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named: 0
int64 0
0
| 제목
stringlengths 6
35
| 등록일
stringclasses 2
values | 질문
stringlengths 34
269
| 답변
stringlengths 63
545
|
---|---|---|---|---|
0 | '선물받다', '선물 받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선물받다'도 붙여 쓰는 게 맞나요?
|
맥락에 따라 다릅니다. '선물'은 '남에게 어떤 물건 따위를 선사함. 또는 그 물건'을 뜻하는 명사인데, "너 크리스마스 때 선물(을) 받았어?"와 같이 '선물'이 물건을 뜻하는 명사로서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에 '받다'는 동사로서 띄어 쓰고, "응, 장난감을 선물받았어."와 같이 따로 목적어가 있는 경우에는 행위를 뜻하는 명사 '선물' 뒤에 피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받다'가 결합한 동사로서 '선물받다'로 붙여 씁니다.
|
0 | '생로병사', '생노병사'의 표기 | 2019. 12. 6. |
'생노병사', '생로병사' 중 어떤 것이 맞는 표기인가요?
|
'생로병사'가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12항 [붙임 1]에 따르면, 한자음 '로'가 단어의 첫머리 이외에 놓일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으므로, ‘생로병사(生老病死)’와 같이 적습니다.
|
0 | '생때같다', '생떼같다'의 표기 | 2019. 12. 6. |
'생떼같은 자식'이 맞나요, 아니면 '생때같은 자식'이 맞나요?
|
'생때같은 자식'이 맞습니다. '공을 들여 매우 소중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은 '생때같다'이므로 '생때같은 자식'과 같이 씁니다.
|
0 | '생각하기에'의 준말 | 2019. 12. 6. |
'생각하기에'의 준말은 '생각기에'인가요, '생각키에'인가요?
|
'생각기에'입니다. 한글맞춤법 제40항 [붙임 2]에 따르면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데 '생각'처럼 안울림받침 뒤의 '하'는 아주 줄므로 '생각하기에'는 '생각기에'로 줄여 씁니다.
|
0 | '새하얗다', '샛하얗다'의 표기 | 2019. 12. 6. |
'새하얗다'가 맞나요, '샛하얗다'가 맞나요?
|
'새하얗다'가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27항 해설에 따르면 'ㅎ' 앞에서는 새-/시-'가 붙으며 '하얗다' 앞에는 모음조화에 따라 '새-'가 붙어 '새하얗다'로 적습니다.
|
0 | '새신랑', '새 책'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새신랑'은 한 단어로 이루어지고 '새 책'은 두 단어로 이루어졌다고 하는데, 기준이 무엇인가요?
|
'새신랑'은 구성 단어의 뜻 이상의 뜻이라 한 단어로 보고 '새 책'은 구성 단어의 뜻이므로 구로 봅니다. 관형사 '새'는 '이미 있던 것이 아니라 처음 마련하거나 다시 생겨난', '사용하거나 구입한 지 얼마 되지 아니한'의 뜻을 나타내는데 '새신랑'은 '갓 결혼한 남자'를 뜻해 단어 '새'와 '신랑'의 뜻 이상의 뜻이 있으므로 합성어로 인정한 것이고 '새 책'은 '사용하거나 구입한 지 얼마 되지 아니한 책'을 뜻해 단어 '새'와 '책'의 뜻만 있으므로 단순 구로 보는 것입니다.
|
0 | '저물녘', '저물 녘'의?띄어쓰기 | 2019. 12. 6. |
'저물녘', '저물 녘'은 어떻게 띄어 써야 하나요?
|
맥락에 따라 다릅니다. "황량한 들판은 저물녘의 재색으로 침침하게 가라앉아 있다."와 같이 쓰인 '저물녘'은 '날이 저물 무렵'을 이르는 합성어이므로 붙여 씁니다. 그렇지만, "날이 저물 녘이면 거리에는 불빛이 하나둘씩 반짝이기 시작하였다."와 같이 쓰인 '저물 녘'은 '저물'이 앞말의 서술어 역할을 하므로 띄어 씁니다.
|
0 | '새내기'의 형태소 분석 | 2019. 12. 6. |
새내기는 접사+접사 구성인가요, 아니면 관형사+접사 구성인가요?
|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새내기’는 관형사 '새' 뒤에 접사 '-내기'가 붙은 말입니다. '새내기'의 '새'는 '이미 있던 것이 아니라 처음 마련하거나 다시 생겨난'의 뜻을 나타내는 관형사이고, '-내기'는 일부 어근이나 접두사 뒤에 붙어 '그런 특성을 지닌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접두사 '새-'는 색채를 나타내는 일부 형용사 앞에 붙어 ‘매우 짙고 선명하게’의 뜻을 더하므로 맥락에 맞지 않습니다.
|
0 | '상속받다', '상속 받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재산을 {상속받다/상속 받다}'에서 '받다'는 붙여 써야 하나요, 띄어 써야 하나요?
|
'재산을 상속받다'와 같이 붙여 씁니다. '사망한 후에 다른 사람에게 재산에 관한 권리와 의무의 일체를 이어 주거나, 다른 사람이 사망한 사람으로부터 그 권리와 의무의 일체를 이어받는 일'을 뜻하는 명사 '상속' 뒤에, '피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받다'를 붙여 '재산을 상속받다'와 같이 붙여 쓰는 것입니다.
|
0 | '상가'와 '상갓집'의 표현 | 2019. 12. 6. |
'초가집'처럼 '상갓집'도 쓸 수 있나요?
|
‘상갓집’도 쓸 수 있습니다. '상갓집'은 의미 중복적인 측면이 있으나 이미 오래전에 '상가'와 함께 ‘사람이 죽어 장례를 치르는 집’을 뜻하는 말로 굳어진 표준어입니다.
|
0 | '삼일절'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삼일절'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삼일절'의 표준 발음은 [사밀쩔]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6항에 따르면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연결되는 ‘ㅈ’은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삼일절(三一節)'은 [사밀쩔]로 발음합니다.
|
0 | '30여 년'의 뜻 | 2019. 12. 6. |
"교황이 정확히 '29년' 전에 한국을 방문했다. 30여 년 만에 방문한 그는 ~"이라는 문구를 보았어요. '29년'이 '30여 년'으로 쓰일 수 있는 건가요?
|
'29년'을 '30여 년'이라 할 수 없습니다.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붙는 접미사 ‘-여(餘)’는 ‘그 수를 넘음’의 뜻을 더하므로, '30여 년'은 '29년'을 나타내기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것보다는 ‘대강’, ‘대략’의 뜻으로, 그 수량에 가까운 정도임을 나타내는 관형사 '약'을 써 '약 30년'이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0 | '삼가다'의 활용 | 2019. 12. 6. |
"답하기 곤란한 질문은 삼간다."처럼 '삼간다'라고 표현하는 것이 어법에 맞는지요?
|
"답하기 곤란한 질문은 삼간다."처럼 쓸 수 있습니다. 동사 '삼가다'의 어간 '삼가-' 뒤에 현재 종결형 어미 ‘-ㄴ다’를 붙여 '삼간다'를 쓸 수 있습니다.
|
0 | '살지다'와 '살찌다'의 차이 | 2019. 12. 6. |
'살지다'는 형용사이고, '살찌다'는 동사라는데, 그렇다면 '살찐 돼지'라고 하면 틀리나요?
|
문법적으로 '살찐 돼지'가 불가한 것은 아니나 의미적으로 '살진 돼지'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알고 계신 대로 '살지다'는 형용사로서 '살이 많고 튼실하다'의 뜻으로 '살진 암소'와 같이 쓰이고, '살찌다'는 동사로 '몸에 살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지다'의 뜻으로 '살찐 사람'과 같이 쓰이므로, 동사 '살찌다'의 어간에, 사건이나 행위가 완료되어 그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관형사형 어미 '-ㄴ'이 결합해 '살찐 돼지'라고 표현할 수는 있습니다. 다만, 돼지는 살이 많을수록 좋은 것이라 '살찌다'보다는 '살지다'를 써 '살진 돼지'라고 많이 표현합니다.
|
0 | '삼림욕장'과 '산림욕장'의 의미 관계 | 2019. 12. 6. |
표준국어대사전에 '삼림욕'과 '산림욕'은 동의어로 있는데,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산림욕장'도 '삼림욕장'과 동의어로 볼 수 있나요?
|
'산림욕장'과 '삼림욕장'도 동의어로 볼 수 있습니다. '산림욕장'은 현재 현실 언어를 반영한 "우리말샘"에 '삼림욕장'과 상관없이 올라 있습니다만, 의미적으로 ‘삼림욕’과 ‘산림욕’이 동의어이므로 ‘장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장’이 붙은 ‘삼림욕장’과 ‘산림욕장’의 뜻도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
0 | '-(으)ㄹ?거야', '-(으)ㄹ거야'의?띄어쓰기 | 2019. 12. 6. |
'사랑할 거야', '사랑할거야' 중 어느 것이 맞나요?
|
'사랑할 거야'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여기서 '거'는 의존 명사 '것'의 구어적 표현이므로 용언의 관형사형 뒤에서 띄어 '사랑할 거야'와 같이 적습니다.
|
0 | '에서뿐만', '에서 뿐만'의 띄어쓰기 | 2019. 12. 6. |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가 맞나요, '가정에서뿐만 아니라'가 맞나요?
|
'가정에서뿐만 아니라'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뿐'은 체언이나 부사어 뒤에 붙어 ‘그것만이고 더는 없음’ 또는 ‘오직 그렇게 하거나 그러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므로 부사어 '가정에서' 뒤에 붙여 '가정에서뿐만 아니라'와 같이 씁니다.
|
0 | '뿐이다'와 '밖에 없다'의 차이 | 2019. 12. 6. |
"시간이 20분밖에 안 남았다."와 "남은 시간이 20분뿐이다."의 의미 차이가 있는지요?
|
의미적인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시간이 20분밖에 안 남았다."나 "남은 시간이 20분뿐이다'는 둘 다 시간이 20분 남았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뿐’은 체언 뒤에 붙어 ‘그것만이고 더는 없음’을 나타내는 보조사이고, ‘밖에’는 ‘그것 말고는’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로서 뒤에 부정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쓰여 '뿐'과 비슷한 뜻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
0 | '뽐내 봅시다', '뽐내뽑시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뽐내봅시다'와 '뽐내 봅시다' 중 어느 것이 맞는지요?
|
‘뽐내 봅시다’와 ‘뽐내봅시다' 모두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어/-아' 뒤의 보조 용언은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되지만 본용언이 합성용언인 경우 붙여 쓰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데, ‘뽐내’와 같이 합성용언의 활용형이 2음절인 경우에는 붙여 쓰는 것이 허용되므로 ‘뽐내봅시다’와 같이 붙여 적을 수도 있습니다.
|
0 | '뺏다'의 활용 | 2019. 12. 6. |
'뺏어라'는 왜 '뺏아라'가 아닌가요?
|
'어간의 끝음절 모음 'ㅐ'는 음성모음 어미와 결합하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16항에 따르면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일 때에는 어미를 '-아'로 적고, 그 밖의 모음일 때에는 '-어'로 적는데, '뺏다'는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가 아니므로, 어미 '-어'가 붙어 '뺏어'와 같이 활용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뺏다'의 본말 '빼앗다'는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아'이므로, 어미 '-아'가 붙어 '빼앗아'로 활용합니다.
|
0 | '빠릿빠릿하다', '빠릇빠릇하다'의 표현 | 2019. 12. 6. |
'빠릿빠릿하다', '빠릇빠릇하다' 중 표준어는 무엇인가요? 어원이 '빠르다'에서 나왔기 때문에 '빠릇빠릇하다'가 맞을 거라는 의견도 있던데요.
|
‘빠릿빠릿하다’가 표준어입니다. ‘똘똘하고 행동이 날래다’의 뜻을 고려하면 '빠르다’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겠으나, 현재 '빠릇빠릇하다'는 "우리말샘"에 '빠릿빠릿하다'의 강원 방언으로 올라 있습니다.
|
0 | '정조빛입니다'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정조빛'이라는 친구가 "저는 정조빛입니다."라고 말한다면, [정조빛입니다]로 또박또박 발음하나요, 아니면 [정조비칩니다]로 하나요, 아니면 [정조비십니다]로 하나요?
|
[정조비침니다]로 발음합니다. 표준발음법 제13항에 따르면 홑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고, 제18항에 따르면 받침 'ㅂ'은 'ㄴ' 앞에서 [ㅁ]으로 발음하므로, ‘정조빛입니다’는 [정조비침니다]로 발음됩니다.
|
0 | '빗금'의 띄어쓰기 | 2019. 12. 6. |
'/' 표시 앞뒤로 글자를 띄어 쓰는 것이 맞는지요? 아니면 붙여 써도 무관한 건지요?
|
빗금은 쓰임에 따라 붙여 쓰기도 하고 띄어 쓰기도 합니다. '문장부호'(2015) 규정에 따르면, 먼저 '남반구/북반구'처럼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대비되는 어구가 두 어절 이상이면 '문과 대학 / 이과 대학'처럼 띄어 쓸 수도 있습니다. 다음 '100미터/초'처럼 기준 단위당 수량을 표시할 때에는 붙여 씁니다. 끝으로 시행이 바뀌는 부분임을 나타낼 때에는 '산에는 꽃 피네 / 꽃이 피네'처럼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산에는 꽃 피네/꽃이 피네'처럼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
0 | '빌리다가'와 '빌려다가'의 차이 | 2019. 12. 6. |
'빌리다가'와 '빌려다가'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빌리다가’는 어간 ‘빌리-’ 뒤에, 어떤 일을 하는 과정이 다른 일이 이루어지는 원인이나 근거 따위가 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다가’가 결합한 말로, "만화책을 빌리다가 엄마에게 들켰다."와 같이 쓰입니다. '빌려다가'는 어간 '빌리-' 뒤에, 한 동작을 다음 동작과 순차적으로 이어 주는 연결 어미 ‘-어다가’가 결합한 말로 "만화책을 빌려다가 친구들과 함께 읽었다."와 같이 쓰입니다.
|
0 | '비행기표', '비행기 표'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비행기표', '비행기 표'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
'비행기표'로 붙여 씁니다. '비행기표'는 한 단어로 올라 있는 말이므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
0 | '비웃음'의 형태소 분석 | 2019. 12. 6. |
'비웃음'은 '비웃-음', '코웃음'은 '코-웃음'으로 분석되던데, '비웃음'을 '비-웃음'으로 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
단어 형성법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비웃음'은 동사 '비웃다'가 있고, 여기서 '비'는 따로 분석이 되지 않으므로 '비-웃음'으로 분석하지 않고 '비웃-음'으로 분석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코웃음'은 '코웃다'가 없고, '코'는 분석이 되므로 '코-웃음'으로 분석합니다.
|
0 | '비어'의 준말 | 2019. 12. 6. |
'줄이(다)+-어서'가 결합해 줄면 '줄여서'가 되듯이 '비(다)+-어서'가 결합해 줄면 '벼서'가 되는 것인지요?
|
'비어서'는 ‘벼서’로 줄여 쓸 수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6항에 따르면 'ㅣ' 뒤에 '-어'가 와서 'ㅕ'로 줄 적에는 준 대로 적으므로, ‘비-’ 뒤에 ‘-어(서)’가 와서 ‘벼(서)’로 줄 적에는 준 대로 적습니다.
|
0 | '자리가 비어', '자리가 비워'의 표현 | 2019. 12. 6. |
"자리가 {비어/비워} 있으면"은 어느 것이 맞나요?
|
"자리가 비어 있으면"이 맞습니다. '비다'는 자동사이므로 목적어가 없는 맥락에서 쓰일 수 있습니다만, '비우다'는 타동사라 목적어가 없는 맥락에서 쓰일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자리가 비어 있으면"과 같이 표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0 | '비사치기', '비석치기'의 표현 | 2019. 12. 6. |
'비석치기'와 '비사치기'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
'비사치기'가 표준어입니다. '손바닥만 한 납작한 돌을 세워 놓고 얼마쯤 떨어진 곳에서 돌을 던져 맞히거나 발로 돌을 차서 맞혀 넘어뜨리는 아이들 놀이'를 이르는 표준어는 ‘비사치기’입니다. '비석치기'는 '비사치기'의 충청 방언입니다.
|
0 | '삐뚤빼뚤'과 '삐툴배툴'의 표현 | 2019. 12. 6. |
'글씨를 {삐뚤빼뚤/삐툴빼툴} 쓰다'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
'글씨를 삐뚤빼뚤 쓰다'가 표준어입니다. 물체가 곧지 못하고 이쪽저쪽으로 자꾸 구부러지는 모양을 뜻하는 말로 ‘비뚤배뚤’보다 센 느낌을 주는 말은 '삐뚤빼뚤'이 표준어이고, '삐툴빼툴'은 표준어가 아닙니다.
|
0 | '비눗방울 놀이', '비눗방울놀이'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비눗방울 놀이', '비눗방울놀이'의 바른 띄어쓰기는?
|
'비눗방울 놀이'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비눗방울' 뒤에, '일정한 규칙 또는 방법에 따라 노는 일'을 뜻하는 말로 ‘공깃돌 놀이', '연 놀이', '제기 놀이', '주사위 놀이’와 같이 쓰이는 '놀이'가 쓰인 경우이므로 '비눗방울 놀이'와 같이 띄어쓰기를 합니다.
|
0 | '붙어 있다'와 '붙여 있다'의 표현 | 2019. 12. 6. |
"차림표가 벽에 {붙어/붙여} 있다."에서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인가요?
|
"차림표가 벽에 붙어 있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붙어'의 '붙다'는 '맞닿아 떨어지지 아니하다'를 뜻하는 동사로 제시된 맥락에서 쓰일 수 있습니다. 한편, '붙여'의 '붙이다'는 '붙다'의 사동사로서 '누가 차림표를 벽에 붙이다'와 같이 쓰이는 말이므로 제시된 맥락에 맞지 않습니다.
|
0 | '붓두껍'과 '붓뚜껑'의 표현 | 2019. 12. 6. |
"문익점은 붓뚜껑에 목화씨를 가지고 왔다."에서 '붓뚜껑'은 '붓두껍'으로 고쳐야 한다는데, '뚜껑'의 뜻 중에도 '만년필이나 펜 따위의 촉을 보호하기 위하여 겉에 씌우는 물건'의 뜻이 있으므로 '붓뚜껑'도 쓸 수 있는 거 아닌가요?
|
'붓뚜껑'은 '붓두껍'의 비표준어입니다. 설령 '뚜껑'에 비슷한 뜻이 있다 해도 '붓촉에 끼워 두는 뚜껑'을 뜻하는 단어는 이미 오래전부터 ‘붓두껍’으로 굳어져 '붓두껍'을 표준어로 하고 있습니다.
|
0 | '붓다'와 '붇다'의 차이 | 2019. 12. 6. |
'붓다'와 '붇다'는 의미가 어떻게 다른가요?
|
'붓다'는 '살가죽이나 어떤 기관이 부풀어 오르다'의 뜻을 나타내는 동사로 '얼굴이 붓다', "울어서 눈이 퉁퉁 부었다."와 같이 쓰이고, '붇다'는 '물에 젖어서 부피가 커지다', '분량이나 수효가 많아지다'의 뜻을 나타내는 동사로 '라면이 붇다', "체중이 많이 불었다."와 같이 쓰입니다.
|
0 | '붉으락푸르락', '울그락붉으락'의 표현 | 2019. 12. 6. |
'붉으락푸르락/울그락붉으락' 중 어느 것이 바른 표현인가요?
|
'붉으락푸르락'이 표준어입니다. '몹시 화가 나거나 흥분하여 얼굴빛 따위가 붉게 또는 푸르게 변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표준어는 '붉으락푸르락'이고, 울그락붉으락', '울그락불그락', '불그락푸르락’은 표준어가 아닙니다.
|
0 | '불이익'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불이익'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불이익'의 표준 발음은 [불리익]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9항 [붙임 1]에 따르면 파생어에서,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의 첫음절이 '이'인 경우에는, 'ㄴ' 음을 첨가하는데, 'ㄹ' 받침 뒤 첨가되는 'ㄴ' 소리는 [ㄹ]로 발음하므로 [불리익]으로 발음합니다.
|
0 | '불볕'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불볕'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불볕'의 표준 발음은 [불볃]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8항에 따르면 표기상 사이시옷이 없더라도 관형격 기능을 지니는 사이시옷이 있어야 할 합성어의 경우에는 뒤 단어의 첫소리 'ㄱ, ㄷ, ㅂ, ㅅ, ㅈ'을 된소리로 발음하기도 합니다. 다만, '불-볕'은 뒤 단어의 첫소리 'ㅂ'이 된소리로 나지 않고, 제9항에 따르면 받침 'ㅌ'은 어말에서 대표음 [ㄷ]으로 발음하므로 [불볃]으로 발음합니다.
|
0 | '분리수거 함', '분리수거함'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분리수거 함', '분리수거함'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
'분리수거함'으로 붙여 쓰실 수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분리수거함'이 한 단어로 올라 있지 않지만 "우리말샘" 사전에는 한 단어로 붙어 올라 있으므로, 붙여서 쓰실 수 있습니다.
|
0 | '북한산'의 로마자 표기 | 2019. 12. 6. |
'북한산'을 로마자로 변환하니 'Bukhansan'이라고 나오던데, 어떤 사람은 발음하는 대로 'bukansan'이라고도 하네요. 어떤 게 바른 표기인가요?
|
'북한산'은 로마자로 'Bukhansan'으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로마자표기법 제3장 제1항 4번에 따르면 'ㄱ, ㄷ, ㅂ, ㅈ'이 'ㅎ'과 합하여 거센소리로 나는 경우 '좋고[조코] joko'처럼 거센소리로 적지만, 예외적으로 체언에서 'ㄱ, ㄷ, ㅂ' 뒤에 'ㅎ'이 따를 때에는 'ㅎ'을 밝혀 '묵호[무코] Mukho'처럼 적으므로, 체언인 '북한산'[부칸산]도 'Bukhansan'으로 적어야 합니다.
|
0 | '북극 제비갈매기', '북극제비갈매기'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북극제비갈매기'가 사전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은데, 붙여서 '북극제비갈매기'로 표기해야 하나요, '북극 제비갈매기'라고 띄어서 표기해야 하나요?
|
'북극제비갈매기'로 붙여 씁니다. "표준국어대사전"의 편찬 지침에 따르면 동식물의 품종명은 전체를 붙여 쓰므로, '북극제비갈매기'가 사전에 한 단어로 올라 있지 않더라도 모두 붙여 씁니다.
|
0 | '부질없다'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부질없다'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부질없다'의 표준 발음은 [부지럽따]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0항에 따르면, 겹받침 'ㅄ'은 자음 앞에서 [ㅂ]으로 발음하고, 제23항에 따르면 받침 'ㅂ(ㅄ)' 뒤에 연결되는 'ㄷ'은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부질없다'는 [부지럽따]로 발음합니다.
|
0 | '부지런한지', '부지런한 지'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얼마나 {부지런한지/부지런한 지}'에서 알맞은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
'얼마나 부지런한지'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알맞습니다. 여기서 '부지런한지'는 형용사 '부지런하다'의 어간에 '막연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ㄴ지'가 결합한 말이므로 '부지런한지'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
0 | '안팎으로', '안팎일'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안팎으로'와 '안팎일'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안팎으로', '안팎일'의 표준 발음은 [안파끄로], [안팡닐]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3항에 따르면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므로 '안팎으로'는 [안파끄로]로 발음됩니다. 표준발음법 제29항에 따르면 합성어에서 앞 단어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의 첫음절이 '이'인 경우에는 'ㄴ' 소리를 첨가하고, 제18항에 따르면 'ㄱ(ㄲ)은 'ㄴ' 앞에서 [ㅇ]으로 발음하므로 '안팎일'은 [안팡닐]로 발음합니다.
|
0 | '부서지다', '부숴지다'의 표현 | 2019. 12. 6. |
'부서지다'는 '부수다'에서 나온 건가요? 왜 '부숴지다(부수어지다)'가 아닌가요?
|
'부서지다'는 '부수다'의 고어형 '브스(반치음)다'의 어간에 '-어지다'가 결합해 오래전부터 자동사로 굳어진 말입니다. 따라서 현대어 '부수다'의 어간에 '-어지다'를 붙여 줄여 쓴 말 '부숴지다'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
0 | '부수다'와 '부서지다'의 차이 | 2019. 12. 6. |
'부수다'와 '부서지다'는 어떻게 다른가요?
|
'부수다'는 '단단한 물체를 여러 조각이 나게 두드려 깨뜨리다', '만들어진 물건을 두드리거나 깨뜨려 못 쓰게 만들다'의 뜻을 나타내는 타동사로서 '(누가) 돌을 부수다'와 같이 쓰입니다. 한편, '부서지다'는 '단단한 물체가 깨어져 여러 조각이 나다', '목재 따위를 짜서 만든 물건이 제대로 쓸 수 없게 헐어지거나 깨어지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자동사로서 '돌이 부서지다'와 같이 쓰입니다.
|
0 | '부딪치다'와 '부딪히다'의 차이 | 2019. 12. 6. |
"바위에 {부딪치는/부딪히는} 파도 소리가 멀리서 들립니다."에서 맞는 표기는 무엇인가요?
|
"바위에 부딪치는 파도 소리가 멀리서 들립니다."와 같이 쓰는 것이 맞는 표기입니다. '부딪치다’는 '무엇과 무엇이 힘 있게 마주 닿거나 마주 대다. 또는 닿거나 대게 하다'의 뜻을 가진 '부딪다'를 강조하는 말이고, ‘부딪히다’는 '부딪다'의 피동사인데, 제시된 문장에서 부딪는(부딪치는) 것은 '파도'이고 부딪히는 것은 '바위'이므로 '바위에 부딪히는 파도'가 아니라 '바위에 부딪치는 파도'로 적는 것이 적절합니다.
|
0 | '뵈옵다'의 활용 | 2019. 12. 6. |
'뵈옵다'는 어떻게 활용하나요?
|
'뵈옵다'는 자음 어미와 어울려 활용합니다. 어간 '뵈-' 뒤에 공손함을 더해 주는 어미 '-옵-'이 붙은 '뵈옵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하여 '뵈옵고', '뵈옵는'과 같이 활용합니다.
|
0 | '순서를 맞추다', '순서를 맞히다'의 표현 | 2019. 12. 6. |
'순서를 {맞추다/맞히다}' 중 어느 게 맞는지요?
|
'순서를 맞추다'가 맞습니다. 순서를 똑바르게 한다는 뜻이라면 '열이나 차례 따위에 똑바르게 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맞추다’를 써 '순서를 맞추다'와 같이 쓰는 것이 알맞습니다.
|
0 | '봐 주다', '봐주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그럭저럭 봐줄 만은 하군.", "누구의 성격에서건 좋은 점만 취해서 그걸 더 좋게 봐준다."에서 '봐주다'는 '보아주다'의 줄임말인 '봐주다'에 해당되는 건가요? 아니면 보조 용언 '주다' 가 쓰인 것인가요?
|
제시하신 문장의 '봐주다'는 본용언 '보다' 뒤에 보조 용언 '-어 주다'가 쓰인 것이므로 '봐 주다'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봐주다'로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합성어 '보아주다(봐주다)'는 '남의 입장을 살펴 이해하거나 잘못을 덮어 주다', '일이 잘되도록 도와주거나 힘이 되어 주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라 제시하신 문장의 맥락에는 맞지 않습니다.
|
0 | '볼거리'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볼거리'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볼거리'의 표준 발음은 [볼꺼리]입니다. ‘볼 만한 거리’를 뜻하는 ‘볼거리’는 '보다'의 활용형 '볼'과 '거리’가 결합한 말인데, 표준발음법 제27항에 따르면 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은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볼꺼리]로 발음합니다. 참고로 ‘유행선 이하선염’을 한방에서 이르는 ‘볼거리’는 [볼거리]가 표준 발음입니다.
|
0 | '본떠'와 '본따'의 표현 | 2019. 12. 6. |
"아라베스크 무늬를 본따 벽지 무늬를 만들었다."라는 문장에서 '본따'는 틀린 단어인가요? '본떠'라고 써야 맞는 것인지요?
|
"아라베스크 무늬를 본떠 벽지 무늬를 만들었다."와 같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이미 있는 대상을 본으로 삼아 그대로 좇아 만들다’의 뜻을 나타내는 동사 ‘본뜨다’는 '본'과 '뜨다'가 결합한 합성어이므로 '뜨다'의 활용과 마찬가지로 '-어'가 결합해 ‘본떠'와 같이 활용합니다.
|
0 | '본격화하다', '본격화되다'의 표현 | 2019. 12. 6. |
경찰 조사가 본격화하다'는 '경찰이 조사를 본격화하다' 혹은 '경찰 조사가 본격화되다'로 고쳐야 하는 거 아닌가요?
|
'경찰 조사가 본격화하다'도 쓸 수 있습니다. ‘본격화’가 ‘본격적으로 함. 또는 본격적이 됨’의 뜻을 나타내므로 '본격화하다’는 ‘무엇을 본격화하다’로는 물론 ‘무엇이 본격화하다’로도 쓸 수 있습니다.
|
0 | '볶음밥'의 로마자표기 | 2019. 12. 6. |
'볶음밥'의 로마자 표기는 무엇인가요?
|
'볶음밥'의 로마자 표기는 ‘bokkeumbap’입니다. 로마자 표기는 그 발음을 기준으로 하는데, ‘볶음밥’은 '볶-+-음+밥'으로 분석되고, 표준발음법 제13항에 따르면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므로 [보끔밥]으로 발음합니다. 이를 로마자로 옮기면, 음운 변동에 따른 된소리되기는 로마자 표기에 반영하지 않지만 본디 된소리는 표기에 반영하므로 로마자표기법 제2장 제2항 1에 따라 'ㄲ'은 'kk'로 옮겨 ‘bokkeumbap’으로 표기하는 것입니다.
|
0 | '볶음밥'과 '비빔밥'의 단어 형성법 | 2019. 12. 6. |
왜 수식 관계가 분명한 '볶은밥', '비빈밥'이 아니고 '볶음밥', '비빔밥'인가요?
|
'볶음'과 '비빔'이 조리 방식이나 그 방식으로 만든 음식을 나타내는 한 단어로 굳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볶음'은 '어떤 재료에 양념을 하여 볶는 조리법. 또는 그렇게 만든 음식'을 뜻하는 말로 올라 있고, '비빔'은 '밥이나 국수 따위에 고기나 나물을 넣고 양념이나 고명을 섞어서 비빈 음식'을 뜻하는 말로 올라 있습니다. 따라서 그런 방식의 밥을 이르는 말을 각각 '볶음밥', '비빔밥'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우리말에서는 '볶은', '비빈'과 같은 용언의 관형사형뿐만 아니라 '볶음', '비빔'과 같은 명사도 체언을 수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볶은 밥'과 '비빈 밥'도 쓸 수는 있지만 이는 음식 종류가 아니라 그런 상태의 밥을 뜻하므로 뜻 차이가 있습니다.
|
0 | '복속하다'와 '복속시키다'의 표현 | 2019. 12. 6. |
"장군은 의용군을 정규군 체계에 복속시켰다."에서 '복속시켰다'를 '복속했다'라고 써야 하나요?
|
"장군은 의용군을 정규군 체계에 복속시켰다."가 맞습니다. ‘복속하다’는 자동사로서 ‘복종하여 붙쫓다’의 뜻을 나타내므로, 사동의 ‘-시키다’를 붙여 ‘복종하여 붙쫓게 하다’의 뜻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제시하신 문장은 장군이 의용군을 정규군 체계에 복속하게 하는 것이므로 사동의 뜻을 나타내는 '복속시키다'를 쓰는 것이 알맞습니다.
|
0 | '보잘것없다', '보잘 것 없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보잘것없다'가 한 단어로 등재되어 있는 것으로 아는데, '보잘것없게 됨을 이른다'를 '보잘것이 없게 됨을 이른다'라고 해도 '보잘것'을 붙여 표기하나요?
|
'보잘 것이 없게 됨을 이른다'와 같이 띄어 씁니다. '보잘것없다'는 한 단어이지만 '보잘것'은 한 단어가 아니므로, '보잘것없게'와 같이 합성어로 다 붙여 쓰는 것이 아니라면 '보잘 것이 없게'와 같이 각 단어별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
0 | '별짓'의 단어 형성법 | 2019. 12. 6. |
'별짓'이 합성어인가요, 파생어인가요?
|
'별짓'은 합성어입니다. ‘별짓’은 '보통과 다르게 두드러지거나 특별한'의 뜻을 나타내는 관형사 '별'과, '몸을 놀려 움직이는 동작'의 뜻을 나타내는 명사 '짓'이 결합한 합성어입니다.
|
0 | '베이스캠프', '베이스 캠프'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영어로는 'basecamp', 'base camp' 둘 다 쓰는 것 같고, 국어사전을 찾으면 '베이스캠프', 영한사전을 찾으면 '베이스 캠프'로 되어 있는데 띄어쓰기를 어떻게 하나요?
|
국어사전에 따라 '베이스캠프'로 붙여 씁니다. 외국군의 주둔 기지 또는 등산이나 탐험을 할 때에 근거지로 삼는 고정 천막을 이르는 외래어 'base camp'는 우리말에서 합성어로 굳어졌으므로 '베이스캠프’로 붙여 적습니다. 외래어의 띄어쓰기는 원칙적으로 원어의 띄어쓰기에 따르나, 우리말에서 한 단어로 굳어진 경우에는 합성어로 붙여 씁니다.
|
0 | '베다'의 피동 표현 | 2019. 12. 6. |
"나는 어제 면도날에 턱을 벴다(베었다).", "나는 어제 면도날에 턱을 베였다(베이었다)." 둘 중에 어느 것이 맞는 문장인가요?
|
"나는 어제 면도날에 턱을 베였다(베이었다)."가 맞는 문장입니다. ‘날이 있는 물건으로 상처를 내다'의 뜻을 나타내는 ‘베다’는 ‘누가 (무엇으로) 무엇을 베다’의 문형으로 쓰이고, ‘베다’의 피동사 ‘베이다’는 ‘누가 무엇에 무엇을 베이다’ 또는 '무엇이 무엇에 베이다'의 문형으로 쓰이는데, 제시하신 문장은 '누가 무엇에 무엇을 베이다'의 문형으로 쓰였으므로 "나는 어제 면도날에 턱을 베였다(베이었다)."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
|
0 | '벌서다'와 '벌쓰다'의 표현 | 2019. 12. 6. |
흔히 '벌서다'라고 쓰는 말이 '벌쓰다'가 맞는다는 데 사실인가요?
|
'벌서다', '벌쓰다' 모두 표준어입니다. '벌서다'는 ‘일정한 곳에서 벌을 받다’의 뜻을 나타내는 표준어이고, '벌쓰다'는 그냥 '벌을 받다'의 뜻을 나타내는 표준어입니다.
|
0 | '번호'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번호'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번호'의 표준 발음은 [번호]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2항에 따르면, 'ㄶ', 'ㅀ' 뒤에 'ㄴ'이 결합되는 경우(않는[안는], 뚫네[뚤레])나 받침 'ㅎ'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낳은[나은], 닳아[다라])에는 'ㅎ'을 발음하지 않습니만, 'ㄴ' 뒤에서 'ㅎ'이 탈락하는 것에 대해서는 규정된 바가 없습니다. 따라서 현실 발음에서 '번호'를 [버노]라 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번호'는 [번호]로 발음하는 것이 맞습니다.
|
0 | 형용사 '벅차다'의 활용 | 2019. 12. 6. |
"그 일은 너의 힘에 벅차는 거였어."에서 '벅차는'이 맞는 활용인가요?
|
"그 일은 너희 힘에 벅찬 거였어."와 같이 활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벅차다'는 '감당하기가 어렵다'의 뜻을 나타내는 형용사이므로,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현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관형사형 어미 '-ㄴ'을 붙여 '벅찬'과 같이 활용합니다.
|
0 | '뱃심'의 쓰임 | 2019. 12. 6. |
"밥을 부실하게 먹었더니 영 뱃심이 없다."라는 문장에서 '뱃심'으로 쓰는 것이 맞는지요?
|
제시된 문장에서 '뱃심'은 적절하지 않으므로 '배 힘'으로 고쳐야 합니다. '뱃심'은 ‘염치나 두려움이 없이 제 고집대로 버티는 힘', '마음속에 다지는 속셈’을 이르는 합성어라 제시된 문장의 맥락에는 맞지 않습니다. 제시된 문장에서는 '배의 힘'을 뜻하는 '배 힘'으로 적는 것이 적절합니다.
|
0 | '백여우'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백여우'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백여우'의 표준 발음은 [뱅녀우]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9항에 따르면 파생어에서,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의 첫음절이 '여'인 경우에는 'ㄴ' 음을 첨가하여 [녀]로 발음하고, 제18항에 따르면 받침 'ㄱ'은 'ㄴ' 앞에서 [ㅇ]으로 발음하므로 '백여우'는 [뱅녀우]로 발음하는 것이 맞습니다.
|
0 | '백만여'와 '백여만'의 차이 | 2019. 12. 6. |
'백만여'와 '백여만' 두 가지 표현 중 어느 것이 맞나요?
|
'백만여', '백여만' 둘 다 맞습니다.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붙어 ‘그 수를 넘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여’를 붙여 ‘백만여’와 ‘백여만’으로 쓸 수 있습니다.
|
0 | 배추를 세는 단위 | 2019. 12. 6. |
배추를 세는 단위는 '통'이 맞나요, '포기'가 맞나요?
|
'통', '포기' 둘 다 맞습니다. '통'은 배추나 박 따위를 세는 단위로 '배추 한 통', '수박 두 통'과 같이 쓰이고, '포기'는 뿌리를 단위로 한 초목의 낱개를 세는 단위로 '배추 한 포기', '풀 두 포기'와 같이 쓰입니다.
|
0 | '배워 먹다', '배워먹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배워 먹지 못한 놈'이라고 할 때 '배워 먹다'의 띄어쓰기는 어떻게 하나요?
|
'배워 먹지 못한 놈'으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고 '배워먹지 못한 놈'으로 붙여 쓰는 것을 허용합니다. 여기서 '먹다'는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강조하는 뜻을 나타내는 보조 동사로서 주로 그 행동이나 그 행동과 관련된 상황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 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연결 어미 '-어'로 결합된 보조 동사는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되 불여 쓰는 것도 허용합니다.
|
0 | '뱃멀미'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국어사전 검색해 보니까 '배멀미'는 없고 '뱃멀미'[밴멀미]가 나오는데 [배멀미]는 잘못된 발음인가요?
|
[배멀미]는 표준 발음이 아닙니다. '배를 탔을 때 어지럽고 메스꺼워 구역질이 나는 일. 또는 그런 증세'를 뜻하는 말은 [밴멀미]로 발음하는 것이 표준 발음입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뒷말의 첫소리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으므로 [밴멀미]를 '뱃멀미'로 적는 것입니다.
|
0 | '밭다', '밭트다'의 표현 | 2019. 12. 6. |
시간이 너무 짧게 뒤이을 때 '시간이 너무 밭트다'라는 말을 쓰는데 맞는 표현인가요?
|
"시간이 너무 밭다."와 같이 표현하는 것이 맞습니다. ‘시간이나 공간이 다붙어 몹시 가깝다’의 뜻을 나타내는 형용사는 ‘밭다’가 표준어입니다.
|
0 | '밭일'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밭일'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밭일'의 표준 발음은 [반닐]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9항에 따르면 합성어에서, 앞 단어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의 첫음절이 '이'인 경우에는 'ㄴ' 음을 첨가하여 [니]로 발음하고, 제18항에 따르면 받침 'ㄷ(ㅌ)'은 'ㄴ' 앞에서 [ㄴ]으로 발음하므로 [반닐]로 발음합니다.
|
0 | '밭사돈'의 단어 형성법 | 2019. 12. 6. |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밭-'을 ‘바깥’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보고, 한글맞춤법 준말 표기에 의하면 '밭사돈'이 '바깥+사돈'의 준말로 되어 있는데, '밭사돈'은 합성어로 봐야 하나요, 파생어로 봐야 하나요?
|
공시적으로 '밭사돈'은 파생어입니다. 현재 '밭-'은 접두사이므로 이 말이 붙어 만들어진 '밭사돈'은 파생어가 맞습니다. 통시적으로 '바깥사돈'이 줄어서 '밭사돈'이 되었다 해도 공시적으로 '밭'이 '바깥'처럼 단독으로 쓰이지도 않고 이미 접사로 굳어졌으므로 '밭사돈'을 파생어로 봅니다.
|
0 | '밤늦게까지', '밤 늦게까지'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초등학교 교과서에 '밤늦게까지'가 나오는데 '밤 늦게까지'가 맞지 않나요?
|
‘밤늦게까지’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밤늦다'는 ‘밤이 깊다’의 뜻을 나타내는 합성어로 ‘밤늦도록', '밤늦게'와 같이 활용합니다. 부사형 '밤늦게'에 '어떤 일이나 상태 따위에 관련되는 범위의 끝임'을 나타내는 보조사 '까지'가 붙어 '밤늦게까지'가 됩니다.
|
0 | '밟지'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밟지'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밟지'의 표준 발음은 [밥ː찌]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0항에 따르면 'ㄼ'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ㄹ]로 발음하지만 예외적으로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하므로 '밟지'는 [밥ː찌]로 발음합니다.
|
0 | '발렸어', '발려 있어'의 차이 | 2019. 12. 6. |
"입술에 립스틱이 잘 발렸어?"에서 '발렸어'는 올바른 표현인가요? '발려 있어'로 고쳐야 하는 거 아닌가요?
|
"입술에 립스틱이 잘 발렸어?"라고 쓸 수 있습니다. ‘발리다’의 어간 ‘발리-’ 뒤에, '이야기하는 시점에서 볼 때 완료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거나 현재에도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 ‘-었-’과, 의문형 어말 어미 ‘-어’를 붙여, '발려 있어'와 유사한 뜻으로 ‘발렸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
0 | '사사받다'의 표현 | 2019. 12. 6. |
'사사받다'는 맞는 표현인가요?
|
'스승으로 삼고 가르침을 받는다'는 뜻으로 쓰는 '사사받다'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사사(師事)'는 '스승으로 섬김 또는 스승으로 삼고 가르침을 받음'의 뜻을 나타내므로, '스승으로 섬기다. 또는 스승으로 삼고 가르침을 받다'를 뜻하는 말은 '사사' 뒤에 동사를 만드는 '-하다'를 붙여 '사사하다'와 같이 씁니다. '-받다'는 '피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라 '사사하다'와 같은 뜻으로 '사사받다'를 쓰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
0 | '같은 일을 반복하다'의 표현 | 2019. 12. 6. |
'반복'의 뜻이 '같은 일을 반복하다'인데, '같은 일을 반복하다'라는 문장은 의미가 중복된 표현이 아닌가요?
|
‘같은 일을 반복하다’는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반복하다’는 ‘같은 일을 되풀이하다’와 같이 뜻풀이가 되어 있지만 여기서 뜻의 핵심은 '되풀이하다'이고 '같은 일을'은 이와 전형적으로 어울리는 목적어를 함께 제시한 것일 뿐이므로 '같은 일을 반복하다'를 의미 중복으로 보지는 않습니다.
|
0 | '자음밖에', '자음 밖에'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밖'은 명사라 앞 단어와 띄어 써야 될 거 같은데 어째서 '자음밖에 없다'의 '밖에'는 붙여 쓰나요?
|
'자음밖에 없다'의 '밖에'는 보조사이기 때문입니다. '밖'은 ‘일정한 한도나 범위에 들지 않는 나머지 다른 부분이나 일’을 뜻하는 명사이므로 "자음 밖에도 여러 글자가 있다."와 같이 띄어 씁니다. 그런데 '밖에'가 뒤에 부정을 나타내는 말과 어울려 ‘그것 말고는’의 뜻을 나타낼 때에는 보조사이므로 "자음밖에 없다."와 같이 앞말에 붙여 쓰는 것입니다.
|
0 | '이 밖에'와 '이 밖의'의 표현 | 2019. 12. 6. |
"이 밖의 지역에서는 공장을 세울 수 없다."에서 '이 밖의'는 '이 밖에'로 쓰면 틀리나요?
|
맥락상 '이 밖의'는 '이 밖에'로 쓸 수 없습니다. 제시하신 문장에서 '이 밖의'는 바로 뒤에 놓인 명사 '지역'을 꾸미고 있으므로 이를 '이 밖에'로 고치면 잘못된 문장이 됩니다.
|
0 | '밖에'와 '뿐'의 차이 | 2019. 12. 6. |
"내가 사랑할 사람은 오직 너밖에 없다."를 "내가 사랑할 사람은 오직 너뿐이 없다."로 쓰면 틀리나요?
|
"내가 사랑할 사람은 오직 너뿐이 없다."는 자연스럽지 못한 표현입니다. 제시된 문장에서는 부정을 나타내는 말 '없다'가 있으므로 부정어와 호응하여 ‘그것 말고는’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 ‘밖에’를 써서 "내가 사랑할 사람은 오직 너밖에 없다."처럼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그것만이고 더는 없음'을 뜻하는 조사 '뿐'을 쓴다면 뒤에 부정을 나타내는 말이 필요없으므로 "내가 사랑할 사람은 오직 너뿐이다."처럼 씁니다.
|
0 | '박해하다'의 피동 표현 | 2019. 12. 6. |
'박해하다'의 피동은 '박해받다'가 맞나요, '박해되다'가 맞나요?
|
주로 '박해받다'를 씁니다. ‘박해하다’에 대응되는 피동의 동사로 '못살게 괴롭힘을 당해서 해를 입다'를 뜻하는 '박해되다'가 올림말로 올라 있고, '못살게 굴어서 해롭게 함'을 뜻하는 '박해'에, 피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받다'를 붙여 '박해받다'로 쓸 수도 있습니다만, 현실적으로는 '박해를 받다'의 쓰임 때문인지 '박해받다'가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
0 | '바랐어요', '바랬어요'의 표현 | 2019. 12. 6. |
책을 읽다 보니 '바랐어요'로 쓰여 있던데, '바랐어요'가 맞나요?
|
'바랐어요'가 맞습니다. ‘생각이나 바람대로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루어지거나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표준어는 ‘바라다’이고, 그 어간 '바라-'에 어미 ‘-았-’과 ‘-어', 보조사 '요'가 붙어 줄어든 대로 '바랐어요'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
0 | '바닷속'과 '바다 속'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초등 교과서에 '바닷속에서'라는 말이 있던데 '바닷속'이 맞는 건가요?
|
‘바닷속’과 같이 쓰는 것이 맞습니다. '바닷속'은 '바다의 속'을 뜻하는 합성어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 초판에서는 한 단어가 아니었으나 추후에 그 쓰임이 인정되어 합성어로 등재되었습니다.
|
0 | '바다님'과 '바닷님'의 표기 | 2019. 12. 6. |
'바다'와 '-님'이 결합하면 사이시옷을 써야 하나요?
|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고 '바다님'으로 씁니다. '바다님'은 '바다'에, 사람이 아닌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 대상을 인격화하여 높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님'이 결합한 파생어이므로, 합성어의 소리 변화를 나타내는 사이시옷을 붙이어 적지 않습니다.
|
0 | '미안해하다', '미안해 하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미안해하다', '미안해 하다'는 어떻게 띄어 쓰나요?
|
'미안해하다'와 같이 붙여 적습니다. 보조 동사 '하다'는 형용사 뒤에서 ‘-어하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대상에 대한 느낌을 가짐'을 나타내므로, 사전 등재 여부와 상관없이 앞말에 붙여 씁니다. 따라서 '미안해하다'는 사전에 없지만 형용사 '미안하다'의 어간에 '-어하다'를 붙여 미안한 느낌을 가짐을 나타내는 말이므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
0 | '미끄러지다'의 단어 형성법 | 2019. 12. 6. |
'미끄러지다'를 '미끄럽다'의 피동형으로 보는 경우가 있던데, 옳은 건지요?
|
'미끄러지다'는 '미끄럽다'의 피동 표현이 아닙니다. '미끄럽다' 에 '-어지다'가 결합하면 '미끄러워지다'가 되지 '미끄러지다'가 되지는 않으므로 '미끄러지다'를 '미끄럽다'의 피동 표현으로 볼 수가 없습니다.
|
0 | '미채택', '불채택'의 차이 | 2019. 12. 6. |
'채택' 앞에 접사를 붙일 경우 '미채택'으로 써야 하나요, '불채택'으로 써야 하나요?
|
아직 채택이 되지 않았다는 뜻이라면 '미채택', 채택을 하지 않았다는 뜻이라면 '불채택'으로 씁니다. ‘미(未)-’는 ‘그것이 아직 되지 않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이고, ‘불(不)-’은 ‘아니함’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이므로 나타내고자 하는 뜻에 따라 '미채택', '불채택'을 쓸 수 있습니다.
|
0 | '뭔데'와?'뭔대'의 표현 | 2019. 12. 6. |
"그게 뭔데?", "그게 뭔대?" 중 어느 말이 어법에 맞나요?
|
"그게 뭔데?"가 어법에 맞습니다. 여기서 '뭔데'는 '뭐'에 '이-'와,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 따위 뒤에 붙어 의문사와 함께 '일정한 대답을 요구하며 물어보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ㄴ데'가 결합한 말입니다. 한편 '-ㄴ대'는 받침 없는 동사 어간, ‘ㄹ’ 받침인 동사 어간 뒤에 붙어 '주어진 사실에 대한 의문(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이거나 '-ㄴ다고 해'가 줄어든 말이므로 '이다' 뒤에는 쓸 수가 없습니다.
|
0 | '뭐하다'와 '뭐 하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지금 뭐 하고 있어?"에서는 '뭐 하고'를 띄어 쓰는데, "어서 가지 않고 뭐 해?"의 '뭐 해'도 띄어 써야 하나요?
|
"어서 가지 않고 뭐 해?"와 같이 띄어 씁니다. 무엇을 하는지 물을 때 쓰는 '뭐 하다'는 띄어 쓰는데, "어서 가지 않고 뭐 해?"의 '뭐 해'도 무엇을 하는지 묻고 있으므로 띄어서 씁니다. 참고로, 내키지 않거나 무안한 느낌을 알맞게 형용하기 어렵거나 그것을 표현할 말이 생각나지 않을 때 암시적으로 둘러서 쓰는 형용사 '뭐하다'는 합성어로 붙여 씁니다.
|
0 | '무얼', '무엇을'의 표기 | 2019. 12. 6. |
"어둠침침한 곳에서 무얼 하고 있니?"라는 문장에서 '무얼' 대신에 '무엇을'을 쓸 수 있는지요?
|
'무얼' 대신에 '무엇을'을 쓸 수 있습니다. ‘무얼’은 ‘무엇을’이 줄어든 말이므로 '무얼' 대신 '무엇을'을 넣어 "어두침침한 곳에서 무엇을 하고 있니?"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
0 | '못 잊다'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값있다'는 [가빋따]로 발음하는데 '못 잊다'는 왜 [몬닏따]로 발음하죠?
|
'값있다'는 'ㄴ' 첨가가 일어나지 않았고 '못 잊다'는 'ㄴ' 첨가가 일어났기 때문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9항 [붙임 2]에 따르면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앞 단어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의 첫음절이 '이'인 경우 'ㄴ' 소리를 첨가하여 [니]로 발음하므로, ‘못 잊다’를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는 ‘ㄴ’이 첨가되어 [몬닏따]로 발음할 수 있습니다. 반면, '값있다'는 합성어로서 'ㄴ' 첨가 조건이 되나 예외적으로 'ㄴ' 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라 'ㄴ'이 첨가되지 않고 [가빋따]로 발음하는 것입니다.
|
0 | '모르는 척하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모르는 척하다'는 본용언과 보조 용언 구성으로 붙여 쓰거나 띄어 쓸 수 있는 거죠?
|
'모르는 척하다'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모르는척하다'로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본용언의 관형사형 뒤에 쓰이는 보조 용언은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
0 | '모둠'과 '모듬'의 표현 | 2019. 12. 6. |
'모둠'과 '모듬'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
'모둠'이 표준어입니다. 현재 '모둠'은 '초ㆍ중등학교에서, 효율적인 학습을 위하여 학생들을 작은 규모로 묶은 모임'을 뜻하는 말로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고, '모듬'은 '모임'의 비표준어로 올라 있습니다. 참고로, 복합형은 굳어진 대로 '모둠꽃밭', '모둠냄비', '모둠발', '모둠밥'과 '모듬걸이', '모듬날', '모듬연장'이 표준어로 있습니다.
|
0 | '몇째', '몇 째'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집에서 몇째예요'에서 '몇째'는 한 단어인가요?
|
'몇째'는 사전에 올라 있지는 않지만 한 단어입니다. 잘 모르는 수를 물을 때 쓰는 수사 '몇'에, ‘차례’나 ‘등급’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째'를 붙인 말입니다. 참고로 '-째'와 같이 생산적인 접미사가 붙은 말은 매우 많기 때문에 다 사전에 오르지는 않습니다.
|
0 | '몇 번', '몇번'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몇번'인가요, '몇 번'인가요?
|
'몇 번'으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3항에 따르면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쓰므로 관형사 ‘몇’과 단위 명사 ‘번’은 ‘몇 번’과 같이 띄어 씁니다.
|
0 | '몇백', '몇 백'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몇백/몇 백' 중 어느 것이 맞나요?
|
의문문에 쓰일 때에는 '몇 백', 의문문이 아닐 때에는 '몇백'으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 ‘몇’은 '의문'의 뜻을 나타내기도 하고 ‘얼마 되지 않는 수’의 뜻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의문문에서 잘 모르는 수를 물어볼 때에는 의문 관형사로서 ‘몇 백’과 같이 띄어 쓰고, ‘얼마 되지 않는 수’의 뜻으로 쓰일 때에는 수사로서 ‘몇백’과 같이 붙여 씁니다. 한글맞춤법 제44항에 따르면 수를 적을 때에는 만 단위로 띄어 쓰므로 만 아래 단위인 '몇백'은 붙여 쓰는 것입니다.
|
0 | '며느릿감', '사윗감'의 단어 형성 | 2019. 12. 6. |
며느릿감', '사윗감'의 단어 형성은 어떻게 되나요? 여기서 '감'은 접미사인 듯한데 'ㅅ'은 왜 생겼는지요?
|
‘며느릿감', '사윗감’은 합성어입니다. 여기서 ‘감’은 접사가 아니라,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자격을 갖춘 사람’의 뜻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며느리’와 ‘감’, ‘사위’와 ‘감’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에서 '감'이 [깜]으로 소리 나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며느릿감', '사윗감’으로 적은 것입니다.
|
0 | '메스껍다'와 '매스껍다'의 표현 | 2019. 12. 6. |
'메스껍다'와 '매스껍다'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
둘 다 표준어입니다. '매스껍다'는 '먹은 것이 되넘어 올 것같이 속이 울렁거리는 느낌이 있다', '태도나 행동 따위가 비위에 거슬리게 아니꼽다'의 뜻을 나타내는 작은말이고, '메스껍다'는 '먹은 것이 되넘어 올 것같이 속이 몹시 울렁거리는 느낌이 있다', '태도나 행동 따위가 비위에 거슬리게 몹시 아니꼽다'의 뜻을 나타내는 큰말입니다.
|
0 | '메모리 카드', '메모리카드'의 띄어쓰기 | 2019. 12. 6. |
'memory card'는 '메모리 카드'로 띄어 쓰나요, '메모리카드'로 붙여 쓰나요?
|
전문어로서 '메모리 카드'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메모리카드'로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한글맞춤법 제50항에 따르면 전문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으므로 "우리말샘"에 통신 전문어로 올라 있는 '메모리 카드'는 단어별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메모리카드'로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외래어표기법 제3장 제1절 제10항에 따르면 원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쓴 대로 한글 표기를 하되,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
0 | '메꽃', '메밀'의 단어 형성 | 2019. 12. 6. |
'메꽃'과 '메밀'의 '메'는 '메벼', '메조'의 '메-'와 같은 의미인가요?
|
'메꽃', '메밀'의 '메'는 '메벼', '메조'의 '메-'와 다른 말입니다. ‘메꽃’의 ‘메’는 식물명이고, ‘메밀’의 ‘메’는 ‘뫼’에서 비롯된 말로 모두 어근입니다. 한편, '메벼', '메조'의 '메-'는 곡식을 나타내는 몇몇 명사 앞에 붙어 ‘찰기가 없이 메진’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입니다.
|
0 | '멀다'의 명사형 | 2019. 12. 6. |
'멀다'의 명사형은 '멈', '멂', '멀음' 중 어느 것이 바른가요?
|
‘멀다’의 명사형은 ‘멂’이 바릅니다. ‘멀다’의 어간 '멀-' 뒤에는,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 '-ㅁ'이 결합하므로 '멂’과 같이 활용합니다. 참고로, '멀다'의 어간 받침은 ‘ㄴ, ㅂ,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어미 ‘-오, -ㄹ’ 앞에서 탈락하나 'ㅁ' 앞에서는 탈락하지 않으므로 '멈'으로 활용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멀다'는 어간이 받침으로 끝났지만 여느 받침으로 끝난 어간처럼 명사형 어미 '-음'이 붙는 것이 아니라 '-ㅁ'이 결합하므로 '멀음'으로 활용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