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named: 0
int64
0
0
제목
stringlengths
6
35
등록일
stringclasses
2 values
질문
stringlengths
34
269
답변
stringlengths
63
545
0
'좨라'의 형태소 분석
2019. 12. 6.
'좨라'는 '죄다'의 활용형인가요, '조이다'의 활용형인가요?
 '좨라'는 '죄다'의 활용형입니다. '죄다'의 어간에 명령형 어미 '-어라'를 결합하면 '죄어라'가 되고, 한글맞춤법 제35항 [붙임 2]에 따라 이를 줄여 쓴 말이 '좨라'입니다. 참고로, '죄다'의 본말 '조이다'의 어간에 명령형 어미 '-어라'를 결합하면 '조이어라'가 되고 한글맞춤법 제36항에 따라 이를 줄여 쓰면 '조여라'가 됩니다.
0
'조심히'와 '조심해서'의 차이
2019. 12. 6.
"{조심히/조심해서} 다녀오세요." 중 어느 것이 올바른 표현인가요?
 "{조심히/조심해서} 다녀오세요." 둘 다 올바른 표현입니다. 부사 '조심히'는 '잘못이나 실수가 없도록 마음을 쓰는 말이나 행동으로'의 뜻으로 "조심히 다녀오세요."와 같이 쓰이고, 동사 '조심하다'의 연결형(방법) '조심해서'는 '잘못이나 실수가 없도록 말이나 행동에 마음을 써서'의 뜻으로 "조심해서 다녀오세요."와 같이 쓰입니다.
0
'조금', '쪼금', '쪼끔'의 표현
2019. 12. 6.
'쪼금', '쪼끔' 둘 다 맞는 말인지요?
 '쪼금', '쪼끔' 모두 맞는 말입니다. '쪼금'은 '조금'보다 센 느낌을 주는 말이고, '쪼끔'은 '조금'보다 아주 센 느낌을 주는 말로 모두 표준어입니다.
0
'조그마하다', '조그맣다'의 관형사형
2019. 12. 6.
'조그마한'과 '조그만' 모두 바른 활용형인가요?
 '조그마한', '조그만' 모두 바른 활용형이 맞습니다. '조그마한'은 '조그마하다'의 관형사형이고 '조그만'은 '조그마하다'의 준말 '조그맣다'의 관형사형입니다.
0
'제사날', '제삿날'의 표기
2019. 12. 6.
'제삿날'이 올바른 표기인가요? 한자어에는 사이시옷을 못 쓰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제삿날'이 올바른 표기기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도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 '제삿날', '양칫물'과 같이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습니다.
0
'제꺽'과 '재깍'의 표현
2019. 12. 6.
'제꺽'과 '재깍'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제꺽', '재깍' 모두 표준어입니다. '제꺽'은 '어떤 일을 아주 시원스럽게 빨리 해치우는 모양'을 이르는 '제꺼덕'의 준말이고, '재깍'은 '제꺼덕'의 작은말인 '재까닥'의 준말로 둘 다 어감을 달리해 쓸 수 있습니다.
0
'제가', '저가'의 표현
2019. 12. 6.
"{제/저}가 어제 차를 샀어요."에서 무엇이 맞나요? 인터넷에서 많은 사람들이 '제가'를 '저가'라고 써서 헷갈려요.
 "제가 어제 차를 샀어요."가 맞습니다. 말하는 이가 윗사람이나 그다지 가깝지 아니한 사람을 상대하여 자기를 낮추어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저'에 주격 조사 '가'나 보격 조사 '가'가 붙으면 '제'로 바뀝니다.
0
'젖히다', '제끼다'의 표현
2019. 12. 6.
'젖히다'와 '제끼다'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젖히다'가 표준어입니다. '젖히다'는 동사로서 '뒤로 기울게 하다', '안쪽이 겉으로 나오게 하다'를 뜻하거나 보조 동사로서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막힌 데 없이 해치움'을 뜻하는 말로 표준어이고, '제끼다'는 '젖히다'의 비표준어입니다.     
0
'정지하도록'의 준말
2019. 12. 6.
'정지하도록'을 줄여 쓴 말은 '정지토록'인가요, '정지도록'인가요?
 '정지하도록'을 줄여 쓴 말은 '정지토록'입니다. 한글맞춤법 제40항에 따르면 어간의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로 될 적에는 거센소리로 적고,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데, '정지하도록'은 'ㅏ'가 줄어 남은 'ㅎ'이 다음 음절의 첫 자음과 축약되어 '정지토록'으로 적습니다. 일반적으로 '하' 앞의 받침 소리가 [ㄱ, ㄷ, ㅂ]이면 '하'가 통째로 줄고 그 외의 경우에는 'ㅏ'만 줍니다.
0
'점잖지 않은'의 준말
2019. 12. 6.
'점잖지 않은'의 준말은 '점잖잖은'인가요, '점잖찮은'인가요?
 '점잖지 않은'을 줄여 쓴 말은 '점잖잖은'이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9항에 따르면 '어미 '-지' 뒤에 '않-'이 어울려 '-잖-'이 될 적에는 준 대로 적고, '-하지' 뒤에 '않-'이 어울려 '찮-'이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데, '점잖지 않은'은 '-지' 뒤에 '않-'이 어울린 경우라 '점잖잖은'으로 줄여 적습니다.
0
'점잔 빼다', '점잖 빼다'의 표기
2019. 12. 6.
'점잔 빼다'라는 말을 쓰던데 '점잖다'가 있으니까 '점잖 빼다'가 맞지 않나요?
 '점잔 빼다'가 맞습니다. 여기서 '점잔'은 '점잖은 태도'를 이르는 명사이므로 '점잔(을)' 뒤에, '짐짓 행동이나 태도를 꾸미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동사 '빼다'를 써서 '점잔(을) 빼다'와 같이 씁니다.
0
'반드시'와 '절대로'의 차이
2019. 12. 6.
"동아리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절대로/반드시} 손으로 쓴 작품을 제출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에서 어느 부사가 적절한가요?
 "동아리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손으로 쓴 작품을 제출해야 합니다."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반드시'는 '틀림없이 꼭'을 뜻하는 부사로 긍정의 서술어와 주로 어울리고, '절대로'는 '어떠한 경우에도 반드시'를 뜻하는 부사로 주로 부정의 서술어와 어울리는데, 제시된 문장은 이중 부정으로 강한 긍정을 나타내는 경우라 어떤 부사를 쓰더라도 중의적으로 해석되어 읽는 사람에 따라 어색할 수도, 자연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차라리 뒤 절을, 앞 절의 '동아리에 가입하기 위해서'와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긍정문으로 바꾸고 '반드시'를 써 "동아리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손으로 쓴 작품을 제출해야 합니다."로 쓰는 것이 좋겠습니다.
0
'달라'의 기본형
2019. 12. 6.
"그는 목걸이를 그녀에게 전해 달라고 말했다."라는 문장에서 '달라'의 기본형은 무엇인가요?
 제시된 문장에 쓰인 '달라'의 기본형은 '달다'입니다. 여기서 '달다'는 동사 뒤에서 '-어 달라', '-어 다오' 구성으로 쓰여,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해 줄 것을 요구하는 뜻을 나타내는 보조 용언인데, 이 동사는 불완전 동사로 하라체 명령형 '달라', 해라체 명령형 '다오'로만 제한적으로 활용됩니다.
0
'저장하다'와 '저장되다'의 표현
2019. 12. 6.
메시지를 작성하다가 메시지가 임시 보관함에 저장되는 경우에 "임시 보관함에 {저장되었습니다/저장하였습니다}.' 중 어떤 게 맞는 표현인가요?
 문법적으로 둘 다 쓸 수는 있습니다. 생략된 주어가 '메시지가'라면 "임시 보관함에 저장되었습니다."가 적절하고, 생략된 주어가 '시스템이'라면 "임시 보관함에 저장하였습니다."가 적절합니다. 표현상으로는 가능하면 '저장하였습니다'와 같은 능동 표현을 쓰도록 하고는 있습니다만, '저장하였습니다'를 쓰면 주어와 함께 목적어까지 생략된 문장이 되어 문법적인 부담이 있습니다.
0
'저희 아버지'와 '우리 아버지'의 표현
2019. 12. 6.
아버지를 소개할 때 '{우리/저희} 아버지' 중 어느 것을 써야 하나요?
 상대에 따라 '저희 아버지', '우리 아버지' 모두 쓸 수 있습니다. '저희'는 일부 명사 앞에 쓰여 말하는 이가 자기보다 높은 사람을 상대하여 어떤 대상이 자기와 친밀한 관계임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므로 윗사람 앞에서는 '저희 아버지'를 쓰고, '우리'는 일부 명사 앞에 쓰여 말하는 이가 자기보다 높지 않은 사람을 상대하여 어떤 대상이 자기와 친밀한 관계임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므로 윗사람이 아닌 사람 앞에서는 '우리 아버지'와 같이 씁니다.
0
'저기 책방'의 구조
2019. 12. 6.
"이 책을 저기 책방에서 샀다."가 문법적으로 가능한 문장인가요? 여기서 '저기'는 대명사이고 소유격 조사 '의'가 생략된 것으로 보아야 하는지요?
 "이 책을 저기 책방에서 샀다."는 쓸 수 있는 문장입니다. '저기'는 '말하는 이나 듣는 이로부터 멀리 있는 곳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라 장소를 가리키는 명사 '책방'과 수식 관계는 아니지만, 동격 관계(저기=책방)로 쓸 수 있습니다.
0
'재학 중'의 표현
2019. 12. 6.
학교를 다니고 있다는 뜻으로 쓰는 '재학'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 '재학 중'이라고 하는데, '재학'이라는 단어 안에 다니고 있다는 뜻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의미 중복 아닌가요?
 '재학 중'은 의미 중복 표현이 아닙니다. '재학'은 '학교에 적(籍)을 두고 있음'을 뜻하고, '중'은 '무엇을 하는 동안'을 뜻해 '재학 중'은 '학교에 적을 두고 있는 동안'을 뜻하므로 의미가 중복되지 않습니다.
0
'재떨이', '때밀이'의 단어 형성법
2019. 12. 6.
'재떨이', '때밀이'의 경우는 '재떨다', '때밀다'도 없고 '떨이', '밀이'도 없는데, 뒤에서부터 파생된 것으로 보나요?
 이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습니다. 다만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재떨이', '때밀이'는 합성어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재떨이'는 '재-떨이'로, '때밀이'는 '때-밀이'로 직접 성분 분석이 되어 있으므로 합성어로 볼 수 있겠습니다.
0
'장이', '쟁이'의 쓰임
2019. 12. 6.
'-장이'와 '-쟁이'는 어떨 때 붙나요?
 '-장이'는 '그것과 관련된 기술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간판장이', '땜장이', '양복장이', '옹기장이', '칠장이'와 같이 쓰이고, '-쟁이'는 '그것이 나타내는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겁쟁이', '고집쟁이', '떼쟁이', '멋쟁이', '무식쟁이'와 같이 쓰이거나, '그것과 관련된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점쟁이', '중매쟁이', '그림쟁이', '이발쟁이'와 같이 쓰입니다.
0
'장기 자랑 하기', '장기 자랑하기'의 띄어쓰기
2019. 12. 6.
'장기 자랑 하기'에서 '하기'는 앞말에 붙이나요?
 장기를 자랑한다는 뜻이라면 '장기(를) 자랑하기', 장기 자랑을 한다는 뜻이라면 '장기 자랑(을) 하기'로 띄어 씁니다. 일반적으로는 '장기 자랑'을 하나의 단위로 보고 '장기 자랑(을) 하기'와 같이 많이 씁니다.
0
'잤음', '잤슴'의 표기
2019. 12. 6.
"잠을 잤습니다."는 맞는 표기법인 줄 아는데 '잠을 잤음'과 '잠을 잤슴' 중에는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지요?
 '잠을 잤음'이 바른 표기입니다.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용언의 어간이나 어미 '-었-', '-겠-' 뒤에 붙어,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는 '-음'입니다. 따라서 '자다'의 어간 '자-' 뒤에 어미 '-았-'이 붙어 줄어든 '잤-' 뒤에는 명사형 어미 '-음'을 붙여 '잤음'과 같이 표기합니다.
0
'잘도'의 의미
2019. 12. 6.
"너는 잘도 놀고 있구나."에서 '잘도'는 어떤 뜻인지요?
 "너는 잘도 놀고 있구나."에서 '잘도'는 부사 '잘'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잘도'는 '아무 탈 없이 편하고 순조롭게'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 '잘'에, 놀라움이나 감탄, 실망 따위의 감정을 강조하는 데 쓰이는 보조사 '도'가 붙은 말입니다.
0
'잘나가다', '잘 나가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가장 잘 나가는', '가장 잘나가는' 중 어떤 게 맞는 건가요?
 '가장 잘나가는'이 맞습니다. 여기서 '잘나가다'는 '사회적으로 계속 성공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합성어입니다.
0
'자식 된 도리', '자식된 도리'의 띄어쓰기
2019. 12. 6.
'자식 된 도리', '자식된 도리' 중 무엇이 맞나요?
 '자식 된 도리'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자식(이)' 뒤에, '어떤 사람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다'의 뜻을 나타내는 동사 '되다'를 써서 '자식(이) 된 도리'와 같이 적습니다. 일부 명사 뒤에 붙어 '피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되다'는 '사용', '형성'과 같은 행위 명사 뒤에 붙어 각각 '사용되다', '형성되다'와 같이 쓰이지만, '자식'은 행위 명사도 아니고 '자식되다'가 복합동사도 아니므로 '자식 된 도리'와 같이 띄어 쓰는 것입니다.
0
'결연을 맺다'의 표현
2019. 12. 6.
'결연을 맺다'가 맞는 표현인가요? 한글2004에서는 '맺다'라는 의미가 중복되는 겹말 오류라고 나오던데요.
 '결연을 맺다'도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결연'이 '인연을 맺음. 또는 그런 관계'를 뜻하므로 '맺다'와 의미가 중복되는 측면이 있지만, 현실적으로 굳어져 널리 쓰이고 있으므로 쓸 수 있습니다. 다만, 의미 중복을 피하고 간결하게 쓰려면 '결연을 하다'와 같이 씁니다.
0
'T 자형'의 띄어쓰기
2019. 12. 6.
'T 자형'이 맞나요, 'T 자 형'이 맞나요?
 'T 자형'과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T'라는 글자를 뜻하는 구 'T 자' 뒤에 '그런 모양'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형'을 붙여 'T 자형'과 같이 씁니다. '외관으로 나타나는 모양'을 뜻하는 '형'이 있기는 하나 제시된 맥락에 맞지 않습니다.
0
'이따가'와 '있다가'의 표기
2019. 12. 6.
'있다가'와 '이따가'를 어떻게 구분해 쓰나요?
 '이따가'는 '조금 지난 뒤에'의 뜻을 가진 부사로 "이따가 단둘이 있을 때 얘기하자."와 같이 쓰이고, '있다가'는 '있다'에 연결 어미 '-다가'가 붙은 활용형으로, "(그곳에) 조금 있다가 밖으로 나왔다."와 같이 쓰입니다.
0
'있는지', '있는 지'의 띄어쓰기
2019. 12. 6.
"그가 집에 {있는지 없는지/있는 지 없는 지} 잘 모르겠다."에서 맞는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그가 집에 있는지 없는지 잘 모르겠다."와 같이 붙여 적습니다. 여기서 '-는지'는 '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등에 붙어서 해할 자리나 간접 인용절에 쓰여, 막연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이므로 앞말에 붙여 씁니다. 한편, 어떤 일이 있었던 때로부터 지금까지의 동안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 '지'는 "강아지가 집을 나간 지 사흘 만에 돌아왔다."와 같이 앞말과 띄어 적습니다.
0
'입니다'의 표준 발음
2019. 12. 6.
'입니다'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입니다'의 표준 발음은 [임니다]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8항에 따르면 받침 'ㅂ' 은 'ㄴ' 앞에서 [ㅁ]으로 발음하므로 '입니다'의 'ㅂ'도 '니' 앞에서 [ㅁ]으로 되어 [임니다]로 발음합니다. 간혹 [임미다]로 발음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0
'님'과 '임'의 표현
2019. 12. 6.
'사랑하는 내 {님/임} 그 {님/임}을 그리워하다'에서 '님'과 '임' 무엇이 맞나요?
 '사랑하는 내 임 그 임을 그리워하다'와 같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여기에서 '임'은 '사모하는 사람'을 뜻하는 표준어입니다. '님'은 '임'의 옛말로서 표준어가 아닙니다. 다만, 굳어진 표현인 속담에서는 '꽃 피자 님 온다'처럼 '님'을 쓰기도 합니다.
0
'직장을 잃어버리다/잃어 버리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직장을 {잃어버렸다/잃어 버렸다}'는 무엇이 올바른 표기인가요?
 '직장을 잃어 버렸다', '직장을 잃어버렸다' 모두 올바른 표기입니다. 제시된 문장은 직장이 자신도 모르게 없어져 갖지 않게 된 것이 아니므로 합성어 '잃어버리다'의 뜻으로 쓰인 것은 아닙니다. '땅이나 자리가 없어져 그것을 갖지 못하게 되거나 거기에서 살지 못하게 되다'를 뜻하는 '잃다' 뒤에, '-어 버리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나타내는 행동이 이미 끝났음을 나타내는 보조 용언 '버리다'가 결합한 말로서,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라 앞말과 띄어 '직장을 잃어 버렸다'와 같이 쓰는 것이 원칙이나 앞말에 붙여 '직장을 잃어버렸다'와 같이 쓰는 것도 허용합니다.
0
'읽히다'와 '읽다'의 표현
2019. 12. 6.
'요즘은 가벼운 책들이 많이 읽혀진다'라는 표현은 반드시 '요즘은 가벼운 책들을 많이 읽는다'로만 고쳐야 하나요?
 꼭 "요즘은 가벼운 책들을 많이 읽는다."로만 고쳐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요즘은 가벼운 책들이 많이 읽혀진다."는 이중 피동 표현이므로 "요즘은 가벼운 책들이 많이 읽힌다."로 고치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여기에서 나아가 좀 더 자연스러운 우리말 표현으로 하려면 능동문인 "요즘은 가벼운 책들을 많이 읽는다."로 고칠 수 있습니다.
0
'일컫다'의 활용
2019. 12. 6.
'일컫다'의 활용형 '일컫는'과 '일컬은'의 차이는 뭔가요?
 '일컫는'과 '일컬은'은 시제가 다릅니다. '일컫다'는 'ㄷ' 불규칙 용언으로 어간 '일컫-' 뒤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는'이 오면 '일컫는'으로 활용하고,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은'이 오면 어간 받침의 'ㄷ'이 'ㄹ'로 바뀌어 '일컬은'으로 활용하는데, 여기서 '-는'은 현재의 사실을 나타내는 관형사형 어미이고, '-은'은 과거 사실을 나타내는 관형사형 어미라 시제의 차이가 있습니다.
0
'일찍이', '일찌기'의 표기
2019. 12. 6.
'일찍이'와 '일찌기' 중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일찍이'가 바른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25항에 따르면 부사에 '-이'가 붙어 역시 부사가 되는 경우에는 부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으므로 부사 '일찍'에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 '-이'를 붙인 말은 '일찍이'로 적습니다.
0
'열일곱이나 열여덟'을 줄여 쓴 말
2019. 12. 6.
'열일곱이나 열여덟을 '열일곱 여덟', '열일곱 ,여덟', '열 일곱여덟'으로 줄여 쓸 수 있을까요?
 '열일곱, 여덟'으로 쓸 수는 있지만 중의적이므로 '열일고여덟'이나 '열일여덟'으로 줄여 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수는 만 단위로 붙여 쓰고, '일곱이나 여덟쯤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라는 뜻을 나타내는 '일고여덟', '일여덟'이 있으므로 '열일곱이나 열여덟'을 줄여 '열일고여덟', '열일여덟'으로 쓸 수 있습니다.
0
'몇 월 며칠 자', '몇 월 며칠자'의 띄어쓰기
2019. 12. 6.
신문의 '몇 월 {며칠 자/며칠자)' 할 때 '자'를 띄어야 하나요, 붙여야 하나요?
 '몇 월 며칠 자'와 같이 띄어 씁니다. 여기서 '자'는 '날짜'를 나타내는 명사로 '오늘 자 신문', '3월 15일 자 신문'과 같이 앞말과 띄어 적습니다.
0
'인공위성', '인공 위성'의 띄어쓰기
2019. 12. 6.
'인공위성', '인공 위성' 중에 어떤 것이 맞는 표기인가요?
 '인공위성'이 맞는 표기입니다. '천문' 전문어로 '지구 따위의 행성 둘레를 돌도록 로켓을 이용하여 쏘아 올린 인공의 장치'를 이르는 '인공위성'은 합성어이므로 이와 같이 붙여 적습니다. 전문어는 대체로 전문어 구로 단어별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고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되지만, 합성어인 전문어는 붙여 습니다.
0
'가 봐', '가봐'의 띄어쓰기
2019. 12. 6.
'이제 {가봐/가 봐}'에서 맞는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이제 가 봐."(원칙), "이제 가봐."(허용) 모두 맞습니다. "이제 {가 봐/가봐}."에서 '봐'는 '-아 보다' 구성으로 쓰이는 보조 용언 '보다'입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보조 용언은 본용언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아/-어' 뒤에 연결되는 보조 용언은 본용언과 붙여 쓰는 것이 허용됩니다.
0
'잇다'의 활용
2019. 12. 6.
'두 점을 {이은/잇는} 선분'이라는 문구가 나오는데, 어떤 것이 맞나요?
 '두 점을 이은 선분', '두 점을 잇는 선분' 모두 맞습니다. 제시된 맥락에서 '이은'은 어간 '잇-' 뒤에, 동작이 완료되어 그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관형사형 어미 '-은'이 결합한 말이고, '잇는'은 어간 '잇-' 뒤에, 이야기하는 시점에서 볼 때 사건이나 행위가 현재 일어남을 나타내는 관형사형 어미 '-는'이 결합한 말로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0
'중심지이며'와 '중심지며'의 표현
2019. 12. 6.
"서울은 대한민국 정치, 경제의 중심지이며 관광 도시이기도 합니다."라는 문장에서 '중심지이며'를 '중심지며'로 쓸 수 있는지요?
 '중심지이며'를 '중심지며'로 쓸 수 있습니다. 이 말은 명사 '중심지' 뒤에 서술격 조사 '이-', 어미 '-며'가 붙은 말인데, 받침 없이 끝난 체언 뒤에서는 '이'가 쉽게 생략되어 '중심지며'로 쓸 수 있습니다.
0
'이다'의 쓰임
2019. 12. 6.
"그는 매사에 성실이다."에서 '성실이다'는 '성실하다'로 바꿔 쓸 수 있어 서술격 조사의 쓰임과 많이 다른 것 같은데 여기서 '이다'도 서술격 조사인가요?
 "그는 매사에 성실이다."의 '이다'도 서술격 조사가 맞습니다. '이다'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언처럼 주체의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서술격 조사로, "너는 어떻게 입만 열면 불평이니?", "할머니는 아버지가 해외로 출장 간 내내 걱정이시다."와 같이 쓰이기도 합니다.
0
'오바마입니다', '오바마 입니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외국인 이름 뒤에 '입니다'가 오는 경우 어떻게 띄나요?
 '오바마입니다'와 같이 붙여 씁니다. '입니다'는 서술격 조사 '이다'의 어간에 어미 '-ㅂ니다'가 결합한 말로 앞말에 붙여 씁니다.
0
'이날', '이 날'의 띄어쓰기
2019. 12. 6.
'이날', '이 날' 중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이날'로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날'을 이르는 '이날'은 합성어이므로 붙여 씁니다.
0
'-을까', '-냐'로 끝나는 문장의 종결 부호
2019. 12. 6.
"내가 그라면 얼마나 좋을까{./?/!}", "이 일을 도대체 어쩌란 말이냐{./?/!})에서 맞는 부호는 무엇일까요?
 '-을까', '-냐'와 같은 의문형 종결 어미가 쓰인 문장의 끝에는 "내가 그라면 얼마나 좋을까?", "이 일을 도대체 어쩌란 말이냐?"와 같이 물음표를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만 의문의 정도가 약한 경우, 특히 제시된 문장처럼 실제로 묻는 내용이 아닌 수사 의문문인 경우에는 "내가 그라면 얼마나 좋을까.", "이 일을 도대체 어쩌란 말이냐."와 같이 마침표를 쓰기도 합니다.
0
'기분 좋은 날의', '기분 좋은 날에'의 표현
2019. 12. 6.
'기분 좋은 날{의/에} 만남'에서 어떤 게 맞는 건가요?
 '기분 좋은 날의 만남'이 적절합니다. 관형격 조사 '의'는 [에]로도 발음되어 부사격 조사 '에'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는 앞뒤 구조를 따져 체언이 체언을 수식하는 구조라면 '기분 좋은 날의 만남'과 같이 관형격 조사 '의'로 적고, 체언이 서술어를 수식하는 구조라면 '기분 좋은 날에 만나다'와 같이 부사격 조사 '에'로 적습니다.
0
'이것을'의 준말
2019. 12. 6.
"이걸 음식이라고 만들었냐?"처럼 '이걸'이라는 단어를 쓸 수 있나요?
 '이걸'은 '이것을'을 줄여 쓴 말로 쓸 수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3항에 따르면, 체언과 조사가 어울려 줄어지는 경우에는 준 대로 적으므로 '무엇을'을 '무얼'로 줄여 쓰듯이 '이것을'도 '이걸'로 줄여 쓸 수 있습니다. 한편으로, '이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이거' 뒤에 조사 '를'보다 더 구어적인 조사 'ㄹ'을 붙여서도 '이걸'로 쓸 수 있습니다.
0
'으레', '으례'의 표현
2019. 12. 6.
표준국어대사전에 '으례'라고 치니까 뜻풀이에 '→ 으레.'라고 나오는데 '으례'도 맞나요, '으레'만 맞나요?
 '으레'만 맞는 표현입니다. '두말할 것 없이 당연히', '틀림없이 언제나'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는 '으레'로 "그는 회사 일을 마치면 으레 동료들과 술 한잔을 한다."와 같이 쓰입니다.
0
'유월', '시월'로 쓰는 이유
2019. 12. 6.
월명 중 '유월'과 '시월'은 왜 '육월', '십월'로 적지 않나요?
 '시월(十月)', '유월(六月)'은 속음으로 나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52항에 따르면 한자어에서 본음으로도 나고 속음로도 나는 것은 각각 그 소리에 따라 적는데 '十月', '六月'의 '十'과 '六'은 속음으로 나 '시월'과 '유월'로 적습니다.
0
'윗잇몸'의 표준 발음
2019. 12. 6.
'윗잇몸'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윗잇몸'의 표준 발음은 [윈닌몸]입니다. 표준발음법 제30항 3에 따르면, 사이시옷 뒤에 '이' 소리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ㄴㄴ]으로 발음하므로 '위'와 '잇몸'이 결합하여 합성어가 된 '윗잇몸'은 [윈닌몸]으로 발음합니다.
0
'윗머리'와 '아랫머리'의 관계
2019. 12. 6.
'윗머리'와 '아랫머리'는 반의 관계가 어떻게 성립하나요?
 '윗머리'와 '아랫머리'는 각각 '위아래가 같은 물건의 위쪽 끝 부분'과 '위아래가 같은 물건의 아래쪽 끝 부분'을 이를 때 반의 관계가 성립합니다.
0
'웃-'과 '윗-'의 차이
2019. 12. 6.
왜 '웃어른'으로 적고 '윗입술'로 적나요?
 '웃어른', '윗입술'으로 적는 것은 '아랫어른'은 없고 '아랫입술'은 있기 때문입니다. 표준어규정 제12항 다만 2에 따르면 '아래, 위'의 대립이 없는 단어는 '웃-'으로 발음되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으므로, 대립어 '아랫어른'이 없는 말은  '웃어른'으로 적고, 대립어 '아랫입술'이 있는 말은 '윗입술'로 적는 것입니다.
0
'월요일'의 단어 형성법
2019. 12. 6.
'월요일'은 파생어인가요, 합성어인가요?
 견해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월요일(月曜日)'은 명사 '월'과 명사 '요일'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입니다.
0
'원수지간'의 표현
2019. 12. 6.
'원수지간'은 한 단어인가요? '형제지간'은 한 단어로 나오는데 '원수지간'은 사전에 없네요.
 '원수지간'은 한 단어입니다. '원수지간'은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실려 있지 않지만 언어 현실을 반영한 "우리말샘"에 한 단어로 올라 있습니다.
0
'웃옷'과 '윗옷'의 표현
2019. 12. 6.
'웃옷'과 '윗옷'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웃옷'과 '윗옷'은 뜻이 다른 말로 모두 표준어입니다. '웃옷'은 '맨 겉에 입는 옷'을 뜻하는 말이고, '윗옷'은 '위에 입는 옷'을 뜻하는 말입니다.
0
'듯하다'의 표준 발음
2019. 12. 6.
'듯하다'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듯하다'의 표준 발음은 [드타다]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2항 1 [붙임 2]에 따르면 'ㄷ'으로 발음되는 'ㅅ'의 경우에도 뒤 음절 첫소리 'ㅎ'과 결합되는 경우에는 합쳐서 [ㅌ]으로 발음하므로 '듯하다'는 [드타다]로 발음합니다.
0
'울다'의 사동 표현
2019. 12. 6.
'천둥이 울리다'의 '울리다'도 사동사로 볼 수 있나요?
 '천둥이 울리다'의 '울리다'는 사동사가 아닙니다. 여기서 '울리다'는 '어떤 물체가 소리를 내다'를 뜻하는 자동사입니다.
0
'욱여넣다', '우겨넣다'의 표기
2019. 12. 6.
'욱여넣다'와 '우겨넣다' 중 바른 표기는 어떤 것인가요?
'욱여넣다'가 맞는 표기입니다. '주위에서 중심으로 함부로 밀어 넣다'를 뜻하는 말은, '안쪽으로 조금 우그러져 있다'를 뜻하는 '욱다'의 사동사 '욱이다'와 의미적인 관련성이 있으므로 형태를 밝혀 '욱여넣다'로 적습니다.
0
'우푯값', '우표값'의 표기
2019. 12. 6.
'우표값'이 맞나요, '우푯값'이 맞나요?
 '우푯값'이 맞습니다. '가격', '대금', '비용'의 뜻을 나타내는 '값'은 사전 등재 여부와 상관없이 앞말에 붙여 쓰고 합성어에 준해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라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데, '우표'와 '값'이 결합한 말도 [우표깝/우푣깝]으로 소리 나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우푯값'으로 적는 것입니다.
0
'맥주잔', '맥줏잔'의 바른 표기
2019. 12. 6.
'맥주잔'과 '맥줏잔'은 어떤 표기가 맞는 건가요?
 '맥주잔'으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한자어와 한자어가 결합한 말은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를 제외하고는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으므로, 한자어 '맥주(麥酒)'와 '잔(盞)'이 결합한 말은 '맥주잔'과 같이 적습니다.
0
'우연찮다'와 '우연치 않다'의 차이
2019. 12. 6.
고등 국어 교과서에서 "우연치 않게 준성이를 만났다."는 잘못된 것이고 "우연히 준성이를 만났다."가 맞는 문장이라고 하네요. '우연찮다'도 사전에 올라 있는데 '우연치 않게'가 왜 잘못된 것인지요?
 '우연치 않다'는 구로서 구성 단어의 의미 조합이 맥락에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어떤 일이 뜻하지 아니하게 저절로 이루어져 공교롭게'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 '우연히'를 써 "우연히 준성이를 만났다.", '꼭 우연한 것은 아니나 뜻하지도 아니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우연찮다'의 부사형을 써 "우연찮게 준성이를 만났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0
'우리 시', '우리시'의 띄어쓰기
2019. 12. 6.
지방자치단체 기관에서 근무하는 직원이 공문서에 표기할 때는 '우리 시', '우리시' 중 어떻게 띄어쓰기를 하나요?
 '우리 시'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일부 명사 앞에 쓰여 말하는 이가 자기보다 높지 아니한 사람을 상대하여 어떤 대상이 자기와 친밀한 관계임을 나타낼 때 쓰는 '우리'와 '시'는 각각의 단어이므로 '우리 시'로 띄어 씁니다.
0
'우리 과', '우리과'의 띄어쓰기
2019. 12. 6.
'우리 OOO과'를 줄인 말은 '우리 과'로 적나요, '우리과'로 적나요?
 '우리 과'와 같이 띄어 적습니다. '우리'는 일부 명사 앞에 쓰여 말하는 이가 자기보다 높지 아니한 사람을 상대하여 어떤 대상이 자기와 친밀한 관계임을 나타내는 말이고, '과(課)'는 업무 조직에서 부서의 하나를 일컫는 명사이므로 '우리 과'와 같이 띄어 씁니다.  참고로 'OOO과'의 '-과(課)'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업무 부서'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적습니다.
0
'저희 동네'와 '우리 동네'의 표현
2019. 12. 6.
'저희 동네'란 표현이 옳은지요?
 '저희 동네'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일부 명사 앞에 쓰여 말하는 이가 자기보다 높지 아니한 사람을 상대하여 어떤 대상이 자기와 친밀한 관계임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고, '저희'는 '우리'의 낮춤말입니다. 따라서 높이거나 격식을 차려야 할 상대에게는 겸양의 뜻으로 '우리' 대신 '저희'를 써 '저희 동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같은 동네 사람끼리는 굳이 겸양할 필요가 없으므로 '우리 동네'라고 합니다.
0
'촛불'의 로마자 표기
2019. 12. 6.
사이시옷이 들어가 있는 '촛불'은 발음이 [초뿔/촏뿔]이 다 되는데 로마자로 표기할 때는'chobul'로 적나요, 'chotbul'로 적나요?
 'chotbul'로 적습니다. 로마자표기법 제3장 제1항 붙임의 '샛별'[새ː뼐/샏ː뼐]을 'saetbyeol'로 적은 것에 따라 '촛불'은 사이시옷의 발음 [ㄷ]을 표기에 반영하여 'chotbul'로 적습니다.
0
'외다'와 '외우다'의 표현
2019. 12. 6.
'외다'와 '외우다'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외다', '외우다' 모두 표준어입니다. '글이나 말을 기억하여 두었다가 한 자도 틀리지 않게 그대로 말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준말과 본말의 관계로 '외다'와 '외우다'를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다만, '말이나 글 따위를 잊지 않고 기억하여 두다'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외우다(활용형: 외워야만)'를 쓰는 것이 맞습니다.
0
'외다'와 '외우다'의 활용
2019. 12. 6.
'외다'는 '외어'로 활용되고, '외우다'는 '외워'로 활용된다는데요, 어떤 차이가 있는지요?
 '글이나 말을 기억하여 두었다가 한 자도 틀리지 않게 그대로 말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외다'와 '외우다'는 준말과 본말의 관계입니다. '외다'는 어간 '외-', '외우다'는 어간 '외우-' 뒤에 어미가 붙으므로 각각 '외어'와 '외워'(외우어)와 같이 활용합니다.
0
'외곬'과 '외골수'의 표현
2019. 12. 6.
'외곬'과 '외골수'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외골수'와 '외곬' 모두 표준어입니다. '외골수'는 '단 한 곳으로만 파고드는 사람'을 이르는 말로 '외골수 학자'와 같이 쓰이고, '외곬'은 주로 '외곬으로' 꼴로 쓰여 '단 하나의 방법이나 방향'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로, '외곬으로 생각하다'와 같이 쓰입니다.
0
'외'와 '왜'의 표준 발음
2019. 12. 6.
'외'와 '왜'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외'의 표준 발음은 단모음 [ö]가 원칙이지만 이중모음 [we]도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중모음으로 발음할 때는 '웨'와 같은 발음이 됩니다. 한편, '왜'는 [wɛ]로 발음합니다.
0
'팔월 왕', '팔월왕'의 띄어쓰기
2019. 12. 6.
이름이 '팔월'인 사람이 왕이 되었다면 '팔월왕'이 맞나요, '팔월 왕'이 맞나요?
 '팔월왕'이 맞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지침에 따르면, 고유어나 한자어의 인명에 '왕(王)'이 붙을 경우에는 '유리-왕', '공민-왕', '아소카-왕'과 같이 붙여 씁니다.
0
'완성하다'와 '완성시키다'의 표현
2019. 12. 6.
"나는 소설을 {완성했다/완성시켰다}."에서 '완성시켰다'라는 말을 쓸 수 있나요?
 "나는 소설을 완성했다."가 바람직합니다. '-시키다'는 서술성을 가지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사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로 "그는 조수에게 구두를 완성시켰다."와 같이 쓰입니다만, "나는 소설을 완성했다."의 '완성했다' 대신 '완성시켰다'를 쓰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0
'옷 맞추다'의 표준 발음
2019. 12. 6.
'옷 맞추다'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옷 맞추다'의 표준 발음은 [온맏추다]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8항 붙임에 따르면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받침 'ㄷ'(ㅅ)은 'ㅁ' 앞에서 [ㄴ]으로 발음되고, 제9항에 따르면 받침 'ㅈ'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대표음 [ㄷ]으로 발음되므로 '옷 맞추다'는 [온맏추다]로 발음됩니다. 참고로 한 마디로 발음하지 않고 끊어서 두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는 [옫 맏추다]와 같이 발음합니다.
0
명사 부사 통용어의 격 변화
2019. 12. 6.
'작년에', '이번 주에', '이번 달에' 등에는 에를 붙여 쓰는데 '올해', '어제', '오늘', '내일' 등에 '에'를 붙여 쓰면 왜 이상한가요?
'어제', '오늘', '내일'은 부사로도 쓰이기 때문입니다. '작년', '이번 주', '이번 달'은 명사 또는 명사구이므로 때를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에'를 붙여 쓰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그렇지만 '어제', '오늘', '내일'은 부사로도 쓰이므로 굳이 '에'를 붙여 쓰는 것이 어색한 것입니다. 다만, '올해'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명사이므로 부사격 조사 '에'를 붙여 쓸 수 있습니다만, 현실적으로 조사가 쉽게 생략되는 경향이 있어 오히려 조사를 붙이는 것이 이상하게 느껴진 듯합니다.
0
'올바르다', '옳바르다'의 표기
2019. 12. 6.
'올바르다'와 '옳바르다' 중 바른 표기는 어떤 것인가요?
 '올바르다'가 바른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27항 [붙임2]에 따르면 어원이 분명하지 아니한 것은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는데, '말이나 생각, 행동 따위가 이치나 규범에서 벗어남이 없이 옳고 바르다'의 뜻을 나타내는 형용사는 그 어원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고 소리대로 '올바르다'로 적습니다.
0
'올 겁니다', '올 껍니다'의 표기
2019. 12. 6.
'올 것입니다'를 줄여 쓰면 '올 겁니다'가 될 것 같은데, 어떤 문법책에 '올 껍니다'라고 쓰여 있어 헷갈리네요. '올 겁니다'가 맞나요, '올 껍니다'가 맞나요?
 '올 겁니다'가 맞습니다. '올 겁니다'의 '겁니다'는 표준발음법 제27항에 따라 '오다'의 관형사형 '올 '뒤에 연결되는 'ㄱ'이 된소리로 나므로 그 발음에 따라 '껍니다'로 적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겁니다'는 '것'의 구어형인 '거'에 하십시오할 자리에 쓰여, 현재 계속되는 동작이나 상태를 그대로 나타내는 종결 어미인 '-ㅂ니다'가 붙은 형태이므로 형태를 밝혀 '올 겁니다'와 같이 씁니다.
0
'오는'과 '온'의 차이
2019. 12. 6.
"내가 한국에 온 사이 친구가 떠났다."와 "내가 한국에 오는 사이에 친구가 떠났다."의 의미가 어떻게 다른가요?
 "내가 한국에 온 사이 친구가 떠났다."는 내가 한국에 이미 와 그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에 친구가 떠났다는 뜻이고, "내가 한국에 오는 사이에 친구가 떠났다."는 내가 한국에 오는 동안에 친구가 떠났다는 뜻이라 차이가 있습니다. 여기서 '-ㄴ'은 전체 문장의 사건시를 기준으로 오는 행위가 완료되어 그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관형사형 어미이고, '-는'은 전체 문장의 사건시를 기준으로 오는 행위가 현재 일어남을 나타내는 관형사형 어미입니다.
0
'오월', '오 월'의 띄어쓰기
2019. 12. 6.
월명은 붙여 쓴다는데, '오 월'은 틀리나요?
 월명은 한 단어이므로 "오월은 가족의 달이다."와 같이 붙여 씁니다. 다만, 월일을 쓰는 경우에는 수와 단위를 띄어 "오 월 오 일은 어린이날이다."와 같이 쓰는 것이 원칙이나 '월', '일'이 차례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오월 오일은 어린이날이다."와 같이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0
'오염하다'와 '오염시키다'의 표현
2019. 12. 6.
'"매연이 환경을 오염했다."라는 말이 어색한데, '오염했다'가 맞는 건가요?
 "매연이 환경을 오염했다."는 맞는 표현입니다. '오염하다'는 자타를 겸하는 동사로 '더럽게 물들다' 또는 '더럽게 물들게 하다'의 뜻을 나타내므로 '매연이 환경을 더럽게 물들게 했다'는 뜻으로 "매연이 환경을 오염했다."를 쓸 수 있습니다.
0
'실력이 오르다'의 표현
2019. 12. 6.
'실력이 오르다'라는 표현이 맞는 표현인가요?
 '실력이 오르다'보다는 '실력이 늘다'로 표현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실력'은 '실제로 갖추고 있는 힘이나 능력'을 뜻하므로 '값이나 수치, 온도, 성적 따위가 이전보다 많아지거나 높아지다', '실적이나 능률 따위가 높아지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오르다'보다 '재주나 능력 따위가 나아지다'를 뜻하는 '늘다'와 더 잘 어울립니다.
0
'오르기'의 품사
2019. 12. 6.
'오르기'는 동사의 명사형인가요, 파생명사인가요?
 '오르기'는 동사 '오르다'의 명사형입니다. '오르기'는 현재 파생명사로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으며, 동사 '오르다'의 어간 '오르-' 뒤에 명사형 어미 '-기'가 붙은 동사의 명사형입니다.
0
'오랫동안', '오랜동안'의 표현
2019. 12. 6.
'오랜 시간'이 가능하다면 '오랜 동안'도 가능한 것 같은데, '오래다'의 관형사형 '오랜'에 '동안'이라는 명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로 띄어 쓸 수 있지 않을까요?
 '오랜 동안'으로 띄어 쓸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때의 지나간 동안이 길다'를 뜻하는 형용사 '오래다'의 관형사형 '오랜' 뒤에 명사 '동안'을 써 '오랜 동안'으로 쓸 수 있습니다. 다만, 이미 '시간상으로 썩 긴 기간 동안'이라는 뜻으로 굳어져 쓰이는 명사 '오랜동안'은 '오랫동안'의 비표준어입니다.
0
'오랜만', '오랜 만'의 띄어쓰기
2019. 12. 6.
'오랜만에'는 붙여 쓰는 건가요? '12년 만에' 할 때는 '만'이 의존 명사라 띄어 쓰잖아요. '오랜만에' 할 때 '만'은 뭔가요?
 '오랜만에'는 붙여 씁니다. '오랜만'은 '어떤 일이 있은 때로부터 긴 시간이 지난 뒤'를 뜻하는 '오래간만'의 준말로 하나의 단어입니다. 여기서 '만'은 어원적으로 '12년 만에'의 '만'과 마찬가지로 의존 명사이지만 '오랜만'이 한 단어로 굳어져 앞말과 붙여 씁니다.
0
'오래전', '오래 전'의 띄어쓰기
2019. 12. 6.
'오래전부터', '오래 전부터'의 띄어쓰기는 어떻게 하나요?
 '오래전부터'로 붙여 씁니다. '상당한 시간이 지나간 과거'의 뜻을 나타내는 '오래전'은 한 단어로 붙여 쓰고, 그 뒤에 조사 '부터'를 붙여 '오래전부터'와 같이 붙여 씁니다.
0
'먹어야 하겠니'의 준말의 띄어쓰기
2019. 12. 6.
"밥을 먹어야 하겠니?"는 띄어 쓰는데, "밥을 먹어야겠니?"는 왜 붙여 쓰는지요?
 '-어야 하다'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거나 앞말이 뜻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하다'는 앞말과 띄어 "밥을 먹어야 하겠니?"와 같이 씁니다만, '하-'를 줄여 쓰는 경우에는 남은 어미 '-겠니'가 독립성이 없으므로 "밥을 먹어야겠니?"와 같이 붙여 씁니다.
0
'오래간만', '오래간 만'의 띄어쓰기
2019. 12. 6.
'오래간 만에'라고 안 쓰고 왜 '오래간만에'라고 써야 하나요?
 '오래간만'이 합성어이므로 '오래간만에'로 붙여 씁니다. '어떤 일이 있은 때로부터 긴 시간이 지난 뒤'라는 뜻을 나타내는 '오래간만'은 '오래가다'의 관형사형 '오래간'과, '앞말이 가리키는 동안이나 거리'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 '만'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 명사이므로 조사 '에'를 붙여 '오래간만에'로 쓰는 것입니다.
0
'오늘 밤', '오늘밤'의 띄어쓰기
2019. 12. 6.
'오늘 밤'으로 띄어 쓰나요, '오늘밤'으로 붙여 쓰나요?
 '오늘 밤'으로 띄어 씁니다. '오늘 밤'은 명사 '오늘'이 명사 '밤'을 꾸미는 명사구로 한 단어가 아니므로 띄어 씁니다.
0
'오늘'의 품사
2019. 12. 6.
"오늘 날씨가 참 좋다.", "오늘 내 모습은 무척이나 멋지다."에서 '오늘'의 품사는 무엇인가요?
 "오늘 날씨가 참 좋다."의 '오늘'은 명사로서 '날씨'를 꾸미거나 이중 주어로 쓰일 수 있고 부사로서 '좋다'를 꾸밀 수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오늘 내 모습은 무척이나 멋지다."의 '오늘'도 명사로서 '모습'을 꾸밀 수도 있고, 부사로서 '멋지다'를 꾸밀 수도 있습니다.
0
'예의'의 의미
2019. 12. 6.
"그는 예의 그 웃음을 지어 보였다."에서 '예의'의 정확한 뜻은 무엇인가요?
 "그는 예의 그 웃음을 지어 보였다."의 '예의'는 '이미 잘 알고 있는 바'를 가리킬 때 쓰이는 명사 '예(例)'에 조사 '의'가 붙은 말로 '이미 잘 알고 있는 바의'의 뜻을 나타냅니다.
0
'예상되다'와 '예상이 되다'의 표현
2019. 12. 6.
"그가 그 일을 잘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의 '예상된다'를 '예상이 된다'로 쓸 수 있는지요?
 "그가 그 일을 잘 처리할 것으로 예상이 된다."로도 쓸 수 있습니다. '예상되다'는 '어떤 일이 직접 일어나기 전에 미리 생각되다'를 뜻하고, '예상이 되다' 역시 피동의 뜻을 나타내므로 '예상되다'를 '예상이 되다'로도 쓸 수 있습니다.
0
'예삿일'과 '농사일'의 사이시옷
2019. 12. 6.
'예삿일'에는 사이시옷을 쓰고 '농사일'에는 사이시옷을 안 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예삿일'의 발음은 [예ː산닐]과 같이 [ㄴㄴ]이 덧나고 '농사일'의 발음은 [농사일]과 같이 [ㄴㄴ]이 덧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 2. (3)에 따르면,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데, '예사(例事)+일'이 결합한 경우에는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 [ㄴㄴ]이 덧나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예삿일'로 적는 것이고, '농사(農事)+일'이 결합한 경우에는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 [ㄴㄴ]이 덧나지 않으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지 않고 '농사일'로 적는 것입니다.
0
'행복해지다', '예뻐지다'의 명령형
2019. 12. 6.
'행복하다', '예쁘다'는 명령형이 안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행복해지다'와 '예뻐지다'는 명령형으로 쓰면 안 되는지요?
 '행복해지다', '예뻐지다'는 명령형으로 쓸 수 있습니다. '예뻐지다'는 '모양, 생김새 따위가 보기에 좋아지다'의 뜻을 나타내는 동사로 '예뻐져라'와 같이 명령형으로 쓸 수 있습니다. 한편 '행복해지다'는 한 단어는 아니지만 '행복하다'의 어간에, 형용사 뒤에서 '-어지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보조 동사가 이어진 말이므로 '행복해져라'와 같이 명령형으로 쓸 수 있습니다.
0
'-ㄴ가 보다', '-나 보다'의 활용
2019. 12. 6.
"걔가 예쁜가 보구나.", "요즘 잘 지내나 보는구나."가 맞나요? 본용언이 동사인지 형용사인지에 따라 보조 용언의 품사가 달라지는 것 맞나요?
 "걔가 예쁜가 보구나.", "요즘 잘 지내나 보구나."가 맞습니다. '-는구나'는 동사 어간에, '-구나'는 형용사 어간에 붙는데, 제시하신 '예쁜가 보다'와 '잘 지내나 보다'에 쓰인 '보다'는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상태를 추측하거나 어렴풋이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보조 형용사이므로 '-구나'가 붙습니다. '-지 않다', '-지 못하다'의 '않다', '못하다'처럼 보조 용언이 본용언의 품사를 따르는 경우도 있지만 '-고 싶다', '-ㄴ가 보다', '-나 보다'처럼 본용언의 품사와 상관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0
'어느 한쪽', '어느 한 쪽'의 띄어쓰기
2019. 12. 6.
'어느 한쪽'과 같이 '한쪽'이 '어느'의 수식을 받아도 '한쪽'을 붙여 쓰나요?
 그렇습니다. '어느'는 '한'이 아니라 '한쪽'을 수식하므로 '어느 한쪽'으로 붙여 씁니다.
0
'내재하다'와 '내재되다'의 표현
2019. 12. 6.
'내재하다', '내재되다'는 모두 맞는 말인가요?
 '내재하다', '내재되다' 모두 쓸 수 있는 말입니다. '내재하다', '내재되다' 모두 '어떤 사물이나 범위의 안에 들어 있다'를 뜻하는 자동사로 쓸 수 있습니다. 다만, '내재'가 '어떤 사물이나 범위의 안에 들어 있음'을 뜻해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하다'를 붙여 자동사 '내재하다'로 쓰므로, '피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되다'를 붙여 '내재되다'로 쓸 이유가 없다고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0
'촉석루'의 로마자 표기
2019. 12. 6.
'촉석루'를 로마자로 'Chokseongnu'로 표기하는데, '촉석루'는 [촉썽누]로 발음하므로 된소리 [썽]의 첫소리는 'ss'로 표기해야 할 것 같은데 어째서 's'로 표기되어 있나요?
 로마자 표기에는 된소리되기를 반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로마자표기법 제3장 제1항 붙임에 따르면 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으므로 '촉석루' [촉썽누]는 'Choksseongnu'가 아니라 'Chokseongnu'와 같이 적습니다.
0
일본 인명의 외래어 표기
2019. 12. 6.
'豊臣秀吉'은 우리 한자음으로 읽으면 '풍신수길'이 되고, 일본어로 읽으면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되는데 어떻게 적나요?
 '豊臣秀吉'은 '도요토미 히데요시'로 적고 읽는 것이 적절합니다. 외래어표기법 제4장 제2절 제3항에 따르면 일본 인명은 과거와 현대의 구분 없이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므로, 일본 인명 '豊臣秀吉'은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도요토미 히데요시'로 적고 이에 따라 읽습니다. 참고로, '풍신수길'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잘못된 표기입니다.
0
'성공에 성공을 거듭하다'의 표현
2019. 12. 6.
'성공에 성공을 거듭하다'와 같은 표현이 맞는 표현인가요? 아니면, '성공을 거듭하다'로 써야 하나요?
 '성공에 성공을+E975 거듭하다'와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거듭하다'는 타동사이므로 '인기를 거듭하다'와 같이 쓰지만, 앞말이 무엇이 더하여지는 뜻의 부사어임을 나타내는 조사 '에'를 써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다', '신중에 신중을 기하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0
'되는데요', '되는 데요'의 띄어쓰기
2019. 12. 6.
"그러면 뚱뚱한 몸이 {되는데요/되는 데요}."에서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그러면 뚱뚱한 몸이 되는데요."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여기서 '-는데'는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미리 말할 때에 쓰는 연결 어미라 앞말에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참고로, '곳, 장소, 일, 것, 경우'의 뜻으로 쓰이는 의존 명사 '데'는 "뚱뚱한 몸이 되는 데(에) 다 이유가 있다."와 같이 띄어 씁니다.
0
'이리 뒤척 저리 뒤척 하면서'의 띄어쓰기
2019. 12. 6.
'이리 뒤척 저리 뒤척하면서'가 맞을까요, 아니면 '이리 뒤척 저리 뒤척 하면서'가 맞을까요?
 '이리 뒤척 저리 뒤척 하면서'가 맞습니다. '이리 뒤척 저리 뒤척'은 몸을 이쪽저쪽으로 뒤척이는 모양을 이르는 관용구 부사어로 "낯선 곳에서 잠자는 것이 대개 그렇듯이 이리 뒤척 저리 뒤척 하면서 쉽게 잠을 이루지 못했다."와 같이 뒷말과 띄어 씁니다.
0
'소독약'과 '독약'의 표준 발음
2019. 12. 6.
'소독약'과 '독약'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소독약'과 '독약'의 표준 발음은 각각 [소동냑]과 [도갹]입니다. '소독약'은 표준발음법 제29항에 따라 'ㄴ' 소리가 첨가되고, 제18항에 따라 앞말의 끝 받침 'ㄱ'이 첨가된 'ㄴ' 앞에서 [ㅇ]으로 되어 [소동냑]으로 발음됩니다. 반면, '독약'은 '독'과 '약'이 결합한 말이기는 하나 예외적으로 'ㄴ'이 첨가되지 않고 [도갹]으로 발음됩니다.
0
'영향을 미치다'와 '영향을 끼치다'의 표현
2019. 12. 6.
'영향을 미치다'와 '영향을 끼치다' 중 어느 표현이 맞는 건가요?
 '영향을 미치다'와 '영향을 끼치다'는 모두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미치다'는 '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또는 그것을 가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영향을 미치다'와 같이 쓸 수 있고, '끼치다'는 '영향, 해, 은혜 따위를 당하거나 입게 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영향을 끼치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