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named: 0
int64 0
0
| 제목
stringlengths 6
35
| 등록일
stringclasses 2
values | 질문
stringlengths 34
269
| 답변
stringlengths 63
545
|
---|---|---|---|---|
0 | '넓죽하다'의 단어 형성법 | 2019. 12. 6. |
'넓적하다'는 파생어라고 나오던데, '넓죽하다'는 뭔지요?
|
‘넓죽하다’도 파생어입니다. '넓죽하다'는 어근 ‘넓죽' 뒤에,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하다'가 붙어 만들어진 파생어입니다.
|
0 | '널따랗다', '넓다랗다'의 표기 | 2019. 12. 6. |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널따랗다'와 '넓다랗다'를 찾으면 모두 찾을 수 있는데, 어떤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그리고 왜 잘못된 표기까지 검색이 가능한 건지요?
|
'널따랗다'가 바른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21항에 따르면 용언의 어간 뒤에 자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습니다만, 겹받침의 끝소리가 드러나지 아니하는 것은 소리대로 적으므로 '넓-'에 '-다랗다'가 결합한 말은 '널따랗다'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표국어대사전에 널리 쓰이는 잘못된 표기까지 올린 것은 그것이 잘못된 표기임을 알리고 그 바른 표기를 알리기 위한 것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잘못된 표기인 '넓다랗다'는 직접 뜻풀이하지 않고 '→' 뒤에 바른 표기 '널따랗다'를 밝혀 그 뜻풀이를 참고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의 이런 기능에 대해서는 "표준국어대사전"의 ‘일러두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0 | '너무'의 쓰임 | 2019. 12. 6. |
부사 '너무'가 부정적인 말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긍정적인 뜻으로도 많이 쓰더라고요. 그렇게 써도 되나요?
|
‘너무’는 긍정적인 뜻으로도 쓸 수 있습니다. '너무'는 '일정한 정도나 한계를 훨씬 넘어선 상태로'의 뜻으로 '너무 어렵다', '너무 좋다', '너무 크다'와 같이 부정적인 맥락에서든 긍정적인 맥락에서든 두루 쓰입니다. 참고로 한때 '너무'를 '일정한 정도나 한계에 지나치게'의 뜻으로 보고 '너무 좋다', '너무 예쁘다'와 같이 긍정적인 맥락에서는 쓸 수 없다고 본 적이 있으나, 현실적으로 그 쓰임이 확장된 것을 인정하여 뜻풀이를 보완하였습니다.
|
0 | '발림'과 '너름새'의 표현 | 2019. 12. 6. |
'발림'과 '너름새' 중 표준어는 무엇인가요?
|
'발림'과 '너름새'는 둘 다 표준어입니다. '발림'과 '너름새'는 판소리에서, 소리의 극적인 전개를 돕기 위하여 몸짓이나 손짓으로 하는 동작'을 이르는 동의어로 표준어입니다.
|
0 | '내주다'와 '내 주다'의 차이 | 2019. 12. 6. |
'내주다'와 '내 주다'에 의미 차이가 있나요?
|
'내주다’는 합성어로서 ‘넣어 두었던 물건 따위를 꺼내어 주다’(서랍에서 편지를 내주다), ‘가지고 있던 것을 남에게 넘겨주다'(우승기를 내주다). '차지하고 있던 자리를 남에게 넘겨주다'(안방을 내주다), '마련하여 주다’(가게를 내주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한편, '내 주다’는 본용언 ‘내다’의 어간 '내-' 뒤에, '-어 주다' 구성으로 '앞 동사의 행위가 다른 사람의 행위에 영향을 미침'을 나타내는 보조 용언이 이어진 '내어 주다'를 줄여 쓴 말로 '마을에 길을 내 주다', '요금을 대신 내 주다'처럼 내는 행위가 다른 사람의 행위에 영향을 미침을 나타냅니다.
|
0 | '증감 내역'의 순화어 | 2019. 12. 6. |
'증감 내역'에서 '내역'은 순화 대상 용어이니 '명세'나 '내용'으로 순화해서 '증감 명세', '증감 내용'으로 써야 되나요?
|
'증감 내역'은 '증감 명세', '증감 내용'으로 다듬어 쓸 수 있겠습니다. '물품이나 금액 따위의 내용'을 이르는 '내역'은 '명세'로 순화하였으므로 '증감 명세'로 다듬어 쓸 수 있겠고, 그 뜻에 따라 '증감 내용'으로 다듬어 쓸 수도 있겠습니다.
|
0 | '내려뜨리다'와 '내리꽂다'의 단어 형성법 | 2019. 12. 6. |
'내려뜨리다'와 '내리꽂다'는 어떻게 형성된 단어인가요?
|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내려뜨리다'는 파생어, '내리꽂다'는 합성어입니다. '내려뜨리다'는 '아래로 내려서 떨어뜨리다'를 뜻하는 말로 '내리-+-어+-뜨리-+-다'로 분석되는 말인데,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뜨리(다)'는 몇몇 동사의 ‘-아/어’ 연결형 또는 어간 뒤에 붙어 ‘강조’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이므로 '내려뜨리다'는 파생어입니다. 한편, '내리꽂다'는 '어떤 대상을 위에서 아래로 힘차게 꽂다'를 뜻하는 말로 '내리+꽂-+-다'가 결합한 합성어입니다.
|
0 | '내놓아'의 준말 | 2019. 12. 6. |
'내놓아'를 '내놔'라고 하는 것이 맞는 건가요?
|
'내놓아'를 '내놔'로 줄여 쓸 수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5항에 따르면, 모음 'ㅗ'로 끝난 어간에 '-아'가 어울려 'ㅘ'로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데(꼬아, 꽈) '놓아'가 '놔'로 줄 적에도 준 대로 적으므로 ‘내놓다’의 어간 '내놓-' 뒤에 '-아'가 붙은 '내놓아'가 '내놔'로 줄면 준 대로 적을 수 있습니다.
|
0 | '내놓은'의 준말 | 2019. 12. 6. |
'내놓은'을 '내논'으로 줄여 쓸 수 있나요?
|
'내놓은'은 '내논'으로 줄여 쓸 수 없습니다. '빨갛다'와 같은 'ㅎ' 불규칙 용언은 '-은'과 같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하면 어간의 'ㅎ'이 탈락해 ‘빨간’이 되지만, ‘내놓다’는 규칙 용언으로서 '-은'과 같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하면 ‘내놓은’과 같이 활용하며, 이를 '내논'으로 줄여 쓰지는 않습니다.
|
0 | '내로라하다', '내노라하다'의 표기 | 2019. 12. 6. |
'내로라하다', '내노라하다' 중 무엇이 맞나요?
|
'내로라하다'가 맞습니다. '어떤 분야를 대표할 만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은 '내로라하다'입니다. '내로라하다'는 '나+이-+-로라+하-+-다'로 분석되는데, ‘이다’, ‘아니다’의 어간 뒤에 붙어 자신의 행동을 의식적으로 드러내어 나타내는 종결 어미는 '-노라'가 아닌 '-로라'이므로 '내노라하다'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
0 | '낯설다'의 활용 | 2019. 12. 6. |
'낯섭니다'가 맞나요, '낯섧니다'가 맞나요?
|
'낯섭니다'가 맞습니다. 어간이 'ㄹ'로 끝난 말은 ‘ㄴ, ㅂ,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어미 ‘-오, -ㄹ’ 앞에서 'ㄹ'이 탈락하므로, '낯설다'의 어간 '낯설-'에,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현재 계속되는 동작이나 상태'를 그대로 나타내는 종결 어미 '-ㅂ니다'가 결합하면 어간의 ‘ㄹ’ 받침이 'ㅂ' 앞에서 탈락해 '낯섭니다'로 활용합니다.
|
0 | '남방'의 어원 | 2019. 12. 6. |
'남방' 혹은 '남방셔츠'에서 '남방'이란 단어는 사실 남쪽이란 뜻인데 어떻게 해서 상의의 한 종류를 지칭하는 말이 되었는지요?
|
'남방(셔츠)'에 대한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여름에 양복저고리 대신으로 입는 얇은 옷'을 뜻하는 '남방'은 '남방셔츠'를 줄여 쓴 말로서, 비교적 날씨가 더운 남쪽 지역에서 가볍게 입는 셔츠에서 비롯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
0 | '남매'의 의미 | 2019. 12. 6. |
"형제가 몇 명입니까?"라고 물을 때 남자 형제가 두 명이고 여자 형제가 네 명이면 '6남매'라고 하면 되나요?
|
남자 형제 2명과 여자 형제 4명을 '6남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남매'는 한 부모가 낳은 남녀 동기를 이르므로 남자 형제 2명과 여자 형제 4명을 아울러 '6남매'라고 합니다.
|
0 | '낚시'의 형태소 분석 | 2019. 12. 6. |
한글맞춤법 제21항에 어간 뒤 자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된 예로 '낚시'가 나오는데, '낚시'에서 '낚-'은 어간이고 '-시'는 접미사가 맞나요?
|
규정에서는 공시적으로 어간 '낚-'만 확인되므로 그렇게 설명한 것으로 보입니다. 어원적으로 '낚시'는 '낚시'의 옛말 '낛'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낙시'에서 비롯되었습니다만, 공시적으로는 명사 '낛'이 없고 동사 ‘낚다’만 있으므로 ‘낚시’로 표기하고 어간 '낚-'에 '-시'라는 접미사가 결합한 것으로 설명하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공시적으로 '낚시'는 더 이상 형태소 분석을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0 | '나지막이'로 쓰는 이유 | 2019. 12. 6. |
'나지막하다'의 부사가 '나지막히'가 아니라 '나지막이'가 되는 까닭은 무엇인가요?
|
'나지막이'로 적는 것은 표준 발음이 [나지마기]로 나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51항에 따르면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는데, 말씀하신 부사는 [나지마기]로만 소리 나므로 '나지막이'로 적는 것입니다.
|
0 | '나 자신', '내 자신'의 표현 | 2019. 12. 6. |
'나 자신'과 '내 자신' 중 어느 것이 맞나요?
|
문법적으로는 '나 자신'이 적절합니다. 여기서 '자신'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 뒤에 쓰여 '다름이 아니고 앞에서 가리킨 바로 그 사람임'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로서 앞말과 동격이라 '나 자신'과 같이 씁니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내 자신'으로 굳어져 쓰이기도 합니다.
|
0 | '송별연'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송별연'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송별연'의 표준 발음은 [송:벼련]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9항에 따르면 합성어에서 앞 단어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의 첫음절이 '여'인 경우 'ㄴ' 소리를 첨가하여 [녀]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이러한 'ㄴ' 소리 첨가는 항상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송별연'은 'ㄴ(ㄹ)' 소리 첨가가 일어나지 않아 [송:벼련]으로 연음하여 발음합니다.
|
0 | '불편을 끼쳐 드려'의 표현 | 2019. 12. 6. |
사과 표현 중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는 맞는 표현인가요?
|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는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영향, 해, 은혜 따위를 당하거나 입게 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끼치다’의 어간 뒤에, 동사 뒤에서 ‘-어 주다’ 구성으로 쓰여 '앞 동사의 행위가 다른 사람의 행위에 영향을 미침'을 나타내는 보조 용언 '주다'의 높임말 '드리다'를 써 '끼쳐 드려'로 쓸 수 있습니다.
|
0 | '끌려다니다'에서 '다니다'의 품사 | 2019. 12. 6. |
'끌려다니다'에서 '다니다'의 품사는 무엇인가요?
|
'끌려다니다'의 '다니다'는 어원적으로 본동사입니다. '끌려다니다'는 ‘누군가에게 이끌려서 줏대 없이 왔다 갔다 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끌다'의 피동사 '끌리다'와 본동사 '다니다'가 '-어'로 연결되어 만들어진 합성어입니다.
|
0 | '끄덕였습니다'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끄덕였습니다'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끄덕였습니다’의 표준 발음은 [끄더겯씀니다]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3항에 따르면 홑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와 결합되면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고, 제9항에 따르면 받침 'ㅆ'은 자음 앞에서 대표음 [ㄷ]으로 나며, 제23항에 따르면 받침 'ㄷ(ㅆ)' 뒤에 연결되는'ㅅ'은 된소리로 발음하고, 제18항에 따르면 받침 'ㅂ'은 'ㄴ' 앞에서 [ㅁ]으로 발음되므로 '끄덕였습니다'는 [끄더겯씀니다]와 같이 발음합니다.
|
0 | '꾸다'와 '신다'의 문형 | 2019. 12. 6. |
'꾸다'나 '신다'는 동족목적어를 취하니까 타동사인가요?
|
'꾸다', '신다'는 타동사가 맞습니다. '꾸다', '신다'는 각각 '꿈을', '신을'과 같은 동족목적어를 필요로 하므로 ‘타동사’입니다.
|
0 | '꽤나'와 '깨나'의 차이 | 2019. 12. 6. |
어떤 때에 '꽤나'를 쓰고, 어떤 때에 '깨나'를 쓰나요?
|
‘꽤나’는 부사 ‘꽤’ 뒤에 강조의 보조사 ‘나’가 붙은 말로, "하늘이 꽤나 높다."와 같이 쓰입니다. 한편, '깨나'는 '어느 정도 이상'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로 "그 사람은 심술깨나 있어 보인다."와 같이 쓰입니다. 두 말의 표기가 헷갈릴 때에는 '꽤'로 대체해도 자연스러운 말은 '꽤나', 자연스럽지 못한 말은 '깨나'로 쓰면 됩니다.
|
0 | '꺼놨다'의 형태소 분석 | 2019. 12. 6. |
오늘 뉴스에 "무전기를 꺼놨다."라는 문구가 나오던데, '꺼놓다'란 말은 사전에는 없던데, 어디에서 변화된 말인가요? '끄다'의 변형인가요?
|
'꺼놨다'는 '꺼 놓다'의 활용형 '꺼 놓았다'를 줄여 허용 규정에 따라 붙여 쓴 말입니다. '끄다'의 어간 '끄-' 뒤에, 동사 뒤에서 ‘-어 놓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끝내고 그 결과를 유지함'을 나타내는 보조 동사 '놓다'가 이어져 활용된 '꺼 놓았다'를 한글맞춤법 제47항의 허용 규정에 따라 붙여 쓰고, 제35항에 따라 '놓아'를 '놔'로 줄여 '꺼놨다'로 쓴 것입니다.
|
0 | '깨끗하지 않다'의 준말 | 2019. 12. 6. |
'깨끗하지 않다'의 준말은 무엇인가요?
|
'깨끗하지 않다'의 준말은 '깨끗잖다'입니다. 한글맞춤법 제39항에 따르면 어미 '-지' 뒤에 '않-'이 어울려 '-잖-'이 될 적과 '-하지' 뒤에 '않-'이 어울려 '찮-'이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데, '깨끗하지 않다'는 제40항 [붙임 2]에 따라 줄 때에는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어 '깨끗지 않다'가 된 다음에 '-지' 뒤에 '않-'이 어울려 줄므로 '깨끗잖다'가 됩니다.
|
0 | '깨끗지'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깨끗지'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깨끗지'의 표준 발음은 [깨끋찌]입니다. 표준발음법 제9항에 따르면 받침 'ㅅ'은 자음 앞에서 대표음 [ㄷ]으로 발음하고, 제23항에 따라 받침 'ㄷ(ㅅ)' 뒤에 연결되는 'ㅈ'은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깨끗지'는 [깨끋찌]로 발음합니다.
|
0 | '까맣습니다', '까맙니다'의 표현 | 2019. 12. 6. |
'까맣습니다', '까맙니다' 중에 무엇이 맞는 표현인가요?
|
‘까맣습니다’가 맞습니다. 표준어규정 제17항에 따르면 '-습니다', '-읍니다' 중 '-습니다'만 표준어라, '까맣다'의 어간 '까맣-' 뒤에 '-읍니다'가 아닌 '-습니다'가 붙으므로 '까맙니다'가 아닌 '까맣습니다'가 표준어가 됩니다.
|
0 | '길잡이', '길앞잡이'의 표현 | 2019. 12. 6. |
'길앞잡이'는 '길잡이'의 잘못된 말이라 나오는데, 국립국어원에서 검색해 봤더니 별다른 말이 없고, '→ 길잡이.'라고만 돼 있네요. '길앞잡이'는 표준어인가요?
|
'길앞잡이'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길잡이'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길앞잡이'는 '길잡이'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참고로,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길-앞잡이02'의 뜻풀이에 '→ 길잡이.'와 같이 정보가 제시되어 있는 것은 잘못된 표기이거나 표준어가 아니니 화살표 뒤의 바른 표기나 표준어를 참고하라는 뜻입니다.
|
0 | '길다'의 활용 | 2019. 12. 6. |
'길다면 길다'라는 표현을 한글 프로그램으로 맞춤법 검사를 해 보니 '기다면 길다'라고 나오던데 '기다면 길다'가 맞는 표현인가요?
|
'기다면 길다'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길다’의 어간 ‘길-’ 뒤에 연결 어미 ‘-다면’이 붙으면 어간의 'ㄹ'이 탈락하지 않으므로 ‘길다면 길다’와 같이 적는 것이 맞습니다. 참고로, 어간 끝 자음 'ㄹ'은 ‘ㄴ, ㅂ,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어미 ‘-오, -ㄹ’ 앞에서 탈락하지만 'ㄷ' 앞에서는 탈락하지 않습니다.
|
0 | '길다'의 명사형 | 2019. 12. 6. |
길다'를 '-(으)ㅁ'을 사용해서 명사형을 만들 때 '긺', '김', '길음' 중 무엇이라고 해야 맞나요?
|
‘길다’의 명사형은 ‘긺’입니다. ‘길다’와 같이 ‘ㄹ’ 받침으로 끝난 용언의 어간 뒤에는,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등에 붙어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 ‘-ㅁ’이 붙으므로 ‘긺'과 같이 활용됩니다. 'ㄹ' 받침으로 끝난 어간 뒤에 '-ㅁ'이 붙으면 'ㄹ'이 탈락하지 않고, '-음'은 아예 붙지도 않으므로 '김'이나 '길음'은 맞지 않는 표현입니다.
|
0 | 한글 자모의 이름 | 2019. 12. 6. |
최세진이 한자음을 고려하여 짓다 보니, '기윽', '시읏', '디읃'이 아닌 '기역', '시옷', '디귿'으로 쓰게 되었다는 것은 알겠는데, '키읔'과 '티읕'은 어째서 '키역', '티귿'으로 쓰지 않나요?
|
'기역', '디귿', '시옷'은 관행을 따른 것이고 나머지는 규칙에 따라 정했기 때문입니다. 최세진이 한글 자모의 명칭을 붙인 것은 기역부터 이응까지만이고 '기역', '디귿', '시옷'은 그 관행을 따라 자모명을 정했지만, 나머지는 초성과 종성 쓰임을 보이는 규칙대로 '니은', '리을', '미음', '비읍', '이응', '지읒', '치읓', '키읔', '티읕', '피읖', '히읗'으로 쓰게 된 것입니다.
|
0 | '급상승되다'와 '급상승하다'의 표현 | 2019. 12. 6. |
'수위가 급상승됨'이 맞는지 '수위가 급상승함'이 맞는지 궁금하네요?
|
'수위가 급상승함', '수위가 급상승됨' 모두 쓸 수 있습니다. ‘수위 따위가 갑자기 올라가다’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급상승하다’의 명사형인 ‘급상승함’을 쓰고, ‘수위가 갑자기 올라가게 되다’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급상승되다’의 명사형인 ‘급상승됨’을 씁니다.
|
0 | '금지하다'와 '금지시키다'의 표현 | 2019. 12. 6. |
"수질 환경 보호 및 수서 생태계 보호를 위하여 계곡 내 출입을 {금지합니다/금지시킵니다}."에서 어떤 표현이 맞나요?
|
"수질 환경 보호 및 수서 생태계 보호를 위하여 계곡 내 출입을 금지합니다."가 적절한 표현입니다. ‘금지하다’는 '법이나 규칙이나 명령 따위로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하다'의 뜻을 나타내므로, 굳이 여기에 사동의 접사 ‘-시키다’를 붙일 필요가 없습니다.
|
0 | 대나무를 세는 단위 | 2020. 1. 16. |
대나무 셀 때 '그루'라고 세나요, '대'라고 세나요?
|
대나무를 세는 단위는 '그루'가 적절합니다. '대나무'는 '대'를 목본으로 이르는 말이므로 나무를 세는 단위인 ‘그루’를 쓰는 것이 알맞습니다.
|
0 | '그렇지 않았다면'과 '그러지 않았다면'의 차이 | 2020. 1. 16. |
"먼저 알았기에 망정이지 {그렇지/그러지} 않았다면 큰일 날 뻔했다."에서 둘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그렇지'는 상태를 가리키는 형용사이고, '그러지'는 행동을 가리키는 동사로 차이가 있습니다만, 제시된 맥락에서는 '먼저 알다'를 가리키므로 동사 '그러지'가 적절합니다.
|
0 | '그러니까'와 '그러므로'의 차이 | 2020. 1. 16. |
"이제는 한 집안이다. {그러니까/그러므로} 서로 아끼고 사랑해야 한다."에서 무엇이 맞나요?
|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는 이유나 근거를 나타내고 ‘그러므로’도 이유나 원인, 근거를 나타내므로 제시하신 문장과 같이 앞의 내용이 뒤의 내용의 이유나 근거가 될 때에는 접속 부사 ‘그러니까’ 또는 ‘그러므로’를 모두 쓸 수 있습니다.
|
0 | '그러나'의 쓰임 | 2020. 1. 16. |
"어머니는 오늘도 공부는 안 하고 나가 놀기만 하는 나를 보고 눈물을 흘리셨다. 그러나 나는 아랑곳하지 않고 오늘도 나가서 놀았다."에서 '그러나'의 쓰임은 적절한가요, 적절하지 않은가요?
|
적절합니다. '그러나'는 앞의 내용과 뒤의 내용이 상반될 때 쓰는 접속 부사인데, 보이신 문장은 앞 절이 내가 놀기만 해서 어머니가 슬퍼한다는 내용이고 뒤 절이 나는 아랑곳하지 않고 계속 논다는 내용이라 서로 상반되므로 '그러나'의 쓰임은 적절해 보입니다.
|
0 | '그때', '그 때'의 띄어쓰기 | 2020. 1. 16. |
"{그때/그 때}는 그럴 수밖에 없었어요."에서 '그때', '그 때'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
"그때는 그럴 수밖에 없었어요."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여기에서 '그때'는 '앞에서 이미 이야기한 시간상의 어떤 점이나 부분'을 이르는 합성어이므로 붙여 씁니다.
|
0 | '그대로다'와 '그대로이다'의 표현 | 2020. 1. 16. |
'그대로다', '그대로이다' 중 어떤 것이 옳은 건가요?
|
'그대로다', '그대로이다' 둘 다 옳습니다. ‘그대로’ 뒤에 조사 ‘이다’가 붙은 말이므로 ‘그래로이다’가 본디의 형태입니다. 다만 모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서는 '이다'의 '이-'가 쉽게 줄기도 하므로 '그대로다'와 같이 쓰기도 합니다.
|
0 | '그날그날', '그날 그날'의 띄어쓰가 | 2020. 1. 16. |
"일기는 {그날그날/그날 그날} 써야 한다."에서 맞는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
"일기는 그날그날 써야 한다."와 같이 붙여 씁니다. ‘그날그날’은 '각각 해당한 그 날짜마다’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이므로 붙여 적습니다.
|
0 | '그'와 '그녀'의 차이 | 2020. 1. 16. |
여자를 가리키는 데 '그'를 써도 되나요? '그녀'를 쓰면 틀린 것인가요?
|
'그'는 주로 남자를 가리킬 때 쓰지만 여자를 가리킬 때 써도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그’는 말하는 이와 듣는 이가 아닌 사람을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로 앞에서 이미 이야기하였거나 듣는 이가 생각하고 있는 사람, 주로 남자를 가리킵니다만, 여자를 가리킬 때 쓸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현실적으로 지시하는 대상이 여자인 경우에는 '앞에서 이미 이야기한 여자'를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인 '그녀'를 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0 | '귀걸이'와 '귀고리'의 표현 | 2020. 1. 16. |
'귀걸이'와 '귀고리'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
'귀걸이', '귀고리' 모두 표준어입니다. ‘귓불에 다는 장식품'을 이르는 동의어로서 '귀고리'와 ‘귀걸이’를 모두 쓸 수 있습니다.
|
0 | '궐련'과 '권연'의 표현 | 2020. 1. 16. |
'궐련', '권연' 중 표준어는 무엇인가요?
|
'권연(卷煙)'과 '궐련' 모두 표준어입니다. '권연(卷煙)'은 음이 변한 '궐련(卷▽煙▽)'의 원말로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
0 | '궁금해하다'의 단어 형성법 | 2020. 1. 16. |
'궁금해하다'를 살펴보면, '궁금하-(형용사) + -어(어미) + 하다(보조 용언)'와 같이 되는 게 맞나요?
|
'궁금해하다'는 '궁금하다'의 어간 '궁금하-' 뒤에, 형용사 뒤에서 ‘-어하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대상에 대한 느낌을 가짐'을 나타내는 보조 동사 '하다'가 이어진 말입니다.
|
0 | '굽다'의 활용 | 2020. 1. 16. |
'굽-+-을'의 활용형은 무엇인가요?
|
'구울'입니다. '굽다'는 'ㅂ' 불규칙 용언이라 어간 '굽-' 뒤에 관형사형 어미 '-을'과 같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하면 어간 받침 'ㅂ'이 'ㅜ'로 바뀌어 '구울'이 됩니다.
|
0 | '군밤'의 단어 형성법 | 2020. 1. 16. |
'군밤'은 어떻게 형성된 단어인가요?
|
‘군밤’은 합성법에 따라 형성된 단어입니다. '굽다'의 어간 '굽-'에 관형사형 어미 '-은'이 결합하면 'ㅂ' 불규칙 활용으로 '구운'이 되는데 이것이 ‘군’으로 변형되어 굳어진 것입니다.
|
0 | "표준국어대사전"의 동의어 표시 | 2020. 1. 16. |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동의어 표시를 어떻게 하나요?
|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동의 관계에 있는 표제어들은 어느 하나를 기본 표제어로 삼고 각자 뜻풀이를 하되, 기본 표제어의 뜻풀이 마지막에는 '≒' 뒤에 관련 동의어를 모두 올리고, 기본 표제어가 아닌 표제어는 뜻풀이 마지막의 '=' 뒤에 기본 표제어 동의어만 올립니다.
군계-일학(群鷄一鶴)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에 나오는 말이다. ≒계군고학, 계군일학.
계군-고학(鷄群孤鶴)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에 나오는 말이다. =군계일학.
계군-일학(鷄群一鶴)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에 나오는 말이다. =군계일학.
|
0 | '국회 의원', '국회의원'의 띄어쓰기 | 2020. 1. 16. |
'국회 의원'은 띄어 쓰나요, 붙여 쓰나요?
|
'국회 의원'으로 띄어 쓸 수도 있고 '국회의원'으로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50항에 따르면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도 있으므로 ‘국회 의원’처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고, ‘국회의원’처럼 붙여 쓰는 것이 허용됩니다.
|
0 | '국립 과천 과학관'의 띄어쓰기 | 2020. 1. 16. |
'국립 과천 과학관'이 맞나요, '국립과천과학관'이 맞나요?
|
'국립 과천 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 모두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9항에 따르면, 성명 이외의 고유 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으므로 ‘국립 과천 과학관’과 같이 단어별로 띄어 씀이 원칙이지만, ‘국립과천과학관’과 같이 단위별로 쓸 수도 있습니다.
|
0 | '구분 없이', '틀림없이'의 띄어쓰기 | 2020. 1. 16. |
'구분 없이'는 띄고, '틀림없이'는 붙이는 명확한 기준이 무엇인가요?
|
‘구분 없이’는 구이므로 띄어 쓰고, ‘틀림없이’는 ‘틀림없다’에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 ‘-이’가 붙어 만들어진 부사이므로 붙여 씁니다. 복합어 여부는 구성 단어 간의 긴밀성이나 새로운 뜻 형성 여부는 물론이고 함께 노출되는 빈도까지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
0 | '수레', '구루마'의 표현 | 2020. 1. 16. |
'수레'와 '구루마' 모두 표준어인가요?
|
'수레'만 표준어입니다. 바퀴를 달아서 굴러가게 만든 기구를 뜻하는 표준어는 '수레'입니다. '구루마'는 일본말로 표준어가 아닙니다.
|
0 | '구특허법', '구 특허법'의 띄어쓰기 | 2020. 1. 16. |
'구 특허법'이 맞나요, '구특허법'이 맞나요?
|
개정되기 전의 특허법을 말하는 경우라면 '구특허법'이 적절합니다. ‘구(舊)’는 '지난날의. 지금은 없는'의 뜻을 나타내는 관형사로 '구 시민 회관', '구 대한 청년당'과 같이 쓰이기도 하고, ‘묵은’ 또는 ‘낡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구세대', '구제도'와 같이 쓰이기도 하는데, 개정되기 전의 특허법은 개정 후 특허법과 구별하여 '묵은' 또는 '낡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를 써 '구특허법'으로 쓰는 것이 알맞습니다.
|
0 | '교통사고', '교통 사고'의 띄어쓰기 | 2020. 1. 16. |
'교통사고', '교통 사고' 중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
'교통사고'로 붙여 씁니다. '교통사고'는 '운행 중이던 자동차나 기차 따위가 사람을 치거나 다른 교통 기관과 충돌하는 따위 교통상의 사고'를 이르는 합성어이므로 '교통사고’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
0 | '교육열', '교육렬'의 표기 | 2020. 1. 16. |
한글맞춤법 제11항 다만에 따르면, 'ㄴ' 외 받침 뒤에서는 '렬', '률'로 적는다는데 왜 '교육열'은 '교육렬'이 아닌가요?
|
'교육열'의 '열(熱)’은 본음이 ‘열’이기 때문입니다. 규정의 '列', '率'은 각각 본음이 '렬', '률'이라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서 속음인 '열', '율'로 적고 나머지 받침 뒤에서는 본음대로 '렬', '률'로 적지만, ‘교육열(敎育熱)’의 '열'은 본음이 '열'이라 앞말의 받침 여부와 상관없이 늘 '열'로 적습니다.
|
0 | '교육시키다', '교육하다'의 표현 | 2020. 1. 16. |
'교육시키다'는 맞는 표현일까요?
|
'교육시키다'는 맞는 표현입니다. '교육하다'는 '지식과 기술 따위를 가르치며 인격을 길러 주다'를 뜻하므로, 자녀를 학교에 보내 교육자가 교육하게 하는 것은 '교육'에 ‘사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시키다'를 붙여 "그는 날품을 팔아 자식들을 교육시켰다."와 같이 표현하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선생님이 교실에서 학생들을 교육시키고 있다."처럼 '교육하다'를 써야 할 자리에 '교육시키다'를 쓰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
0 | '괜찮다'의 활용 | 2020. 1. 16. |
사극에 자주 나오는 대사 '괜찮느냐'가 매우 거슬리는데 '괜찮으냐'가 옳은 것 아닌가요?
|
'괜찮으냐'가 적절합니다. '괜찮다'는 형용사인데, '-느냐'는 ‘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동사 어간 등에 붙어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이고, '-으냐'는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이므로 '-으냐'를 붙여 '괜찮으냐'라고 하는 것이 맞습니다.
|
0 | '광양자', '광량자'의 표기 | 2020. 1. 16. |
'광양자'와 '광량자' 중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
‘광양자’가 바른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11항 [붙임 4]에 따르면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ㄹ'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법칙에 따라 적으므로, 합성어 '광-양자(光量子)'의 뒷말 '양자'의 첫소리도 두음법칙에 따라 '광-양자'로 적습니다.
참고로 동음어인 '광-양자(光陽子)'의 '陽'은 본음이 '양'이라 두음법칙과 상관없이 언제나 '양'으로 적습니다.
|
0 | '광양'의 표준 발음 | 2020. 1. 16. |
'삼일절'을 [사밀쩔]로 발음하는 것처럼 앞말의 받침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뒤 음절의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는데, '광양'의 경우 앞 음절의 'ㅇ'이 뒤 음절의 첫소리로 옮겨 발음되나요?
|
'광양'의 표준 발음은 [광양]입니다. '광'의 'ㅇ' 받침은 뒤 음절의 첫소리로 연음이 되지 않습니다. 국어의 음절 구성에서 종성(終聲)에 쓰인 ‘ㅇ’은 [ㅇ]으로 발음되지만 초성에 쓰인 'ㅇ'은 음가가 없으므로, 'ㅇ' 받침은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말이 올지라도 그 말의 초성으로 연음되지 않습니다.
|
0 | 대명사, 수사의 수식 | 2020. 1. 16. |
대명사와 수사는 관형어의 수식을 받지 못한다는데, 관형사의 수식을 받지 못하는 게 아닌가요?
|
생각하신 바가 맞습니다. 관형사는 '새 이것'처럼 대명사를 수식하는 것이 어색하지만, 용언의 관형사형은 '아름다운 그녀'처럼 대명사를 수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사는 '그 둘', '중요한 하나'와 같이 관형사, 관형사형의 수식을 받기도 합니다.
|
0 | '과시욕'의 표현 | 2020. 1. 16. |
'과시욕'이라는 단어는 표준어인가요?
|
'과시욕'이라는 단어도 쓸 수 있습니다. '과시욕'은 '자랑하여 보임'을 뜻하는 명사 '과시'에, ‘욕구’ 또는 ‘욕망’의 뜻을 더하는 생산적인 접미사 '-욕'이 붙은 말로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지만 현실 쓰임을 보여 주는 "우리말샘"에는 올라 있습니다.
|
0 | '공정률', '공정율'의 표기 | 2020. 1. 16. |
'공정률/공정율'에서 어느 것이 맞나요?
|
‘공정률’이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11항 [붙임 1]에 따르면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습니다만, '렬', '률'은 예외적으로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서는 '열', '율'로 적고 나머지 받침 뒤에서는 '렬', '률'로 적으므로 '공정률'로 적습니다.
|
0 | '공작 부인'과 '공작부인'의 띄어쓰기 | 2020. 1. 16. |
공작의 아내를 뜻하는 말은 '공작 부인'과 같이 띄어 쓰나요, '공작부인'과 같이 붙여 쓰나요?
|
'공작 부인'과 같이 띄어 씁니다. 공작의 아내를 뜻하는 말은 작위명인 '공작(公爵)'과, 남의 아내를 높여 이르는 '부인(夫人)'이 이어진 구이므로 '공작 부인'으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참고로, 화려하게 차린 아름다운 여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공작부인(孔雀夫人)’은 합성어로서 붙여 씁니다.
|
0 | '공용어'와 '표준어'의 차이 | 2020. 1. 16. |
'공용어'와 '표준어'는 어떻게 다른가요?
|
'공용어(公用語)’는 '한 나라 안에서 공식적으로 쓰는 언어'나 '국제회의나 기구에서 공식적으로 쓰는 언어'를 뜻하고, ‘표준어’는 '한 나라에서 공용어로 쓰는 규범으로서의 언어'를 뜻하므로 개념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
0 | '공동 구매 하다'의 띄어쓰기 | 2020. 1. 16. |
'공동 구매 하다', '공동 구매하다'의 띄어쓰기는 어떻게 하나요?
|
'공동 구매 하다'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공동 구매'는 명사구이고 '공동'은 부사가 아니므로 '공동 구매' 뒤에 '하다'가 온 경우에는 '공동 구매(를) 하다' 구성으로 보아 '공동 구매 하다'로 띄어 씁니다.
|
0 | '곳'의 품사 | 2020. 1. 16. |
'곳'은 자립성이 없어서 의존 명사로 분류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
‘곳’은 자립 명사입니다. '곳'의 쓰임이 여느 자립 명사들에 비하여 제한적이라 의존 명사와 유사해 보이기는 합니다만, "곳에 따라 기후가 조금씩 다르다."처럼 수식어구를 동반하지 않고 쓰이기도 하므로 의존 명사로 분류하기 어렵습니다.
|
0 | '곬이', '닭이'의 발음 차이 | 2020. 1. 16. |
'곬이'[골씨]가 '닭이'[달기]와 달리 된소리가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곬이'는 예외적인 경우이기 때문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4항에 따르면,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의 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므로 '닭이'는 [달기]로 발음합니다만, 예외적으로 겹받침 'ㄳ, ㄽ, ㅄ'의 경우에는 'ㅅ'을 연음하되 된소리 [ㅆ]으로 발음하므로 '곬이'는 [골씨]로 발음하는 것입니다.
|
0 | '곧이어'의 표준 발음 | 2020. 1. 16. |
'곧이어'의 [고디어]가 맞나요, [곤니어]가 맞나요?
|
‘곧이어’의 표준 발음은 [고디어]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9항에 따르면 합성어에서 앞 단어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의 첫음절이 '이'인 경우에는 'ㄴ' 소리를 첨가하여 [니]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ㄴ' 소리를 첨가하여 발음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곧이어'가 바로 그런 경우입니다.
|
0 | '고치 금', '고칫금'의 바른 표기 | 2020. 1. 16. |
'고치의 값'을 뜻하는 '고치+금'을 '고치금'으로 써야 하나요? 아니면 사이시옷을 넣어서 '고칫금'이라고 써야 하나요?
|
'고치 금'으로 씁니다. 합성어가 아니고 ‘고치’와, 시세나 흥정에 따라 결정되는 물건의 값을 이르는 명사 ‘금’이 이어진 구이므로 ‘고치 금’과 같이 띄어 써야 합니다.
|
0 | '고쳐쓰기'와 '고쳐 쓰다'의 띄어쓰기 | 2020. 1. 16. |
'고쳐쓰기'가 '퇴고'의 뜻으로 쓰일 때에는 합성어로 붙여 쓰는 것이 맞는데, '~을 고쳐 쓴다'와 같이 쓰여도 붙여 쓰나요?
|
‘무엇을 고쳐 쓴다'와 같이 띄어 씁니다. ‘고치다’의 활용형 '고쳐'와 ‘쓰다’가 이어진 구이므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알고 계신 대로 글을 쓸 때에 글의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아서 다시 쓰는 일을 이르는 명사 ‘고쳐쓰기’는 하나의 명사로 굳어져 붙여 쓰지만 '고쳐 쓰다'는 구로서 띄어 쓰는 것입니다.
|
0 | '-고(요)'의 쓰임 | 2020. 1. 16. |
"바지하고 구두를 샀어요. 그리고 모자도 샀고요."에서 '-고요'의 뜻은 무엇인가요?
|
여기서 '-고요'는 두 가지 이상의 사실을 대등하게 벌여 놓는 연결 어미 '-고' 뒤에 두루높임의 보조사 '요'가 붙은 말입니다. 문장이 연결어미로 끝나 추가적으로 얼마든지 열거될 수 있는 여지를 둔 표현입니다.
|
0 | '고얀'의 사전 찾기 | 2020. 1. 16. |
'고얀'을 사전에서 어떤 단어로 찾아야 하나요?
|
'고얀'으로 찾습니다. '성미나 언행이 도리에 벗어나는'을 뜻하는 '고얀'은 관형사이므로 '고얀'으로 찾아야 합니다.
|
0 | '고야이루시엔테스', '고야 이루시엔테스'의 띄어쓰기 | 2020. 1. 16. |
에스파냐 화가 'Goya y Lucientes, Francisco José de'는 '고야이루시엔테스'로 붙여 쓰는 것이 맞나요?
|
에스파냐 화가 'Goya y Lucientes, Francisco José de'는 ‘고야이루시엔테스’와 같이 붙여 씁니다.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지침에 따르면, 두 가지 이상의 요소로 이루어진 복합 인명은 한 가지 요소로만 이루어진 단순 인명과 같이 처리하는데, 특히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의 y와 e를 포함하는 합성적 성(姓)은 이 요소 앞에 있는 성분까지를 성으로 보므로 'y' 앞의 '고야'까지 붙여 '고야이루시엔테스'로 씁니다.
|
0 | 연결어미 '-고'의 반복적인 쓰임 | 2020. 1. 16. |
"착하고 능력이 있고 유머 감각이 있고 ~고 ~고......"라는 표현이 적절한지요?
|
문법적으로 "착하고 능력이 있고 유머 감각이 있고 ~고 ~고......"라고 쓸 수 있습니다. 여기서 ‘-고’는 두 가지 이상의 사실을 대등하게 벌여 놓는 연결 어미이므로, 다수의 사실을 연결할 때에도 쓸 수 있습니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표현 변화를 위해 '-고'를 반복하기보다는 '-고'와 '-며'를 번갈아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
0 | '경우'와 '경우에는'의 표현 | 2020. 1. 16. |
"수정·폐기가 부득이한 {경우/경우에는} 각 부서의 장은 결재를 받아 ooo을 제출해야 한다."에서 바른 표현은 무엇인가요?
|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수정·폐기가 부득이한 경우'는 문장 구조상 부사어이므로, 부사격 조사를 넣어 '수정·폐기가 부득이한 경우에는'으로 쓸 수 있습니다. 다만, 현실적으로 부사어 쓰임이 쉽게 추정되는 경우에는 조사를 생략하고 쓰기도 하고 그런 경우에는 짧은 휴지를 나타내는 쉼표를 조사 대신 쓰기도 합니다.
|
0 | '겨우살이'와 '가을살이'의 형태적 차이 | 2020. 1. 16. |
'겨우살이'는 'ㄹ'이 탈락했는데 '가을살이'는 왜 'ㄹ'이 탈락하지 않나요?
|
'겨우살이'는 역사적으로 'ㄹ'이 탈락하여 굳어진 것이고, '가을살이'는 탈락하지 않고 굳어졌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28항에 따르면,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안 나는 대로 적으므로, '겨우살이'의 '겨울'은 'ㄹ'이 탈락하여 소리가 나지 않아 '겨우살이'로 적는 것이고, '가을살이'의 '가을'은 'ㄹ'이 소리가 나 '가을살이'로 적는 것입니다.
|
0 | '마실게요'의 표준 발음 | 2020. 1. 16. |
'마실게요'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마실게요'는 [마실께요]와 같이 발음합니다. 표준발음법 제27항에 따르면 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은 된소리로 발음하는데, 그 붙임에 따르면 '-(으)ㄹ'로 시작되는 어미의 경우에도 이에 준하므로 '마시-+-ㄹ게+요'가 결합한 말 '마실게요'는 [마실께요]로 발음하는 것입니다.
|
0 | '되는 것', '되는 것'의 띄어쓰기 | 2020. 1. 16. |
'도움이 {되는 것/되는것}은'에서 '것'은 앞말과 띄어 쓰나요?
|
'도움이 되는 것은'과 같이 앞말과 띄어 씁니다. 한글맞춤법 제42항에 따르면, 의존 명사는 띄어 쓰는데, '것'도 의존 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것'의 구어적 표현 '거'에 보조사 'ㄴ'이 붙은 '건'이나, '거'에 주격 조사 '이'가 결합된 '게'도 마찬가지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
0 | '거'와 '것'의 차이 | 2020. 1. 16. |
통상적으로 문장 속에서 '거'와 '것'이 구분되지 않고 사용되는 것 같은데 바른 문법이 어떤 것인지요?
|
‘것’과 ‘거’는 모두 문법적으로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거’는 '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로서, ‘것’에 비해 입말에서 많이 쓰입니다.
|
0 | '것을'과 '걸'의 표기 | 2020. 1. 16. |
'좋아하는 {것을/걸} 하다'에서 어떤 표현이 맞는 건가요?
|
'것을'과 '걸'을 모두 쓸 수 있습니다. '것을'은 의존 명사 ‘것’ 뒤에 목적격 조사 ‘을’이 붙은 형태이고, '걸'은 '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거’ 뒤에 ‘를’보다 구어적인 ‘ㄹ’이 붙은 형태입니다.
|
0 | '건의받다', '건의 받다'의 띄어쓰기 | 2020. 1. 16. |
'건의받다/건의 받다' 중 어떤 게 맞는 건지요?
|
'건의받다'와 같이 붙여 적는 것이 맞습니다. '개인이나 단체가 의견이나 희망을 내놓음'을 뜻하는 명사 '건의' 뒤에, 피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받다'를 붙여 '건의받다'와 같이 적습니다.
|
0 | '거의'와 '대부분'의 차이 | 2020. 1. 16. |
"통장에 돈이 {거의/대부분} 없어서 당장 살 길이 막막하다."에서는 알맞은 표현은 무엇인가요?
|
"통장에 돈이 거의 없어서 당장 살길이 막막하다."가 자연스럽습니다. 여기에서 '거의'는 '어느 한도에 매우 가까운 정도로'를 이르는 부사로서 '없는 상태에 매우 가까운 정도로'의 뜻을 나타냅니다. 부사 '대부분'은 '일반적인 경우에'의 뜻이라 맥락에 맞지 않습니다.
|
0 | '거시기'의 표현 | 2020. 1. 16. |
'거시기'는 표준어인가요?
|
'거시기'는 표준어가 맞습니다. '거시기'는 이름이 얼른 생각나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 곤란한 사람 또는 사물을 가리키는 대명사로도 쓰이고, 하려는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가 거북할 때 쓰는 군소리인 감탄사로도 쓰이는 표준어입니다.
|
0 | 동음어 '걷다'의 의미 구별 | 2020. 1. 16. |
'돈을 걷다'의 '걷다'와, '빨래를 걷다'의 '걷다'는 어떻게 구별해야 하나요?
|
동음이의어는 문맥에 따라 의미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돈을 걷다'의 '걷다'는 '거두다'의 준말로 '여러 사람에게서 돈이나 물건 따위를 받아들이다'의 뜻으로 쓰이고, '빨래를 걷다'의 '걷다'는 '널거나 깐 것을 다른 곳으로 치우거나 한곳에 두다'의 뜻으로 쓰이므로 그 쓰이는 맥락으로 구별해야 합니다.
|
0 | '거꾸로'와 '깍두기'의 된소리 표기 | 2020. 1. 16. |
'거꾸로'의 '거'에는 'ㄲ'을 쓰지 않고, '깍두기'의 '깍'에는 'ㄲ'을 쓰는데, 두 단어는 어떤 차이가 있어서 이렇게 다르게 표기하나요?
|
'거꾸로'와 '깍두기'의 표준 발음이 각각 [거꾸로]와 [깍뚜기]이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1항에 따르면,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므로, 어두의 된소리 표기는 표준어의 소리를 따른 것입니다.
|
0 | '이런 데', '이런데'의 띄어쓰기 | 2020. 1. 16. |
'{이런 데/이런데} 쓰이는'에서 '데'의 띄어쓰기는 어떻게 하나요?
|
'이런 데 쓰이는'과 같이 띄어 씁니다. 여기서 '데'는 '곳'이나 '일, 것' 등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입니다. 한글맞춤법 제42항에 따르면 의존 명사는 띄어 쓰므로 '이런 데'로 띄어 씁니다.
|
0 | '갯벌'과 '개펄'의 차이 | 2020. 1. 16. |
'갯벌'과 '개펄'은 어떻게 다른가요?
|
'갯벌'과 '개펄'은 동의어로 뜻이 같습니다. 둘 다 '밀물 때는 물에 잠기고 썰물 때는 물 밖으로 드러나는 모래 점토질의 평탄한 땅'을 뜻합니다.
참고로, 예전에는 '개흙이 깔린 벌판'을 뜻하는 '개펄'과 '바닷물이 드나드는 모래톱'을 뜻하는 '갯벌'을 구분한 바 있으나 현실적으로 별 차이가 없이 쓰이는 것을 반영하여 동의어로 인정하였습니다.
|
0 | '개최하다'와 '개최되다'의 표현 | 2020. 1. 16. |
"람사르 총회가 창원에서 개최됩니다."는 어법에 맞지 않은 것 같은데, "람사르 총회를 창원에서 개최합니다."로 바꾸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
"람사르 총회가 창원에서 개최됩니다."는 어법상 문제가 없습니다. '개최되다'는 ‘모임이나 회의 따위가 주최되어 열리다’를 뜻하므로 "람사르 총회가 창원에서 개최됩니다."라고 쓸 수 있습니다.
다만, 표현상으로는 피동문보다는 능동문으로 '모임이나 회의 따위를 주최하여 열다'를 뜻하는 '개최하다'를 써 "(OO가) 람사르 총회를 창원에서 개최합니다."와 같이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어 설정이 쉽지 않습니다.
|
0 | '개었다', '갰다'의 표기 | 2020. 1. 16. |
'개었다'와 '갰다' 중 어느 것이 맞는 것인지요? 준말이 더 널리 쓰여 '날이 갰다'가 맞는 문장이라고 하던데 맞나요?
|
‘개었다’와 ‘갰다’를 모두 쓸 수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4항 [붙임 1]에 따르면 'ㅐ' 뒤에 '-었-'이 어울려 줄 적에는 준 대로 적으므로 '개었다'가 '갰다'로 줄 적에는 준대로 적고, 줄지 않을 적에는 '개었다'로 적습니다.
|
0 | '개어서', '개서'의 표기 | 2020. 1. 16. |
"날이 {개어서/개서} 밖에 갔다."는 둘 다 쓸 수 있나요? 준말 규정에 의하면 '개어'는 '개'로 주는데, '개어서'에도 같은 규정을 적용할 수 있나요?
|
'개어서', '개서' 모두 쓸 수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4항 [붙임 1]에 따르면 'ㅐ' 뒤에 '-어'가 어울려 줄 적에는 준 대로 적으므로, '-어'가 포함된 '-어서'도 이에 준해 ‘개어서’가 '개서'로 줄면 준 대로 적고 줄지 않으면 '개어서'로 적습니다.
|
0 | '개수', '갯수'의 표기 | 2020. 1. 16. |
'최댓값', '최솟값'처럼 '갯수'로 써야 하는 거 아닌가요?
|
'개수'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사이시옷은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 6개의 두 음절로 된 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에만 받치어 적습니다. 따라서 한자어와 순우리말이 결합한 '최댓값', '최솟값'은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만, 한자어와 한자어가 결합한 '개수(個數)'는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습니다.
|
0 | '개다'의 피동 표현 | 2020. 1. 16. |
'이불을 개다'에서 동사 '개다'의 피동형이 어떻게 되는지요?
|
'이불을 개다'의 ‘개다’는 피동사가 없습니다. 북한어로 '개다'의 피동사 '개이다'가 있기는 하지만 표준어가 아닙니다.
|
0 | '비단 같다', '굼벵이 같다'의 띄어쓰기 | 2020. 1. 16. |
'감쪽같다', '굴왕신같다'는 붙여 쓰는데 '비단 같다', '굼벵이 같다'는 띄어 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감쪽같다', '굴왕신같다'는 합성어로 굳어져 붙여 쓰지만 '비단 같다', '굼벵이 같다'는 한 단어가 아니므로 띄어 씁니다. 여기서 '같다'는 '다른 것과 비교하여 그것과 다르지 않다'의 뜻을 나타내는 형용사로서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
0 | '같다'의 활용 | 2020. 1. 16. |
'같아요'와 '같애요' 중 어느 것이 맞는 말인가요?
|
'같아요'가 맞습니다. '같다'의 어간 '같-'에,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인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설명ㆍ의문ㆍ명령ㆍ청유'의 뜻을 나타내는 해요체 종결 어미 '-아요'가 결합한 말이므로 '같아요'가 바른 표현입니다.
|
0 | '강의의'의 표준 발음 | 2020. 1. 16. |
'강의의'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강의의'는 [강ː의의]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강ː이의], [강ː의에], [강ː이에]와 같이 발음할 수도 있습니다. 표준발음법 제5항 다만 4에 따르면 '의'는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되,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하므로 [강ː의의]가 원칙이고 [강ː이의], [강ː의에], [강ː이에]도 허용하는 것입니다.
|
0 | 부사 '갓'의 체언 수식 | 2020. 1. 16. |
'갓'은 부사인데 '갓 스물이 되다'처럼 체언을 수식할 수 있나요?
|
'갓 스물이 되다'의 '갓'은 체언 '스물'이 아니라 용언 '되다'를 수식합니다만, 부사 '갓'이 특수하게 체언을 수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갓'은 '이제 막'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로 '갓 시집오다', '갓 구운 빵', '갓 태어나다', '갓 시골에서 올라오다', '갓 스물이 되다'(스물이 갓 되다), '갓 서른을 넘기다'(서른을 갓 넘기다)처럼 주로 용언을 수식합니다만, '갓 스물의 청년‘처럼 제한적으로 체언을 수식하기도 합니다.
|
0 | '값있다'의 표준 발음 | 2020. 1. 16. |
'값있다'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값있다'의 표준 발음은 [가빋따]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0항에 따르면 겹받침 'ㅄ'은 어말에서 [ㅂ]으로 발음되고, 제15항에 따르면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며, 제9항에 따르면 받침 'ㅆ'은 자음 앞에서 대표음 [ㄷ]으로 발음하고 제23항에 따르면 받침 'ㄷ(ㅆ)' 뒤에 연결되는 'ㄷ'은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값있다'는 [가빋따]로 발음하는 것이 맞습니다.
|
0 | '갑', '곽'의 표현 | 2020. 1. 16. |
'곽'과 '갑'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
'갑'이 표준어입니다. '갑'은 물건을 담는 작은 상자를 이르는 말입니다. '곽'은 '갑'의 비표준어이므로 '우유곽', '성냥곽'은 '우유갑', '성냥갑'으로 써야 합니다.
|
0 | '갈다'의 명사형 | 2020. 1. 16. |
'밭을 갈다'에서 '갈다'의 명사형은 '갊'인가요, '갈음'인가요?
|
'갈다'의 명사형은 '갊'입니다. '갈다'의 어간 '갈-' 뒤에, 받침 없는 용언과 'ㄹ’ 받침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 ‘-ㅁ’이 붙어 '갊'으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음'은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이므로 'ㄹ' 받침이 있는 '갈다'의 어간 뒤에는 붙을 수가 없습니다.
|
0 | '간단하다'의 표준 발음 | 2020. 1. 16. |
'간단하다'의 발음이 [간다나다]라는데, 표준 발음이 맞나요?
|
'간단하다'의 표준 발음은 [간단하다]입니다. 현실 발음에서 'ㅎ'을 발음하지 않고 [간다나다]로 발음하기도 하는데 이는 표준 발음이 아닙니다. 표준발음법 제12항 4번의 해설에 따르면, 'ㅎ'이 단어 둘째 음절 이하의 초성에 놓이면 'ㅎ'을 온전하게 발음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0 | '가치가 높다'와 '가치가 크다'의 차이 | 2020. 1. 16. |
'가치가 크다'로 쓸 수 있나요? '가치가 높다'라고 써야 하나요?
|
'가치가 크다'도 쓸 수 있습니다. '높다'는 ‘품질, 수준, 능력, 가치 따위가 보통보다 위에 있다’의 뜻을 나타내고, '크다'는 ‘일의 규모, 범위, 정도, 힘 따위가 대단하거나 강하다’의 뜻을 나타내므로 일반적으로 ‘가치가 높다’를 많이 쓰기는 합니다만, 가치의 정도가 대단하다는 뜻으로 ‘가치가 크다’와 같이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
0 | '가질러'와 '가지러'의 표현 | 2020. 1. 16. |
'가질러 오다'가 맞나요, '가지러 오다'가 맞나요?
|
'가지러 오다'가 맞습니다. '가지다'의 어간 '가지-' 뒤에, 가거나 오거나 하는 동작의 목적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러'가 붙은 것이므로, '가지러 (오다)'의 형태가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