 통해 중국이 녹색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새로운 정책과 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따라서 중국은 2030년까지 새로운 에너지 수요를 비화석연료 에너지원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생에너지 분야 투자를 늘리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한편 시장 구조도 개혁해 나갈 계획이다. 중국은 또 농촌 지역 송전 설비를 개선하는 한편 마을 단위로 재생에너지에 투자하고 여기서 생산된 전기를 판매해 이익을 공유하도록 할 방침이다. 중국 정부는 이처럼 재생에너지 투자가 늘어나도 2025년까지 중국의 석탄 소비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2021~2025년 중 중국의 석탄 화력 발전 설비가 150 기가와트 규모로 확충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이에 따른 탄소배출량 증가를 막기 위해 발전소에 탄소 포집 및 저장 설비를 공급하고 소규모의 비효율적인 광산과 발전소 등은 폐기할 방침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국내 석탄화력 발전 공기업들이 석탄발전을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으로의 전환을 선언해 '2050 탄소중립'에 한발 더 다가섰다. 한전과 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발전공기업은 1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 2021'(BIXPO 2021) 개막식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오는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공동으로 선언했다. 또한 대규모 해상풍력, 차세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사업 개발을 주도하고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공동 연구개발과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내용의 탄소중립 비전인 '제로 포 그린(ZERO for Green)'을 발표했다. 대규모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개발 주도 전력공기업은 재생에너지, 수소 등 탄소배출이 없는 발전원으로 과감히 전환해 발전 분야 탄소배출을 '제로'(0)화하기로 했다. 공정하고 질서 있는 감축 방안을 마련해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고, 민간기업 참여만으로는 활성화가 어려운 대규모 해상풍력이나 차세대 태양광 등 자본·기술집약적 사업 개발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암모니아, 그린수소 등 수소 기반 발전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관련해 전력공기업은 공동의 기술개발 전략과 이행방안을 담은 '탄소중립 기술개발전략'을 수립해 발표했다. 터빈 대형화 및 대규모 단지 시공 기술 등을 개발해 2030년까지 해상풍력의 균등화발전단가(LCOE)를 현행 대비 40% 이상 절감한 ㎾h당 150원으로 낮추기로 했고, 또한 수전해 기술을 중점 개발해 그린수소의 생산 효율을 현재의 65% 수준에서 2030년까지 8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연료 전환을 위해선 2027년까지 20% 암모니아 혼소를 실증하고 2028년까지 50% 수소 혼소 기술을 개발한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도 2030년까지 석탄화력 500㎿, 가스화력 150㎿급으로 상용화해 포집 비용을 현재의 50% 수준인 t(톤)당 30달러까지 낮춘다는 목표도 세웠다. 미국‧일본 등 석탄화력 비중 단계적 축소 목표 수립 세계적으로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2020년 상반기에 발표된 KEA에너지 이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설비 18.3GW가 증설되고, 21.2GW가 폐쇄돼 역대 처음으로 석탄화력 설비용량이 2.9GW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2019년 연간 에너지 소비 통계에서 미국의 재생에너지 소비가 1885년 이래 처음으로 석탄 소비를 역전했다고 보고했다. 미국의 2019년 석탄 소비는 2억 8097만toe로 전년대비 약 15%가 감소했고, 재생에너지 소비는 2억 8475만toe로 전년대비 약 1%가 증가했다. 또한 미국에서는 2050년까지 미국의 전력 생산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석탄, 천연가스 및 원자력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에너지 소비의 38%는 재생에너지가, 나머지 36%는 천연가스, 석탄이 13%, 원자력이 12% 순으로 그 뒤를 이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본에서도 2019년 석탄의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발전용·산업용 석탄 수요가 모두 감소했다. 2018년 대비 5% 줄어든 1억 1715만toe 정도였다. 또 일본은 노후된 석탄화력 발전소 약 100기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가동 중단 및 폐지를 추진한다. 석탄발전소의 가동 중단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18년 기준 17%에서 2030년 22~24%까지 상향 목표를 잡았다. 중국은 2016년에 발표한 전력부문 계획에서 1차 에너지 중 석탄 비중 축소 목표인 55% 이하를 3년 앞당겨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2019년 국가 에너지국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석탄발전설비 20GW를 퇴출시킴으로서 감축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석탄 소비가 2022년 이후 정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67%에서 2024년 59%로 낮아질 전망이다. 석탄수요 역시 중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에 따른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으로 인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탈석탄 정책 잇따르는 EU EU에서도 탈석탄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비영리 탄소시장 정책 분석기관인 샌드백(Sandbag) 역시 풍력과 태양광 발전용량이 크게 늘어난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석탄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고 밝혔다. 독일은 탈석탄 공론화 위원회 권고를 정부가 받아들여 2020년 7월 탈석탄법을 통과시키고 2038년까지 탈석탄 및 2035년 조기달성 목표를 수립했다. 독일은 지난 20년 간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법제를 수립한 결과, 2018년 전력소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이 2010년 대비 5.9배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영국은 2050 탄소중립 목표의 법제화와 함께 2025년 탈석탄을 목표로 석탄발전소 전면 폐쇄를 계획하고 있다. 탈석탄에 따른 부족한 발전용량을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대체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30GW의 해상풍력 설비를 확충한다. 네덜란드는 2018년 6월 CO2 배출량 감축 목표를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49% 감축한다고 밝혔으며, 2050년까지 95%를 감축한다는 계획을 담은 최초의 국가기후변화법을 통과시켰다. 또 기후변화 법에 따라 노후 석탄발전소 2기를 2024년에 철거하고, 신규 발전소 3기를 2030년까지 대체연료 발전소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 지난해 정부의 9차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전체 65개(건설 중 7개 포함)의 석탄발전소 중 2034년까지 30개 석탄발전소를 폐지하고 이 중 24개를 액화천연가스(LNG)복합발전소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원전을 늘려가면서 가동 원전 규모에서 곧 프랑스를 따라잡고 미국에 이어 세계 2위가 될 게 확실시된다. 현재 세계 신규 건설 원전의 약 40%가 중국에 있을 정도로 중국이 원전을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중국 원전 대부분 한국과 가까운 산둥성 등 동부 연안에 몰려 있어 한중 원자력 안전 협력의 중요성도 커질 전망이다. 4일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지난달 현재 세계에서 가동 중인 원전은 총 436기다. 국가 별로 미국이 93기(설비용량 9만5,835MW)로 가장 많고, 프랑스 56기(6만1,370MW), 중국 55기(5만3,286MW), 러시아 37기(2만7,727MW), 일본 33기(3만1,679MW), 한국 25기(2만4,489MW)  순이었다. 중국은 프랑스보다 가동 원전이 1기 적지만, 신규 원전 건설 규모가 압도적이어서 조만간 2위에 오르게 된다. 건설 중인 59기 원전 가운데 중국이 40% 지구촌 건설 중인 원전은 총 59기로 중국에서 40%에 육박하는 23기가 건설 중이다. 프랑스는 한 곳에 불과하다. 신규 원전 건설 규모에서 중국은 인도(8기), 터키(4기), 한국(3기), 러시아(3기), 이집트(3기) 등 원전 건설이 비교적 활발한 다른 나라들을 훨씬 압도했다. 승인이 나왔거나 자금 확보 방안이 확정돼 15년 내 운영 가능성이 큰 건설 예정 원전까지 더하면 중국의 원전 확대 흐름은 더욱 선명하다. 건설 중인 원전과 별개로 세계적으로 건설 예정 원전은 모두 100기로, 이 중 중국이 추진하는 것이 절반 가까운 45기에 달한다. 세계에서 원자력 발전 규모가 가장 큰 미국은 현재 1기의 원전을 건설 중이고, 3기를 추가로 건설할 계획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건설 중이거나 건설할 계획인 원전을 합치면 모두 68기다. 이 같은 추세라면 중국은 머지 않아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원전 가동국이 될 전망이다. 중국이 적극적으로 원전 확대에 나선 것은 심각한 대기 오염을 낳는 석탄 에너지 의존을 줄이기 위해서다. 중국 전체 전력 중 약 60%가 석탄을 태우는 화력발전소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WNA는 "석탄 발전 의존도가 전통적으로 높아 중국의 전력 생산은 대기 오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며 "이는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이 원전 비중을 높이려는 강력한 이유가 된다"고 밝혔다. 원전 확대에도 중국의 전체 전력 중 원전 생산 전력이 차지한 비중은 2021년 기준 5%에 불과하다. 프랑스(69%)는 물론 스웨덴(31%), 한국(28%), 영국(15%), 독일(12%), 일본(7%) 등에 미치지 못한다. 중국 원전은 한반도에 엄청난 잠재 위협...”후쿠시마 오염수는 새발의 피“ 중국 정부는 2021년 3월 공개한 '14차 5개년 계획'(14·5계획)에서 2020년 말 51GW(기가와트)인 원전 설비용량을 2025년 말까지 70GW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중국 핵에너지산업협회(CNEA)는 지난 2015년 보고서에서 원전 생산 전력 비중이 2030년 10%, 2050년 15%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의 원전은 한국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중국의 동부 연안에 몰려 있다. 광둥성 다야완(大亞灣)·링아오(嶺澳) 등 한국과 거리가 먼 중국의 남부 지역을 제외하고도 장쑤성 톈완(田灣), 산둥성 하이양(海陽), 랴오닝성 훙옌허(紅沿河) 등 한국과 가까운 지역에 원전이 들어서고 있다. 한국과 가장 가까운 산둥반도 끝 스다오완(石島灣)에도 원전이 신규로 건설 중이다. 중국은 대규모 육상 원전뿐 아니라 바다에 띄우는 해상부유식 원전 개발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중국은 14·5계획의 원전 정책 부분에서 "해상 부유식 핵동력 플랫폼 등 선진 원자로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면서 해상부유 원전 개발 의지를 밝혔다. 우리나라는 최근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에 국민들의 관심이 쏠려 있지만, 정작 위험한 요소는 중국의 원전으로 꼽힌다. 중국 원전에서 사고라도 나면 편서풍을 타고 방사능이 고스란히 한반도로 넘어오기 때문이다. 한 원전 전문가는 ”중국의 원전 건설 지도를 보면 우리나라가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은 중국의 원자력 안전이며,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는 중국 원전 안전과 비교할 때 한 마디로 우리 국민의 안전과 생명에 미치는 영향은 새 발의 피“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38
지속가능경제
중국, 석탄 증산 긴급 조치...전력난 해소에는 역부족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short
5-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원전을 늘려가면서 가동 원전 규모에서 곧 프랑스를 따라잡고 미국에 이어 세계 2위가 될 게 확실시된다. 현재 세계 신규 건설 원전의 약 40%가 중국에 있을 정도로 중국이 원전을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중국 원전 대부분 한국과 가까운 산둥성 등 동부 연안에 몰려 있어 한중 원자력 안전 협력의 중요성도 커질 전망이다. 4일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지난달 현재 세계에서 가동 중인 원전은 총 436기다. 국가 별로 미국이 93기(설비용량 9만5,835MW)로 가장 많고, 프랑스 56기(6만1,370MW), 중국 55기(5만3,286MW), 러시아 37기(2만7,727MW), 일본 33기(3만1,679MW), 한국 25기(2만4,489MW)  순이었다. 중국은 프랑스보다 가동 원전이 1기 적지만, 신규 원전 건설 규모가 압도적이어서 조만간 2위에 오르게 된다. 건설 중인 59기 원전 가운데 중국이 40% 지구촌 건설 중인 원전은 총 59기로 중국에서 40%에 육박하는 23기가 건설 중이다. 프랑스는 한 곳에 불과하다. 신규 원전 건설 규모에서 중국은 인도(8기), 터키(4기), 한국(3기), 러시아(3기), 이집트(3기) 등 원전 건설이 비교적 활발한 다른 나라들을 훨씬 압도했다. 승인이 나왔거나 자금 확보 방안이 확정돼 15년 내 운영 가능성이 큰 건설 예정 원전까지 더하면 중국의 원전 확대 흐름은 더욱 선명하다. 건설 중인 원전과 별개로 세계적으로 건설 예정 원전은 모두 100기로, 이 중 중국이 추진하는 것이 절반 가까운 45기에 달한다. 세계에서 원자력 발전 규모가 가장 큰 미국은 현재 1기의 원전을 건설 중이고, 3기를 추가로 건설할 계획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건설 중이거나 건설할 계획인 원전을 합치면 모두 68기다. 이 같은 추세라면 중국은 머지 않아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원전 가동국이 될 전망이다. 중국이 적극적으로 원전 확대에 나선 것은 심각한 대기 오염을 낳는 석탄 에너지 의존을 줄이기 위해서다. 중국 전체 전력 중 약 60%가 석탄을 태우는 화력발전소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WNA는 "석탄 발전 의존도가 전통적으로 높아 중국의 전력 생산은 대기 오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며 "이는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이 원전 비중을 높이려는 강력한 이유가 된다"고 밝혔다. 원전 확대에도 중국의 전체 전력 중 원전 생산 전력이 차지한 비중은 2021년 기준 5%에 불과하다. 프랑스(69%)는 물론 스웨덴(31%), 한국(28%), 영국(15%), 독일(12%), 일본(7%) 등에 미치지 못한다. 중국 원전은 한반도에 엄청난 잠재 위협...”후쿠시마 오염수는 새발의 피“ 중국 정부는 2021년 3월 공개한 '14차 5개년 계획'(14·5계획)에서 2020년 말 51GW(기가와트)인 원전 설비용량을 2025년 말까지 70GW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중국 핵에너지산업협회(CNEA)는 지난 2015년 보고서에서 원전 생산 전력 비중이 2030년 10%, 2050년 15%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의 원전은 한국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중국의 동부 연안에 몰려 있다. 광둥성 다야완(大亞灣)·링아오(嶺澳) 등 한국과 거리가 먼 중국의 남부 지역을 제외하고도 장쑤성 톈완(田灣), 산둥성 하이양(海陽), 랴오닝성 훙옌허(紅沿河) 등 한국과 가까운 지역에 원전이 들어서고 있다. 한국과 가장 가까운 산둥반도 끝 스다오완(石島灣)에도 원전이 신규로 건설 중이다. 중국은 대규모 육상 원전뿐 아니라 바다에 띄우는 해상부유식 원전 개발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중국은 14·5계획의 원전 정책 부분에서 "해상 부유식 핵동력 플랫폼 등 선진 원자로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면서 해상부유 원전 개발 의지를 밝혔다. 우리나라는 최근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에 국민들의 관심이 쏠려 있지만, 정작 위험한 요소는 중국의 원전으로 꼽힌다. 중국 원전에서 사고라도 나면 편서풍을 타고 방사능이 고스란히 한반도로 넘어오기 때문이다. 한 원전 전문가는 ”중국의 원전 건설 지도를 보면 우리나라가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은 중국의 원자력 안전이며,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는 중국 원전 안전과 비교할 때 한 마디로 우리 국민의 안전과 생명에 미치는 영향은 새 발의 피“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국내 석탄화력 발전 공기업들이 석탄발전을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으로의 전환을 선언해 '2050 탄소중립'에 한발 더 다가섰다. 한전과 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발전공기업은 1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 2021'(BIXPO 2021) 개막식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오는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공동으로 선언했다. 또한 대규모 해상풍력, 차세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사업 개발을 주도하고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공동 연구개발과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내용의 탄소중립 비전인 '제로 포 그린(ZERO for Green)'을 발표했다. 대규모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개발 주도 전력공기업은 재생에너지, 수소 등 탄소배출이 없는 발전원으로 과감히 전환해 발전 분야 탄소배출을 '제로'(0)화하기로 했다. 공정하고 질서 있는 감축 방안을 마련해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고, 민간기업 참여만으로는 활성화가 어려운 대규모 해상풍력이나 차세대 태양광 등 자본·기술집약적 사업 개발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암모니아, 그린수소 등 수소 기반 발전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관련해 전력공기업은 공동의 기술개발 전략과 이행방안을 담은 '탄소중립 기술개발전략'을 수립해 발표했다. 터빈 대형화 및 대규모 단지 시공 기술 등을 개발해 2030년까지 해상풍력의 균등화발전단가(LCOE)를 현행 대비 40% 이상 절감한 ㎾h당 150원으로 낮추기로 했고, 또한 수전해 기술을 중점 개발해 그린수소의 생산 효율을 현재의 65% 수준에서 2030년까지 8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연료 전환을 위해선 2027년까지 20% 암모니아 혼소를 실증하고 2028년까지 50% 수소 혼소 기술을 개발한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도 2030년까지 석탄화력 500㎿, 가스화력 150㎿급으로 상용화해 포집 비용을 현재의 50% 수준인 t(톤)당 30달러까지 낮춘다는 목표도 세웠다. 미국‧일본 등 석탄화력 비중 단계적 축소 목표 수립 세계적으로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2020년 상반기에 발표된 KEA에너지 이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설비 18.3GW가 증설되고, 21.2GW가 폐쇄돼 역대 처음으로 석탄화력 설비용량이 2.9GW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2019년 연간 에너지 소비 통계에서 미국의 재생에너지 소비가 1885년 이래 처음으로 석탄 소비를 역전했다고 보고했다. 미국의 2019년 석탄 소비는 2억 8097만toe로 전년대비 약 15%가 감소했고, 재생에너지 소비는 2억 8475만toe로 전년대비 약 1%가 증가했다. 또한 미국에서는 2050년까지 미국의 전력 생산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석탄, 천연가스 및 원자력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에너지 소비의 38%는 재생에너지가, 나머지 36%는 천연가스, 석탄이 13%, 원자력이 12% 순으로 그 뒤를 이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본에서도 2019년 석탄의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발전용·산업용 석탄 수요가 모두 감소했다. 2018년 대비 5% 줄어든 1억 1715만toe 정도였다. 또 일본은 노후된 석탄화력 발전소 약 100기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가동 중단 및 폐지를 추진한다. 석탄발전소의 가동 중단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18년 기준 17%에서 2030년 22~24%까지 상향 목표를 잡았다. 중국은 2016년에 발표한 전력부문 계획에서 1차 에너지 중 석탄 비중 축소 목표인 55% 이하를 3년 앞당겨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2019년 국가 에너지국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석탄발전설비 20GW를 퇴출시킴으로서 감축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석탄 소비가 2022년 이후 정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67%에서 2024년 59%로 낮아질 전망이다. 석탄수요 역시 중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에 따른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으로 인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탈석탄 정책 잇따르는 EU EU에서도 탈석탄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비영리 탄소시장 정책 분석기관인 샌드백(Sandbag) 역시 풍력과 태양광 발전용량이 크게 늘어난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석탄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고 밝혔다. 독일은 탈석탄 공론화 위원회 권고를 정부가 받아들여 2020년 7월 탈석탄법을 통과시키고 2038년까지 탈석탄 및 2035년 조기달성 목표를 수립했다. 독일은 지난 20년 간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법제를 수립한 결과, 2018년 전력소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이 2010년 대비 5.9배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영국은 2050 탄소중립 목표의 법제화와 함께 2025년 탈석탄을 목표로 석탄발전소 전면 폐쇄를 계획하고 있다. 탈석탄에 따른 부족한 발전용량을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대체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30GW의 해상풍력 설비를 확충한다. 네덜란드는 2018년 6월 CO2 배출량 감축 목표를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49% 감축한다고 밝혔으며, 2050년까지 95%를 감축한다는 계획을 담은 최초의 국가기후변화법을 통과시켰다. 또 기후변화 법에 따라 노후 석탄발전소 2기를 2024년에 철거하고, 신규 발전소 3기를 2030년까지 대체연료 발전소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 지난해 정부의 9차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전체 65개(건설 중 7개 포함)의 석탄발전소 중 2034년까지 30개 석탄발전소를 폐지하고 이 중 24개를 액화천연가스(LNG)복합발전소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중국이 풍력 및 태양광 발전 설비를 대규모로 확충하기로 한 가운데 고비사막에 집중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단지를 건설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1일 보도했다. 세계 최다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은 2060년 탄소중립을 약속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풍력 및 태양광 발전량을 1200 기가와트까지 늘리는 한편 화석연료 사용은 단계적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다.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은 전날 발표된 새로운 에너지정책 가이드라인을 통해 중국이 녹색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새로운 정책과 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따라서 중국은 2030년까지 새로운 에너지 수요를 비화석연료 에너지원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생에너지 분야 투자를 늘리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한편 시장 구조도 개혁해 나갈 계획이다. 중국은 또 농촌 지역 송전 설비를 개선하는 한편 마을 단위로 재생에너지에 투자하고 여기서 생산된 전기를 판매해 이익을 공유하도록 할 방침이다. 중국 정부는 이처럼 재생에너지 투자가 늘어나도 2025년까지 중국의 석탄 소비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2021~2025년 중 중국의 석탄 화력 발전 설비가 150 기가와트 규모로 확충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이에 따른 탄소배출량 증가를 막기 위해 발전소에 탄소 포집 및 저장 설비를 공급하고 소규모의 비효율적인 광산과 발전소 등은 폐기할 방침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중국 최대 민영 부동산개발업체 헝다그룹(에버그란데)의 채무불이행 우려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강타한 가운데 중국의 전력 부족 사태가 헝다그룹 위기만큼 중국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고 블룸버그뉴스가 27일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전력 소비 통제에 나섰다. 중국의 엄격한 오염물질 배출량 감축 목표뿐 아니라 석탄과 천연가스 가격 급등, 전력 수요 증가 등이 전력 소비 통제로 이어졌다. 중국 정부는 제조업부터 통제하기 시작했다. 알루미늄 제련에서 섬유 생산과 콩 가공 공장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업이 공장 가동을 줄이거나 가동을 중단시켰다. 중국의 23개 성 중 거의 절반이 중앙정부가 정한 에너지 사용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에너지 사용을 줄이라는 압력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 경제에서 3분의 1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는 요충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이 전력 소비 통제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노무라증권의 팅 루 등의 애널리스트들은 리서치 노트에서 “시장의 관심이 에버그란데에 집중돼 있고 중국 정부가 전례 없는 부동산 규제에 나서고 있다”며 “다른 공급 측면의 충격은 과소평가 되거나 외면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번 분기에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헝다그룹 채무불이행 우려에 가려진 중국의 에너지 부족 문제는 이미 유럽 시장을 혼란에 빠트린 전 세계적인 에너지 수급 불안을 반영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경제 봉쇄가 풀리면서 경기가 급반등했고 석탄이나 석유, 천연가스 생산은 감소한 가운데 수요는 급증하면서 에너지 수급 불안이 발생했다. 중국의 경우 내년 2월에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에너지 수급 불안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국제사회에 올림픽 기간 중 푸른 하늘이 드러난 베이징을 보여주는 한편 저탄소 경제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것을 과시하려 한다. 저탄소 전환에 더해 석탄과 가스 가격 급등 중국은 현재 석탄과 천연가스 공급 부족을 겪고 있다. 석탄과 천연가스는 겨울철 난방과 전력 생산에 사용된다. 공급 부족으로 난방용 석탄 선물은 지난달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4배나 상승했다. 광산 안전과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우려가 중국 내 석탄 생산을 제약하는 가운데 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천연가스도 수요자들이 경쟁적으로 물량 확보에 나서면서 급등하고 있다. 과거에 겨울철 전력 수요가 급증할 때 중국은 디젤 발전기를 가동해 부족분을 메웠다. 하지만 올해는 중국 정부의 오염 저감 정책 때문에 디젤 발전으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는데 제약이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의 에너지 소비 감축 요구에 따라 90억 달러 상당의 알루미늄을 생산하는 윈난 알루미늄은 생산을 줄였다. 콩을 가공해 식용유나 동물 사료를 생산하는 톈진 소재 대형 식품업체가 이번 주 공장 가동을 중단하는 등 식품산업도 타격을 입었다. 닛케이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내 애플과 테슬라 협력업체들도 일부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다. 하지만 아이폰을 생산하는 폭스콘은 중국 정부의 조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닛케이는 보도했다. 이보다 규모가 작은 다수의 기업이 감산이나 생산 중단 명령을 받았다는 공시를 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는 이런 기업에 관심을 두지 않고 있으나, 이런 기업의 생산이 위축되면 다국적 기업의 공급망과 영업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하이 인근의 장쑤성에서는 제철소 가동이 중단됐고 일부 도시는 가로등을 켜지 않는다. 저장성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많은 160개 기업이 생산을 중단했고 랴오닝성의 14개 도시는 석탄 가격 급등으로 전력 사용을 줄이는 비상조치에 들어갔다. 노무라증권의 팅 애널리스트는 “에너지 통제는 글로벌 마켓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조만간 시장은 섬유에서 장난감, 기계 부품에 이르기까지 약간의 공급부족 현상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가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성장률을 희생시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맥쿼리그룹의 래리 후 중국 경제 담당 책임자는 “정책당국이 탄소 배출량 목표 달성을 위해 올해 남은 기간 중 저성장을 기꺼이 수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6% 이상의 성장률은 쉽게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상반기의 높은 성장률을 고려할 때 올해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는 쉽게 달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올해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같다는 예측이 나왔다. 가뭄으로 석탄발전이 늘고 코로나 사태 진정으로 경기가 회복되기 때문이다. 특히 석탄발전은 중국 북부에서 주로 이뤄줘 악화될 공기질과 황사가 한반도 하늘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3일(현지시간) 기후과학과 정책을 다루는 웹사이트 '카본 브리프'와 핀란드의 독립 싱크탱크 에너지·청정공기연구센터(CREA)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13일(현지시간) 이같이 보도했다. 올해 중국의 1분기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작년 동기 대비 4% 증가하며 역대 1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추세대로라면 중국의 올해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종전 최대인 2021년을 능가하는 역대 최대가 될 것이라고 SCMP는 전망했다. 중국은 올해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한 뒤 경기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 차원에서 부양책을 쓰고 있다.  지속적 가뭄으로 수력발전이 부진한 상황 등이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의 원인이라고 SCMP는 분석했다. CREA의 라우리 밀리비르타 수석애널리스트와 치친 중국 애널리스트는 카본 브리프가 발행한 보고서(이하 보고서)에서 "중국 정부가 올해 2∼4분기 경제 성장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종전 최대인 2021년을 넘어선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전망했다. 중국은 중앙 정부의 엄격한 탄소배출 감축 정책과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의 영향 속에 2021년 대규모 정전 사태를 겪었다. 이후 작년에 중국 지방 정부들은 2015년 이후 최대 규모로 총 106GW(기가와트) 의 새 석탄 발전소 신설을 허가했다. 이는 2021년의 4배 수준이었다. 중국의 탄소배출량은 국가별로 세계 최대 규모로, 2021년 현재 31%를 넘어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38
지속가능경제
중국, 석탄 증산 긴급 조치...전력난 해소에는 역부족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short
5-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올해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같다는 예측이 나왔다. 가뭄으로 석탄발전이 늘고 코로나 사태 진정으로 경기가 회복되기 때문이다. 특히 석탄발전은 중국 북부에서 주로 이뤄줘 악화될 공기질과 황사가 한반도 하늘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3일(현지시간) 기후과학과 정책을 다루는 웹사이트 '카본 브리프'와 핀란드의 독립 싱크탱크 에너지·청정공기연구센터(CREA)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13일(현지시간) 이같이 보도했다. 올해 중국의 1분기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작년 동기 대비 4% 증가하며 역대 1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추세대로라면 중국의 올해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종전 최대인 2021년을 능가하는 역대 최대가 될 것이라고 SCMP는 전망했다. 중국은 올해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한 뒤 경기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 차원에서 부양책을 쓰고 있다.  지속적 가뭄으로 수력발전이 부진한 상황 등이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의 원인이라고 SCMP는 분석했다. CREA의 라우리 밀리비르타 수석애널리스트와 치친 중국 애널리스트는 카본 브리프가 발행한 보고서(이하 보고서)에서 "중국 정부가 올해 2∼4분기 경제 성장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종전 최대인 2021년을 넘어선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전망했다. 중국은 중앙 정부의 엄격한 탄소배출 감축 정책과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의 영향 속에 2021년 대규모 정전 사태를 겪었다. 이후 작년에 중국 지방 정부들은 2015년 이후 최대 규모로 총 106GW(기가와트) 의 새 석탄 발전소 신설을 허가했다. 이는 2021년의 4배 수준이었다. 중국의 탄소배출량은 국가별로 세계 최대 규모로, 2021년 현재 31%를 넘어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중국 최대 민영 부동산개발업체 헝다그룹(에버그란데)의 채무불이행 우려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강타한 가운데 중국의 전력 부족 사태가 헝다그룹 위기만큼 중국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고 블룸버그뉴스가 27일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전력 소비 통제에 나섰다. 중국의 엄격한 오염물질 배출량 감축 목표뿐 아니라 석탄과 천연가스 가격 급등, 전력 수요 증가 등이 전력 소비 통제로 이어졌다. 중국 정부는 제조업부터 통제하기 시작했다. 알루미늄 제련에서 섬유 생산과 콩 가공 공장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업이 공장 가동을 줄이거나 가동을 중단시켰다. 중국의 23개 성 중 거의 절반이 중앙정부가 정한 에너지 사용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에너지 사용을 줄이라는 압력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 경제에서 3분의 1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는 요충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이 전력 소비 통제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노무라증권의 팅 루 등의 애널리스트들은 리서치 노트에서 “시장의 관심이 에버그란데에 집중돼 있고 중국 정부가 전례 없는 부동산 규제에 나서고 있다”며 “다른 공급 측면의 충격은 과소평가 되거나 외면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번 분기에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헝다그룹 채무불이행 우려에 가려진 중국의 에너지 부족 문제는 이미 유럽 시장을 혼란에 빠트린 전 세계적인 에너지 수급 불안을 반영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경제 봉쇄가 풀리면서 경기가 급반등했고 석탄이나 석유, 천연가스 생산은 감소한 가운데 수요는 급증하면서 에너지 수급 불안이 발생했다. 중국의 경우 내년 2월에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에너지 수급 불안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국제사회에 올림픽 기간 중 푸른 하늘이 드러난 베이징을 보여주는 한편 저탄소 경제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것을 과시하려 한다. 저탄소 전환에 더해 석탄과 가스 가격 급등 중국은 현재 석탄과 천연가스 공급 부족을 겪고 있다. 석탄과 천연가스는 겨울철 난방과 전력 생산에 사용된다. 공급 부족으로 난방용 석탄 선물은 지난달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4배나 상승했다. 광산 안전과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우려가 중국 내 석탄 생산을 제약하는 가운데 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천연가스도 수요자들이 경쟁적으로 물량 확보에 나서면서 급등하고 있다. 과거에 겨울철 전력 수요가 급증할 때 중국은 디젤 발전기를 가동해 부족분을 메웠다. 하지만 올해는 중국 정부의 오염 저감 정책 때문에 디젤 발전으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는데 제약이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의 에너지 소비 감축 요구에 따라 90억 달러 상당의 알루미늄을 생산하는 윈난 알루미늄은 생산을 줄였다. 콩을 가공해 식용유나 동물 사료를 생산하는 톈진 소재 대형 식품업체가 이번 주 공장 가동을 중단하는 등 식품산업도 타격을 입었다. 닛케이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내 애플과 테슬라 협력업체들도 일부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다. 하지만 아이폰을 생산하는 폭스콘은 중국 정부의 조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닛케이는 보도했다. 이보다 규모가 작은 다수의 기업이 감산이나 생산 중단 명령을 받았다는 공시를 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는 이런 기업에 관심을 두지 않고 있으나, 이런 기업의 생산이 위축되면 다국적 기업의 공급망과 영업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하이 인근의 장쑤성에서는 제철소 가동이 중단됐고 일부 도시는 가로등을 켜지 않는다. 저장성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많은 160개 기업이 생산을 중단했고 랴오닝성의 14개 도시는 석탄 가격 급등으로 전력 사용을 줄이는 비상조치에 들어갔다. 노무라증권의 팅 애널리스트는 “에너지 통제는 글로벌 마켓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조만간 시장은 섬유에서 장난감, 기계 부품에 이르기까지 약간의 공급부족 현상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가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성장률을 희생시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맥쿼리그룹의 래리 후 중국 경제 담당 책임자는 “정책당국이 탄소 배출량 목표 달성을 위해 올해 남은 기간 중 저성장을 기꺼이 수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6% 이상의 성장률은 쉽게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상반기의 높은 성장률을 고려할 때 올해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는 쉽게 달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중국이 풍력 및 태양광 발전 설비를 대규모로 확충하기로 한 가운데 고비사막에 집중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단지를 건설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1일 보도했다. 세계 최다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은 2060년 탄소중립을 약속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풍력 및 태양광 발전량을 1200 기가와트까지 늘리는 한편 화석연료 사용은 단계적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다.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은 전날 발표된 새로운 에너지정책 가이드라인을 통해 중국이 녹색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새로운 정책과 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따라서 중국은 2030년까지 새로운 에너지 수요를 비화석연료 에너지원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생에너지 분야 투자를 늘리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한편 시장 구조도 개혁해 나갈 계획이다. 중국은 또 농촌 지역 송전 설비를 개선하는 한편 마을 단위로 재생에너지에 투자하고 여기서 생산된 전기를 판매해 이익을 공유하도록 할 방침이다. 중국 정부는 이처럼 재생에너지 투자가 늘어나도 2025년까지 중국의 석탄 소비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2021~2025년 중 중국의 석탄 화력 발전 설비가 150 기가와트 규모로 확충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이에 따른 탄소배출량 증가를 막기 위해 발전소에 탄소 포집 및 저장 설비를 공급하고 소규모의 비효율적인 광산과 발전소 등은 폐기할 방침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국내 석탄화력 발전 공기업들이 석탄발전을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으로의 전환을 선언해 '2050 탄소중립'에 한발 더 다가섰다. 한전과 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발전공기업은 1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 2021'(BIXPO 2021) 개막식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오는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공동으로 선언했다. 또한 대규모 해상풍력, 차세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사업 개발을 주도하고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공동 연구개발과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내용의 탄소중립 비전인 '제로 포 그린(ZERO for Green)'을 발표했다. 대규모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개발 주도 전력공기업은 재생에너지, 수소 등 탄소배출이 없는 발전원으로 과감히 전환해 발전 분야 탄소배출을 '제로'(0)화하기로 했다. 공정하고 질서 있는 감축 방안을 마련해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고, 민간기업 참여만으로는 활성화가 어려운 대규모 해상풍력이나 차세대 태양광 등 자본·기술집약적 사업 개발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암모니아, 그린수소 등 수소 기반 발전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관련해 전력공기업은 공동의 기술개발 전략과 이행방안을 담은 '탄소중립 기술개발전략'을 수립해 발표했다. 터빈 대형화 및 대규모 단지 시공 기술 등을 개발해 2030년까지 해상풍력의 균등화발전단가(LCOE)를 현행 대비 40% 이상 절감한 ㎾h당 150원으로 낮추기로 했고, 또한 수전해 기술을 중점 개발해 그린수소의 생산 효율을 현재의 65% 수준에서 2030년까지 8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연료 전환을 위해선 2027년까지 20% 암모니아 혼소를 실증하고 2028년까지 50% 수소 혼소 기술을 개발한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도 2030년까지 석탄화력 500㎿, 가스화력 150㎿급으로 상용화해 포집 비용을 현재의 50% 수준인 t(톤)당 30달러까지 낮춘다는 목표도 세웠다. 미국‧일본 등 석탄화력 비중 단계적 축소 목표 수립 세계적으로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2020년 상반기에 발표된 KEA에너지 이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설비 18.3GW가 증설되고, 21.2GW가 폐쇄돼 역대 처음으로 석탄화력 설비용량이 2.9GW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2019년 연간 에너지 소비 통계에서 미국의 재생에너지 소비가 1885년 이래 처음으로 석탄 소비를 역전했다고 보고했다. 미국의 2019년 석탄 소비는 2억 8097만toe로 전년대비 약 15%가 감소했고, 재생에너지 소비는 2억 8475만toe로 전년대비 약 1%가 증가했다. 또한 미국에서는 2050년까지 미국의 전력 생산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석탄, 천연가스 및 원자력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에너지 소비의 38%는 재생에너지가, 나머지 36%는 천연가스, 석탄이 13%, 원자력이 12% 순으로 그 뒤를 이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본에서도 2019년 석탄의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발전용·산업용 석탄 수요가 모두 감소했다. 2018년 대비 5% 줄어든 1억 1715만toe 정도였다. 또 일본은 노후된 석탄화력 발전소 약 100기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가동 중단 및 폐지를 추진한다. 석탄발전소의 가동 중단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18년 기준 17%에서 2030년 22~24%까지 상향 목표를 잡았다. 중국은 2016년에 발표한 전력부문 계획에서 1차 에너지 중 석탄 비중 축소 목표인 55% 이하를 3년 앞당겨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2019년 국가 에너지국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석탄발전설비 20GW를 퇴출시킴으로서 감축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석탄 소비가 2022년 이후 정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67%에서 2024년 59%로 낮아질 전망이다. 석탄수요 역시 중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에 따른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으로 인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탈석탄 정책 잇따르는 EU EU에서도 탈석탄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비영리 탄소시장 정책 분석기관인 샌드백(Sandbag) 역시 풍력과 태양광 발전용량이 크게 늘어난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석탄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고 밝혔다. 독일은 탈석탄 공론화 위원회 권고를 정부가 받아들여 2020년 7월 탈석탄법을 통과시키고 2038년까지 탈석탄 및 2035년 조기달성 목표를 수립했다. 독일은 지난 20년 간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법제를 수립한 결과, 2018년 전력소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이 2010년 대비 5.9배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영국은 2050 탄소중립 목표의 법제화와 함께 2025년 탈석탄을 목표로 석탄발전소 전면 폐쇄를 계획하고 있다. 탈석탄에 따른 부족한 발전용량을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대체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30GW의 해상풍력 설비를 확충한다. 네덜란드는 2018년 6월 CO2 배출량 감축 목표를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49% 감축한다고 밝혔으며, 2050년까지 95%를 감축한다는 계획을 담은 최초의 국가기후변화법을 통과시켰다. 또 기후변화 법에 따라 노후 석탄발전소 2기를 2024년에 철거하고, 신규 발전소 3기를 2030년까지 대체연료 발전소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 지난해 정부의 9차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전체 65개(건설 중 7개 포함)의 석탄발전소 중 2034년까지 30개 석탄발전소를 폐지하고 이 중 24개를 액화천연가스(LNG)복합발전소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원전을 늘려가면서 가동 원전 규모에서 곧 프랑스를 따라잡고 미국에 이어 세계 2위가 될 게 확실시된다. 현재 세계 신규 건설 원전의 약 40%가 중국에 있을 정도로 중국이 원전을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중국 원전 대부분 한국과 가까운 산둥성 등 동부 연안에 몰려 있어 한중 원자력 안전 협력의 중요성도 커질 전망이다. 4일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지난달 현재 세계에서 가동 중인 원전은 총 436기다. 국가 별로 미국이 93기(설비용량 9만5,835MW)로 가장 많고, 프랑스 56기(6만1,370MW), 중국 55기(5만3,286MW), 러시아 37기(2만7,727MW), 일본 33기(3만1,679MW), 한국 25기(2만4,489MW)  순이었다. 중국은 프랑스보다 가동 원전이 1기 적지만, 신규 원전 건설 규모가 압도적이어서 조만간 2위에 오르게 된다. 건설 중인 59기 원전 가운데 중국이 40% 지구촌 건설 중인 원전은 총 59기로 중국에서 40%에 육박하는 23기가 건설 중이다. 프랑스는 한 곳에 불과하다. 신규 원전 건설 규모에서 중국은 인도(8기), 터키(4기), 한국(3기), 러시아(3기), 이집트(3기) 등 원전 건설이 비교적 활발한 다른 나라들을 훨씬 압도했다. 승인이 나왔거나 자금 확보 방안이 확정돼 15년 내 운영 가능성이 큰 건설 예정 원전까지 더하면 중국의 원전 확대 흐름은 더욱 선명하다. 건설 중인 원전과 별개로 세계적으로 건설 예정 원전은 모두 100기로, 이 중 중국이 추진하는 것이 절반 가까운 45기에 달한다. 세계에서 원자력 발전 규모가 가장 큰 미국은 현재 1기의 원전을 건설 중이고, 3기를 추가로 건설할 계획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건설 중이거나 건설할 계획인 원전을 합치면 모두 68기다. 이 같은 추세라면 중국은 머지 않아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원전 가동국이 될 전망이다. 중국이 적극적으로 원전 확대에 나선 것은 심각한 대기 오염을 낳는 석탄 에너지 의존을 줄이기 위해서다. 중국 전체 전력 중 약 60%가 석탄을 태우는 화력발전소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WNA는 "석탄 발전 의존도가 전통적으로 높아 중국의 전력 생산은 대기 오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며 "이는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이 원전 비중을 높이려는 강력한 이유가 된다"고 밝혔다. 원전 확대에도 중국의 전체 전력 중 원전 생산 전력이 차지한 비중은 2021년 기준 5%에 불과하다. 프랑스(69%)는 물론 스웨덴(31%), 한국(28%), 영국(15%), 독일(12%), 일본(7%) 등에 미치지 못한다. 중국 원전은 한반도에 엄청난 잠재 위협...”후쿠시마 오염수는 새발의 피“ 중국 정부는 2021년 3월 공개한 '14차 5개년 계획'(14·5계획)에서 2020년 말 51GW(기가와트)인 원전 설비용량을 2025년 말까지 70GW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중국 핵에너지산업협회(CNEA)는 지난 2015년 보고서에서 원전 생산 전력 비중이 2030년 10%, 2050년 15%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의 원전은 한국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중국의 동부 연안에 몰려 있다. 광둥성 다야완(大亞灣)·링아오(嶺澳) 등 한국과 거리가 먼 중국의 남부 지역을 제외하고도 장쑤성 톈완(田灣), 산둥성 하이양(海陽), 랴오닝성 훙옌허(紅沿河) 등 한국과 가까운 지역에 원전이 들어서고 있다. 한국과 가장 가까운 산둥반도 끝 스다오완(石島灣)에도 원전이 신규로 건설 중이다. 중국은 대규모 육상 원전뿐 아니라 바다에 띄우는 해상부유식 원전 개발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중국은 14·5계획의 원전 정책 부분에서 "해상 부유식 핵동력 플랫폼 등 선진 원자로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면서 해상부유 원전 개발 의지를 밝혔다. 우리나라는 최근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에 국민들의 관심이 쏠려 있지만, 정작 위험한 요소는 중국의 원전으로 꼽힌다. 중국 원전에서 사고라도 나면 편서풍을 타고 방사능이 고스란히 한반도로 넘어오기 때문이다. 한 원전 전문가는 ”중국의 원전 건설 지도를 보면 우리나라가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은 중국의 원자력 안전이며,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는 중국 원전 안전과 비교할 때 한 마디로 우리 국민의 안전과 생명에 미치는 영향은 새 발의 피“라고 지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38
지속가능경제
중국, 석탄 증산 긴급 조치...전력난 해소에는 역부족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short
3-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중국이 풍력 및 태양광 발전 설비를 대규모로 확충하기로 한 가운데 고비사막에 집중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단지를 건설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1일 보도했다. 세계 최다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은 2060년 탄소중립을 약속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풍력 및 태양광 발전량을 1200 기가와트까지 늘리는 한편 화석연료 사용은 단계적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다.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은 전날 발표된 새로운 에너지정책 가이드라인을 통해 중국이 녹색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새로운 정책과 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따라서 중국은 2030년까지 새로운 에너지 수요를 비화석연료 에너지원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생에너지 분야 투자를 늘리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한편 시장 구조도 개혁해 나갈 계획이다. 중국은 또 농촌 지역 송전 설비를 개선하는 한편 마을 단위로 재생에너지에 투자하고 여기서 생산된 전기를 판매해 이익을 공유하도록 할 방침이다. 중국 정부는 이처럼 재생에너지 투자가 늘어나도 2025년까지 중국의 석탄 소비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2021~2025년 중 중국의 석탄 화력 발전 설비가 150 기가와트 규모로 확충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이에 따른 탄소배출량 증가를 막기 위해 발전소에 탄소 포집 및 저장 설비를 공급하고 소규모의 비효율적인 광산과 발전소 등은 폐기할 방침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중국 최대 민영 부동산개발업체 헝다그룹(에버그란데)의 채무불이행 우려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강타한 가운데 중국의 전력 부족 사태가 헝다그룹 위기만큼 중국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고 블룸버그뉴스가 27일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전력 소비 통제에 나섰다. 중국의 엄격한 오염물질 배출량 감축 목표뿐 아니라 석탄과 천연가스 가격 급등, 전력 수요 증가 등이 전력 소비 통제로 이어졌다. 중국 정부는 제조업부터 통제하기 시작했다. 알루미늄 제련에서 섬유 생산과 콩 가공 공장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업이 공장 가동을 줄이거나 가동을 중단시켰다. 중국의 23개 성 중 거의 절반이 중앙정부가 정한 에너지 사용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에너지 사용을 줄이라는 압력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 경제에서 3분의 1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는 요충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이 전력 소비 통제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노무라증권의 팅 루 등의 애널리스트들은 리서치 노트에서 “시장의 관심이 에버그란데에 집중돼 있고 중국 정부가 전례 없는 부동산 규제에 나서고 있다”며 “다른 공급 측면의 충격은 과소평가 되거나 외면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번 분기에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헝다그룹 채무불이행 우려에 가려진 중국의 에너지 부족 문제는 이미 유럽 시장을 혼란에 빠트린 전 세계적인 에너지 수급 불안을 반영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경제 봉쇄가 풀리면서 경기가 급반등했고 석탄이나 석유, 천연가스 생산은 감소한 가운데 수요는 급증하면서 에너지 수급 불안이 발생했다. 중국의 경우 내년 2월에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에너지 수급 불안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국제사회에 올림픽 기간 중 푸른 하늘이 드러난 베이징을 보여주는 한편 저탄소 경제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것을 과시하려 한다. 저탄소 전환에 더해 석탄과 가스 가격 급등 중국은 현재 석탄과 천연가스 공급 부족을 겪고 있다. 석탄과 천연가스는 겨울철 난방과 전력 생산에 사용된다. 공급 부족으로 난방용 석탄 선물은 지난달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4배나 상승했다. 광산 안전과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우려가 중국 내 석탄 생산을 제약하는 가운데 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천연가스도 수요자들이 경쟁적으로 물량 확보에 나서면서 급등하고 있다. 과거에 겨울철 전력 수요가 급증할 때 중국은 디젤 발전기를 가동해 부족분을 메웠다. 하지만 올해는 중국 정부의 오염 저감 정책 때문에 디젤 발전으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는데 제약이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의 에너지 소비 감축 요구에 따라 90억 달러 상당의 알루미늄을 생산하는 윈난 알루미늄은 생산을 줄였다. 콩을 가공해 식용유나 동물 사료를 생산하는 톈진 소재 대형 식품업체가 이번 주 공장 가동을 중단하는 등 식품산업도 타격을 입었다. 닛케이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내 애플과 테슬라 협력업체들도 일부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다. 하지만 아이폰을 생산하는 폭스콘은 중국 정부의 조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닛케이는 보도했다. 이보다 규모가 작은 다수의 기업이 감산이나 생산 중단 명령을 받았다는 공시를 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는 이런 기업에 관심을 두지 않고 있으나, 이런 기업의 생산이 위축되면 다국적 기업의 공급망과 영업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하이 인근의 장쑤성에서는 제철소 가동이 중단됐고 일부 도시는 가로등을 켜지 않는다. 저장성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많은 160개 기업이 생산을 중단했고 랴오닝성의 14개 도시는 석탄 가격 급등으로 전력 사용을 줄이는 비상조치에 들어갔다. 노무라증권의 팅 애널리스트는 “에너지 통제는 글로벌 마켓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조만간 시장은 섬유에서 장난감, 기계 부품에 이르기까지 약간의 공급부족 현상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가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성장률을 희생시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맥쿼리그룹의 래리 후 중국 경제 담당 책임자는 “정책당국이 탄소 배출량 목표 달성을 위해 올해 남은 기간 중 저성장을 기꺼이 수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6% 이상의 성장률은 쉽게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상반기의 높은 성장률을 고려할 때 올해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는 쉽게 달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올해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같다는 예측이 나왔다. 가뭄으로 석탄발전이 늘고 코로나 사태 진정으로 경기가 회복되기 때문이다. 특히 석탄발전은 중국 북부에서 주로 이뤄줘 악화될 공기질과 황사가 한반도 하늘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3일(현지시간) 기후과학과 정책을 다루는 웹사이트 '카본 브리프'와 핀란드의 독립 싱크탱크 에너지·청정공기연구센터(CREA)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13일(현지시간) 이같이 보도했다. 올해 중국의 1분기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작년 동기 대비 4% 증가하며 역대 1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추세대로라면 중국의 올해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종전 최대인 2021년을 능가하는 역대 최대가 될 것이라고 SCMP는 전망했다. 중국은 올해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한 뒤 경기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 차원에서 부양책을 쓰고 있다.  지속적 가뭄으로 수력발전이 부진한 상황 등이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의 원인이라고 SCMP는 분석했다. CREA의 라우리 밀리비르타 수석애널리스트와 치친 중국 애널리스트는 카본 브리프가 발행한 보고서(이하 보고서)에서 "중국 정부가 올해 2∼4분기 경제 성장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종전 최대인 2021년을 넘어선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전망했다. 중국은 중앙 정부의 엄격한 탄소배출 감축 정책과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의 영향 속에 2021년 대규모 정전 사태를 겪었다. 이후 작년에 중국 지방 정부들은 2015년 이후 최대 규모로 총 106GW(기가와트) 의 새 석탄 발전소 신설을 허가했다. 이는 2021년의 4배 수준이었다. 중국의 탄소배출량은 국가별로 세계 최대 규모로, 2021년 현재 31%를 넘어섰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38
지속가능경제
중국, 석탄 증산 긴급 조치...전력난 해소에는 역부족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short
3-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올해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같다는 예측이 나왔다. 가뭄으로 석탄발전이 늘고 코로나 사태 진정으로 경기가 회복되기 때문이다. 특히 석탄발전은 중국 북부에서 주로 이뤄줘 악화될 공기질과 황사가 한반도 하늘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3일(현지시간) 기후과학과 정책을 다루는 웹사이트 '카본 브리프'와 핀란드의 독립 싱크탱크 에너지·청정공기연구센터(CREA)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13일(현지시간) 이같이 보도했다. 올해 중국의 1분기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작년 동기 대비 4% 증가하며 역대 1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추세대로라면 중국의 올해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종전 최대인 2021년을 능가하는 역대 최대가 될 것이라고 SCMP는 전망했다. 중국은 올해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한 뒤 경기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 차원에서 부양책을 쓰고 있다.  지속적 가뭄으로 수력발전이 부진한 상황 등이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의 원인이라고 SCMP는 분석했다. CREA의 라우리 밀리비르타 수석애널리스트와 치친 중국 애널리스트는 카본 브리프가 발행한 보고서(이하 보고서)에서 "중국 정부가 올해 2∼4분기 경제 성장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종전 최대인 2021년을 넘어선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전망했다. 중국은 중앙 정부의 엄격한 탄소배출 감축 정책과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의 영향 속에 2021년 대규모 정전 사태를 겪었다. 이후 작년에 중국 지방 정부들은 2015년 이후 최대 규모로 총 106GW(기가와트) 의 새 석탄 발전소 신설을 허가했다. 이는 2021년의 4배 수준이었다. 중국의 탄소배출량은 국가별로 세계 최대 규모로, 2021년 현재 31%를 넘어섰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중국 최대 민영 부동산개발업체 헝다그룹(에버그란데)의 채무불이행 우려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강타한 가운데 중국의 전력 부족 사태가 헝다그룹 위기만큼 중국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고 블룸버그뉴스가 27일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전력 소비 통제에 나섰다. 중국의 엄격한 오염물질 배출량 감축 목표뿐 아니라 석탄과 천연가스 가격 급등, 전력 수요 증가 등이 전력 소비 통제로 이어졌다. 중국 정부는 제조업부터 통제하기 시작했다. 알루미늄 제련에서 섬유 생산과 콩 가공 공장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업이 공장 가동을 줄이거나 가동을 중단시켰다. 중국의 23개 성 중 거의 절반이 중앙정부가 정한 에너지 사용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에너지 사용을 줄이라는 압력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 경제에서 3분의 1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는 요충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이 전력 소비 통제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노무라증권의 팅 루 등의 애널리스트들은 리서치 노트에서 “시장의 관심이 에버그란데에 집중돼 있고 중국 정부가 전례 없는 부동산 규제에 나서고 있다”며 “다른 공급 측면의 충격은 과소평가 되거나 외면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번 분기에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헝다그룹 채무불이행 우려에 가려진 중국의 에너지 부족 문제는 이미 유럽 시장을 혼란에 빠트린 전 세계적인 에너지 수급 불안을 반영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경제 봉쇄가 풀리면서 경기가 급반등했고 석탄이나 석유, 천연가스 생산은 감소한 가운데 수요는 급증하면서 에너지 수급 불안이 발생했다. 중국의 경우 내년 2월에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에너지 수급 불안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국제사회에 올림픽 기간 중 푸른 하늘이 드러난 베이징을 보여주는 한편 저탄소 경제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것을 과시하려 한다. 저탄소 전환에 더해 석탄과 가스 가격 급등 중국은 현재 석탄과 천연가스 공급 부족을 겪고 있다. 석탄과 천연가스는 겨울철 난방과 전력 생산에 사용된다. 공급 부족으로 난방용 석탄 선물은 지난달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4배나 상승했다. 광산 안전과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우려가 중국 내 석탄 생산을 제약하는 가운데 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천연가스도 수요자들이 경쟁적으로 물량 확보에 나서면서 급등하고 있다. 과거에 겨울철 전력 수요가 급증할 때 중국은 디젤 발전기를 가동해 부족분을 메웠다. 하지만 올해는 중국 정부의 오염 저감 정책 때문에 디젤 발전으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는데 제약이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의 에너지 소비 감축 요구에 따라 90억 달러 상당의 알루미늄을 생산하는 윈난 알루미늄은 생산을 줄였다. 콩을 가공해 식용유나 동물 사료를 생산하는 톈진 소재 대형 식품업체가 이번 주 공장 가동을 중단하는 등 식품산업도 타격을 입었다. 닛케이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내 애플과 테슬라 협력업체들도 일부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다. 하지만 아이폰을 생산하는 폭스콘은 중국 정부의 조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닛케이는 보도했다. 이보다 규모가 작은 다수의 기업이 감산이나 생산 중단 명령을 받았다는 공시를 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는 이런 기업에 관심을 두지 않고 있으나, 이런 기업의 생산이 위축되면 다국적 기업의 공급망과 영업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하이 인근의 장쑤성에서는 제철소 가동이 중단됐고 일부 도시는 가로등을 켜지 않는다. 저장성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많은 160개 기업이 생산을 중단했고 랴오닝성의 14개 도시는 석탄 가격 급등으로 전력 사용을 줄이는 비상조치에 들어갔다. 노무라증권의 팅 애널리스트는 “에너지 통제는 글로벌 마켓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조만간 시장은 섬유에서 장난감, 기계 부품에 이르기까지 약간의 공급부족 현상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가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성장률을 희생시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맥쿼리그룹의 래리 후 중국 경제 담당 책임자는 “정책당국이 탄소 배출량 목표 달성을 위해 올해 남은 기간 중 저성장을 기꺼이 수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6% 이상의 성장률은 쉽게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상반기의 높은 성장률을 고려할 때 올해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는 쉽게 달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중국이 풍력 및 태양광 발전 설비를 대규모로 확충하기로 한 가운데 고비사막에 집중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단지를 건설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1일 보도했다. 세계 최다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은 2060년 탄소중립을 약속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풍력 및 태양광 발전량을 1200 기가와트까지 늘리는 한편 화석연료 사용은 단계적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다.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은 전날 발표된 새로운 에너지정책 가이드라인을 통해 중국이 녹색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새로운 정책과 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따라서 중국은 2030년까지 새로운 에너지 수요를 비화석연료 에너지원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생에너지 분야 투자를 늘리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한편 시장 구조도 개혁해 나갈 계획이다. 중국은 또 농촌 지역 송전 설비를 개선하는 한편 마을 단위로 재생에너지에 투자하고 여기서 생산된 전기를 판매해 이익을 공유하도록 할 방침이다. 중국 정부는 이처럼 재생에너지 투자가 늘어나도 2025년까지 중국의 석탄 소비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2021~2025년 중 중국의 석탄 화력 발전 설비가 150 기가와트 규모로 확충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이에 따른 탄소배출량 증가를 막기 위해 발전소에 탄소 포집 및 저장 설비를 공급하고 소규모의 비효율적인 광산과 발전소 등은 폐기할 방침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38
지속가능경제
중국, 석탄 증산 긴급 조치...전력난 해소에는 역부족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short
3-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올해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같다는 예측이 나왔다. 가뭄으로 석탄발전이 늘고 코로나 사태 진정으로 경기가 회복되기 때문이다. 특히 석탄발전은 중국 북부에서 주로 이뤄줘 악화될 공기질과 황사가 한반도 하늘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3일(현지시간) 기후과학과 정책을 다루는 웹사이트 '카본 브리프'와 핀란드의 독립 싱크탱크 에너지·청정공기연구센터(CREA)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13일(현지시간) 이같이 보도했다. 올해 중국의 1분기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작년 동기 대비 4% 증가하며 역대 1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추세대로라면 중국의 올해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종전 최대인 2021년을 능가하는 역대 최대가 될 것이라고 SCMP는 전망했다. 중국은 올해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한 뒤 경기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 차원에서 부양책을 쓰고 있다.  지속적 가뭄으로 수력발전이 부진한 상황 등이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의 원인이라고 SCMP는 분석했다. CREA의 라우리 밀리비르타 수석애널리스트와 치친 중국 애널리스트는 카본 브리프가 발행한 보고서(이하 보고서)에서 "중국 정부가 올해 2∼4분기 경제 성장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종전 최대인 2021년을 넘어선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전망했다. 중국은 중앙 정부의 엄격한 탄소배출 감축 정책과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의 영향 속에 2021년 대규모 정전 사태를 겪었다. 이후 작년에 중국 지방 정부들은 2015년 이후 최대 규모로 총 106GW(기가와트) 의 새 석탄 발전소 신설을 허가했다. 이는 2021년의 4배 수준이었다. 중국의 탄소배출량은 국가별로 세계 최대 규모로, 2021년 현재 31%를 넘어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중국 최대 민영 부동산개발업체 헝다그룹(에버그란데)의 채무불이행 우려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강타한 가운데 중국의 전력 부족 사태가 헝다그룹 위기만큼 중국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고 블룸버그뉴스가 27일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전력 소비 통제에 나섰다. 중국의 엄격한 오염물질 배출량 감축 목표뿐 아니라 석탄과 천연가스 가격 급등, 전력 수요 증가 등이 전력 소비 통제로 이어졌다. 중국 정부는 제조업부터 통제하기 시작했다. 알루미늄 제련에서 섬유 생산과 콩 가공 공장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업이 공장 가동을 줄이거나 가동을 중단시켰다. 중국의 23개 성 중 거의 절반이 중앙정부가 정한 에너지 사용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에너지 사용을 줄이라는 압력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 경제에서 3분의 1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는 요충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이 전력 소비 통제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노무라증권의 팅 루 등의 애널리스트들은 리서치 노트에서 “시장의 관심이 에버그란데에 집중돼 있고 중국 정부가 전례 없는 부동산 규제에 나서고 있다”며 “다른 공급 측면의 충격은 과소평가 되거나 외면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번 분기에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헝다그룹 채무불이행 우려에 가려진 중국의 에너지 부족 문제는 이미 유럽 시장을 혼란에 빠트린 전 세계적인 에너지 수급 불안을 반영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경제 봉쇄가 풀리면서 경기가 급반등했고 석탄이나 석유, 천연가스 생산은 감소한 가운데 수요는 급증하면서 에너지 수급 불안이 발생했다. 중국의 경우 내년 2월에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에너지 수급 불안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국제사회에 올림픽 기간 중 푸른 하늘이 드러난 베이징을 보여주는 한편 저탄소 경제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것을 과시하려 한다. 저탄소 전환에 더해 석탄과 가스 가격 급등 중국은 현재 석탄과 천연가스 공급 부족을 겪고 있다. 석탄과 천연가스는 겨울철 난방과 전력 생산에 사용된다. 공급 부족으로 난방용 석탄 선물은 지난달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4배나 상승했다. 광산 안전과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우려가 중국 내 석탄 생산을 제약하는 가운데 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천연가스도 수요자들이 경쟁적으로 물량 확보에 나서면서 급등하고 있다. 과거에 겨울철 전력 수요가 급증할 때 중국은 디젤 발전기를 가동해 부족분을 메웠다. 하지만 올해는 중국 정부의 오염 저감 정책 때문에 디젤 발전으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는데 제약이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의 에너지 소비 감축 요구에 따라 90억 달러 상당의 알루미늄을 생산하는 윈난 알루미늄은 생산을 줄였다. 콩을 가공해 식용유나 동물 사료를 생산하는 톈진 소재 대형 식품업체가 이번 주 공장 가동을 중단하는 등 식품산업도 타격을 입었다. 닛케이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내 애플과 테슬라 협력업체들도 일부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다. 하지만 아이폰을 생산하는 폭스콘은 중국 정부의 조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닛케이는 보도했다. 이보다 규모가 작은 다수의 기업이 감산이나 생산 중단 명령을 받았다는 공시를 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는 이런 기업에 관심을 두지 않고 있으나, 이런 기업의 생산이 위축되면 다국적 기업의 공급망과 영업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하이 인근의 장쑤성에서는 제철소 가동이 중단됐고 일부 도시는 가로등을 켜지 않는다. 저장성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많은 160개 기업이 생산을 중단했고 랴오닝성의 14개 도시는 석탄 가격 급등으로 전력 사용을 줄이는 비상조치에 들어갔다. 노무라증권의 팅 애널리스트는 “에너지 통제는 글로벌 마켓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조만간 시장은 섬유에서 장난감, 기계 부품에 이르기까지 약간의 공급부족 현상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가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성장률을 희생시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맥쿼리그룹의 래리 후 중국 경제 담당 책임자는 “정책당국이 탄소 배출량 목표 달성을 위해 올해 남은 기간 중 저성장을 기꺼이 수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6% 이상의 성장률은 쉽게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상반기의 높은 성장률을 고려할 때 올해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는 쉽게 달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중국이 풍력 및 태양광 발전 설비를 대규모로 확충하기로 한 가운데 고비사막에 집중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단지를 건설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1일 보도했다. 세계 최다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은 2060년 탄소중립을 약속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풍력 및 태양광 발전량을 1200 기가와트까지 늘리는 한편 화석연료 사용은 단계적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다.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은 전날 발표된 새로운 에너지정책 가이드라인을 통해 중국이 녹색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새로운 정책과 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따라서 중국은 2030년까지 새로운 에너지 수요를 비화석연료 에너지원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생에너지 분야 투자를 늘리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한편 시장 구조도 개혁해 나갈 계획이다. 중국은 또 농촌 지역 송전 설비를 개선하는 한편 마을 단위로 재생에너지에 투자하고 여기서 생산된 전기를 판매해 이익을 공유하도록 할 방침이다. 중국 정부는 이처럼 재생에너지 투자가 늘어나도 2025년까지 중국의 석탄 소비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2021~2025년 중 중국의 석탄 화력 발전 설비가 150 기가와트 규모로 확충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이에 따른 탄소배출량 증가를 막기 위해 발전소에 탄소 포집 및 저장 설비를 공급하고 소규모의 비효율적인 광산과 발전소 등은 폐기할 방침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38
지속가능경제
중국, 석탄 증산 긴급 조치...전력난 해소에는 역부족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short
3-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중국이 풍력 및 태양광 발전 설비를 대규모로 확충하기로 한 가운데 고비사막에 집중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단지를 건설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1일 보도했다. 세계 최다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은 2060년 탄소중립을 약속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풍력 및 태양광 발전량을 1200 기가와트까지 늘리는 한편 화석연료 사용은 단계적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다.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은 전날 발표된 새로운 에너지정책 가이드라인을 통해 중국이 녹색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새로운 정책과 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따라서 중국은 2030년까지 새로운 에너지 수요를 비화석연료 에너지원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생에너지 분야 투자를 늘리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한편 시장 구조도 개혁해 나갈 계획이다. 중국은 또 농촌 지역 송전 설비를 개선하는 한편 마을 단위로 재생에너지에 투자하고 여기서 생산된 전기를 판매해 이익을 공유하도록 할 방침이다. 중국 정부는 이처럼 재생에너지 투자가 늘어나도 2025년까지 중국의 석탄 소비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2021~2025년 중 중국의 석탄 화력 발전 설비가 150 기가와트 규모로 확충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이에 따른 탄소배출량 증가를 막기 위해 발전소에 탄소 포집 및 저장 설비를 공급하고 소규모의 비효율적인 광산과 발전소 등은 폐기할 방침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long>. ### text:중국 최대 민영 부동산개발업체 헝다그룹(에버그란데)의 채무불이행 우려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강타한 가운데 중국의 전력 부족 사태가 헝다그룹 위기만큼 중국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고 블룸버그뉴스가 27일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전력 소비 통제에 나섰다. 중국의 엄격한 오염물질 배출량 감축 목표뿐 아니라 석탄과 천연가스 가격 급등, 전력 수요 증가 등이 전력 소비 통제로 이어졌다. 중국 정부는 제조업부터 통제하기 시작했다. 알루미늄 제련에서 섬유 생산과 콩 가공 공장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업이 공장 가동을 줄이거나 가동을 중단시켰다. 중국의 23개 성 중 거의 절반이 중앙정부가 정한 에너지 사용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에너지 사용을 줄이라는 압력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 경제에서 3분의 1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는 요충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이 전력 소비 통제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노무라증권의 팅 루 등의 애널리스트들은 리서치 노트에서 “시장의 관심이 에버그란데에 집중돼 있고 중국 정부가 전례 없는 부동산 규제에 나서고 있다”며 “다른 공급 측면의 충격은 과소평가 되거나 외면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번 분기에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헝다그룹 채무불이행 우려에 가려진 중국의 에너지 부족 문제는 이미 유럽 시장을 혼란에 빠트린 전 세계적인 에너지 수급 불안을 반영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경제 봉쇄가 풀리면서 경기가 급반등했고 석탄이나 석유, 천연가스 생산은 감소한 가운데 수요는 급증하면서 에너지 수급 불안이 발생했다. 중국의 경우 내년 2월에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에너지 수급 불안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국제사회에 올림픽 기간 중 푸른 하늘이 드러난 베이징을 보여주는 한편 저탄소 경제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것을 과시하려 한다. 저탄소 전환에 더해 석탄과 가스 가격 급등 중국은 현재 석탄과 천연가스 공급 부족을 겪고 있다. 석탄과 천연가스는 겨울철 난방과 전력 생산에 사용된다. 공급 부족으로 난방용 석탄 선물은 지난달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4배나 상승했다. 광산 안전과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우려가 중국 내 석탄 생산을 제약하는 가운데 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천연가스도 수요자들이 경쟁적으로 물량 확보에 나서면서 급등하고 있다. 과거에 겨울철 전력 수요가 급증할 때 중국은 디젤 발전기를 가동해 부족분을 메웠다. 하지만 올해는 중국 정부의 오염 저감 정책 때문에 디젤 발전으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는데 제약이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의 에너지 소비 감축 요구에 따라 90억 달러 상당의 알루미늄을 생산하는 윈난 알루미늄은 생산을 줄였다. 콩을 가공해 식용유나 동물 사료를 생산하는 톈진 소재 대형 식품업체가 이번 주 공장 가동을 중단하는 등 식품산업도 타격을 입었다. 닛케이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내 애플과 테슬라 협력업체들도 일부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다. 하지만 아이폰을 생산하는 폭스콘은 중국 정부의 조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닛케이는 보도했다. 이보다 규모가 작은 다수의 기업이 감산이나 생산 중단 명령을 받았다는 공시를 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는 이런 기업에 관심을 두지 않고 있으나, 이런 기업의 생산이 위축되면 다국적 기업의 공급망과 영업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하이 인근의 장쑤성에서는 제철소 가동이 중단됐고 일부 도시는 가로등을 켜지 않는다. 저장성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많은 160개 기업이 생산을 중단했고 랴오닝성의 14개 도시는 석탄 가격 급등으로 전력 사용을 줄이는 비상조치에 들어갔다. 노무라증권의 팅 애널리스트는 “에너지 통제는 글로벌 마켓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조만간 시장은 섬유에서 장난감, 기계 부품에 이르기까지 약간의 공급부족 현상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가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성장률을 희생시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맥쿼리그룹의 래리 후 중국 경제 담당 책임자는 “정책당국이 탄소 배출량 목표 달성을 위해 올해 남은 기간 중 저성장을 기꺼이 수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6% 이상의 성장률은 쉽게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상반기의 높은 성장률을 고려할 때 올해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는 쉽게 달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올해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같다는 예측이 나왔다. 가뭄으로 석탄발전이 늘고 코로나 사태 진정으로 경기가 회복되기 때문이다. 특히 석탄발전은 중국 북부에서 주로 이뤄줘 악화될 공기질과 황사가 한반도 하늘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3일(현지시간) 기후과학과 정책을 다루는 웹사이트 '카본 브리프'와 핀란드의 독립 싱크탱크 에너지·청정공기연구센터(CREA)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13일(현지시간) 이같이 보도했다. 올해 중국의 1분기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작년 동기 대비 4% 증가하며 역대 1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추세대로라면 중국의 올해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종전 최대인 2021년을 능가하는 역대 최대가 될 것이라고 SCMP는 전망했다. 중국은 올해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한 뒤 경기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 차원에서 부양책을 쓰고 있다.  지속적 가뭄으로 수력발전이 부진한 상황 등이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의 원인이라고 SCMP는 분석했다. CREA의 라우리 밀리비르타 수석애널리스트와 치친 중국 애널리스트는 카본 브리프가 발행한 보고서(이하 보고서)에서 "중국 정부가 올해 2∼4분기 경제 성장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종전 최대인 2021년을 넘어선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전망했다. 중국은 중앙 정부의 엄격한 탄소배출 감축 정책과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의 영향 속에 2021년 대규모 정전 사태를 겪었다. 이후 작년에 중국 지방 정부들은 2015년 이후 최대 규모로 총 106GW(기가와트) 의 새 석탄 발전소 신설을 허가했다. 이는 2021년의 4배 수준이었다. 중국의 탄소배출량은 국가별로 세계 최대 규모로, 2021년 현재 31%를 넘어섰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38
지속가능경제
중국, 석탄 증산 긴급 조치...전력난 해소에는 역부족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short
1-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중국 최대 민영 부동산개발업체 헝다그룹(에버그란데)의 채무불이행 우려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강타한 가운데 중국의 전력 부족 사태가 헝다그룹 위기만큼 중국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고 블룸버그뉴스가 27일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전력 소비 통제에 나섰다. 중국의 엄격한 오염물질 배출량 감축 목표뿐 아니라 석탄과 천연가스 가격 급등, 전력 수요 증가 등이 전력 소비 통제로 이어졌다. 중국 정부는 제조업부터 통제하기 시작했다. 알루미늄 제련에서 섬유 생산과 콩 가공 공장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업이 공장 가동을 줄이거나 가동을 중단시켰다. 중국의 23개 성 중 거의 절반이 중앙정부가 정한 에너지 사용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에너지 사용을 줄이라는 압력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 경제에서 3분의 1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는 요충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이 전력 소비 통제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노무라증권의 팅 루 등의 애널리스트들은 리서치 노트에서 “시장의 관심이 에버그란데에 집중돼 있고 중국 정부가 전례 없는 부동산 규제에 나서고 있다”며 “다른 공급 측면의 충격은 과소평가 되거나 외면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번 분기에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헝다그룹 채무불이행 우려에 가려진 중국의 에너지 부족 문제는 이미 유럽 시장을 혼란에 빠트린 전 세계적인 에너지 수급 불안을 반영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경제 봉쇄가 풀리면서 경기가 급반등했고 석탄이나 석유, 천연가스 생산은 감소한 가운데 수요는 급증하면서 에너지 수급 불안이 발생했다. 중국의 경우 내년 2월에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에너지 수급 불안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국제사회에 올림픽 기간 중 푸른 하늘이 드러난 베이징을 보여주는 한편 저탄소 경제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것을 과시하려 한다. 저탄소 전환에 더해 석탄과 가스 가격 급등 중국은 현재 석탄과 천연가스 공급 부족을 겪고 있다. 석탄과 천연가스는 겨울철 난방과 전력 생산에 사용된다. 공급 부족으로 난방용 석탄 선물은 지난달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4배나 상승했다. 광산 안전과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우려가 중국 내 석탄 생산을 제약하는 가운데 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천연가스도 수요자들이 경쟁적으로 물량 확보에 나서면서 급등하고 있다. 과거에 겨울철 전력 수요가 급증할 때 중국은 디젤 발전기를 가동해 부족분을 메웠다. 하지만 올해는 중국 정부의 오염 저감 정책 때문에 디젤 발전으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는데 제약이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의 에너지 소비 감축 요구에 따라 90억 달러 상당의 알루미늄을 생산하는 윈난 알루미늄은 생산을 줄였다. 콩을 가공해 식용유나 동물 사료를 생산하는 톈진 소재 대형 식품업체가 이번 주 공장 가동을 중단하는 등 식품산업도 타격을 입었다. 닛케이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내 애플과 테슬라 협력업체들도 일부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다. 하지만 아이폰을 생산하는 폭스콘은 중국 정부의 조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닛케이는 보도했다. 이보다 규모가 작은 다수의 기업이 감산이나 생산 중단 명령을 받았다는 공시를 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는 이런 기업에 관심을 두지 않고 있으나, 이런 기업의 생산이 위축되면 다국적 기업의 공급망과 영업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하이 인근의 장쑤성에서는 제철소 가동이 중단됐고 일부 도시는 가로등을 켜지 않는다. 저장성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많은 160개 기업이 생산을 중단했고 랴오닝성의 14개 도시는 석탄 가격 급등으로 전력 사용을 줄이는 비상조치에 들어갔다. 노무라증권의 팅 애널리스트는 “에너지 통제는 글로벌 마켓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조만간 시장은 섬유에서 장난감, 기계 부품에 이르기까지 약간의 공급부족 현상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가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성장률을 희생시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맥쿼리그룹의 래리 후 중국 경제 담당 책임자는 “정책당국이 탄소 배출량 목표 달성을 위해 올해 남은 기간 중 저성장을 기꺼이 수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6% 이상의 성장률은 쉽게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상반기의 높은 성장률을 고려할 때 올해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는 쉽게 달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38
지속가능경제
중국, 석탄 증산 긴급 조치...전력난 해소에는 역부족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short
1-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중국 최대 민영 부동산개발업체 헝다그룹(에버그란데)의 채무불이행 우려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강타한 가운데 중국의 전력 부족 사태가 헝다그룹 위기만큼 중국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고 블룸버그뉴스가 27일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전력 소비 통제에 나섰다. 중국의 엄격한 오염물질 배출량 감축 목표뿐 아니라 석탄과 천연가스 가격 급등, 전력 수요 증가 등이 전력 소비 통제로 이어졌다. 중국 정부는 제조업부터 통제하기 시작했다. 알루미늄 제련에서 섬유 생산과 콩 가공 공장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업이 공장 가동을 줄이거나 가동을 중단시켰다. 중국의 23개 성 중 거의 절반이 중앙정부가 정한 에너지 사용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에너지 사용을 줄이라는 압력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 경제에서 3분의 1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는 요충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이 전력 소비 통제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노무라증권의 팅 루 등의 애널리스트들은 리서치 노트에서 “시장의 관심이 에버그란데에 집중돼 있고 중국 정부가 전례 없는 부동산 규제에 나서고 있다”며 “다른 공급 측면의 충격은 과소평가 되거나 외면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번 분기에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헝다그룹 채무불이행 우려에 가려진 중국의 에너지 부족 문제는 이미 유럽 시장을 혼란에 빠트린 전 세계적인 에너지 수급 불안을 반영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경제 봉쇄가 풀리면서 경기가 급반등했고 석탄이나 석유, 천연가스 생산은 감소한 가운데 수요는 급증하면서 에너지 수급 불안이 발생했다. 중국의 경우 내년 2월에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에너지 수급 불안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국제사회에 올림픽 기간 중 푸른 하늘이 드러난 베이징을 보여주는 한편 저탄소 경제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것을 과시하려 한다. 저탄소 전환에 더해 석탄과 가스 가격 급등 중국은 현재 석탄과 천연가스 공급 부족을 겪고 있다. 석탄과 천연가스는 겨울철 난방과 전력 생산에 사용된다. 공급 부족으로 난방용 석탄 선물은 지난달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4배나 상승했다. 광산 안전과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우려가 중국 내 석탄 생산을 제약하는 가운데 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천연가스도 수요자들이 경쟁적으로 물량 확보에 나서면서 급등하고 있다. 과거에 겨울철 전력 수요가 급증할 때 중국은 디젤 발전기를 가동해 부족분을 메웠다. 하지만 올해는 중국 정부의 오염 저감 정책 때문에 디젤 발전으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는데 제약이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의 에너지 소비 감축 요구에 따라 90억 달러 상당의 알루미늄을 생산하는 윈난 알루미늄은 생산을 줄였다. 콩을 가공해 식용유나 동물 사료를 생산하는 톈진 소재 대형 식품업체가 이번 주 공장 가동을 중단하는 등 식품산업도 타격을 입었다. 닛케이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내 애플과 테슬라 협력업체들도 일부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다. 하지만 아이폰을 생산하는 폭스콘은 중국 정부의 조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닛케이는 보도했다. 이보다 규모가 작은 다수의 기업이 감산이나 생산 중단 명령을 받았다는 공시를 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는 이런 기업에 관심을 두지 않고 있으나, 이런 기업의 생산이 위축되면 다국적 기업의 공급망과 영업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하이 인근의 장쑤성에서는 제철소 가동이 중단됐고 일부 도시는 가로등을 켜지 않는다. 저장성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많은 160개 기업이 생산을 중단했고 랴오닝성의 14개 도시는 석탄 가격 급등으로 전력 사용을 줄이는 비상조치에 들어갔다. 노무라증권의 팅 애널리스트는 “에너지 통제는 글로벌 마켓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조만간 시장은 섬유에서 장난감, 기계 부품에 이르기까지 약간의 공급부족 현상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가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성장률을 희생시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맥쿼리그룹의 래리 후 중국 경제 담당 책임자는 “정책당국이 탄소 배출량 목표 달성을 위해 올해 남은 기간 중 저성장을 기꺼이 수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6% 이상의 성장률은 쉽게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상반기의 높은 성장률을 고려할 때 올해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는 쉽게 달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short>. ### text: 중국 정부가 석탄 수급 불안에 따른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증산을 명령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당장 전력난을 해소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광둥성을 비롯한 20여개 성에서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취해지는 등 중국이 10년래 최악의 전력난을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은 중국경제 성장의 하방압력을 키우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과 내몽골의 탄광에 연간 생산능력을 1억6000만톤 이상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로이터가 입수하고 지방 정부 관계자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석탄 산지인 산시성 당국은 관내 98개 탄광에 연말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5530만톤 늘리도록 명령했다. 산시성 당국은 또 이미 당국이 허용한 석탄 생산량을 채운 51개 탄광에 4분기에도 석탄 생산을 지속하도록 허용했다. 이 조치로 2065만톤의 석탄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중국 제2의 석탄 생산지인 네이멍구자치구의 에너지 당국도 7일 즉각적인 증산이 가능한 72개 탄광에 긴급 증산 명령을 전달했다.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긴급 명령은 중국 국무원의 지시에 따라 겨울철 에너지 공급 안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 후 전달됐다, 네이멍구 자치구의 72개 탄광에 허용된 석탄 생산량은 연간 1억7845만톤이다. 로이터의 추정에 따르면 이번 긴급 명령으로 9835만톤의 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 발생 중국의 전력난은 경기회복과 친환경 정책, 호주산 석탄 수입 중단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이다. 국금센터는 “경기회복으로 생산활동이 증가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소 감축 압박 및 석탄 기업 규제 정책이 가세”했다며 “친환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석탄 생산 감축 등으로 광산 수가 줄어들고 다수 기업들이 파산한 점 등이 심각한 수급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해 석탄 수급난을 가중시켰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에서 호주산이 57%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호주산에 의존해 왔다. 이런 가운데 석탄 가격이 연초 톤당 200 달러 안팎에서 9월 들어 430 달러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LA타임스는 중국 당국의 규제로 화력발전사업자가 원가 상승에 맞춰 전기 요금을 인상하지 못하자 전력 생산을 줄이면서 전력난이 가중됐다고 보도했다. 당분간 전력난 해소 어려워...중기 전망은 긍정적 국금센터는 “동절기를 앞두고 중국의 폭증하는 석탄 수요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증산 노력에도 단기간 내에 공급난을 해소하기 어렵고 최소 2~3년이 지나서야 공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노링크증권은 내년 2월까지 중국에 필요한 발전용 석탄 18억5000톤 중 12~19%에 해당하는 2억2000~3억4000톤 가량의 석탄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로이터가 보도한 1억6000만톤 이상의 증산이 이루어져도 석탄 부족이 해소되기 어렵고 전력 수급 불안도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석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위축시키고 사업자의 부도로 이어져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금센터는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자체적인 석탄 생산 증가와 대체에너지 생산 효율 개선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 등으로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2026년 중국의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25기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 원전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3
지속가능경제
ISSB, 국제 표준 ESG 공시기준 승인...'25년 첫 공시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short
5-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한국 기업 중에서도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의 공시 기준에 따라 기후 공시를 하는 기업들이 있으나, 공시 내용은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TCFD 기준은 지배구조와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와 목표의 4대 영역, 11개 권고 공시 항목으로 이루어져있다. 지평의 기업경영연구소는 6일 11개 권고 공시 항목을 지배구조 12항목, 전략 17항목, 위험관리 6항목, 지표 및 목표 14항목의 총  49 항목으로 세분화해 이에 관한 공시 현황과 11개 권고 공시 항목 현황까지 측정해 백분율로 환산한 100개 한국 기업의 TCFD 기준 공시율을 제시했다. 분석 결과 TCFD 권고안의 기준을 충족하는 공시율이 2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금융 부문의 평균 공시율은 22%, 비금융 부문의 공시율은 23%였다. 4대 영역 중 지배구조 영역의 공시율은 금융 부문이 27%, 비금융 부문은 26%를 나타냈다. 지표와 목표는 금융이 37%, 비금융은 34%로 가장 높은 공시율을 보였다. 전략 영역에서는 금융 11%, 비금융 14%의 공시율을 보였고 위험관리 영역에서는 금융 9%, 비금융 17%의 공시율을 나타냈다. 11개 권고 공개 항목 중에서는 경영진 역할과 온실가스 배출량 항목의 공시율이 각각 46%와 51%를 기록했고 나머지 항목은 평균 35% 미만을 보였다. 특히 위험 식별과 평가 항목의 공시율은 5%에 불과했다. 연구소는 “한국 기업들의 TCFD 권고안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족하다”며 “권고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가 조직에 미치는 전환 및 물리적 위험과 기회에 대한 파악, 위험과 기회의 재무적 영향에 대한 파악, 시나리오 분석 방법에 대한 이해와 적용 방안에 대한 역량 제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TCFD는 2015년 G20 산하 금융안정위원회(FSB)가 설립한 기후 공시 기준 제정기관이다. 2017년 기후공시 권고안을 내놨고 지평에 따르면 현재 100개 한국 기업이 이 기준에 따라 기후공시를 하고 있다. 정영일 지평 기업경영연구소 소장은 “TCFD는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지속가능성 공시 의무화와 표준화 논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기업 경영과 관리에 대한 가이드도 제공하고 있어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부분을 보완해 TCFD에 대한 대응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TCFD VS ISSB TCFD 권고안은 국제적으로 권위를 인정 받는 기후공시 기준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지난해 설립된 ESG 공시 기준 제정 기관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국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ISSB는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주요 20개국(G20)과 국제증권관리위원회기구(IOSCO)를 포함한 각국 정부와 정책당국 등으로부터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 기준을 제정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지난해 11월 설립했다. ISSB는 3월 TCFD 공시 권고안을 기반으로 공시 영역을 확장한 2개의 ESG 공시 기준 초안을 공개했다. ISSB의 기후공시 초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온실가스 배출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TCFD 권고안과 함께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도 차용하고 있다. 따라서 전 산업에 적용되는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배출 정보와 함께 산업별 온실가스 관련 정보 공개도 함께 요구하고 있다. ISSB는 기후공시 초안뿐 아니라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초안도 공개했다. 만약 ISSB 기준이 국제적인 기준으로 자리잡게 된다면 한국 기업의 ESG 공시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정 소장은 ESG경제와의 전화통화에서 “ISSB가 국제적인 기준이 되면 국내 기업의 공시 부담은 커질 수 밖에 없다”며 그는 다만 “ISSB가 자리잡기까지 시간이 걸릴테니 당분간은 TCFD 권고안을 활용한 공시가 많이 이루어질 것”이라며 “ISSB 기준도 TCFB 권고안을 기반으로 하는 만큼 TCFD 권고안을 잘 적용해 공시를 하다보면 ISSB 기준에 대한 적응이 수월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S1'으로 불리는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은 투자자가 투자 판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공시 방법과 내용을 담고 있다. ISSB는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인 현금흐름 창출 능력은 기업과 이해관계자, 사회, 경제 및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정보가 투자자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비즈니스 모델이 물과 같은 자연 자원에 의존할 경우, 해당 자원의 품질과 가용성,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고 ▲기업 활동이 지역 사회에 해를 끼치는 경우 정부 규제로 사업에 제약을 받을 수 있고 평판 위험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또한 ▲협력회사 등 기업의 사업 파트너가 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직면할 경우 해당 기업도 같은 상황에 노출될 수 있다. 하지만 S1을 포함한 ISSB 공시기준은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모든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하지는 않는다. 투자자 관점에서 중요한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현금흐름이나 자금 조달, 자본 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대한 정보 공개만을 요구한다. ISSB의 ESG 공시기준은 기후변화 관련 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 권고안의 골격을 차용해 ▲지배구조 ▲전략 ▲위험(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의 4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배구조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기업의 지배구조 과정과 절차, 통제에 관한 영역이다. 전략은 투자자가 중대한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관리하는 기업의 전략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리스크 관리는 기업이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지표 및 목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를 관리하고 기회를 포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와 목표로 구성된다. 기업이 설정한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한 진전 여부나 법이나 규제에 따라 기업이 설정해야 하는 지속가능성 목표 등이 포함된다. 중대성 정의 구체화 ISSB는 기업 공시해야 하는 중대한 정보를 이렇게 정의했다. “어떤 정보에 대해 기업이 공시를 생략하거나, 잘못 진술할 경우, 또는 불분명하게 진술할 경우 재무제표를 이용해 투자 판단을 하는 투자자들의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정보”가 그것이다.  ISSB를 설립한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의 회계기준의 중대성 개념에 맞춰 ISSB가 채택한 금융중대성(단일중대성)을 명확하게 정의한 것이다. S1은 ▲공정 공시 ▲기업의 사업 모델이나 외부 환경과 관련된 모든 공급망 관련 위험과 기회 공시 ▲연결재무제표 작성 기업의 경우 모든 해당 기업의 ESG 정보 공시를 강조하고 있다. 공정 공시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에 관한 정보를 충실하게 공시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해당 위험과 기회를 완전하고 정확하게, 중립적으로 기술하도록 요구한다. 다양한 연관성 공시 요구 S1은 다양한 지속가능성 이슈가 초래한 여러 가지 위험과 기회 간 연관성(connection)이나 ESG 이슈와 재무제표와의 연관성 등을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거버넌스나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간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예를 들면 어떤 기업이 협력업체의 고용 관행이 국제적 기준에 미치지 못해 공급 계약을 종료할 경우 부품이나 원자재 수급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해당 기업은 계약 종료와 재무제표에 제시된 관련 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공시해야 한다. 어떤 기업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제품의 생산을 중단하고 관련 설비를 폐쇄하기로 결정할 경우 해당 기업은 기후 관련 위험를 관리하기 위한 이 조치와 이 결정에 따른 재무제표와의 연관성을 명확히 공시해야 한다. 또 기업의 평판이나 지역 사회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 이 결정과 다른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의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지속가능성 공시와 재무제표 공시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공시 기업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할 때 가능하면 재무제표 공시에 사용한 데이터와 가정을 사용해야 하고 현재와 미래의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의 재무적 영향도 공시해야 한다. 사업보고서에 포함해 동시에 공시 요구 ISSB는 ESG 공시를 재무제표가 포함된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공시 기업은 S1과 S2가 요구하는 이상의 ESG 정보를 공시할 수 있으나, 이런 추가적인 정보가 S1과 S2가 요구하는 중대성을 모호하게 해서는 안된다. ESG 공시 시기는 사업보고서와 같은 시기에 이루어져야 하고 공시가 다루는 기간도 사업보고서의 기간과 일치시켜야 한다. 다만 기업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ISSB는 1년의 유예기간을 주기로 했다. 공시 기업은 보고 기간에 제공된 모든 정보에 대해 비교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 다만 공시 첫해에는 유예가 적용된다. 공시 첫해에 기후공시만 하는 기업은 다음 해에 기후 정보 이외의 지속가능성 관련 비교 정보를 공시하지 않아도 된다. ISSB 기준의 모든 요구를 준수한 기업은 공시 준수 성명서(compliance statement)를 제시해야 한다. 법이나 규제로 일부 내용을 공시할 수 없을 경우나 상업적으로 민감한 내용에 대해서는 예외가 인정된다. ISSB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현재와 미래의 재무구조에 미칠 영향에 대해 투자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 공개를 요구한다. ▲보고 기간(공시 적용 기간) 동안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기업의 재무 상태와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치는 영향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회사의 재무 상태,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칠 전망과 이런 전망이 재무계획에 어떻게 반영됐는지 공시해야 한다. 이와 함께 S1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내린 중요한 판단 ▲지속가능성 공시에 영향을 미친 가장 심각한 불확실성 ▲이전에 공시한 내용에 오류가 있을 경우 비교 정보 수정을 요구한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 ISSB는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는데 ISSB 기준 외에 SASB(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CDSB(기후정보공개표준위원회) 프레임워크의 물이나 생물다양성 관련 공시기준, 가장 최근에 나온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을 사용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ISSB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공시 항목이 있을 경우에도 SASB나 CDSB, 최신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EU의 ESRS(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 GRI(글로벌리포팅이니셔티브) 기준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ISSB는 밝혔다.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이 제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업들이 S1과 S2 공시기준으로 ESG 공시에 나서면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 등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한 것이다. 이중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ISSB는 SASB 기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공시 지표 중 약 20%에 해당하는 지표를 개정하고 이에 관해 다양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칠 예정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ESG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기업의 공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공시 첫해에는 기후공시만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ISSB는 오는 4일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과도기적 완화(transitional reliefs)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ISSB는 올 6월 말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이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되며 유예기간을 거쳐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의 ‘과도기적인 완화’ 방안이 확정되면 ISSB 기준으로 ESG공시를 하는 기업은 2025년에는 스코프3 배출량을 제외한 기후변화 위험 및 기회에 대해서만 공시하면 된다. 기후공시 외에 다른 모든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에 관한 공시는 2026년부터 시행된다. 최종 공시기준은 예정대로 2분기 말에 공개할 것이라고 ISSB는 밝혔다. 스코프3 공시도 최소 1년 유예 이에 앞서 지난해 12월 ISSB는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스코프3 배출량 공시 의무를 최소 1년간 유예해 주기로 결정했다. 스코프3는 기업의 협력사 등 공급망과 제품 소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부 탄소 배출량이다. 스코프 3 배출은 부품이나 소재의 생산, 조달 과정을 뜻하는 업스트림 활동에 의한 배출, 그리고 기업이 생산한 제품이 유통되는 과정과 소비자가 쓰고 폐기할 때 발생하는 다운스트림 활동을 통한 배출로 나뉜다. ISSB는 기업에 대한 스코프3 배출량 공시 의무화의 원칙을 견지하기로 했다. 스코프 3 배출량이 기업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스코프3 배출량 공시를 제외하면 기업의 기후 리스크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스코프3 배출량, 특히 다운스트림 배출량은 기업이 탄소배출량을 측정하기 어려워 공시 내용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아 ISSB는 공시 의무를 유예해 주기로 했다. 또 공급망에 속한 기업이 제공하는 온실가스 배출 정보의 측정 기간이 공시 기업의 공시 기간과 일치하지 않아도 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공시 기업의 ESG공시가 1월부터 12월까지의 정보를 담고, 공급망에 속한 기업은 다른 기간의 온실가스 배출 정보를 제공해도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뜻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넷제로투자자연합(NZAIO)이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기준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에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12개 산업에 대해 산업별 기후 목표와 지표를 제정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ESG 투자에 앞장서는 글로벌 금융회사 연합체인 넷제로투자자연합은 지난달 28일 공개한 권고안을 통해 ISSB의 초안 공개에 환영의 뜻을 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지난 2019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캘퍼스) 등의 연기금과 악사, 알리안츠 등 7개 기관투자자를 회원사로 두고 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UNEP FI)가 발족시킨 단체다.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설립된 이 단체의 회원사는 현재 74개로 늘어났고 회원사의 운용자산은 10조6000억 달러(약 1경3843조6000억원)에 달한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ISSB에 "미국 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SASB)의 제안에 기반해 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많은 석유와 가스, 유틸리티, 운송 시멘트, 철강, 알루미늄, 농업, 화학, 건설 등 12개 산업에 개별적인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개를 요구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산업별로 현재의 배출량과 함께 5년, 10년 후의 감축 목표를 동시에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고 이 단체는 제안했다. 이와 함께 넷제로투자자연합은 ISSB의 초안이 석유와 가스 탐사 및 생산 업종과 같은 일부 업종은 스코프1 온실가스 배출량 공개만 요구하고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스코프 1, 2, 3 배출량 공개를 요구하는 것을 고려하면 일관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개별 산업에도 스코프 1, 2 배출량 공시를 요구하고 중대성을 고려해야 하는 산업의 경우 스코프3 배출량까지 공시하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이 단체는 권고했다. 스코프 1은 기업의 탄소 직접 배출, 스코프 2는 전력 사용 등을 통한 간접 배출, 스코프 3는 협력업체 등의 공급망 전체의 배출 등을 말한다.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협의체(TCFD) 권고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과 탄소집약도 등의 공시를 요구하는 반면 SASB 기준은 자동차 산업의 연비나 친환경차 판매 비중, 금융기관이 대출을 제공하거나 투자한 기업의 탄소배출량 등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관련 지표 공시를 요구한다. ISSB 초안은 TCFD와 SASB 기준을 모두 차용하고 있다. 따라서 TCFD 기준과 같이 기본적으로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와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 공시를 요구하고 있으나, 세부적인 내용에서 차이를 보인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의 권고는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 공시 기준을 보완하는 동시에 스코프 1, 2, 3 배출량 공시 의무를 보다 폭넓게 적용하라는 뜻으로 읽힌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또 이산화탄소와 함께 주요 온실가스의 하나인 메탄을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CO2e)에 포함해 공시하도록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탄력적인 대응 계획 공시해야 넷제로투자자연합은 기업이 기후변화에 시나리오별로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후 시나리오 분석을 기후 공시와 함께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시나리오 분석은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투자 계획이 파리협약의 목표와 일치하는지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은 기업에 기후변화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가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정량적인 작업은 아니라는 언급도 나왔다. 넷제로투자연합은 또 기업의 탄소중립 전환 계획을 기후 공시나 지속가능성 공시와 통합해 공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를 위해 기업은 탄소중립 전환 전략과 2050년 탄소중립 목표에 부합하는 단기 목표를 5년마다 제시하는 한편, 이를 위한 진전을 추적하고 탄소중립 전환 전략의 성공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입증 가능하고 계량화할 수 있는 핵심적인 실적 지표를 제시해야 한다는 권고가 나왔다. 또 기업은 이런 활동을 뒷받침할 효과적인 지배구조를 포함한 책임과 역할을 분명하게 정해야 하고 매년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이 단체는 권고했다. ESG 공시에서 기업에 기후 시나리오 분석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기후 공시의 기업별 비교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목표 설정 템플릿(templete) 사용을 기업에 요구해야 한다는 권고도 나왔다. ISSB는 지난 3월 31일 ESG 공시 초안을 공개한 후 지난달 29일까지 전 세계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했다. ISSB는 올 연말 최종 공시 기준을 공표할 예정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ESG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KB금융지주는 ESG 공시와 일반 목적의 재무정보의 연계를 목표로 ESG 공시체계를 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6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확정 발표하면서 이 공시기준을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로 정의했다. 아직도 ESG 정보는 비재무 정보라는 인식이 강한 가운데, ISSB는 ESG 정보가 기업의 재무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재무정보라는 관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ISSB는 2년 내 생물다양성과 인적자본, 공급망 인권 등에 관한 공시기준을 만드는 한편, 재무정보와 지속가능성 정보의 통합 공시에 관한 연구에도 착수하기로 했다. 재무정보와 ESG 정보를 하나의 사업보고서로 묶는 통합공시를 위한 기반을 만들기 위한 연구다. 이런 가운데, KB금융 ESG본부의 전윤재 부장는 1일 열린 ESG경제 창간 3주년 포럼에서 KB의 ESG 공시 관련 주요 과제를 발표하면서 “ESG 정보와 재무정보의 연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밝혀 주목을 받았다. ESG 정보가 재무정보라는 인식조차 부족한 국내에서 ISSB가 연구 과제로 제시한 중장기 목표와 유사한 방향을 밝힌 것이다. ISSB가 밝힌 재무정보와 ESG 정보의 통합은 ‘일반목적 재무정보’와 ‘ESG 재무정보’를 연계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게 KB금융의 판단이다. 전 부장은 포럼이 끝난 후 ESG경제에게 재무정보와 ESG 재무정보의 연계 방안에 관해 추가 설명했다. 그는 우선 “기후위기를 비롯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요인이 재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량화해 공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면 KB금융은 현재 재무공시에서 신용 리스크나 시장 리스크 등 다양한 리스크 관리 방법과 결과를 공시하는데, 앞으로 여기에 기후 리스크도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 부장은 “특히 기후위기가 KB금융의 대출이나 투자자산 등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 중”이라며 시나리오 분석의 합리성을 높여 “향후 중장기 경영전략과 재무공시에도 활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ESG공시가 재무공시 수준의 완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공시)프로세스를 재설계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ESG 데이터 거버넌스 명확화와 내부통제 체계 구축 등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기존 재무정보 프로세스와 통합 수준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 체계 준비 ESG 정보와 재무정보의 연계를 목표로 하는 KB금융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일 중 하나는 ESG 정보를 재무정보로 보는 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체계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KB금융은 중대성 판단도 기존의 이중중대성에서 투자자 중심의 금융중대성 또는 단일중대성으로 전환하고 연결기준의 ESG 공시를 준비하고 있다. KB금융은 공시 위치나 시기도 ISSB기준이 요구하는대로 사업보고서와 통합하고 사업보고서 공시 시기와 일치시키는 방향을 고려하고 있다. ESG 공시를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할지, 사업보고서의 부록으로 공시할지는 국내외 논의 동향을 보며 방향을 정할 전망이다. KB금융은 ISSB가 권고하는 SASB 기준에 기반한 산업별 ESG 공시나 기후 관련 시나리오 분석도 준비하고 있다. 국내에서 ISSB가 요구하는 수준의 공시기준이 도입되려면 시간이 필요하지만, 결국은 이런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KB금융뿐 아니라 국내 대형 금융기관이나 대기업들은 국내 ESG 공시 의무화 일정과 상관없이 투자자의 요구로 ISSB가 요구하는 수준의 공시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재무적 영향분석‧산업기반 공시 등도 주요 과제 전 부장은 재무정보와의 연계와 함께 ESG 공시의 주요 과제로 재무적 영향분석, SASB 기준에 의한 산업기반 공시, 내부통제 방안을 제시했다. ESG 정보의 재무적 영향 분석은 ▲KB금융 계열사별 보유 익스포져 분석 ▲대출, 주식, 채권 등 자산별 금융배출량과 탄소집약도 측정 ▲금융배출량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나리오 분석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KB는 금융배출량을 상업은행과 보험, 자산운용 등 금융사 유형별로 분류해 산출해 공시하고 탄소회계금융(PCAF)이 분류한 기준에 따라 상장주식과 회사채, 기업대출, 비상장주식, 프로젝트 파이낸스(PF), 상업용부동산, 모기지, 자동차대출, 국채의 7개 자산유형별 배출량도 공시할 계획이다. 여기에 금융배출량 총량과 스코프 1, 2, 3 배출량도 함께 공시할 예정이다. 시나리오 분석은 전환 위험과 물리적 위험으로 구분해 실시한다. 전환 위험의 경우 탄소배출권 거래제나 탄소세, 탄소국경조정세와 같은 탄소비용 정책이 기업 신인도에 미치는 영향이나 유형별 금융상품에 미치는 리스크를 분석한다. 여기에 탄소 가격이나 투자 대상 기업의 탄소배출량을 변수로 고려한다. 물리적 위험은 홍수나 태풍, 산불 등의 재해가 자산가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런 시나리오 분석 결과 등을 바탕으로 KB금융은 물리적 위험이나 전환 위험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수준을 추정할 계획이다. KB는 새로 개정되는 SASB 기준에 맞춘 산업기반 공시도 준비하고 있다. SB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SASB 기준은 중대한 지속가능성 공시 주제로 ▶환경 ▶사회적 자본 ▶인적 자본 ▶사업모델 및 혁신 ▶리더쉽 및 지배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공시 주제별로 평균 6개의 세부 주제와 13개의 공시 지표가 있다. 사업 유형별로 세분화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을 따를 경우 KB국민은행의 예를 들면 상업은행이지만 주택금융에 관한 지표도 공시를 해야 한다. 따라서 KB금융은 SASB 기준 공시를 위해 공시 영역과 프로세스를 다시 설정하고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3
지속가능경제
ISSB, 국제 표준 ESG 공시기준 승인...'25년 첫 공시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short
5-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ESG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KB금융지주는 ESG 공시와 일반 목적의 재무정보의 연계를 목표로 ESG 공시체계를 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6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확정 발표하면서 이 공시기준을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로 정의했다. 아직도 ESG 정보는 비재무 정보라는 인식이 강한 가운데, ISSB는 ESG 정보가 기업의 재무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재무정보라는 관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ISSB는 2년 내 생물다양성과 인적자본, 공급망 인권 등에 관한 공시기준을 만드는 한편, 재무정보와 지속가능성 정보의 통합 공시에 관한 연구에도 착수하기로 했다. 재무정보와 ESG 정보를 하나의 사업보고서로 묶는 통합공시를 위한 기반을 만들기 위한 연구다. 이런 가운데, KB금융 ESG본부의 전윤재 부장는 1일 열린 ESG경제 창간 3주년 포럼에서 KB의 ESG 공시 관련 주요 과제를 발표하면서 “ESG 정보와 재무정보의 연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밝혀 주목을 받았다. ESG 정보가 재무정보라는 인식조차 부족한 국내에서 ISSB가 연구 과제로 제시한 중장기 목표와 유사한 방향을 밝힌 것이다. ISSB가 밝힌 재무정보와 ESG 정보의 통합은 ‘일반목적 재무정보’와 ‘ESG 재무정보’를 연계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게 KB금융의 판단이다. 전 부장은 포럼이 끝난 후 ESG경제에게 재무정보와 ESG 재무정보의 연계 방안에 관해 추가 설명했다. 그는 우선 “기후위기를 비롯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요인이 재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량화해 공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면 KB금융은 현재 재무공시에서 신용 리스크나 시장 리스크 등 다양한 리스크 관리 방법과 결과를 공시하는데, 앞으로 여기에 기후 리스크도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 부장은 “특히 기후위기가 KB금융의 대출이나 투자자산 등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 중”이라며 시나리오 분석의 합리성을 높여 “향후 중장기 경영전략과 재무공시에도 활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ESG공시가 재무공시 수준의 완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공시)프로세스를 재설계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ESG 데이터 거버넌스 명확화와 내부통제 체계 구축 등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기존 재무정보 프로세스와 통합 수준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 체계 준비 ESG 정보와 재무정보의 연계를 목표로 하는 KB금융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일 중 하나는 ESG 정보를 재무정보로 보는 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체계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KB금융은 중대성 판단도 기존의 이중중대성에서 투자자 중심의 금융중대성 또는 단일중대성으로 전환하고 연결기준의 ESG 공시를 준비하고 있다. KB금융은 공시 위치나 시기도 ISSB기준이 요구하는대로 사업보고서와 통합하고 사업보고서 공시 시기와 일치시키는 방향을 고려하고 있다. ESG 공시를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할지, 사업보고서의 부록으로 공시할지는 국내외 논의 동향을 보며 방향을 정할 전망이다. KB금융은 ISSB가 권고하는 SASB 기준에 기반한 산업별 ESG 공시나 기후 관련 시나리오 분석도 준비하고 있다. 국내에서 ISSB가 요구하는 수준의 공시기준이 도입되려면 시간이 필요하지만, 결국은 이런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KB금융뿐 아니라 국내 대형 금융기관이나 대기업들은 국내 ESG 공시 의무화 일정과 상관없이 투자자의 요구로 ISSB가 요구하는 수준의 공시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재무적 영향분석‧산업기반 공시 등도 주요 과제 전 부장은 재무정보와의 연계와 함께 ESG 공시의 주요 과제로 재무적 영향분석, SASB 기준에 의한 산업기반 공시, 내부통제 방안을 제시했다. ESG 정보의 재무적 영향 분석은 ▲KB금융 계열사별 보유 익스포져 분석 ▲대출, 주식, 채권 등 자산별 금융배출량과 탄소집약도 측정 ▲금융배출량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나리오 분석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KB는 금융배출량을 상업은행과 보험, 자산운용 등 금융사 유형별로 분류해 산출해 공시하고 탄소회계금융(PCAF)이 분류한 기준에 따라 상장주식과 회사채, 기업대출, 비상장주식, 프로젝트 파이낸스(PF), 상업용부동산, 모기지, 자동차대출, 국채의 7개 자산유형별 배출량도 공시할 계획이다. 여기에 금융배출량 총량과 스코프 1, 2, 3 배출량도 함께 공시할 예정이다. 시나리오 분석은 전환 위험과 물리적 위험으로 구분해 실시한다. 전환 위험의 경우 탄소배출권 거래제나 탄소세, 탄소국경조정세와 같은 탄소비용 정책이 기업 신인도에 미치는 영향이나 유형별 금융상품에 미치는 리스크를 분석한다. 여기에 탄소 가격이나 투자 대상 기업의 탄소배출량을 변수로 고려한다. 물리적 위험은 홍수나 태풍, 산불 등의 재해가 자산가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런 시나리오 분석 결과 등을 바탕으로 KB금융은 물리적 위험이나 전환 위험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수준을 추정할 계획이다. KB는 새로 개정되는 SASB 기준에 맞춘 산업기반 공시도 준비하고 있다. SB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SASB 기준은 중대한 지속가능성 공시 주제로 ▶환경 ▶사회적 자본 ▶인적 자본 ▶사업모델 및 혁신 ▶리더쉽 및 지배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공시 주제별로 평균 6개의 세부 주제와 13개의 공시 지표가 있다. 사업 유형별로 세분화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을 따를 경우 KB국민은행의 예를 들면 상업은행이지만 주택금융에 관한 지표도 공시를 해야 한다. 따라서 KB금융은 SASB 기준 공시를 위해 공시 영역과 프로세스를 다시 설정하고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넷제로투자자연합(NZAIO)이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기준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에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12개 산업에 대해 산업별 기후 목표와 지표를 제정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ESG 투자에 앞장서는 글로벌 금융회사 연합체인 넷제로투자자연합은 지난달 28일 공개한 권고안을 통해 ISSB의 초안 공개에 환영의 뜻을 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지난 2019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캘퍼스) 등의 연기금과 악사, 알리안츠 등 7개 기관투자자를 회원사로 두고 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UNEP FI)가 발족시킨 단체다.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설립된 이 단체의 회원사는 현재 74개로 늘어났고 회원사의 운용자산은 10조6000억 달러(약 1경3843조6000억원)에 달한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ISSB에 "미국 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SASB)의 제안에 기반해 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많은 석유와 가스, 유틸리티, 운송 시멘트, 철강, 알루미늄, 농업, 화학, 건설 등 12개 산업에 개별적인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개를 요구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산업별로 현재의 배출량과 함께 5년, 10년 후의 감축 목표를 동시에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고 이 단체는 제안했다. 이와 함께 넷제로투자자연합은 ISSB의 초안이 석유와 가스 탐사 및 생산 업종과 같은 일부 업종은 스코프1 온실가스 배출량 공개만 요구하고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스코프 1, 2, 3 배출량 공개를 요구하는 것을 고려하면 일관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개별 산업에도 스코프 1, 2 배출량 공시를 요구하고 중대성을 고려해야 하는 산업의 경우 스코프3 배출량까지 공시하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이 단체는 권고했다. 스코프 1은 기업의 탄소 직접 배출, 스코프 2는 전력 사용 등을 통한 간접 배출, 스코프 3는 협력업체 등의 공급망 전체의 배출 등을 말한다.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협의체(TCFD) 권고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과 탄소집약도 등의 공시를 요구하는 반면 SASB 기준은 자동차 산업의 연비나 친환경차 판매 비중, 금융기관이 대출을 제공하거나 투자한 기업의 탄소배출량 등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관련 지표 공시를 요구한다. ISSB 초안은 TCFD와 SASB 기준을 모두 차용하고 있다. 따라서 TCFD 기준과 같이 기본적으로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와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 공시를 요구하고 있으나, 세부적인 내용에서 차이를 보인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의 권고는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 공시 기준을 보완하는 동시에 스코프 1, 2, 3 배출량 공시 의무를 보다 폭넓게 적용하라는 뜻으로 읽힌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또 이산화탄소와 함께 주요 온실가스의 하나인 메탄을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CO2e)에 포함해 공시하도록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탄력적인 대응 계획 공시해야 넷제로투자자연합은 기업이 기후변화에 시나리오별로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후 시나리오 분석을 기후 공시와 함께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시나리오 분석은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투자 계획이 파리협약의 목표와 일치하는지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은 기업에 기후변화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가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정량적인 작업은 아니라는 언급도 나왔다. 넷제로투자연합은 또 기업의 탄소중립 전환 계획을 기후 공시나 지속가능성 공시와 통합해 공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를 위해 기업은 탄소중립 전환 전략과 2050년 탄소중립 목표에 부합하는 단기 목표를 5년마다 제시하는 한편, 이를 위한 진전을 추적하고 탄소중립 전환 전략의 성공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입증 가능하고 계량화할 수 있는 핵심적인 실적 지표를 제시해야 한다는 권고가 나왔다. 또 기업은 이런 활동을 뒷받침할 효과적인 지배구조를 포함한 책임과 역할을 분명하게 정해야 하고 매년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이 단체는 권고했다. ESG 공시에서 기업에 기후 시나리오 분석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기후 공시의 기업별 비교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목표 설정 템플릿(templete) 사용을 기업에 요구해야 한다는 권고도 나왔다. ISSB는 지난 3월 31일 ESG 공시 초안을 공개한 후 지난달 29일까지 전 세계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했다. ISSB는 올 연말 최종 공시 기준을 공표할 예정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ESG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기업의 공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공시 첫해에는 기후공시만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ISSB는 오는 4일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과도기적 완화(transitional reliefs)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ISSB는 올 6월 말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이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되며 유예기간을 거쳐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의 ‘과도기적인 완화’ 방안이 확정되면 ISSB 기준으로 ESG공시를 하는 기업은 2025년에는 스코프3 배출량을 제외한 기후변화 위험 및 기회에 대해서만 공시하면 된다. 기후공시 외에 다른 모든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에 관한 공시는 2026년부터 시행된다. 최종 공시기준은 예정대로 2분기 말에 공개할 것이라고 ISSB는 밝혔다. 스코프3 공시도 최소 1년 유예 이에 앞서 지난해 12월 ISSB는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스코프3 배출량 공시 의무를 최소 1년간 유예해 주기로 결정했다. 스코프3는 기업의 협력사 등 공급망과 제품 소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부 탄소 배출량이다. 스코프 3 배출은 부품이나 소재의 생산, 조달 과정을 뜻하는 업스트림 활동에 의한 배출, 그리고 기업이 생산한 제품이 유통되는 과정과 소비자가 쓰고 폐기할 때 발생하는 다운스트림 활동을 통한 배출로 나뉜다. ISSB는 기업에 대한 스코프3 배출량 공시 의무화의 원칙을 견지하기로 했다. 스코프 3 배출량이 기업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스코프3 배출량 공시를 제외하면 기업의 기후 리스크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스코프3 배출량, 특히 다운스트림 배출량은 기업이 탄소배출량을 측정하기 어려워 공시 내용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아 ISSB는 공시 의무를 유예해 주기로 했다. 또 공급망에 속한 기업이 제공하는 온실가스 배출 정보의 측정 기간이 공시 기업의 공시 기간과 일치하지 않아도 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공시 기업의 ESG공시가 1월부터 12월까지의 정보를 담고, 공급망에 속한 기업은 다른 기간의 온실가스 배출 정보를 제공해도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뜻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S1'으로 불리는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은 투자자가 투자 판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공시 방법과 내용을 담고 있다. ISSB는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인 현금흐름 창출 능력은 기업과 이해관계자, 사회, 경제 및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정보가 투자자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비즈니스 모델이 물과 같은 자연 자원에 의존할 경우, 해당 자원의 품질과 가용성,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고 ▲기업 활동이 지역 사회에 해를 끼치는 경우 정부 규제로 사업에 제약을 받을 수 있고 평판 위험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또한 ▲협력회사 등 기업의 사업 파트너가 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직면할 경우 해당 기업도 같은 상황에 노출될 수 있다. 하지만 S1을 포함한 ISSB 공시기준은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모든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하지는 않는다. 투자자 관점에서 중요한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현금흐름이나 자금 조달, 자본 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대한 정보 공개만을 요구한다. ISSB의 ESG 공시기준은 기후변화 관련 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 권고안의 골격을 차용해 ▲지배구조 ▲전략 ▲위험(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의 4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배구조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기업의 지배구조 과정과 절차, 통제에 관한 영역이다. 전략은 투자자가 중대한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관리하는 기업의 전략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리스크 관리는 기업이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지표 및 목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를 관리하고 기회를 포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와 목표로 구성된다. 기업이 설정한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한 진전 여부나 법이나 규제에 따라 기업이 설정해야 하는 지속가능성 목표 등이 포함된다. 중대성 정의 구체화 ISSB는 기업 공시해야 하는 중대한 정보를 이렇게 정의했다. “어떤 정보에 대해 기업이 공시를 생략하거나, 잘못 진술할 경우, 또는 불분명하게 진술할 경우 재무제표를 이용해 투자 판단을 하는 투자자들의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정보”가 그것이다.  ISSB를 설립한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의 회계기준의 중대성 개념에 맞춰 ISSB가 채택한 금융중대성(단일중대성)을 명확하게 정의한 것이다. S1은 ▲공정 공시 ▲기업의 사업 모델이나 외부 환경과 관련된 모든 공급망 관련 위험과 기회 공시 ▲연결재무제표 작성 기업의 경우 모든 해당 기업의 ESG 정보 공시를 강조하고 있다. 공정 공시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에 관한 정보를 충실하게 공시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해당 위험과 기회를 완전하고 정확하게, 중립적으로 기술하도록 요구한다. 다양한 연관성 공시 요구 S1은 다양한 지속가능성 이슈가 초래한 여러 가지 위험과 기회 간 연관성(connection)이나 ESG 이슈와 재무제표와의 연관성 등을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거버넌스나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간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예를 들면 어떤 기업이 협력업체의 고용 관행이 국제적 기준에 미치지 못해 공급 계약을 종료할 경우 부품이나 원자재 수급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해당 기업은 계약 종료와 재무제표에 제시된 관련 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공시해야 한다. 어떤 기업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제품의 생산을 중단하고 관련 설비를 폐쇄하기로 결정할 경우 해당 기업은 기후 관련 위험를 관리하기 위한 이 조치와 이 결정에 따른 재무제표와의 연관성을 명확히 공시해야 한다. 또 기업의 평판이나 지역 사회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 이 결정과 다른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의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지속가능성 공시와 재무제표 공시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공시 기업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할 때 가능하면 재무제표 공시에 사용한 데이터와 가정을 사용해야 하고 현재와 미래의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의 재무적 영향도 공시해야 한다. 사업보고서에 포함해 동시에 공시 요구 ISSB는 ESG 공시를 재무제표가 포함된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공시 기업은 S1과 S2가 요구하는 이상의 ESG 정보를 공시할 수 있으나, 이런 추가적인 정보가 S1과 S2가 요구하는 중대성을 모호하게 해서는 안된다. ESG 공시 시기는 사업보고서와 같은 시기에 이루어져야 하고 공시가 다루는 기간도 사업보고서의 기간과 일치시켜야 한다. 다만 기업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ISSB는 1년의 유예기간을 주기로 했다. 공시 기업은 보고 기간에 제공된 모든 정보에 대해 비교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 다만 공시 첫해에는 유예가 적용된다. 공시 첫해에 기후공시만 하는 기업은 다음 해에 기후 정보 이외의 지속가능성 관련 비교 정보를 공시하지 않아도 된다. ISSB 기준의 모든 요구를 준수한 기업은 공시 준수 성명서(compliance statement)를 제시해야 한다. 법이나 규제로 일부 내용을 공시할 수 없을 경우나 상업적으로 민감한 내용에 대해서는 예외가 인정된다. ISSB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현재와 미래의 재무구조에 미칠 영향에 대해 투자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 공개를 요구한다. ▲보고 기간(공시 적용 기간) 동안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기업의 재무 상태와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치는 영향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회사의 재무 상태,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칠 전망과 이런 전망이 재무계획에 어떻게 반영됐는지 공시해야 한다. 이와 함께 S1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내린 중요한 판단 ▲지속가능성 공시에 영향을 미친 가장 심각한 불확실성 ▲이전에 공시한 내용에 오류가 있을 경우 비교 정보 수정을 요구한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 ISSB는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는데 ISSB 기준 외에 SASB(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CDSB(기후정보공개표준위원회) 프레임워크의 물이나 생물다양성 관련 공시기준, 가장 최근에 나온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을 사용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ISSB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공시 항목이 있을 경우에도 SASB나 CDSB, 최신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EU의 ESRS(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 GRI(글로벌리포팅이니셔티브) 기준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ISSB는 밝혔다.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이 제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업들이 S1과 S2 공시기준으로 ESG 공시에 나서면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 등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한 것이다. 이중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ISSB는 SASB 기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공시 지표 중 약 20%에 해당하는 지표를 개정하고 이에 관해 다양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칠 예정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한국 기업 중에서도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의 공시 기준에 따라 기후 공시를 하는 기업들이 있으나, 공시 내용은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TCFD 기준은 지배구조와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와 목표의 4대 영역, 11개 권고 공시 항목으로 이루어져있다. 지평의 기업경영연구소는 6일 11개 권고 공시 항목을 지배구조 12항목, 전략 17항목, 위험관리 6항목, 지표 및 목표 14항목의 총  49 항목으로 세분화해 이에 관한 공시 현황과 11개 권고 공시 항목 현황까지 측정해 백분율로 환산한 100개 한국 기업의 TCFD 기준 공시율을 제시했다. 분석 결과 TCFD 권고안의 기준을 충족하는 공시율이 2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금융 부문의 평균 공시율은 22%, 비금융 부문의 공시율은 23%였다. 4대 영역 중 지배구조 영역의 공시율은 금융 부문이 27%, 비금융 부문은 26%를 나타냈다. 지표와 목표는 금융이 37%, 비금융은 34%로 가장 높은 공시율을 보였다. 전략 영역에서는 금융 11%, 비금융 14%의 공시율을 보였고 위험관리 영역에서는 금융 9%, 비금융 17%의 공시율을 나타냈다. 11개 권고 공개 항목 중에서는 경영진 역할과 온실가스 배출량 항목의 공시율이 각각 46%와 51%를 기록했고 나머지 항목은 평균 35% 미만을 보였다. 특히 위험 식별과 평가 항목의 공시율은 5%에 불과했다. 연구소는 “한국 기업들의 TCFD 권고안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족하다”며 “권고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가 조직에 미치는 전환 및 물리적 위험과 기회에 대한 파악, 위험과 기회의 재무적 영향에 대한 파악, 시나리오 분석 방법에 대한 이해와 적용 방안에 대한 역량 제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TCFD는 2015년 G20 산하 금융안정위원회(FSB)가 설립한 기후 공시 기준 제정기관이다. 2017년 기후공시 권고안을 내놨고 지평에 따르면 현재 100개 한국 기업이 이 기준에 따라 기후공시를 하고 있다. 정영일 지평 기업경영연구소 소장은 “TCFD는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지속가능성 공시 의무화와 표준화 논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기업 경영과 관리에 대한 가이드도 제공하고 있어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부분을 보완해 TCFD에 대한 대응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TCFD VS ISSB TCFD 권고안은 국제적으로 권위를 인정 받는 기후공시 기준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지난해 설립된 ESG 공시 기준 제정 기관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국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ISSB는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주요 20개국(G20)과 국제증권관리위원회기구(IOSCO)를 포함한 각국 정부와 정책당국 등으로부터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 기준을 제정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지난해 11월 설립했다. ISSB는 3월 TCFD 공시 권고안을 기반으로 공시 영역을 확장한 2개의 ESG 공시 기준 초안을 공개했다. ISSB의 기후공시 초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온실가스 배출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TCFD 권고안과 함께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도 차용하고 있다. 따라서 전 산업에 적용되는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배출 정보와 함께 산업별 온실가스 관련 정보 공개도 함께 요구하고 있다. ISSB는 기후공시 초안뿐 아니라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초안도 공개했다. 만약 ISSB 기준이 국제적인 기준으로 자리잡게 된다면 한국 기업의 ESG 공시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정 소장은 ESG경제와의 전화통화에서 “ISSB가 국제적인 기준이 되면 국내 기업의 공시 부담은 커질 수 밖에 없다”며 그는 다만 “ISSB가 자리잡기까지 시간이 걸릴테니 당분간은 TCFD 권고안을 활용한 공시가 많이 이루어질 것”이라며 “ISSB 기준도 TCFB 권고안을 기반으로 하는 만큼 TCFD 권고안을 잘 적용해 공시를 하다보면 ISSB 기준에 대한 적응이 수월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3
지속가능경제
ISSB, 국제 표준 ESG 공시기준 승인...'25년 첫 공시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short
5-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한국 기업 중에서도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의 공시 기준에 따라 기후 공시를 하는 기업들이 있으나, 공시 내용은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TCFD 기준은 지배구조와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와 목표의 4대 영역, 11개 권고 공시 항목으로 이루어져있다. 지평의 기업경영연구소는 6일 11개 권고 공시 항목을 지배구조 12항목, 전략 17항목, 위험관리 6항목, 지표 및 목표 14항목의 총  49 항목으로 세분화해 이에 관한 공시 현황과 11개 권고 공시 항목 현황까지 측정해 백분율로 환산한 100개 한국 기업의 TCFD 기준 공시율을 제시했다. 분석 결과 TCFD 권고안의 기준을 충족하는 공시율이 2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금융 부문의 평균 공시율은 22%, 비금융 부문의 공시율은 23%였다. 4대 영역 중 지배구조 영역의 공시율은 금융 부문이 27%, 비금융 부문은 26%를 나타냈다. 지표와 목표는 금융이 37%, 비금융은 34%로 가장 높은 공시율을 보였다. 전략 영역에서는 금융 11%, 비금융 14%의 공시율을 보였고 위험관리 영역에서는 금융 9%, 비금융 17%의 공시율을 나타냈다. 11개 권고 공개 항목 중에서는 경영진 역할과 온실가스 배출량 항목의 공시율이 각각 46%와 51%를 기록했고 나머지 항목은 평균 35% 미만을 보였다. 특히 위험 식별과 평가 항목의 공시율은 5%에 불과했다. 연구소는 “한국 기업들의 TCFD 권고안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족하다”며 “권고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가 조직에 미치는 전환 및 물리적 위험과 기회에 대한 파악, 위험과 기회의 재무적 영향에 대한 파악, 시나리오 분석 방법에 대한 이해와 적용 방안에 대한 역량 제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TCFD는 2015년 G20 산하 금융안정위원회(FSB)가 설립한 기후 공시 기준 제정기관이다. 2017년 기후공시 권고안을 내놨고 지평에 따르면 현재 100개 한국 기업이 이 기준에 따라 기후공시를 하고 있다. 정영일 지평 기업경영연구소 소장은 “TCFD는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지속가능성 공시 의무화와 표준화 논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기업 경영과 관리에 대한 가이드도 제공하고 있어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부분을 보완해 TCFD에 대한 대응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TCFD VS ISSB TCFD 권고안은 국제적으로 권위를 인정 받는 기후공시 기준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지난해 설립된 ESG 공시 기준 제정 기관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국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ISSB는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주요 20개국(G20)과 국제증권관리위원회기구(IOSCO)를 포함한 각국 정부와 정책당국 등으로부터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 기준을 제정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지난해 11월 설립했다. ISSB는 3월 TCFD 공시 권고안을 기반으로 공시 영역을 확장한 2개의 ESG 공시 기준 초안을 공개했다. ISSB의 기후공시 초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온실가스 배출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TCFD 권고안과 함께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도 차용하고 있다. 따라서 전 산업에 적용되는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배출 정보와 함께 산업별 온실가스 관련 정보 공개도 함께 요구하고 있다. ISSB는 기후공시 초안뿐 아니라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초안도 공개했다. 만약 ISSB 기준이 국제적인 기준으로 자리잡게 된다면 한국 기업의 ESG 공시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정 소장은 ESG경제와의 전화통화에서 “ISSB가 국제적인 기준이 되면 국내 기업의 공시 부담은 커질 수 밖에 없다”며 그는 다만 “ISSB가 자리잡기까지 시간이 걸릴테니 당분간은 TCFD 권고안을 활용한 공시가 많이 이루어질 것”이라며 “ISSB 기준도 TCFB 권고안을 기반으로 하는 만큼 TCFD 권고안을 잘 적용해 공시를 하다보면 ISSB 기준에 대한 적응이 수월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S1'으로 불리는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은 투자자가 투자 판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공시 방법과 내용을 담고 있다. ISSB는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인 현금흐름 창출 능력은 기업과 이해관계자, 사회, 경제 및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정보가 투자자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비즈니스 모델이 물과 같은 자연 자원에 의존할 경우, 해당 자원의 품질과 가용성,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고 ▲기업 활동이 지역 사회에 해를 끼치는 경우 정부 규제로 사업에 제약을 받을 수 있고 평판 위험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또한 ▲협력회사 등 기업의 사업 파트너가 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직면할 경우 해당 기업도 같은 상황에 노출될 수 있다. 하지만 S1을 포함한 ISSB 공시기준은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모든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하지는 않는다. 투자자 관점에서 중요한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현금흐름이나 자금 조달, 자본 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대한 정보 공개만을 요구한다. ISSB의 ESG 공시기준은 기후변화 관련 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 권고안의 골격을 차용해 ▲지배구조 ▲전략 ▲위험(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의 4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배구조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기업의 지배구조 과정과 절차, 통제에 관한 영역이다. 전략은 투자자가 중대한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관리하는 기업의 전략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리스크 관리는 기업이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지표 및 목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를 관리하고 기회를 포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와 목표로 구성된다. 기업이 설정한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한 진전 여부나 법이나 규제에 따라 기업이 설정해야 하는 지속가능성 목표 등이 포함된다. 중대성 정의 구체화 ISSB는 기업 공시해야 하는 중대한 정보를 이렇게 정의했다. “어떤 정보에 대해 기업이 공시를 생략하거나, 잘못 진술할 경우, 또는 불분명하게 진술할 경우 재무제표를 이용해 투자 판단을 하는 투자자들의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정보”가 그것이다.  ISSB를 설립한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의 회계기준의 중대성 개념에 맞춰 ISSB가 채택한 금융중대성(단일중대성)을 명확하게 정의한 것이다. S1은 ▲공정 공시 ▲기업의 사업 모델이나 외부 환경과 관련된 모든 공급망 관련 위험과 기회 공시 ▲연결재무제표 작성 기업의 경우 모든 해당 기업의 ESG 정보 공시를 강조하고 있다. 공정 공시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에 관한 정보를 충실하게 공시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해당 위험과 기회를 완전하고 정확하게, 중립적으로 기술하도록 요구한다. 다양한 연관성 공시 요구 S1은 다양한 지속가능성 이슈가 초래한 여러 가지 위험과 기회 간 연관성(connection)이나 ESG 이슈와 재무제표와의 연관성 등을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거버넌스나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간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예를 들면 어떤 기업이 협력업체의 고용 관행이 국제적 기준에 미치지 못해 공급 계약을 종료할 경우 부품이나 원자재 수급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해당 기업은 계약 종료와 재무제표에 제시된 관련 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공시해야 한다. 어떤 기업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제품의 생산을 중단하고 관련 설비를 폐쇄하기로 결정할 경우 해당 기업은 기후 관련 위험를 관리하기 위한 이 조치와 이 결정에 따른 재무제표와의 연관성을 명확히 공시해야 한다. 또 기업의 평판이나 지역 사회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 이 결정과 다른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의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지속가능성 공시와 재무제표 공시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공시 기업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할 때 가능하면 재무제표 공시에 사용한 데이터와 가정을 사용해야 하고 현재와 미래의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의 재무적 영향도 공시해야 한다. 사업보고서에 포함해 동시에 공시 요구 ISSB는 ESG 공시를 재무제표가 포함된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공시 기업은 S1과 S2가 요구하는 이상의 ESG 정보를 공시할 수 있으나, 이런 추가적인 정보가 S1과 S2가 요구하는 중대성을 모호하게 해서는 안된다. ESG 공시 시기는 사업보고서와 같은 시기에 이루어져야 하고 공시가 다루는 기간도 사업보고서의 기간과 일치시켜야 한다. 다만 기업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ISSB는 1년의 유예기간을 주기로 했다. 공시 기업은 보고 기간에 제공된 모든 정보에 대해 비교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 다만 공시 첫해에는 유예가 적용된다. 공시 첫해에 기후공시만 하는 기업은 다음 해에 기후 정보 이외의 지속가능성 관련 비교 정보를 공시하지 않아도 된다. ISSB 기준의 모든 요구를 준수한 기업은 공시 준수 성명서(compliance statement)를 제시해야 한다. 법이나 규제로 일부 내용을 공시할 수 없을 경우나 상업적으로 민감한 내용에 대해서는 예외가 인정된다. ISSB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현재와 미래의 재무구조에 미칠 영향에 대해 투자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 공개를 요구한다. ▲보고 기간(공시 적용 기간) 동안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기업의 재무 상태와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치는 영향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회사의 재무 상태,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칠 전망과 이런 전망이 재무계획에 어떻게 반영됐는지 공시해야 한다. 이와 함께 S1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내린 중요한 판단 ▲지속가능성 공시에 영향을 미친 가장 심각한 불확실성 ▲이전에 공시한 내용에 오류가 있을 경우 비교 정보 수정을 요구한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 ISSB는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는데 ISSB 기준 외에 SASB(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CDSB(기후정보공개표준위원회) 프레임워크의 물이나 생물다양성 관련 공시기준, 가장 최근에 나온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을 사용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ISSB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공시 항목이 있을 경우에도 SASB나 CDSB, 최신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EU의 ESRS(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 GRI(글로벌리포팅이니셔티브) 기준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ISSB는 밝혔다.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이 제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업들이 S1과 S2 공시기준으로 ESG 공시에 나서면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 등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한 것이다. 이중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ISSB는 SASB 기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공시 지표 중 약 20%에 해당하는 지표를 개정하고 이에 관해 다양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칠 예정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ESG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기업의 공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공시 첫해에는 기후공시만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ISSB는 오는 4일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과도기적 완화(transitional reliefs)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ISSB는 올 6월 말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이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되며 유예기간을 거쳐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의 ‘과도기적인 완화’ 방안이 확정되면 ISSB 기준으로 ESG공시를 하는 기업은 2025년에는 스코프3 배출량을 제외한 기후변화 위험 및 기회에 대해서만 공시하면 된다. 기후공시 외에 다른 모든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에 관한 공시는 2026년부터 시행된다. 최종 공시기준은 예정대로 2분기 말에 공개할 것이라고 ISSB는 밝혔다. 스코프3 공시도 최소 1년 유예 이에 앞서 지난해 12월 ISSB는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스코프3 배출량 공시 의무를 최소 1년간 유예해 주기로 결정했다. 스코프3는 기업의 협력사 등 공급망과 제품 소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부 탄소 배출량이다. 스코프 3 배출은 부품이나 소재의 생산, 조달 과정을 뜻하는 업스트림 활동에 의한 배출, 그리고 기업이 생산한 제품이 유통되는 과정과 소비자가 쓰고 폐기할 때 발생하는 다운스트림 활동을 통한 배출로 나뉜다. ISSB는 기업에 대한 스코프3 배출량 공시 의무화의 원칙을 견지하기로 했다. 스코프 3 배출량이 기업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스코프3 배출량 공시를 제외하면 기업의 기후 리스크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스코프3 배출량, 특히 다운스트림 배출량은 기업이 탄소배출량을 측정하기 어려워 공시 내용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아 ISSB는 공시 의무를 유예해 주기로 했다. 또 공급망에 속한 기업이 제공하는 온실가스 배출 정보의 측정 기간이 공시 기업의 공시 기간과 일치하지 않아도 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공시 기업의 ESG공시가 1월부터 12월까지의 정보를 담고, 공급망에 속한 기업은 다른 기간의 온실가스 배출 정보를 제공해도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뜻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넷제로투자자연합(NZAIO)이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기준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에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12개 산업에 대해 산업별 기후 목표와 지표를 제정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ESG 투자에 앞장서는 글로벌 금융회사 연합체인 넷제로투자자연합은 지난달 28일 공개한 권고안을 통해 ISSB의 초안 공개에 환영의 뜻을 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지난 2019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캘퍼스) 등의 연기금과 악사, 알리안츠 등 7개 기관투자자를 회원사로 두고 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UNEP FI)가 발족시킨 단체다.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설립된 이 단체의 회원사는 현재 74개로 늘어났고 회원사의 운용자산은 10조6000억 달러(약 1경3843조6000억원)에 달한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ISSB에 "미국 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SASB)의 제안에 기반해 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많은 석유와 가스, 유틸리티, 운송 시멘트, 철강, 알루미늄, 농업, 화학, 건설 등 12개 산업에 개별적인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개를 요구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산업별로 현재의 배출량과 함께 5년, 10년 후의 감축 목표를 동시에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고 이 단체는 제안했다. 이와 함께 넷제로투자자연합은 ISSB의 초안이 석유와 가스 탐사 및 생산 업종과 같은 일부 업종은 스코프1 온실가스 배출량 공개만 요구하고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스코프 1, 2, 3 배출량 공개를 요구하는 것을 고려하면 일관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개별 산업에도 스코프 1, 2 배출량 공시를 요구하고 중대성을 고려해야 하는 산업의 경우 스코프3 배출량까지 공시하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이 단체는 권고했다. 스코프 1은 기업의 탄소 직접 배출, 스코프 2는 전력 사용 등을 통한 간접 배출, 스코프 3는 협력업체 등의 공급망 전체의 배출 등을 말한다.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협의체(TCFD) 권고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과 탄소집약도 등의 공시를 요구하는 반면 SASB 기준은 자동차 산업의 연비나 친환경차 판매 비중, 금융기관이 대출을 제공하거나 투자한 기업의 탄소배출량 등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관련 지표 공시를 요구한다. ISSB 초안은 TCFD와 SASB 기준을 모두 차용하고 있다. 따라서 TCFD 기준과 같이 기본적으로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와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 공시를 요구하고 있으나, 세부적인 내용에서 차이를 보인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의 권고는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 공시 기준을 보완하는 동시에 스코프 1, 2, 3 배출량 공시 의무를 보다 폭넓게 적용하라는 뜻으로 읽힌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또 이산화탄소와 함께 주요 온실가스의 하나인 메탄을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CO2e)에 포함해 공시하도록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탄력적인 대응 계획 공시해야 넷제로투자자연합은 기업이 기후변화에 시나리오별로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후 시나리오 분석을 기후 공시와 함께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시나리오 분석은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투자 계획이 파리협약의 목표와 일치하는지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은 기업에 기후변화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가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정량적인 작업은 아니라는 언급도 나왔다. 넷제로투자연합은 또 기업의 탄소중립 전환 계획을 기후 공시나 지속가능성 공시와 통합해 공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를 위해 기업은 탄소중립 전환 전략과 2050년 탄소중립 목표에 부합하는 단기 목표를 5년마다 제시하는 한편, 이를 위한 진전을 추적하고 탄소중립 전환 전략의 성공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입증 가능하고 계량화할 수 있는 핵심적인 실적 지표를 제시해야 한다는 권고가 나왔다. 또 기업은 이런 활동을 뒷받침할 효과적인 지배구조를 포함한 책임과 역할을 분명하게 정해야 하고 매년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이 단체는 권고했다. ESG 공시에서 기업에 기후 시나리오 분석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기후 공시의 기업별 비교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목표 설정 템플릿(templete) 사용을 기업에 요구해야 한다는 권고도 나왔다. ISSB는 지난 3월 31일 ESG 공시 초안을 공개한 후 지난달 29일까지 전 세계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했다. ISSB는 올 연말 최종 공시 기준을 공표할 예정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ESG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KB금융지주는 ESG 공시와 일반 목적의 재무정보의 연계를 목표로 ESG 공시체계를 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6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확정 발표하면서 이 공시기준을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로 정의했다. 아직도 ESG 정보는 비재무 정보라는 인식이 강한 가운데, ISSB는 ESG 정보가 기업의 재무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재무정보라는 관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ISSB는 2년 내 생물다양성과 인적자본, 공급망 인권 등에 관한 공시기준을 만드는 한편, 재무정보와 지속가능성 정보의 통합 공시에 관한 연구에도 착수하기로 했다. 재무정보와 ESG 정보를 하나의 사업보고서로 묶는 통합공시를 위한 기반을 만들기 위한 연구다. 이런 가운데, KB금융 ESG본부의 전윤재 부장는 1일 열린 ESG경제 창간 3주년 포럼에서 KB의 ESG 공시 관련 주요 과제를 발표하면서 “ESG 정보와 재무정보의 연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밝혀 주목을 받았다. ESG 정보가 재무정보라는 인식조차 부족한 국내에서 ISSB가 연구 과제로 제시한 중장기 목표와 유사한 방향을 밝힌 것이다. ISSB가 밝힌 재무정보와 ESG 정보의 통합은 ‘일반목적 재무정보’와 ‘ESG 재무정보’를 연계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게 KB금융의 판단이다. 전 부장은 포럼이 끝난 후 ESG경제에게 재무정보와 ESG 재무정보의 연계 방안에 관해 추가 설명했다. 그는 우선 “기후위기를 비롯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요인이 재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량화해 공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면 KB금융은 현재 재무공시에서 신용 리스크나 시장 리스크 등 다양한 리스크 관리 방법과 결과를 공시하는데, 앞으로 여기에 기후 리스크도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 부장은 “특히 기후위기가 KB금융의 대출이나 투자자산 등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 중”이라며 시나리오 분석의 합리성을 높여 “향후 중장기 경영전략과 재무공시에도 활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ESG공시가 재무공시 수준의 완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공시)프로세스를 재설계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ESG 데이터 거버넌스 명확화와 내부통제 체계 구축 등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기존 재무정보 프로세스와 통합 수준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 체계 준비 ESG 정보와 재무정보의 연계를 목표로 하는 KB금융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일 중 하나는 ESG 정보를 재무정보로 보는 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체계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KB금융은 중대성 판단도 기존의 이중중대성에서 투자자 중심의 금융중대성 또는 단일중대성으로 전환하고 연결기준의 ESG 공시를 준비하고 있다. KB금융은 공시 위치나 시기도 ISSB기준이 요구하는대로 사업보고서와 통합하고 사업보고서 공시 시기와 일치시키는 방향을 고려하고 있다. ESG 공시를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할지, 사업보고서의 부록으로 공시할지는 국내외 논의 동향을 보며 방향을 정할 전망이다. KB금융은 ISSB가 권고하는 SASB 기준에 기반한 산업별 ESG 공시나 기후 관련 시나리오 분석도 준비하고 있다. 국내에서 ISSB가 요구하는 수준의 공시기준이 도입되려면 시간이 필요하지만, 결국은 이런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KB금융뿐 아니라 국내 대형 금융기관이나 대기업들은 국내 ESG 공시 의무화 일정과 상관없이 투자자의 요구로 ISSB가 요구하는 수준의 공시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재무적 영향분석‧산업기반 공시 등도 주요 과제 전 부장은 재무정보와의 연계와 함께 ESG 공시의 주요 과제로 재무적 영향분석, SASB 기준에 의한 산업기반 공시, 내부통제 방안을 제시했다. ESG 정보의 재무적 영향 분석은 ▲KB금융 계열사별 보유 익스포져 분석 ▲대출, 주식, 채권 등 자산별 금융배출량과 탄소집약도 측정 ▲금융배출량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나리오 분석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KB는 금융배출량을 상업은행과 보험, 자산운용 등 금융사 유형별로 분류해 산출해 공시하고 탄소회계금융(PCAF)이 분류한 기준에 따라 상장주식과 회사채, 기업대출, 비상장주식, 프로젝트 파이낸스(PF), 상업용부동산, 모기지, 자동차대출, 국채의 7개 자산유형별 배출량도 공시할 계획이다. 여기에 금융배출량 총량과 스코프 1, 2, 3 배출량도 함께 공시할 예정이다. 시나리오 분석은 전환 위험과 물리적 위험으로 구분해 실시한다. 전환 위험의 경우 탄소배출권 거래제나 탄소세, 탄소국경조정세와 같은 탄소비용 정책이 기업 신인도에 미치는 영향이나 유형별 금융상품에 미치는 리스크를 분석한다. 여기에 탄소 가격이나 투자 대상 기업의 탄소배출량을 변수로 고려한다. 물리적 위험은 홍수나 태풍, 산불 등의 재해가 자산가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런 시나리오 분석 결과 등을 바탕으로 KB금융은 물리적 위험이나 전환 위험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수준을 추정할 계획이다. KB는 새로 개정되는 SASB 기준에 맞춘 산업기반 공시도 준비하고 있다. SB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SASB 기준은 중대한 지속가능성 공시 주제로 ▶환경 ▶사회적 자본 ▶인적 자본 ▶사업모델 및 혁신 ▶리더쉽 및 지배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공시 주제별로 평균 6개의 세부 주제와 13개의 공시 지표가 있다. 사업 유형별로 세분화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을 따를 경우 KB국민은행의 예를 들면 상업은행이지만 주택금융에 관한 지표도 공시를 해야 한다. 따라서 KB금융은 SASB 기준 공시를 위해 공시 영역과 프로세스를 다시 설정하고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3
지속가능경제
ISSB, 국제 표준 ESG 공시기준 승인...'25년 첫 공시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short
5-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ESG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KB금융지주는 ESG 공시와 일반 목적의 재무정보의 연계를 목표로 ESG 공시체계를 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6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확정 발표하면서 이 공시기준을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로 정의했다. 아직도 ESG 정보는 비재무 정보라는 인식이 강한 가운데, ISSB는 ESG 정보가 기업의 재무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재무정보라는 관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ISSB는 2년 내 생물다양성과 인적자본, 공급망 인권 등에 관한 공시기준을 만드는 한편, 재무정보와 지속가능성 정보의 통합 공시에 관한 연구에도 착수하기로 했다. 재무정보와 ESG 정보를 하나의 사업보고서로 묶는 통합공시를 위한 기반을 만들기 위한 연구다. 이런 가운데, KB금융 ESG본부의 전윤재 부장는 1일 열린 ESG경제 창간 3주년 포럼에서 KB의 ESG 공시 관련 주요 과제를 발표하면서 “ESG 정보와 재무정보의 연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밝혀 주목을 받았다. ESG 정보가 재무정보라는 인식조차 부족한 국내에서 ISSB가 연구 과제로 제시한 중장기 목표와 유사한 방향을 밝힌 것이다. ISSB가 밝힌 재무정보와 ESG 정보의 통합은 ‘일반목적 재무정보’와 ‘ESG 재무정보’를 연계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게 KB금융의 판단이다. 전 부장은 포럼이 끝난 후 ESG경제에게 재무정보와 ESG 재무정보의 연계 방안에 관해 추가 설명했다. 그는 우선 “기후위기를 비롯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요인이 재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량화해 공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면 KB금융은 현재 재무공시에서 신용 리스크나 시장 리스크 등 다양한 리스크 관리 방법과 결과를 공시하는데, 앞으로 여기에 기후 리스크도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 부장은 “특히 기후위기가 KB금융의 대출이나 투자자산 등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 중”이라며 시나리오 분석의 합리성을 높여 “향후 중장기 경영전략과 재무공시에도 활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ESG공시가 재무공시 수준의 완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공시)프로세스를 재설계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ESG 데이터 거버넌스 명확화와 내부통제 체계 구축 등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기존 재무정보 프로세스와 통합 수준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 체계 준비 ESG 정보와 재무정보의 연계를 목표로 하는 KB금융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일 중 하나는 ESG 정보를 재무정보로 보는 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체계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KB금융은 중대성 판단도 기존의 이중중대성에서 투자자 중심의 금융중대성 또는 단일중대성으로 전환하고 연결기준의 ESG 공시를 준비하고 있다. KB금융은 공시 위치나 시기도 ISSB기준이 요구하는대로 사업보고서와 통합하고 사업보고서 공시 시기와 일치시키는 방향을 고려하고 있다. ESG 공시를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할지, 사업보고서의 부록으로 공시할지는 국내외 논의 동향을 보며 방향을 정할 전망이다. KB금융은 ISSB가 권고하는 SASB 기준에 기반한 산업별 ESG 공시나 기후 관련 시나리오 분석도 준비하고 있다. 국내에서 ISSB가 요구하는 수준의 공시기준이 도입되려면 시간이 필요하지만, 결국은 이런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KB금융뿐 아니라 국내 대형 금융기관이나 대기업들은 국내 ESG 공시 의무화 일정과 상관없이 투자자의 요구로 ISSB가 요구하는 수준의 공시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재무적 영향분석‧산업기반 공시 등도 주요 과제 전 부장은 재무정보와의 연계와 함께 ESG 공시의 주요 과제로 재무적 영향분석, SASB 기준에 의한 산업기반 공시, 내부통제 방안을 제시했다. ESG 정보의 재무적 영향 분석은 ▲KB금융 계열사별 보유 익스포져 분석 ▲대출, 주식, 채권 등 자산별 금융배출량과 탄소집약도 측정 ▲금융배출량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나리오 분석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KB는 금융배출량을 상업은행과 보험, 자산운용 등 금융사 유형별로 분류해 산출해 공시하고 탄소회계금융(PCAF)이 분류한 기준에 따라 상장주식과 회사채, 기업대출, 비상장주식, 프로젝트 파이낸스(PF), 상업용부동산, 모기지, 자동차대출, 국채의 7개 자산유형별 배출량도 공시할 계획이다. 여기에 금융배출량 총량과 스코프 1, 2, 3 배출량도 함께 공시할 예정이다. 시나리오 분석은 전환 위험과 물리적 위험으로 구분해 실시한다. 전환 위험의 경우 탄소배출권 거래제나 탄소세, 탄소국경조정세와 같은 탄소비용 정책이 기업 신인도에 미치는 영향이나 유형별 금융상품에 미치는 리스크를 분석한다. 여기에 탄소 가격이나 투자 대상 기업의 탄소배출량을 변수로 고려한다. 물리적 위험은 홍수나 태풍, 산불 등의 재해가 자산가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런 시나리오 분석 결과 등을 바탕으로 KB금융은 물리적 위험이나 전환 위험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수준을 추정할 계획이다. KB는 새로 개정되는 SASB 기준에 맞춘 산업기반 공시도 준비하고 있다. SB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SASB 기준은 중대한 지속가능성 공시 주제로 ▶환경 ▶사회적 자본 ▶인적 자본 ▶사업모델 및 혁신 ▶리더쉽 및 지배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공시 주제별로 평균 6개의 세부 주제와 13개의 공시 지표가 있다. 사업 유형별로 세분화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을 따를 경우 KB국민은행의 예를 들면 상업은행이지만 주택금융에 관한 지표도 공시를 해야 한다. 따라서 KB금융은 SASB 기준 공시를 위해 공시 영역과 프로세스를 다시 설정하고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넷제로투자자연합(NZAIO)이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기준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에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12개 산업에 대해 산업별 기후 목표와 지표를 제정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ESG 투자에 앞장서는 글로벌 금융회사 연합체인 넷제로투자자연합은 지난달 28일 공개한 권고안을 통해 ISSB의 초안 공개에 환영의 뜻을 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지난 2019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캘퍼스) 등의 연기금과 악사, 알리안츠 등 7개 기관투자자를 회원사로 두고 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UNEP FI)가 발족시킨 단체다.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설립된 이 단체의 회원사는 현재 74개로 늘어났고 회원사의 운용자산은 10조6000억 달러(약 1경3843조6000억원)에 달한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ISSB에 "미국 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SASB)의 제안에 기반해 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많은 석유와 가스, 유틸리티, 운송 시멘트, 철강, 알루미늄, 농업, 화학, 건설 등 12개 산업에 개별적인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개를 요구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산업별로 현재의 배출량과 함께 5년, 10년 후의 감축 목표를 동시에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고 이 단체는 제안했다. 이와 함께 넷제로투자자연합은 ISSB의 초안이 석유와 가스 탐사 및 생산 업종과 같은 일부 업종은 스코프1 온실가스 배출량 공개만 요구하고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스코프 1, 2, 3 배출량 공개를 요구하는 것을 고려하면 일관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개별 산업에도 스코프 1, 2 배출량 공시를 요구하고 중대성을 고려해야 하는 산업의 경우 스코프3 배출량까지 공시하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이 단체는 권고했다. 스코프 1은 기업의 탄소 직접 배출, 스코프 2는 전력 사용 등을 통한 간접 배출, 스코프 3는 협력업체 등의 공급망 전체의 배출 등을 말한다.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협의체(TCFD) 권고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과 탄소집약도 등의 공시를 요구하는 반면 SASB 기준은 자동차 산업의 연비나 친환경차 판매 비중, 금융기관이 대출을 제공하거나 투자한 기업의 탄소배출량 등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관련 지표 공시를 요구한다. ISSB 초안은 TCFD와 SASB 기준을 모두 차용하고 있다. 따라서 TCFD 기준과 같이 기본적으로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와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 공시를 요구하고 있으나, 세부적인 내용에서 차이를 보인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의 권고는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 공시 기준을 보완하는 동시에 스코프 1, 2, 3 배출량 공시 의무를 보다 폭넓게 적용하라는 뜻으로 읽힌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또 이산화탄소와 함께 주요 온실가스의 하나인 메탄을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CO2e)에 포함해 공시하도록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탄력적인 대응 계획 공시해야 넷제로투자자연합은 기업이 기후변화에 시나리오별로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후 시나리오 분석을 기후 공시와 함께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시나리오 분석은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투자 계획이 파리협약의 목표와 일치하는지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은 기업에 기후변화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가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정량적인 작업은 아니라는 언급도 나왔다. 넷제로투자연합은 또 기업의 탄소중립 전환 계획을 기후 공시나 지속가능성 공시와 통합해 공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를 위해 기업은 탄소중립 전환 전략과 2050년 탄소중립 목표에 부합하는 단기 목표를 5년마다 제시하는 한편, 이를 위한 진전을 추적하고 탄소중립 전환 전략의 성공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입증 가능하고 계량화할 수 있는 핵심적인 실적 지표를 제시해야 한다는 권고가 나왔다. 또 기업은 이런 활동을 뒷받침할 효과적인 지배구조를 포함한 책임과 역할을 분명하게 정해야 하고 매년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이 단체는 권고했다. ESG 공시에서 기업에 기후 시나리오 분석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기후 공시의 기업별 비교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목표 설정 템플릿(templete) 사용을 기업에 요구해야 한다는 권고도 나왔다. ISSB는 지난 3월 31일 ESG 공시 초안을 공개한 후 지난달 29일까지 전 세계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했다. ISSB는 올 연말 최종 공시 기준을 공표할 예정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ESG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기업의 공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공시 첫해에는 기후공시만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ISSB는 오는 4일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과도기적 완화(transitional reliefs)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ISSB는 올 6월 말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이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되며 유예기간을 거쳐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의 ‘과도기적인 완화’ 방안이 확정되면 ISSB 기준으로 ESG공시를 하는 기업은 2025년에는 스코프3 배출량을 제외한 기후변화 위험 및 기회에 대해서만 공시하면 된다. 기후공시 외에 다른 모든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에 관한 공시는 2026년부터 시행된다. 최종 공시기준은 예정대로 2분기 말에 공개할 것이라고 ISSB는 밝혔다. 스코프3 공시도 최소 1년 유예 이에 앞서 지난해 12월 ISSB는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스코프3 배출량 공시 의무를 최소 1년간 유예해 주기로 결정했다. 스코프3는 기업의 협력사 등 공급망과 제품 소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부 탄소 배출량이다. 스코프 3 배출은 부품이나 소재의 생산, 조달 과정을 뜻하는 업스트림 활동에 의한 배출, 그리고 기업이 생산한 제품이 유통되는 과정과 소비자가 쓰고 폐기할 때 발생하는 다운스트림 활동을 통한 배출로 나뉜다. ISSB는 기업에 대한 스코프3 배출량 공시 의무화의 원칙을 견지하기로 했다. 스코프 3 배출량이 기업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스코프3 배출량 공시를 제외하면 기업의 기후 리스크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스코프3 배출량, 특히 다운스트림 배출량은 기업이 탄소배출량을 측정하기 어려워 공시 내용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아 ISSB는 공시 의무를 유예해 주기로 했다. 또 공급망에 속한 기업이 제공하는 온실가스 배출 정보의 측정 기간이 공시 기업의 공시 기간과 일치하지 않아도 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공시 기업의 ESG공시가 1월부터 12월까지의 정보를 담고, 공급망에 속한 기업은 다른 기간의 온실가스 배출 정보를 제공해도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뜻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S1'으로 불리는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은 투자자가 투자 판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공시 방법과 내용을 담고 있다. ISSB는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인 현금흐름 창출 능력은 기업과 이해관계자, 사회, 경제 및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정보가 투자자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비즈니스 모델이 물과 같은 자연 자원에 의존할 경우, 해당 자원의 품질과 가용성,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고 ▲기업 활동이 지역 사회에 해를 끼치는 경우 정부 규제로 사업에 제약을 받을 수 있고 평판 위험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또한 ▲협력회사 등 기업의 사업 파트너가 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직면할 경우 해당 기업도 같은 상황에 노출될 수 있다. 하지만 S1을 포함한 ISSB 공시기준은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모든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하지는 않는다. 투자자 관점에서 중요한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현금흐름이나 자금 조달, 자본 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대한 정보 공개만을 요구한다. ISSB의 ESG 공시기준은 기후변화 관련 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 권고안의 골격을 차용해 ▲지배구조 ▲전략 ▲위험(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의 4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배구조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기업의 지배구조 과정과 절차, 통제에 관한 영역이다. 전략은 투자자가 중대한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관리하는 기업의 전략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리스크 관리는 기업이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지표 및 목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를 관리하고 기회를 포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와 목표로 구성된다. 기업이 설정한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한 진전 여부나 법이나 규제에 따라 기업이 설정해야 하는 지속가능성 목표 등이 포함된다. 중대성 정의 구체화 ISSB는 기업 공시해야 하는 중대한 정보를 이렇게 정의했다. “어떤 정보에 대해 기업이 공시를 생략하거나, 잘못 진술할 경우, 또는 불분명하게 진술할 경우 재무제표를 이용해 투자 판단을 하는 투자자들의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정보”가 그것이다.  ISSB를 설립한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의 회계기준의 중대성 개념에 맞춰 ISSB가 채택한 금융중대성(단일중대성)을 명확하게 정의한 것이다. S1은 ▲공정 공시 ▲기업의 사업 모델이나 외부 환경과 관련된 모든 공급망 관련 위험과 기회 공시 ▲연결재무제표 작성 기업의 경우 모든 해당 기업의 ESG 정보 공시를 강조하고 있다. 공정 공시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에 관한 정보를 충실하게 공시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해당 위험과 기회를 완전하고 정확하게, 중립적으로 기술하도록 요구한다. 다양한 연관성 공시 요구 S1은 다양한 지속가능성 이슈가 초래한 여러 가지 위험과 기회 간 연관성(connection)이나 ESG 이슈와 재무제표와의 연관성 등을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거버넌스나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간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예를 들면 어떤 기업이 협력업체의 고용 관행이 국제적 기준에 미치지 못해 공급 계약을 종료할 경우 부품이나 원자재 수급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해당 기업은 계약 종료와 재무제표에 제시된 관련 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공시해야 한다. 어떤 기업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제품의 생산을 중단하고 관련 설비를 폐쇄하기로 결정할 경우 해당 기업은 기후 관련 위험를 관리하기 위한 이 조치와 이 결정에 따른 재무제표와의 연관성을 명확히 공시해야 한다. 또 기업의 평판이나 지역 사회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 이 결정과 다른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의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지속가능성 공시와 재무제표 공시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공시 기업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할 때 가능하면 재무제표 공시에 사용한 데이터와 가정을 사용해야 하고 현재와 미래의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의 재무적 영향도 공시해야 한다. 사업보고서에 포함해 동시에 공시 요구 ISSB는 ESG 공시를 재무제표가 포함된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공시 기업은 S1과 S2가 요구하는 이상의 ESG 정보를 공시할 수 있으나, 이런 추가적인 정보가 S1과 S2가 요구하는 중대성을 모호하게 해서는 안된다. ESG 공시 시기는 사업보고서와 같은 시기에 이루어져야 하고 공시가 다루는 기간도 사업보고서의 기간과 일치시켜야 한다. 다만 기업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ISSB는 1년의 유예기간을 주기로 했다. 공시 기업은 보고 기간에 제공된 모든 정보에 대해 비교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 다만 공시 첫해에는 유예가 적용된다. 공시 첫해에 기후공시만 하는 기업은 다음 해에 기후 정보 이외의 지속가능성 관련 비교 정보를 공시하지 않아도 된다. ISSB 기준의 모든 요구를 준수한 기업은 공시 준수 성명서(compliance statement)를 제시해야 한다. 법이나 규제로 일부 내용을 공시할 수 없을 경우나 상업적으로 민감한 내용에 대해서는 예외가 인정된다. ISSB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현재와 미래의 재무구조에 미칠 영향에 대해 투자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 공개를 요구한다. ▲보고 기간(공시 적용 기간) 동안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기업의 재무 상태와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치는 영향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회사의 재무 상태,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칠 전망과 이런 전망이 재무계획에 어떻게 반영됐는지 공시해야 한다. 이와 함께 S1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내린 중요한 판단 ▲지속가능성 공시에 영향을 미친 가장 심각한 불확실성 ▲이전에 공시한 내용에 오류가 있을 경우 비교 정보 수정을 요구한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 ISSB는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는데 ISSB 기준 외에 SASB(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CDSB(기후정보공개표준위원회) 프레임워크의 물이나 생물다양성 관련 공시기준, 가장 최근에 나온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을 사용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ISSB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공시 항목이 있을 경우에도 SASB나 CDSB, 최신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EU의 ESRS(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 GRI(글로벌리포팅이니셔티브) 기준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ISSB는 밝혔다.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이 제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업들이 S1과 S2 공시기준으로 ESG 공시에 나서면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 등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한 것이다. 이중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ISSB는 SASB 기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공시 지표 중 약 20%에 해당하는 지표를 개정하고 이에 관해 다양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칠 예정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한국 기업 중에서도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의 공시 기준에 따라 기후 공시를 하는 기업들이 있으나, 공시 내용은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TCFD 기준은 지배구조와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와 목표의 4대 영역, 11개 권고 공시 항목으로 이루어져있다. 지평의 기업경영연구소는 6일 11개 권고 공시 항목을 지배구조 12항목, 전략 17항목, 위험관리 6항목, 지표 및 목표 14항목의 총  49 항목으로 세분화해 이에 관한 공시 현황과 11개 권고 공시 항목 현황까지 측정해 백분율로 환산한 100개 한국 기업의 TCFD 기준 공시율을 제시했다. 분석 결과 TCFD 권고안의 기준을 충족하는 공시율이 2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금융 부문의 평균 공시율은 22%, 비금융 부문의 공시율은 23%였다. 4대 영역 중 지배구조 영역의 공시율은 금융 부문이 27%, 비금융 부문은 26%를 나타냈다. 지표와 목표는 금융이 37%, 비금융은 34%로 가장 높은 공시율을 보였다. 전략 영역에서는 금융 11%, 비금융 14%의 공시율을 보였고 위험관리 영역에서는 금융 9%, 비금융 17%의 공시율을 나타냈다. 11개 권고 공개 항목 중에서는 경영진 역할과 온실가스 배출량 항목의 공시율이 각각 46%와 51%를 기록했고 나머지 항목은 평균 35% 미만을 보였다. 특히 위험 식별과 평가 항목의 공시율은 5%에 불과했다. 연구소는 “한국 기업들의 TCFD 권고안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족하다”며 “권고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가 조직에 미치는 전환 및 물리적 위험과 기회에 대한 파악, 위험과 기회의 재무적 영향에 대한 파악, 시나리오 분석 방법에 대한 이해와 적용 방안에 대한 역량 제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TCFD는 2015년 G20 산하 금융안정위원회(FSB)가 설립한 기후 공시 기준 제정기관이다. 2017년 기후공시 권고안을 내놨고 지평에 따르면 현재 100개 한국 기업이 이 기준에 따라 기후공시를 하고 있다. 정영일 지평 기업경영연구소 소장은 “TCFD는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지속가능성 공시 의무화와 표준화 논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기업 경영과 관리에 대한 가이드도 제공하고 있어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부분을 보완해 TCFD에 대한 대응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TCFD VS ISSB TCFD 권고안은 국제적으로 권위를 인정 받는 기후공시 기준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지난해 설립된 ESG 공시 기준 제정 기관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국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ISSB는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이 주요 20개국(G20)과 국제증권관리위원회기구(IOSCO)를 포함한 각국 정부와 정책당국 등으로부터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 기준을 제정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지난해 11월 설립했다. ISSB는 3월 TCFD 공시 권고안을 기반으로 공시 영역을 확장한 2개의 ESG 공시 기준 초안을 공개했다. ISSB의 기후공시 초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온실가스 배출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TCFD 권고안과 함께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도 차용하고 있다. 따라서 전 산업에 적용되는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배출 정보와 함께 산업별 온실가스 관련 정보 공개도 함께 요구하고 있다. ISSB는 기후공시 초안뿐 아니라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초안도 공개했다. 만약 ISSB 기준이 국제적인 기준으로 자리잡게 된다면 한국 기업의 ESG 공시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정 소장은 ESG경제와의 전화통화에서 “ISSB가 국제적인 기준이 되면 국내 기업의 공시 부담은 커질 수 밖에 없다”며 그는 다만 “ISSB가 자리잡기까지 시간이 걸릴테니 당분간은 TCFD 권고안을 활용한 공시가 많이 이루어질 것”이라며 “ISSB 기준도 TCFB 권고안을 기반으로 하는 만큼 TCFD 권고안을 잘 적용해 공시를 하다보면 ISSB 기준에 대한 적응이 수월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3
지속가능경제
ISSB, 국제 표준 ESG 공시기준 승인...'25년 첫 공시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short
3-shot-reverse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S1'으로 불리는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은 투자자가 투자 판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공시 방법과 내용을 담고 있다. ISSB는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인 현금흐름 창출 능력은 기업과 이해관계자, 사회, 경제 및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정보가 투자자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비즈니스 모델이 물과 같은 자연 자원에 의존할 경우, 해당 자원의 품질과 가용성,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고 ▲기업 활동이 지역 사회에 해를 끼치는 경우 정부 규제로 사업에 제약을 받을 수 있고 평판 위험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또한 ▲협력회사 등 기업의 사업 파트너가 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직면할 경우 해당 기업도 같은 상황에 노출될 수 있다. 하지만 S1을 포함한 ISSB 공시기준은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모든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하지는 않는다. 투자자 관점에서 중요한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현금흐름이나 자금 조달, 자본 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대한 정보 공개만을 요구한다. ISSB의 ESG 공시기준은 기후변화 관련 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 권고안의 골격을 차용해 ▲지배구조 ▲전략 ▲위험(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의 4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배구조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기업의 지배구조 과정과 절차, 통제에 관한 영역이다. 전략은 투자자가 중대한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관리하는 기업의 전략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리스크 관리는 기업이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지표 및 목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를 관리하고 기회를 포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와 목표로 구성된다. 기업이 설정한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한 진전 여부나 법이나 규제에 따라 기업이 설정해야 하는 지속가능성 목표 등이 포함된다. 중대성 정의 구체화 ISSB는 기업 공시해야 하는 중대한 정보를 이렇게 정의했다. “어떤 정보에 대해 기업이 공시를 생략하거나, 잘못 진술할 경우, 또는 불분명하게 진술할 경우 재무제표를 이용해 투자 판단을 하는 투자자들의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정보”가 그것이다.  ISSB를 설립한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의 회계기준의 중대성 개념에 맞춰 ISSB가 채택한 금융중대성(단일중대성)을 명확하게 정의한 것이다. S1은 ▲공정 공시 ▲기업의 사업 모델이나 외부 환경과 관련된 모든 공급망 관련 위험과 기회 공시 ▲연결재무제표 작성 기업의 경우 모든 해당 기업의 ESG 정보 공시를 강조하고 있다. 공정 공시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에 관한 정보를 충실하게 공시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해당 위험과 기회를 완전하고 정확하게, 중립적으로 기술하도록 요구한다. 다양한 연관성 공시 요구 S1은 다양한 지속가능성 이슈가 초래한 여러 가지 위험과 기회 간 연관성(connection)이나 ESG 이슈와 재무제표와의 연관성 등을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거버넌스나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간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예를 들면 어떤 기업이 협력업체의 고용 관행이 국제적 기준에 미치지 못해 공급 계약을 종료할 경우 부품이나 원자재 수급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해당 기업은 계약 종료와 재무제표에 제시된 관련 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공시해야 한다. 어떤 기업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제품의 생산을 중단하고 관련 설비를 폐쇄하기로 결정할 경우 해당 기업은 기후 관련 위험를 관리하기 위한 이 조치와 이 결정에 따른 재무제표와의 연관성을 명확히 공시해야 한다. 또 기업의 평판이나 지역 사회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 이 결정과 다른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의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지속가능성 공시와 재무제표 공시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공시 기업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할 때 가능하면 재무제표 공시에 사용한 데이터와 가정을 사용해야 하고 현재와 미래의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의 재무적 영향도 공시해야 한다. 사업보고서에 포함해 동시에 공시 요구 ISSB는 ESG 공시를 재무제표가 포함된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공시 기업은 S1과 S2가 요구하는 이상의 ESG 정보를 공시할 수 있으나, 이런 추가적인 정보가 S1과 S2가 요구하는 중대성을 모호하게 해서는 안된다. ESG 공시 시기는 사업보고서와 같은 시기에 이루어져야 하고 공시가 다루는 기간도 사업보고서의 기간과 일치시켜야 한다. 다만 기업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ISSB는 1년의 유예기간을 주기로 했다. 공시 기업은 보고 기간에 제공된 모든 정보에 대해 비교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 다만 공시 첫해에는 유예가 적용된다. 공시 첫해에 기후공시만 하는 기업은 다음 해에 기후 정보 이외의 지속가능성 관련 비교 정보를 공시하지 않아도 된다. ISSB 기준의 모든 요구를 준수한 기업은 공시 준수 성명서(compliance statement)를 제시해야 한다. 법이나 규제로 일부 내용을 공시할 수 없을 경우나 상업적으로 민감한 내용에 대해서는 예외가 인정된다. ISSB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현재와 미래의 재무구조에 미칠 영향에 대해 투자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 공개를 요구한다. ▲보고 기간(공시 적용 기간) 동안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기업의 재무 상태와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치는 영향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회사의 재무 상태,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칠 전망과 이런 전망이 재무계획에 어떻게 반영됐는지 공시해야 한다. 이와 함께 S1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내린 중요한 판단 ▲지속가능성 공시에 영향을 미친 가장 심각한 불확실성 ▲이전에 공시한 내용에 오류가 있을 경우 비교 정보 수정을 요구한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 ISSB는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는데 ISSB 기준 외에 SASB(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CDSB(기후정보공개표준위원회) 프레임워크의 물이나 생물다양성 관련 공시기준, 가장 최근에 나온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을 사용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ISSB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공시 항목이 있을 경우에도 SASB나 CDSB, 최신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EU의 ESRS(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 GRI(글로벌리포팅이니셔티브) 기준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ISSB는 밝혔다.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이 제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업들이 S1과 S2 공시기준으로 ESG 공시에 나서면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 등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한 것이다. 이중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ISSB는 SASB 기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공시 지표 중 약 20%에 해당하는 지표를 개정하고 이에 관해 다양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칠 예정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넷제로투자자연합(NZAIO)이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기준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에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12개 산업에 대해 산업별 기후 목표와 지표를 제정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ESG 투자에 앞장서는 글로벌 금융회사 연합체인 넷제로투자자연합은 지난달 28일 공개한 권고안을 통해 ISSB의 초안 공개에 환영의 뜻을 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지난 2019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캘퍼스) 등의 연기금과 악사, 알리안츠 등 7개 기관투자자를 회원사로 두고 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UNEP FI)가 발족시킨 단체다.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설립된 이 단체의 회원사는 현재 74개로 늘어났고 회원사의 운용자산은 10조6000억 달러(약 1경3843조6000억원)에 달한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ISSB에 "미국 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SASB)의 제안에 기반해 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많은 석유와 가스, 유틸리티, 운송 시멘트, 철강, 알루미늄, 농업, 화학, 건설 등 12개 산업에 개별적인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개를 요구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산업별로 현재의 배출량과 함께 5년, 10년 후의 감축 목표를 동시에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고 이 단체는 제안했다. 이와 함께 넷제로투자자연합은 ISSB의 초안이 석유와 가스 탐사 및 생산 업종과 같은 일부 업종은 스코프1 온실가스 배출량 공개만 요구하고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스코프 1, 2, 3 배출량 공개를 요구하는 것을 고려하면 일관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개별 산업에도 스코프 1, 2 배출량 공시를 요구하고 중대성을 고려해야 하는 산업의 경우 스코프3 배출량까지 공시하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이 단체는 권고했다. 스코프 1은 기업의 탄소 직접 배출, 스코프 2는 전력 사용 등을 통한 간접 배출, 스코프 3는 협력업체 등의 공급망 전체의 배출 등을 말한다.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협의체(TCFD) 권고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과 탄소집약도 등의 공시를 요구하는 반면 SASB 기준은 자동차 산업의 연비나 친환경차 판매 비중, 금융기관이 대출을 제공하거나 투자한 기업의 탄소배출량 등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관련 지표 공시를 요구한다. ISSB 초안은 TCFD와 SASB 기준을 모두 차용하고 있다. 따라서 TCFD 기준과 같이 기본적으로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와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 공시를 요구하고 있으나, 세부적인 내용에서 차이를 보인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의 권고는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 공시 기준을 보완하는 동시에 스코프 1, 2, 3 배출량 공시 의무를 보다 폭넓게 적용하라는 뜻으로 읽힌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또 이산화탄소와 함께 주요 온실가스의 하나인 메탄을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CO2e)에 포함해 공시하도록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탄력적인 대응 계획 공시해야 넷제로투자자연합은 기업이 기후변화에 시나리오별로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후 시나리오 분석을 기후 공시와 함께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시나리오 분석은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투자 계획이 파리협약의 목표와 일치하는지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은 기업에 기후변화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가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정량적인 작업은 아니라는 언급도 나왔다. 넷제로투자연합은 또 기업의 탄소중립 전환 계획을 기후 공시나 지속가능성 공시와 통합해 공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를 위해 기업은 탄소중립 전환 전략과 2050년 탄소중립 목표에 부합하는 단기 목표를 5년마다 제시하는 한편, 이를 위한 진전을 추적하고 탄소중립 전환 전략의 성공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입증 가능하고 계량화할 수 있는 핵심적인 실적 지표를 제시해야 한다는 권고가 나왔다. 또 기업은 이런 활동을 뒷받침할 효과적인 지배구조를 포함한 책임과 역할을 분명하게 정해야 하고 매년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이 단체는 권고했다. ESG 공시에서 기업에 기후 시나리오 분석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기후 공시의 기업별 비교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목표 설정 템플릿(templete) 사용을 기업에 요구해야 한다는 권고도 나왔다. ISSB는 지난 3월 31일 ESG 공시 초안을 공개한 후 지난달 29일까지 전 세계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했다. ISSB는 올 연말 최종 공시 기준을 공표할 예정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ESG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KB금융지주는 ESG 공시와 일반 목적의 재무정보의 연계를 목표로 ESG 공시체계를 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6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확정 발표하면서 이 공시기준을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로 정의했다. 아직도 ESG 정보는 비재무 정보라는 인식이 강한 가운데, ISSB는 ESG 정보가 기업의 재무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재무정보라는 관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ISSB는 2년 내 생물다양성과 인적자본, 공급망 인권 등에 관한 공시기준을 만드는 한편, 재무정보와 지속가능성 정보의 통합 공시에 관한 연구에도 착수하기로 했다. 재무정보와 ESG 정보를 하나의 사업보고서로 묶는 통합공시를 위한 기반을 만들기 위한 연구다. 이런 가운데, KB금융 ESG본부의 전윤재 부장는 1일 열린 ESG경제 창간 3주년 포럼에서 KB의 ESG 공시 관련 주요 과제를 발표하면서 “ESG 정보와 재무정보의 연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밝혀 주목을 받았다. ESG 정보가 재무정보라는 인식조차 부족한 국내에서 ISSB가 연구 과제로 제시한 중장기 목표와 유사한 방향을 밝힌 것이다. ISSB가 밝힌 재무정보와 ESG 정보의 통합은 ‘일반목적 재무정보’와 ‘ESG 재무정보’를 연계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게 KB금융의 판단이다. 전 부장은 포럼이 끝난 후 ESG경제에게 재무정보와 ESG 재무정보의 연계 방안에 관해 추가 설명했다. 그는 우선 “기후위기를 비롯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요인이 재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량화해 공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면 KB금융은 현재 재무공시에서 신용 리스크나 시장 리스크 등 다양한 리스크 관리 방법과 결과를 공시하는데, 앞으로 여기에 기후 리스크도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 부장은 “특히 기후위기가 KB금융의 대출이나 투자자산 등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 중”이라며 시나리오 분석의 합리성을 높여 “향후 중장기 경영전략과 재무공시에도 활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ESG공시가 재무공시 수준의 완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공시)프로세스를 재설계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ESG 데이터 거버넌스 명확화와 내부통제 체계 구축 등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기존 재무정보 프로세스와 통합 수준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 체계 준비 ESG 정보와 재무정보의 연계를 목표로 하는 KB금융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일 중 하나는 ESG 정보를 재무정보로 보는 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체계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KB금융은 중대성 판단도 기존의 이중중대성에서 투자자 중심의 금융중대성 또는 단일중대성으로 전환하고 연결기준의 ESG 공시를 준비하고 있다. KB금융은 공시 위치나 시기도 ISSB기준이 요구하는대로 사업보고서와 통합하고 사업보고서 공시 시기와 일치시키는 방향을 고려하고 있다. ESG 공시를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할지, 사업보고서의 부록으로 공시할지는 국내외 논의 동향을 보며 방향을 정할 전망이다. KB금융은 ISSB가 권고하는 SASB 기준에 기반한 산업별 ESG 공시나 기후 관련 시나리오 분석도 준비하고 있다. 국내에서 ISSB가 요구하는 수준의 공시기준이 도입되려면 시간이 필요하지만, 결국은 이런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KB금융뿐 아니라 국내 대형 금융기관이나 대기업들은 국내 ESG 공시 의무화 일정과 상관없이 투자자의 요구로 ISSB가 요구하는 수준의 공시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재무적 영향분석‧산업기반 공시 등도 주요 과제 전 부장은 재무정보와의 연계와 함께 ESG 공시의 주요 과제로 재무적 영향분석, SASB 기준에 의한 산업기반 공시, 내부통제 방안을 제시했다. ESG 정보의 재무적 영향 분석은 ▲KB금융 계열사별 보유 익스포져 분석 ▲대출, 주식, 채권 등 자산별 금융배출량과 탄소집약도 측정 ▲금융배출량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나리오 분석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KB는 금융배출량을 상업은행과 보험, 자산운용 등 금융사 유형별로 분류해 산출해 공시하고 탄소회계금융(PCAF)이 분류한 기준에 따라 상장주식과 회사채, 기업대출, 비상장주식, 프로젝트 파이낸스(PF), 상업용부동산, 모기지, 자동차대출, 국채의 7개 자산유형별 배출량도 공시할 계획이다. 여기에 금융배출량 총량과 스코프 1, 2, 3 배출량도 함께 공시할 예정이다. 시나리오 분석은 전환 위험과 물리적 위험으로 구분해 실시한다. 전환 위험의 경우 탄소배출권 거래제나 탄소세, 탄소국경조정세와 같은 탄소비용 정책이 기업 신인도에 미치는 영향이나 유형별 금융상품에 미치는 리스크를 분석한다. 여기에 탄소 가격이나 투자 대상 기업의 탄소배출량을 변수로 고려한다. 물리적 위험은 홍수나 태풍, 산불 등의 재해가 자산가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런 시나리오 분석 결과 등을 바탕으로 KB금융은 물리적 위험이나 전환 위험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수준을 추정할 계획이다. KB는 새로 개정되는 SASB 기준에 맞춘 산업기반 공시도 준비하고 있다. SB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SASB 기준은 중대한 지속가능성 공시 주제로 ▶환경 ▶사회적 자본 ▶인적 자본 ▶사업모델 및 혁신 ▶리더쉽 및 지배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공시 주제별로 평균 6개의 세부 주제와 13개의 공시 지표가 있다. 사업 유형별로 세분화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을 따를 경우 KB국민은행의 예를 들면 상업은행이지만 주택금융에 관한 지표도 공시를 해야 한다. 따라서 KB금융은 SASB 기준 공시를 위해 공시 영역과 프로세스를 다시 설정하고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3
지속가능경제
ISSB, 국제 표준 ESG 공시기준 승인...'25년 첫 공시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short
3-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ESG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KB금융지주는 ESG 공시와 일반 목적의 재무정보의 연계를 목표로 ESG 공시체계를 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6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확정 발표하면서 이 공시기준을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로 정의했다. 아직도 ESG 정보는 비재무 정보라는 인식이 강한 가운데, ISSB는 ESG 정보가 기업의 재무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재무정보라는 관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ISSB는 2년 내 생물다양성과 인적자본, 공급망 인권 등에 관한 공시기준을 만드는 한편, 재무정보와 지속가능성 정보의 통합 공시에 관한 연구에도 착수하기로 했다. 재무정보와 ESG 정보를 하나의 사업보고서로 묶는 통합공시를 위한 기반을 만들기 위한 연구다. 이런 가운데, KB금융 ESG본부의 전윤재 부장는 1일 열린 ESG경제 창간 3주년 포럼에서 KB의 ESG 공시 관련 주요 과제를 발표하면서 “ESG 정보와 재무정보의 연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밝혀 주목을 받았다. ESG 정보가 재무정보라는 인식조차 부족한 국내에서 ISSB가 연구 과제로 제시한 중장기 목표와 유사한 방향을 밝힌 것이다. ISSB가 밝힌 재무정보와 ESG 정보의 통합은 ‘일반목적 재무정보’와 ‘ESG 재무정보’를 연계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게 KB금융의 판단이다. 전 부장은 포럼이 끝난 후 ESG경제에게 재무정보와 ESG 재무정보의 연계 방안에 관해 추가 설명했다. 그는 우선 “기후위기를 비롯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요인이 재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량화해 공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면 KB금융은 현재 재무공시에서 신용 리스크나 시장 리스크 등 다양한 리스크 관리 방법과 결과를 공시하는데, 앞으로 여기에 기후 리스크도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 부장은 “특히 기후위기가 KB금융의 대출이나 투자자산 등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 중”이라며 시나리오 분석의 합리성을 높여 “향후 중장기 경영전략과 재무공시에도 활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ESG공시가 재무공시 수준의 완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공시)프로세스를 재설계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ESG 데이터 거버넌스 명확화와 내부통제 체계 구축 등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기존 재무정보 프로세스와 통합 수준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 체계 준비 ESG 정보와 재무정보의 연계를 목표로 하는 KB금융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일 중 하나는 ESG 정보를 재무정보로 보는 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체계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KB금융은 중대성 판단도 기존의 이중중대성에서 투자자 중심의 금융중대성 또는 단일중대성으로 전환하고 연결기준의 ESG 공시를 준비하고 있다. KB금융은 공시 위치나 시기도 ISSB기준이 요구하는대로 사업보고서와 통합하고 사업보고서 공시 시기와 일치시키는 방향을 고려하고 있다. ESG 공시를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할지, 사업보고서의 부록으로 공시할지는 국내외 논의 동향을 보며 방향을 정할 전망이다. KB금융은 ISSB가 권고하는 SASB 기준에 기반한 산업별 ESG 공시나 기후 관련 시나리오 분석도 준비하고 있다. 국내에서 ISSB가 요구하는 수준의 공시기준이 도입되려면 시간이 필요하지만, 결국은 이런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KB금융뿐 아니라 국내 대형 금융기관이나 대기업들은 국내 ESG 공시 의무화 일정과 상관없이 투자자의 요구로 ISSB가 요구하는 수준의 공시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재무적 영향분석‧산업기반 공시 등도 주요 과제 전 부장은 재무정보와의 연계와 함께 ESG 공시의 주요 과제로 재무적 영향분석, SASB 기준에 의한 산업기반 공시, 내부통제 방안을 제시했다. ESG 정보의 재무적 영향 분석은 ▲KB금융 계열사별 보유 익스포져 분석 ▲대출, 주식, 채권 등 자산별 금융배출량과 탄소집약도 측정 ▲금융배출량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나리오 분석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KB는 금융배출량을 상업은행과 보험, 자산운용 등 금융사 유형별로 분류해 산출해 공시하고 탄소회계금융(PCAF)이 분류한 기준에 따라 상장주식과 회사채, 기업대출, 비상장주식, 프로젝트 파이낸스(PF), 상업용부동산, 모기지, 자동차대출, 국채의 7개 자산유형별 배출량도 공시할 계획이다. 여기에 금융배출량 총량과 스코프 1, 2, 3 배출량도 함께 공시할 예정이다. 시나리오 분석은 전환 위험과 물리적 위험으로 구분해 실시한다. 전환 위험의 경우 탄소배출권 거래제나 탄소세, 탄소국경조정세와 같은 탄소비용 정책이 기업 신인도에 미치는 영향이나 유형별 금융상품에 미치는 리스크를 분석한다. 여기에 탄소 가격이나 투자 대상 기업의 탄소배출량을 변수로 고려한다. 물리적 위험은 홍수나 태풍, 산불 등의 재해가 자산가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런 시나리오 분석 결과 등을 바탕으로 KB금융은 물리적 위험이나 전환 위험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수준을 추정할 계획이다. KB는 새로 개정되는 SASB 기준에 맞춘 산업기반 공시도 준비하고 있다. SB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SASB 기준은 중대한 지속가능성 공시 주제로 ▶환경 ▶사회적 자본 ▶인적 자본 ▶사업모델 및 혁신 ▶리더쉽 및 지배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공시 주제별로 평균 6개의 세부 주제와 13개의 공시 지표가 있다. 사업 유형별로 세분화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을 따를 경우 KB국민은행의 예를 들면 상업은행이지만 주택금융에 관한 지표도 공시를 해야 한다. 따라서 KB금융은 SASB 기준 공시를 위해 공시 영역과 프로세스를 다시 설정하고 있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넷제로투자자연합(NZAIO)이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기준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에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12개 산업에 대해 산업별 기후 목표와 지표를 제정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ESG 투자에 앞장서는 글로벌 금융회사 연합체인 넷제로투자자연합은 지난달 28일 공개한 권고안을 통해 ISSB의 초안 공개에 환영의 뜻을 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지난 2019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캘퍼스) 등의 연기금과 악사, 알리안츠 등 7개 기관투자자를 회원사로 두고 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UNEP FI)가 발족시킨 단체다.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설립된 이 단체의 회원사는 현재 74개로 늘어났고 회원사의 운용자산은 10조6000억 달러(약 1경3843조6000억원)에 달한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ISSB에 "미국 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SASB)의 제안에 기반해 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많은 석유와 가스, 유틸리티, 운송 시멘트, 철강, 알루미늄, 농업, 화학, 건설 등 12개 산업에 개별적인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개를 요구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산업별로 현재의 배출량과 함께 5년, 10년 후의 감축 목표를 동시에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고 이 단체는 제안했다. 이와 함께 넷제로투자자연합은 ISSB의 초안이 석유와 가스 탐사 및 생산 업종과 같은 일부 업종은 스코프1 온실가스 배출량 공개만 요구하고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스코프 1, 2, 3 배출량 공개를 요구하는 것을 고려하면 일관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개별 산업에도 스코프 1, 2 배출량 공시를 요구하고 중대성을 고려해야 하는 산업의 경우 스코프3 배출량까지 공시하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이 단체는 권고했다. 스코프 1은 기업의 탄소 직접 배출, 스코프 2는 전력 사용 등을 통한 간접 배출, 스코프 3는 협력업체 등의 공급망 전체의 배출 등을 말한다.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협의체(TCFD) 권고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과 탄소집약도 등의 공시를 요구하는 반면 SASB 기준은 자동차 산업의 연비나 친환경차 판매 비중, 금융기관이 대출을 제공하거나 투자한 기업의 탄소배출량 등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관련 지표 공시를 요구한다. ISSB 초안은 TCFD와 SASB 기준을 모두 차용하고 있다. 따라서 TCFD 기준과 같이 기본적으로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와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 공시를 요구하고 있으나, 세부적인 내용에서 차이를 보인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의 권고는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 공시 기준을 보완하는 동시에 스코프 1, 2, 3 배출량 공시 의무를 보다 폭넓게 적용하라는 뜻으로 읽힌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또 이산화탄소와 함께 주요 온실가스의 하나인 메탄을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CO2e)에 포함해 공시하도록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탄력적인 대응 계획 공시해야 넷제로투자자연합은 기업이 기후변화에 시나리오별로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후 시나리오 분석을 기후 공시와 함께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시나리오 분석은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투자 계획이 파리협약의 목표와 일치하는지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은 기업에 기후변화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가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정량적인 작업은 아니라는 언급도 나왔다. 넷제로투자연합은 또 기업의 탄소중립 전환 계획을 기후 공시나 지속가능성 공시와 통합해 공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를 위해 기업은 탄소중립 전환 전략과 2050년 탄소중립 목표에 부합하는 단기 목표를 5년마다 제시하는 한편, 이를 위한 진전을 추적하고 탄소중립 전환 전략의 성공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입증 가능하고 계량화할 수 있는 핵심적인 실적 지표를 제시해야 한다는 권고가 나왔다. 또 기업은 이런 활동을 뒷받침할 효과적인 지배구조를 포함한 책임과 역할을 분명하게 정해야 하고 매년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이 단체는 권고했다. ESG 공시에서 기업에 기후 시나리오 분석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기후 공시의 기업별 비교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목표 설정 템플릿(templete) 사용을 기업에 요구해야 한다는 권고도 나왔다. ISSB는 지난 3월 31일 ESG 공시 초안을 공개한 후 지난달 29일까지 전 세계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했다. ISSB는 올 연말 최종 공시 기준을 공표할 예정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S1'으로 불리는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은 투자자가 투자 판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공시 방법과 내용을 담고 있다. ISSB는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인 현금흐름 창출 능력은 기업과 이해관계자, 사회, 경제 및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정보가 투자자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비즈니스 모델이 물과 같은 자연 자원에 의존할 경우, 해당 자원의 품질과 가용성,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고 ▲기업 활동이 지역 사회에 해를 끼치는 경우 정부 규제로 사업에 제약을 받을 수 있고 평판 위험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또한 ▲협력회사 등 기업의 사업 파트너가 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직면할 경우 해당 기업도 같은 상황에 노출될 수 있다. 하지만 S1을 포함한 ISSB 공시기준은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모든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하지는 않는다. 투자자 관점에서 중요한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현금흐름이나 자금 조달, 자본 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대한 정보 공개만을 요구한다. ISSB의 ESG 공시기준은 기후변화 관련 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 권고안의 골격을 차용해 ▲지배구조 ▲전략 ▲위험(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의 4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배구조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기업의 지배구조 과정과 절차, 통제에 관한 영역이다. 전략은 투자자가 중대한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관리하는 기업의 전략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리스크 관리는 기업이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지표 및 목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를 관리하고 기회를 포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와 목표로 구성된다. 기업이 설정한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한 진전 여부나 법이나 규제에 따라 기업이 설정해야 하는 지속가능성 목표 등이 포함된다. 중대성 정의 구체화 ISSB는 기업 공시해야 하는 중대한 정보를 이렇게 정의했다. “어떤 정보에 대해 기업이 공시를 생략하거나, 잘못 진술할 경우, 또는 불분명하게 진술할 경우 재무제표를 이용해 투자 판단을 하는 투자자들의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정보”가 그것이다.  ISSB를 설립한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의 회계기준의 중대성 개념에 맞춰 ISSB가 채택한 금융중대성(단일중대성)을 명확하게 정의한 것이다. S1은 ▲공정 공시 ▲기업의 사업 모델이나 외부 환경과 관련된 모든 공급망 관련 위험과 기회 공시 ▲연결재무제표 작성 기업의 경우 모든 해당 기업의 ESG 정보 공시를 강조하고 있다. 공정 공시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에 관한 정보를 충실하게 공시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해당 위험과 기회를 완전하고 정확하게, 중립적으로 기술하도록 요구한다. 다양한 연관성 공시 요구 S1은 다양한 지속가능성 이슈가 초래한 여러 가지 위험과 기회 간 연관성(connection)이나 ESG 이슈와 재무제표와의 연관성 등을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거버넌스나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간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예를 들면 어떤 기업이 협력업체의 고용 관행이 국제적 기준에 미치지 못해 공급 계약을 종료할 경우 부품이나 원자재 수급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해당 기업은 계약 종료와 재무제표에 제시된 관련 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공시해야 한다. 어떤 기업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제품의 생산을 중단하고 관련 설비를 폐쇄하기로 결정할 경우 해당 기업은 기후 관련 위험를 관리하기 위한 이 조치와 이 결정에 따른 재무제표와의 연관성을 명확히 공시해야 한다. 또 기업의 평판이나 지역 사회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 이 결정과 다른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의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지속가능성 공시와 재무제표 공시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공시 기업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할 때 가능하면 재무제표 공시에 사용한 데이터와 가정을 사용해야 하고 현재와 미래의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의 재무적 영향도 공시해야 한다. 사업보고서에 포함해 동시에 공시 요구 ISSB는 ESG 공시를 재무제표가 포함된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공시 기업은 S1과 S2가 요구하는 이상의 ESG 정보를 공시할 수 있으나, 이런 추가적인 정보가 S1과 S2가 요구하는 중대성을 모호하게 해서는 안된다. ESG 공시 시기는 사업보고서와 같은 시기에 이루어져야 하고 공시가 다루는 기간도 사업보고서의 기간과 일치시켜야 한다. 다만 기업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ISSB는 1년의 유예기간을 주기로 했다. 공시 기업은 보고 기간에 제공된 모든 정보에 대해 비교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 다만 공시 첫해에는 유예가 적용된다. 공시 첫해에 기후공시만 하는 기업은 다음 해에 기후 정보 이외의 지속가능성 관련 비교 정보를 공시하지 않아도 된다. ISSB 기준의 모든 요구를 준수한 기업은 공시 준수 성명서(compliance statement)를 제시해야 한다. 법이나 규제로 일부 내용을 공시할 수 없을 경우나 상업적으로 민감한 내용에 대해서는 예외가 인정된다. ISSB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현재와 미래의 재무구조에 미칠 영향에 대해 투자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 공개를 요구한다. ▲보고 기간(공시 적용 기간) 동안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기업의 재무 상태와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치는 영향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회사의 재무 상태,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칠 전망과 이런 전망이 재무계획에 어떻게 반영됐는지 공시해야 한다. 이와 함께 S1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내린 중요한 판단 ▲지속가능성 공시에 영향을 미친 가장 심각한 불확실성 ▲이전에 공시한 내용에 오류가 있을 경우 비교 정보 수정을 요구한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 ISSB는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는데 ISSB 기준 외에 SASB(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CDSB(기후정보공개표준위원회) 프레임워크의 물이나 생물다양성 관련 공시기준, 가장 최근에 나온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을 사용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ISSB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공시 항목이 있을 경우에도 SASB나 CDSB, 최신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EU의 ESRS(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 GRI(글로벌리포팅이니셔티브) 기준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ISSB는 밝혔다.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이 제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업들이 S1과 S2 공시기준으로 ESG 공시에 나서면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 등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한 것이다. 이중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ISSB는 SASB 기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공시 지표 중 약 20%에 해당하는 지표를 개정하고 이에 관해 다양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칠 예정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3
지속가능경제
ISSB, 국제 표준 ESG 공시기준 승인...'25년 첫 공시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short
3-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ESG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KB금융지주는 ESG 공시와 일반 목적의 재무정보의 연계를 목표로 ESG 공시체계를 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6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확정 발표하면서 이 공시기준을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로 정의했다. 아직도 ESG 정보는 비재무 정보라는 인식이 강한 가운데, ISSB는 ESG 정보가 기업의 재무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재무정보라는 관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ISSB는 2년 내 생물다양성과 인적자본, 공급망 인권 등에 관한 공시기준을 만드는 한편, 재무정보와 지속가능성 정보의 통합 공시에 관한 연구에도 착수하기로 했다. 재무정보와 ESG 정보를 하나의 사업보고서로 묶는 통합공시를 위한 기반을 만들기 위한 연구다. 이런 가운데, KB금융 ESG본부의 전윤재 부장는 1일 열린 ESG경제 창간 3주년 포럼에서 KB의 ESG 공시 관련 주요 과제를 발표하면서 “ESG 정보와 재무정보의 연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밝혀 주목을 받았다. ESG 정보가 재무정보라는 인식조차 부족한 국내에서 ISSB가 연구 과제로 제시한 중장기 목표와 유사한 방향을 밝힌 것이다. ISSB가 밝힌 재무정보와 ESG 정보의 통합은 ‘일반목적 재무정보’와 ‘ESG 재무정보’를 연계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게 KB금융의 판단이다. 전 부장은 포럼이 끝난 후 ESG경제에게 재무정보와 ESG 재무정보의 연계 방안에 관해 추가 설명했다. 그는 우선 “기후위기를 비롯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요인이 재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량화해 공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면 KB금융은 현재 재무공시에서 신용 리스크나 시장 리스크 등 다양한 리스크 관리 방법과 결과를 공시하는데, 앞으로 여기에 기후 리스크도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 부장은 “특히 기후위기가 KB금융의 대출이나 투자자산 등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 중”이라며 시나리오 분석의 합리성을 높여 “향후 중장기 경영전략과 재무공시에도 활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ESG공시가 재무공시 수준의 완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공시)프로세스를 재설계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ESG 데이터 거버넌스 명확화와 내부통제 체계 구축 등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기존 재무정보 프로세스와 통합 수준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 체계 준비 ESG 정보와 재무정보의 연계를 목표로 하는 KB금융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일 중 하나는 ESG 정보를 재무정보로 보는 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체계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KB금융은 중대성 판단도 기존의 이중중대성에서 투자자 중심의 금융중대성 또는 단일중대성으로 전환하고 연결기준의 ESG 공시를 준비하고 있다. KB금융은 공시 위치나 시기도 ISSB기준이 요구하는대로 사업보고서와 통합하고 사업보고서 공시 시기와 일치시키는 방향을 고려하고 있다. ESG 공시를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할지, 사업보고서의 부록으로 공시할지는 국내외 논의 동향을 보며 방향을 정할 전망이다. KB금융은 ISSB가 권고하는 SASB 기준에 기반한 산업별 ESG 공시나 기후 관련 시나리오 분석도 준비하고 있다. 국내에서 ISSB가 요구하는 수준의 공시기준이 도입되려면 시간이 필요하지만, 결국은 이런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KB금융뿐 아니라 국내 대형 금융기관이나 대기업들은 국내 ESG 공시 의무화 일정과 상관없이 투자자의 요구로 ISSB가 요구하는 수준의 공시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재무적 영향분석‧산업기반 공시 등도 주요 과제 전 부장은 재무정보와의 연계와 함께 ESG 공시의 주요 과제로 재무적 영향분석, SASB 기준에 의한 산업기반 공시, 내부통제 방안을 제시했다. ESG 정보의 재무적 영향 분석은 ▲KB금융 계열사별 보유 익스포져 분석 ▲대출, 주식, 채권 등 자산별 금융배출량과 탄소집약도 측정 ▲금융배출량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나리오 분석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KB는 금융배출량을 상업은행과 보험, 자산운용 등 금융사 유형별로 분류해 산출해 공시하고 탄소회계금융(PCAF)이 분류한 기준에 따라 상장주식과 회사채, 기업대출, 비상장주식, 프로젝트 파이낸스(PF), 상업용부동산, 모기지, 자동차대출, 국채의 7개 자산유형별 배출량도 공시할 계획이다. 여기에 금융배출량 총량과 스코프 1, 2, 3 배출량도 함께 공시할 예정이다. 시나리오 분석은 전환 위험과 물리적 위험으로 구분해 실시한다. 전환 위험의 경우 탄소배출권 거래제나 탄소세, 탄소국경조정세와 같은 탄소비용 정책이 기업 신인도에 미치는 영향이나 유형별 금융상품에 미치는 리스크를 분석한다. 여기에 탄소 가격이나 투자 대상 기업의 탄소배출량을 변수로 고려한다. 물리적 위험은 홍수나 태풍, 산불 등의 재해가 자산가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런 시나리오 분석 결과 등을 바탕으로 KB금융은 물리적 위험이나 전환 위험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수준을 추정할 계획이다. KB는 새로 개정되는 SASB 기준에 맞춘 산업기반 공시도 준비하고 있다. SB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SASB 기준은 중대한 지속가능성 공시 주제로 ▶환경 ▶사회적 자본 ▶인적 자본 ▶사업모델 및 혁신 ▶리더쉽 및 지배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공시 주제별로 평균 6개의 세부 주제와 13개의 공시 지표가 있다. 사업 유형별로 세분화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을 따를 경우 KB국민은행의 예를 들면 상업은행이지만 주택금융에 관한 지표도 공시를 해야 한다. 따라서 KB금융은 SASB 기준 공시를 위해 공시 영역과 프로세스를 다시 설정하고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넷제로투자자연합(NZAIO)이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기준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에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12개 산업에 대해 산업별 기후 목표와 지표를 제정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ESG 투자에 앞장서는 글로벌 금융회사 연합체인 넷제로투자자연합은 지난달 28일 공개한 권고안을 통해 ISSB의 초안 공개에 환영의 뜻을 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지난 2019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캘퍼스) 등의 연기금과 악사, 알리안츠 등 7개 기관투자자를 회원사로 두고 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UNEP FI)가 발족시킨 단체다.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설립된 이 단체의 회원사는 현재 74개로 늘어났고 회원사의 운용자산은 10조6000억 달러(약 1경3843조6000억원)에 달한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ISSB에 "미국 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SASB)의 제안에 기반해 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많은 석유와 가스, 유틸리티, 운송 시멘트, 철강, 알루미늄, 농업, 화학, 건설 등 12개 산업에 개별적인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개를 요구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산업별로 현재의 배출량과 함께 5년, 10년 후의 감축 목표를 동시에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고 이 단체는 제안했다. 이와 함께 넷제로투자자연합은 ISSB의 초안이 석유와 가스 탐사 및 생산 업종과 같은 일부 업종은 스코프1 온실가스 배출량 공개만 요구하고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스코프 1, 2, 3 배출량 공개를 요구하는 것을 고려하면 일관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개별 산업에도 스코프 1, 2 배출량 공시를 요구하고 중대성을 고려해야 하는 산업의 경우 스코프3 배출량까지 공시하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이 단체는 권고했다. 스코프 1은 기업의 탄소 직접 배출, 스코프 2는 전력 사용 등을 통한 간접 배출, 스코프 3는 협력업체 등의 공급망 전체의 배출 등을 말한다.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협의체(TCFD) 권고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과 탄소집약도 등의 공시를 요구하는 반면 SASB 기준은 자동차 산업의 연비나 친환경차 판매 비중, 금융기관이 대출을 제공하거나 투자한 기업의 탄소배출량 등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관련 지표 공시를 요구한다. ISSB 초안은 TCFD와 SASB 기준을 모두 차용하고 있다. 따라서 TCFD 기준과 같이 기본적으로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와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 공시를 요구하고 있으나, 세부적인 내용에서 차이를 보인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의 권고는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 공시 기준을 보완하는 동시에 스코프 1, 2, 3 배출량 공시 의무를 보다 폭넓게 적용하라는 뜻으로 읽힌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또 이산화탄소와 함께 주요 온실가스의 하나인 메탄을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CO2e)에 포함해 공시하도록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탄력적인 대응 계획 공시해야 넷제로투자자연합은 기업이 기후변화에 시나리오별로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후 시나리오 분석을 기후 공시와 함께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시나리오 분석은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투자 계획이 파리협약의 목표와 일치하는지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은 기업에 기후변화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가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정량적인 작업은 아니라는 언급도 나왔다. 넷제로투자연합은 또 기업의 탄소중립 전환 계획을 기후 공시나 지속가능성 공시와 통합해 공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를 위해 기업은 탄소중립 전환 전략과 2050년 탄소중립 목표에 부합하는 단기 목표를 5년마다 제시하는 한편, 이를 위한 진전을 추적하고 탄소중립 전환 전략의 성공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입증 가능하고 계량화할 수 있는 핵심적인 실적 지표를 제시해야 한다는 권고가 나왔다. 또 기업은 이런 활동을 뒷받침할 효과적인 지배구조를 포함한 책임과 역할을 분명하게 정해야 하고 매년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이 단체는 권고했다. ESG 공시에서 기업에 기후 시나리오 분석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기후 공시의 기업별 비교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목표 설정 템플릿(templete) 사용을 기업에 요구해야 한다는 권고도 나왔다. ISSB는 지난 3월 31일 ESG 공시 초안을 공개한 후 지난달 29일까지 전 세계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했다. ISSB는 올 연말 최종 공시 기준을 공표할 예정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S1'으로 불리는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은 투자자가 투자 판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공시 방법과 내용을 담고 있다. ISSB는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인 현금흐름 창출 능력은 기업과 이해관계자, 사회, 경제 및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정보가 투자자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비즈니스 모델이 물과 같은 자연 자원에 의존할 경우, 해당 자원의 품질과 가용성,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고 ▲기업 활동이 지역 사회에 해를 끼치는 경우 정부 규제로 사업에 제약을 받을 수 있고 평판 위험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또한 ▲협력회사 등 기업의 사업 파트너가 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직면할 경우 해당 기업도 같은 상황에 노출될 수 있다. 하지만 S1을 포함한 ISSB 공시기준은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모든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하지는 않는다. 투자자 관점에서 중요한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현금흐름이나 자금 조달, 자본 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대한 정보 공개만을 요구한다. ISSB의 ESG 공시기준은 기후변화 관련 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 권고안의 골격을 차용해 ▲지배구조 ▲전략 ▲위험(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의 4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배구조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기업의 지배구조 과정과 절차, 통제에 관한 영역이다. 전략은 투자자가 중대한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관리하는 기업의 전략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리스크 관리는 기업이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지표 및 목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를 관리하고 기회를 포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와 목표로 구성된다. 기업이 설정한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한 진전 여부나 법이나 규제에 따라 기업이 설정해야 하는 지속가능성 목표 등이 포함된다. 중대성 정의 구체화 ISSB는 기업 공시해야 하는 중대한 정보를 이렇게 정의했다. “어떤 정보에 대해 기업이 공시를 생략하거나, 잘못 진술할 경우, 또는 불분명하게 진술할 경우 재무제표를 이용해 투자 판단을 하는 투자자들의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정보”가 그것이다.  ISSB를 설립한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의 회계기준의 중대성 개념에 맞춰 ISSB가 채택한 금융중대성(단일중대성)을 명확하게 정의한 것이다. S1은 ▲공정 공시 ▲기업의 사업 모델이나 외부 환경과 관련된 모든 공급망 관련 위험과 기회 공시 ▲연결재무제표 작성 기업의 경우 모든 해당 기업의 ESG 정보 공시를 강조하고 있다. 공정 공시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에 관한 정보를 충실하게 공시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해당 위험과 기회를 완전하고 정확하게, 중립적으로 기술하도록 요구한다. 다양한 연관성 공시 요구 S1은 다양한 지속가능성 이슈가 초래한 여러 가지 위험과 기회 간 연관성(connection)이나 ESG 이슈와 재무제표와의 연관성 등을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거버넌스나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간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예를 들면 어떤 기업이 협력업체의 고용 관행이 국제적 기준에 미치지 못해 공급 계약을 종료할 경우 부품이나 원자재 수급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해당 기업은 계약 종료와 재무제표에 제시된 관련 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공시해야 한다. 어떤 기업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제품의 생산을 중단하고 관련 설비를 폐쇄하기로 결정할 경우 해당 기업은 기후 관련 위험를 관리하기 위한 이 조치와 이 결정에 따른 재무제표와의 연관성을 명확히 공시해야 한다. 또 기업의 평판이나 지역 사회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 이 결정과 다른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의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지속가능성 공시와 재무제표 공시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공시 기업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할 때 가능하면 재무제표 공시에 사용한 데이터와 가정을 사용해야 하고 현재와 미래의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의 재무적 영향도 공시해야 한다. 사업보고서에 포함해 동시에 공시 요구 ISSB는 ESG 공시를 재무제표가 포함된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공시 기업은 S1과 S2가 요구하는 이상의 ESG 정보를 공시할 수 있으나, 이런 추가적인 정보가 S1과 S2가 요구하는 중대성을 모호하게 해서는 안된다. ESG 공시 시기는 사업보고서와 같은 시기에 이루어져야 하고 공시가 다루는 기간도 사업보고서의 기간과 일치시켜야 한다. 다만 기업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ISSB는 1년의 유예기간을 주기로 했다. 공시 기업은 보고 기간에 제공된 모든 정보에 대해 비교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 다만 공시 첫해에는 유예가 적용된다. 공시 첫해에 기후공시만 하는 기업은 다음 해에 기후 정보 이외의 지속가능성 관련 비교 정보를 공시하지 않아도 된다. ISSB 기준의 모든 요구를 준수한 기업은 공시 준수 성명서(compliance statement)를 제시해야 한다. 법이나 규제로 일부 내용을 공시할 수 없을 경우나 상업적으로 민감한 내용에 대해서는 예외가 인정된다. ISSB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현재와 미래의 재무구조에 미칠 영향에 대해 투자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 공개를 요구한다. ▲보고 기간(공시 적용 기간) 동안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기업의 재무 상태와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치는 영향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회사의 재무 상태,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칠 전망과 이런 전망이 재무계획에 어떻게 반영됐는지 공시해야 한다. 이와 함께 S1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내린 중요한 판단 ▲지속가능성 공시에 영향을 미친 가장 심각한 불확실성 ▲이전에 공시한 내용에 오류가 있을 경우 비교 정보 수정을 요구한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 ISSB는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는데 ISSB 기준 외에 SASB(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CDSB(기후정보공개표준위원회) 프레임워크의 물이나 생물다양성 관련 공시기준, 가장 최근에 나온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을 사용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ISSB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공시 항목이 있을 경우에도 SASB나 CDSB, 최신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EU의 ESRS(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 GRI(글로벌리포팅이니셔티브) 기준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ISSB는 밝혔다.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이 제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업들이 S1과 S2 공시기준으로 ESG 공시에 나서면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 등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한 것이다. 이중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ISSB는 SASB 기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공시 지표 중 약 20%에 해당하는 지표를 개정하고 이에 관해 다양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칠 예정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3
지속가능경제
ISSB, 국제 표준 ESG 공시기준 승인...'25년 첫 공시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short
3-shot-reverse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S1'으로 불리는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은 투자자가 투자 판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공시 방법과 내용을 담고 있다. ISSB는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인 현금흐름 창출 능력은 기업과 이해관계자, 사회, 경제 및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정보가 투자자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비즈니스 모델이 물과 같은 자연 자원에 의존할 경우, 해당 자원의 품질과 가용성,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고 ▲기업 활동이 지역 사회에 해를 끼치는 경우 정부 규제로 사업에 제약을 받을 수 있고 평판 위험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또한 ▲협력회사 등 기업의 사업 파트너가 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직면할 경우 해당 기업도 같은 상황에 노출될 수 있다. 하지만 S1을 포함한 ISSB 공시기준은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모든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하지는 않는다. 투자자 관점에서 중요한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현금흐름이나 자금 조달, 자본 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대한 정보 공개만을 요구한다. ISSB의 ESG 공시기준은 기후변화 관련 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 권고안의 골격을 차용해 ▲지배구조 ▲전략 ▲위험(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의 4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배구조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기업의 지배구조 과정과 절차, 통제에 관한 영역이다. 전략은 투자자가 중대한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관리하는 기업의 전략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리스크 관리는 기업이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지표 및 목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를 관리하고 기회를 포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와 목표로 구성된다. 기업이 설정한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한 진전 여부나 법이나 규제에 따라 기업이 설정해야 하는 지속가능성 목표 등이 포함된다. 중대성 정의 구체화 ISSB는 기업 공시해야 하는 중대한 정보를 이렇게 정의했다. “어떤 정보에 대해 기업이 공시를 생략하거나, 잘못 진술할 경우, 또는 불분명하게 진술할 경우 재무제표를 이용해 투자 판단을 하는 투자자들의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정보”가 그것이다.  ISSB를 설립한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의 회계기준의 중대성 개념에 맞춰 ISSB가 채택한 금융중대성(단일중대성)을 명확하게 정의한 것이다. S1은 ▲공정 공시 ▲기업의 사업 모델이나 외부 환경과 관련된 모든 공급망 관련 위험과 기회 공시 ▲연결재무제표 작성 기업의 경우 모든 해당 기업의 ESG 정보 공시를 강조하고 있다. 공정 공시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에 관한 정보를 충실하게 공시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해당 위험과 기회를 완전하고 정확하게, 중립적으로 기술하도록 요구한다. 다양한 연관성 공시 요구 S1은 다양한 지속가능성 이슈가 초래한 여러 가지 위험과 기회 간 연관성(connection)이나 ESG 이슈와 재무제표와의 연관성 등을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거버넌스나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간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예를 들면 어떤 기업이 협력업체의 고용 관행이 국제적 기준에 미치지 못해 공급 계약을 종료할 경우 부품이나 원자재 수급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해당 기업은 계약 종료와 재무제표에 제시된 관련 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공시해야 한다. 어떤 기업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제품의 생산을 중단하고 관련 설비를 폐쇄하기로 결정할 경우 해당 기업은 기후 관련 위험를 관리하기 위한 이 조치와 이 결정에 따른 재무제표와의 연관성을 명확히 공시해야 한다. 또 기업의 평판이나 지역 사회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 이 결정과 다른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의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지속가능성 공시와 재무제표 공시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공시 기업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할 때 가능하면 재무제표 공시에 사용한 데이터와 가정을 사용해야 하고 현재와 미래의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의 재무적 영향도 공시해야 한다. 사업보고서에 포함해 동시에 공시 요구 ISSB는 ESG 공시를 재무제표가 포함된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공시 기업은 S1과 S2가 요구하는 이상의 ESG 정보를 공시할 수 있으나, 이런 추가적인 정보가 S1과 S2가 요구하는 중대성을 모호하게 해서는 안된다. ESG 공시 시기는 사업보고서와 같은 시기에 이루어져야 하고 공시가 다루는 기간도 사업보고서의 기간과 일치시켜야 한다. 다만 기업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ISSB는 1년의 유예기간을 주기로 했다. 공시 기업은 보고 기간에 제공된 모든 정보에 대해 비교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 다만 공시 첫해에는 유예가 적용된다. 공시 첫해에 기후공시만 하는 기업은 다음 해에 기후 정보 이외의 지속가능성 관련 비교 정보를 공시하지 않아도 된다. ISSB 기준의 모든 요구를 준수한 기업은 공시 준수 성명서(compliance statement)를 제시해야 한다. 법이나 규제로 일부 내용을 공시할 수 없을 경우나 상업적으로 민감한 내용에 대해서는 예외가 인정된다. ISSB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현재와 미래의 재무구조에 미칠 영향에 대해 투자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 공개를 요구한다. ▲보고 기간(공시 적용 기간) 동안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기업의 재무 상태와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치는 영향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회사의 재무 상태,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칠 전망과 이런 전망이 재무계획에 어떻게 반영됐는지 공시해야 한다. 이와 함께 S1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내린 중요한 판단 ▲지속가능성 공시에 영향을 미친 가장 심각한 불확실성 ▲이전에 공시한 내용에 오류가 있을 경우 비교 정보 수정을 요구한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 ISSB는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는데 ISSB 기준 외에 SASB(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CDSB(기후정보공개표준위원회) 프레임워크의 물이나 생물다양성 관련 공시기준, 가장 최근에 나온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을 사용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ISSB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공시 항목이 있을 경우에도 SASB나 CDSB, 최신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EU의 ESRS(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 GRI(글로벌리포팅이니셔티브) 기준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ISSB는 밝혔다.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이 제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업들이 S1과 S2 공시기준으로 ESG 공시에 나서면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 등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한 것이다. 이중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ISSB는 SASB 기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공시 지표 중 약 20%에 해당하는 지표를 개정하고 이에 관해 다양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칠 예정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넷제로투자자연합(NZAIO)이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ESG 공시기준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에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12개 산업에 대해 산업별 기후 목표와 지표를 제정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ESG 투자에 앞장서는 글로벌 금융회사 연합체인 넷제로투자자연합은 지난달 28일 공개한 권고안을 통해 ISSB의 초안 공개에 환영의 뜻을 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지난 2019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캘퍼스) 등의 연기금과 악사, 알리안츠 등 7개 기관투자자를 회원사로 두고 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UNEP FI)가 발족시킨 단체다.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설립된 이 단체의 회원사는 현재 74개로 늘어났고 회원사의 운용자산은 10조6000억 달러(약 1경3843조6000억원)에 달한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ISSB에 "미국 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SASB)의 제안에 기반해 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많은 석유와 가스, 유틸리티, 운송 시멘트, 철강, 알루미늄, 농업, 화학, 건설 등 12개 산업에 개별적인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 공개를 요구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산업별로 현재의 배출량과 함께 5년, 10년 후의 감축 목표를 동시에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고 이 단체는 제안했다. 이와 함께 넷제로투자자연합은 ISSB의 초안이 석유와 가스 탐사 및 생산 업종과 같은 일부 업종은 스코프1 온실가스 배출량 공개만 요구하고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스코프 1, 2, 3 배출량 공개를 요구하는 것을 고려하면 일관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개별 산업에도 스코프 1, 2 배출량 공시를 요구하고 중대성을 고려해야 하는 산업의 경우 스코프3 배출량까지 공시하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이 단체는 권고했다. 스코프 1은 기업의 탄소 직접 배출, 스코프 2는 전력 사용 등을 통한 간접 배출, 스코프 3는 협력업체 등의 공급망 전체의 배출 등을 말한다.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협의체(TCFD) 권고안은 모든 산업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과 탄소집약도 등의 공시를 요구하는 반면 SASB 기준은 자동차 산업의 연비나 친환경차 판매 비중, 금융기관이 대출을 제공하거나 투자한 기업의 탄소배출량 등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관련 지표 공시를 요구한다. ISSB 초안은 TCFD와 SASB 기준을 모두 차용하고 있다. 따라서 TCFD 기준과 같이 기본적으로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와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 공시를 요구하고 있으나, 세부적인 내용에서 차이를 보인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의 권고는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 공시 기준을 보완하는 동시에 스코프 1, 2, 3 배출량 공시 의무를 보다 폭넓게 적용하라는 뜻으로 읽힌다. 넷제로투자자연합은 또 이산화탄소와 함께 주요 온실가스의 하나인 메탄을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CO2e)에 포함해 공시하도록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탄력적인 대응 계획 공시해야 넷제로투자자연합은 기업이 기후변화에 시나리오별로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후 시나리오 분석을 기후 공시와 함께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시나리오 분석은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투자 계획이 파리협약의 목표와 일치하는지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은 기업에 기후변화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가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정량적인 작업은 아니라는 언급도 나왔다. 넷제로투자연합은 또 기업의 탄소중립 전환 계획을 기후 공시나 지속가능성 공시와 통합해 공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를 위해 기업은 탄소중립 전환 전략과 2050년 탄소중립 목표에 부합하는 단기 목표를 5년마다 제시하는 한편, 이를 위한 진전을 추적하고 탄소중립 전환 전략의 성공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입증 가능하고 계량화할 수 있는 핵심적인 실적 지표를 제시해야 한다는 권고가 나왔다. 또 기업은 이런 활동을 뒷받침할 효과적인 지배구조를 포함한 책임과 역할을 분명하게 정해야 하고 매년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이 단체는 권고했다. ESG 공시에서 기업에 기후 시나리오 분석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기후 공시의 기업별 비교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목표 설정 템플릿(templete) 사용을 기업에 요구해야 한다는 권고도 나왔다. ISSB는 지난 3월 31일 ESG 공시 초안을 공개한 후 지난달 29일까지 전 세계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했다. ISSB는 올 연말 최종 공시 기준을 공표할 예정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ESG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KB금융지주는 ESG 공시와 일반 목적의 재무정보의 연계를 목표로 ESG 공시체계를 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6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확정 발표하면서 이 공시기준을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로 정의했다. 아직도 ESG 정보는 비재무 정보라는 인식이 강한 가운데, ISSB는 ESG 정보가 기업의 재무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재무정보라는 관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ISSB는 2년 내 생물다양성과 인적자본, 공급망 인권 등에 관한 공시기준을 만드는 한편, 재무정보와 지속가능성 정보의 통합 공시에 관한 연구에도 착수하기로 했다. 재무정보와 ESG 정보를 하나의 사업보고서로 묶는 통합공시를 위한 기반을 만들기 위한 연구다. 이런 가운데, KB금융 ESG본부의 전윤재 부장는 1일 열린 ESG경제 창간 3주년 포럼에서 KB의 ESG 공시 관련 주요 과제를 발표하면서 “ESG 정보와 재무정보의 연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밝혀 주목을 받았다. ESG 정보가 재무정보라는 인식조차 부족한 국내에서 ISSB가 연구 과제로 제시한 중장기 목표와 유사한 방향을 밝힌 것이다. ISSB가 밝힌 재무정보와 ESG 정보의 통합은 ‘일반목적 재무정보’와 ‘ESG 재무정보’를 연계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게 KB금융의 판단이다. 전 부장은 포럼이 끝난 후 ESG경제에게 재무정보와 ESG 재무정보의 연계 방안에 관해 추가 설명했다. 그는 우선 “기후위기를 비롯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요인이 재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량화해 공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면 KB금융은 현재 재무공시에서 신용 리스크나 시장 리스크 등 다양한 리스크 관리 방법과 결과를 공시하는데, 앞으로 여기에 기후 리스크도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 부장은 “특히 기후위기가 KB금융의 대출이나 투자자산 등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 중”이라며 시나리오 분석의 합리성을 높여 “향후 중장기 경영전략과 재무공시에도 활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ESG공시가 재무공시 수준의 완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공시)프로세스를 재설계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ESG 데이터 거버넌스 명확화와 내부통제 체계 구축 등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기존 재무정보 프로세스와 통합 수준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 체계 준비 ESG 정보와 재무정보의 연계를 목표로 하는 KB금융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일 중 하나는 ESG 정보를 재무정보로 보는 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체계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KB금융은 중대성 판단도 기존의 이중중대성에서 투자자 중심의 금융중대성 또는 단일중대성으로 전환하고 연결기준의 ESG 공시를 준비하고 있다. KB금융은 공시 위치나 시기도 ISSB기준이 요구하는대로 사업보고서와 통합하고 사업보고서 공시 시기와 일치시키는 방향을 고려하고 있다. ESG 공시를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할지, 사업보고서의 부록으로 공시할지는 국내외 논의 동향을 보며 방향을 정할 전망이다. KB금융은 ISSB가 권고하는 SASB 기준에 기반한 산업별 ESG 공시나 기후 관련 시나리오 분석도 준비하고 있다. 국내에서 ISSB가 요구하는 수준의 공시기준이 도입되려면 시간이 필요하지만, 결국은 이런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KB금융뿐 아니라 국내 대형 금융기관이나 대기업들은 국내 ESG 공시 의무화 일정과 상관없이 투자자의 요구로 ISSB가 요구하는 수준의 공시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재무적 영향분석‧산업기반 공시 등도 주요 과제 전 부장은 재무정보와의 연계와 함께 ESG 공시의 주요 과제로 재무적 영향분석, SASB 기준에 의한 산업기반 공시, 내부통제 방안을 제시했다. ESG 정보의 재무적 영향 분석은 ▲KB금융 계열사별 보유 익스포져 분석 ▲대출, 주식, 채권 등 자산별 금융배출량과 탄소집약도 측정 ▲금융배출량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나리오 분석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KB는 금융배출량을 상업은행과 보험, 자산운용 등 금융사 유형별로 분류해 산출해 공시하고 탄소회계금융(PCAF)이 분류한 기준에 따라 상장주식과 회사채, 기업대출, 비상장주식, 프로젝트 파이낸스(PF), 상업용부동산, 모기지, 자동차대출, 국채의 7개 자산유형별 배출량도 공시할 계획이다. 여기에 금융배출량 총량과 스코프 1, 2, 3 배출량도 함께 공시할 예정이다. 시나리오 분석은 전환 위험과 물리적 위험으로 구분해 실시한다. 전환 위험의 경우 탄소배출권 거래제나 탄소세, 탄소국경조정세와 같은 탄소비용 정책이 기업 신인도에 미치는 영향이나 유형별 금융상품에 미치는 리스크를 분석한다. 여기에 탄소 가격이나 투자 대상 기업의 탄소배출량을 변수로 고려한다. 물리적 위험은 홍수나 태풍, 산불 등의 재해가 자산가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런 시나리오 분석 결과 등을 바탕으로 KB금융은 물리적 위험이나 전환 위험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수준을 추정할 계획이다. KB는 새로 개정되는 SASB 기준에 맞춘 산업기반 공시도 준비하고 있다. SB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SASB 기준은 중대한 지속가능성 공시 주제로 ▶환경 ▶사회적 자본 ▶인적 자본 ▶사업모델 및 혁신 ▶리더쉽 및 지배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공시 주제별로 평균 6개의 세부 주제와 13개의 공시 지표가 있다. 사업 유형별로 세분화해 공시를 요구하는 SASB 기준을 따를 경우 KB국민은행의 예를 들면 상업은행이지만 주택금융에 관한 지표도 공시를 해야 한다. 따라서 KB금융은 SASB 기준 공시를 위해 공시 영역과 프로세스를 다시 설정하고 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3
지속가능경제
ISSB, 국제 표준 ESG 공시기준 승인...'25년 첫 공시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short
1-shot-standard_order-msci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Long: - Long-Term Event Risk: Longer-term phys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could cause operational disruptions in the long run. - Growing Stakeholder Awareness: Issue receives scrutiny fromspecialized or niche stakeholders, increasing coverage in media and growing presence in public eye. - Long-Term Resource Scarcity: Key resource/input is constrained, which may lead to cost increase or operational disruption in 5+ years. - Forecast Demand Shift: Underlying social or environmental pressures (e.g., obese population, climat change) are likely t cause change in demand and consumer preference over time. - Competitor Response: Major industry player(s) undertake strategic response to environmental or social trends, increasing competitive pressure. Medium: - Emerging Event Risk: Operational even could threaten ability to grow or license to operate, but will likely manifest over extended time frame (e.g., mounting community opposition to a project; major investigations, settlements, or prosecution) - Emerging Regulatory Pressure: Issue receives increasing scrutiny from mainstream stakeholders; pressure on regulators is mounting but no pending regulatory change yet. - Medium-Term Supply Constraint: Supply constraint is forecast, could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in 2- to 5-year period. - Demonstrated Demand Shift: Growing demand in “new” area evidenced by differential growth rates and notable shift in market share between substitutes. Incentive-Based - Demand Shift: Demand shift over 2- to 5-year period will be led by government incentives Short: - Acute Event Risk: Sudden operational event could limit company’s ability to grow (e.g., exploit new reserves, expand to new territories), cause significant liabilities, disrupt key business units, or threaten overall business model - Imminent Regulator Change: Regulatory change is pending or imminent in key markets. - Short-Term Supply Constraint: Acute supply constraint is present or imminent, likely to cause disruption or significant cost increase for companies. - Acute Demand Shift: Ongoing demand shift between substitute products/services, old product/service becoming obsolete. ### text:'S1'으로 불리는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은 투자자가 투자 판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공시 방법과 내용을 담고 있다. ISSB는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인 현금흐름 창출 능력은 기업과 이해관계자, 사회, 경제 및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정보가 투자자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비즈니스 모델이 물과 같은 자연 자원에 의존할 경우, 해당 자원의 품질과 가용성,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고 ▲기업 활동이 지역 사회에 해를 끼치는 경우 정부 규제로 사업에 제약을 받을 수 있고 평판 위험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또한 ▲협력회사 등 기업의 사업 파트너가 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직면할 경우 해당 기업도 같은 상황에 노출될 수 있다. 하지만 S1을 포함한 ISSB 공시기준은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모든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하지는 않는다. 투자자 관점에서 중요한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현금흐름이나 자금 조달, 자본 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대한 정보 공개만을 요구한다. ISSB의 ESG 공시기준은 기후변화 관련 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 권고안의 골격을 차용해 ▲지배구조 ▲전략 ▲위험(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의 4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배구조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기업의 지배구조 과정과 절차, 통제에 관한 영역이다. 전략은 투자자가 중대한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관리하는 기업의 전략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리스크 관리는 기업이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지표 및 목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를 관리하고 기회를 포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와 목표로 구성된다. 기업이 설정한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한 진전 여부나 법이나 규제에 따라 기업이 설정해야 하는 지속가능성 목표 등이 포함된다. 중대성 정의 구체화 ISSB는 기업 공시해야 하는 중대한 정보를 이렇게 정의했다. “어떤 정보에 대해 기업이 공시를 생략하거나, 잘못 진술할 경우, 또는 불분명하게 진술할 경우 재무제표를 이용해 투자 판단을 하는 투자자들의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정보”가 그것이다.  ISSB를 설립한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의 회계기준의 중대성 개념에 맞춰 ISSB가 채택한 금융중대성(단일중대성)을 명확하게 정의한 것이다. S1은 ▲공정 공시 ▲기업의 사업 모델이나 외부 환경과 관련된 모든 공급망 관련 위험과 기회 공시 ▲연결재무제표 작성 기업의 경우 모든 해당 기업의 ESG 정보 공시를 강조하고 있다. 공정 공시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에 관한 정보를 충실하게 공시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해당 위험과 기회를 완전하고 정확하게, 중립적으로 기술하도록 요구한다. 다양한 연관성 공시 요구 S1은 다양한 지속가능성 이슈가 초래한 여러 가지 위험과 기회 간 연관성(connection)이나 ESG 이슈와 재무제표와의 연관성 등을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거버넌스나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간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예를 들면 어떤 기업이 협력업체의 고용 관행이 국제적 기준에 미치지 못해 공급 계약을 종료할 경우 부품이나 원자재 수급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해당 기업은 계약 종료와 재무제표에 제시된 관련 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공시해야 한다. 어떤 기업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제품의 생산을 중단하고 관련 설비를 폐쇄하기로 결정할 경우 해당 기업은 기후 관련 위험를 관리하기 위한 이 조치와 이 결정에 따른 재무제표와의 연관성을 명확히 공시해야 한다. 또 기업의 평판이나 지역 사회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 이 결정과 다른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의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지속가능성 공시와 재무제표 공시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공시 기업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할 때 가능하면 재무제표 공시에 사용한 데이터와 가정을 사용해야 하고 현재와 미래의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의 재무적 영향도 공시해야 한다. 사업보고서에 포함해 동시에 공시 요구 ISSB는 ESG 공시를 재무제표가 포함된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공시 기업은 S1과 S2가 요구하는 이상의 ESG 정보를 공시할 수 있으나, 이런 추가적인 정보가 S1과 S2가 요구하는 중대성을 모호하게 해서는 안된다. ESG 공시 시기는 사업보고서와 같은 시기에 이루어져야 하고 공시가 다루는 기간도 사업보고서의 기간과 일치시켜야 한다. 다만 기업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ISSB는 1년의 유예기간을 주기로 했다. 공시 기업은 보고 기간에 제공된 모든 정보에 대해 비교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 다만 공시 첫해에는 유예가 적용된다. 공시 첫해에 기후공시만 하는 기업은 다음 해에 기후 정보 이외의 지속가능성 관련 비교 정보를 공시하지 않아도 된다. ISSB 기준의 모든 요구를 준수한 기업은 공시 준수 성명서(compliance statement)를 제시해야 한다. 법이나 규제로 일부 내용을 공시할 수 없을 경우나 상업적으로 민감한 내용에 대해서는 예외가 인정된다. ISSB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현재와 미래의 재무구조에 미칠 영향에 대해 투자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 공개를 요구한다. ▲보고 기간(공시 적용 기간) 동안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기업의 재무 상태와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치는 영향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회사의 재무 상태,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칠 전망과 이런 전망이 재무계획에 어떻게 반영됐는지 공시해야 한다. 이와 함께 S1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내린 중요한 판단 ▲지속가능성 공시에 영향을 미친 가장 심각한 불확실성 ▲이전에 공시한 내용에 오류가 있을 경우 비교 정보 수정을 요구한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 ISSB는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는데 ISSB 기준 외에 SASB(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CDSB(기후정보공개표준위원회) 프레임워크의 물이나 생물다양성 관련 공시기준, 가장 최근에 나온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을 사용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ISSB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공시 항목이 있을 경우에도 SASB나 CDSB, 최신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EU의 ESRS(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 GRI(글로벌리포팅이니셔티브) 기준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ISSB는 밝혔다.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이 제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업들이 S1과 S2 공시기준으로 ESG 공시에 나서면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 등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한 것이다. 이중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ISSB는 SASB 기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공시 지표 중 약 20%에 해당하는 지표를 개정하고 이에 관해 다양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칠 예정이다. ### response: Based on the MSCI guidelines,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3
지속가능경제
ISSB, 국제 표준 ESG 공시기준 승인...'25년 첫 공시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short
1-shot-standard_order-standard
You will be given a text. Refer to the examples for your decision. Classify it to either [short/medium/long] based on its expected timeframe. Refer to the following guidelines. Answer in the answer is <ans> format.### text:'S1'으로 불리는 '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은 투자자가 투자 판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공시 방법과 내용을 담고 있다. ISSB는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인 현금흐름 창출 능력은 기업과 이해관계자, 사회, 경제 및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정보가 투자자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비즈니스 모델이 물과 같은 자연 자원에 의존할 경우, 해당 자원의 품질과 가용성,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고 ▲기업 활동이 지역 사회에 해를 끼치는 경우 정부 규제로 사업에 제약을 받을 수 있고 평판 위험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또한 ▲협력회사 등 기업의 사업 파트너가 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직면할 경우 해당 기업도 같은 상황에 노출될 수 있다. 하지만 S1을 포함한 ISSB 공시기준은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모든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하지는 않는다. 투자자 관점에서 중요한 기업의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현금흐름이나 자금 조달, 자본 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대한 정보 공개만을 요구한다. ISSB의 ESG 공시기준은 기후변화 관련 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 권고안의 골격을 차용해 ▲지배구조 ▲전략 ▲위험(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의 4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배구조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기업의 지배구조 과정과 절차, 통제에 관한 영역이다. 전략은 투자자가 중대한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관리하는 기업의 전략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리스크 관리는 기업이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지표 및 목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를 관리하고 기회를 포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와 목표로 구성된다. 기업이 설정한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한 진전 여부나 법이나 규제에 따라 기업이 설정해야 하는 지속가능성 목표 등이 포함된다. 중대성 정의 구체화 ISSB는 기업 공시해야 하는 중대한 정보를 이렇게 정의했다. “어떤 정보에 대해 기업이 공시를 생략하거나, 잘못 진술할 경우, 또는 불분명하게 진술할 경우 재무제표를 이용해 투자 판단을 하는 투자자들의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정보”가 그것이다.  ISSB를 설립한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의 회계기준의 중대성 개념에 맞춰 ISSB가 채택한 금융중대성(단일중대성)을 명확하게 정의한 것이다. S1은 ▲공정 공시 ▲기업의 사업 모델이나 외부 환경과 관련된 모든 공급망 관련 위험과 기회 공시 ▲연결재무제표 작성 기업의 경우 모든 해당 기업의 ESG 정보 공시를 강조하고 있다. 공정 공시는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에 관한 정보를 충실하게 공시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해당 위험과 기회를 완전하고 정확하게, 중립적으로 기술하도록 요구한다. 다양한 연관성 공시 요구 S1은 다양한 지속가능성 이슈가 초래한 여러 가지 위험과 기회 간 연관성(connection)이나 ESG 이슈와 재무제표와의 연관성 등을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거버넌스나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와 목표의 4개 영역 간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예를 들면 어떤 기업이 협력업체의 고용 관행이 국제적 기준에 미치지 못해 공급 계약을 종료할 경우 부품이나 원자재 수급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해당 기업은 계약 종료와 재무제표에 제시된 관련 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공시해야 한다. 어떤 기업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제품의 생산을 중단하고 관련 설비를 폐쇄하기로 결정할 경우 해당 기업은 기후 관련 위험를 관리하기 위한 이 조치와 이 결정에 따른 재무제표와의 연관성을 명확히 공시해야 한다. 또 기업의 평판이나 지역 사회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 이 결정과 다른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의 연관성도 공시해야 한다. 지속가능성 공시와 재무제표 공시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공시 기업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할 때 가능하면 재무제표 공시에 사용한 데이터와 가정을 사용해야 하고 현재와 미래의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의 재무적 영향도 공시해야 한다. 사업보고서에 포함해 동시에 공시 요구 ISSB는 ESG 공시를 재무제표가 포함된 사업보고서의 일부로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공시 기업은 S1과 S2가 요구하는 이상의 ESG 정보를 공시할 수 있으나, 이런 추가적인 정보가 S1과 S2가 요구하는 중대성을 모호하게 해서는 안된다. ESG 공시 시기는 사업보고서와 같은 시기에 이루어져야 하고 공시가 다루는 기간도 사업보고서의 기간과 일치시켜야 한다. 다만 기업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ISSB는 1년의 유예기간을 주기로 했다. 공시 기업은 보고 기간에 제공된 모든 정보에 대해 비교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 다만 공시 첫해에는 유예가 적용된다. 공시 첫해에 기후공시만 하는 기업은 다음 해에 기후 정보 이외의 지속가능성 관련 비교 정보를 공시하지 않아도 된다. ISSB 기준의 모든 요구를 준수한 기업은 공시 준수 성명서(compliance statement)를 제시해야 한다. 법이나 규제로 일부 내용을 공시할 수 없을 경우나 상업적으로 민감한 내용에 대해서는 예외가 인정된다. ISSB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현재와 미래의 재무구조에 미칠 영향에 대해 투자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 공개를 요구한다. ▲보고 기간(공시 적용 기간) 동안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기업의 재무 상태와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치는 영향 ▲단기와 중기, 장기적으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가 회사의 재무 상태, 재무적 성과, 현금 흐름에 미칠 전망과 이런 전망이 재무계획에 어떻게 반영됐는지 공시해야 한다. 이와 함께 S1은 ▲지속가능성 공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내린 중요한 판단 ▲지속가능성 공시에 영향을 미친 가장 심각한 불확실성 ▲이전에 공시한 내용에 오류가 있을 경우 비교 정보 수정을 요구한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 ISSB는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는데 ISSB 기준 외에 SASB(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CDSB(기후정보공개표준위원회) 프레임워크의 물이나 생물다양성 관련 공시기준, 가장 최근에 나온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을 사용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ISSB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공시 항목이 있을 경우에도 SASB나 CDSB, 최신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EU의 ESRS(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 GRI(글로벌리포팅이니셔티브) 기준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ISSB는 밝혔다.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이 제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업들이 S1과 S2 공시기준으로 ESG 공시에 나서면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 등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한 것이다. 이중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77개 산업별 ESG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ISSB는 SASB 기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공시 지표 중 약 20%에 해당하는 지표를 개정하고 이에 관해 다양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칠 예정이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 <medium>. ### text: ESG 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주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회의를 열고, 14명 위원의 전원 찬성으로 S1과 S2 지속가능성(ESG) 공시기준을 승인했다. ISSB는 최종 공시기준서 문구 작성 작업을 거친 후 올 6월 말 ESG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공시기준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첫 공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지난해 3월 공개한 후 석 달 간의 의견 청취 기간을 거쳤다. ISSB는 청취 기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해 왔는데 보완할 내용이 예상보다 많아 최종 공시기준 발표 시점을 올 2분기로 늦춘 바 있다. ISSB는 ESG 정보 공시와 관련해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공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따라서 반기 실적 공시를 요구받는 기업은 이듬해 반기 실적(재무제표)을 공시할 때부터 ESG 공시를 동시에 하도록 했다. 반기 실적 공시를 내년 6월에 한다면 2025년 6월부터 공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자발적으로 반기 실적을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이듬해 반기 실적 공시와 함께 ESG 공시를 하되, 늦어도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치도록 했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반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실적 공시 후 9개월 안에 ESG 공시를 마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늦어도 2025년 9월30일 안에 공시를 시작해야 한다. ISSB는 다만 시행 첫해에는 이런 공시 시기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ISSB는 이번에 만들어진 공시기준에 기업들이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스코프3(협력업체와 물류 등을 통한 외부 탄소배출) 측정 방식과 시나리오 분석 등을 위한 가이던스 자료도 제공하기로 했다. ISSB는 앞으로 기후 이외의 새로운 공시 주제를 선정해 S3나 S4 등으로 이름을 붙이면서 추가 기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ASB 기준 등으로 보완 권고도 ISSB는 앞으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노동 등에 관한 공시 기준을 추가로 제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일반 공시기준 S1과 기후 공시기준 S2만 제정한 상태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ESG 공시에 나설 때 기후 공시에 치우칠 수 있다고 보고 S1 공시에 SASB 기준이 제시하는 공시 주제를 우선 고려해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SASB 기준은 11개 산업군 68개 산업별 ESG 공시 주제와 지표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별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량과 함께 종업원 보건 및 안전, 기업윤리, 물 관리, 제품 환경보건안전, 데이터 보안, 금융포용 및 역량구축, 토지이용 및 생태학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공시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지속가능센터장은 “ISSB S1 기준으로 공개한다면 반드시 SASB 기준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S1 공시로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SASB 기준은 ISSB 기준에 흡수될 것”이라며 “그때까지 이를 활용해 현재의 ISSB 기준을 보완하는 데 활용하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ISSB는 다른 공시 기준인 GRI와 유럽연합(EU)이 마련한 공시 기준인 ESRS가 사용하는 지표도 재무적으로 중대한지 판단해 S1 공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S1 기준은 공시 지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14명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선임돼 ESG 정보공시의 글로벌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백태영 위원(성균관대 경영학 교수)는 “S1 공시에서 공시 주제를 정할 때 SASB 기준을 꼭 고려하라는 것”이라며 “주제를 정하면 어떤 지표로 그 주제의 공시를 채우느냐가 문제인데 이 때 ESRS나 GRI 기준이 제시하는 지표를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SSB는 기후공시 기준인 S2에서 산업 공통의 스코프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했으나 SASB 기준을 활용한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는 금융배출량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산업의 경우 한시적으로 자발적 공시로 남기기로 했다. ### response: I classify this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