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named: 0
int64 0
0
| 제목
stringlengths 6
35
| 등록일
stringclasses 2
values | 질문
stringlengths 34
269
| 답변
stringlengths 63
545
|
---|---|---|---|---|
0 | '멀뿐더러'의 띄어쓰기 | 2019. 12. 6. |
"거리도 {멀뿐더러/멀 뿐더러} 교통편도 좋지 않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
"거리도 멀뿐더러 교통편도 좋지 않다."와 같이 붙여 적습니다. ‘멀뿐더러’는 '멀다'의 어간 ‘멀-’ 뒤에, 어떤 일이 그것만으로 그치지 않고 나아가 다른 일이 더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ㄹ뿐더러’가 결합한 활용형이므로 '멀뿐더러'와 같이 붙여 씁니다.
|
0 | '먹장어'와 '곰장어'의 표현 | 2019. 12. 6. |
'먹장어'와 '곰장어'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
둘 다 표준어입니다. '먹장어'는 '꾀장어과의 바닷물고기'를 뜻하는 동물 전문어이고, '곰장어'는 ‘먹장어’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로 둘 다 표준어입니다. 다만, '곰장어'가 '갯장어'를 이르는 경우에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
0 | '먹을 만하게'의 띄어쓰기 | 2019. 12. 6. |
"감자가 {먹을 만하게/먹을만하게} 잘 익었다."는 둘 다 가능한가요?
|
"감자가 먹을 만하게 잘 익었다.", "감자가 먹을만하게 잘 익었다." 모두 쓸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만하다'는 용언 뒤에서 ‘-을 만하다’ 구성으로 쓰여 '어떤 대상이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할 타당한 이유를 가질 정도로 가치가 있음'을 나타내는 보조 형용사인데,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용언의 관형사형 뒤의 보조 용언은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되므로 '먹을 만하게'로 띄어 쓸 수도 '먹을만하게'로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
0 | '머무실'과 '머무르실'의 표현 | 2019. 12. 6. |
"여기에 머무실 수 있습니다."에서 '머무실'은 '머무르실'로 바꾸어야 하나요?
|
'머무실', '머무르실'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머무실'은 준말 '머물다'의 어간 '머물-'에, ‘이다’의 어간이나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주체 존대를 나타내는 '-시-'가 결합하면서 어간 받침 'ㄹ'이 '시' 앞에서 탈락하고 뒤에 관형사형 어미 '-ㄹ'이 결합한 말이고, '머무르실'은 본말 '머무르다'의 어간 '머무르-'에 주체 존대의 '-시-'와 관형사형 어미 '-ㄹ'이 결합한 말입니다. '머물다'는 모음 어미 앞에서 활용 제약이 있는 준말이지만, '머물-' 뒤에는 여느 받침으로 끝난 어간처럼 '-으시-'가 붙는 게 아니라 모음으로 끝난 어간과 마찬가지로 '-시-'가 붙으므로 '머무실', '머무르실' 모두 쓸 수 있는 것입니다.
|
0 | '머리숱이'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머리숱이'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머리숱이’의 표준 발음은 [머리수치]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7항에 따르면, 받침 'ㅌ'이 조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ㅊ]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므로, '머리숱이'는 [머리수치]로 발음합니다.
|
0 | '머리말'과 '머릿돌'의 차이 | 2019. 12. 6. |
'머리말'과 '머릿돌'은 구성이 비슷한데 왜 '머리말'은 사이시옷이 없고, 머릿돌은 사이시옷이 있나요?
|
'머리말'은 사잇소리현상이 안 일어나고 '머릿돌'은 사잇소리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데, '머리말'은 [머리말]로 발음되어 뒷말의 첫소리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지 않으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는 것이고, '머릿돌'은 [머리똘/머릳똘]로 발음되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것입니다.
|
0 | '맵다'의 활용 | 2019. 12. 6. |
'맵냐고'와 '매우냐고'는 어느 것이 바른 표현인가요?
|
'맵냐고', '매우냐고'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형용사 '맵다'의 어간 '맵-' 뒤에는,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간접 인용절에 쓰이는 ‘-냐고'가 결합할 수도 있고,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간접 인용절에 쓰이는 '-으냐고'가 결합할 수도 있으므로 '맵냐고', '매우냐고'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맵다'는 'ㅂ' 불규칙 용언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으냐고'가 오면 불규칙 활용을 해 '매우냐고'로 활용합니다.
|
0 | '맞은 문항', '맞힌 문항'의 표현 | 2019. 12. 6. |
'맞은 문항', '맞힌 문항' 중 어느 것이 맞나요?
|
'맞은 문항', '맞힌 문항' 모두 맞습니다. '(답이) 맞은 문항'으로도 쓸 수 있고, '(내가 답을) 맞힌 문항'의 구조로도 쓸 수 있으므로 '맞은 문항', '맞힌 문항' 모두 쓸 수 있습니다.
|
0 | '맛 좋은', '맛좋은'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맛 좋은', '맛좋은'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
'맛(이) 좋은'으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맛있다’와 ‘맛없다’는 하나의 단어이지만, ‘맛 좋다’는 한 단어가 아니므로 띄어 씁니다.
|
0 | '말달리다', '말(을) 달리다'의 차이 | 2019. 12. 6. |
합성어 '말달리다', '큰코다치다'를 각각 '말을 달리다', '큰 코를 다치다'로 쓸 수 있나요?
|
'합성어 '말달리다'를 '말을 달리다'로 쓸 수는 없습니다. '말달리다'는 합성어로서 새로운 뜻이 형성되어 붙여 쓰는 것이므로 이를 구로 쓰게 되면 합성어 뜻은 사라지고 구의 뜻이 됩니다. ‘말달리다’는 ‘말을 타고 몰거나 달리다’의 뜻을 나타내지만, '말을 달리다'는 '말을 빨리 뛰어가게 하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
0 | '마(요)', '말아(요)'의 표현 | 2019. 12. 6. |
'말아'는 '마'로, '말아요'는 '마요'로 준 대로만 써야 하나요?
|
'마(요)'와 '말아(요)' 모두 쓸 수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18항에 따르면, 용언의 어미가 바뀔 때 어간의 끝 'ㄹ'이 줄어질 적에는 줄어지는 대로 적는데 '-지 마라', '-지 마'와 같은 말에서도 'ㄹ'이 준 대로 적으므로, '말아(요)'가 '마(요)'로 준 대로만 적도록 했습니다만, 2015년 심의를 거쳐 'ㄹ'이 줄지 않은 '말아(요)'의 쓰임도 인정되었습니다. 따라서 준말 '마(요)'는 물론 본말 '말아(요)'도 쓸 수 있습니다.
|
0 | '많이'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많이'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많이'의 표준 발음은 [마ː니]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4항에 따르면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와 결합되면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지만, 제12항에 따르면, 'ㅎ(ㄶ, ㅀ)' 뒤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ㅎ'을 발음하지 않으므로 '많다'의 어간 '많-'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많이'는 [마ː니]로 발음합니다.
|
0 | '만'의 품사 | 2019. 12. 6. |
'마칠 때까지만'에서 '만'은 의존 명사인가요, 한정의 의미를 갖는 보조사인가요?
|
'마칠 때까지만'의 '만'은 보조사입니다. 여기서 ‘만’은 화자가 기대하는 마지막 선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므로, '마칠 때까지만'과 같이 앞말에 붙여 적습니다. 참고로, 의존 명사 ‘만’은 동안이 얼마간 계속되었음을 나타내는 말로 ‘십 년 만의 귀국', '두 시간 만에 떠나다'와 같이 쓰입니다.
|
0 | '의존 명사 '만'과 조사 '만'의 구분 | 2019. 12. 6. |
'의존 명사 '만'과 보조사 '만'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
의미에 따라 구분합니다. 의존 명사 '만'은 ‘앞말이 가리키는 동안이나 거리’나 '앞말이 가리키는 횟수를 끝으로'를 나타내는 말로 '십 년 만의 귀국', '세 번 만에 합격하다'와 같이 앞말과 띄어 씁니다. 보조사 '만'은 '다른 것으로부터 제한하여 어느 것을 한정함'(종일 잠만 자다)이나 '화자가 기대하는 마지막 선'(사과 하나만 먹었으면)이나 ‘하다’, ‘못하다’와 함께 쓰여 '앞말이 나타내는 대상이나 내용 정도에 달함'(집채만 하다)이나 ‘-어도, -으면’의 앞에 쓰여 '어떤 것이 이루어지거나 어떤 상태가 되기 위한 조건'(눈만 감으면 잔다)을 나타내는 말로 앞말과 붙여 씁니다.
|
0 | '막바로'의 방언 지역 | 2019. 12. 6. |
'막바로'는 표준어가 아닌가요? 방언이라면, 어느 지방의 방언인지요?
|
'막바로'는 '곧바로'의 경남 방언입니다. "우리말샘"에 '막바로'가 '곧바로'의 경남 방언으로 올라 있습니다.
|
0 | '마시다'의 사동 표현 | 2019. 12. 6. |
'마시다'의 사동 표현은 '마시우다'인가요, '마시게 하다'인가요?
|
'마시다'의 사동 표현은 '마시게 하다'입니다. 사동, 피동 접미사는 생산적인 접사가 아니라 '마시다'에 임의로 사동 접사를 붙여 '마시우다'로 만들어 쓸 수 없습니다. 사동사가 없는 경우의 사동 표현은 통사적 사동 표현 '-게 하다'를 써 '마시게 하다'로 표현합니다.
|
0 | '마라'와 '말아라'의 표현 | 2019. 12. 6. |
'하지 마라', '하지 말아라' 뭐가 맞는 건가요?
|
'하지 마라', '하지 말아라' 둘 다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18항에 따르면, 용언의 어미가 바뀔 때 어간의 끝 'ㄹ'이 줄어질 적에는 줄어지는 대로 적는데 '-지 마라', '-지 마'와 같은 말에서도 'ㄹ'이 준 대로 적으므로, '말아라'가 '마라'로 준 대로만 적도록 했습니다만, 2015년 심의를 거쳐 'ㄹ'이 줄지 않은 '말아라'의 쓰임도 인정되었습니다. 따라서 준말 '하지 마라'는 물론 본말 '하지 말아라'도 쓸 수 있습니다.
|
0 | 'mania'의 외래어 표기 | 2019. 12. 6. |
'mania'는 통상 '매니아'라고 하는데, 외래어표기법에 따르면 '마니아'라고 하네요. 맞는 말인가요?
|
'mania'의 외래어 표기는 ‘마니아’가 맞습니다. 'mania'는 이미 오래전부터 '마니아'로 굳어져 써 왔기에 그 관용을 존중한 표기입니다.
|
0 | '마냥'과 '처럼'의 표현 | 2019. 12. 6. |
'마냥'이 비표준어라는데, 그러면 '처럼'으로 써야 하나요?
|
조사 '마냥'은 '처럼'의 비표준어이므로 '처럼'으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
|
0 | 이름 '기룡', '기용'의 표기 | 2019. 12. 6. |
한자 '龍' 자가 쓰인 이름 '기룡', '기용'은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
'기룡'이 맞춤법에 맞는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11항에 따르면, 한자음 '료'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요'로 적습니다만,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습니다. 따라서, 이름의 두 번째 글자로 쓰인 '龍'은 본음 '룡'으로 적어 '기룡'과 같이 쓰는 것이 맞춤법에 맞습니다.
|
0 | '로서', '로써'의 차이 | 2019. 12. 6. |
"서울은 대한민국의 중심지{로서/로써}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에서 '로서', '로써'의 바른 표현은 무엇인가요?
|
"서울은 대한민국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가 맞습니다. '서울'과 '대한민국의 중심지'가 동격이라 제시하신 문장에서는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는 격 조사 ‘로서’를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
0 | '갈비탕'의 로마자 표기 | 2019. 12. 6. |
'갈비탕'이 'Galbitang'과 같이 첫 글자가 대문자로 쓰여 있는데 맞나요?
|
로마자표기법에 따르면, ‘갈비탕'은 'galbitang'과 같이 첫 글자를 소문자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로마자표기법 제3장 제3항에 따르면 고유명사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지만, '갈비탕'은 고유 명사가 아니므로 '갈비탕'의 로마자 표기 첫 글자는 'galbitang'과 같이 소문자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한식명의 영어 표기 및 번역 지침에 따르면 표제어로 사용되는 한식명은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합니다.
|
0 | '라던지'와 '라든지'의 표기 | 2019. 12. 6. |
`라던지`와 `라든지` 중 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
|
'라든지'가 맞는 표기입니다. '라든지'는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상관없는 사물들을 열거할 때 쓰는 조사로서, 꼭 그것이 아니라 그러한 따위의 것들을 가리킨다는 뜻이 있습니다.
|
0 | '내려 주라'와 '내려 줘라'의 표현 | 2019. 12. 6. |
아들에게 "(나를) 내려 주라."와 "(다른 사람을) 내려 줘라."로 말하는 게 맞나요?
|
"(나를) 내려 다오.", "(다른 사람을) 내려 줘라[주어라]."로 말하는 것이 맞습니다. 상대에게 나에게 무엇을 하도록 요구하는 경우에는 해라체와 하라체 보충법으로 '주다' 대신 '달다'를 써 '다오', '달라'를 씁니다. 한편, '주라'는 간접 인용에 쓰여 "아까 (다른 사람을) 내려 주라고 했잖아."와 같이 쓰이므로 대화에서 직접 명령으로 쓸 수가 없습니다.
|
0 | '뜨이다'와 '띄우다'의 준말 | 2019. 12. 6. |
한글맞춤법 제38항을 보면 'ㅏ, ㅗ, ㅜ, ㅡ' 뒤에 '-이어'가 어울려 줄어질 적에는 준대로 적는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그 예들을 보면 다른 말들은 각각 두 가지 준말이 나와 있는데, 왜 '뜨이어'의 경우에는 '띄어' 한 가지만 나와 있나요?
|
규정상의 오류입니다. '띄다'는 피동사 '뜨이다'의 준말로도 있고, 사동사 '띄우다'의 준말로도 있는데 제38항에서는 '띄우다'의 준말 '띄다'로 착각해 '뜨여'를 제시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피동사 '뜨이다'의 준말 '띄다'라면 당연히 '띄어', '뜨여'(뜨이어) 모두 쓸 수 있습니다.
|
0 | '배가 뜨고 내리다'의 표현 | 2019. 12. 6. |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 "슬기로운 생활" 교사용 지도서에 '배가 뜨고 내리다'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맞는 표현인가요?
|
'배가 뜨고 내리다'는 부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주어 '배가'와 '물에 뜨다'의 뜻을 나타내는 서술어 '뜨다'는 자연스럽게 이어지나, '배가'와 서술어 '내리다'는 잘 연결되지 않습니다. '내리다'는 '타고 있던 물체에서 밖으로 나와 어떤 지점에 이르다', '비행기 따위가 지상에 도달하여 멈추다', '탈것에서 밖이나 땅으로 옮아가다', '위에 올려져 있는 물건을 아래로 옮기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나 '배'를 주어로 하지는 않습니다.
|
0 | '똑같은', '똑 같은'의?띄어쓰기 | 2019. 12. 6. |
'똑같은', '똑 같은'의?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
'똑같은'으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똑같다'는 '모양, 성질, 분량 따위가 조금도 다른 데가 없다', '모양, 태도, 행동 따위가 아주 비슷하게 닮다', '새롭거나 특별한 것이 없다'의 뜻을 나타내는 합성어이므로 붙여 씁니다.
|
0 | '피동사 '떼이다'의 문형 | 2019. 12. 6. |
'떼이다'는 피동사인데 어째서 "나는 얼마 전에 동생한테 빌려준 5천 원을 떼이고 말았다."와 같이 목적어가 붙나요? 모든 피동사는 자동사 아닌가요?
|
피동사는 대부분 자동사이나 목적어를 가지는 타동사도 있습니다. '떼다'는 '남에게서 빌려 온 돈 따위를 돌려주지 않다'의 뜻으로 "동생이 나에게서 5천 원을 뗐다."와 같이 쓰이고, 피동사 ‘떼이다’는 '남에게 빌려준 돈 따위를 돌려받지 못하게 되다'의 뜻으로 "나는 동생에게 5천 원을 떼였다."와 같이 쓰여 여전히 목적어를 가집니다.
|
0 | '떠밀려 가다', '떠밀려가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떠밀려 가다', '떠밀려가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
'떠밀려 가다'와 같이 띄어 적는 것이 맞습니다. 합성 동사가 아니고, '떠밀리다'에 동사 '가다'가 이어진 구 구성이므로 '떠밀려 가다'와 같이 띄어 씁니다.
|
0 | '땜에', '때메'의 표기 | 2019. 12. 6. |
'땜에', '때메' 중 어떤 것이 맞는지요?
|
'땜에'가 맞습니다. '때문'의 준말 '땜'에, 앞말이 원인의 부사어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에'가 붙은 말이므로 형태를 밝혀 '땜에'로 적습니다.
|
0 | '갈 때까지'와 '갈 데까지'의 표기 | 2019. 12. 6. |
'갈 때까지 가다'가 맞나요, '갈 데까지 가다'가 맞나요?
|
'갈 데까지 가다'가 맞습니다. 흔히 쓰는 '도달할 수 있는 가장 극단의 상태나 상황이 되다'의 뜻을 나타내는 관용구는 '갈 데까지 가다'가 맞습니다. 여기서 '데'는 ‘곳, 장소’의 뜻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입니다.
|
0 | '어릴 때'와 '어렸을 때'의 표현 | 2019. 12. 6. |
'어릴 때'와 '어렸을 때' 어느 쪽이 맞는 표현인가요? '목이 마를 때', '배가 고플 때'를 각각 '목이 말랐을 때', '배가 고팠을 때'로 고쳐야 하나요?
|
'어릴 때', '어렸을 때' 모두 쓸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로 고쳐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어릴 때', '마를 때', '고플 때'의 '-ㄹ'은 특정한 시제의 의미가 없이,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이고, '어렸을 때', '말랐을 때', '고팠을 때'의 '-었을/-았을'은 거기에 어떤 일이 과거에 실현되었음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었-/-았-'이 더 추가된 말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어린 시절을 나타내고자 할 때에는 '어릴 때'를 쓰고, 그 시절이 과거임을 분명히 하고자 할 때에는 '어렸을 때'를 씁니다.
|
0 | '절다'의 활용 | 2019. 12. 6. |
'땀에?{전/절은}' 중 어느 것이 맞나요?
|
‘땀에 전’이 맞습니다. '절다'의 어간 뒤에는, 받침 없는 동사 어간, ‘ㄹ’ 받침인 동사 어간 뒤에 붙어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사건이나 행위가 완료되어 그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어미 '-ㄴ'이 결합하고, '절다'와 같이 어간이 'ㄹ'로 끝나는 말은 ‘ㄴ, ㅂ,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어미 ‘-오, -ㄹ’ 앞에서 'ㄹ'이 탈락하므로 어미 '-ㄴ' 앞에서는 어간 받침의 'ㄹ'이 탈락하여 '전'으로 적습니다.
|
0 | '딱따구리', '딱다구리'의 표기 | 2019. 12. 6. |
'ㄱ', 'ㅂ'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된소리로 적지 않는다고 알고 있는데, 왜 '딱따구리'로 적나요?
|
'딱따구리'는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13항에 따르면, 한 단어 안에서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면 같은 글자로 적도록 하고 있습니다. '딱따구리'는 이 조항에 따라 된소리로 적는 것입니다.
|
0 | '등하교', '등·하교'의 표기 | 2019. 12. 6. |
'등하교'가 맞는 말인가요, '등ㆍ하교'가 맞는 말인가요?
|
'등하교'가 한 단어로 있으므로 굳이 '등ㆍ하교'로 쓸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말샘"에 '등하교'가 '등교와 하교를 아울러 이르는 말'로 올라 있습니다.
|
0 | '등받이', '등 받침'의 표현 | 2019. 12. 6. |
'등받이'와 '등 받침' 중 표준어는 어느 것인가요?
|
'등받이'입니다. '등받이'는 ‘의자에 앉을 때 등이 닿는 부분’을 뜻하는 표준어입니다. '등 받침'은 한 단어가 아닌 구로서 쓸 수 없는 것은 아니나, 단어 '등받이'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0 | '의존 명사 '등'의 쓰임 | 2019. 12. 6. |
쌀, 보리 등의 곡식'은 가능한데 '쌀 등의 곡식'도 가능한지요?
|
'쌀 등의 곡식'도 쓸 수 있습니다. '등'은 '그 밖에도 같은 종류의 것이 더 있음'을 나타내는 말이므로 앞에 열거되는 말이 반드시 복수여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
0 | '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물고기와 {곤충 들/곤충들}을 건져 냈어요."에서 '들'은 띄어 써나요, 붙여 쓰나요?
|
나타내고자 하는 뜻에 따라 다릅니다. 물고기, 곤충 모두를 가리키거나 그것과 같은 종류의 것이 더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의존 명사로서 "물고기와 곤충 들을 건져 냈어요."와 같이 띄어 쓰고, 곤충이 한 마리가 아니라 복수임을 나타내거나 물고기와 곤충이 한 마리씩이 아니라 복수로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접미사로서 "물고기와 곤충들을 건져 냈어요."와 같이 씁니다.
|
0 | '걸어서든지', '달려서든지'의 표현 | 2019. 12. 6. |
조사 '든지'의 예문 중에 "걸어서든지 달려서든지 제시간에만 오너라."가 맞는 용례인가요?
|
"걸어서든지 달려서든지 제시간에만 오너라."는 맞는 용례입니다. 조사 '든지'는 받침 없는 체언이나 부사어, 또는 종결 어미 ‘-다, -ㄴ다, -는다, -라’ 따위의 뒤에 붙어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차이가 없는 둘 이상의 일을 나열함'을 나타내는 보조사인데, '걸어서', '달려서'의 '-어서'는 종속적 연결어미로 부사절, 곧 부사어를 만들 수도 있으므로 그 뒤에 '든지'를 붙여 '걸어서든지', '달려서든지'로 쓸 수 있습니다.
|
0 | '있었던 없었던', '있었든 없었든'의 표현 | 2019. 12. 6. |
"네가 거기 있었던 없었던 상관하지 않겠다.", "옛날에는 선생님이 무서워서 대꾸도 못해 봤거던?"에서 '던'은 바른 표기인가요?
|
"네가 거기 있었든 없었든 상관하지 않겠다.", "옛날에는 선생님이 무서워서 대꾸도 못 해 봤거든."과 같이 적어야 바른 표기입니다.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에서 어느 것이 일어나도 뒤 절의 내용이 성립하는 데 아무런 상관이 없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는 ‘-든’으로 적고, 청자가 모르고 있을 내용을 가르쳐 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는 ‘-거든’으로 적습니다.
|
0 | '서두든'과 '서두이든의 표현 | 2019. 12. 6. |
서두이든 본문의 앞부분이든'에서 '서두이든'은 '서두든'으로 적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
'서두든 본문의 앞부분이든'으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 '든'과 '이든'은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차이가 없는 둘 이상의 일을 나열함을 나타내는 보조사로서 받침 없는 체언 뒤에는 '든', 받침 있는 체언 뒤에는 '이든'이 붙습니다. 따라서 제시하신 '서두이든 본문의 앞부분이든'의 '서두이든'은 생각하신 대로 '서두든'으로 적어야 합니다.
|
0 | '드물다'의 명사형 | 2019. 12. 6. |
'드물다'의 명사형은 '드묾'인가요, '드물음'인가요?
|
‘드물다’의 명사형은 ‘드묾’입니다. ‘드물-’과 같이 ‘ㄹ’ 받침으로 끝나는 어간은 여느 받침으로 끝나는 어간처럼 명사형 어미 '-음'이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ㅁ’이 결합하고, 어간의 'ㄹ' 받침이 ‘ㄴ, ㅂ,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어미 ‘-오, -ㄹ’ 앞에서는 탈락하지만 '-ㅁ' 앞에서는 탈락하지 않으므로 '드묾'과 같이 적습니다.
|
0 | '웃통', '우통'의 표기 | 2019. 12. 6. |
'윗층', '윗쪽', '웃통' 중 '웃통'이 맞는다는데 왜 그런가요?
|
표준어규정 제12항에 따르면 '웃-' 및 '윗-'은 명사 '위'에 맞추어 '윗-'으로 통일하되,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서는 '위-로 하고, 아래, 위 대립이 없는 경우는 '웃-'을 표준어로 삼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뒷말에 된소리나 거센소리가 있는 '윗층', '윗쪽'은 각각 거센소리, 된소리 앞이라 '위층', '위쪽'으로 적어야 맞고, 아래, 위 대립이 없는 '웃통'은 그대로 적을 수 있는 것입니다.
|
0 | '머릿고기', 머리 고기'의 표기 | 2019. 12. 6. |
'머릿고기', '머리 고기'의 올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
|
'머릿고기'로 적을 수 있겠습니다. 돼지의 머리 부분 고기를 삶아 눌러 만든 음식을 이르는 말은 음식명이라 사전 등재 여부와 상관없이 한 단어에 준해 붙여 쓰고 그 현실 발음이 [머리꼬기/머릳꼬기]로 나므로 사이시옷을 붙여 '머릿고리'로 적을 수 있습니다.
|
0 | '미소시루'의 순화어 | 2019. 12. 6. |
일본 된장 '미소'로 만든 국을 무어라 부르면 되나요?
|
'된장국'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본 된장국 ‘미소시루[味?汁, みそしる]’는 ‘된장국’으로 다듬어졌습니다. 다만, 우리 된장국과 구분하려면 '일본 된장국'이라 할 수도 있겠습니다.
|
0 | '문고리'와 '신바람'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문고리'와 '신바람'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문고리'와 '신바람'의 표준 발음은 각각 [문꼬리]와 [신빠람]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8항에 따르면 표기상으로는 사이시옷이 없어도, 관형격 기능을 지니는 사이시옷이 있어야 할 합성어의 경우에는, 뒤 단어의 첫소리 'ㄱ, ㅂ'을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문고리'(문+고리)는 [문꼬리], '신바람'(신+바람)은 [신빠람]으로 발음하는 것입니다.
|
0 | '되었음'과 '되었슴'의 표기 | 2019. 12. 6. |
'되었음'과 '되었슴' 중 어느 것이 맞나요?
|
'되었음'이 맞습니다. '되다'의 어간 '되-' 뒤에 과거의 '-었-'과,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용언의 어간이나 어미 ‘-었-’, ‘-겠-’ 뒤에 붙어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 '-음'이 결합한 말이므로 형태를 밝혀 '되었음'으로 적습니다. 흔히 '되다'의 어간에 '-었-'과 '-습니다'가 결합한 '되었습니다'에 준해 '되었슴'으로 적는 경우가 있는데 '-슴'이라는 어미가 없으므로 '되었슴'은 잘못된 표기입니다.
|
0 | '되다'의 활용 | 2019. 12. 6. |
'되었습니다'와? 돼었습니다' 중 어느 것이 맞나요?
|
'되었습니다'가 맞습니다. 동사 '되다'의 어간 '되-' 뒤에,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었-'과 합쇼체 평서형 종결어미 '-습니다'가 결합한 말이므로 '되었습니다'로 적습니다. 이를 줄여 쓴다면 '됐습니다'로 적을 수 있겠습니다.
|
0 | '되어야만'과 '되어야지만'의 표현 | 2019. 12. 6. |
'되어야만'과 '되어야지만' 중 바른 표현은 무엇인가요?
|
'되어야만', '되어야지만' 모두 바른 표현입니다. '되어야만'은 '되다'의 어간 '되-'에, 앞 절의 일이 뒤 절 일의 조건임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어야'와 보조사 '만'이 결합한 말이고, '되어야지만'은 어간 '되-'에 '-어야'와 같은 기능을 하는 연결 어미 '-어야지'와 보조사 '만'이 결합한 말이므로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
0 | '조성되다'와 '조성하다'의 차이 | 2019. 12. 6. |
'조성되다'와 '조성하다'는 어떻게 다른가요?
|
'조성되다'는 '무엇을 만들어 이룸'을 뜻하는 '조성' 뒤에 피동을 뜻을 더하는 접미사 '-되다’가 결합한 말로 '공원이 조성되다', '기금이 조성되다'와 같이 쓰이고, '조성하다'는 '조성'에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하다'가 결합한 말로 '공원을 조성하다', '기금을 조성하다'와 같이 쓰입니다.
|
0 | '되게', '된통'의 표현 | 2019. 12. 6. |
표준어규정 제26항을 보면, '되우/된통/되게'가 복수 표준어로 되어 있는데,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되게'의 용례 중 "사람이 되게 좋다.", "저 집은 되게 잘산다."의 '되게'는 '된통'으로 대체하면 어색한데, 복수 표준어라도 그 쓰임이 다를 수 있나요?
|
표준어규정에서 복수 표준어는 뜻이 같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제26항에서는 ‘되게’와 ‘된통’을 ‘아주 몹시’의 뜻을 나타내는 동의어로 봅니다. 엄격한 기준에 따른 동의어라면 모든 문맥에서 자연스럽게 교체되어야 하겠으나, 복수 표준어는 그리 엄격한 기준에 의해 설정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된통’은 '된통 혼나다', '된통 걸리다'와 같이 부정적인 맥락에서 주로 쓰이므로 그런 제약이 없는 '되게'로 쉽게 교체할 수 있으나({된통/되게} 혼나다), 긍정적인 맥락에 쓰인 '되게'를 '된통'으로 교체하기는({되게/?된통} 예쁘다) 어렵습니다.
|
0 | '돼지머리'와 '돼지고기'의 표기 | 2019. 12. 6. |
'돼지머리'와 '돼지고기'는 왜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나요?
|
'돼지머리', '돼지고기'는 발음상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사이시옷은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 받치어 적는데, '돼지고기'나 '돼지머리'는 각각 [돼ː지꼬기/돼ː짇꼬기], [돼ː진머리]로 발음되지 않고 [돼ː지고기], [돼ː지머리]로 발음되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지도 않고, 뒷말의 첫소리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지도 않으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습니다.
|
0 | '되어요'의 준말 | 2019. 12. 6. |
'돼요'와 '되요' 중 어느 것이 맞나요?
|
‘돼요’가 맞습니다. ‘되다’의 어간 ‘되-’ 뒤에 해체 종결 어미 ‘-어’와 두루높임의 보조사 ‘요’가 붙어서 된 '되어요'를 줄여 '돼요'로 적습니다. ‘되요’는 ‘되다’의 어간에 바로 보조사 '요'가 붙은 것이라 적절하지 않습니다.
|
0 | '동북'과 '북동'의 차이 | 2019. 12. 6. |
방향을 가리키는 '동북'과 '북동'은 어떻게 다른가요?
|
‘동북’은 동쪽을 기준으로 동쪽과 북쪽 사이의 방위를 말하고, ‘북동’은 북쪽을 기준으로 북쪽과 동쪽 사이의 방위를 말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0 | '서대전', '동대구'의 로마자 표기 | 2019. 12. 6. |
'서대전', '동대구'는 로마자로 어떻게 표기하나요? 한 공무원 수험서에서 'Seodaejeon', 'Dongdaegu'가 옳은 표기라고 봤는데, 고속 도로를 지나다 보면 나들목이나 표지판에 'west-', 'east-'로 표기가 되어 있더군요. 어느 게 맞는 건가요?
|
'서대전', '동대구'의 로마자 표기는 'Seodaejeon', 'Dongdaegu'가 맞습니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용례에 따르면 '서대전', '동대구'는 각각 ‘Seodaejeon’, ‘Dongdaegu'와 같이 적습니다. 다만, 필요에 따라 말씀하신 것처럼 영어로 번역하여 표기를 하기도 하는데, 이는 로마자 표기법과 다릅니다.
|
0 | '돕다'의 활용 | 2019. 12. 6. |
"도운다는 것은 우산을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비를 맞는 것입니다."라는 글이 있는데, '도운다'라는 표현이 맞는 표현인가요?
|
'도운다'는 잘못된 표현이므로 '돕는다'로 적어야 합니다. '돕다'는 'ㅂ' 불규칙 용언으로 '-아'와 같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어간의 'ㅂ'이 'ㅜ'로 변해 '도와'로 활용합니다만, '-는다'와 같이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어간의 'ㅂ'이 그대로 유지되어 '돕는다'로 활용합니다.
|
0 | '돌복'과 '돌 옷'의 표현 | 2019. 12. 6. |
'돌복'과 '돌 옷'은 표준어인가요?
|
'돌복', '돌 옷'으로 쓸 수 있습니다. '돌복'은 '돌'에 접미사 '-복'을 결합한 말로서 현실 쓰임을 반영한 "우리말샘"에 실려 있으며, '돌 옷'은 한 단어는 아니지만 표준어로 구성된 구이므로 쓸 수 있습니다.
|
0 | '독도'의 로마자 표기 | 2019. 12. 6. |
문제집에서 독도의 표기를 'Dok-do'로 표기하라고 나와 있는데 맞나요?
|
'독도'는 'Dokdo'로 표기해야 맞습니다. 로마자표기법 제3장 제6항에 따르면 자연 지물명은 붙임표 없이 붙여 쓰므로, '독도'는 붙임표 없이 'Dokdo'로 적습니다.
|
0 | '도안공'의 표현 | 2019. 12. 6. |
'도안'과 기술직 노동자를 뜻하는 접미사 '-공'은 있고, '도안공'이란 단어는 사전에 없던데, '도안공'이라는 단어를 사용해도 되나요?
|
실제 '도안공'이라고 쓰이고 있다면 쓸 수 있습니다. 알고 계신 대로 ‘-공’은 ‘기술직 노동자’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선반공', '식자공', '용접공', '인쇄공'과 같이 쓰이기는 합니다만, 접사라고 아무 단어에나 다 붙여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임의로 붙여 쓰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현실적으로 '도안(圖案)’과 관련된 기술자를 ‘도안공'이라고 쓰고 있다면 잘못이라 하기는 어렵습니다.
|
0 | '데'과 '데에'의 차이 | 2019. 12. 6. |
피로를 푸는 데에는'을 '피로를 푸는 데는'으로 쓰는 것은 '데'에 장소의 뜻이 있어 장소의 부사격 조사 '에'가 생략되는 것인가요, 아니면 발음 'ㅔ'가 겹쳐 줄여 쓰는 것인가요?
|
'데에'를 '데'로 쓰는 것이 생략인지 탈락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 '곳'이나 '장소'의 뜻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 '데' 뒤에, '처소'의 부사어임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에'가 붙은 말 '데에'를 '데'로 쓰는 것은 예측이 가능한 부사격 조사 '에'가 생략된 것일 수도 있고, 모음 'ㅔ'가 겹쳐 그중 하나가 탈락된 것일 수도 있습니다만, 둘 다 수의적이라 '데에', '데' 모두 쓸 수 있습니다.
|
0 | '사용한 데서/사용한데서'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어떤 물건을 사용한 데서 유래되었다."라는 표현에서 '데서'란 표현을 띄어 쓰는 것이 옳은가요?
|
"어떤 물건을 사용한 데서 유래되었다."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옳습니다. 제시된 문장에서 '데서'는 '...에서 유래되다'와 같은 문형으로 쓰이는 동사 앞에 쓰인 것이므로 의존 명사 ‘데’와, 조사 '에서'의 준말 '서'가 결합한 말로 보입니다. 따라서 '사용한 데서'와 같이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참고로, 어미 ‘-ㄴ데’는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미리 말할 때에 쓰이는 말로 "날씨가 추운데 외투를 입고 나가거라.", "저분이 그럴 분이 아니신데 큰 실수를 하셨다."와 같이 쓰입니다.
|
0 | '더 하다', '더하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마차가 부서지면 구르기밖에 {더 하겠어요/더하겠어요}?"에서 알맞은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
"마차가 부서지면 구르기밖에 더 하겠어요?"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제시된 문장은 마차가 부서지면 구르기 이외에 무엇을 더 하겠느냐는 뜻이므로 '더 하다'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참고로, '어떤 기준보다 정도가 심하다'의 뜻으로 "부담은 예전보다 지금이 더하다."와 같이 쓰이는 형용사 '더하다'나, '더 보태어 늘리거나 많게 하다', '어떤 정도나 상태가 더 크거나 심하게 되다', '어떤 요소가 더 있게 하다'의 뜻으로 각각 '둘에 셋을 더하다', '나무잎이 푸른빛을 더하다', '병세가 더하다'와 같이 쓰이는 동사 '더하다'는 붙여 씁니다.
|
0 | '-더군'의 쓰임 | 2019. 12. 6. |
'-더군요'는 과거에 직접 보고 듣고 느낀 것 등을 다시 생각하여 말할 때 쓰는 거라고 하는데, "영희 씨가 조금 전에 자리에 있더군요."도 맞는 표현인가요?
|
"영희 씨가 조금 전에 자리에 있더군요."도 맞는 표현입니다. 여기서 ‘-더군’은 해할 자리에 쓰여, 과거 어느 때에 직접 경험하여 새로이 알게 된 사실을 현재의 말하는 장면에 그대로 옮겨 와서 전달하며, 그 알게 된 사실에 주목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 감탄의 뜻이 수반되는데, 제시하신 문장은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영희가 조금 전에 자리에 있었다는 사실을 그대로 옮겨 와 표현하고 있으므로 쓸 수 있습니다.
|
0 | '댓 발'의 쓰임 | 2019. 12. 6. |
우리가 흔이 심통이 난 사람을 보고 '입이 댓 발 나왔다'고 하는데요, 여기서 '댓 발'이 옳은 표현인가요? 또 '댓 발'의 뜻은 무엇인가요?
|
'댓 발'은 옳은 표현입니다. 이는 ‘다섯쯤 되는 수’를 뜻하는 관형사 ‘댓’ 뒤에 길이의 단위를 나타내는 ‘발’이 이어진 표현이므로 ‘댓 발’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한 발은 '두 팔을 양옆으로 펴서 벌렸을 때 한쪽 손끝에서 다른 쪽 손끝까지의 길이'를 뜻하므로, '댓 발'은 그 다섯 배쯤 되는 길이를 뜻합니다. 입이 댓 발까지 나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나 화가 나거나 마음에 차지 않아 입이 많이 나와 있는 것을 과장하여 "입이 댓 발 나왔다."라고 표현한 것으로 보입니다.
|
0 | '대략 백여 명'의 표현 | 2019. 12. 6. |
"대략 백여 명의 사람들이 모여 있다."에서 '대략'이랑 '-여'랑 의미가 겹치지 않나요?
|
‘대충 어림잡아서’라는 뜻을 나타내는 부사 ‘대략’과 ‘그 수를 넘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여’가 의미상 겹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대략 백여 명의 사람들이 모여 있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
0 | '했데'와 '했대'의 차이 | 2019. 12. 6. |
'사용했대'와 '사용했데' 어느 게 맞는 건가요?
|
맥락에 따라 '사용했대', '사용했데'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대’는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 "왜 이렇게 일이 많대?", "신랑이 어쩜 이렇게 잘생겼대?"와 같이 쓰입니다. 그리고 ‘-다고 해’가 줄어든 말로서 "사람이 아주 똑똑하대.", "철수도 오겠대?"와 같이 쓰이기도 합니다. 한편, '-데'는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과거 어느 때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현재의 말하는 장면에 그대로 옮겨 와서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서 "그이가 말을 아주 잘하데.", "그 친구는 아들만 둘이데."와 같이 쓰입니다. 비슷한 뜻으로 쓰이는 '-더라'도 있으므로 "그이가 말을 아주 잘하더라.", "그 친구는 아들만 둘이더라."와 같이 '더라'로 대체가 가능한 맥락에서는 '-데'를 씁니다.
|
0 | '-대'와' -는데'의 차이 | 2019. 12. 6. |
어미 '-대'의 예문 "신랑이 어쩜 저렇게 잘 생겼대?"와 '-는데'의 예문 "성적이 많이 올랐는데?" 등은 공통적으로 감탄 또는 놀람의 의미를 찾을 수가 있는데 왜 다른가요?
|
종결 어미 ‘-대’와 ‘-는데’가 구별되어 쓰이기 때문입니다. "신랑이 어쩜 저렇게 잘 생겼대?"는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기는 있지만,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 사실에 대해서 놀라는 뜻을 나타내고, "성적이 많이 올랐는데?"는 어떤 일을 감탄하는 뜻을 넣어 서술함으로써 그에 대한 청자의 반응을 기다리는 태도를 나타내므로 서로 차이가 있습니다.
|
0 | '닿다'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닿다'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닿다'의 표준 발음은 [다ː타]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2항 1에 따르면 ‘ㅎ’ 뒤에 ‘ㄷ’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 음절 첫소리와 합쳐서 [ㅌ]으로 발음하므로, '닿다'는 [다ː타]로 발음합니다.
|
0 | '답하시오', '답 하시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다음 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답 하시오}."에서 어느 띄어쓰기가 맞는 것인지요?
|
"다음 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답하다'는 '질문이나 의문을 풀이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므로 붙여 씁니다. 다만, '답'과 '하다' 사이에 조사가 끼면 한 단어가 아니므로 "다음 시를 읽고 물음에 답을 하시오."와 같이 띄어 씁니다.
|
0 | '담요'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담요'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담요'의 표준 발음은 [담ː뇨]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9항에 따르면, 합성어에서, 앞 단어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의 첫음절이 '요'인 경우에는 'ㄴ' 음을 첨가하여 [뇨]로 발음하므로 '담'과 '요'가 결합한 합성어 '담요'는 [담ː뇨]로 발음합니다.
|
0 | '담배 가게'와 '담뱃가게'의 표기 | 2019. 12. 6. |
'담뱃가게', 담배 가게' 중 올바른 표기가 무엇인가요?
|
'담배 가게'로 띄어 쓰는 것이 올바릅니다. 합성어가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담뱃가게'로 적을 수 없고 ‘담배 가게’와 같이 띄어 씁니다.
|
0 | '담력'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담력'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담력(膽力)'의 표준 발음은 [담ː녁]입니다. ‘담(膽)’은 [담ː]과 같이 길게 소리 나는 말이고, 표준발음법 제19항에 따르면 받침 'ㅁ' 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로 발음하므로 '담력'은 [담ː녁]으로 발음합니다.
|
0 | '담기'의 표현 | 2019. 12. 6. |
'간장을 {담기/담그기} 위해 띄우는 메주'에서 '담기'와 '담그기' 중 어느 표현이 맞는 건가요?
|
'간장을 담그기 위해 띄우는 메주'가 맞는 표현입니다. '김치ㆍ술ㆍ장ㆍ젓갈 따위를 만드는 재료를 버무리거나 물을 부어서, 익거나 삭도록 그릇에 넣어 두다'를 뜻하는 말은 '담그다'가 표준어입니다. 따라서 '간장을 담그기 위해 띄우는 메주'와 같이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한편, '담다'는 '담그다'의 강원, 경남, 전남, 평안 지역 방언입니다.
|
0 | '닳도록', '닳토록'의 표기 | 2019. 12. 6. |
'닳토록', '닳도록'은 어느 것이 맞나요?
|
'닳도록'과 같이 쓰는 것이 맞습니다. '닳다'의 어간 '닳-' 뒤에, 앞의 내용이 뒤에서 가리키는 사태의 결과가 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도록'이 결합한 말이므로 형태를 밝혀 '닳도록'으로 씁니다.
|
0 | '닮은꼴'과 '닮은 꼴'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닮은꼴'은 '크기만 다르고 모양이 같은 둘 이상의 도형'을 이르는 수학 전문어인데, 우리가 보통 "아빠와 아들은 닮은꼴이다."처럼 쓸 경우에도 한 단어로 붙여 쓰나요?
|
"아빠와 아들은 닮은꼴이다."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제시된 문장은 아빠와 아들은 닮은꼴과 같다는 뜻으로 여기서 쓰인 '닮은꼴'은 수학 전문어 ‘닮은꼴’의 비유적인 쓰임으로 볼 수 있으므로 붙여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
0 | '단옷날', '단오날'의 표기 | 2019. 12. 6. |
'단옷날'과 '단오날' 중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
'단옷날'이 바른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뒷말의 첫소리 'ㄴ' 앞에 'ㄴ' 소리가 덧나는 것은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데, 한자어 ‘단오’와 순우리말 ‘날’이 결합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받침 없이 끝나고 [다논날]과 같이 'ㄴ'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단옷날’과 같이 표기합니다.
|
0 | '닦달', '닥달'의 표기 | 2019. 12. 6. |
'닦달', '닥달' 중에서 어느 것이 맞는 건가요?
|
'닦달'이 맞습니다. ‘남을 단단히 윽박질러서 혼을 냄', '물건을 손질하고 매만짐', '음식물로 쓸 것을 요리하기 좋게 다듬음'의 뜻을 나타내는 말은 ‘닦달’과 같이 적습니다.
|
0 | '다다음 주'의 표현 | 2019. 12. 6. |
'다다음 주'는 '다음다음 주'라고 고쳐 써야 할까요?
|
'다다음 주', '다음다음 주' 모두 쓸 수 있습니다. '이번으로부터 두 번째 되는 차례'를 이르는 ‘다음다음’과, ‘다음번의 바로 그 뒤'를 이르는 '다다음'은 의미상 큰 차이가 없으므로 비슷한 맥락에서 함께 쓰일 수 있습니다.
|
0 | '제우스 님', '제우스님'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제우스 님'으로 띄어 쓰나요, '제우스님'으로 붙여 쓰나요?
|
'제우스 님'으로 띄어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님'은 사람의 성이나 이름 다음에 쓰여 '그 사람을 높여 이르는' 의존 명사이기도(홍길동 님) 하고, 사람이 아닌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 대상을 인격화하여 높임’의 뜻을 더하거나(달님) 옛 성인이나 신격화된 인물의 이름 뒤에 붙어 '그 대상을 높이고 존경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이기도(부처님, 예수님) 합니다. 그런데 '제우스'는 사물이 아니고, 신격화된 인물이 아니라 신이며, 인격이 부여된 신의 이름이므로 사람의 성이나 이름 다음에 쓰여 그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인 의존 명사 ‘님’을 활용해 '제우스 님'과 같이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
0 | '늦다'의 활용형 | 2019. 12. 6. |
"지금 가면 너무 늦은데 어떻게 할까?"에서 '늦은데'를 '늦는데'로 바꿔 써야 하나요?
|
"지금 가면 너무 늦는데 어떻게 할까?"와 같이 바꿔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늦다'는 동사와 형용사 통용어인데 제시된 맥락에서는 동사로서 '정해진 때보다 지나다'의 뜻으로 쓰인 것이므로, 동사 어간 뒤에 붙어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미리 말할 때'에 쓰는 연결 어미 ‘-는데’가 붙습니다.
|
0 | '능'과 '릉'의 표기 | 2019. 12. 6. |
'능'과 '릉'의 표기는 어떻게 다른가요?
|
'임금이나 왕후의 무덤'을 가리키는 '陵'은 본음이 [릉]이나 단어의 첫머리에서는 '능'으로 표기합니다. 한글맞춤법 제12항에 따르면, 한자음 '르'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법칙에 따라 '느'로 적으므로 한자 '陵'[릉]은 '능을 쓰다'와 같이 적습니다. 제12항 [붙임 1]에 따르면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데, 한 음절로 된 한자어 형태소가 한자어 뒤에 결합할 때에도 통상 하나의 단어로 인식되지 않아 '서오릉', '태릉'처럼 본음대로 적습니다.
|
0 | '늙기'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늙기'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늙기'의 표준 발음은 [늘끼]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1항에 따르면 겹받침 'ㄺ'은 자음 앞에서 [ㄱ]으로 발음하지만, 용언의 어간 말음 'ㄺ'은 'ㄱ' 앞에서 [ㄹ]로 발음되고 그 'ㄱ'은 된소리로 발음되므로 '늙기'는 [늘끼]로 발음됩니다.
|
0 | '늘이다'와 '늘리다'의 차이 | 2019. 12. 6. |
'늘이다'와 '늘리다'의 의미는 어떻게 다른가요?
|
'늘이다'는 '길이를 본디보다 더 길게 하다', '선을 연장하여 긋다'의 뜻으로 '고무줄을 늘이다', '바지 길이를 늘이다', '말을 늘이다', '선분을 늘이다'와 같이 쓰이고, '늘리다'는 '넓이, 부피 등을 본디보다 커지게 하다', '수나 분량, 시간 따위가 본디보다 많아지게 하다' 등의 뜻으로, '주차장을 늘리다', '수를 늘리다', '시간을 늘리다'와 같이 쓰입니다.
|
0 | '있는데', '있는 데'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사과가 10개 {있는데/있는 데} 5개를 먹었어."에서 맞는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
"사과가 10개 있는데 5개를 먹었어."가 맞습니다. 여기서 ‘-는데’는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앞 절에서 미리 말할 때에는 연결 어미로서 붙여 씁니다. 한편 '-는 데'의 '데'는 '곳, 장소, 일, 것, 경우' 등의 뜻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로서 "집에 가는 데 시간이 얼마나 걸려?", "비가 오는 데다가 바람까지 분다."와 같이 쓰입니다.
|
0 | '현재'의 품사 | 2019. 12. 6. |
'현재는'과 '현재에는' 어느 것이 정확한 표현인가요?
|
부사어로 쓰인 경우라면 문법적으로 '현재는'과 '현재에는' 모두 쓸 수 있습니다. '현재'는 명사, 부사 통용어라 명사 '현재'에 조사 '에'와 보조사 '는'을 붙여 '현재에는'으로 쓸 수도 있고, 부사 '현재'에 보조사 '는'을 붙여 ‘현재는'으로 쓸 수도 있습니다.
|
0 | '눈에 띄다'의 의미 | 2019. 12. 6. |
'눈에 띄다'는 좋은 것에만 쓸 수 있는 것인지요? 가령 기사를 쓸 때 "혼인 감소 눈에 띄네."와 같이 사용할 수 있나요?
|
"혼인 감소 눈에 띄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관용구 '눈(에) 띄다'는 '두드러지게 드러나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서 특별한 의미상의 제약은 없습니다. 따라서 "그의 그림 실력이 눈에 띈다."와 같이 긍정적인 내용에는 물론, "혼인 감소 눈에 띄네."와 같이 부정적인 내용에도 쓸 수 있습니다.
|
0 | '눕다', '돕다'의 활용 | 2019. 12. 6. |
'눕다', '돕다'의 '-어/-아' 어미 활용은 어떻게 되나요?
|
‘눕다', '돕다’는 'ㅂ' 불규칙 용언으로 모음 어미 앞에서 '누워', '도와'와 같이 활용합니다. 한글맞춤법 제18항 6에 따르면 활용을 할 때 어간의 끝 'ㅂ'이 'ㅜ'로 바뀔 적에 바뀐 대로 적지만 '돕-', '곱-'과 같은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가 결합되어 '와'로 소리 나는 것은 '-와'로 적습니다. 따라서, '눕다'는 '눕-'에 '-어'가 결합하므로 '누워'로 적고, '돕다'는 '돕-'에 '-아'가 결합하므로 '도와'로 적습니다.
|
0 | '중심', '친구'의 순우리말 | 2019. 12. 6. |
'중심' 또는 '친구'라는 뜻의 순우리말이 있나요?
|
‘사물의 한가운데’를 뜻하는 ‘중심(中心)’의 순우리말은 따로 없습니다만, 맥락에 따라서는 '공간이나 시간, 상황 따위의 바로 가운데'를 뜻하는 '한가운데'를 대신 쓸 수 있겠습니다. 한편, '가깝게 오래 사귄 사람'을 뜻하는 ‘친구’의 순우리말도 따로 없습니다만, 맥락에 따라서는 '늘 친하게 어울리는 사람'을 이르는 ‘동무’나 '비슷한 또래로서 서로 친하게 사귀는 사람'을 이르는 ‘벗’을 대신 쓸 수 있겠습니다.
|
0 | '누룽지'와 '눌은밥'의 차이 | 2019. 12. 6. |
'누룽지'와 '눌은밥'이 뜻이 다른가요?
|
'누룽지'와 '눌은밥'은 뜻이 다릅니다. '누룽지'는 '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을 가리키고 '눌은밥'은 '누룽지에 물을 부어 불려서 긁은 밥'을 가리킵니다.
|
0 | '누누이'와 '낭랑'의 표기 차이 | 2019. 12. 6. |
'누누이'와 '낭랑'은 두음법칙의 적용이 왜 다른가요?
|
'낭랑(朗朗)'의 '랑'은 두음이 아니라 본음대로 적고, '누누이'는 같은 음절이 겹쳐진 것으로 인식되고 발음되는 관행에 따라 적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12항 [붙임 1]에 따르면 한자음 '라'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법칙에 따라 '나'로 적지만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으므로 '朗朗'은 '낭랑'으로 적습니다. 반면, 한글맞춤법 제13항에 따르면 한 단어 안에서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부분은 같은 글자로 적고 그에 따라 발음하는 관행이 있으므로 '屢屢/累累'는 '누누'로 적습니다. 이와 비슷한 경우로는 '연연불망(戀戀不忘), 유유상종(類類相從), 노노법사(老老法師), 요요무문(寥寥無聞), 요요(寥寥)하다' 등이 있습니다.
|
0 | '누구를요'와 '누굴요'의 표현 | 2019. 12. 6. |
"누구를요?", "누굴요?"의 바른 표현은 무엇인가요?
|
"누구를요?", "누굴요?" 모두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누구' 뒤에 목적격 조사 '를'과 보조사 '요'를 붙여 ‘누구를요’와 같이 쓸 수도 있고 '누구' 뒤에, ‘를’보다 더 구어적인 목적격 조사 ‘ㄹ’과 보조사 '요'를 붙여 ‘누굴’과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대가 "데려와."라고 하는데 누구를 데려오라는 건지 알 수 없을 때 "누구를요?", "누굴요?"라고 물을 수 있습니다.
|
0 | '누가'와 '누군가'의 차이 | 2019. 12. 6. |
"기숙사에서 {누가/누군가} 수미의 방문을 두드립니다."는 서로 느낌이 다른데 문법적으로 어떻게 다른가요?
|
‘누가’는 '누구'(대명사)에 '가'(주격 조사)가 결합한 ‘누구가’가 줄어든 말이고, ‘누군가’는 ‘누구'에 '이-'(서술격 조사)와 '-ㄴ가'(의문형 어미)’가 결합한 '누구인가'가 줄어든 말입니다. '누군가'는 서술격 조사 '이-'와, 자기 스스로에게 묻는 물음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ㄴ가’가 더 있으므로 '누가'보다는 추측하는 뜻이 더 있습니다.
|
0 | '놓아'의 준말 | 2019. 12. 6. |
'놓아'의 준말은 무엇인가요?
|
'놓아'의 준말은 '놔'입니다. 한글맞춤법 제35항에 따르면 모음 'ㅗ'로 끝난 어간에 '-아'가 어울려 'ㅘ'로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데(꼬아, 꽈), [붙임 1]에 따르면 '놓아'가 '놔'로 줄 적에도 준 대로 적으므로, '놓아'의 준말은 '놔'가 맞습니다.
|
0 | '연령이 많다', '연령이 높다'의 표현 | 2019. 12. 6. |
통상 '나이'는 '많다'로 표현하는 것 같은데, '연령'은 '높다', '많다'가 혼용되는 듯해요. 어떤 표현이 정확한 것인가요?
|
'연령이 높다', '연령이 많다' 둘 다 쓸 수는 있습니다만, '연령'은 '높다'와 더 잘 어울립니다. '연령'은 '나이'와 동의어이지만 고유어인 '나이'는 '많다'와 더 잘 어울리는 반면, 한자어인 '연령'은 '고령(高齡)' 때문인지 '높다'와 더 잘 어울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
0 | '농약'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농약'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농약'의 표준 발음은 [농약]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9항에 따르면, 합성어에서 앞 단어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의 첫음절이 '야'인 경우에는 'ㄴ' 소리를 첨가하여 [냐]로 발음합니다만, '농약'은 2음절 한자어라 합성어로 인식되지 않아서인지 'ㄴ' 첨가가 일어나지 않고 그대로 연음되어 발음됩니다.
|
0 | '놀러 가다', '놀러가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놀러 가다'로 띄어야 하나요, '놀러가다'로 붙여야 하나요?
|
‘놀러 가다’로 띄어 써야 합니다. '놀러 가다'는 합성어가 아니고, ‘놀다’의 어간 '놀-' 뒤에, 가거나 오거나 하는 동작의 목적을 나타내는 어미 ‘-러’가 붙고 동사 '가다'가 이어진 구이므로 ‘놀러 가다’와 같이 띄어 씁니다.
|
0 | '녹슬다'의 활용 | 2019. 12. 6. |
'녹슬-'에 +'-(으)ㄴ'이 결합한 활용형은 무엇인가요?
|
'녹슨'입니다. 동사 '녹슬다'의 어간 '녹슬-' 뒤에는, 받침 없는 동사 어간, ‘ㄹ’ 받침인 동사 어간 등에 붙어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사건이나 행위가 완료되어 그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어미 '-ㄴ'이 결합하고, 어간의 'ㄹ'은 'ㄴ' 앞에서 탈락하므로 '녹슨'으로 활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어간 끝음절에 '익다'처럼 받침이 있으면 '익은'처럼 관형사형 어미 '-은'이 결합하나, 어간 끝음절에 '녹슬다'처럼 'ㄹ' 받침이 있으면 예외적으로 관형사형 어미 '-ㄴ'이 결합하므로 '녹슬은'이 아닌 '녹슨'으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
0 | '음절'과 '어절'의 차이 | 2019. 12. 6. |
'음절'과 어절'은 어떻게 다른가요?
|
'음절'은 '하나의 종합된 음의 느낌을 주는 말소리 단위'로서 몇 개의 음소로 이루어지며, 모음 단독으로 음절을 이루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아침'은 '아'와 '침' 두 음절로 된 단어입니다. 한편, '어절'은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마디'로서 문장 성분의 최소 단위, 띄어쓰기 단위가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학교에 간다."는 '우리는'과 '학교에'와 '간다' 세 어절로 된 문장입니다.
|
0 | '네거리', '사거리'의 표현 | 2019. 12. 6. |
'네거리', '사거리'는 모두 표준어인가요?
|
‘네거리’와 ‘사거리’는 동의어로서 모두 표준어입니다. ‘세거리’와 ‘삼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
0 | '네가', '니가'의 표현 | 2019. 12. 6. |
'네가'는 '내가'와 발음이 유사하기 때문에 구두로 의사소통을 하는 경우에는 잘 안 쓰는 것 같은데 '니가'라고 하면 안 되나요?
|
'네가'라고 해야 표준어입니다. '너'는 조사 '가'와 어울릴 때에는 '네가'와 같이 '네'로 됩니다. 입말에서 '니가'라고 하기도 하나 이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네가'는 '너'에 조사 '이'가 결합하여 '네'로 굳어진 다음 여기에 조사 '가'가 다시 붙어 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