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named: 0
int64 0
0
| 제목
stringlengths 6
35
| 등록일
stringclasses 2
values | 질문
stringlengths 34
269
| 답변
stringlengths 63
545
|
---|---|---|---|---|
0 | '신붓감', '신부감'의 바른 표기 | 2019. 12. 6. |
'신붓감, 신부감' 중 어떤 것이 옳은 표기인가요?
|
'신붓감'이 맞는 표기입니다. '신붓감'은 '신부가 될 만한 인물. 또는 앞으로 신부가 될 사람'을 뜻하는 합성어입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한자어와 고유어가 결합한 합성어로서 앞말이 받침 없이 끝나고 뒷말의 첫음절이 된소리로 나는 경우에는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습니다.
|
0 | '승부'의 순화 | 2019. 12. 6. |
'승부'는 'しょぅぶ'라 하여 일본에서 쓰이는 말인데, 써도 되나요?
|
'승부'는 쓸 수 있는 말입니다. '승부(勝負)'는 조선왕조실록에서도 그 쓰임이 다수 확인되므로 일본식 한자어로 보기 어렵고, 순화 대상어도 아닙니다. '승부'는 '이김과 짐'을 뜻하는 말로 '승부가 나다', '승부를 가리다'와 같이 쓰입니다.
|
0 | '순국선열'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순국선열'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순국선열(殉國先烈)'의 표준 발음은 [순국써녈]입니다. 현실적으로는 '열' 앞에 'ㄴ'을 첨가하여 [순국썬녈]로 발음하는 경우도 있으나 표준발음법 제29항에 따르면 'ㄴ' 첨가는 합성어나 파생어에서 일어나는데 '선열'은 단일어라 'ㄴ'이 첨가될 조건이 아니므로 [순국써녈]로 발음하는 것이 맞습니다.
|
0 | '화를 삭이다', '화를 삭히다'의 표현 | 2019. 12. 6. |
"아무리 화를 {삭이려고/삭히려고} 해도 마음대로 되지 않았다."에서 어느 것이 맞나요?
|
"아무리 화를 삭이려고 해도 마음대로 되지 않았다."가 맞습니다. '삭이다'는 '긴장이나 화가 풀려 마음이 가라앉다'를 뜻하는 '삭다'의 사동사입니다. 한편, '삭히다'는 '김치나 젓갈 따위의 음식물이 발효되어 맛이 들다'를 뜻하는 '삭다'의 사동사로 '김치를 삭히다', '멸치젓을 삭히다'와 같이 쓰입니다.
|
0 | '먹으려고'와 '먹을려고'의 표현 | 2019. 12. 6. |
"햄버거 {먹으려고/먹을려고} 해."에서 어느 문장이 맞나요?
|
"햄버거 먹으려고 해."가 맞습니다. '-으려고'는 어떤 행동을 할 의도나 욕망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거나 곧 일어날 움직임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로 "새를 잡으려고 돌을 던졌다."와 같이 쓰이고, '-을려고'는 '-으려고'의 비표준어입니다.
|
0 | '손자'와 '손주'의 표현 | 2019. 12. 6. |
'손자'와 '손주' 둘 모두 표준어인가요?
|
'손자'와 '손주' 모두 표준어입니다. '손자'는 아들의 아들 또는 딸의 아들을 이르는 말이고, '손주'는 손자와 손녀를 아울러 이르는 말입니다. 참고로 본디 '손주'는 '손자'의 비표준어였으나 그 뜻을 구분하여 둘 다 표준어로 인정하였습니다.
|
0 | '소수'와 '솟수' 바른 표기 | 2019. 12. 6. |
중등부 교과서에 지금까지 '소수'로 표기되던 용어를 '소수'와 '솟수'로 나누어 표기하고 있는데, 일리가 있는 것인지요?
|
둘 다 '소수'로 표기해야 맞습니다.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실수'를 이르는 '소수(小數)'[소ː수]는 뒷말 첫음절이 된소리로 나지 않고, '1과 그 수 자신 이외의 자연수로는 똑 떨어지게 나눌 수 없는 자연수를 이르는 '소수(素數)'[소쑤]의 뒷말 첫음절은 된소리로 나지만 한자어와 한자어 사이라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한자어와 한자어 사이에는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를 제외하고는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습니다.
|
0 | '살코기', '살고기'의 표기 | 2019. 12. 6. |
'순살로만 된 고기'를 '살고기'가 아닌 '살코기'로 적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살코기'의 '살'은 본디 'ㅎ'종성체언이라 이 말과 오래전에 결합되어 굳어진 말은 'ㅎ' 소리가 덧나므로 '살코기'로 적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1항에 따르면, 두 말이 어울릴 적에 'ㅎ' 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습니다. 참고로, 현대국어에서는 'ㅎ'으로 끝나는 명사가 없지만 15세기에는 '머리(頭), 암(雌), 수(雄), 안(內)' 등이 'ㅎ'으로 끝나는 명사였습니다. 이런 명사를 흔히 "'ㅎ'종성체언" 혹은 "'ㅎ'말음명사"라 합니다.
|
0 | '삐지다'와 '삐치다'의 표현 | 2019. 12. 6. |
'삐지다'와 '삐치다'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
'삐치다'와 '삐지다'는 모두 표준어입니다. '성나거나 못마땅해서 마음이 토라지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삐치다', '삐지다' 모두 쓸 수 있습니다. 참고로, '삐지다'는 본디 '삐치다'의 비표준어였으나 2014년 심의를 거쳐 복수 표준어로 인정되었습니다.
|
0 | '말이야' 쓰임 | 2019. 12. 6. |
"그 집은 참 친절해. 음식도 맛있고 말이야."에서 '말이야'의 쓰임이 어떤 것인지요?
|
제시하신 문장에서 '말이야'는 군말입니다. '말이야'는 어감을 고르게 하는 군말로 상대편의 주의를 끌거나 말을 다짐하는 뜻을 나타냅니다. 제시된 문장은 군말을 제외하고 "그 집은 참 친절해. 음식도 맛있고."라고 써도 온전한 문장이 됩니다.
|
0 | 'robot'의 외래어 표기 | 2019. 12. 6. |
'로보트'와 '로봇' 중에 어떤 것이 맞는 표기인가요?
|
'로봇'(robot)이 맞는 표기입니다. 외래어표기법 영어의 표기 제1항 1에 따르면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 [p], [t], [k]는 받침으로 적으므로 'robot'[rəʊbɒt]은 '로봇'으로 적습니다.
|
0 | '한 살', '한살'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나는 {한 살/한살} 많은 형이랑 집에 갔다."에서 맞는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
"나는 한 살 많은 형이랑 집에 갔다."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나이를 세는 단위 명사 '살'은 그 앞에 오는 수 관형사와 띄어 '한 살'과 같이 적습니다.
|
0 | '처가댁', '처갓댁'의 바른 표기 | 2019. 12. 6. |
'처가댁'이 올바른 표기인가요, '처갓댁'이 올바른 표기인가요?
|
'처가댁'이 올바른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한자어와 한자어 구성의 합성어에서는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여섯 가지를 제외하고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처가(妻家)'와 '댁(宅)'이 결합한 말은 뒷말 '댁'이 된소리로 나더라도 사이시옷을 받치지 않고 '처가댁(妻家宅)'과 같이 적습니다.
|
0 | '좇다'와 '쫓다'의 차이 | 2019. 12. 6. |
'좇다'와 '쫓다'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좇다'는 '목표, 이상, 행복 따위를 추구하다', '남의 말이나 뜻을 따르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명예를 좇다', '부모님의 의견을 좇다'와 같이 쓰입니다. 한편 '쫓다'는 '어떤 대상을 잡거나 만나기 위하여 뒤를 급히 따르다', '어떤 자리에서 떠나도록 몰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쫓고 쫓기는 추격전을 벌이다', "황소가 꼬리를 흔들어 등의 파리를 쫓았다."와 같이 쓰입니다..
|
0 | '왠지', '웬지'의 표기 | 2019. 12. 6. |
'웬지'와 '왠지'의 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
|
'왠지'가 바른 표기입니다. '왠지'는 '왜 그런지 모르게. 또는 뚜렷한 이유도 없이'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로 본디 '왜인지'에서 줄어든 말이므로 '왠지'로 써야 합니다.
|
0 | '얽히고설키다', '얼키고설키다'의 표기 | 2019. 12. 6. |
'얽히고설키다'가 바른 표기인가요?
|
'얽히고설키다'는 바른 표기가 맞습니다. '가는 것이 이리저리 뒤섞이다', '관계, 일, 감정 따위가 이리저리 복잡하게 되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은 '얽히고설키다'와 같이 표기합니다. 동사 '얽다'와 의미적인 관련성으로 형태를 밝혀 '얽히고'로 쓰고 '섥다'라는 말이 아예 없으므로 발음대로 '설키다'로 표기하는 것입니다.
|
0 | '매다'와 '메다'의 구별 | 2019. 12. 6. |
흔히 쓰는 말 중에 넥타이 맨다고 하는데 등산을 갈 때에는 왜 배낭을 멘다라고 하는지요?
|
'매다'와 '메다'는 발음상 잘 구분이 되지는 않지만 서로 다른 말이기 때문입니다. '매다'는 '끈이나 줄 따위의 두 끝을 엇걸고 잡아당기어 풀어지지 아니하게 마디를 만들다'의 뜻으로 '신발 끈을 매다', '넥타이를 매다'와 같이 쓰이며, '메다'는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놓다'의 뜻으로 '어깨에 배낭을 메다'와 같이 쓰입니다.
|
0 | '눈에 띄다'와 '눈에 띠다'의 표기 | 2019. 12. 6. |
'눈에 {띄다/띠다}'에서 어느 것이 올바른 표기인가요?
|
'눈에 띄다'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여기서 '띄다'는 '눈에 보이다'의 뜻을 나타내는 '뜨이다'의 준말로 '빨간 지붕이 눈에 띄다'와 같이 쓰입니다. 반면, '띠다'는 '빛깔이나 색채 따위를 가지다', '감정이나 기운 따위를 나타내다', '어떤 성질을 가지다' 등의 뜻으로, '붉은빛을 띠다', '노기를 띤 얼굴', '보수적 성격을 띠다'와 같이 쓰입니다. '띄다'[띠ː다]와 '띠다'[띠ː다]는 발음이 같아 가끔 혼동되기는 하지만 서로 다른 뜻을 가진 다른 말이므로 구분해 써야 합니다.
|
0 | '안경을 끼다'와 '안경을 쓰다'의 차이 | 2019. 12. 6. |
'안경을 {쓰다/끼다}' 둘 다 써도 되나요?
|
'안경을 끼다', '안경을 쓰다'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안경'은 '무엇에 걸려 있도록 꿰거나 꽂다'를 뜻하는 '끼다'와 '얼굴에 어떤 물건을 걸거나 덮어쓰다'를 뜻하는 '쓰다'와 어울려 각각 '안경을 끼다', '안경을 쓰다'와 같이 표현합니다.
|
0 | '네 대'와 '넉 대'의 표현 | 2019. 12. 6. |
'자동차 네 대'가 맞나요, '자동차 넉 대'가 맞나요?
|
'자동차 네 대', '자동차 넉 대' 모두 맞습니다. 표준어규정 제17항에 따르면 '돈, 말, 발, 푼'의 단위 명사의 앞에는 '서', '너'가 와야 표준어이고 '냥, 되, 섬, 자'의 단위 명사 앞에는 '석', '넉'이 와야 표준어입니다만, '대'라는 단위 명사에 대해서는 따로 정해진 바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세 대', '네 대'와 같이 쓰지만 '석 대', '넉 대'와 같이 자연스럽게 쓰인다면 이 또한 쓸 수 있습니다.
|
0 | '준비해야 해'와 '준비해야 돼'의 표현 | 2019. 12. 6. |
'우리가 준비해야 해'와 '우리가 준비해야 돼'는 둘 다 쓸 수 있는지요? 그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우리가 준비해야 해."와 "우리가 준비해야 돼."는 어법상 모두 쓸 수 있습니다. "우리가 준비해야 해."에서 본용언 어간 뒤에 '-여야 하다' 구성으로 쓰이는 보조 용언 '하다'는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거나 앞말이 뜻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우리가 준비해야 돼."에서 본용언 어간 뒤에 '-여야 되다' 구성으로 쓰이는 보조 용언 '되다'는 '어떤 일이 이루어져야 하다'의 뜻을 나타내므로 의미적 차이는 거의 없고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
0 | '않는'과 '않은'의 차이 | 2019. 12. 6. |
'옳지 않은'을 '옳지 않는'으로 쓰면 틀리나요?
|
'옳지 않은'으로 써야 맞습니다. 형용사 '옳다'의 어간 뒤에 '-지 않다' 구성으로 쓰이는 보조 용언 '않다'는 보조 형용사라 어미 '-는'이 붙을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과 같이는 활용하지만, '옳지 않는'과 같이는 활용하지 않습니다. 참고로, 동사 어간 뒤 보조 용언 '않다'는 보조 동사라 어미 '-는'(현재)은 물론 어미 '-은'(완료)도 올 수 있으므로 '썩지 않는 비닐', '썩지 않은 비닐'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
0 | '추어올리다', '추켜올리다', '치켜올리다'의 표현 | 2019. 12. 6. |
'추어올리다'를 쓸 자리에 '추켜올리다'를 쓸 수 없는 경우도 있나요? '눈썹을 치켜올리다'와 '눈썹을 추켜올리다'를 같이 써도 되는 건가요?
|
'눈썹을 치켜올리다', '눈썹을 추켜올리다' 모두 쓸 수 있습니다. '옷이나 물건, 신체 일부 따위를 위로 가뜬하게 올리다', '실제보다 과장되게 칭찬하다'를 뜻하는 '추어올리다', '추켜올리다', '치켜올리다'는 동의어로서 어떤 맥락에서이든 서로 교체해 쓸 수 있습니다.
|
0 | '산림욕', '삼림욕'의 표현 | 2019. 12. 6. |
국어 대사전에 '산림욕'을 입력했더니 '삼림욕'과 복수 표준어로 나와 있던데 상황에 상관없이 같이 써도 되는 건가요?
|
'산림욕'과 '삼림욕'은 상황에 상관없이 같이 쓸 수 있습니다. '병 치료나 건강을 위하여 숲에서 산책하거나 온몸을 드러내고 숲 기운을 쐬는 일'을 뜻하는 '산림욕'과 '삼림욕'은 동의어로 맥락에 상관없이 통용됩니다.
|
0 | '이런'과 '이러한'의 차이 | 2019. 12. 6. |
'이러한'은 '이러하다'라는 형용사의 관형형이고 '이런'은 관형사로 알고 있는데, 두 단어가 같은 뜻이므로, 혼용해서 써도 되는지요?
|
의미적인 차이는 별로 없지만 구조적인 차이는 있으므로 혼용할 수 없습니다. 관형사 '이런'은 "이런 사람을 조심하세요."처럼 관형어로만 쓰이지만, 형용사의 관형사형 '이러한'은 "성격이 이러한 사람을 조심하세요."처럼 관형절(성격이 이러한)의 서술어로도 쓰여 구조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다만, 형용사 '이러하다'의 준말 '이렇다'의 관형사형 '이런'은 관형사 '이런'과 달리 '이러한'과 의미적으로나 구조적으로 다르지 않으므로 혼용해서 쓸 수 있습니다.
|
0 | '동란', '동난'의 표기 | 2019. 12. 6. |
'동란', '동난'의 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
|
'동란'이 바른 표기입니다. '폭동, 반란, 전쟁 따위가 일어나 사회가 질서를 잃고 소란해지는 일'을 뜻하는 '동란(動亂)'은 표준발음법 제19항에 따라 받침 'ㅇ' 뒤에 연결되는 'ㄹ'이 [ㄴ]으로 소리 나 [동ː난]으로 발음되지만, 한글맞춤법 제12항에 따라 '동란'의 '란(亂)'이 단어의 첫머리에 온 것이 아니라 본음대로 적으므로 '동란'으로 적습니다.
|
0 | '마음', '맘'의 표현 | 2019. 12. 6. |
흔히 '마음'이라는 말을 줄여 '맘'이라고 많이 쓰는데 '마음'을 줄여 '맘'이라고 써도 무방한가요?
|
'마음'을 줄여 '맘'이라고 쓸 수 있습니다. '맘'은 '마음'의 준말로 표준어이며 그 뜻은 '마음'과 같습니다.
|
0 | '한참을'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한참을'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한참을'의 표준 발음은 [한차믈]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3항에 따르면 홑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와 결합되는 경우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므로, '한참을'은 받침 'ㅁ'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한차믈]로 발음합니다.
|
0 | '요즈음', '요즘'의 표현 | 2019. 12. 6. |
'요즘'과 '요즈음' 중에서 어느 게 맞는 표현인가요?
|
'요즈음', '요즘' 모두 맞는 표현입니다. '요즘'은 '바로 얼마 전부터 이제까지의 무렵'을 뜻하는 '요즈음'의 준말이므로 '요즈음', '요즘' 모두 쓸 수 있습니다.
|
0 | '오랜만', '오랫동안'의 단어 형성법 | 2019. 12. 6. |
사전을 보니 '오랜만'과 '오랫동안'이 올바른 표기이던데요, 표기에 특정한 규정이 있는지요?
|
'오랜만'은 '오래간만'의 준말이므로 '오랜만'으로 적고, '오랫동안'은 '오래'와 '동안'이 결합한 합성어이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오랫동안'과 같이 적는 것입니다.
|
0 | '쓰다'의 활용 | 2019. 12. 6. |
'쓰-+-어'의 활용형은 무엇인가요?
|
'쓰-'에 '-어'가 결합하면 '써'가 됩니다. 한글맞춤법 제18항에 따르면 활용을 할 때 어간의 끝 'ㅡ'가 줄어질 때에는 준 대로 적으므로 어간 '쓰-'에 어미 '-어'가 결합해 'ㅡ'가 줄면 준 대로 '써'로 적습니다.
|
0 | '바라다'의 활용 | 2019. 12. 6. |
“~하길 바라.”라는 문장에서 '바라'는 어간 '바라-'에 '-아'가 결합한 것이라는데, '바라다'의 어간에 'ㅣ' 종결 어미를 써서 '바래'로 문장을 끝맺으면 안 되는 건가요?
|
종결어미 '-이'는 동사 뒤에 붙지 않고 말씨도 다르므로 '바래'로 적을 수 없습니다.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 뒤 하게할 자리에 쓰여 '상태의 서술이나 느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이'는 제시된 맥락과 같이 동사 뒤 해체로 쓰이는 경우에는 맞지 않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4항에 따르면 모음 'ㅏ'로 끝난 어간에 '-아'가 어울릴 때에는 준 대로 적으므로 어간이 모음 'ㅏ'로 끝난 '바라다'의 어간에 '-아'가 어울리면 준 대로 '바라'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
0 | '승화, 발전시켜', '승화, 발전 시켜'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승화 발전 시켜', '승화 발전시켜', '승화발전 시켜', '승화발전시켜' 중에서 맞는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
'승화시켜'와 '발전시켜'를 아울러 쓰고자 한다면 '승화, 발전시켜'와 같이 쓸 수 있겠습니다. '승화시키다'와 '발전시키다'를 이어서 '승화시키고 발전시켜'라고 할 것을, 같은 말이 되풀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일정한 부분을 줄여서 열거할 때에 쓰는 '쉼표'를 써서 '승화, 발전시켜'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0 | '못되어'의 준말 | 2019. 12. 6. |
'못되 먹었다'와 '못돼 먹었다'가 헷갈리네요.‘못되어 먹었다’가 가능하니 '못돼 먹었다'가 맞는 건가요?
|
생각하신 대로 '못돼'와 같이 적는 것이 맞습니다. 여기서 '못돼'는 '성질이나 품행 따위가 좋지 않거나 고약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못되다'의 어간 '못되-' 뒤에 연결어미 '-어'가 결합한 '못되어'를 줄인 말로, 한글맞춤법 제35항 [붙임 2] 'ㅚ' 뒤에 '-어'가 어울려 'ㅙ'로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는 규정에 따라 '못돼'로 적습니다.
|
0 | '것으로', '걸로'의 표기 | 2019. 12. 6. |
텔레비전 뉴스를 보다 보면, "~을 할 걸로 예상됩니다."라는 말을 자주 듣는데, "~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어떤 표현이 더 올바른 것인지요?
|
'걸로'는 '것으로'를 줄여 쓴 말이며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3항에 따르면 체언과 조사가 어울려 줄어지는 경우에는 준 대로 적는데, '그것으로'가 '그걸로'로 줄어지는 것에 준해 '것으로'가 '걸로'로 줄어지는 경우에도 준 대로 적을 수 있겠습니다.
|
0 | '차 한 대', '차 한대'의 표기 | 2019. 12. 6. |
'차 한대'인가요, 아니면 '차 한 대'인가요?
|
'차 한 대', '차 한대' 모두 맞습니다. '대'는 단위 명사라 앞말과 띄어 '차 한 대'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런데 한글맞춤법 제46항에 따르면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으므로, 단음절어 셋이 이어진 '차 한 대'도 가독성을 위해 '차 한대'로 붙여 쓸 수도 있겠습니다.
|
0 | '세놓습니다', '세놉니다'의 표현 | 2019. 12. 6. |
'세놉니다'가 맞는 표현인가요? '세놓습니다'로 해야 하나요?
|
'세놓습니다'가 표준어입니다. 이는 어간 '세놓-' 뒤에 받침 있는 용언 어간 뒤에 쓰이는 종결 어미 '-습니다'를 붙인 말입니다. '-읍니다'는 '-습니다'의 비표준어이므로, '세놓-' 뒤에 '-읍니다'를 붙인 '세놓읍니다'를 줄여 쓴 '세놉니다'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
0 | 조사 '의'와 '에'의 구분 | 2019. 12. 6. |
'의'와 '에'를 쓸 때요, 어떤 때 '의'를 쓰고 어떤 때에 '에'를 쓰는지요?
|
조사 '의'는 체언 뒤에 붙어 그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도록 하므로 '의'가 붙은 말은 '국민의 대부분'과 같이 뒤의 체언을 수식합니다. 한편, 조사 '에'는 체언 뒤에 붙어 그 체언이 부사어 구실을 하도록 하므로 '에'가 붙은 말은 "포유류에 무엇무엇이 있다."와 같이 뒤의 서술어를 수식합니다. 표준발음법 제5항 다만 4에 따르면 관형격 조사 '의'는 [의]뿐만 아니라 [에]로 발음되는 것도 허용되므로, 부사격 조사 '에'와 혼동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문장의 수식 관계를 고려하여 '의'와 '에'를 구분해 적어야 하겠습니다.
|
0 | '애틋하다', '애뜻하다'의 표현 | 2019. 12. 6. |
'애틋하다'와 '애뜻하다'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
'애틋하다'가 표준어입니다. '애틋하다'는 '섭섭하고 안타까워 애가 타는 듯하다', '정답고 알뜰한 맛이 있다'를 뜻하는 말로 '두 남녀의 애틋한 사랑', '그는 애틋한 여운을 남기고 갔다.'와 같이 쓰입니다. '애뜻하다'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
0 | '부킹률', '부킹율'의 표기 | 2019. 12. 6. |
ㄴ 받침이나 모음 뒤에는 '율'이 오는 것은 알고 있는데요, '부킹률/부킹율'과 같은 외래어는 어떤 것을 써야 하는지요?
|
표기는 '부킹률'과 같이 적는 것이 맞습니다. '-률'은 'ㄴ' 받침을 제외한 받침 있는 명사 뒤에 붙어 '비율'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이므로, 앞말이 한자어이든 고유어이든 외래어이든 상관없이 'ㄴ'이 아닌 받침으로 끝난 말 뒤에는 '-률'을 붙여 '부킹률'과 같이 적습니다. 다만 '부킹(booking)'은 '예약'으로 순화되어 '예약'으로만 쓰도록 되어 있으니 '부킹률'은 '예약률'로 쓰시기를 바랍니다.
|
0 | '조용히 해', '조용해'의 표현 | 2019. 12. 6. |
조용히 하라는 뜻으로 '조용해'가 맞나요, '조용히 해'가 맞나요?
|
'조용히 해'가 맞습니다. 형용사는 명령형 어미와 결합하는 데 제약이 있으므로 형용사 '조용하다'는 명령형 '조용해'로 쓸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부사 '조용히'가 동사 '하다'의 명령형 '해'를 꾸미는 구성으로 '조용히 해'로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
0 | '할 수 없지'의 띄어쓰기 | 2019. 12. 6. |
'할 수 없지'가 맞나요, '할수 없지'가 맞나요?
|
'할 수 없지'가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2항에 따르면 의존 명사는 띄어 쓰는데, '수'는 '어떤 일을 할 만한 능력이나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뜻하는 의존 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할 수 없지'와 같이 씁니다.
|
0 | '어느 것', '어느것'의 띄어쓰기 | 2019. 12. 6. |
한 문법책에 '어느 것'이 붙어 있던데 그러면 '어떤 것'도 붙여 써야 하는 거 아닌가요?
|
'어느 것', '어떤 것'으로 띄어 써야 맞습니다. '어느', '어떤'은 관형사이고 '것'은 의존 명사이므로 각각 '어느 것', '어떤 것'으로 띄어 씁니다.
|
0 | '청혼받다', '청혼 받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받다'가 직접적으로 물건을 받을 때는 띄어 쓰고, 피동으로 쓰일 때는 붙여 쓰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어느 글에서 '청혼 받다'가 맞는다고 해서 헷갈려요. '청혼받다', '청혼 받다' 중 무엇이 맞나요?
|
'청혼받다'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여기서 '-받다'는 몇몇 명사 뒤에 붙어 '피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이므로 '청혼받다'와 같이 앞말에 붙여 씁니다. 참고로 '받다'가 구체적인 사물을 받는 행위를 뜻할 때에는 동사로서 '용돈 받다'와 같이 앞말과 띄어 씁니다.
|
0 | '어떻냐', '어떠냐'의 표현 | 2019. 12. 6. |
요즘 근황이 어떠냐고 물을 때 '어떠냐', '어떻냐' 중 무엇이 맞나요?
|
'어떠냐', '어떻냐' 모두 맞습니다. 형용사 '어떻다'는, 받침 있는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물음'을 나타내는 예스러운 종결 어미 '-으냐'와 결합하면 ㅎ불규칙활용으로 '어떠냐'로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용언의 어간에 두루 붙어 '물음'을 나타내는 구어적인 종결 어미 '-냐'와 결합하면 '어떻냐'로 쓸 수 있습니다.
|
0 | '-(으)ㄴ 때문', '-기 때문'의?표현 | 2019. 12. 6. |
"고추가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때문에 큰 관심을 끌지 못했다."에서 '유입된 때문에'라는 표현이 맞는 표현인가요? 아니면, '유입되었기 때문에'로 고쳐야 하나요?
|
'유입된 때문에'라고 쓸 수도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의 문법 정보에 따르면 '때문'은 명사나 대명사, 어미 '-기', '-은', '-는', '-던' 뒤에 쓰이므로 '유입된'과 같은 동사의 관형사형 뒤에도 '때문'을 쓸 수가 있습니다.
|
0 | '제 집'과 '제집'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이 집은 {제집/제 집}이에요. 어서 {제집/제 집}에서 나가세요."에 쓰인 '제집/제 집'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
"이 집은 제 집이에요. 어서 제 집에서 나가세요."와 같이 '제 집'으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저의 집'의 뜻으로, 자기를 낮추어 가리키는 '저'와 '의'를 결합해 줄인 '제'를 쓴 '제 집'은 한 단어가 아니므로 띄어 씁니다. 참고로, '자기의 집'을 뜻하는 말로 "그녀는 외국을 제집처럼 드나든다."와 같이 쓰일 떼에는 합성어로 붙여 씁니다.
|
0 | '큰돈', '큰 돈'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액수가 많은 돈을 뜻하는 말은 '큰 돈'이 아니라 '큰돈'으로 붙여 쓰는 것이 맞는 건가요?
|
액수가 많은 돈을 뜻하는 말은 '큰돈'으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여기서 '큰돈'은 '돈의 액수나 단위가 높다'의 뜻을 나타내는 형용사 '크다'의 관형사형인 '큰'과, 명사 '돈'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입니다.
|
0 | '서툴러', '서툴어'의 표현 | 2019. 12. 6. |
'서툴다'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으니 활용 목록에 '서투니'밖에 없던데 '서툴어'로 활용하는 경우는 없나요? '서툴러'만 맞는 건가요?
|
'서툴러'만 맞습니다. 표준어규정 제16항에 따르면 '서툴다'와 같은 준말에 모음 어미가 연결된 활용형을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으므로, '서툴-'에 모음 어미 '-어'를 붙인 '서툴어' 대신 본말 '서투르-'에 모음 어미 '-어'가 결합한 '서툴러'(르불규칙)를 씁니다.
|
0 | '부수었다', '부셨다'의 표현 | 2019. 12. 6. |
'부수었다'가 맞는 건가요, '부셨다'가 맞는 건가요?
|
'부수다'의 과거형으로는 '부수었다', '부쉈다'가 맞습니다. '부수다'에 과거의 어미 '-었-'이 붙으면 '부수었다'가 되고 그것을 줄이면 '부쉈다'가 됩니다. 한편, '부셨다'는 '부수다'의 비표준어인 '부시다'에 과거형 어미 '-었-'이 붙은 말 '부시었다'가 줄어든 것으로서 표준어가 아닙니다.
|
0 | '하다'의 활용 | 2019. 12. 6. |
'바라다'는 '바라요'로 활용하는데, 어간이 똑같이 'ㅏ'로 끝나는 '하다'는 왜 '해요'로 활용하나요?
|
'바라다'는 규칙 활용을 하고 '하다'는 불규칙 활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바라다'는 규칙 활용을 하는데, 한글맞춤법 제34항에 따르면 모음 '아'로 끝난 어간에 '-아'가 어울릴 적에는 준 대로 적으므로 '바라-'에 '-아'와 '요'가 붙으면 준 대로 '바라요'로 적습니다. 반면, '하다'는 '여' 불규칙 활용을 하는데, 한글맞춤법 제18항 7에 따르면 '하다'의 활용에서 어미 '-아'가 '-여'로 바뀔 적에는 바뀐 대로 적으므로 '하다'에 '-아'가 결합해 변칙적으로 '하여'가 되면 '하여'로 적고 그것이 줄면 '해'로 적습니다.
|
0 | '-아지고 있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모아지고있다’가 맞나요, '모아지고 있다’가 맞나요?
|
'모아지고 있다'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연결어미 '-어/-아'나 관형사형 뒤에 오는 보조 용언은 붙여 쓰는 것이 허용되나, '-고' 뒤에 오는 보조 용언은 붙여 쓰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모아지고 있다'와 같이 띄어 씁니다.
|
0 | '웃풍', '위풍'의 표현 | 2019. 12. 6. |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서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던데, '웃-풍'은 '풍'에 'ㅍ'이라는 거센소리가 있어서 '위-풍'으로 표기해야 하지 않나요?
|
아닙니다. '웃풍'으로 표기합니다. 표준어규정 제12항에 따르면 '웃-' , '윗-'은 '윗-'으로 통일하지만,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서는 '윗-' 대신 '위-'로, '아래, 위'의 대립이 없는 단어는 '윗-' 대신 '웃-'을 씁니다. '웃풍'은 거센소리 앞이기는 하지만 '아래, 위'의 대립이 없으므로 '웃-E666'을 써 '웃풍'이 되는 것입니다.
|
0 | '살아오다', '살아 오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살아'와 '오다'는 본용언과 보조 용언으로 보아야 하나요? 국어사전에는 '살아오다'가 단독으로 동사로 실려 있는데 어떻게 보아야 할지요?
|
'살아오다'는 합성어로서 붙여 씁니다. '살아오다'는 본용언 '살아'와 보조 용언 '오다'가 결합한 합성어로서 '목숨을 이어 오거나 생활을 해 오다', '어떤 일정한 일자리에서 일해 오거나 일정 기간 동안 어떤 일을 겪어 오다', '어떤 종류의 인생이나 생애, 시대 따위를 견디며 생활해 오다'의 뜻을 나타내고, 본용언 '살아'와 본용언 '오다'가 결합한 합성어로서 '죽지 않고 돌아오다', '잊었던 기억이나 감정이 되살아나다'의 뜻을 나타내므로 항상 붙여 씁니다.
|
0 | '개다', '개이다'의 표현 | 2019. 12. 6. |
'날씨가 {개다/개이다}'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
'개다'가 표준어입니다. '개다'는 '흐리거나 궂은 날씨가 맑아지다'의 뜻을 가진 동사로 '날이 개다', '비가 개다'와 같이 쓰입니다. '개다'[개ː다]가 장음이어서인지 흔히 '개이다'로 쓰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
0 | '띄었다', '띄였다'의 표기 | 2019. 12. 6. |
'띄었다', '띄였다' 중 어느 것이 맞나요?
|
'띄었다'가 맞습니다. '띄었다'는 [띠얻따/띠엳따]로 발음되지만 '띄다'의 어간에 과거의 '-었-'과 종결어미 '-다'가 결합한 말이므로 형태를 밝혀 '띄었다'로 적습니다.
|
0 | '그와 같이', '그와같이'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어떠한 어려움이 있어도 그와 같이 헤쳐 나갈 것입니다."에서 '그와 같이'가 '그 사람과 함께'와 '그 사람처럼'으로 해석되는 듯한데, 두 가지 의미로 쓰이는 경우 모두 띄어 써야 하나요?
|
의미와 상관없이 '그와 같이'로 띄어 씁니다. '같이'는 '둘 이상의 사람이나 사물이 함께'의 뜻으로 '친구와 같이 사업을 하다'와 같이 쓰이든, '어떤 상황이나 행동 따위와 다름이 없이'의 뜻으로 '세월이 물과 같이 흐르다'와 같이 쓰이든 상관없이 항상 부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참고로, '같이'는 조사로서 '앞말이 보이는 전형적인 어떤 특징처럼'의 뜻으로 '얼음장같이 차갑다', '눈같이 희다'와 같이 쓰이거나 때를 나타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앞말이 나타내는 그때를 강조하는' 뜻으로 '새벽같이 떠나다', '매일같이 지각하다'와 같이 쓰이기도 합니다.
|
0 | '칸'과 '간'의 차이 | 2019. 12. 6. |
경복궁 관련 자료에 "흥선대원군의 주도 아래 7,700여 {칸/간}에 이르는 건물을 다시 세웠다."라는 문장이 있는데요, 이런 경우에 '칸'으로 표기하는 것이 맞는지 아니면 '간'이라고 표기하는 것이 맞는지요?
|
'7,700'이 건물의 칸살 수를 나타낸다면 '칸', 건물의 칸살 넓이를 나타낸다면 '간'이 맞습니다. '간(間)'은 건물의 칸살의 넓이를 잴 때 쓰는 단위(한 간은 보통 여섯 자 제곱)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이고, '칸'은 집의 칸살의 수효를 세는 단위로 쓰이는 명사이므로 나타내고자 하는 뜻에 따라 선택하여 쓸 수 있겠습니다. 참고로, 궁궐 건물의 넓이는 기둥과 기둥 사이를 한 칸으로 보고 정면과 측면의 칸수를 세어 곱하여 나타내었다고 합니다.
|
0 | '마실', '마을'의 표현 | 2019. 12. 6. |
'마실 가다'의 '마실'은 사투리인가요?
|
'마실 가다'의 '마실'은 표준어입니다. 본디 '마실'은 '마을'의 사투리였으나 '이웃에 놀러 다니는 일'을 뜻하는 '마을'의 복수 표준어로 인정되었습니다.
|
0 | '전 해상', '전해상'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전 해상'과 '전해상' 중 무엇이 맞는 표기인가요?
|
'전 해상'으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 '전 해상'에 쓰인 '전(全)'은 한자어 명사 앞에 쓰여 '모든' 또는 '전체'의 뜻을 나타내는 관형사이므로 '전 해상'과 같이 뒤에 오는 명사와 띄어 씁니다.
|
0 | '자유 지상', '민족 지상'에서 '지상'의 의미 | 2019. 12. 6. |
'자유 지상', '민주 지상'에서 '지상'의 뜻은 무엇인지요?
|
'지상'은 '가장 높은 위'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자유 지상'은 자유를 가장 높은 가치로 삼는다는 뜻을 나타내고 '민주 지상'은 민주를 가장 높은 가치로 삼는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
0 | '뵈러'와 '봬러'의 표기 | 2019. 12. 6. |
"사장님 {봬러/뵈러} 왔어요."에서 맞는 표기는 무엇인가요?
|
"사장님 뵈러 왔어요."가 맞는 표기입니다. '뵈다'의 어간 '뵈-' 뒤에, 가거나 오거나 하는 동작의 목적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러'가 붙은 것이므로, '뵈러'와 같이 적습니다. '봬'는 '뵈어'가 줄어든 말이라 어미 '-러' 앞에 쓸 수 없습니다.
|
0 | '쉬어서', '셔서' 표현 | 2019. 12. 6. |
'목이 쉬어서’를 요새 사람들은 '목이 셔서' 이렇게 쓰던데 틀린 거죠?
|
생각하신 바대로 '목이 쉬어서'는 '목이 셔서'로 줄여 쓸 수 없습니다. '쉬다'의 어간 뒤에 '-어서'가 결합한 '쉬어서'를 줄여 '셔서'로 적는 경우가 있지만, '셔서'는 '시어서'를 줄여 쓴 말이라 '쉬어서'를 줄인 말로 쓸 수 없습니다. '쉬어서'처럼 'ㅟ'와 'ㅓ'가 이어지는 말을 줄여 발음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를 나타낼 자모가 없으므로 줄여 표기할 수가 없습니다.
|
0 | '뜨다'의 사동 표현 | 2019. 12. 6. |
'눈을 뜨게 하다'라는 뜻으로 '띄우다'라는 단어를 쓰는 것이 옳은가요?
|
'감았던 눈을 벌리다'를 뜻하는 '뜨다'의 사동사로 '띄우다'를 쓰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감았던 눈을 벌리다'를 뜻하는 '뜨다'는 피동사 '뜨이다'는 있지만, 사동사는 따로 없으므로 사동 표현을 하려면 '-게 하다'를 써 '뜨게 하다'와 같이 표현해야 합니다. 참고로 '띄우다'는 '편지를 띄우다', '배를 띄우다', '메주를 띄우다', '간격을 띄우다'와 같이 쓰입니다.
|
0 | '쓰이다', '써지다'의 표현 | 2019. 12. 6. |
'OOO라고 {써진/쓰여진/쓰인} 팻말' 중에서 도대체 어떤 것이 맞는 표현인가요?
|
'OOO라고 써진 팻말', 'OOO라고 쓰인 팻말'이 맞는 표현입니다. '글로 나타내다'를 뜻하는 '쓰다'의 피동은 '쓰이다' 또는 '써지다'로 나타내므로 'OOO라고 쓰인 팻말', 'OOO라고 써진 팻말'로 표현하는 것이 알맞습니다. '쓰여진'은 피동사 '쓰이다'의 어간 '쓰이-'에 피동의 뜻을 나타내는 '-어지다'가 결합한 말로 의미가 중복되는 표현이라 적절하지 않습니다.
|
0 | '못 말리다', '못말리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정말 {못 말리는/못말리는} 성격이다."와 같은 문장은 어떻게 띄어 써야 맞나요?
|
"정말 못 말리는 성격이다."와 같이 띄어 씁니다. 여기서 '못 말리다'는 '일이나 상황이 너무 뜻밖이어서 기가 막히다'의 뜻을 나타내는 관용구이므로 띄어 적습니다.
|
0 | '참고하길', '참고하기를'의 바른 표기 | 2019. 12. 6. |
"참고하길 바랍니다."라는 표현에서 '-하길'이 잘못된 표기이며 '-하기를'이나 '-하기'로 써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맞는 것인지요?
|
'참고하길'도 쓸 수 있는 말입니다. '참고하길'은 동사 '참고하다'의 어간 '참고하-' 뒤에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 '-기'와 목적격 조사 'ㄹ'이 붙은 형태인데, 목적격 조사 'ㄹ'은 '를'보다 구어적인 표현에 쓰이는 조사이므로 '참고하길'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3항에도 체언과 조사가 어울려 줄어지는 경우에는 준 대로 적는다고 하며 '나를', '너를'이 각각 '날', '널'로 줄어지는 경우의 예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에 준한다면 '참고하기를'이 '참고하길'로 줄어지는 경우에도 준 대로 적을 수 있겠습니다.
|
0 | '처가계', '처갓계'의 바른 표기 | 2019. 12. 6. |
처가에서 하는 계 모임을 '처갓계'라고 표기하나요, 그냥 '처가계'라고 하나요?
|
합성어가 아니므로 '처가 계'로 띄어 적어야 합니다. 명사 '처가'와 명사 '계'가 이어진 말은 합성어가 아니므로 붙여 쓰거나 사이시옷을 넣어 적을 수는 없고 '처가 계'와 같이 띄어 적습니다.
|
0 | '뵌 지', '봰 지'의 표기 | 2019. 12. 6. |
"얼굴 {뵌/봰} 지 오래됐어요."에서 맞는 표기는 무엇인가요? 둘 다 아닌 거 같은데, 어떻게 줄여 쓸 수 있나요?
|
"얼굴 뵌 지 오래됐어요."와 같이 적습니다. '웃어른을 대하여 보다'의 뜻을 가진 동사 '뵈다'의 어간 '뵈-'에, 동사의 과거 관형사형 어미 '-ㄴ'이 결합된 말은 '뵌'이 맞습니다. '봬'는 '뵈어'를 줄여 쓴 말이라 어미 '-ㄴ' 앞에 올 수가 없습니다.
|
0 | '줄게', '줄 게'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줄게', '줄 거야'가 올바른 표현이라는데 "내가 만들어 줄게요."의 '줄게요'는 '줄 거예요'의 줄인 말이 아닌가요? 그러면 '줄 게요'로 써야 할 것 같은데요.
|
'줄게요'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줄게요'는 '줄 거예요'를 줄인 말이 아니라, '주다'의 어간에 어떤 행동을 할 것을 약속하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ㄹ게'와, 보조사 '요'가 붙은 말이므로 '줄게요'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줄 거예요'의 '-ㄹ 것이다'는 말하는 이의 전망이나 추측, 또는 주관적 소신 따위를 나타내는 말로 약속을 나타내는 '-ㄹ게'와 뜻도 다르고, 무엇보다도 '줄 거예요'는 '줄 게요'로 줄지 않습니다.
|
0 | '피었다'의 준말 | 2019. 12. 6. |
'꽃이 피다'에서 '피다'는 과거형이 '피었다'인데 '폈다'도 허용되나요?
|
'피었다', '폈다'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피다'의 어간 '피-' 뒤에 과거를 나타내는 어미 '-었-'과 '-다'가 결합한 '피었다'는, 한글맞춤법 제36항 'ㅣ' 뒤에 '-어'가 와서 'ㅕ'로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는 규정에 따라 '폈다'로 줄여 쓸 수도 있습니다.
|
0 | '주의 깊게', '주의깊게'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주의 깊게', '주의깊게'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
'주의 깊게'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이는 합성어가 아니고 '어떤 한 곳이나 일에 관심을 집중하여 기울임'을 뜻하는 '주의'와 '생각이 듬쑥하고 신중하다'를 뜻하는 '깊다'가 이어진 구이므로 '주의 깊게'와 같이 띄어 씁니다.
|
0 | '영숙이예요', '영숙이에요'의 표기 | 2019. 12. 6. |
받침이 있는 인명의 경우는 접사 '-이'가 먼저 붙기 때문에 '영숙이예요'와 같이 적으며 '영숙이에요'로 적으면 안 된다고 하는데, 이게 맞는 말인가요?
|
'영숙이'에 '이에요'가 붙으면 '영숙이이에요', '영숙이예요'로 적을 수 있지만 '영숙이에요'로는 적을 수 없는 것이 맞습니다. '영숙'에 소리를 고르는 접미사가 붙으면 '영숙이'가 되고, 여기에 '이다'의 '이-'와 '-에요'를 붙이면 '영숙이이에요'가 되어 흔히 '영숙이예요'로 줄여 씁니다. 그리고 '영숙이'라는 체언에 어미 '-에요'가 바로 붙을 수는 없으므로 '영숙이에요'로 적을 수는 없는 것입니다. 반면, 소리를 고르는 접미사 '-이'를 붙이지 않는 경우에는 "제 이름은 (김)영숙이에요."와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
0 | '하던'과 '했던'의 차이 | 2019. 12. 6. |
'하던'과 '했던'의 차이는 무엇인지요?
|
'하던'과 '했던'은 모두 과거를 나타내지만 전자는 과거 미완을, 후자는 과거 완료를 나타낸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던'은 앞말이 관형사 구실을 하게 하고, 어떤 일이 과거에 완료되지 않고 중단되었다는 미완(未完)의 뜻을 나타내므로 "나는 하던 일을 그만두었다."처럼 쓰이나, '-던' 앞에 '-았-/-었-'이 결합된 '-았던/-었던'은, '-았-/-었-'이 이야기하는 시점에서 볼 때 사건이 이미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어미이기 때문에 과거의 완결된 동작을 나타내므로 "어제 내 등을 가격했던 사람은 누구인가?"와 같이 쓰입니다.
|
0 | '의존 명사 '간(間)'의 띄어쓰기 | 2019. 12. 6. |
관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 '간'은 앞말과 띄어 쓰고 합성어로 굳어진 말은 붙여 쓰는데, 사전에 없더라도 '지간(之間)'이란 말을 붙여 쓸 때 말이 되면 '之'를 생략하고 '간'을 앞말에 붙여 쓸 수는 없는지요?
|
'관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 '간'은 합성어로 인정되는 단어만 붙여 적을 수 있습니다. '부부간', '동기간', '형제간', '자매간'은 합성어로 인정되어 사전에도 올라 있으므로 붙여 적지만, 합성어가 아닌 경우에는 '친구 간', '사제 간', '동료 간'과 같이 띄어 적습니다. 참고로, 'OO之間'이라는 말은 한문이므로 이 말의 성립 여부로 띄어쓰기를 판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
0 | '숨결'의 단어 형성법 | 2019. 12. 6. |
'숨결'이라는 단어가 파생어인가요, 합성어인가요?
|
'숨결'은 합성어로 보입니다. 여기서 '숨'은 '사람이나 동물이 코 또는 입으로 공기를 들이마시고 내쉬는 기운. 또는 그렇게 하는 일'을 이르는 명사이고, '결'은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만, '숨결'이 어원적으로 '숨+-ㅅ+결'에서 비롯된 것을 보면 '결'이 접사는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의미적으로도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지나가는 사이', '도중'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서 '꿈결', '잠결'과 같이 쓰이는 '-결'보다는, '나무, 돌, 살갗 따위에서 조직의 굳고 무른 부분이 모여 일정하게 켜를 지으면서 짜인 바탕의 상태나 무늬'를 뜻하는 명사로서 '비단결', '나뭇결', '머릿결'과 같은 합성어를 형성한 '결'의 쓰임에 더 가까운 듯합니다. 따라서 '숨결'은 '바람결', '물결'과 함께 어근과 어근이 결합한 합성어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해 보입니다.
|
0 | '무료'와 '무상'의 차이 | 2019. 12. 6. |
같은 뜻으로 '무상 서비스', '무료 서비스'가 쓰이는 듯한데 어느 말이 적절한가요?
|
각각의 의미로 '무상 서비스', '무료 서비스'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무료 서비스'는 '무료(無料)'가 '요금이 없음'을 뜻하므로 서비스 이용에 대한 요금이 없는 서비스라는 뜻으로 서비스 이용자의 입장에서 쓰는 말입니다. 반면, '무상 서비스'는 '무상(無償)'이 '어떤 행위에 대하여 아무런 대가나 보상이 없음'을 뜻하므로 서비스에 대한 대가가 없는 서비스라는 뜻으로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쓰는 말입니다.
|
0 | '로부터'와 '부터'의 차이 | 2019. 12. 6. |
'지정일로부터 30일 이상'과 '지정일부터 30일 이상' 간에 차이점이 있나요? '로부터'는 어떤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으로 소급하는 것이며, '부터'는 어떤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후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구분해서 써야 한다는 말을 들었는데 맞는 이야기인지요?
|
'지정일로부터 30일 이상'과 '지정일부터 30일 이상' 간에는 뜻 차이가 잘 드러나지 않습니다. '로부터'는 어떤 행동의 출발점이나 비롯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로 "아버지로부터 편지가 왔다.", "바퀴 달린 탈것은 마차로부터 고속 전철까지 발전해 왔다."와 같이 쓰이고, '부터'는 어떤 일이나 상태 따위에 관련된 범위의 시작임을 나타내는 보조사로 '1시부터 5시까지', "너부터 먼저 먹어라."와 같이 쓰이는데, 제시하신 '지정일로부터/지정일부터 30일 이상'에 쓰인 '로부터'와 '부터'는 각각 '비롯됨(처음 시작됨)', '시작'의 뜻으로 쓰여 뜻 차이가 잘 느껴지지 않습니다. 그러나 "아버지로부터 편지가 왔다."를 '아버지부터 편지가 왔다."로 쓸 수 없고, "너부터 먼저 먹어라."를 "너로부터 먼저 먹어라."로 쓸 수 없는 것을 보면 '로부터'와 '부터' 간에 엄연히 뜻 차이가 존재합니다. 다만 말씀하신 바와 같이 '어떤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으로 소급하는 뜻과 그 이후를 이르는 뜻으로 구별되지는 않는 듯합니다.
|
0 | '현주소', '현 주소'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이 사건은 대한민국 교육의 현주소를 보여 준다."라는 문장에서 '현 주소'는 '현주소'로 바꾸어야 하지 않나요?
|
'현주소'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현(現)'은 '현재의 또는 지금의'를 뜻하는 관형사로서 '현 시각', '현 상태'와 같이 뒷말과 띄어 씁니다. 다만, '현주소'는 '현재 살고 있는 곳의 주소'를 이르거나 '현재의 상황, 처지, 실태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합성어이므로 '현주소'로 붙여 씁니다.
|
0 | 'headset'의 외래어 표기 | 2019. 12. 6. |
신문 기사 등에서 'headset'를 표기할 때 '헤드셋' 혹은 '헤드세트'로 쓰는데요, 어느 표기법이 맞는지요?
|
영어 'headset'은 '헤드셋'으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외래어 표기법 제3장 제1절 제1항 1.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는 규정에 따라 문의하신 영어 'headset'[hedset]의 [t]는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이라 '헤드셋'과 같이 받침으로 표기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0 | 'chinese'의 외래어 표기 | 2019. 12. 6. |
'chinese'는 '차이니즈'와 '차이니스' 중 어떤 게 외래어 표기법에 맞는 건지요?
|
영어 'chinese'는 '차이니스'로 적습니다. 외래어 표기 용례 중 영어 'Chinese collar'를 '차이니스칼라'로 적는 것에 준하면 영어 'chinese'[tʃaɪniːz]는 '차이니스'로 적을 수 있겠습니다. 영어 표기에서 어말에 [z]로 발음되는 '˗s'는 '스'로 적는 관행이 있습니다.
|
0 | 'Catholic'의 외래어 표기 | 2019. 12. 6. |
'Catholic'은 왜 '가톨릭'이라고 적나요? 원 발음이 '카톨릭'보다 '가톨릭'에 가까워서인가요?
|
'Catholic'을 '가톨릭'으로 적는 것은 관련 분야의 표기 관행에 따른 것입니다. 'Catholic'[kǽθəlik]은 심의 과정에서 원어의 발음이 아니라 관련 분야에서 '가톨릭'이라고 널리 쓰이는 관행을 존중하여 '가톨릭'으로 적도록 하였습니다.
|
0 | 'box'의 외래어 표기 | 2019. 12. 6. |
왜 똑같은 'box'인데 '권투'를 뜻하는 경우에는 '복스'로 쓰고 '상자'를 뜻하는 경우에는 '박스'로 쓰나요?
|
영어의 외래어 표기는 현지 발음의 국제음성기호와 한글 대조표에 따라 적되, 외래어표기법 제1장 제5항에 따라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기도 합니다. 'box'는 그 뜻과 상관없이 미국은 [bɑːks], 영국은 [bɒks]로 발음합니다만, '상자'를 뜻하는 'box'는 미국식 발음에 따라 굳어진 대로 '박스', '권투'를 뜻하는 'box'는 영국식 발음에 따라 굳어진 대로 '복스'로 표기하게 된 것입니다.
|
0 | 'accent'의 외래어 표기 | 2019. 12. 6. |
'accent'의 발음 기호는 [æ?ksent]인데 '액센트'가 아닌 '악센트'가 맞는 표기로 규정되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영어의 외래어 표기는 현지 발음의 국제음성기호와 한글 대조표에 따라 적되, 외래어표기법 제1장 제5항에 따라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기도 합니다. 'accent'[ǽksent]도 현지 발음에 따라 적으면 '액센트'로 적어야 하나 이미 '악센트'로 굳어져 쓰이는 관용을 존중하여 '악센트'로 적게 되었습니다.
|
0 | '격노', '격로'의 표기 | 2019. 12. 6. |
'희로애락(喜怒哀樂)’을 보면 '怒'는 음절의 맨 앞에 있을 때에만 '노'라고 해야 할 것 같은데, '격노'는 왜 '격로'가 아닌 '격노'로 적나요?
|
'격노(激怒)'의 '怒'는 본음 '노'로 나 '격노'로 적고 '희로애락(喜怒哀樂)'의 '怒'는 속음 '로'로 나 '희로애락'으로 적는 것입니다. 한글맞춤법 제52항에 따르면 한자어에서 본음으로도 나고 속음으로도 나는 것은 각각 그 소리에 따라 적는데, '激怒'의 '怒'는 본음 '노'로 나므로 '격노'와 같이 적고, '喜怒哀樂'의 '怒'는 속음 '로'로 나므로 '희로애락'으로 적는 것입니다.
|
0 | '흙과'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흙과'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흙과'의 표준 발음은 [흑꽈]입니다. 표준발음법 제4장 제11항에 따르면 겹받침 'ㄺ, ㄻ, ㄿ'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ㅁ, ㅂ]으로 발음하고, 제23항에 따르면 받침 'ㄱ(ㄲ, ㅋ, ㄳ, ㄺ)' 뒤에 연결되는 'ㄱ'은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흙과'는 [흑꽈]로 발음하는 것입니다.
|
0 | '흔하지'의 준말 | 2019. 12. 6. |
'흔하지'의 준말은 무엇인가요?
|
'흔하지'의 준말은 '흔치'입니다. 한글맞춤법 제40항에 따르면 어간의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로 될 적에는 거센소리로 적으므로 '흔하지'에서 '하'의 'ㅏ'가 줄고 남은 'ㅎ'이 뒤의 'ㅈ'과 축약되어 'ㅊ'이 되므로 '흔치'로 적는 것입니다.
|
0 | '흐트러지다'의 어원 | 2019. 12. 6. |
'흐트러지다'는 '흩트리다'에 '-어지다'가 결합한 단어 아닌가요? 그렇다면 '흩뜨리다'에서 온 '흐뜨러지다'는 왜 없나요?
|
'흐트러지다'는 '흩트리다'에 '-어지다'가 결합한 말이 아닙니다. '흩트리다'에 '-어지다'가 결합한 '흩트리어지다'가 줄면 '흩트려지다'가 되지 '흐트러지다'가 되지는 않습니다. '흐트러지다'의 어원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
0 | '휘발유'의 표준 발음 | 2019. 12. 6. |
'휘발유'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
'휘발유'의 표준 발음은 [휘발류]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9항에 따르면 파생어에서 앞 단어의 끝이 자음이고 접미사의 첫음절이 '유'인 경우에는, 'ㄴ' 음을 첨가하여 [뉴]로 발음하므로 파생어 '휘발유'의 '유'에 'ㄴ'이 첨가되고, 제20항에 따르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하므로 첨가된 'ㄴ'이 'ㄹ' 뒤에서 [ㄹ]로 발음되어 [휘발류]로 발음되는 것입니다.
|
0 | '훈련받다', '훈련 받다'의 띄어쓰기 | 2019. 12. 6. |
'훈련 받다/훈련받다'는 어떻게 띄어 쓰나요?
|
'훈련받다'로 붙여 씁니다. '받다'가 구체적인 사물을 받는 행위를 뜻할 때에는 동사로서 그 앞말과 띄어 써야 하지만, 일부 명사 뒤에서 피동의 뜻을 나타낼 때에는 접미사로서 앞말과 붙여 써야 합니다. 문의하신 것은 '훈련하다'에 대한 피동 표현이므로 피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받다'를 붙여 '훈련받다'로 씁니다.
|
0 | '후골'의 순우리말 | 2019. 12. 6. |
일명 'adam's apple'이라 불리는 남자들의 목에 튀어나온 부분을 지칭하는 말을 사전에서 찾으니 '결후' 또는 '후골'이라고 나오는데 순우리말로는 명칭이 없나요?
|
'후골'에 대응하는 우리말에는 '울대뼈'가 있습니다. '성년 남자의 목의 정면 중앙에 방패 연골의 양쪽 판이 만나 솟아난 부분'을 이르는 의학 전문어 '후두 융기'의 동의어로 '울대뼈'와 '후골'이 있으므로 '후골' 대신 고유어 '울대뼈'를 쓸 수 있겠습니다.
|
0 | '의미 있는', '의미있는'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죽기 전에 의미 있는 있을 하고 싶다."에서 '있는'을 띄어 쓰는 게 맞는다는데, 왜 띄어 쓰는지요?
|
'의미 있다'는 합성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의미'와 '있다'는 각각의 단어이므로, '의미 있다'와 같이 띄어 적습니다. 명사 뒤에 '있다'가 오는 말 중에 형용사로 굳어진 말은 '값있다', '관계있다', '뜻있다', '맛있다', '멋있다', '빛있다', '상관있다', '재미있다' 정도입니다.
|
0 | '효과가 크다'와 '효과가 높다'의 표현 | 2019. 12. 6. |
효과를 말할 때 '크다'를 쓰는 것이 맞나요, 아니면 '높다'를 쓰는 것이 맞나요?
|
'효과가 크다', '효과가 높다'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말뭉치에서 '효과'의 쓰임을 검색한 결과 '크다'와 어울리는 예가 '높다'와 어울리는 예의 1. 4배 정도로 많았지만 둘 다 널리 쓰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0 | '효과 없는', '효과없는'의 띄어쓰기 | 2019. 12. 6. |
'효과 없는', '효과없는'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
'효과 없는'과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효과'와 '없다'는 각각의 단어이므로 '효과(가) 없는'과 같이 띄어 적습니다. 명사 뒤에 '없다'가 오는 말 중에 형용사로 굳어진 말로 '값없다', '경황없다', '관계없다', '기탄없다', '끝없다' 등 다수가 있습니다만, '효과 없다'는 한 단어가 아니므로 띄어 씁니다.
|
0 | '횟집', '회집'의 표기 | 2019. 12. 6. |
'회집'이 맞나요, '횟집'이 맞나요?
|
'횟집'이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면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으므로, 한자어 '회(膾)'와 고유어 '집'이 결합한 합성어로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이 말은 사이시옷을 받치어 '횟집'으로 적습니다.
|
0 | '홰', '횃대'의 쓰임 | 2019. 12. 6. |
'새장이나 닭장 속에 새나 닭이 올라앉게 가로질러 놓은 나무 막대'를 '홰'라고 하고 '횃대'라고도 하는데,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횃대'가 '옷을 걸 수 있게 만든 막대'로 풀이되어 있어요. 그렇다면 '새장이나 닭장 속에 새나 닭이 올라앉게 가로질러 놓은 나무 막대'를 '횃대'라고는 할 수 없는지요?
|
'새장이나 닭장 속에 새나 닭이 올라앉게 가로질러 놓은 나무 막대'를 이르는 표준어는 '홰'이므로 '횃대'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알고 계신대로 표준어 '횃대'는 '옷을 걸 수 있게 만든 막대'를 이르므로 '홰'를 '횃대'로 쓰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
0 | '돌같이', '돌 같이'의 띄어쓰기 | 2019. 12. 6. |
중학교 교과서에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로 표기되어 있던데, 제 생각으로는 '돌'과 '같이'도 개별 단어라서 '돌 같이'로 띄어 쓰는 것이 맞는 것이 아닐까요?
|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여기서 '같이'는 체언 뒤에 붙어 '앞말이 보이는 전형적인 어떤 특징처럼'을 뜻하는 조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씁니다. 참고로, '같이'가 주로 격 조사 '과'나 여럿임을 뜻하는 말 뒤에 쓰여 '둘 이상의 사람이나 사물이 함께'의 뜻으로 '친구와 같이 사업을 하다'와 같이 쓰일 때나, '어떤 상황이나 행동 따위와 다름이 없이'의 뜻으로 "선생님이 하는 것과 같이 하세요."와 같이 쓰일 때에는 부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
0 | '홉뜨다'의 피동 표현 | 2019. 12. 6. |
'홉뜨인', '홉떠진' 중 어느 쪽이 맞는 표현인가요?
|
'홉떠진'이 맞습니다. '홉뜨다'의 피동 표현은 피동사 '홉뜨이다'가 없으므로 '홉뜨다'의 어간에 '피동'을 나타내는 '-어지다'를 붙여 '홉떠지다'로 표현합니다. '홉뜨다'의 어간 '홉뜨-'에 '-어지다'가 붙으면 '으' 탈락으로 '홉떠지다'가 되고 그 어간 '홉떠지-'에 과거의 관형사형 어미 '-ㄴ'을 붙이면 '홉떠진'이 됩니다.
|
0 | '호두', '호도'의 표현 | 2019. 12. 6. |
'호두'와 '호도' 중 표준어는 어떤 것인가요?
|
'호두'가 표준어입니다. '호두'는 원래 '호도(胡桃)'에서 비롯되었으나 점점 어원에 대한 인식이 약해져 양성모음이 음성모음으로 바뀌어 '호두'로 굳어졌으므로 '호두'를 표준어로 삼고 있습니다.
|
0 | '혜량'과 '해량'의 차이 | 2019. 12. 6. |
"의당 찾아뵙고 감사의 인사를 드리는 것이 도리오나 우선 서면으로 인사 드림을 혜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에서 '혜량' 대신에 '해량'을 써도 문제가 없나요?
|
제시된 맥락에서 '혜량' 대신 '해량'을 써도 무방합니다. '혜량(惠諒)'은 '남이 헤아려 살펴서 이해함'을 높여 이르는 말이고, '해량(海諒)'은 '바다와 같은 넓은 마음으로 너그럽게 양해함'의 뜻으로 주로 편지 따위에서 상대편에게 용서를 구할 때 쓰는 말이므로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